KR101444156B1 -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의 검사 및/또는 훈련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의 검사 및/또는 훈련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156B1
KR101444156B1 KR1020097021362A KR20097021362A KR101444156B1 KR 101444156 B1 KR101444156 B1 KR 101444156B1 KR 1020097021362 A KR1020097021362 A KR 1020097021362A KR 20097021362 A KR20097021362 A KR 20097021362A KR 101444156 B1 KR101444156 B1 KR 10144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visual indication
display device
inpu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538A (ko
Inventor
알란 더블유 레이초우
라이언 콜터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8/060237 external-priority patent/WO2008128183A1/en
Publication of KR2010001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8Arrangement of plural eye-testing or -examin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6Means for conducting or scheduling competition, league, tournaments or rank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identification means that can be read by electr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거리에서의 피검자의 시력을 자동적으로 검사하고/검사하거나 훈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 특징을 갖는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시각적 특징을 식별하는 입력을 수신한 이후, 제2의 시각적 표시가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의 특징을 식별하는 입력을 수신한 이후,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와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에 번갈아 표시하면서 추가적인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2개가 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피검자에 대해 상이한 거리 또는 위치에 위치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의 검사 및/또는 훈련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AND/OR TRAINING NEAR AND FAR VISUAL ABILITIE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시뮬레이션 활동 중의 시력 검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Visual Ability During Simulated Activity)"이며 인용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2007년 4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923,434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또한,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비연관 시력 검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coupled Visual Ability Testing)"이며 인용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2007년 6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941,915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시력의 검사 및/또는 훈련과 관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근거리 시야로부터 원거리 시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시각 초점(visual focus)을 옮기는 것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피검자의 시력의 검사 및/또는 훈련과 관련된다.
개인의 시력을 검사하고 일부 경우에 있어서 개인의 시력을 훈련하기 위해 다수의 시스템 및 방법이 존재한다. 시력 검사의 한 가지 분야는, 피검자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있는 시각적 자극에 초점을 맞추는 피검자의 능력을 측정한다. 종종, 이러한 검사에서는, 피검자로 하여금 비교적 피검자에 대해 근거리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 표시를 식별하도록 시도하고 이후에 피검자로부터 시각적으로 원거리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 표시를 식별하도록 요구한다. 종종, 피검자로부터 시각적으로 원거리에 있는 시각적 표시는 광학적 무한점(optical infinity)에 위치하는데, 이는 반드시 두 눈을 완전하게 이완시키고 두 눈 모두가 피검자의 머리 정면을 바라보며 원거리의 시각적 표시에 초점을 맞추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으로, 이러한 검사에 있어서, 피검자는 보통 근거리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및 원거리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를 읽을 수 있으며, 이때 검사 진행자는 표시에 대한 피검자의 식별의 정확도를 기록한다. 이러한 검사 방법은 정량화 가능한 응답 시간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검사에 대한 이러한 방법은, 피검자가 임의의 주어진 거리에서 다수의 표시를 읽도록 하고, 이 표시를 단기 기억에 저장시킨 후, 주어진 거리에 있는 디스플레이 상에 다시 초점을 맞추지 않고 번갈아 나타나는 표시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피검자가 주어진 거리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로 피검자의 초점을 옮기는 데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임의의 측정의 정확도를 추가로 저하시킨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피검자의 근거리 및 원거리 시각 초점 조절 능력을 검사하고/검사하거나 훈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검자에 대해 근거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검자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자동화된 음성 탐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피검자가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을 피검자로부터 탐지할 수 있다. 제2 거리에 있는 제2의 시각적 표시는, 피검자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 또는 선택적으로 제1의 시각적 표시의 디스플레이가 타임아웃된 이후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검자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있는 개별적인 표시가 번갈아 나타나는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지 개별적인 표시만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피검자가 주어진 거리에 있는 다수의 표시를 효과적으로 기억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피검자가 새로운 거리에 있는 표시에 피검자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한다.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원거리 검사(near far testing)를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원거리 검사를 위한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원거리 검사를 위한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원거리 검사를 위한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원거리 검사를 위한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도 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원거리 검사를 위한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원거리 검사를 위한 추가적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그리고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피검자의 초점을 변경함에 있어서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고/검사하거나 훈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검자로부터 광학적 무한점에 또는 광학적 무한점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검자로부터 수 인치 내지 수 피트 범위에서 다양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와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범위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다수의 거리에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다수의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검자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 각도(angle of vision)는, 일부가 피검자의 좌측 시선(line of vision)으로, 그리고 일부가 피검자의 우측 시선으로 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피검자의 정상적인 시선보다 높게 또는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이하게 위치설정하는 것이 특정 활동을 위해 개인을 검사하고/검사하거나 훈련하기에 적절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야구의 유격수의 경우 타자가 타격한 투구(실질적인 광학적 무한점)로부터 지면을 향하는 위치로 땅볼을 처리하기 위해 대략 유격수의 무릎에서 시각 초점을 신속하게 옮길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유격수를 담당하는 개인의 시각 검사 및/또는 훈련은, 이들 2가지 위치에서 시각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개인의 능력에 집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의 다양한 양태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보다 완전하게 설명된다.
이제 도 1을 참고하면, 피검자의 근거리 시력 및 원거리 시력을 검사하고/검사하거나 훈련하기 위한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20)(또한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라고도 부름)는 피검자(110)에 대해 시각적으로 근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피검자(110)로부터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까지의 정확한 거리는, 구체적인 검사 대상 또는 훈련 대상 시력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광학적 무한점보다는 짧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피검자(110)로부터 시각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달리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 또는 원위 디스플레이 장치(130)라고도 불리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피검자(110)에 대해 광학적 무한점에 또는 광학적 무한점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40)은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또는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 표시에 응답하는 피검자(110)로부터 구두 응답(spoken response)을 수신할 수 있다. 검사 유닛(150)은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 및 마이크로폰(140)뿐만 아니라 카메라(170) 및/또는 감압식 플랫폼(180)과 같은 다른 장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설명된다. 검사 유닛(150)은 시각적 표시의 디스플레이 및 피검자(110)로부터의 응답의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당업자는, 검사 유닛(150)이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 또는 게임용 장치, 또는 다른 특화된 연산 장치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피검자(110)가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에 응답하여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입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검자(110)는 모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 입력 장치는 조이스틱 또는 키패드와 같이 피검자(110)로부터 수동(manual)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고, 또한 발로 작동되는 페달 또는 버튼과 같이 피검자(110)에 의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물리적 작용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입력 장치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장치의 예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 버튼, 조이스틱, 스위치, 페달 또는 피검자(110)로부터 능동적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표시(160)는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표시(160)는 란돌트 고리(Landolt C)를 포함한다. 란돌트 고리는, 피검자에 의해 쉽게 인지되는 특성, 즉 우측, 좌측, 상부 또는 하부로의 방향을 가질 수 있는 시각적으로 중립적인 표시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란돌트 고리인 시각적 표시(160)는 피검자(110)가 볼 때 우측으로 배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추가적으로 검사 및/또는 훈련 중에 카메라(170)를 사용하여 피검자(110)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카메라(170)는,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또는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 상의 다양한 표시의 디스플레이에 대해 피검자(110)가 제공하는 응답과 눈의 움직임 데이터를 연관시키기 위해 피검자(110)의 눈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시스템(100)은 추가적으로 감압식 플랫폼(180)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플랫폼 상에서 피검자(110)는 검사 및/또는 훈련 중에 기립 상태로 있게 된다. 감압식 플랫폼(180)은 검사 및/또는 훈련 중에 피검자(110)의 균형에 있어서의 이동을 탐지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검사 유닛(150)에 의해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또는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에 대한 피검자(110)의 응답과 연관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고하면,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로부터 표시(160)를 없앤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피검자(110)는, 예컨대 마이크로폰(140)에 "우측"이라는 단어를 말함으로써, 우측으로 배향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표시(160)를 정확하게 식별했을 수 있다. 올바른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달리 올바르지 않은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전에 결정된 시간 동안 어떠한 입력도 수신하지 못하면, 검사 유닛(150)은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 상의 표시의 디스플레이를 제거하고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 상의 표시(260)의 디스플레이를 개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표시(260)는 란돌트 고리이며, 이때 에는 상방을 향하는 배향인 란돌트 고리이다. 물론, 당업자는 표시(260)와 같이 도시된 란돌트 고리의 배향이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당업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란돌트 고리 이외의 표시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피검자(11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숫자, 글자, 그림, 사진, 또는 다른 유형의 표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3a를 참고하면, 시스템(100)의 추가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100)에 있어서,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피검자(110)로부터 제1 거리(310)에 배치된다. 도 3a에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대략 피검자(110)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올라가게 된다. 당업자는,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 양자 모두에 대해 다른 높이 및 거리가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피검자(110)로부터 제2 거리(320)에 위치한다. 추가적으로, 당업자는,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도시 생략됨)도, 사용되는 경우, 피검자(110)에 대해 상이한 시야 각도로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3b를 참고하면,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피검자(110)에 대한 또 다른 예시적인 거리에 위치하는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피검자(110)로부터 실질적으로 팔 길이만큼인 제1 거리(311)에 위치한다. 한편,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피검자(110)로부터 제2 거리(321)에 위치한다.
이제 도 3c를 참고하면, 복수 개의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2, 123, 124)를 갖춘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2, 123, 124)는 피검자(110)에 대해 수평으로 배향된다. 예를 들면,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2, 123, 124)는 마루 또는 지면 상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피검자(110)에 대해 수평으로 배향되는 상이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의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4)는 피검자로부터 제1 거리(312)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의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3)는 피검자(110)로부터 제2 거리(313)에 위치할 수 있고, 제3의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22)는 피검자(110)로부터 제3 거리(314)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피검자(110)로부터 제4 거리(32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추가적으로 다수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많은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를 피검자가 탐지하는 능력을 검사하고/검사하거나 훈련할 수 있다.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30), 즉 피검자(110)에 대해 다양한 위치 또는 배향인 다수의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춘 유사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제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400)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410에서는, 제1의 시각적 표시가 제1 시점에 제1 거리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410에서는 도 1 내지 도 3c 중 임의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점에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415에서는, 피검자가 제1의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1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415에서는, 피검자로부터의 입력을 탐지하기 위해 검사 유닛에 연결된 마이크로폰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입력에 의해 란돌트 고리의 배향, 숫자 또는 글자의 아이덴티티(identity), 디스플레이된 그림 또는 사진의 아이덴티티, 디스플레이된 표시의 색상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된 표시가 갖는 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는, 표시가 디스플레이된 제1 시점과 제1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420은, 단계 410에서 제1의 시각적 표시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단계 415에서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마이크로폰과 함께 작동하는 검사 유닛에 의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단계 425에서는,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제2의 시각적 표시가 제2 시점에 제2 거리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각적 표시는 제2 시점에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계 430에서는, 피검자가 제2의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디스플레이된 표시에 대해 식별된 어떠한 특징도 디스플레이된 상이한 표시가 갖는 특징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지만, 단계 430은, 수신될 수 있는 입력의 유형의 관점에서, 그리고 입력이 수신될 수 있는 방식의 관점에서 단계 415와 유사할 수 있다.
단계 435에서는, 제2의 시각적 표시가 디스플레이된 제2 시점과 제2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435는, 단계 420과 같이, 검사 유닛에 의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단계 440에서는, 제2 입력을 수신한 이후, 제3의 시각적 표시가 제3 시점에 제1 거리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검자가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된 표시에 대해 단계 430에서 응답한 이후, 단계 440에서는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3의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445에서는, 피검자가 제3의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3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단계 445는 단계 415와 유사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는, 제3의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는 제3 시점과 제3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450은 단계 420과 유사할 수 있다.
단계 455에서는, 제3 입력을 수신한 이후, 제4의 시각적 표시가 제4 시점에 제2 거리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455에서는 근거리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제3의 시각적 표시의 디스플레이에 응답하는 입력을 수신한 이후, 원거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4의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460에서는, 피검자가 제4의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460은 단계 430과 유사할 수 있다. 단계 465에서는, 제4 시점과 제4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465는 단계 435와 유사할 수 있다.
단계 470에서는, 결정된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능력을 정량화하는 점수가 산출될 수 있다. 당업자는, 단계 470의 수행에 앞서, 경과 시간의 결정과 함께 시각적 표시의 디스플레이 및 적절한 입력의 수신을 추가로 반복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단계 470에서는, 예를 들어, 피검자가 제1 거리에 디스플레이된 표시에는 느리게 응답하지만 제2 거리에 디스플레이된 표시에는 느리게 응답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피검자가 제1 거리에서는 초점을 맞추거나 버젼스(vergence)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지만 제2 거리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제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방법(500)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510에서는, 피검자에 대해 시각적으로 근거리에 제1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단계 520에서는, 피검자로부터 시각적으로 원거리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단계 520에서는 피검자로부터 광학적 무한점에 또는 광학적 무한점에 근접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검사/훈련 단계 540에서는, 시각적 표시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검사/훈련이 종료될 때까지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하위 단계 541에서는, 식별 특징을 갖는 시각적 표시가 제1 시점에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하위 단계 542에서는, 피검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542는, 예컨대 마이크로폰과 함께 검사 유닛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하위 단계 542의 결과로서 어떠한 입력도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위 단계 543에서 타임아웃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검사 유닛에 의해, 하위 단계 543에서 타임아웃이 결정될 수 있다. 하위 단계 543에서 어떠한 타임아웃에도 도달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방법(500)은 하위 단계 542에서 계속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하위 단계 543에서 타임아웃이 결정되면, 상기 방법(500)은 하위 단계 546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설명된다. 하위 단계 542에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방법(500)은 하위 단계 544로 진행할 수 있다. 하위 단계 544는, 상기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표시의 특징을 올바르게 식별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된 표시는 주어진 배향, 아이덴티티, 색상, 또는 입력에서 식별될 수 있는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방법(500)은 다음에 제1 시점으로부터 하위 단계 542에서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경과된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하위 단계 545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500)은 다음에 하위 단계 546으로 진행할 수 있는데, 또한 하위 단계 543에서의 타임아웃 결정의 결과로서 하위 단계 546에 도달하게 될 수 있다. 하위 단계 546에서는, 입력이 올바르게 특징을 식별하는지의 여부, 입력을 수신하기에 앞서 경과된 시간, 및/또는 타임아웃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기록할 수 있다. 하위 단계 546은, 예컨대 검사 유닛에 의해 행해질 수 있으며, 하드 드라이브, 메모리, 그리고 컴팩트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탈착식 저장 장치 등의 전자 기록 매체, 종이와 같은 물리적 매체에 대한 인쇄, 또는 다른 유형의 저장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500)은 이후 제2 시점에 시각적으로 원거리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식별 특징을 갖는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하위 단계 547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500)은 이후 단계 548로 진행할 수 있는데, 이 단계는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하위 단계 548은, 하위 단계 542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폰과 함께 검사 유닛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하위 단계 548에서 어떠한 입력도 수신되지 않았다는 결론에 도달하면, 상기 방법(500)은 타임아웃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하위 단계 549로 진행할 수 있다. 어떠한 타임아웃도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방법(500)은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하위 단계 548로 복귀할 수 있다. 하위 단계 549는, 예를 들면 하위 단계 543과 마찬가지로 검사 유닛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하위 단계 548의 결과로서 입력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방법(500)은 하위 단계 550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하위 단계 550은,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표시의 특징을 올바르게 식별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방법(500)은 이후 하위 단계 551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 단계에서는 제2 시점으로부터 입력의 수신까지 경과된 시간을 결정한다. 상기 방법(500)은 이후 하위 단계 552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또한 하위 단계 549에서 타임아웃이 발생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할 때에도 도달할 수 있다. 하위 단계 552는 입력이 특징을 올바르게 식별하였는지 여부를 기록하고, 경과된 시간을 기록하며/기록하거나, 타임아웃이 발생하였음을 기록할 수 있다. 하위 단계 546과 같이, 하위 단계 552는 임의의 종류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검사 유닛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상기 방법(500)은 이후 하위 단계 553으로 진행하여 검사 또는 훈련 세션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하위 단계 553의 결과 검사/훈련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방법(500)은 하위 단계 541로 복귀할 수 있으며 이후에 검사/훈련이 계속될 수 있다. 하위 단계 553의 결과 검사/훈련이 종료되었다는 결론에 도달하면, 검사 단계 540은 종료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500)은 특징을 올바르게 식별한 응답, 경과된 시간 및 타임아웃에 기초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56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점수에 의해 구체적으로 주어진 거리에서의 피검자의 능력이 확인될 수 있다. 당업자는 피검자로부터의 추가적인 거리 및 방향에 위치하는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적인 하위 단계는 추가적인 거리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검사 단계 54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이러한 변형 및 다른 변형은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Claims (17)

  1.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으로서,
    제1 시점에 피검 대상자로부터 제1 거리에 제1의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피검 대상자가 제1의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과,
    피검 대상자가 제1의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제2 시점에 피검 대상자로부터 제2 거리에 제2의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피검 대상자가 제2의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1 시점과 제1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결정하는 것과,
    상기 제2 시점과 제2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결정하는 것과,
    결정된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능력을 정량화하는 점수를 산출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와 현저하게 상이한 것인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피검 대상자가 제2의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입력을 수신한 이후, 제3 시점에 피검 대상자로부터 제1 거리에 제3의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피검 대상자가 제3의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3 입력을 수신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피검 대상자가 제3의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3 입력을 수신한 이후, 제4 시점에 피검 대상자로부터 제2 거리에 제4의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피검 대상자가 제4의 시각적 표시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4 입력을 수신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시점과 제3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결정하는 것과,
    상기 제4 시점과 제4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결정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입력은 구두 입력(spoken input)인 것인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6.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으로서,
    (a) 피검자에 대해 시각적으로 근거리에 제1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피검자로부터 시각적으로 원거리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b) 번갈아가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번갈아가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1) 제1 시점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2) 자동화된 음성 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검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를 올바르게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1 구두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3) 제1 시점과 제1 구두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결정하는 것과,
    (4) 피검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를 올바르게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구두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수신한 이후, 제2 시점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5) 자동화된 음성 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검자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를 올바르게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구두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6) 제2 시점과 제2 구두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결정하는 것과,
    (7) 피검자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를 올바르게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구두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수신한 이후, 검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A) 검사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a)로 복귀하고,
    (B) 검사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결정된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능력을 정량화하는 점수를 산출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인,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식별 특징을 갖는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자동화된 음성 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검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를 올바르게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구두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은, 상기 구두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을 올바르게 식별하였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피검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를 올바르게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구두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수신한 이후,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식별 특징을 갖는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자동화된 음성 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검자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를 올바르게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구두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은, 상기 구두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을 올바르게 식별하였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은 방향상의 배향을 포함하는 것인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은 색상을 포함하는 것인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은 알파뉴메릭 아이덴티티(alphanumeric identity)인 것인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11.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으로서,
    (a) 피검자에 대해 시각적으로 근거리에 제1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b) 피검자로부터 시각적으로 원거리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c) 번갈아가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번갈아가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1) 제1 시점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식별 특징을 갖는 제1의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2) 자동화된 음성 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1의 시각적 표시에 응답하는 피검자로부터 구두 입력을 수신하는 것과,
    (3) 상기 구두 입력이 제1의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을 올바르게 식별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4) 제1 시점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어떠한 구두 입력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의 시각적 표시의 디스플레이가 타임아웃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5) 상기 구두 입력이 제1의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을 올바르게 또는 그릇되게 식별하였는지 여부 및 디스플레이가 타임아웃되었는지 여부를 기록하는 것과,
    (6) 피검자로부터 구두 입력을 수신하거나 제1의 시각적 표시의 디스플레이가 타임아웃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 이후, 제2 시점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2의 시각적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7) 자동화된 음성 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2의 시각적 표시에 응답하는 피검자로부터 구두 입력을 수신하는 것과,
    (8) 상기 구두 입력이 제2의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을 올바르게 식별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9) 제2 시점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어떠한 구두 입력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의 시각적 표시의 디스플레이가 타임아웃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것과,
    (10) 상기 구두 입력이 제2의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을 올바르게 또는 그릇되게 식별하였는지 여부 및 디스플레이가 타임아웃되었는지 여부를 기록하는 것과,
    (11) 피검자로부터 구두 입력을 수신하거나 제2의 시각적 표시의 디스플레이가 타임아웃되었는지를 결정한 이후, 검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그리고 검사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단계 (a)로 복귀하는 것과,
    (12) 구두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을 올바르게 식별한 횟수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능력을 정량화하는 점수를 산출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인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1) 상기 자동화된 음성 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1의 시각적 표시에 응답하는 피검자로부터 구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제1 시점과 구두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2) 상기 구두 입력이 제1의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을 올바르게 또는 그릇되게 식별하였는지 여부 및 디스플레이가 타임아웃되었는지 여부를 기록하는 것은, 제1 시점과 구두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기록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3) 상기 자동화된 음성 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2의 시각적 표시에 응답하는 피검자로부터 구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제2 시점과 구두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4) 상기 구두 입력이 제2의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을 올바르게 또는 그릇되게 식별하였는지 여부 및 디스플레이가 타임아웃되었는지 여부를 기록하는 것은, 제2 시점과 구두 입력의 수신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기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두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을 올바르게 식별한 횟수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능력을 정량화하는 점수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구두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표시가 갖는 식별 특징을 올바르게 식별한 횟수 및 경과된 시간들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능력을 정량화하는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하거나 훈련하는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97021362A 2007-04-13 2008-04-14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의 검사 및/또는 훈련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44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343407P 2007-04-13 2007-04-13
US60/923,434 2007-04-13
US94191507P 2007-06-04 2007-06-04
US60/941,915 2007-06-04
PCT/US2008/060237 WO2008128183A1 (en) 2007-04-13 2008-04-14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and/or training near and far visual abil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538A KR20100015538A (ko) 2010-02-12
KR101444156B1 true KR101444156B1 (ko) 2014-09-26

Family

ID=3986437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364A KR101499271B1 (ko) 2007-04-13 2008-04-14 단일형 시각 시험 센터
KR1020097021388A KR101501297B1 (ko) 2007-04-13 2008-04-14 단일형 시각 및 협응 시험 센터
KR1020097021362A KR101444156B1 (ko) 2007-04-13 2008-04-14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의 검사 및/또는 훈련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097021387A KR101520113B1 (ko) 2007-04-13 2008-04-14 단일형 시각 및 신경 처리 시험 센터
KR1020097021365A KR20100015541A (ko) 2007-04-13 2008-04-14 시각 인지 및 협응 시험 및 훈련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364A KR101499271B1 (ko) 2007-04-13 2008-04-14 단일형 시각 시험 센터
KR1020097021388A KR101501297B1 (ko) 2007-04-13 2008-04-14 단일형 시각 및 협응 시험 센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387A KR101520113B1 (ko) 2007-04-13 2008-04-14 단일형 시각 및 신경 처리 시험 센터
KR1020097021365A KR20100015541A (ko) 2007-04-13 2008-04-14 시각 인지 및 협응 시험 및 훈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240851B2 (ko)
EP (1) EP2134243B1 (ko)
JP (2) JP5437992B2 (ko)
KR (5) KR101499271B1 (ko)
CA (1) CA2683808C (ko)
WO (1) WO2008128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6171B2 (en) * 2007-04-13 2019-03-12 Nike, Inc. Vision cognition and coordination testing and training
KR101499271B1 (ko) * 2007-04-13 2015-03-05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단일형 시각 시험 센터
US9564058B2 (en) 2008-05-08 2017-02-07 Nike, Inc. Vision and cognition testing and/or training under stress conditions
US7942525B2 (en) * 2009-07-09 2011-05-17 Nike, Inc. Contrast sensitivity testing and/or training using circular contrast zones
US8998828B2 (en) * 2009-07-09 2015-04-07 Nike, Inc. Visualization testing and/or training
US8100532B2 (en) * 2009-07-09 2012-01-24 Nike, Inc. Eye and body movement tracking for testing and/or training
US7950803B2 (en) * 2009-08-03 2011-05-31 Nike, Inc. Perspective vision tunnel
US8197065B2 (en) * 2009-08-03 2012-06-12 Nike, Inc. Vision testing and/or training using adaptable visual indicia
JP5710899B2 (ja) * 2010-06-23 2015-04-30 一夫 市川 水晶体評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水晶体評価装置の制御方法
FR2978910B1 (fr) * 2011-08-11 2015-07-17 E Ye Brain Procede de detection d'une anormalite oculomotrice chez un sujet par test de recherche visuelle, et un systeme d'aide a une telle detection
JP6007542B2 (ja) * 2011-08-29 2016-10-12 株式会社ニコン 両眼視能評価装置、両眼視能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24159B2 (ja) 2012-03-30 2016-11-09 株式会社ニコン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システム、サーバ、情報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65458B2 (en) 2012-12-04 2016-02-23 Sync-Think, Inc. Application of smooth pursuit cognitive testing paradigms to clinical drug development
US9216133B2 (en) 2013-01-16 2015-12-22 Elwha Llc Using a 3D display to train a weak eye
US9380976B2 (en) 2013-03-11 2016-07-05 Sync-Think, Inc. Optical neuroinformatics
US9704411B1 (en) 2013-07-31 2017-07-11 Edward Newill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ading acuity with automated calibration
AU2014329381B2 (en) * 2013-10-04 2019-05-23 Stryk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object
CN105615821A (zh) * 2016-01-21 2016-06-01 吉林大学 一种偏光视力检测装置
JP2018047083A (ja) * 2016-09-23 2018-03-29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検査装置
KR101922343B1 (ko) * 2017-07-13 2018-11-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체 시력 검사 방법 및 시스템
KR102053359B1 (ko) * 2018-05-19 2019-12-06 주식회사 스마트피트코리아 인터렉티브 트레이닝 시스템
WO2019231397A1 (en) * 2018-05-28 2019-12-05 Orthovision Pte. Ltd. A system and device for improving dynamic cognitive visual functions in a user
CN113504063B (zh) * 2021-06-30 2022-10-21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多轴机械臂的立体空间触屏设备可视化测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5460A (en) * 1994-04-30 1998-10-20 Canon Kabushiki Kaisha Visual function measur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790A (en) 1973-02-14 1975-01-21 Raymond M Tamura Dynamic visual acuity testing system
US4528989A (en) 1982-10-29 1985-07-16 Weinblatt Lee S Screening method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variables
JPS6227916A (ja) * 1985-07-31 1987-02-05 株式会社トプコン 自覚式検眼装置
US4869589A (en) * 1987-11-30 1989-09-2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utomated visual screening system
US5088810A (en) 1989-01-23 1992-02-18 Galanter Stephen M Vision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5050982A (en) 1989-10-06 1991-09-24 Meissner Juergen 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isual acuity
JPH06165755A (ja) * 1992-11-30 1994-06-14 Nidek Co Ltd 検眼装置
JP3406922B2 (ja) * 1992-12-24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視力装置
JPH06217938A (ja) 1993-01-25 1994-08-09 Canon Inc 眼屈折計
JPH075679A (ja) 1993-06-18 1995-01-10 Konica Corp 印刷用原稿フィルムプルーフ装置
US5478239A (en) 1993-12-21 1995-12-26 Maximum Performance, Inc. Dynamic visual acuity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JPH07299033A (ja) * 1994-04-30 1995-11-14 Canon Inc 視機能測定装置
US5520393A (en) 1994-06-06 1996-05-28 Rickey, Jr.; Alfred J. Spatial perception/physical reaction game
US6430997B1 (en) 1995-11-06 2002-08-13 Traz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assessing movement skills in multidimensional space
US5919149A (en) 1996-03-19 1999-07-06 Allum; John H. Method and apparatus for angular position and velocity based determination of body sway for the diagnosis and rehabilitation of balance and gait disorders
US20070254270A1 (en) 1996-03-27 2007-11-01 Michael Hersh Application of multi-media technology to computer administered personal assessment, self discovery and personal developmental feedback
WO1998002083A2 (en) * 1996-07-01 1998-01-22 Bar-Advanced Control Systems (Mmb) Ltd.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anagement of summoning, identifying, self-testing and/or self-tutoring of subjects
US5812239A (en) 1996-10-22 1998-09-22 Eger; Jeffrey J. 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the enhancement of vision and/or hand-eye coordination
JPH10305016A (ja) 1997-05-08 1998-11-17 Casio Comput Co Ltd 行動情報提供システム
WO1999025245A1 (en) 1997-11-14 1999-05-27 Scientific Learning Corporation A computerized device for improving motor control in an individual by sensory training
US6256011B1 (en) 1997-12-03 2001-07-03 Immersion Corporation Multi-function control device with force feedback
US6092058A (en) 1998-01-08 2000-07-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utomatic aiding of human cognitive functions with computerized displays
JPH11225961A (ja) 1998-02-18 1999-08-24 Canon Inc 視機能測定装置
JP3974704B2 (ja) 1998-03-20 2007-09-12 興和株式会社 視野測定装置
US6129435A (en) 1998-04-09 2000-10-10 Nike, Inc. Decentered protective eyewear
US6066105A (en) 1998-04-15 2000-05-23 Guillen; Diego Reflex tester and method for measurement
JP3373782B2 (ja) * 1998-05-20 2003-02-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視力調節計測システム
JP2002523183A (ja) * 1998-08-27 2002-07-30 ノヴァヴィズィオン アーゲー 人間の視力のトレーニング方法および装置
US6364845B1 (en) 1998-09-17 2002-04-02 University Of Rochester Methods for diagnosing visuospatial disorientation or assessing visuospatial orientation capacity
WO2000017615A2 (en) 1998-09-23 2000-03-30 Keith Bridger Physiological sensing device
DE19846898A1 (de) 1998-10-12 2000-05-04 Siemens Ag Vorrichtung zur Erfassung koordinativer Fähigkeiten
US6632174B1 (en) 2000-07-06 2003-10-14 Cognifit Ltd (Naiot)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nd training cognitive ability
US7918808B2 (en) 2000-09-20 2011-04-05 Simmons John C Assistive clothing
US6631987B2 (en) 2001-01-23 2003-10-14 Nike, Inc. Activity-specific optical filters and eyewear using such filters
JP4125874B2 (ja) * 2001-03-13 2008-07-30 国際交易株式会社 視力表
JP2004528953A (ja) 2001-06-14 2004-09-24 エキサトリス リミテッド エクササイズ装置
JP2003102868A (ja) 2001-09-28 2003-04-08 Konami Co Ltd 運動支援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126291A (ja) 2001-10-19 2003-05-07 Konami Co Ltd 運動支援制御方法及び運動支援装置
JP3777439B2 (ja) 2001-10-22 2006-05-24 株式会社テクノネットワーク四国 視覚検査設備および視覚検査方法
JP2003180769A (ja) * 2001-12-14 2003-07-02 Nikon Corp 眼疲労改善サービス方法,眼疲労改善サービスプログラム,および眼疲労改善サーバー
CN100431511C (zh) * 2002-02-08 2008-11-12 诺瓦维森公司 改进的训练人的视觉的设备
US7326060B2 (en) * 2002-05-09 2008-02-05 Barry Seiller Visual performance evaluation and training system
JP2004008289A (ja) * 2002-06-04 2004-01-15 Nikon Gijutsu Kobo:Kk 眼疲労緩和サービスシステム
US7887329B2 (en) 2002-07-12 2011-02-15 Ace Applied Cognitive Engineering Ltd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on and training using cognitive simulation
US20040141152A1 (en) 2002-09-27 2004-07-22 Marino Joseph 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ucting vision screening
JP2004135756A (ja) 2002-10-16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健康管理端末および健康管理システム
US7073208B2 (en) 2002-12-20 2006-07-11 Jackson Products, Inc. Ventilated safety goggles
US7347818B2 (en) 2003-02-24 2008-03-25 Neurotrax Corporation Standardized medical cognitive assessment tool
JP4243732B2 (ja) * 2003-04-30 2009-03-25 オリンパスビジュア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立体映像により視覚能力を測定する方法と装置
US20060251334A1 (en) 2003-05-22 2006-11-09 Toshihiko Oba Balance functio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US6811258B1 (en) 2003-06-23 2004-11-02 Alan H. Grant Eyeglasses for improved visual contrast using hetero-chromic light filtration
US20050053904A1 (en) 2003-08-13 2005-03-10 Jennifer Shephard System and method for on-site cognitive efficacy assessment
US20060161218A1 (en) 2003-11-26 2006-07-20 Wicab,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traumatic brain injury
US20050273017A1 (en) 2004-03-26 2005-12-08 Evian Gordon Collective brai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WO2006029048A2 (en) * 2004-09-03 2006-03-16 Panaseca, Inc. Vision center kiosk
EP1853166A1 (en) 2005-02-18 2007-11-14 Jemardator AB Movement disorder monitoring
US7295124B2 (en) 2005-02-25 2007-11-13 Diego Guillen Reflex tester and method for measurement
US7390091B2 (en) 2005-04-29 2008-06-24 Sperian Protection Optical, Inc. Vision testing apparatus
US20060287617A1 (en) 2005-06-20 2006-12-21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Autocite workstation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20070000007A1 (en) 2005-06-20 2007-01-04 Nike, Inc. Predictive and counter predictive visual stimuli
JP4734052B2 (ja) 2005-07-14 2011-07-27 興和株式会社 視野計
WO2007009990A1 (en) 2005-07-18 2007-01-25 Sabel Bernhard A Method and device for training of a user
US8315127B2 (en) 2006-03-31 2012-11-20 Nike, Inc. Reaction, performance and response time testing system
US7849115B2 (en) 2006-06-05 2010-12-07 Bruce Reiner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computer-based systems to end-user profiles
US20080003553A1 (en) 2006-06-14 2008-01-03 Roger Stark Cognitive learning video game
US8513055B2 (en) * 2007-04-13 2013-08-20 Nike, Inc. Unitary vision and coordination testing center
KR101499271B1 (ko) * 2007-04-13 2015-03-05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단일형 시각 시험 센터
US10226171B2 (en) 2007-04-13 2019-03-12 Nike, Inc. Vision cognition and coordination testing and training
JP5080196B2 (ja) 2007-10-09 2012-11-21 任天堂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8408915B2 (en) 2007-11-05 2013-04-02 Posit Science Corporation N-back exercise for training cognition
US20090150919A1 (en) 2007-11-30 2009-06-11 Lee Michael J Correlating Media Instance Information With Physiological Responses From Participating Subje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5460A (en) * 1994-04-30 1998-10-20 Canon Kabushiki Kaisha Visual function meas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271B1 (ko) 2015-03-05
CA2683808C (en) 2015-12-29
JP5437992B2 (ja) 2014-03-12
US20100188637A1 (en) 2010-07-29
US8240851B2 (en) 2012-08-14
KR20100015540A (ko) 2010-02-12
US20120300173A1 (en) 2012-11-29
EP2134243B1 (en) 2017-01-04
EP2134243A4 (en) 2010-07-28
EP2134243A1 (en) 2009-12-23
KR101501297B1 (ko) 2015-03-10
WO2008128178A1 (en) 2008-10-23
KR20100015550A (ko) 2010-02-12
JP2010523290A (ja) 2010-07-15
JP5828880B2 (ja) 2015-12-09
KR101520113B1 (ko) 2015-05-13
KR20100015551A (ko) 2010-02-12
CA2683808A1 (en) 2008-10-23
JP2014076385A (ja) 2014-05-01
KR20100015541A (ko) 2010-02-12
US8814355B2 (en) 2014-08-26
KR20100015538A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156B1 (ko)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의 검사 및/또는 훈련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486488B2 (ja) 被検者の視覚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
KR101765961B1 (ko) 적응가능한 시각적 표시를 이용한 시력 테스트 및/또는 훈련
KR101811888B1 (ko) 연상 능력 검사 및/또는 훈련
JP5367693B2 (ja) 視覚的認知能力および協応動作の検査および訓練
JP5654595B2 (ja) 被験者の視覚能力を測定及び/又は訓練するシステム、及び測定方法
CN101657146B (zh) 用于测试远近视觉能力的系统和方法
JP5610153B2 (ja) 視覚及び協応動作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US20180078184A1 (en) Dual-task performing ability evaluation method and dual-task perform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CN105996975A (zh) 用于检测视力的方法、设备以及终端
KR20150068493A (ko) 형상 구별 시력 평가 및 추적 시스템
KR20180088302A (ko) 로봇을 매개로 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선별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72527A1 (en) Three-dimensional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system
JP2018175052A (ja) 診断支援システム、診断支援システム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40059264A1 (en) Footprint analyzer
Hanna et al. A microprocessor-controlled psychomotor tester for minimal access surgery
JP4474107B2 (ja) 身体動揺測定装置の作動方法、身体動揺測定プログラムおよび身体動揺測定システム
CN115944266A (zh) 基于眼动追踪技术的视功能确定方法及装置
JP2012217797A (ja) 記憶保持力評価方法および記憶保持力評価システム
KR101755953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체력검정 방법 및 장치
TW201218114A (en) Computerized evaluation and virtual rehabilitation system for dizzy patients
Najeeb et al. 2C vision game: visual acuity self-testing using mobile devices
Warvel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val estimation and a visual-spatial secondary task as measures of mental workload during laparoscopy
CN112545451A (zh) 一种阅读眼动记录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