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592B1 -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592B1
KR101437592B1 KR20120155672A KR20120155672A KR101437592B1 KR 101437592 B1 KR101437592 B1 KR 101437592B1 KR 20120155672 A KR20120155672 A KR 20120155672A KR 20120155672 A KR20120155672 A KR 20120155672A KR 101437592 B1 KR101437592 B1 KR 101437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
graphene
composit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5869A (ko
Inventor
양우석
김형근
박원규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2012015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59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39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48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sol-gel tran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8Phys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e.g. swelling, coating or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01D69/1071Woven, non-woven or net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8In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1Carbon
    • B01D71/0211Graphene or derivat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1Carbon
    • B01D71/0212Carbon 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26Spray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3Specific optical properties
    • B01D2325/44Specific light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 및/또는 탄소나노튜브(CNT)에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금속산화물로 기능화 시키고, 졸-겔법에 의해서 제조된 이산화티탄 용액을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파이버 및/또는 산화티탄 나노 파이버 지지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제조된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은 As, Pb, Hg 등의 중금속 제거뿐만 아니라,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서 유기물질의 분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지지체로 사용되는 그래핀은 높은 비표면적, 기계적 강도를 가지므로 중금속 제거 효율이 높고, 더불어 광투과성이 우수하여 광촉매의 활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GRAPHENE COMPOSITE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 및 탄소나노튜브(CNT)에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금속산화물로 기능화 시키고, 졸-겔법에 의해서 제조된 이산화티탄 용액을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파이버 및/또는 산화티탄 나노 파이버 지지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제조된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에 존재하는 환경오염 유발원은 크게 부유물질, 용존유기물, 용존무기물로 분류할 수 있다. 비중이 큰 부유물질은 침전법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침전되기 어려운 부유물질의 경우에는 포화 공기방울을 이용한 부상부유법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산업화의 진전은 미생물이 분해하기 힘든 생물학적 난분해성 물질이 다량으로 배출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으며, 이러한 난분해성 물질들은 기존의 혼합 부유미생물을 이용한 활성 슬러지 공정으로는 거의 제거처리가 되지 않고 있어 심각한 환경오염 원인이 되고 있다.
ZnO, WO3, SnO2, ZrO2, TiO2, CdS, ZnS 등과 같은 광촉매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면 악취성분 등의 유기화합물에 대하여 산소분자의 흡착 또는 탈착을 일으켜 분해(산화)를 촉진하므로, 다양한 생물학적 난분해성 물질을 광촉매로서 분해할 수 있다.
광촉매는 빛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빛이 조사된 것에 의해 화학반응을 촉진시켜 촉매 반응을 진행시키는 물질을 말하는데, 광촉매로는 반도체성 금속 산화물이나 황 화합물이 이용된다. 그 중에서 특히 광여기 반응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387nm 정도로 태양광으로부터 충분한 에너지를 받을 수 있고,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광활성이 우수하며, 인체에 무해한 점 등, 그 물성이 우수한 아나타제(anatase) 결정구조의 이산화티탄(TiO2)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분말형 이산화티탄을 분산시켜 광촉매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분산을 전체적으로 안정성 있게 균일한 분포를 갖도록 분산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산된 이산화티탄이 빛을 흡수하여 수처리 반응기에 빛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사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산화티탄을 지지체에 분산시켜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83060호에서는 탄소나노섬유와 광촉매물질을 이용하여 광촉매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탄소나노섬유의 고유 특성을 갖게 되어 정화기능과 광촉매활성을 갖는 복합탄소나노섬유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복합탄소나노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용존무기물은 As, Pb, Hg 등의 중금속이 이온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중금속을 회수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원심분리법 혹은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중금속을 흡착에 의해서 제거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다.
자철석은 등축정계에 속하는 광물로 자성을 띄기 때문에 천연자석이 될 수 있으며, 자철석의 화학성분은 Fe3O4으로 타이타늄(Ti)을 함유할 수도 있고, 그 밖에 망가니즈(manganese), 인, 마그네슘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혼성체의 산화철의 입도는 1 내지 20nm 일 수 있다. 혼성체는 폐수 내 중금속을 제거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혼성체의 산화철의 입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어야 효과적으로 폐수 내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
산화철이나 산화 티탄 등의 금속 산화물들은 중금속 이온과 결합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금속산화물 기반의 물질들을 고효율의 중금속 제거제로 활용하기 위하여, 나노입자 등으로 가공하여 중금속 제거에 이용하고 있으나, 비표면적이 비교적 높지 않은 이유로 중금속 제거 효율에 제한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표면적이 높은 지지체인 그래핀을 사용하여 효율을 높이는 것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7613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래핀은 복수개의 탄소원자들이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폴리시클릭 방향족 분자를 형성하는 그래핀이 층 또는 시트 형태를 형성한 것으로, 높은 비표면적을 갖고, 상온에서 높은 전하이동도, 높은 기계적 강도, 유연성, 가시광선에 대해 높은 투과율을 가지는 것으로 이를 지지체로 사용하면 높은 비표면적으로 중금속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그래핀층에 도펀트로 도핑하거나, 산소 플라즈마, UV 조사, 화학적 처리 등을 적용하여 인위적으로 그래핀층에 구조적 결함(defect)이 생성되도록 하여 그래핀층에 기능성을 부여하고, 기능화된 그래핀은 그레인 사이즈를 균일하게 조절하여 광투과율을 개선할 수 있다.
수중에 유기물질 및 중금속을 포함한 다양한 오염원이 포함되어 있는 오염수에 대하여, 각각의 오염물질에 대하여 각각의 처리방법을 사용하면 수처리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높은 비용이 요구되어지므로 동시에 다양한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복합 기능을 갖는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CNT 또는 광투과 성능이 우수한 그래핀 혹은 기능화된 그래핀에 중금속 제거능력을 갖는 산화철을 기능화시키고, 유기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광촉매를 PVDF 파이버 및/또는 TiO2 나노 파이버 지지체에 코팅하여 제조된 멤브레인이 유기물질과 중금속 제거에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에 유기물질 및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는 오염수에 대하여, 앞에서 검토한 광촉매 활성을 갖는 이산화티탄 용액과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산화철이 기능화된 그래핀(혹은 도핑 또는 구조적 결함을 생성시켜 기능화된 그래핀)을, PVDF 파이버 및/또는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 지지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유기물질과 중금속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산화철로 기능화된 그래핀옥사이드,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옥사이드 및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된 탄소체; 졸-겔법에 의해서 제조된 이산화티탄 용액; 상기 기능화된 탄소체와 상기 이산화티탄 용액의 혼합물이 코팅된 PVDF 파이버 및/또는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그래핀옥사이드에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산화철로 기능화된 그래핀옥사이드,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옥사이드 및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된 탄소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졸-겔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티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금속산화물에 의해서 기능화된 상기 탄소체와 상기 이산화티탄 용액을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 PVDF 파이버를 제조하여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혼합물을 PVDF 파이버 포함하는 지지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멤브레인 제작하는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또 다른 일실시예는, (a)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산화철로 기능화된 그래핀옥사이드,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옥사이드 및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된 탄소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졸-겔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티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금속산화물에 의해서 기능화된 상기 탄소체와 상기 이산화티탄 용액을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 PVDF 파이버 및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를 제조하여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혼합물을 PVDF 파이버 및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로를 포함하는 지지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멤브레인 제작하는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은 As, Pb, Hg 등의 중금속 제거뿐만 아니라,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서 유기물질의 분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지체로 사용되는 그래핀은 높은 비표면적, 기계적 강도를 가지므로 중금속 제거 효율이 높고, 더불어 광투과성이 우수하여 광촉매의 활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제조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3은 PVDF 또는,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 제작 모식도이다.
도 4는 SEM 측정 사진으로, (a)는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 (b)는 Fe3O4 가 기능화된 그래핀이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에 스프레이 코팅 된 이미지이다.
도 5는 TEM 측정 사진으로, (a)는 그래핀에 Fe3O4 와 TiO2 가 기능화된 이미지이고, (b)는 더 확대된 이미지이다.
도 6은 그래핀옥사이드를 AFM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능화된 그래핀 혹은 기능화된 그래핀층의 ‘기능화’라는 것은 합성에 의해서 Fe3O4와 같은 금속산화물이 그래핀에 달라붙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VDF 파이버 및/또는 이산화티탄 나노파이버(10)가 그물 형태의 네트웍을 형성하고, 광투과성이 우수하고 투수가 가능한 그래핀옥사이드 혹은 CNT(20)가 네트웍에 부착 혹은 흡착되어 있으며, 그래핀옥사이드 혹은 CNT 표면에 중금속 제거능을 갖는 산화철 및 유기물질 분해능이 있는 이산화티탄(30)이 존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도로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 및/또는 탄소나노튜브(CNT)에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산화철(Metal Oxide)로 기능화 시키고, 졸-겔법에 의해서 제조된 이산화티탄 용액을 혼합하여, PVDF 파이버 지지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제작된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PVDF 파이버만을 의미한다.
이산화티탄 용액은 에탄올과 톨루엔을 동일 부피비로 혼합한 후에 50 내지 100mM titanium n-butoxide (Ti(On Bu)4를 분산 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PVDF 파이버 및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를 지지체로 사용하고,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산화철(Metal Oxide)로 기능화 시킨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 및 탄소나노튜브(CNT)와, 졸-겔법에 의해서 제조된 이산화티탄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지지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제조된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PVDF 파이버와 이산화티탄 나노파이버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졸-겔법을 이용하여 TiO2 섬유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전기방사법(electro spinning)이 사용되었다. 반응시간에 따라 졸 용액의 무게감소가 큰 폭으로 일어나며 숙성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비드상의 섬유가 만들어졌으며, 적절한 반응 및 숙성시간에 따라 연속상의 섬유를 얻을 수 있고 졸 용액의 무게감소가 과다할 경우는 농도가 너무 높아 섬유화가 불가능했다.
As, Pb, Hg 등 중금속 제거에 유용한 Fe3O4와 광촉매로써 가장 적합한 물질인 사이즈 50nm 이하의 TiO2를 비표면적이 넓은 그래핀에 hybrid하여 하나의 3D 구조체로 제작했다.
또한, 그래핀은 복합체 멤브레인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멤브레인의 기계적 강도와 비표면적 증가로 인한 중금속 제거 효능이 개선되도록 하고, 더불어 광투과성이 우수하여 광촉매에 빛이 조사되는 효율을 높여줘서 유기물질의 분해능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그래핀은 플레이크의 기저 크기가 100nm 보다 작고 10nm 보다 크며, 비표면적은 약 300m2/g 내지 2600m2/g 이다. 또한
그래핀에 홀(hole)이 형성되어 있는, 즉 nano perforate된 홀이 형성되어 있는 그래핀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그래핀옥사이드 합성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 그라파이트를 한층 한층 분리하여 그래핀옥사이드를 추출하기 위해서 먼저 그라파이트, 황산과 질산나트륨을 섞고 과망간산칼륨을 10oC 이하에서 천천히 첨가하여 2시간 후 온도를 상온으로 유지시켰다. 그라파이트 내의 단층인 그래핀과 그래핀 사이를 충분히 벌려주기 위해 약 5일간 유지시키고, 5일 후 갈색 페이스트 타입의 물질을 얻고 이것을 다시 5wt% 황산을 이용하여 용액을 만든 후, 소량의 과산화수소를 첨가하여 사이사이가 벌어진 그래핀 층들을 산화시켜 노란색 용액을 얻을 수가 있었다. 이 용액 내부에는 불순물인 많은 양의 금속이온들이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산용액과 D.I.Water를 이용하여 정제와 원심분리 (4000 rpm) 를 수차례 실시하여 제거한다. 또한, 용액 내부에 산용액을 제거하기 위해 D.I.Water만으로 정제와 원심분리 (4000 rpm) 후 제거한다. 다음으로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진공오븐으로 제거하여 갈색의 그라파이트 옥사이드 파우더를 얻을 수가 있었다. 이렇게 얻어진 파우더의 적당량을 정제수에 분산하여 초음파 처리를 하면 벌어져 있던 그래핀과 그래핀 사이가 초음파에 의해 분리가 되고 이들 용액내에는 분리가 된 그래핀옥사이드 층들과 분리되지 않은 그라파이트 옥사이드들이 공존해 있다. 이들을 다시 원심분리 (4000 rpm) 처리를 하면 무거운 그라파이트 옥사이드들은 가라앉게 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그래핀옥사이드들은 정제수에 분산되어 용액 내에 떠다니면, 그래핀옥사이드만을 얻기 위해 위에 부유해 있는 용액만을 추출해 내어 이들을 다시 마이크로 필터레이션으로 필터링 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그래핀옥사이드 paper를 얻었다. 그래핀옥사이드 paper를 적당량 D.I.Water에 분산시켜 갈색의 그래핀옥사이드 용액을 얻었다.
2. 그래핀옥사이드에 대한 Fe3O4 기능화
그래핀옥사이드에 철을 합성시켜 그래핀옥사이드의 Oxygen Group에 안정적으로 철이 합성되도록 함으로써 자연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그래핀에 산화철이 붙은 기능화된 그래핀을 제작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래핀옥사이드 페이퍼를 적당량 정제수에 분산시켜 갈색의 그래핀옥사이드 용액을 얻은 후에, 그래핀옥사이드 용액에 0.5 mol 염산과 FeCl2·4H2O를 섞은 용액과 정제수와 FeCl3·6H2O를 섞은 용액을 질소 분위기에서 주입하고 용액들을 섞은 후 Ammonium hydroxide를 넣고 충분히 반응 시켰다. 그 후 산화철이 붙은 그래핀옥사이드를 에탄올과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을 한 뒤 진공오븐에서 말려서 그래핀옥사이드에 기능기가 붙은 Fe3O4-그래핀옥사이드를 얻을 수가 있었다.
3. 졸-겔법에 의한 이산화티탄 용액 제조
TiO2 프리커서 졸 용액은 STREM CHEMICALS의 98%의 제품인 titanium n-butoxide (Ti(On Bu)4, 에탄올(Ethyl alcohol)과 톨루엔(Toluene)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1/v:v의 비율을 갖는 에탄올과 톨루엔에 100 mM titanium n-butoxide를 혼합하여 TiO2 졸 용액을 완성하였다.
4. PVDF 파이버 제작
PVDF 파이버 멤브레인의 경우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먼저 PVDF 분말을 4:6의 비율로 혼합된 DMAc 와 아세톤 용액에 24시간동안 교반과정을 통해 완전히 녹인 후 5ml 주사기에 넣어 30분 이상 수직으로 세워두어 잔류하고 있는 기포를 완전히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KDS100 (KD Scientific Inc.)을 이용하여 방사용액의 주입속도를 조절하였으며, PCS 60K02VIT (CHUNGPA EMT co., Ltd.)를 이용하여 방사전압을 조절하였다. 개략적인 모식도가 도 3에 나타나 있다.
5.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 제작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 제조는 Titanium isopropoxide (TiP)에 Acetic acid 와 EtOH를 섞은 후 10 w% polyvinylpyrrolidone(PVP)/EtOH를 첨가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만들어진 방사용액을 실린지에 넣어 전기방사 법을 이용하여 TiO2/PVP 나노 섬유를 만들고, 500℃에서 4시간 동안 PVP 소성 후 TiO2 나노 파이버를 얻는다.
도 4(a)는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를 소결시켜 수십 나노 크기의 직경을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의 SEM 이미지이며, 도 4(b)는 산화철로 기능화된 그래핀옥사이드가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에 부착되어 있는 SEM 이미지이다.
도 5(a)는 그래핀에 산화철과 이산화티타늄이 기능화 되었는 TEM 이미지이며, 도 5(b)는 TEM 이미지를 확대한 것이다.
이로부터, 그래핀옥사이드 표면에 붙어 있는 자철석 및 이산화티탄의 크기가 0.1 nm 내지 100nm인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PVDF 혹은 TiO2 nano fiber
20: 그래핀옥사이드 혹은 탄소나노튜브
30: Fe3O4 혹은 TiO2
40: Fe3O4
50: TiO2

Claims (6)

  1.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산화철로 기능화된 그래핀옥사이드,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옥사이드 및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된 탄소체;
    졸-겔법에 의해서 제조된 이산화티탄 용액;
    상기 기능화된 탄소체와 상기 이산화티탄 용액의 혼합물이 코팅된 PVDF 파이버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체를 기능화한 상기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산화철의 크기는 0.1nm 내지 100nm인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3.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a) 그래핀옥사이드에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산화철로 기능화된 그래핀옥사이드,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옥사이드 및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된 탄소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졸-겔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티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금속산화물에 의해서 기능화된 상기 탄소체와 상기 이산화티탄 용액을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 PVDF 파이버를 제조하여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혼합물을 PVDF 파이버 포함하는 지지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멤브레인 제작하는 단계.
  4.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산화철로 기능화된 그래핀옥사이드,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옥사이드 및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된 탄소체;
    졸-겔법에 의해서 제조된 이산화티탄 용액;
    상기 기능화된 탄소체와 상기 이산화티탄 용액의 혼합물이 코팅된 PVDF 파이버 및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체를 기능화한 상기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산화철의 크기는 0.1nm 내지 100nm인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6.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a) Fe3O4를 포함한 한가지 이상의 산화철로 기능화된 그래핀옥사이드,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옥사이드 및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된 탄소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졸-겔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티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금속산화물에 의해서 기능화된 상기 탄소체와 상기 이산화티탄 용액을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 PVDF 파이버 및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를 제조하여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혼합물을 PVDF 파이버 및 이산화티탄 나노 파이버를 포함하는 지지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멤브레인 제작하는 단계.
KR20120155672A 2012-12-28 2012-12-28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43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5672A KR101437592B1 (ko) 2012-12-28 2012-12-28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5672A KR101437592B1 (ko) 2012-12-28 2012-12-28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869A KR20140085869A (ko) 2014-07-08
KR101437592B1 true KR101437592B1 (ko) 2014-09-04

Family

ID=5173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5672A KR101437592B1 (ko) 2012-12-28 2012-12-28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59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2132A (zh) * 2016-04-15 2016-06-08 北京碧水源膜科技有限公司 一种经靶向增效纳米功能材料改性的聚偏氟乙烯膜及其制备方法
CN108479424A (zh) * 2018-04-02 2018-09-04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改性聚偏氟乙烯膜的制备方法
CN110075725A (zh) * 2019-06-04 2019-08-02 武汉轻工大学 一种改性聚偏氟乙烯膜的制备方法
CN110479108A (zh) * 2019-07-18 2019-11-22 北京工业大学 一种高效去除痕量有机污染物的cnt-go复合膜的制备方法
KR20200033650A (ko) 2018-09-20 2020-03-30 광주과학기술원 산화 그래핀 멤브레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2774464A (zh) * 2020-12-17 2021-05-11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正渗透复合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11840463B2 (en) 2018-09-11 2023-12-12 Suzhou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ice and method for advanced water treat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6281B (zh) * 2014-10-13 2016-06-15 江南大学 一种吸附重金属离子的复合水凝胶及其制备方法
CN105731584B (zh) * 2016-03-25 2018-04-17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去除水中微污染物布洛芬的方法
KR101893458B1 (ko) * 2016-10-10 2018-10-04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그래핀 멤브레인 및 그 제조 방법
CN107051208B (zh) * 2016-12-22 2019-09-10 浙江工商大学 三维结构纳米复合物共混掺杂聚偏氟乙烯混合基质超滤膜及其制备
CN106830168B (zh) * 2017-03-19 2020-03-17 兰州理工大学 一种高效去除水中重金属离子和有机物的方法
CN107008156B (zh) * 2017-04-21 2019-12-03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石墨烯过滤复合膜及其制备方法
KR102409225B1 (ko) 2017-06-22 2022-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멤브레인 및 그 제조 방법
CN107537322B (zh) * 2017-08-17 2021-05-25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一种截盐用rGO/CNT三维复合导电膜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20190036774A (ko) * 2017-09-28 2019-04-05 전자부품연구원 산화철로 기능화된 산화그래핀 제조방법
CN108097223A (zh) * 2017-10-30 2018-06-01 天津工业大学 一种超声辅助相转化法制备多壁碳纳米管/聚偏氟乙烯多孔膜材料方法
CN108031298A (zh) * 2017-12-19 2018-05-15 广东石油化工学院 一种磁性超疏水聚偏氟乙烯电纺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212127B (zh) * 2018-01-18 2020-02-18 河海大学 一种功能纳米复合水凝胶的制备方法及应用
CN109052728B (zh) * 2018-09-11 2019-07-19 苏州科技大学 一种水深度处理方法
CN110665375B (zh) * 2019-09-03 2022-08-19 浙江工商大学 一种具有光催化自清洁效应的聚偏氟乙烯共混超滤膜及其制备和应用
KR102163325B1 (ko) * 2019-10-25 2020-10-08 김유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이용한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CN110947411A (zh) * 2019-12-16 2020-04-03 蚌埠学院 一种可见光催化性能好的氮掺杂型二氧化钛纳米管/还原氧化石墨烯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098534B (zh) * 2019-12-30 2022-02-01 浙江清华柔性电子技术研究院 Pvdf/改性还原氧化石墨烯复合膜的制备方法、复合膜及传感器
CN111467963B (zh) * 2020-03-16 2022-02-25 淮阴师范学院 一种聚偏氟乙烯 /Fe3O4–凹凸棒石复合超滤膜及其制备方法
CN111569672A (zh) * 2020-05-28 2020-08-25 山东省城市供排水水质监测中心 一种去除水中磺胺类抗生素的改性超滤膜及制备方法和应用
CN111821952A (zh) * 2020-07-15 2020-10-27 广东石油化工学院 一种聚偏氟乙烯/氧化石墨烯/金属有机骨架三相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12619419B (zh) * 2020-10-23 2022-07-26 深圳前海石墨烯产业有限公司 复合碳材料膜、复合碳材料纳滤膜及制备方法
CN113371902B (zh) * 2021-05-13 2022-09-16 西北矿冶研究院 一种降解cod的方法
CN114471193B (zh) * 2022-03-07 2022-11-25 四川轻化工大学 一种具有耐紫外自清洁的过滤膜及其应用
CN115193274B (zh) * 2022-05-10 2023-08-15 北京理工大学 一种二氧化钛/碳@四氧化三铁复合膜、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470A (ko) * 2008-12-31 2010-07-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촉매활성을 갖는 복합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광촉매활성을 갖는 복합탄소나노섬유, 상기 복합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열 안정성 광촉매 졸 용액
KR20110016287A (ko) * 2009-08-11 2011-02-17 고양미 그래핀 산화물의 코팅방법
KR20110086285A (ko) * 2010-01-22 2011-07-28 (주)바이오니아 친수화 표면개질된 복합 다공막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470A (ko) * 2008-12-31 2010-07-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촉매활성을 갖는 복합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광촉매활성을 갖는 복합탄소나노섬유, 상기 복합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열 안정성 광촉매 졸 용액
KR20110016287A (ko) * 2009-08-11 2011-02-17 고양미 그래핀 산화물의 코팅방법
KR20110086285A (ko) * 2010-01-22 2011-07-28 (주)바이오니아 친수화 표면개질된 복합 다공막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2132A (zh) * 2016-04-15 2016-06-08 北京碧水源膜科技有限公司 一种经靶向增效纳米功能材料改性的聚偏氟乙烯膜及其制备方法
CN108479424A (zh) * 2018-04-02 2018-09-04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改性聚偏氟乙烯膜的制备方法
US11840463B2 (en) 2018-09-11 2023-12-12 Suzhou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ice and method for advanced water treatment
KR20200033650A (ko) 2018-09-20 2020-03-30 광주과학기술원 산화 그래핀 멤브레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0075725A (zh) * 2019-06-04 2019-08-02 武汉轻工大学 一种改性聚偏氟乙烯膜的制备方法
CN110479108A (zh) * 2019-07-18 2019-11-22 北京工业大学 一种高效去除痕量有机污染物的cnt-go复合膜的制备方法
CN112774464A (zh) * 2020-12-17 2021-05-11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正渗透复合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2774464B (zh) * 2020-12-17 2022-04-08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正渗透复合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869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592B1 (ko) 수처리용 복합체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437597B1 (ko) 수처리용 그래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El-Aswar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preparation, functionalization and recent applications of nanofiber membranes in wastewater treatment
Wang et al. Bioinspired synthesis of photocatalytic nanocomposite membranes based on synergy of Au-TiO2 and polydopamine for degradation of tetracycline under visible light
Das et al. Light-assisted synthesis of hierarchical flower-like MnO2 nanocomposites with solar light induced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Lu et al. An overview of nanomaterials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Liu et al. MoO3-nanowire membrane and Bi2Mo3O12/MoO3 nano-heterostructural photocatalyst for wastewater treatment
Saud et al. Preparation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fly ash incorporated TiO2 nanofibers for effective removal of organic pollutants
Malwal et al. Fabrication and applications of ceramic nanofibers in water remediation: a review
Liang et al. Highly active carbonaceous nanofibers: a versatile scaffold for constructing multifunctional free-standing membranes
Zhan et al. Durable ZIF-8/Ag/AgCl/TiO2 decorated PAN nanofibers with high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for degradation of dyes
Huang et al. Fe-species-loaded mesoporous MnO2 superstructural requirements for enhanced catalysis
Zhang et al. Fabrication of TiO2 nanofiber membranes by a simple dip-coating technique for water treatment
Hou et al. Preparation of TiO2 nanoparticles modified electrospun nanocomposite membranes toward efficient dye degradation for wastewater treatment
Thakre et al. A review of graphene‐TiO2 and graphene‐ZnO nanocomposite photocatalysts for wastewater treatment
Jaafar et al. Visible-light photoactivity of plasmonic silver supported on mesoporous TiO2 nanoparticles (Ag-MTN) for enhanced degradation of 2-chlorophenol: Limitation of Ag-Ti interaction
Lavanya et al. Graphene wrapped porous tubular rutile TiO2 nanofibers with superior interfacial contact for highly efficient photocatalytic performance for water treatment
El-Naggar et al. Visible-light driven photocatalytic effectiveness for solid-state synthesis of ZnO/natural clay/TiO2 nanoarchitectures towards complete decolorization of methylene blue from aqueous solution
Sheoran et al. Recent advances of carbon-based nanomaterials (CBNMs) for wastewater treatment: Synthesis and application
De Assis et al. Conversion of “Waste Plastic” into photocatalytic nanofoams for environmental remediation
CN103084160B (zh) 一种掺杂ZnO的TiO2碳纳米管空气净化剂材料、制备方法及其用途
Tiwari et al.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amoxicillin and tetracycline by template synthesized nano-structured Ce3+@ TiO2 thin film catalyst
Magnone et al. Testing and substantial improvement of TiO2/UV photocatalysts in the 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Liu et al. Synthesis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BiOCl/diatomite composite photocatalysts: Natural porous diatomite as photocatalyst support and dominant facets regulator
Du et al. Nb2O5 nanowires in-situ grown on carbon fiber: A high-efficiency material for the photocatalytic reduction of Cr (V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