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946B1 - 광주사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946B1
KR101435946B1 KR1020080122268A KR20080122268A KR101435946B1 KR 101435946 B1 KR101435946 B1 KR 101435946B1 KR 1020080122268 A KR1020080122268 A KR 1020080122268A KR 20080122268 A KR20080122268 A KR 20080122268A KR 101435946 B1 KR101435946 B1 KR 101435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guide portion
photosensitive member
conveyed
prin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904A (ko
Inventor
김태훈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946B1/ko
Priority to US12/603,170 priority patent/US8712313B2/en
Publication of KR20100063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2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234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 G03G15/235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the image receiving member being preconditioned before transferring the second image, e.g. decurled, or the second image being formed with different operating parameters, e.g. a different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고정시키는 정착장치;와, 정착장치를 통과한 인쇄매체의 컬(curl)을 교정하는 디컬부;와,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장치;와, 상기 디컬부를 통과한 후에 양면인쇄를 위해 반송되는 용지와 상기 디컬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디컬부의 하류에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주사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Laser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주사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모터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 광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유닛을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가시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정착과정에서 인쇄매체는 고온 및 고압을 받으며, 이 과정에서 인쇄매체는 초기의 평면상태를 잃고 컬(curl) 상태, 즉 휜 상태가 된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서로 경도가 상이한 두 개의 배지롤러들 사이로 컬이 발생된 인쇄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인쇄매체의 컬을 보정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이송 신뢰성, 컬 보정성 및 내부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장치;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고정시키는 정착장치;와, 상기 정착장치를 통과한 인쇄매체의 컬(curl)을 교정하는 디컬부;와,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장치;와, 상기 디컬부를 통과한 후에 양면인쇄를 위해 반송되는 용지와 상기 디컬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디컬부의 하류에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회동가능 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컬부로부터 인쇄매체의 배출 시에 상기 가이드부는 회동되어 인쇄매체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배지장치로부터 인쇄용지의 반송시에 상기 가이드부는 인쇄매체의 디컬부로의 진입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컬부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에 의해 회동되며, 인쇄매체가 통과한 후에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가이드부를 일측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가이드부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컬부는 디컬롤러와, 상기 디컬롤러와 함께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곡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컬부는 서로 접하는 제1 및 제2디컬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디컬롤러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어 디컬부를 통과하는 인쇄용지의 이송방향을 가이드부 하는 곡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컬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인쇄매체에 화상정보에 상응하는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인쇄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인쇄용지의 컬을 교정하는 디컬부와, 이송경로상 상기 디컬부의 하류에 마련되어, 디컬부를 통과한 인쇄용지의 반송시에 인쇄용지가 디컬부를 우회하여 반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유닛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장치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회동가능 하도록 마련되어, 인쇄매체가 상기 디컬부를 통과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컬부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디컬부에 형성된 디컬경로를 개방하고, 인쇄매체가 통과한 후에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디컬경로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컬부는 디컬롤러와, 상기 디컬롤러와 함께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디컬경로를 형성하는 곡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컬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곡률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인쇄매체는 상기 디컬부를 통과하여 상기 배지장치로 이송되며, 상기 배지장치로 이송된 인쇄매체 중 양면인쇄를 위해 상기 인쇄유닛 측으로 반송되는 인쇄매체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디컬부를 우회하여 상기 인쇄매체 측으로 반송될 수 있 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장치;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고정시키는 정착장치;와, 상기 정착장치를 통과한 인쇄매체의 컬(curl)을 교정하는 디컬부;와,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장치;와, 상기 디컬부와 상기 배지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양면인쇄를 위해 반송되는 용지와 상기 디컬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용지이송 신뢰성, 컬 보정성 및 내부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장치(20), 인쇄유닛(P), 디컬부(80) 및 배지장치(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인쇄유닛(P)은 광주사장치(30K, 30C, 30M, 30Y), 감광체(40K, 40C, 40M, 40Y), 현상장치(50K, 50C, 50M, 50Y), 전사장치(60), 정착장치(70)를 구비하며, 인쇄매체 공급장치(20)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화상을 인쇄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인쇄매체 공급장치(20)는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S)를 전사장치(6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장치(30K, 30C, 30M, 30Y)는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40K, 40C, 40M, 40Y)에 각각 조사하여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감광체(40K, 40C, 40M, 40Y)는 광주사장치(30K, 30C, 30M, 30Y)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대전장치(41K, 41C, 41M, 41Y)에 의해 소정전위로 각각 대전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광주사장치(30K, 30C, 30M, 30Y)로부터 주사된 광에 의해 각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장치(50K, 50C, 50M, 50Y)는 각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각 현상장치(50K, 50C, 50M, 50Y)는 현상제수용부(51K, 51C, 51M, 51Y), 공급롤러(52K, 52C, 52M, 52Y) 및 현상롤러(53K, 53C, 53M, 53Y)를 구비한다. 현상제수용부(51K, 51C, 51M, 51Y)에는 각 감광체(40K, 40C, 40M, 40Y)로 공급될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고, 공급롤러(52K, 52C, 52M, 52Y)는 현상제수용부(51K, 51C, 51M, 51Y)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53K, 53C, 53M, 53Y)에 공급한다. 현상롤러(53K, 53C, 53M, 53Y)에 공급된 현상제는 각 감광체(40K, 40C, 40M, 40Y)에 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미설명부호 54K, 54C, 54M, 54Y는 현상롤러(53K, 53C, 53M, 53Y)에 부착된 현상제의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나타낸다.
전사장치(60)는 용지이송벨트(61), 구동롤러(62) 및 종동롤러(63)를 구비하며, 용지이송벨트(61) 내측에 위치한 복수개의 전사롤러(64)는 각각의 감광체(40K, 40C, 40M, 40Y)와 대향하면서 감광체(40K, 40C, 40M, 40Y) 상의 현상제를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정착장치(70)는 할로겐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71)와, 가압롤러(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인쇄매체는 가열롤러(71)와 가압롤러(72)의 사이를 통과하고, 이 때 열과 압력에 의해 가시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디컬부(80)는 정착장치(70)를 통과한 인쇄매체의 컬(curl), 즉 휨을 교정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의 디컬부(70)는 디컬롤러(81)와, 곡면부(82)를 구비한다. 디컬롤러(81)와 곡면부(82)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디컬경로(83)를 형성한다. 이송경로(83)의 곡률은 디컬부(80)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디컬부(80)의 디컬경로(83)로 진입되 는 인쇄매체는 타측방향으로 굽힘력을 받아 평평하게 보정된다. 이때, 디컬롤러(81)의 외주면은 연한 재질의 스폰지 타입으로 형성 됨이 바람직하다. 차고로, 디컬경로(83)는 후술되는 이송경로(L1)의 일부분을 이룬다.
배지장치(90)는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배지롤러(91)와 배지백업롤러(9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양면인쇄가 가능한 장치로서, 양면인쇄시 인쇄용지는 배지장치(90)에 도달된 후 다시 본체(10)로 반송된다. 반송된 인쇄매체는 복수 개의 반송롤러(95)에 의해 이송되어, 그 전, 후면이 반전된 상태에서 인쇄유닛(P)으로 재진입된다. 미설명부호 96은 배지장치(90)로부터 인쇄유닛(P)에 이르는 인쇄매체의 반송경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배지장치(90)에 도달될 후 반송되는 인쇄용지가 디컬부(8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100)를 더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디컬부, 배지장치 및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매체의 이송 및 반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00)는 인쇄용지의 이송경로(L1) 상에서 디컬부(80)의 하류에 마련된다. 이때, 가이드부(100)는 인쇄용지의 자연스러운 반송을 위해 반송경로(L2)에 대응하는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100)는 디컬부(80)를 감싸는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며, 이에 따라 인쇄용지는 디컬부(80) 부근에서 급격한 경로변화 없이 자연스럽게 디컬부(80)를 우회하여 반송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쇄매체는 고온, 고압이 가해지는 정착장치(70)를 통과한 직후 디컬부(80)로 진입된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인쇄를 위해 반송되는 인쇄매체는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100)에 의해 디컬부(80)를 우회하여 반송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가이드부(100)에 의해 양면인쇄를 위해 반송되는 인쇄매체와 디컬부(8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양면인쇄가 되는 인쇄매체는 디컬부(80)를 통과하여 배지장치(90)에 도달된 후에 다시 디컬부(80) 측으로 반송되지만, 가이드부(100)에 의해 반송되는 인쇄매체가 디컬부(80)의 디컬경로(83)에 재진입하거나, 디컬부(80)의 디컬롤러(81)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정착장치(70)와 배지장치(90) 사이에 별도의 디컬부(80)가 마련됨으로써, 정착장치(70)로부터 배출된 인쇄용지가 식기 전에 즉각적인 디컬, 즉 컬보정이 이루어지는 바, 컬 보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배지장치에서 컬보정기능이 수행되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와 비교하여, 정착장치(70)와 배지장치(90) 사이에 충분한 정도의 이송거리를 두는 것이 가능해지는 바, 용지이송 신뢰성이 향상된다. 다시 말해, 정착장치와 배지장치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가까워지면, 양면인쇄를 위해 반송되어야 하는 용지가 반송되지 못하고 배지장치를 통과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데,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정착장치(70)와 배지장치(90) 사이 에 디컬부(80)가 배치되지만, 가이드부(100)에 의해 배지장치(90)로부터 디컬부(80) 측을 향한 반송경로(L2) 형성이 가능하므로 반송경로(L2)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되고 더욱 컴팩트(compact)한 화상형성장치의 생산에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가이드부(100)에 의해 디컬부(80) 부근에서 급격하게 반송경로를 변경하거나, 큰 반송경로를 구비하지 아니하더라도 인쇄매체의 자연스러운 반송이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디컬부, 배지장치 및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매체의 이송 및 반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4에 도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200)는 회동가능 하도록 본체에 연결되며, 디컬부(80)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의 이송경로, 즉 디컬경로(83)를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200)는 디컬부(80)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에 의해 회동되어 디컬경로(83)를 개방하고, 인쇄매체가 통과한 후에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디컬경로(83)를 폐쇄한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컬부(80)로부터 인쇄매체의 배출 시, 가이드부(200)는 인쇄매체에 의해 회동되고, 디컬경로(83)는 개방된다. 이후, 인쇄매체가 가이드부(200)를 통과하면, 가이드부(200)는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고 디컬경로(83)는 폐쇄된다. 그러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장치(90)로부터 인쇄용지의 반송시에는, 인쇄매체는 가이드부(200)의 상부로 슬라이딩 되는 바, 디컬경로(83)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반송되는 인쇄매체의 디컬경로로의 진입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물론, 가이드부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가이드부(300)를 일측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가이드부(400)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4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및 제6실시에 따른 디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디컬부(580)는 서로 접하며 회전하는 제1디컬롤러(581) 및 제2디컬롤러(582)를 구비한다. 제1디컬롤러(581)의 외주면 및 제2디컬롤러(582)의 외주면은 서로 경도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1디컬롤러(581)와 제2디컬롤러(582)의 접촉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디컬경로(583)를 형성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디컬롤러(581)의 외주면 재질이 제2디컬롤러(582)의 외주면 재질에 비해 더욱 경하도록 마련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디컬부(680)는 서로 접하며 회전하는 제1 및 제2디컬롤러(681, 682)와, 제1 및 제2디컬롤러(681, 682)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곡면부(686)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디컬롤러(681, 682)는 서로 경도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1디컬롤러(681)와 제2디컬롤러(682)의 접촉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디컬경로(683)를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제1 및 제2디컬부(681, 682)의 양측에 마련되는 곡면부(686)를 더 구비하고 있는 바, 인쇄용지의 디컬부(680)로의 안정적인 진입이 보장된다. 물론, 곡면부는 제1 및 제2디컬부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디컬부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 외에도 디컬부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다양하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컬부와 가이드부는 잉크젯 타입의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배지장치는 2개의 롤러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었으나, 3개의 롤러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디컬부를 보조하여 디컬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디컬부, 배지장치 및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매체의 이송 및 반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디컬부, 배지장치 및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매체의 이송 및 반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및 제6실시에 따른 디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20 인쇄매체공급유닛

Claims (19)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장치;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고정시키는 정착장치;와, 상기 정착장치를 통과한 인쇄매체의 컬(curl)을 교정하는 디컬부;와,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장치;와, 상기 디컬부를 통과한 후에 양면인쇄를 위해 반송되는 용지와 상기 디컬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디컬부의 하류에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회동가능 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디컬부로부터 인쇄매체의 배출 시에 상기 가이드부는 회동되어 인쇄매체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배지장치로부터 인쇄용지의 반송시에 상기 가이드부는 인쇄매체의 디컬부로의 진입을 막으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컬부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에 의해 회동되며, 인쇄매체가 통과한 후에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장치;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고정시키는 정착장치;와, 상기 정착장치를 통과한 인쇄매체의 컬(curl)을 교정하는 디컬부;와,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장치;와, 상기 디컬부를 통과한 후에 양면인쇄를 위해 반송되는 용지와 상기 디컬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디컬부의 하류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일측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컬부로부터 인쇄매체의 배출 시에 상기 가이드부는 회동되어 인쇄매체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배지장치로부터 인쇄용지의 반송시에 상기 가이드부는 인쇄매체의 디컬부로의 진입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장치;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고정시키는 정착장치;와, 상기 정착장치를 통과한 인쇄매체의 컬(curl)을 교정하는 디컬부;와,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장치;와, 상기 디컬부를 통과한 후에 양면인쇄를 위해 반송되는 용지와 상기 디컬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디컬부의 하류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디컬부로부터 인쇄매체의 배출 시에 상기 가이드부는 회동되어 인쇄매체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배지장치로부터 인쇄용지의 반송시에 상기 가이드부는 인쇄매체의 디컬부로의 진입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컬부는 디컬롤러와, 상기 디컬롤러와 함께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장치;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고정시키는 정착장치;와, 상기 정착장치를 통과한 인쇄매체의 컬(curl)을 교정하는 디컬부;와,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장치;와, 상기 디컬부를 통과한 후에 양면인쇄를 위해 반송되는 용지와 상기 디컬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디컬부의 하류에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컬부는 서로 접하는 제1 및 제2디컬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디컬롤러의 양측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디컬부를 통과하는 인쇄용지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는 곡면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컬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인쇄매체에 화상정보에 상응하는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인쇄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인쇄용지의 컬을 교정하는 디컬부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송경로상 상기 디컬부의 하류에 마련되어, 디컬부를 통과한 인쇄용지의 반송시에 인쇄용지가 디컬부를 우회하여 반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컬부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디컬부에 형성된 디컬경로를 개방하고, 인쇄매체가 통과한 후에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디컬경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장치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 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컬부는 디컬롤러와, 상기 디컬롤러와 함께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디컬경로를 형성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컬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곡률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인쇄매체는 상기 디컬부를 통과하여 상기 배지장치로 이송되며, 상기 배지장치로 이송된 인쇄매체 중 양면인쇄를 위해 상기 인쇄유닛 측으로 반송되는 인쇄매체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디컬부를 우회하여 상기 인쇄매체 측으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삭제
KR1020080122268A 2008-12-04 2008-12-04 광주사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435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68A KR101435946B1 (ko) 2008-12-04 2008-12-04 광주사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2/603,170 US8712313B2 (en) 2008-12-04 2009-10-21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68A KR101435946B1 (ko) 2008-12-04 2008-12-04 광주사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904A KR20100063904A (ko) 2010-06-14
KR101435946B1 true KR101435946B1 (ko) 2014-09-01

Family

ID=4223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268A KR101435946B1 (ko) 2008-12-04 2008-12-04 광주사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12313B2 (ko)
KR (1) KR101435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3706B2 (ja) * 2012-10-22 2016-09-14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シート収納装置
JP6543977B2 (ja) * 2015-03-17 2019-07-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589507B2 (ja) * 2015-05-07 2019-10-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598541B2 (ja) * 2015-07-14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ル補正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93251B2 (ja) * 2016-03-01 2019-04-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049610A (ja) * 2017-09-08 2019-03-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9988A (en) * 1989-08-09 1991-10-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7298981B2 (en) * 2004-07-07 2007-11-20 Ricoh Printing Systems, Ltd.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uide having adjustable biasing angle
US20080038031A1 (en) * 2006-08-10 2008-02-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7345B2 (ko) * 1972-07-20 1980-07-19
US5066984A (en) * 1987-11-17 1991-11-19 Gradco Systems, Inc. Decurler
FR2638725A1 (fr) * 1988-09-26 1990-05-11 Gradco Systems Inc Appareil de redressement de feuilles de papier sortant d'un appareil d'impression
JPH0421476A (ja) * 1990-05-16 1992-01-24 Asahi Optical Co Ltd 連続記録紙の折目矯正機構
JPH0432456A (ja) * 1990-05-29 1992-02-04 Hitachi Ltd 排紙装置
JPH04116052A (ja) * 1990-09-04 1992-04-16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2900350B2 (ja) * 1991-01-21 1999-06-02 株式会社リコー ロール紙のカール矯正装置
JPH0698078A (ja) * 1992-07-29 1994-04-08 Ricoh Co Ltd 紙搬送装置
JPH08225219A (ja) * 1995-02-21 1996-09-0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810864B2 (ja) * 1996-07-09 2006-08-16 東北リコー株式会社 給紙装置
JP3597001B2 (ja) * 1996-12-26 2004-12-0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ール矯正機構及び電子画像形成装置
JP2000095411A (ja) * 1998-09-18 2000-04-04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57904B2 (ja) * 1998-12-04 2007-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両面画像形成装置
JP2000177906A (ja) * 1998-12-15 2000-06-27 Canon Inc シート巻きぐせ矯正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12508B1 (ko) * 2002-04-02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장치
JP4273870B2 (ja) * 2003-08-11 2009-06-03 神鋼電機株式会社 印刷装置
JP2006208729A (ja) * 2005-01-27 2006-08-10 Canon Finetech Inc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033214A (ja) * 2006-07-07 2008-02-14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8050086A (ja) * 2006-08-23 2008-03-06 Noritsu Koki Co Ltd 写真処理装置
JP4802964B2 (ja) 2006-10-06 2011-10-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ル矯正装置
JP2008222427A (ja) * 2007-03-15 2008-09-25 Ricoh Co Ltd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206442B1 (ko) * 2007-06-12 2012-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8862047B2 (en) * 2010-03-25 2014-10-14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Sheet curl correc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9988A (en) * 1989-08-09 1991-10-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7298981B2 (en) * 2004-07-07 2007-11-20 Ricoh Printing Systems, Ltd.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uide having adjustable biasing angle
US20080038031A1 (en) * 2006-08-10 2008-02-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43014A1 (en) 2010-06-10
KR20100063904A (ko) 2010-06-14
US8712313B2 (en)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856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for detachable unit
JP5037057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435946B1 (ko) 광주사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98769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guide member for regulating approaching of two cables
US20050238385A1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protective co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9016113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388013B2 (en) Sheet dis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US83010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dition setting for manual duplex mode
US7634219B2 (en) Transfer media transport guide mechanism for image forming device
US7424257B2 (en) Paper guid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555240B2 (en) Cover member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N111308869A (zh) 片材传送装置和成像装置
JP4477715B2 (ja) ベルト搬送装置、およびこのベルト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5839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unit
JP2008134387A (ja) 画像形成装置
JP4527033B2 (ja) 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356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362814A (ja) 排出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70071509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7389965B2 (ja) ロック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US10647533B2 (en)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84908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976687B2 (en) Developing agent container with movable shutter for closing developing agent supply hole
JP20220965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3203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