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994B1 -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994B1
KR101434994B1 KR1020140043072A KR20140043072A KR101434994B1 KR 101434994 B1 KR101434994 B1 KR 101434994B1 KR 1020140043072 A KR1020140043072 A KR 1020140043072A KR 20140043072 A KR20140043072 A KR 20140043072A KR 101434994 B1 KR101434994 B1 KR 10143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composition
ethyl acetate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유종준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함박재농장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함박재농장, 김정현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함박재농장
Priority to KR102014004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만 억제 및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besity with the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내 지방 생성을 억제하여, 고혈압, 심혈관 질환, 고지혈증 및 당뇨와 같은 성인병을 일으키는 비만을 억제하고, 개선할 수 있는 황칠(Dendropanax morbif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영국, 미국, 오스트리아 국민의 2/3가 과체중이고, 1/4이 비만으로 보고될 정도로 세계의 비만이 위험 수준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생활환경의 변화 및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하여 국내 비만 인구가 급증하고 있어 2008년 비만 인구가 30.7%를 차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Kim BW, et al. Antiadipogenic effect of Vitis amurensis root m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 in 3t3-L1 preadipocytes, 생명과학회지 23(1):69-78(2913)).
비만이란 열량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대사성 질환이며, 과잉된 열량으로 인해 지방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비만이 발생하여 그 상태가 지속되면 여러 질환을 유발하는데,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당뇨병, 신장 질환,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관절염, 암, 수면, 무호흡증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사용된 비만 치료제는 작용 기작에 따라 크게 포만감 항진제, 지방 흡수 억제제, 향정신성 식욕 억제제로 나뉜다.
포만감 항진제는 뇌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신경 호르몬의 재흡수를 억제해 식욕을 저해한다. 리덕틸(Reductil)이 대표적이며, 이 제품의 성분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을 1년 동안 복용할 경우 평균적으로 약 5~9%의 체중이 주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약으로 인해 두통, 구갈(심한 갈증), 불면증 및 변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혈압과 맥박수가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현재 시장에서 퇴출된 상태이다.
지방 흡수 억제제는 지방을 체내로 흡수하는 소화효소인 리파아제(lipase)의 기능을 억제해 섭취한 지방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지방 흡수억제제로는 올리스타트(Orlistat) 성분으로 제니칼(Xenical)이 대표적이며, 부작용으로 대변이 자주 마렵거나 지방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지방 흡수율의 감소로 인해 장에서의 지용성비타민의 흡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
향정신성 식욕 억제제는 뇌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신경 호르몬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과 도파민(dopamine)의 생성을 촉진해 식욕 자체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을 치료한다. 그 성분으로는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 펜터민(phentermine)이 있다. 그러나, 약을 복용함으로써, 경미하게는 어지러움, 두통, 손떨림이 발생하며, 정신이 각성돼 불면증이 올수 있고, 꾸준히 복용하면 중독성을 갖게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위와 같이 합성 항비만 치료제들이 여러 부작용을 나타내며 한계를 보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없어 안정성이 확보되는 천연 항비만용 조성물의 개발이 활기를 띄고 있다.
한편,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우리나라의 남부해안 지역과 제주도 등에서 자생하는 쌍떡잎 식물이며, 두릅나무과의 상록교목이다. 최근 그 효능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황칠나무 추출물의 항암 활성 및 항산화 활성 등의 생리활성이 일부 제한적으로 보고되면서 약학 및 식품 조성물에 쓰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황칠나무 추출물을 통한 항비만 연구는 보고된 바 없으며, 실질적인 효과를 입증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는 동시에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3348호(발명의 명칭: 지방세포 분화 저해 활성을 가지는 프로토베르베린알칼로이드 화합물인 베르베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에는, 현호색(Corydalis ternata), 애기똥풀(Chelidonium major), 황련(Coptis japonica), 황백(Phellodendron amurense)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으로부터 유래된 프로토베르베린알칼로이드 화합물인 베르베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황칠나무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50046호(발명의 명칭: 항비만 효능을 갖는 복합 생약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항비만 효과를 갖는 생약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개시되었다. 그러나 황칠나무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황칠나무를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이들 용매를 사용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 황칠나무 2 kg 당 1~30 L를 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추출온도는 바람직하게 30~120℃인 것이 좋고, 추출시간은 3~9시간, 횟수는 1~5회 수행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황칠나무에 에탄올을 가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a); 상기 건조된 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n-헥산을 가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로부터 물 층을 분리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c)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는 단계 (d);로부터 회수되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왜냐하면, 다른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에서 항비만 효과가 가장 우수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일 예로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황칠 추출물이 0.1~50%가 첨가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는 의미는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이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의 형태가 식품 조성물인 경우, 다양한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제형 베이스 및 부형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 예로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 음료, 유제품, 초콜릿, 빵류, 스낵류, 과자류, 차,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체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비만 억제 및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 황칠나무 추출물의 지방조직세포에서 UCP-1 유전자 발현 증가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서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n=10)로 나타내었고, 통계학적 분석은 아노바(ANOVA) 검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p<0.05).
도 3은 본 발명 황칠나무 추출물의 지방조직세포에서 지방합성효소(FAS) 유전자 발현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서,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n=10)로 나타내었고, 통계학적 분석은 아노바(ANOVA) 검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p<0.05).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황칠나무 추출물의 제조]
(1) 황칠나무의 에탄올 또는 물 추출물 제조
건조된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줄기 2 ㎏을 0.5 cm의 크기로 절단,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넣고, 에탄올 20 L 및 물 20 L를 각각 가하여 증류순환장치에서 50℃로 가열추출 하였고, 3M™ 페이퍼로 여과하여 추출물 액상을 얻었다. 추출은 6시간 1회 수행하였고, 이후,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96 g의 에탄올 추출물 및 138 g의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도 1 참조).
(2) 황칠나무 추출물로부터 n- 헥산 분획 추출물의 제조
상기에서 수득한 황칠나무 에탄올 추출물 80 g에 증류수를 총 1.6 L 가하여 현탁시킨 후, 분획깔때기에 넣고, n-헥산 1.6 L를 가하여 분획추출하였다. 약 1시간 후, n-헥산 분획 추출된 상등액을 취하여 n-헥산 분획 추출물을 얻었다. 분획 과정은 3회 반복하였고, 이후 상등액을 감압농축하여 6.8 g의 n-헥산 분획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3)황칠나무 추출물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의 제조
상기의 황칠나무 n-헥산 분획 추출물 수득 과정에서 얻은 증류수 분획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후, 증류수 총 1.5 L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분획깔때기에 넣고, 에틸아세테이트 1.5 L를 가하여 분획추출을 하였다. 약 1시간 후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된 상등액을 취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을 얻었다. 분획 과정은 3회 반복하였고, 이후 상등액을 감압 농축하여 17.3 g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4)황칠나무 추출물로부터 n- 부탄올 분획 추출물의 제조
상기 황칠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수득과정에서 얻은 증류수 분획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후, 증류수 총 1.2 L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분획깔때기에 넣고, 수포화 n-부탄올 1.2 L를 가하여 분획추출을 하였다. 약 1시간 후에 n-부탄올로 분획추출된 상등액을 취하여 n-부탄올 분획 추출물을 얻었다. 분획 과정은 3회 반복하였고, 이후, 상등액을 감압 농축하여 41.2 g의 n-부탄올 분획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5)황칠나무 추출물로부터 물 분획 추출물의 제조
상기 황칠나무 n-부탄올 분획 추출물 수득과정에서 얻은 증류수 분획을 감압 농축하여 14.7 g의 물 분획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실험예 1: 전체 체중 증가억제율(%)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유효성 평가 실험에 적당한 실험동물로서 비만 모델에 널리 사용되는 OB/OB 실험쥐의 체중 측정을 통한 황칠나무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중앙동물실험으로부터 공급받은 30 g 내외의 6주령 OB/OB 실험쥐 수컷을 일주일 동안 설치류 사육실에서 적응시킨 후, 적응기간 중 일반 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개체만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3±3℃, 습도 50±5%에서 광주기 12시간으로 유지하였다. 순화기간 중 건강하다고 판정된 동물에 대하여 체중을 측정하고 평균체중에 가까운 개체를 선택하여 무작위법을 이용하여 군 분리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예는 정상대조군, 실험대조군(비만쥐), 상기 황칠나무 물 추출물 50 ㎎/㎏ 투여군, 상기 황칠나무 에탄올 추출물 50 ㎎/㎏ 투여군, 상기 황칠나무 n-헥산 분획 추출물 50 ㎎/㎏ 투여군, 상기 황칠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 ㎎/㎏ 투여군, 상기 황칠나무 n-부탄올 분획 추출물 50 ㎎/㎏ 투여군, 상기 황칠나무 물 분획 추출물 50 ㎎/㎏ 투여군 등 총 8군으로, 군당 OB/OB 실험쥐 10마리씩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공된 실험물질은 순도 100%로 가정하고 실험하였으며, 투여 바로 전, 0.5%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를 이용하여 조제한 후, 경구투여하였다. 정상대조군과 실험대조군은 0.5%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를 각각 매일 1회씩 총 8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고, 물 추출물 투여군,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 n-헥산 분획 추출물 투여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투여군, n-부탄올 분획 추출물 투여군, 물 분획 추출물 투여군은, 실험물질을 각각 매일 1회씩 총 8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이때, 모든 실험 동물은 부검 전 24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실험기간 중 개체 별 체중을 측정하였고, 부검 시 체중을 측정하였다.
한편,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각각의 시료의 체중증가 억제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34453941-pat00001

조성물

농도
(mg/Kg)

초기 체중(g)

8주 후 체중(g)

체중 증가(g)

체중증가
억제율(%)
일반쥐 0 20.3 29.5 9.2
대조군
(비만쥐)

0

29.7

58.2

28.5

0
물 추출물 50 30.5 56.4 25.9 9.1
에탄올 추출물 50 30.1 51.6 21.5 24.6
n-헥산
분획 추출물
50 28.4 50.3 21.9 23.2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

28.3

40.7

12.4

56.5
n-부탄올
분획 추출물
50 31.1 45.9 14.8 48.1
물 분획 추출물 50 30.3 53.6 23.3 18.2
실험 결과, 황칠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투여군의 체중증가 억제율이 56.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황칠나무 n-부탄올 분획 추출물 투여군의 체중증가 억제율은 48.1%로 나타났다 (표 1).
[실험예 2: 복부지방 생성억제율(%) 측정]
본 실험예는 상기 실험예 1의 부검시 각 개체별 복부지방 무게를 측정하여 복부지방의 생성억제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기 수학 식2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료의 복부지방 생성억제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34453941-pat00002

조성물

농도(mg/Kg)

복부지방(g)

복부지방
생성억제율(%)
일반쥐 0 0.9
대조군(비만쥐) 0 4.7 0
물 추출물 50 4.4 6.4
에탄올 추출물 50 3.8 19.1
n-헥산 분획 추출물 50 4.0 14.9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

2.7

42.6
n-부탄올 분획 추출물 50 3.3 29.8
물 분획 추출물 50 4.2 10.6
실험 결과, 황칠나무 추출물 투여군의 복부지방 생성억제율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황칠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투여군의 복부지방 생성억제율이 4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황칠나무 n-부탄올 분획 추출물 투여군 29.8%, 황칠나무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 19.1%, 황칠나무 n-헥산 분획 추출물 투여군 14.9%, 황칠나무 물 분획 추출물 투여군 10.6%, 황칠나무 물 추출물 투여군 6.4%으로 나타났다 (표 2).
[ 실험예 3: 혈중 중성지방 생성억제율(%) 측정]
본 실험예는 엘리사 키트(BioVision, Milpitas, CA, USA)를 이용하여 혈중 중성지방 생성억제율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상시 OB/OB 실험쥐 부검 후, 혈액을 수집하여 2,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 5 ㎕를 취하였다. 96웰(well)에 5 ㎕ 상층액을 분주하고, 트리글리세라이드 에세이 버퍼(triglycerid assay buffer)로 45 ㎕를 분주하였다. 트리글리세라이드 에세이 버퍼(triglycerid assay buffer), 트리글리세라이트 프로브(triglycerid probe), 트리글리세라이드 엔자임(triglycerid enzyme)의 혼합이 포함된 리액션 믹스(reaction mix)를 50 ㎕를 분주하여, 3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스톱용액(2 M H2SO4) 50 ㎕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VERSAmax, Molecular Devices)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하기 수학식3을 이용하여 각각의 시료의 혈중중성지방 생성억제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34453941-pat00003

조성물

농도(mg/Kg)

혈중 중성지방(mg/dL)

혈중 중성지방
생성억제율(%)
일반쥐 0 104
대조군(비만쥐) 0 342 0
물 추출물 50 334 8 e
에탄올 추출물 50 278 18.7 c
n-헥산 분획 추출물 50 303 11.4 d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 197 42.4 a
n-부탄올 분획 추출물 50 247 27.8 b
물 분획 추출물 50 295 13.8 d
실험결과, 황칠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투여군의 복부지방 생성억제율이 42.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황칠나무 n-부탄올 분획 추출물 투여군 27.8%, 황칠나무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 18.7%, 황칠나무 n-헥산 분획 추출물 투여군 11.4%, 황칠나무 물 분획 추출물 투여군 13.8%, 황칠나무 물 추출물 투여군 8%로 나타났다 (표 3).
[실험예 4: 지방조직세포에서 UCP-1 유전자 발현 증가율 및 지방합성 효소 유전자 발현 억제율(%)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지방조직에서 UCP-1(uncoupling protein 1)유전자의 발현 증가율 및 지방합성효소(FAS) 유전자 억제율을 측정하기 위해 RNA를 분리하여 리얼타임 PCR(Real time PCR)로 분석하였다. 부검 후 지방조직을 분리하여 알니즈 리피드 티슈 미니 키트(RNeasy Lipid Tissue Mini Kit(Qigen, Valencia, CA, USA))를 이용하여 RNA를 분리한 후, 아이스크립트 셀렉트 cDNA 신더시스 키트(iScriptTM Select cDNA Synthesis Kit(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 후 PCR을 수행하였다.
유전자 발현 분석의 인터날 컨트롤(internal control)로는 하우스키핑 진(housekeeping gene)인 글리세랄알데하이드스-3-포스페이트디하이드로제네이스(glyceridgydes-3-phosphate dehyderogenase, GAPDH)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대조군의 지방조직세포에서 UCP-1 유전자 발현량을 100%로 보았을 때, 황칠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투여군의 UCP-1 유전자 발현이 162%로 가장 높았고, 황칠나무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122%)과 황칠나무 n-부탄올 분획 추출물 투여군(134%)의 UCP-1 유전자는 그 다음으로 높게 발현되었다. 나머지 실험 투여군의 UCP-1 유전자 발현 비율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높으나, 실험 대조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 2).
한편, 실험대조군의 지방조직에서 지방합성효소(FAS) 유전자 발현량을 100%로 하였을 때, 황칠나무 n-부탄올 분획 추출물 투여군의 지방합성효소(FAS) 유전자 발현이 77%로 실험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황칠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투여군의 지방합성효소(FAS) 유전자 발현량은 58%로 실험대조군, 모든 추출물 중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도 3).

Claims (4)

  1.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황칠나무에 에탄올을 가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a);
    상기 건조된 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n-헥산을 가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로부터 물 층을 분리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c)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는 단계 (d);로부터 회수되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140043072A 2014-04-10 2014-04-10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43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072A KR101434994B1 (ko) 2014-04-10 2014-04-10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072A KR101434994B1 (ko) 2014-04-10 2014-04-10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994B1 true KR101434994B1 (ko) 2014-09-15

Family

ID=5175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072A KR101434994B1 (ko) 2014-04-10 2014-04-10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9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072A (ko) 2015-05-26 2016-12-07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딱지꽃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075489A1 (ko) * 2021-10-28 2023-05-04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수액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292A (ko) * 2010-01-11 2011-07-19 유상훈 아토피 및 여드름 피부에 효능을 보이는 황칠나무 추출물
KR20120101743A (ko) * 2011-02-17 2012-09-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덴드로파녹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64908A (ko) * 2011-12-09 2013-06-19 이종수 황칠나무 잎을 이용한 산화질소 생성효소(iNOS) 단백질 발현 저해제 및 그 추출방법
KR20140011239A (ko) * 2012-07-18 2014-01-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292A (ko) * 2010-01-11 2011-07-19 유상훈 아토피 및 여드름 피부에 효능을 보이는 황칠나무 추출물
KR20120101743A (ko) * 2011-02-17 2012-09-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덴드로파녹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64908A (ko) * 2011-12-09 2013-06-19 이종수 황칠나무 잎을 이용한 산화질소 생성효소(iNOS) 단백질 발현 저해제 및 그 추출방법
KR20140011239A (ko) * 2012-07-18 2014-01-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072A (ko) 2015-05-26 2016-12-07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딱지꽃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075489A1 (ko) * 2021-10-28 2023-05-04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수액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987B2 (en) Anti-adipogenic compositions containing Piper betle and Dolichos biflorus
KR101651907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1447B1 (ko) 삼백초, 강황 및 원지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10125295A (ko)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434994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2002193826A (ja) 強壮・強精組成物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4217B1 (ko) 모로오렌지주스 및 와일드망고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60139953A (ko)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JP2007246449A (ja) 脂肪分解促進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並びに飼料
KR101814257B1 (ko) 큰천남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576269B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7224008B1 (ja) 経口組成物
KR102200260B1 (ko) 두메부추 및 오이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KR20100061212A (ko) 측백엽, 백자인, 노간주나무 및/또는 참취의 추출 혼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관련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50002B1 (ko) 까마귀쪽나무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682458B1 (ko)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91631B1 (ko)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240041586A (ko)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20230104036A (ko) 돌콩 잎 및 줄기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40620A (ko) 대추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63315B1 (ko) 다릅나무의 항비만 효능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