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586A -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586A
KR20240041586A KR1020220120770A KR20220120770A KR20240041586A KR 20240041586 A KR20240041586 A KR 20240041586A KR 1020220120770 A KR1020220120770 A KR 1020220120770A KR 20220120770 A KR20220120770 A KR 20220120770A KR 20240041586 A KR20240041586 A KR 20240041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natural plant
preventing
np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자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자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자연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2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586A/ko
Publication of KR20240041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5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EMENT OF OBESITY USING NATURAL PLANT MIXED EXTRACT FERMENTED LIQUID(NPM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MPOSITION FOR FOOD COMPOSITION OR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율에 비해 영양분을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서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배경은 식생활의 다양화 및 서구화로 인해 고칼로리 및 동물성 식품의 섭취가 증가됨에 따라 비만을 비롯하여 뇌졸증, 동맥경화, 고혈압 및 당뇨병 등의 각종 성인병 발병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비만은 산업화와 가장 연관성이 있는데,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대사성 질환 중의 하나이며, 체내지방 축적, 특히 내장지방의 축적은 이상 지질혈증, 포도당 대사장애, 인슐린 항상성, 고혈압 등과 같은 대사성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내장지방과 지질대사와의 관계는 매우 유효성 있는 연관성 있으며, 내장지방 축적으로 인한 지질대사의 변화는 식습관을 비롯한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역학조사를 통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지방섭취 종류별로 볼 때 식물성 지방의 섭취 비율은 감소된 반면, 동물성 지방의 섭취 비율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01년도 식품수급표에 따르면 1970년대 이후 육류 공급량 및 동물성 식품으로부터의 열량 공급량, 그리고 동물성 지방 공급량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지방 공급원 에너지 섭취율이 1969(7.2%)에 비해 1998년(40.1%)에 크게 증가한 후 최근 20년간 유지되는 추세이다.
이에 2021년부터 열풍 키워드인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는 건강과 다이어트에 관한 기존 '고통스러워도 효과만 좋으면 된다'에서 '건강과 다이어트를 선호하면서도 그에 따른 고통을 피한다'는 신개념 의식전환에 이르렀다. 이러한 신개념 의식전환은 사실상 최근의 어떤 이슈로 발생된 것이 아니다. 비만치료에 대한 현대적 사고의 개념정립은 2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비만치료에서 결정적 장해요소는 식이조절에서 비롯된 육체적 정신적 고통과 요요(스탠퍼드 대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이어트 인구중 95%가 5년 내에, 99%는 10년 내에 체중유지에 실패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라는 악순환의 평행선이라는 점이다. 결국 수많은 상업적 구도는 포만감을 주는 동시에 칼로리가 낮은 식품이어야 한다,와 섭취하려는 욕구를 충족시킬 대체물로써 섬유소를 함유한 저칼로리 식품 개발에 집중을 하게 되었으나 전반적으로 비만환자의 접근성과 경제성이 매우 떨어지는 결과가 지속되었다. 이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접근되었던 것이 약물을 통한 비만을 치료하는 것인데 여기에는 2가지의 전제가 필수요건으로 작용한다. 에너지 섭취를 조절해야 한다는 전제와 적당한 운동을 병행하는 등의 일반적인 생활습관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전제이다.
약물에 대한 통상적 개념으로서 식욕억제제(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마진돌, 로카세린 등)와 지방의 흡수제(제니칼, 올리엣 등)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약물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현재까지 비만치유와 건강악화라는 쟁점으로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약물은 내장지방과 같이 국소 지방 축적에 의한 비만은 고혈압, 고지혈증, 경색, 혈전, 혈관 염증, 비정상적인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동반한 인슐린 저항성과 같은 동맥 죽종상 병증을 심각하게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원인을 제공하고, 최종적으로 치사적인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유병율 증가의 요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약들은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어 최근 안전한 식품소재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지방산의 과다한 섭취는 다양한 조직에서 triglyceride (TG)의 축적으로 유발하여, 지방전구세포의 증가를 수반함과 동시에 혈중 순환 지방산의 증가를 초래하고, 지방전구세포세포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내장, 췌장 및 간과 근육과 같은 비지방세포에서 지방전구세포의 축적을 일으킨다. 지방전구세포의 생존력을 감소시키는 천연물은 이미 여러 종류가 보고된 바 있다.
특히 항산화 활성을 갖고 있는 천연물들이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는데 다양한 flavonoid, resveratrol, naringin, 그리고 quercetin은 항산화 물질인 동시에 preadipocyte의 증식을 억제하며 비만 억제에도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 Panduratin A, taraxerol, beta-sitosterol, silymarin, inulin도 지방전구세포의 생존력을 감소키는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이 되었다.
이와 같이 천연 식물성들에 의해 adipocyte의 사멸을 유도하는 경우, lipid mobilization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체지방 감소보다도 더 지속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보고 된 바 있다. 여기에 따른 천연 소재로는 Garcinia cambogia, Ilex paraquaruensis 추출물, Eucommia leaf 등과 같은 천연 추출물들이 고지방식이(high-fat diet, HFD)로 비만이 유도된 설치류에서 항비만 효과 및 내장지방의 축적 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되었다.
(1) Huh KB. 1990. The present status of nutrition-related diseased and its countermeasure. Korean J Nutr23:197-207. (2) Moon SJ. 1996. Nutritional problems of Korean. Korean J Nutr 29:371-380). (3) Kim et al.,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13:584-593, 2011; Kim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 13:994-1005, 2012. (4) Kim SH, Lee JM, Kim HY. 1993. The composition of health status with age by fat intake pattern. KSF report. (5) Kim D, Kim MS, Sa BK, Kim MB, Hwang JK. 2012. Boesenbergia pandurata attenuates diet-induced obesity by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nd regulating lipid metabolism. Int J Mol Sci 13:994-1005. (6). Kim YJ, Kim KY, Kim MS ,Lee JH, Lee KP, Park T. 2008. A mixture of the aqueous extract of mate, taraxacum coreanum and L-carnitine reduces the accumulation of visceral fat mass in rats rendered obese by a high fat diet.2:353-358. (7) Pang J ,Choi Y, Park T.2008. allium hookeri extract ameliorates obesity induced by high-fat diet: potential role of AMPK in the visceral adipose tissue.476:178-185.
본 발명의 목적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물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추출물 발효액은, 마테 추출물 30.3 중량부 내지 30.5 중량부, 새싹 보리 추출물 14.5 중량부 내지 14.7 중량부, 삼채 뿌리 추출물 15.5 중량부 내지 15.7 중량부,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29.7 중량부 내지 29.9 중량부 및 핑거루트 추출물 10.0 중량부 내지 10.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물 조성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발효시켜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발효시켜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효모 배양액을 혼합하여 발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포함하여 식욕 욕구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체중감소, 체지방 감소 및 복부 지방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NPME의 농도에 따른 세포활력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RT-PCR/qPCR(Real-time gene analysis device) 셋팅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간(real time) RT-PCR의 분석 절차(analysis procedure)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NPME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성숙지방세포에 대한 NPME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마우스에 NPME 투여에 따라 부고환지방과 후복강지방의 감소에 대한 조직학적 변화를 전자현미경 실사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NPME 투여에 따라 지방조직과 후복강지방의 감소에 대한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NPME 급여를 통해 유전자 SREBP1c와 C/EBPα의 회복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마테 추출물 및 흰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포함하여 식욕 욕구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체중감소, 체지방 감소 및 복부 지방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식물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내장지방의 축적을 감소시키고, 이상지질혈증 개선을 통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마테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마테(Mate)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와 브라질 남부에서 주로 소비되는 차음료로써 다년생 나무인 예르바 마테(IILex paraguarensis)의 잎으로부터 제조된다. 마테는 높은 polypehnol 함량과 높은 무기물 농도와 함께 사포닌 등의 다량의 유용성분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음용 되고 있다. 또한 마테는 높은 항산화능력과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항비만의 효능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외의 효능에 대해서도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마테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안전식품으로 인정되었으며, 별도의 독성검사나 안정성 검사가 필요하지 않은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에 등재한 안전식품으로 취급될 수 있다.
마테 추출물은 혼합추출물 발효액 100 중량부 대비 30.3 중량부 내지 3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마테 추출물이 30.3 중량부 미만이면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Hydroxy cinamic acid)의 저량 공급에 따라 식욕증가 및 혈당조절 기능(저혈당)에 문제가 발생하고, 40.5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면방해와 오심 등으로 인한 일상생활에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마테의 주요 성분 중 클로로겐산(C16H18O9)은 신경세포(시상하부 POMC pro-opiomelanocortin, AgRP agouti-related peptide) 신경세포와 이들을 포함하는 중추 멜라노코르틴 경로를 활성화시켜 말초에서 뇌로 전달되는 영양 정보와 신경계 내부에서 서로 주고 받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중추 멜라노코르틴 경로에는 이들 물질에 반응하는 여러 종류의 G 단백 결합 수용체가 발현되어 있는데, POMC 신경세포에 발현된 세로토닌 분비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세로토닌(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의 식욕 억제 및 혈당 조절 기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마테 추출물은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테 추출물은 물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새싹 보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새싹보리는 인체내에서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등의 흡수를 억제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비만 등의 만성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다. 또한, 새싹보리의 policosanol이란 성분은 몸에 유익한 콜레스테롤(HDL; high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의 수치는 올리고, 해로운 콜레스테롤(LDL; low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 중장년층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선호되고 있다.
새싹보리는 항산화, 항염증, 항암기능을 가지는 사포나린(saponarin), 루토나린(lutonarin) 및 이소비텍신(isovitexin) 등의 기능성 이차대사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새싹 보리 추출물은 혼합추출물 발효액 100 중량부 대비 14.5 중량부 내지 14.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새싹 보리 추출물이 14.5 중량부 미만이면 중성지질 분해를 위한 성분인 사포나린과 폴리코사놀, 폴리페놀 등의 항산화제, 셀렘늄, 칼륨 ,칼슘, 인, 망간 등의 무기염류 흡수율이 떨어져 지방분해 등의 메커니즘에 저해되는 문제가 있고, 14.7 중량부를 초과하면 글루텐 알러지, 설사, 저혈당 증상 또는 높은 칼륨함량으로 인한 신장질환이 유발된다.
또한, 새싹 보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새싹 보리 추출물은 물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삼채 뿌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삼채(Allium Hookeri)뿌리는 단맛, 쓴맛, 매운맛이 난다고 하여 삼채(三菜)라고 부르기도 하며, 인삼 맛이 난다고 하여 삼채(蔘菜)라고 부르기도 한다. 식이유황인 Methyl Sulfonyl Methane (MSM)의 역할은 알파 및 감마-향정신성 진환(치매, 정신 박약), 베타-암 또는 만성질환(당뇨, 고혈압, 저혈압), 델타-피부질환(고엽제, 건선피부, 아토피 알레르기), 람다 및 뮤황-면역체계 강화 등 간기능개선 및 해독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인삼, 홍삼, 산삼, 선삼에는 베타황의 성분만 포함되어 있는 반면 삼채에는 6가지 성분 모두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채의 주성분인 식이유황은 산삼보다 60배 많은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 식이유황은 인체를 구성하는 8대 영양소 중 1종으로 뼈의 골밀도를 높여 줌으로써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며 류마티스 관절염, 혈관벽을 좁히는 주원인이 되는 콜레스테롤과 과산화지질을 분해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고지혈증, 동맥경화 및 혈전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삼채 뿌리 추출물은 혼합추출물 발효액 100 중량부 대비 15.5 중량부 내지 15.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삼채 뿌리 추출물이 15.5 중량부 미만이면 체내 콜레스테롤(LDL)등의 중성지방 제거 메커니즘에 저해되는 문제가 있고, 15.7 중량부를 초과하면 식이유황 (Methyl Sulfonyl Methane:MSM)의 과다 흡수로 인해 구토, 설사 또는 두통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삼채 뿌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삼채 뿌리 추출물은 물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뿌리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다년초로 한방에서는 전초를 건조한 것을 봄과 여름에 꽃이 피기 전이나 후에 채취하여 청열해독, 소염, 이뇨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포공영이라는 약물로 이용되어 왔다.
또한, 어린잎을 나물로 이용하고 뿌리는 약용으로 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999), 식품공전(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공전, 문영사, 서울, 2001)에는 민들레의 어린순, 어린잎, 뿌리부위를 식품의 주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수록하고 있다. 기타, 민들레는 신수본초에 수재 되어 있으며, 한약 백과도감에는 소염, 항균, 이뇨, 유즙분비 촉진, 적출심장에 대하여 소량을 사용할 경우 흥분시키고 다량 사용 시에는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민들레는 세계 도처에 수백 종류가 있으나 국내에서 자라는 민들레가 가장 약성이 뛰어나다. 도심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서양 민들레보다는 흰 꽃이 피는 흰민들레(백화포공영)가 제일 약효가 좋다고 한다. 또한 포공영의 주요 성분으로 엘라그산(C14H6O8) 으로써 폴리페놀 4개의 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물체 내에서는 전구물질인 엘라기탄닌(ellagitannin) 형태로 존재한다. 식물성 페놀이며 항산화, 항바이러스, 항돌연변이, 항암기능을 가지고 있다. 유방 및 식도, 피부, 결장, 전립선과 췌장에서의 암세포 활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은 혼합추출물 발효액 100 중량부 대비 29.7 중량부 내지 29.9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이 29.7 중량부 미만이면 지방분해 및 체감량에 따른 신장염 예방에 유용한 살리마린과 콜린, 타라세롤 흡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29.9 중량부를 초과하면 구토와 설사 등 소화기관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항혈소판 작용으로 출혈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은 물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핑거루트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핑거루트(Fingerroot)는 생강과의 일종인 보에센베르지아 판두라타(boesenbergia pandurata (Roxb. Schltr.)의 근경(rhizone)과 뿌리(roots)에서 얻어지는 부위로서 동남아시아 열대지역에서 향신료서 사용되고 있으며, 항균 및 항염 작용이 강하여 전통 의약품으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End-Chong et al.,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ume 2012, Article ID 473637). 또한, 핑거루트의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판두라틴 에이 성분은 저분자 화합물(small molecules)로서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핑거루트 추출물은 혼합추출물 발효액 100 중량부 대비 10.0 중량부 내지 10.9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핑거루트 추출물이 10.0 중량부 미만이면 판두라틴의 플라보노이드 흡수율이 저해되어 가소성 지방(셀룰라이트)의 유효한 분해 작용 기능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지방분해 활동 시 유발되는 염증 물질인 류코트리엔을 노출시키는 문제가 있고, 1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복통이나 하리, 알러지 반응 등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핑거루트 추출물은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핑거루트 추출물은 물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물 조성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포함하여 식욕 욕구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체중감소, 체지방 감소 및 복부 지방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내장지방의 축적을 감소시키고, 이상지질혈증 개선을 통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식품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고, 식품 첨가제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 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 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첨가제로서의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적용 시,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대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합추출물 발효액은 대체로 당의 농도(Brix% 눈금은 국제 사당 분석법통일위원회(ICUMA)의 눈금으로 국제단위(SI 단위)에서는 % mas(Sucrose)로 표기한다) 함량에 따라 기준 2.7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2.0 중량부 미만이면 지방분해 치료과정 중 빠른 공복감과 식욕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4.5 중량부를 초과하면 신경과민, 오심, 구역질, 메스꺼움, 수면 방해, 스트레스, 체온증가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포함하여 식욕 욕구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체중감소, 체지방 감소 및 복부 지방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내장지방의 축적을 감소시키고, 이상지질혈증 개선을 통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음료,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첨가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첨가제로서의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적용 시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대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합추출물 발효액은 대체로 당의 농도(Brix %) 함량에 따라 기준 2.7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2.0 중량부 미만이면 지방분해 치료과정 중 빠른 공복감과 식욕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4.5 중량부를 초과하면 신경과민, 오심, 구역질, 메스꺼움, 수면 방해, 스트레스, 체온증가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건강기능식품을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영양 공급 이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으로,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합성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제형도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20),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20) 및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발효시켜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10)는,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20)는,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은 총 100중량부 대비 마테 추출물 30.3 중량부 내지 30.5 중량부, 새싹 보리 추출물 14.5 중량부 내지 14.7 중량부, 삼채 뿌리 추출물 15.5 중량부 내지 15.7 중량부,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29.7 중량부 내지 29.9 중량부 및 핑거루트 추출물 10.0 중량부 내지 10.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은 물 및 첨가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액일 수 있고, 천연식물 혼합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은 7.5 중량부 내지 7.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물은 9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첨가제(예; 비타민C 및 스테비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은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발효시켜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S130)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효모 배양액과 부용제로 천연식물 고형분을 혼합하여 발효과정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유효성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의 pH(수소이온농도)는 pH 2.7 s내지 pH 3.4일 수 있고, 유기산은 pH 1.0 내지 pH 1.2일 수 있으며, 당도는 1% 미만일 수 있다.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 내에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은 5 중량부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이 5 중량부 미만이면 가수 분해 되거나 산화되어 지방산을 비롯한 여러 가지 산화물을 만들어 산패율이 높아지고, 당도가 높아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물을 얻게되는 문제가 있고, 9 중량부를 초과하면 pH가 기준범위보다 낮아져,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 제조 및 이 추출물들의 복합조성물의 제조
내장지방 축적의 예방,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시험물질제조
실시예 1-1: 마테잎 건조 분말(dry powder) 추출물 제조
상기 마테 잎을 분쇄한 후 17배수의 물(V/V)을 용매로 하여, 85℃에서 5h 동안 추출한 후 3배수의 물을 용매로 하여 65℃에서 1h 동안 추출하였다. 그 후, 여과지(Whatman No.5B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40∼45℃에서 회전감압농축기(Heidolph, Germany)로 20∼25brix가 되도록 감압 농축한 다음, 주입부(inlet) 175℃, 배출부(outlet) 80℃의 조건에서 분무 건조하여 어두운 노랑색 분말(deep yellow powder)로서 마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새싹보리 건조분말(dry powder) 추출물 제조
상기 새싹보리를 분쇄한 후 17배수의 물(V/V)을 용매로 하여, 상온에서 24h 추출한 후, 여과지(Whatman No.5B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40∼45℃에서 회전감압농축기(Heidolph, Germany)로 20∼25brix가 되도록 농축한 다음, 주입부(inlet) 175℃, 배출부(outlet) 80℃의 조건에서 분무건조 하여 밝은 녹색 분말(light green powder)로서 새싹보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삼채 뿌리 건조분말(dry powder) 추출물 제조
상기 삼채 뿌리를 분쇄한 후 9배수의 물(V/V)을 용매로 하여, 95∼100℃에서 18h 동안 추출한 후, 여과지(Whatman No.5B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다시 9배수의 물을 용매로 하여 100℃에서 3h 동안 추출하였다. 그 후, 회전감압농축기(Heidolph, Germany)로 20∼25brix가 되도록 농축한 다음, 주입부(inlet) 175℃, 배출부(outlet) 75℃의 조건에서 분무건조 하여 밝은 갈색 분말(light brown powder)로서 삼채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흰민들레 뿌리 건조분말(dry powder) 추출물 제조
상기 흰민들레 뿌리를 분쇄한 후 9배수의 물(V/V)을 용매로 하여, 95℃~100℃에서 8h 추출한 후, 여과지(Whatman No.5B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다시 8배수의 물을 용매로 하여 100℃에서 5h 동안 추출하였다. 그 후, 회전감압농축기(Heidolph, Germany)로 20~25brix가 되도록 농축한 다음, 주입부(inlet) 175℃, 배출부(outlet) 75℃의 조건에서 분무건조 하여 어두운 갈색 분말(deep brown powder)로서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핑거루트 건조분말(dry powder) 추출물 제조
상기 핑거루트를 분쇄한 후 9배수의 물(V/V)을 용매로 하여, 상온에서 24h 추출한 후, 여과지(Whatman No.2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다시 8배수의 물을 용매로 하여 45℃에서 5h 동안 추출하였다. 그 후, 회전감압농축기(Heidolph, Germany)로 20∼25brix가 되도록 농축한 다음, 주입부(inlet) 175℃, 배출부(outlet) 75℃의 조건에서 분무건조 하여 황토색 분말(yellow ocher powder)로서 핑거루트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제조
마테잎, 새싹보리, 삼채 뿌리, 흰민들레 뿌리 및 핑거루트 건조 분말(dry powder) 추출물을 마테잎 3.0g, 삼채뿌리 3.0g, 흰민들레 뿌리 2.0g 및 핑거루트 2.0g 중량씩 혼합하고, 그 중량의 10배의 물을 첨가하고 100℃에서 3시간씩 2회 추출하여 그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마테잎 새싹보리, 삼채 뿌리, 흰민들레 뿌리 및 핑거루트의 천연식물 복합 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추출물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100 mg/ml로 용해시켜 스톡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NPME(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 제조
바른에프엔비에서 구입한 아스페르길루스 니제르(Aspergillus niger)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함유하는 복합 효모 농축 분말 (1.0Х109 CFU/g) 2g에 멸균수 100 ㎖를 넣고, 균질하게 혼합한 후, 여기에 멸균수 900 ㎖를 추가로 넣어 1,000 ㎖의 효모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NPME 수추출액 10ml와 효모 배양액 250 ㎖를 발효조에 넣고 37℃에서 24 시간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이하로부터 NPME, natural plant mixture extract: 하기에서 NPME로 지칭됨)을 제조하였다.
상기 NPME 발효물은 고상 및 액상을 포함하고 있었고, NPME를 진공 회전농축기를 이용하여 40℃에서 4 시간 동안 농축시켜 발효 농축물을 수득하였고, 상기 NPME 농축물을 제외한 부산물(고상 형태)을 회수하여 60℃에서 72 시간 동안 열풍 건조시켜 건조된 부산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건조 부산물을 450㎛ 크기의 분말로 분쇄한 후, 발효 부산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때 상기 발효 농축물의 농도는 18 내지 22 브릭스(brix)이었다. 상기에서 수득 된 발효 농축물 2.5 g 및 상기 발효 부산물 분말 1.5g을 혼합함으로써, 한방 복합 재료 발효물의 시료 4.0g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물질분석
실시예 2-1: 본 발명의 마테잎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 측정
제조된 마테잎 건조 분말(dry powder)을 100mg 달아 50ml의 물을 넣어 녹인 다음 필터(filter)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폴리페놀 표준품 약 10mg을 정밀하게 달아 각각 메탄올을 넣어 정확하게 20mL로 하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 10㎕씩을 가지고 다음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좌외부흡광광도계로 측정파장 254nm에서 측정하였으며, 내경 4~6mm, 길이 15~25mm의 5~10um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옥타데실실리카겔을 충전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물:포름사혼합액(70:30:0.1)으로 유량은 0.6ml/분으로 측정하였다.
마테잎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폴리페놀(polyphenol)의 함량은 11.2∼14.2mg/g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새싹보리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 측정
분쇄 제조된 새싹보리 건조 분말(dry powder) 500㎎을 달아 50% ACN 50ml을 넣은 후 75℃에서 1시간 중탕한 다음 필터(filter)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표준품은 50% ACN에 mg/ml의 농도로 제조 후 사용하였다. 228nm의 흡수파장에서 측정하였으며, CAPCELL PAK C18, 4.6Х250mm, 5㎛의 컬럼을 사용하여 01% TFA와 ACN을 전개용매로 하여 0.5ml/min 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새싹보리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사포나린(saponarin)의 함량은 2.1∼6mg/g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삼채뿌리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 측정
분쇄한 삼채뿌리 건조 분말(dry powder)을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을 추출하고, 감압 하에서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만을 농축하였다. 그 다음, 실리카겔을 6 X 15cm로 충진 한 컬럼에 상기 농축된 성분을 적재하고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를 15:5:1.5(v/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취하였다.
상기 분취 순서에 따라서 총 6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획을 농축 건조하였다. 핵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을 각각 18:2:1(v/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를 전개 용매로 이용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 silica gel 60F254, Merck)를 수행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최종적으로 리사이클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recycling HPLC, column: W252, 20.0 mm ID X 500 mm L)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순수한 단일 활성물질인 메틸설포닐메탄(Methyl Sulfonyl Methane; MSM)을 분리하였다.
삼채뿌리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메틸설포닐메탄(Methyl Sulfonyl Methane)의 함량은 55mg/g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흰민들레뿌리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 측정
분쇄한 흰민들레뿌리 건조 분말(dry powder)에 50% 에탄올을 첨가하고, 40 mHz 강도의 초음파를 40℃에서 30분간 동안 처리하였다. 1M HCl을 첨가하고, 속슬렛 기기를 이용하여 200℃에서 3시간 환류 추출하고, 추출물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고, 원심분리를 통해 상층을 분리하였다. 상층액을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고, 상기 농축액을 유리필터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을 C18 역상 칼럼을 통과시켜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액에 0.1M HCl을 첨가 후 80℃ 열 수조에서 2시간 교반하고,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고, 원심분리를 통해 상층을 분리한 후,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하여 상층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점조성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흰민들레뿌리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엘라그산(ellagic acid)의 함량은 11.3mg/g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핑거루트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 측정
분쇄 제조된 핑거루트 건조 분말(dry powder) 100 g를 에탄올 1ℓ에 넣고 48시간 상온에서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 (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을 추출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을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을 6x15cm로 충진한 컬럼에서 헥산(n-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15 : 5 : 1.5 (v/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탄올(methanol)를 각각 18 : 2 : 1 (v/v/v)의 용매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silica gel 60F254, Merck)를 이용하여 농축 건조시켜 판두라타를 분리하였다.
핑거루트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핑거루트 추출물(Boesenbergia pandurate)의 함량은 3.7*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NPME 유효성분에 대한 함량 측정
NPME 유효성분에 대한 함량측정은 실시예1 중 실시예 1-7(NPME(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 제조)와 실시예 2의 실시예 2-1 내지 2-5에 유효성분의 함량이 기록되어 있어 별도로 실시하지 않았다.
실시예 2-7: NPME 시료를 이용한 세포 독성 확인
실시예1 중 실시예 1-7(NPME(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 제조)에서 수득 된, NPME와 지방 전구세포(preadipocyte)의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3T3-L1 지방 전구세포(preadipocyte) 1 x 105 cell을 24-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24-well tissue culture plate)에 분주하여 24 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상기 실시예 1의 시험물질제조 제7번에서 수득 된 상기 혼합물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즉 시료 미처리,50 ㎍/ml 처리, 100 ㎍/ml 처리, 150㎍/ml 처리, 200 ㎍/ml 처리, 300 ㎍/ml 처리, 400 ㎍/ml 처리 및 500 ㎍/ml 처리)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시료 처리 후 WST 시약이 든 배지로 교체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멀티-플레이트 리더(multi-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배지별로 측정함으로써,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분석하였다.
도 1은 NPME의 농도에 따른 세포활력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1 중 실시예 1-7(NPME(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 제조)에서 수득된 혼합물 시료를 미처리한 경우(시료농도 0 ㎍/ml)의 세포 생존율이 100%라고 할 때, 실시예 2-7에서 수득 된 혼합물 시료를 50 ㎍/ml 내지 300 ㎍/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율이 100% 이상으로, 세포 독성을 거의 유발하지 않았으며, 특히 500 ㎍/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도 세포 생존율이 매우 높아 실시예 2에서 수득 된 혼합물 시료는 세포 독성이 없는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효능 평가
실시예 3-1: 실험동물 모델 확립
본 발명에는 선행 연구를 통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Ilexia paraquarinesis 추출물, 진달래 잎(Eucommia leaf) 등과 같은 천연 추출물들이 고지방식이(high-fat diet, HFD)로 비만이 유도된 설치류에서 항비만 효과 및 내장지방의 축적 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던 점을 기초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지방 사료(high-fat diet, HFD) 공급에 의해 설치류인 마우스에서도 비만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즉, HFD 공급으로 C57BL/6J 마우스(male)에서 사람의 비만 발생과 유사하고, NPME 발효액의 약효 평가에 적당한 전도의 비만이 유도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HFD를 이용한 실험동물 모델을 확립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에 사용한 C57BL/6J 마우스(male)는 15∼20g 사이인 개체를 일본 SLC(Shizuok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개별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케이지에서 사육되었으며, 사육실 온도는 22℃로 항온항습이 유지되었고, 명암은 12시간 주기로 자동 조절되었다. 본 동물실험은 성균관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SKKUIACUC)의 승인을 받아 수행하였다.
1주간의 적응기간을 거쳐 실험동물은 정상식이군(ND, AIN-76,Dyets,Bethlehem, PA,USA)과 고지방식이군으로 구분하였다. 고지방식이군은 무작위적으로 고지방식이 음성대조군(HFD)과 고지방식이에 NPME를 첨가한 NPME보충군 (0.5%, HFD-NPME)으로 구분하였다.
자세한 실험동물의 식이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은 마우스를 정상식이군 ND 또는 고지방식이군 HFD, HFD+NPME발효액 보충군으로 구분하여 투여된 식이 구성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실험동물은 시험기간 동안 물과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하였으며, 식이 섭취량과 체중 변화량은 일주일에 두번씩 측정하였다. 8주 후, 마우스는 12시간 동안 금식 시키고 졸레틸(zoletil)을 이용하여 마취하였다.
혈액시료는 하대정맥을 통해 채혈 되어 EDTA가 코팅된 튜브에 보관하였다.
4℃, 1,000Хg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하여 혈장 및 혈청을 분리하였으며, 모든 시료는 분석 전까지 -80℃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3-2: 체내 지방조직의 무게 측정 및 조직구조 비교
생화학적 분석을 하기 전으로써, 간과 내장지방조직을 조심스럽게 적출하여 PBS로 세척하였으며, 각 조직의 무게를 칭량하고 사용 전까지 -80℃에 보관하였다.
조직학적 분석을 위해 부고환지방 및 간조직은 4%의 완충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였고, 파라핀에 포매(embedding)하였다. 또한 4μm두께로 절편을 잘라 H&E H&E(hematoxylin과 eosin)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Carl Ziess, Oberkochen, Germany)으로 관찰하였다. 400배의 배율에서 촬영한 후 Axio Vision Rel.4.6 (Carl Ziess)을 이용하여 조직의 세포 크기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3-3: 생화학적 분석
혈장 포도당 함량은 앰플렉스 레드 글루코스 키트(amplex red glucose kit)(Invitrogen, Grand Island, NY,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인슐린(insulin)은 마우스 인슐린 키트(mouse insulin kit; SIBAYAGI, Shibukaw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V-콜레스테롤 키트(V-cholesterol kit; Asan Pharmaceutical,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고밀도 지단백(HDL)-콜레스테롤은 HDL-콜레스테롤 키트(HDL-cholesterol kit; Asan Pharmaceutical)로 측정하였으며, 저밀도 지단백(LDL)-콜레스테롤은 총콜레스테롤에서 H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triglyceride)을 5로 나눈 값을 빼 준 것으로 결정하였다.
혈장 중성지질 함량은 아산제약(asan pharmaceutical)에서 구입한 시약을 활용하여 효소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Leptin 농도는 마우스 렙틴 ELISA(mouse leptin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kit; Biovendor, Brno, Czech)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간지질 분석을 위해서는 간조직을 20mM 인산칼륨 완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7.4)에 넣고 분쇄한 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혼합한 용액(1:1. v/v)을 넣어 지질을 추출하였으며, 간 조직내의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함량은 혈청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3-4: Real-time RT-PCR분석
후복막강 조직 내 지방생성(adipogenesis)와 관련된 SREBP1c와 C/EBPα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후복막강에서는 RNAqueous (Ambion*, GrandIsland, NY, USA)를 이용하여 RNA를 분리하였으며, 수퍼스크립 ±키트(Superscript ±kit; Invitrogen)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으며 디바이스e (RT-PCR/qPCR) 셋팅(setting) 방법과 실시간(real time) RT-PCR 분석(analysis) 순서는 도 2(RT-PCR/qPCR(Real-time gene analysis device) 셋팅 방법을 나타낸 도면)와 도 3(실시간(real time) RT-PCR의 분석 절차(analysis procedure)를 나타낸 도면)에 나타내었다. 주형(template주형)의 gen bank accession number 및 전방향(forward; F)와 역방향(reverse; R) 프라이머(primer)의 염기서열은 하기 표 2와 같다.
표 2는 지방분해유전자의 프라이머 서열(primer sequence)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실시간(real-time) PCR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의 발현수준과 비교하여 보정하였고, 비교 주기 임계 방법(comparative cycle threshold metho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PCR 반응(reaction)의 융해 곡선(melting curve)을 통해 증폭된 유전자의 순도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실시예 3-5. 통계분석
모든 결과는 평균과 표준오차를 계산하였다. 실험군 사이의 차이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p<0.05의 유의수준에서 던컨 테스트(Duncan's 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실시예 3-6. 실험결과(1) 지방세포 분화억제 및 지방전구세포의 생존률의 변화
항비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천연식물 혼합추출(NPME) 발효액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분화유도배지에 다양한 농도(10, 50, 100μg/mL)의 NPME 발효액을 처리하였으며, 아디포 레드 시약(adipo red reagent)으로 세포 내의 지방축적 정도를 관찰하였으며, 지방전구세포 상태에서의 지방축적 정도를 blank로, NPME를 처리하지 않고 분화유도를 하여 성숙한 상태의 지방세포를 대조구(100%)로 하여 백분위로 표시하였다.
도 4는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NPME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성숙지방세포에 대한 NPME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결과, NPME 처리를 통해 지방축적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한 것을 도 4에, 그리고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한 것을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욱 자세히는 지방전구세포에 NPME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10μg/ mL의 경우 91.7%, 100μg/mL의 경우 39.9%로 농도 의존적으로 정상세포의 수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화된 지방세포에 NPME를 처리한 경우 지방 분해가 촉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세포에 NPME를 처리하고 지방이 분해되어 세포 밖으로 분비된 글리세롤(glycerol)의 발생량이 증가하였으며, 성숙한 지방세포의 생존력에도 영향을 주어 NPME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사멸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7. 실험결과(2) NPME의 내장지방에 대한 항비만 효과
본 실험의 결과는 내장지방에 대한 항비만 효과를 보여준다. 지방세포에 대한 NPME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 모델에서 NPME의 항비만 효과를 시험하였다.
NPME 보충군의 각 마우스들은 8주 동안 하루에 약 18.6mg의 NPME(620mg/kg /day)를 섭취하게 하였다. 음성대조군인 고지방 식이군과 비교하여 NPME 보충군에서 체중 증가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은 표 3과 같다.
표 3은 마우스의 ND, HFD, HFD+NPME 시험구의 8주 식이 후 내장지방의 중량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표 3]
실험이 완료되었을 때 고지방 식이군 대비 NPME를 투여한 쥐의 체중은 9.3%, 체중 증가량은 23.8% 감소하였다(p<0.05). 식이 섭취량에 있어서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NPME 보충군의 사료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은 고지방 식이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NPME에 의한 체중 증가량 감소가 각 조직의 지방 축적 감소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동물 희생 후 지방조직의 무게를 확인하였다.
총 내장지방의 무게는 정상식이를 급여한 쥐와 비교하여 고지방 식이군에서 98.8%가 증가하였다(p<0.05). 반면에 NPME 보충군에서는 고지방 식이군 대비 총 내장지방의 무게가 28.1%감소하였으며, NPME 보충군에서는 고지방 식이군 대비 후복막강지방(37.0%), 부고환지방(26.8%), 신주위지방 (39.2%), 장간막지방(19.0%) ,피하지방(28.8%) 각각에서 지방조직의 무게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표 3에 나타냈었다.
후복막강 지방과 부고환 지방의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서 지방 세포의 크기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지방조직의 무게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 도면 5(성숙지방세포에 대한 NPME의 효과를 나타낸 도면)과 도면 6(도 6은 마우스에 NPME 투여에 따라 부고환지방과 후복강지방의 감소에 대한 조직학적 변화를 전자현미경 실사로 나타낸 도면)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8. 실험결과(3). NPME의 혈장 및 후복막강 지질 대사에 대한 효과
선행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만과 내장지방의 축적은 혈중 지질 함량을 변화시키고 지방조직에서의 아디포사이토카인(adipocytokine)의 분비에 영향을 주고, 아디포사이토카인(adipocytokine)의 분비 변화는 인슐린 저항성 및 비알콜성 지방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본 실험 결과에서 NPME 보충에 따른 혈장 지질 및 아디포사이토카인(adipocytokine)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는 NPME의 triglyceride 및 아디포사이토카인(adipocytokine)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혈장 중의 중성지질 농도는 고지방 식이군 대비 NPME 보충군에서 24.4%나 낮아졌지만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장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 그리고 혈장 중 포도당 및 인슐린 함량도 고지방식이나 NPME 섭취를 통해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표 4]
그러나 고지방식이 대비 NPME 보충군의 후복막강의(retroperitoneal) 무게 감소에는 현격한 영향을 주었으며,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서도 NPME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후복막강 조직 내의 지방 축적을 개선하고(도면 5 참조), 중성지질 함량을 낮춰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참조).
실시예 3-9. 실험결과(4). NPME의 지방분해 관련 유전자의 발현 수준에 미치는 효과
후복막강(retroperitoneal)에서 얻어진 RNA를 실시간(real-time) RT-PCR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고지방 식이군에서는 SREBP1c와 C/EBPα 유전자가 유의적으로 저발현(down-regulation)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NPME 투여에 따라 지방조직과 후복강지방의 감소에 대한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혈장 중의 중성지질 농도는 고지방식이군 대비 NPME발효액 보충군에서 24.4%나 낮아졌지만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장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 그리고 혈장 중 포도당 및 인슐린 함량도 고지방식이나 NPME발효액 섭취를 통해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고지방식이 대비 NPME발효액 보충군의 후복막강 후복막강의(retroperitoneal) 무게 감소에는 현격한 영향을 주었으며,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서도 NPME발효액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후복막강 조직 내의 지방 축적을 개선하고, 중성지질 함량을 낮춰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NPME 급여를 통해 유전자 SREBP1c와 C/EBPα의 회복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고지방식이에 의한 지방 분해 관련 유전자의 발현수준 변화는 NPME급여를 통해 도 8에서는 모두 회복되었음을 보여준다.
NPME 보충군에서 SREBP1c와 C/EBPα의 발현량은 고지방식이군대비 각각 1.72배와 1.27배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앞선 두종류의 유전자는 지방 조직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며, 지방세포 분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정 조건에서는 SREBP1c와 C/EBPα의 활성인자들이 대사장애 치료제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Sidell RJ, Cole MA, Draper NJ, Desrois M, Buckingham RE, Clarke K. 2002. Thiazolidinedione treatment normalizes in sulin resistance and ischemic injury in the Zucker fatty rat heart. 51:1110-1117.) 결론적으로 NPME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지방간, 이상지질혈증, 고렙틴혈증을 개선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은,
    마테 추출물 30.3 중량부 내지 30.5 중량부,
    새싹 보리 추출물 14.5 중량부 내지 14.7 중량부,
    삼채 뿌리 추출물 15.5 중량부 내지 15.7 중량부,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29.7 중량부 내지 29.9 중량부 및
    핑거루트 추출물 10.0 중량부 내지 10.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발효시켜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테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 삼채 뿌리 추출물,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 및 핑거루트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물, 탄소수가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발효시켜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천연식물 혼합추출물을 효모 배양액을 혼합하여 발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120770A 2022-09-23 2022-09-23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20240041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770A KR20240041586A (ko) 2022-09-23 2022-09-23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770A KR20240041586A (ko) 2022-09-23 2022-09-23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586A true KR20240041586A (ko) 2024-04-01

Family

ID=9066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770A KR20240041586A (ko) 2022-09-23 2022-09-23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586A (ko)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Huh KB. 1990. The present status of nutrition-related diseased and its countermeasure. Korean J Nutr23:197-207.
(2) Moon SJ. 1996. Nutritional problems of Korean. Korean J Nutr 29:371-380).
(3) Kim et al.,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13:584-593, 2011; Kim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 13:994-1005, 2012.
(4) Kim SH, Lee JM, Kim HY. 1993. The composition of health status with age by fat intake pattern. KSF report.
(5) Kim D, Kim MS, Sa BK, Kim MB, Hwang JK. 2012. Boesenbergia pandurata attenuates diet-induced obesity by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nd regulating lipid metabolism. Int J Mol Sci 13:994-1005.
(6). Kim YJ, Kim KY, Kim MS ,Lee JH, Lee KP, Park T. 2008. A mixture of the aqueous extract of mate, taraxacum coreanum and L-carnitine reduces the accumulation of visceral fat mass in rats rendered obese by a high fat diet.2:353-358.
(7) Pang J ,Choi Y, Park T.2008. allium hookeri extract ameliorates obesity induced by high-fat diet: potential role of AMPK in the visceral adipose tissue.476:178-18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6693A (zh) 糖尿病预防或改善剂
KR20200125155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0048B1 (ko) 가자나무열매추출물 및 암라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446528B1 (ko) 흑마늘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45279B1 (ko)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KR101368723B1 (ko)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KR20160052824A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 음료
KR101119167B1 (ko) 체지방 억제에 유용한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비만조성물
KR20230014156A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40041586A (ko)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30477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10099369A (ko) 당뇨 질환의 예방, 치료용 배초향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용 제제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1814257B1 (ko) 큰천남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091770A (ko)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76269B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20220175866A1 (en) Enzymatically treated catechin product with increased contents of gallic acid, epicatechin, and epigallocatechi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337130B1 (ko) 한방 복합 재료의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EP2052728B1 (en) Hypoglycemic composition containing component originating in the bark of tree belonging to the genus acacia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43056B1 (ko)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187385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