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017B1 - 자동 원고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고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원고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고 판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0017B1 KR101430017B1 KR1020100124122A KR20100124122A KR101430017B1 KR 101430017 B1 KR101430017 B1 KR 101430017B1 KR 1020100124122 A KR1020100124122 A KR 1020100124122A KR 20100124122 A KR20100124122 A KR 20100124122A KR 101430017 B1 KR101430017 B1 KR 1014300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gear portion
- resistance
- outer cover
- ad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17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 G03G2215/0018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 G03G2215/0019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original either moving or at rest
- G03G2215/0020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original either moving or at rest where separate scanning surfaces are us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37—Gearing with brake means for gea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ADF(25)는, ADF 본체부(16), 스캐너 프레임, 기어부(17), 저항 기어(47), 토크 리미터(18), 및 외장 커버(61)를 구비한다. 스캐너 프레임은, 원고 반송 경로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위치로부터 상방의 노출위치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ADF 본체부(16)에 지지된다. 기어부(17)는, 스캐너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해당 스캐너 프레임의 회전축선 상에 배치된다. 토크 리미터(18)는, 스캐너 프레임이 노출위치부터 하방의 사용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기어부(17)에 맞물리는 저항 기어(47)에 저항을 부여한다. 외장 커버(61)는, 기어부(17)의 일부를 덮도록 ADF 본체부(16)에 부착된다. 또한, 외장 커버(61)는, 저항 기어(4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기어부(17)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접촉부(62)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35 U.S.C. 119 조약하에서 2009년 12월 1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286369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출원 명세서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병합된다.
본 발명은, 자동 원고 반송 장치의 내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회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내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회전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의 자동 원고 반송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자동 원고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개시한 공지문헌이 있다.
공지문헌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는 화상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처리부가 내장된 장치 본체의 상면을 덮는 동작위치와 상기 상면을 개방하는 대기위치와의 사이에서 지지축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커버수단을 상기 대기위치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커버수단이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동작위치를 향해 자중(自重)에 의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더욱이,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커버수단을 상기 동작위치에 부동상태로 고정시키는 걸림고정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과 상기 걸림고정수단이 상기 장치 본체에 고정되는 공통의 베이스부에 설치된다.
공지문헌에 개시된 구성은, 커버수단의 회전시에 원호형상의 기어가 토크 기어에 맞물림으로써 해당 커버수단의 낙하 충격을 완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원호형상의 기어가 토크 기어에 맞물려 있는 동안은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원호형상의 기어와 토크 기어 간의 맞물림이 해제된 시점에서 저항이 부여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원호형상의 기어를 가능한 한 길게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원호형상의 기어가 길어지면, 그만큼 커버수단의 회전시에, 해당 원호형상의 기어가 다른 부재와 간섭할 우려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원고 반송 경로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의 회전 중심과 동일축선 상에, 해당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톱니바퀴 형상의 기어부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에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수단을 해당 기어부와 맞물리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프레임의 회전 스트로크 전역에 걸쳐 중단됨이 없이 저항을 부여할 수 있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를 단순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은, 프레임의 회전시에, 저항수단의 저항에 의해, 기어부가 저항수단과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해당 기어부가 저항수단을 타고 오르는(기어부의 부상(浮上))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이러한 구성을 채용할 경우, 기어부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용의 부재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그러나, 전용 부재의 추가는, 제조비용을 높이며, 부품수의 증대를 초래한다. 따라서, 프레임의 회전 중심과 동일축선상에 해당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기어부를 배치하는 구성의 경우에도, 생산성 향상의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레임의 낙하시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기구를, 간소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관점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가 제공된다. 즉, 자동 원고 반송 장치는, 본체부와, 회전 프레임과, 기어부와, 저항 기어와, 브레이크부와, 외장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 프레임은, 원고 반송 경로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위치로부터 상방의 노출위치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지지된다. 상기 기어부는, 톱니바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축선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저항 기어는, 상기 기어부와 맞물린다.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회전 프레임이 상기 노출위치로부터 하방의 상기 사용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저항 기어에 저항을 부여한다.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기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저항 기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기어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접촉부를 가진다.
이에 따라, 회전 프레임의 회전시에, 브레이크부에 의해 저항을 부여받은 저항 기어의 반력(反力)에 의해, 기어부가 해당 저항 기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더라도, 그 이동을 외장 커버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프레임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기어부와 저항 기어 간의 맞물림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 기어 및 기어부를 통해 브레이크부에 의한 저항을 회전 프레임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회전 프레임의 낙하시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장 커버가 기어부의 위치 결정을 행하므로, 기어부의 부상 등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부품을 자동 원고 반송 장치의 구성으로부터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의 삭감 및 조립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의 자동 원고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외장 커버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어부의 형상에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접촉부가 기어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기어부의 둘레방향에서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어부의 위치 결정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에 의해, 기어부의 이동을 광범위하게 규제할 수 있다.
상기의 자동 원고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외장 커버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어부의 회전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 프레임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접촉부에 의한 기어부에 대한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프레임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면서 외장 커버에 의해 기어부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의 자동 원고 반송 장치에서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장 커버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어부가 상기 저항 기어에 맞물리는 부분과 상기 기어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기어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저항 기어와 맞물려 있지 않은 부분에서 접촉부가 기어부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부와의 접촉에 의해 기어부의 톱니에 마모가 생긴 경우라 하더라도, 마모가 생긴 부분은 저항 기어와 맞물려 있지 않은 부분이므로, 기어부와 저항 기어 간의 맞물림은 적절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기어부 마모의 영향을 받지 않고 회전 프레임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의 자동 원고 반송 장치에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회전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어부를 회전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품을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를 더욱 삭감할 수 있다.
상기의 자동 원고 반송 장치에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원고 반송 경로의 원고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어부가 원고 반송의 방해가 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작업에 있어서, 잼(jam)된 원고가 기어부에 걸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자동 원고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회전 프레임이, 상기 기어부의 회전 중심과 축선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반송 롤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 프레임의 회전시에 반송 롤러의 위치가 변하지 않게 되므로, 회전 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반송 롤러가 다른 부재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장 커버에 의해 기어부가 고정됨으로써, 기어부와 함께 반송 롤러가 위치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반송 롤러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부품을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를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관점에 따르면, 상기의 자동 원고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원고 판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구성요소, 공정, 단계,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ADF 및 이미지 스캐너 장치를 포함하는 복사/팩시밀리 복합기의 모습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ADF 및 이미지 스캐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외장 커버를 분리해낸 ADF의 정면측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ADF의 정면측에서 바라본 외장 커버와 기어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ADF의 배면측에서 바라본 외장 커버와 기어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기어부에 외장 커버의 접촉부가 접촉되어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저항 기어와 기어부와 접촉부 간의 위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스캐너 프레임이 노출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회전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ADF 및 이미지 스캐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외장 커버를 분리해낸 ADF의 정면측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ADF의 정면측에서 바라본 외장 커버와 기어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ADF의 배면측에서 바라본 외장 커버와 기어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기어부에 외장 커버의 접촉부가 접촉되어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저항 기어와 기어부와 접촉부 간의 위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스캐너 프레임이 노출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회전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다음으로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원고 판독 장치로서의 이미지 스캐너 장치(10)를 포함하는, 복사/팩시밀리 복합기(20; 이하, 복합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ADF[Auto Documents Feeder]; 25)를 구비한 이미지 스캐너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복사/팩시밀리 복합기(20)는, 북 스캐너 및 자동 원고 반송 스캐너로서 기능하는 이미지 스캐너 장치(10)를, 해당 복합기(20)의 상부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복합기(20)는, 복사 부수, 팩시밀리 송신처 및 원고 판독 등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패널(77)을 구비한다.
또한, 복합기(20)는, 기록매체로서의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 등을 내장한 본체(78)와, 상기 용지를 순차로 공급하는 급지(給紙) 카세트(7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78)는, 통신회선을 통해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도시가 생략된 송수신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복합기(20)가 구비하는 이미지 스캐너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지 스캐너 장치(10)는, 플래튼 유리(platen glass, 22)와 원고대 커버(21)를 구비하고 있다. ADF(25)는, 원고대 커버(21)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미지 스캐너 장치(10)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로서, 본체(78)측에 배치되는 본체측 스캐너 유닛(50)과, ADF(25)측에 배치되는 ADF측 스캐너 유닛(60)을 구비하고 있다.
ADF(25)는, 원고 트레이(23)와, 배출 트레이(24)와, ADF 본체부(본체부; 16)와, 개폐 커버(11)와, 외장 커버(61; 도 2에서는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 트레이(23)는, 원고대 커버(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배출 트레이(24)는, 원고 트레이(23)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개폐 커버(11)는, ADF 본체부(16)의 상측을 덮는 동시에, 커버 회전축(43)을 통해 ADF 본체부(1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장 커버(61)는, ADF(25)의 정면측에서 ADF 본체부(16)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도 1 참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고대 커버(21)의 내부에는, 원고 트레이(23)와 배출 트레이(24)를 연결하는 만곡된 형상(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누운 U자 형상)의 원고 반송 경로(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고 트레이(23)에 포개어 세트된 원고는, 1매씩 분리되어 상기 원고 반송 경로(30)를 따라 반송되어, 배출 트레이(24)로 배출된다. 원고 판독 개시 등과 같은 지시는, 도 1에 나타낸 조작 패널(77)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원고 반송 경로(30)를 따라, ADF(25)의 각 부분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트레이(23)로부터 원고 반송 경로(30)로 원고가 공급되는 부분에는 픽업 롤러(3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픽업 롤러(31)의 하류측에는 분리 롤러(32)가 배치되어 있다. 픽업 롤러(31)가 구동됨으로써, 원고 트레이(23) 상의 최상층의 원고가 ADF(25) 내로 계속 들어온다. 원고는 픽업 롤러(31)의 구동에 의해 분리 롤러(32)로 보내진다. 회전구동되는 분리 롤러(32)와 분리 패드(도시 생략)에 의해 원고는 1매씩 분리되어, 원고 반송 경로(30)의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분리 롤러(32)의 하류측에는, 레지스트 롤러(반송 롤러; 39)와, 상기 레지스트 롤러(39)와 쌍을 이루는 대향 롤러가 배치되어 있다. 레지스트 롤러(39)는 상기 대향 롤러와 함께, 분리 롤러(32)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원고의 선두측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느슨하게 하고, 소정시간 후에 느슨함을 제거하면서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이에 따라, 원고의 사행(斜行)이 교정된다. 또한, 레지스트 롤러(39)의 하류측에는, 복수의 반송 롤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레지스트 롤러(39)의 구동에 의해 하류측으로 반송된 원고는, 복수의 반송 롤러와 이에 대향하는 롤러에 의해 니핑(nipping)되어, 더욱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지스트 롤러(39)보다 하류측의 원고 반송 경로(30)에는, 제 1 원고 판독 위치(8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원고 판독 위치(80)의 더욱 하류측에는, 제 2 원고 판독 위치(90)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원고 판독 위치(80)는, 본체측 스캐너 유닛(50)에 의해 원고의 제 1면이 판독되는 위치이다. 제 2 원고 판독 위치(90)는, ADF측 스캐너 유닛(60)에 의해 원고의 제 2 면이 판독되는 위치이다.
본체측 스캐너 유닛(50)은, 본체(78)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광원, 반사 미러, 집광렌즈, 및 전하 결합 소자(CCD) 등을 가지는 축소 광학 시스템의 판독수단으로서 구성된다. 스캐너 유닛이 가지는 광원, 반사 미러 등은, 적당히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78)의 상면에 배치되는 플래튼 유리(22)상의 원고를 주사하여 판독할 수 있다. 원고대 커버(21)는, 본체(78)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 플래튼 유리(22)상의 원고를 판독할 경우에는, 상기 원고대 커버(21)에 의해 원고를 해당 플래튼 유리(22) 상에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본체측 스캐너 유닛(50)의 부품을 이동시켜 해당 원고를 판독하게 되어 있다.
ADF측 스캐너 유닛(60)은, 본체측 스캐너 유닛(50)과 마찬가지로, 광원, 반사 미러, 집광렌즈, 및 전하 결합 소자(CCD) 등을 가지는 축소 광학 시스템의 판독수단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ADF측 스캐너 유닛(60)은, U자 형상으로 구성된 상기 원고 반송 경로(30)에 내측에서 접하도록, 해당 원고 반송 경로(30)의 내측에서 스캐너 프레임(12)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스캐너 프레임(회전 프레임; 12)은, ADF측 스캐너 유닛(60)의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 등을 내부에서 지지하는 동시에, 그 외측을 덮어서 보호하도록 밀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캐너 프레임(12)의 하면에는, 원고 판독 부분으로서의 판독 유리(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캐너 프레임(12)은, 원고 반송 경로(30)의 내측으로부터 원고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면(19)이 그 상면에 형성되어 있어, 원고 반송 경로(30)의 일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캐너 프레임(12)은, 상기 판독 유리 근방의 원고 반송 경로(30)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해 ADF 본체부(1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참고로, 스캐너 프레임(12)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에 대한 상세는 후술하기로 한다.
가이드면(19)의 하류측에는, 해당 가이드면(19)에 의해 가이드되어 온 원고를 제 1 원고 판독 위치(80)까지 가이드하는 본체측 가이드부(2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측 가이드부(27)는, 스캐너 프레임(12)과는 독립적으로 ADF 본체부(16)에 고정되어 있으며, 원고 반송 경로(30)의 폴딩(folded)부분의 내측으로부터 원고를 안내하는 본체측 가이드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이미지 스캐너 장치(10)를 자동 원고 반송 스캐너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이나 반사 미러 등을 원고 반송 경로(30)의 제 1 원고 판독 위치(80)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정지시켜 둔다. 이 상태에서, 상기 ADF(25)에 의해 원고를 1매씩 반송시킨다. 원고의 표측의 면(제 1면)의 화상은 제 1 원고 판독 위치(80)에서 본체측 스캐너 유닛(50)에 의해 판독되고, 이측의 면(제 2 면)의 화상은 제 2 원고 판독 위치(90)에서 ADF측 스캐너 유닛(60)에 의해 판독된다. 2개의 원고 판독 위치에서 표리(表裏) 양면의 내용이 판독된 원고는 배출 트레이(24)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원고 반송 경로(30)로 원고를 1회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양면 판독이 가능한 구성인, 이른바 '원 패스 방식'의 ADF(25)가 구성되어 있다.
본체측 스캐너 유닛(50) 및 ADF측 스캐너 유닛(60)에서 판독된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적당히 변환처리되어, 복합기(20)가 구비하고 있는 화상형성부로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송신된 화상정보가 화상형성부에 의해 기록매체로서의 용지에 전사됨으로써, 복합기(20)의 복사 기능 등이 실현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ADF(25)가 구비하고 있는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기구(개폐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외장 커버(61)를 떼어낸 ADF(25)의 정면측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ADF(25)의 정면측에서 바라본 외장 커버(61)와 기어부(17)간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ADF(25)의 배면측에서 바라본 외장 커버(61)와 기어부(17) 간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기어부(17)에 외장 커버(61)의 접촉부(62)가 접촉되어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저항 기어(47)와 기어부(17)와 접촉부(62) 간의 위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스캐너 프레임(12)이 노출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기구는, 원고를 판독하기 위한 하측의 사용위치(도 2 참조)와, ADF측 스캐너 유닛(60)의 판독 유리를 노출시키는 상측의 노출위치(도 8 참조) 사이에서 상기 스캐너 프레임(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기구는, 저항 기어(47)와, 기어부(17)와,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 18)와, 회전축(41)과, 외장 커버(61)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 기어(47)는, ADF 본체부(16)의 정면측에 배치되는 부착판(28)의 정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저항 기어(47)에는, 원 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 도시 생략)를 통해 토크 리미터(18)가 접속되어 있다.
기어부(17)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형상의 유지부(26)를 통해 스캐너 프레임(12)에 지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부(26)는, 스캐너 프레임(12)으로부터 장치의 정면방향으로 돌출된 후, 일측(도 2에서의 좌측)으로 구부러져, 사용위치의 상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L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기어부(17)는, 톱니바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축방향이 정면측을 향하도록 유지부(26)의 단부로부터 정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캐너 프레임(12)과 유지부(26)와 기어부(17)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스캐너 프레임(12)은 기어부(17)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기어부(17)의 톱니(齒)는,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범위에서 배열되어 있으면 되며, 그 구성은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부(17)는, 스캐너 프레임(12)의 정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스캐너 프레임(12)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면(19)보다 정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이드면(19)에 겹치지 않도록, 기어부(17)가 해당 가이드면(19)의 원고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해당 기어부(17)가 원고의 반송에 방해가 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하고 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원고 폭 방향이란, 가이드면(19)과 동일한 평면에 있어서, 원고를 반송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토크 리미터(브레이크부; 18)는, 스캐너 프레임(12)이 노출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회전할 때(도 8 참조), 기어부(17)에 저항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토크 리미터(18)는, 저항 기어(47)의 회전에 제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저항 기어(47)로부터, 기어부(17)의 회전에 대하여 저항을 부여한다. 본 실시형태의 토크 리미터(18)는, 원 웨이 클러치에 의해, 스캐너 프레임(12)이 하방으로 회전할 때, 저항 기어(47)에 저항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41)은, 그 축선이 기어부(17)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스캐너 프레임(12)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41)은, 스캐너 프레임(12)과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ADF 본체부(1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장 커버(61)는, 저항 기어(47), 토크 리미터(18) 및 기어부(17) 등과 같은 장치의 정면측에 배치되는 부재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장 커버(6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외장 커버(61)는, 상기 기어부(17)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해당 기어부(17)에 접촉하는 접촉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접촉부(62)는 외장 커버(61)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장 커버(61)의 접촉부(62)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 커버(61)가 가지는 배면측 벽부(66)의 하측 단부에는 원호형상의 오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62)는 상기 오목부(65)의 단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는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62)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62)의 원호부분은, 기어부(17)의 톱니 선단을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가상적인 원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그 반경 및 위치 등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62)의 하면에 형성되는 원호면이, 기어부(17)의 상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톱니 선단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촉부(62)가 복수의 톱니 선단에 접촉함으로써, 기어부(17)의 위치 결정을 복수의 부분에서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원호부분은, 기어부(17)를 사이에 두고 저항 기어(47)와 마주보도록,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장 커버(61)를 부착시킨 상태에서는, 접촉부(62)에 의해 기어부(17)는 저항 기어(47)측으로 압입되는 형태가 되어, 해당 기어부(17)와 저항 기어(47) 간의 축간 거리를 적절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크 리미터(18)를 통해 전달되는 제동력을 저항 기어(47)에서 기어부(17)로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62)는, 그 폭방향의 두께가 배면측 벽부(66)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은 상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기어부(17)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촉부(62)의 길이방향이 기어부(17)의 회전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됨으로써, 접촉부(62)와의 접촉으로 인해 생기는 기어부(17)의 마모가 국소적이게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62)는, 외장 커버(61)를 부착시킨 상태에서는 저항 기어(47)보다 배면측에 위치되어 있어, 상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저항 기어(47)에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촉부(62)를 배치함으로써, 기어부(17) 중, 위치결정에 이용하는 영역(접촉부(62)와의 접촉으로 인해 마모되는 영역)과, 저항 기어(47)에 맞물리는 영역을 나눌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 커버(61)의 접촉부(62)가 기어부(17)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당 기어부(17)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해 기어부(17)가 마모된다 하더라도, 저항 기어(47)와 맞물려 있지 않은 부분만이 마모되게 된다. 따라서, 마모에 의해 기어부(17)의 톱니 선단이 빠진다 하더라도, 그 빠진 부분이 기어부(17)와 저항 기어(47) 간의 맞물림에 악영향을 주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DF 본체부(16)에 대한 스캐너 프레임(12)의 부착작업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하여 수행한다. 우선, ADF 본체부(16)에 외장 커버(61)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축(41)을 ADF 본체부(16)에 지지시킨다. 그런 다음, 기어부(17)와 저항 기어(47)를 맞물리게 한다. 그리고, 기어부(17)와 저항 기어(47)가 맞물린 상태(도 3에 나타낸 상태)에서, 외장 커버(61)를 부착시킨다. 이에 따라, 스캐너 프레임(12)은, 그 정면측이 기어부(17), 저항 기어(47) 및 외장 커버(61)를 통해 ADF 본체부(16)에 지지되는 동시에, 그 배면측이 회전축(41)을 통해 ADF 본체부(16)에 지지된다. 스캐너 프레임(12)은, 기어부(17), 저항 기어(47), 외장 커버(61) 및 회전축(41)에 의해, 기어부(17)의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ADF 본체부(16)에 양팔보 형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레지스트 롤러(39)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레지스트 롤러(39)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기어부(17)에 겹쳐져 있으며, 기어부(17)의 회전 중심과 레지스트 롤러(39)의 회전 중심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스캐너 프레임(12)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기어부(17)의 위치가 결정되면, 회전 중심이 동일한 레지스트 롤러(39)의 위치도 동시에 결정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ADF(25)는, 기어부(17)의 위치 결정이 레지스트 롤러(39)의 위치 결정을 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어부(17)의 위치를 외장 커버(61)에 의해 위치결정함으로써, 회전 중심이 일치하는 레지스트 롤러(39)를 정밀도 높게 위치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외장 커버(61)는 레지스트 롤러(39)의 위치 결정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스캐너 프레임(12)을 사용위치로부터 노출위치로 회전시키더라도, 레지스트 롤러(39)의 위치가 회전 중 및 회전 전후에 거의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이드면(19)으로부터 상방으로 튀어나와 있는 레지스트 롤러(39)가 원고 반송 경로(30)에 간섭할 우려도 없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ADF측 스캐너 유닛(60)의 유지보수 등을 행할 때에는, 먼저, ADF(25)의 개폐 커버(11)를 들어올리듯이 상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개폐 커버(11)를 개방상태로 한다. 그 결과, 원고 반송 경로(30)의 상류측 절반부가 개방된다. 그런 다음, 스캐너 프레임(12)을 들어올림으로써, 도 2의 위치(사용위치, 폐쇄위치)로부터 상방으로 회전시켜서, 도 8에 나타낸 위치(노출위치, 개방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스캐너 프레임(12)이 상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스캐너 프레임(12)은 기어부(17)를 통해 저항 기어(4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저항 기어(4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원 웨이 클러치는 토크 리미터(18)와 걸림결합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항 기어(47)에 토크 리미터(18)에 의한 저항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어부(17)에 대해 저항력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위치로부터 노출위치로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유지보수작업의 종료 후, 도 2에 나타낸 사용위치로 되돌리기 위해, 사용자는 스캐너 프레임(12)을 손으로 눌러내린다. ADF 본체부(16)에 지지되는 스캐너 프레임(12)은, 하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8의 화살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캐너 프레임(12)이 하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스캐너 프레임(12)은 기어부(17)를 통해 저항 기어(47)를 도 8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저항 기어(47)가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할 경우, 원 웨이 클러치가 토크 리미터(18)에 걸림결합되어, 저항 기어(47)의 회전에 저항하는 방향의 저항이 발생한다.
그 결과, 토크 리미터(18)에 의한 저항력이 저항 기어(47), 기어부(17) 및 유지부(26)를 통해 스캐너 프레임(12)에 전달되어, 스캐너 프레임(12)의 낙하 속도를 지연시킨다. 이와 같이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력은, 토크 리미터(18)의 저항력에 의해 적절히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낙하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스캐너 프레임(12)이 축소 광학 시스템의 판독부를 구비할 경우, 스캐너 프레임(12)의 중량이 무거워지기 때문에, 해당 스캐너 프레임(12)의 낙하 속도를 늦추기 위해, 스캐너 프레임(12)에 충분한 저항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ADF(25)는, 기어부(17)가 저항 기어(47)와 항상 맞물리는 톱니바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스트로크 전역에 걸쳐, 스캐너 프레임(12)에 저항을 끊임없이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스캐너 프레임(12)이 노출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힘이 부여된 상태로 낙하되더라도, 스캐너 프레임(12)에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저항력에 의해 낙하시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이후, 또한 개폐 커버(11)를 닫음으로써, ADF(25)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런데,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시에, 기어부(17)가 해당 저항 기어(47)를 타고오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토크 리미터(18)의 저항이 부여된 저항 기어(47)에 의해, 기어부(17)가 저항 기어(47)의 수직 상방측으로 밀려올라가는 등의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접촉부(62)에 의해, 기어부(17)의 저항 기어(47)를 타고오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기어부(17)의 부상(浮上; 저항 기어(47)에 올라 앉은 듯한 상태) 등이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어떠한 원인에 의해 ADF(25)가 진동하여, 상기 진동에 의해 기어부(17)가 저항 기어(4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접촉부(62)에 의해 그 이동이 규제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접촉부(62)는, 저항 기어(47)와 마주보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항 기어(47)로부터 멀어지려고 하는 기어부(17)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62)는, 그 두께가 배면측 벽부(66)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동시에, 회전방향으로 가늘고 긴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시에, 기어부(17)와 접촉부(62)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미끄럼 저항이 매우 작아진다. 이에 따라, 기어부(17)의 부상을 방지하면서, 스캐너 프레임(12)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미지 스캐너 장치(10)가 구비하고 있는 ADF(25)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즉, ADF(25)는, ADF 본체부(16), 스캐너 프레임(12), 기어부(17), 저항 기어(47), 토크 리미터(18), 및 외장 커버(61)를 구비한다. 스캐너 프레임(12)은, 원고 반송 경로(30)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위치로부터 상방의 노출위치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ADF 본체부(16)에 지지된다. 기어부(17)는, 톱니바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캐너 프레임(12)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해당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축선 상에 배치된다. 저항 기어(47)는, 기어부(17)와 맞물린다. 토크 리미터(18)는, 스캐너 프레임(12)이 노출위치로부터 하방의 사용위치로 회전할 때, 저항 기어(47)에 저항을 부여한다. 외장 커버(61)는, 기어부(17)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ADF 본체부(16)에 부착된다. 또한, 외장 커버(61)는, 저항 기어(4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기어부(17)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접촉부(62)를 가진다.
이에 따라,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시에, 토크 리미터(18)에 의해 저항을 부여받은 저항 기어(47)의 반력에 의해, 기어부(17)가 해당 저항 기어(4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더라도, 그 이동을 외장 커버(61)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기어부(17)와 저항 기어(47) 간의 맞물림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 기어(47) 및 기어부(17)를 통해 토크 리미터(18)에 의한 저항을 스캐너 프레임(12)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스캐너 프레임(12)의 낙하시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장 커버(61)가 기어부(17)의 위치 결정을 행하므로, 기어부(17)의 부상 등과 같은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부품을 ADF(25)의 구성으로부터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의 삭감 및 조립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ADF(25)는, 외장 커버(61)의 접촉부(62)가, 기어부(17)의 형상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어부(17)의 복수의 톱니 선단에 접촉부(62)가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62)가 기어부(17)에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기어부(17)의 둘레방향에서 크게 확보되어, 기어부(17)의 위치 결정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62)에 의해, 기어부(17)의 이동을 광범위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ADF(25)는, 외장 커버(61)의 접촉부(62)가, 해당 기어부(17)의 회전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시에 생기는, 접촉부(62)와 기어부(17) 간의 미끄럼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캐너 프레임(12)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면서 외장 커버(61)에 의해 기어부(17)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ADF(25)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즉, 외장 커버(61)의 접촉부(62)는, 기어부(17)가 저항 기어(47)에 맞물리는 부분과 기어부(17)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서 기어부(17)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저항 기어(47)와 맞물려 있지 않은 부분에서 접촉부(62)가 기어부(17)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부(62)와의 접촉에 의해 기어부(17)의 톱니에 마모가 생긴 경우라 하더라도, 마모가 생긴 부분은 저항 기어(47)와 맞물려 있지 않은 부분이므로, 기어부(17)와 저항 기어(47) 간의 맞물림은 적절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기어부(17)의 마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스캐너 프레임(12)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ADF(25)는, 기어부(17)가, 스캐너 프레임(12)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어부(17)를 스캐너 프레임(12)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품을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를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ADF(25)는, 기어부(17)가, 원고 반송 경로(30)의 원고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기어부(17)가 원고 반송에 방해가 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작업에 있어서, 잼된 원고가 기어부(17)에 걸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ADF(25)는, 스캐너 프레임(12)이, 기어부(17)의 회전 중심과 축선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레지스트 롤러(39)를 가진다.
이에 따라,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시에 레지스트 롤러(39)의 위치가 변하지 않게 되므로,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지스트 롤러(39)가 다른 부재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장 커버(61)에 의해 기어부(17)가 고정됨으로써, 기어부(17)와 함께 레지스트 롤러(39)가 위치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레지스트 롤러(39)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부품을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를 더욱 삭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구성은 아래와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외장 커버(61)가 가지는 접촉부(62)의 구성은 사정에 따라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의 접촉부(62)는, 외장 커버(61)에 1개가 형성되어 있을 뿐이지만, 접촉부의 수를 복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접촉부(62)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직선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크부가 토크 리미터(18)로 구성되어 있지만, 기어부(17)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구성이라면,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저항 기어(47) 및 토크 리미터(18)의 배치장소는, 기어부(17)의 비스듬한 하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어부(17)의 상방, 기어부(17)의 수직 하방 또는 좌우방향 등 적절한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 프레임(12)에 유지부(26)를 통해 지지되는 기어부(17)의 위치도,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사정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원고의 사행을 교정하기 위한 레지스트 롤러(39)가, 그 축선이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구성은 사정에 따라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원고의 사행을 교정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는 반송 롤러의 축선이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캐너 프레임(12)의 회전 중심에 레지스트 롤러(39)를 포함한 반송 롤러가 배치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스캐너 프레임(12)에 유지되는 판독부의 구성으로서, 축소 광학 시스템의 스캐너 유닛을 대신하여,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복합기(20)를 대신하여, 예컨대, 복사기, 팩시밀리장치 및 단일체의 이미지 스캐너 장치 등에도, 본 발명의 ADF(25)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바 이외의 다양한 실시형태 및 변경이 가능함이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내에서 모든 변경을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8)
- 본체부와,
원고 반송 경로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위치로부터 상방의 노출위치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는 회전 프레임과,
톱니바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축선상에 배치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맞물리는 저항 기어와,
상기 회전 프레임이 상기 노출위치로부터 하방의 상기 사용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저항 기어에 저항을 부여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기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는 외장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저항 기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기어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어부의 형상에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어부의 회전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어부가 상기 저항 기어에 맞물리는 부분과 상기 기어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기어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회전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원고 반송 경로의 원고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기어부의 회전 중심과 축선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반송 롤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자동 원고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원고 판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286369A JP5365802B2 (ja) | 2009-12-17 | 2009-12-17 |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原稿読取装置 |
JPJP-P-2009-286369 | 2009-12-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9706A KR20110069706A (ko) | 2011-06-23 |
KR101430017B1 true KR101430017B1 (ko) | 2014-08-14 |
Family
ID=4379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4122A KR101430017B1 (ko) | 2009-12-17 | 2010-12-07 | 자동 원고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고 판독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521066B2 (ko) |
EP (1) | EP2341398A2 (ko) |
JP (1) | JP5365802B2 (ko) |
KR (1) | KR101430017B1 (ko) |
CN (1) | CN10212322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PT106640B (pt) * | 2012-11-13 | 2023-07-10 | Vision Box Solucoes De Visao Por Computador S A | Alimentador automático de leitor de documentos |
JP6679441B2 (ja) * | 2016-07-29 | 2020-04-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記録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5687A (ja) | 1999-10-12 | 2001-04-17 | Sharp Corp | 画像形成装置の開閉機構 |
JP2005215433A (ja) | 2004-01-30 | 2005-08-11 | Kyocera Mita Corp | 原稿カバー支持機構 |
JP2006118613A (ja) | 2004-10-21 | 2006-05-11 | Brother Ind Ltd | ヒンジ装置、そのヒンジ装置を備えた自動原稿搬送装置、読取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9108617A (ja) | 2007-10-31 | 2009-05-21 | Brother Ind Ltd | 開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91660Y2 (ja) * | 1992-10-05 | 1999-03-10 | 桂川電機株式会社 | 駆動連結装置 |
JP2001088854A (ja) * | 1999-09-22 | 2001-04-03 | Canon Inc | 画像処理装置 |
JP4536477B2 (ja) * | 2004-10-14 | 2010-09-01 | 株式会社沖データ | 画像形成装置 |
US7418766B2 (en) * | 2004-12-22 | 2008-09-02 | Xerox Corporation | Hinge with tandem pivot structure motion lock and override |
US7878666B2 (en) * | 2005-06-30 | 2011-02-01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Multi-function device with pivoting display |
JP4785574B2 (ja) * | 2006-03-15 | 2011-10-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開閉機構 |
US8165495B2 (en) * | 2008-03-17 | 2012-04-24 | Lexmark International,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retracting a cartridge in an image forming devices |
US8744305B2 (en) * | 2009-06-12 | 2014-06-03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latch for openable cover |
US8611792B2 (en) * | 2010-03-30 | 2013-12-17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Opening/closing device for upper unit case,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
JP5250585B2 (ja) * | 2010-06-02 | 2013-07-31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
2009
- 2009-12-17 JP JP2009286369A patent/JP536580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12-03 CN CN201010578443.0A patent/CN10212322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2-07 KR KR1020100124122A patent/KR1014300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12-10 US US12/964,795 patent/US852106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2-16 EP EP10195420A patent/EP2341398A2/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5687A (ja) | 1999-10-12 | 2001-04-17 | Sharp Corp | 画像形成装置の開閉機構 |
JP2005215433A (ja) | 2004-01-30 | 2005-08-11 | Kyocera Mita Corp | 原稿カバー支持機構 |
JP2006118613A (ja) | 2004-10-21 | 2006-05-11 | Brother Ind Ltd | ヒンジ装置、そのヒンジ装置を備えた自動原稿搬送装置、読取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9108617A (ja) | 2007-10-31 | 2009-05-21 | Brother Ind Ltd | 開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365802B2 (ja) | 2013-12-11 |
US20110146435A1 (en) | 2011-06-23 |
EP2341398A2 (en) | 2011-07-06 |
JP2011128351A (ja) | 2011-06-30 |
KR20110069706A (ko) | 2011-06-23 |
CN102123227A (zh) | 2011-07-13 |
US8521066B2 (en) | 2013-08-27 |
CN102123227B (zh) | 2014-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12398B2 (ja) | 給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5522368B2 (ja) |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原稿読取装置 | |
JP5427872B2 (ja) | 原稿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4562186B2 (ja) |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EP1276310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1430017B1 (ko) | 자동 원고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고 판독 장치 | |
JP7232145B2 (ja) | 原稿送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6323377B2 (ja) |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4200821B2 (ja) | シート供給装置 | |
JP2006056685A (ja) | シート供給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4508933B2 (ja) | シート搬送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8100824A (ja) | 給紙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4618518B2 (ja) | 原稿読取装置 | |
JP2007031023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6240801A (ja) | 画像形成装置 | |
JP5024677B2 (ja) |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原稿読取装置 | |
JP4596033B2 (ja) | 原稿読取装置 | |
JP5146914B2 (ja) |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原稿読取装置 | |
JP7438725B2 (ja) |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3595741B2 (ja) | シート供給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5439326B2 (ja) |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7413056B2 (ja) |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6936724B2 (ja) | 原稿送り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4941677B2 (ja) |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原稿読取装置 | |
JP2007062876A (ja) | シート搬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