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034B1 -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034B1
KR101424034B1 KR1020087026629A KR20087026629A KR101424034B1 KR 101424034 B1 KR101424034 B1 KR 101424034B1 KR 1020087026629 A KR1020087026629 A KR 1020087026629A KR 20087026629 A KR20087026629 A KR 20087026629A KR 101424034 B1 KR101424034 B1 KR 101424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arrier
vertical support
support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9057A (ko
Inventor
아르터 스크워러
Original Assignee
페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10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지지대(90)의 헤드(28)에 결합 가능한 하부 캐리어(2)를 갖는 복수의 거푸집 요소(98)를 포함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직 지지대의 헤드는 거푸집 요소의 캐리어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상승방지부재(44-51, 87)를 갖는다. 또한 수직 지지대의 헤드는 캐리어가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요소(52-66)를 갖는다.
거푸집, 수직 지지대, 캐리어, 헤드, 상승방지부재

Description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SLAB FORMWORK SYSTEM}
본 발명은 그 하측에서 수직 지지대의 헤드에 결합 가능한 캐리어를 갖는 복수의 거푸집 요소를 포함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은 EP 0 130 425 A1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거푸집 패널들로 이루어진다. 거푸집 패널의 하측에는 거푸집 패널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될 때 수직 지지대의 헤드와 후크 결합될 수 있는 C-형 캐리어들이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거푸집 패널들은 후크 결합을 유지하면서 수평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수직 지지대의 헤드에 대한 캐리어들의 길이 방향으로의 변위를 피하기 위하여, C-형 캐리어의 베이스부에는 수직 지지대의 헤드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요소가 결합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공지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에서, 수직 지지대에 설치된 거푸집 요소가 대응하는 힘의 작용 시에 수직 지지대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상당한 사고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위험이 감소된 상기한 종류의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하여, 특히 수직 지지대의 헤드는 거푸집 요소의 캐리어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상승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지지대의 헤드는 캐리어가 상기 헤드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에서 충족된다.
수직 지지대에 일단 결합된 거푸집 요소가 더 이상 수직 지지대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은, 또는 실질적으로 상방을 향하거나 캐리어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거푸집 요소의 이동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변위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상승방지부재에 의하여 확보된다. 이 점은 특히 조립이나 분해 시에, 즉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에 콘크리트를 공급하기 전이나 후에 유리한데, 이는 특정한 상황에서 상방을 향하거나 캐리어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힘 성분들이 수직 지지대에 결합된 거푸집 요소의 영역에 반드시 작용하게 되고, 이 힘 성분들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거푸집 요소가 수직 지지대로부터 원치 않는, 종종 위험한, 상승분리의 결과를 야기할 수 있고 수직 지지대에 대한 거푸집 요소의 원치 않는 변위의 결과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승방지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지지대에 단단하게 그러나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고 거푸집 요소의 조립위치에서 각 거푸집 요소의 캐리어에 형성된 제2후크요소와 맞물리는 제1후크요소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승방지부재는 별도의 부품이나 공구가 없이도 제1 및 제2 후크요소의 후크 결합만으로 상승방지효과가 구현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의 분해 시에도 상응하는 긍정적 효과를 갖는다.
거푸집 요소의 캐리어는 베이스부로부터 이격 연장된 두 개의 날개부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C-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두 날개부 중 하나는 상기 제2후크요소로서 설계된다. 이 제2날개부가 어떤 형태로든 C-형 캐리어에 대해 존재하기 때문에, 제2후크요소는 실제로 별다른 경제적 노력 없이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제2후크요소로서 설계된 캐리어의 날개부는 수직 지지대의 헤드 상에서 캐리어의 지지를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중의 기능을 갖게 되고, 이것이 전체 구성의 경제성을 더욱 높여준다.
수직 지지대의 헤드는 상기 지지면의 각각의 홈에 맞물리는 고정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 홈은 C-형 캐리어의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된 지지면의 단부에 마련된다. 이는 제1후크요소가 수직 지지대의 헤드에 부착된 고정 요소에 형성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캐리어는 서로 90°만큼 변위된 두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수직 지지대에 결합 가능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컨대, 수직 지지대에 대해 캐리어를 그 길이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홈이 본 발명의 따른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베이스부와 이격된 영역에서 지지면에 마련되어 있을 때, 캐리어가 서로에 대해 90°만큼 변위된 두 방향으로 수직 지지대의 헤드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 요소를 수직 지지대의 헤드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의 가변성이 종래의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에 비해 증가하여, 본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은 수직 지지대의 헤드에 거푸집 요소를 부착할 때 존재하는 선택 가능성에 의해 개개 환경에 대해 각각 이상적인 방식으로 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의 제2날개부는 지지면 및 수직 지지대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제2후크요소로서 역할을 하고, 캐리어의 제1날개부는 최종적으로 커버 부재가 공급될 수 있는 그리드 요소의 복수의 세로 부재의 접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제1날개부는 거푸집 패널을 위한 접촉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그리드 요소의 사용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와 거푸집 패널 사이에 다른 요소가 개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캐리어는 개방된 단면요소로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상기 홈이 수직 지지대와 접촉되는 각 지지면의 영역에 마찬가지로 제공된다면 폐쇄된 단면들도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의 지지면은 각각 캐리어의 상호 이격된 단부 영역 각각에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의 홈은 다른 설치 상황이 고려될 수 있도록 캐리어를 그 길이에 걸쳐 분포된 다른 위치들에서 수직 지지대에 결합시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상승방지부재가 각각의 선택된 위치에서 구현된다.
이와 관련, 지지면의 적어도 두 개의 홈과 수직 지지대의 헤드의 두 개의 고정 요소가 상호 이격되어 두 고정 요소 각각의 동시 결합이 두 개의 홈 각각에서 가능해진다. 이 경우, 캐리어는 수직 지지대의 헤드와 같은 높이에서 끝나도록 상기 동시 결합에 의해 수직 지지대에 설치될 수도 있고, 그 양측에서 수직 지지대의 헤드를 넘어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대응하는 홈 쌍의 수가 마련될 때는, 캐리어는 각각의 환경에 맞는 다른 길이에 걸쳐 수직 지지대의 헤드를 넘어 돌출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길이들은 단지 적절한 홈 쌍을 선정함에 의해 심플하게 설정될 수 있다.
캐리어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서 지지면에 적어도 두 개의 홈의 마련 시에도, 상기 캐리어를 하나의 홈을 통해서만 수직 지지대의 헤드의 고정 요소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의 변화는 특히 길이방향으로 서로 정렬된 두 개의 캐리어가 수직 지지대의 공통 헤드에 결합되어야 할 때 선정된다.
지지면은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된 단부 영역에 상향 연장 또는 절곡된,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에 평행하게 연장된 러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러그는 특히 V-형의 절개부를 구비하고, 이 절개부는 지지면에 마련된 홈과 정렬된다. 이에 의해 절개부와 홈이 서로 통합된다. 이 경우, 지지면에 마련된 홈과 각각의 헤드의 고정 요소 사이의 정확한 위치결정이 상기 절개부에 의해 촉진되므로 수직 지지대에서 거푸집 요소의 조립이 특히 간단해진다. 특히 상기 러그를 구비한 캐리어는 러그에 있는 절개부가 헤드의 각 고정 요소 위에 직접 위치하도록 수직 지지대의 헤드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캐리어의 헤드 상으로의 하강이 일어날 수 있다. 여기서 헤드의 고정 요소는 러그의 절개부 속으로 '실이 꿰어지듯(threaded)' 들어간다. 이어서 캐리어의 길이방향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거푸집 요소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고정 요소가 그에 대응하는 지지면의 홈 속으로 러그에 마련된 절개부를 통해 강제로 진입하게 된다. 지지면의 홈으로 고정 요소를 안내하는 것은 특히 러그의 절개부의 V-형상에 의해 촉진된다. V-형 절개부의 폭은 지지면의 대응하는 홈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더욱이, 러그는 캐리어의 상호 이격된 단부 영역 각각에 상술한 종류의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절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절개부는 지지면에서 대응하는 홈과 각각 정렬된다. 이 경우, 대응 절개부는 지지면의 각 홈에 대해 러그에 마련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정 요소의 지지면 홈으로의 어떠한 원하는 진입이든 촉진된다.
지지면의 하측은 조립위치에서 베이스부로부터 시작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지면의 하측과 베이스부 사이의 각은 90°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70-80°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요소의 분해가 문제 없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캐리어에 평행하게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거푸집 요소가 회전하는 것이 거푸집 요소의 표면 영역의 상향 이동에 의해 방해받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후술할 도 5a-5c를 참조할 때 명확해진다.
수직 지지대는, 수직 지지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 연장된 지지 평면에 더하여 지지 평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캐리어의 지지면의 각각의 홈에 결합되는 고정 러그를 갖는 헤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의 고정 요소는 고정 러그에 형성된다. 절곡된 고정 러그의 사용은 판상의 원재료 요소가 헤드 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 판상 요소로부터 특정 영역,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영역이 상향 절곡되어 고정 러그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의 고정 요소를 헤드에 공급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상기 헤드를 주조 부품이나 단조 부품으로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헤드의 지지 평면에 직교 연장된 여덟 개의 고정 러그가 헤드마다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평면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평면은 네 모서리 영역의 각각에 두 개의 인접한 고정 러그를 가질 수 있고, 이 두 개의 고정 러그는 서로에 대해 직교 연장되어 있다.
특히 동시에 제1후크요소를 갖는 고정 요소는 상기 복수의 고정 러그 중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상승방지부재가, 고정 요소가 제1후크요소로 마련된 고정 러그에 대한 거푸집 요소의 결합에 의해서만 구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고정 러그가, 고정 요소가 제1후크요소로서 마련되지 않은 수직 지지대와 거푸집 요소 사이의 결합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상승방지부재는 필요 없다. 이러한 구성은 특정한 응용분야에서, 예컨대 주어진 설치 상황으로 인해 거푸집 요소를 위에서부터 수직 지지대에 설치할 필요가 있을 때 제1후크요소와 제2후크요소가 충돌할 수도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반대로, 제1후크요소가 없기 때문에 위에서부터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특정 응용분야에서는 예컨대 접근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 영역의 특정 지점에서 슬래브 거푸집을 직접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제거되어야 할 거푸집 요소가 수직 상방으로 들어올려져야 하고, 이는 수직 지지대의 영역에 제1후크요소가 마련되어 있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이와 관련,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특정한 헤드에 대해 두 개의 고정 러그에 제1후크요소를 마련하고 다른 고정 러그에 제1후크요소를 마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인데, 이는 이러한 헤드가 상승방지부재가 이루어지도록 또는 실제로 의도적으로 회피되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제1방향으로 연장된 헤드의 고정 러그가 제1후크요소를 갖는 고정 요소를 갖고,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헤드의 고정 러그가 제1후크요소가 없는 고정 요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1방향에 직교 연장된 거푸집 요소가 이러한 헤드에 결합되면, 상승방지부재가 제공된다. 그러나 만일 거푸집 요소가 제2방향에 직교 연장되면, 상승방지부재는 의도적으로 배제된다.
특히 상기 헤드는 날개부로부터 이격된 캐리어의 베이스부의 후방측을 위한 접촉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영역의 접촉면은 특히 상기 접촉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캐리어가 상기 헤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요소 또는 고정 러그의 영역은 조립 공정의 말미에 그에 상보적으로 마련된 지지면의 홈에 위치한다. 이와 동시에 베이스부의 후방측은 상기 접촉 영역에 지지되거나 접촉 영역으로부터 단지 작은 간격을 두고 놓이게 된다. 따라서 이 접촉 영역은 고정 요소가 상기 홈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헤드에 대한 캐리어의 신뢰성 있고 한정된 고정이 확보된다.
총 여덟 개의 접촉 영역이 마련되고, 특히 그 접촉면이 각각 그와 관련된 고정 러그에 대해 90°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여덟 개의 접촉 영역은 각각의 캐리어가 네 군데의 다른 위치에서 헤드에 고정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때 서로에 대해 90°만큼 변위된 캐리어의 두 가지 정렬이 이 네 군데 위치 각각에서 수평면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총 네 개의 캐리어가 동시에 헤드에 배치될 수 있고, 이때 각각의 정렬은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헤드의 접촉 영역은 별도의 접촉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나중에 헤드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네 개의 접촉 영역은 헤드 또는 그로부터 헤드가 만들어지는, 실질적으로 U-형으로 절곡되고 지지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판상 부재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다른 접촉 영역이 각각 지지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하나의 저촉 러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별도의 부재의 사용이 완전히 회피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판상 부재로부터 전체 헤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는 그와 관련된 수직 지지대에 해제 가능하게 및/또는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헤드는 상업적인 수직 지지대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인 헤드 플레이트와 결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헤드 플레이트와 헤드의 크기는 서로에 대해 대략 동일하다. 이와 관련, 상기 헤드는 수직 지지대의 헤드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연장된 방향으로 상기 헤드 플레이트 상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다. 헤드의 지지 평면의 하측은, 헤드 플레이트를 넘어 수직 지지대를 연장시키는 어떠한 요소도 필요하지 않도록, 조립 위치에서 수직 지지대의 헤드 플레이트 상에 직접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지지대의 헤드 플레이트의 상측과 헤드의 지지 평면 사이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헤드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두께와 상응하게 된다.
해제 가능한 결합이 제공될 때, 상기 헤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수직 지지대 상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고, 특히 헤드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그 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스프링 부재는 단일의 판상 베이스 부재로부터 제조될 수 없는 유일한 헤드 부재를 나타낸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때, 스프링 부재는 헤드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헤드들, 수직 지지대들 및/또는 캐리어의 단부 영역들은 서로에 대해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다양한 변형 조합이 가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의 개개 구성요소들의 잘못된 조작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의 조립은 특히 거푸집 요소와 수직 지지대가 90°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수직 지지대와 거푸집 요소의 캐리어가 서로 후크 결합될 수 있을 때 조립자를 위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 거푸집 요소는 후크 결합 설정 시에 각 수직 지지대 또는 지지대들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 결합 후, 거푸집 요소의 회전은 거푸집 요소와 수직 지지대가 대략 90°의 각을 이루는 위치로 후크 결합을 유지하는 동안 발생하고, 이에 의해 거푸집 요소는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천장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수평 평면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후크요소는 이 위치에서 서로 대향 배치되어 상승방지부재의 의도된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거푸집 요소는 예컨대 각각 서로 평행하게 이격 연장되고 그에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부재에 고정 결합된 세로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로 부재의 상측은 커버 부재를 위한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가로 부재의 상측은 상기 세로 부재의 하측과 접촉하고, 상기 가로 부재의 하측은 상기한 타입의 지지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요소는 먼저 수직 지지대 상에 설치된 그리드 요소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커버 부재나 거푸집 패널이 그리드 요소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커버 부재가 상기 캐리어에 직접, 특히 그 상측에 공급되도록 거푸집 요소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커버 부재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이미 완료된 거푸집 패널이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수직 지지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청구범위 종속항에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푸집 내에서 사용되고 수직 지지대의 헤드에 결합 가능한 캐리어의 단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캐리어와 결합 가능한 수직 지지대의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1결합위치에서 도 2에 따른 수직 지지대의 헤드와 결합된 도 1에 따른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2결합위치의 구성을 갖는 도 3에 따른 저면 사시도.
도 5a-5c는 도 1에 따른 캐리어를 도 2에 따른 헤드에 결합시킬 때의 여러 과정들을 도시한 측면도.
도 6a-6c는 수직 지지대의 헤드가 90°만큼 회전된 도 5a-5c에 따른 도면.
도 7은 두 개의 캐리어가 다른 두 개의 캐리어에 직교하게 정렬된 상태의, 네 개의 캐리어와 결합된 수직 지지대의 헤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네 개의 캐리어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도 7에 따른 도면.
* 참조번호 리스트
2: 캐리어
4: 베이스부
6: 지지면, 제2후크요소
7: 대각선 지지대
8: 접촉면
10: 러그
12,14: 절개부
20,22: 홈
28: 헤드
30: U-형 돌출부
31: 접촉 비드
32: 지지 평면
34: 커플링 러그
36: 접촉 요소
40: 단부
42: 개구부
44-51: 고정 러그
52,54,56,58,60,64,66: 고정 요소
68,70: 접촉 러그
72,74,76,78,80,82,84,86: 접촉면
87: 제1후크요소
88: 헤드 플레이트
90: 수직 지지대
92: 세로 부재
94: 커버 부재
96: 벌크 거푸집
100,102,104,106: 캐리어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캐리어(2)는 베이스부(4)로부터 연장된 두 개의 날개부를 갖는 C-형 단면의 개방 부재로 마련된다. 하부 날개부는 수직 지지대의 헤드에 놓이는 지지면(6)으로 설계된다. 대각선 방향의 보강부(7)와 함께 보강을 위해 베이스부(4)에 지지되는 상부 날개부는 예컨대 여기서는 가로 부재를 형성하는 캐리어(2) 에 직교 연장된 세로 부재들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면(8)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세로 부재는 캐리어(2) 및 선택적으로 다른 가로 부재들과 함께 그리드 부재를 형성한다. 그리드 부재 상에는 커버 부재가 공급될 수 있다. 또는, 접촉면(8)이 직접 커버 부재에 대한 접촉면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도시된 캐리어(2)에서, 베이스부(4)는 횡단면에서 볼 때 접촉면(8)보다 길이가 길고, 지지면(6)보다도 길이가 길다. 접촉면(8)의 길이는 지지면(6)의 길이의 약 2배이고, 베이스부(4)의 길이는 접촉면(8) 길이의 약 2배이다.
지지면(6)의 하측은 접촉면(8)에 평행하게 연장되지 않고 접촉면(8) 방향으로 상향 경사되어 있다. 접촉면(8)을 향하는 지지면(6)의 상측이 그 하측과 달리 접촉면(8)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부(4)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지면(6)의 두께는 얇아진다. 이러한 설계의 장점은 도 5a-5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향 절곡된 러그(lug)(10)는 베이스부(4)로부터 이격된 지지면(6)의 단부에 형성되어 접촉면(8) 방향으로 베이스부(4)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지지면(6)과 러그(10) 사이에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4분원 단면 형상의 라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러그(10)에는 캐리어(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V-형 절개부(12, 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12, 14)의 폭은 접촉면(8)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한다. 절개부(12, 14)는 러그(10)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고, 그 하단부 영역에서 지지면(6)의 홈(20, 22)으로 통합된다. 홈(20, 22)의 폭은 그 단부에서 홈(20, 22)과 대향하는 V-형 절개부(12, 14)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홈(20, 22)은 지지면(6) 길 이의 1/2 미만의 길이로 지지면(6) 내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U-형 설계로 인해, 절개부(12, 14)는 절개부(12, 14)와 홈(20, 22)의 구성에 의해 고정 요소를 홈(20, 22)으로 진입시키기 위한 "쓰레딩 에이드(threading aid)"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쓰레딩 에이드는 특히 캐리어(2)가 고정 요소까지 안내 후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90°만큼 상향 회전할 때 효과적이다. 이 회전동작은 지지면(6) 하측의 상기 경사에 의해 촉진된다.
도 1에는 캐리어(2)의 일단부 영역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캐리어(2)의 타단부 영역은 도시된 일단부 영역과 유사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캐리어(2)는 그 단부 영역의 각각에 두개의 절개부(12, 14)와 두 개의 홈(20, 22)를 갖는다.
도 2는 수직 지지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는 헤드(28)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헤드(28)는 처음에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이었고 돌출부(30)가 그 중앙 영역에 형성되도록 절곡된 강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돌출부(30)는 실질적으로 U-형으로 절곡되고, 헤드(28)의 전체 폭에 걸쳐 상향 연장되며, 그 상부 영역의 양측에 외향 돌출된 접촉 비드(31)를 갖는다. U-형 돌출부(30)는 지지 평면(32)으로 형성된 헤드(28)의 베이스면을 동일한 크기의 두 개의 반쪽으로 나눈다. 캐리어(2)가 헤드(28)에 설치된 상태에서, 캐리어(2)의 지지면(6)이 결국 헤드(28)의 지지 평면(32)에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 평면(32)은 캐리어(2)로부터 수직 지지대로 전달되는 수직 힘을 흡수한다.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U-형 돌출부(30)로부터 직교하여 이격되게, 지지 평면(32)은 서로 이격된 그 양단부에서 U-형으로 하향 절곡된 커플링 러그(34)를 갖는다. 이에 의해 수직 지지대의 헤드 플레이트(미도시)를 위한 수용 평면이 서로 마주보며 지지 평면(32)에 평행하게 연장된 커플링 러그(34)들 사이에서 한정된다. 이러한 타입의 헤드 플레이트는 두 개의 접촉부재(36)에 접할 때까지 U-형 돌출부(30)의 길이방향으로 커플링 러그(34) 속으로 밀려들어 갈 수 있다. 접촉부재(36)는 U-형 돌출부(3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U-형 돌출부(30)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수직 지지대의 헤드 플레이트를 위한 상기 수용 평면으로 이어진다. 도 1에는 하나의 접촉부재(36)만이 도시되어 있다.
U-형 돌출부(3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는 스프링 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8)의 단부(40)는 U-형 돌출부(30)의 개구(42) 영역에서 그리고 U-형 돌출부(30)의 단부면 영역에서 절곡되어 있고, 이에 의해 스프링 부재(38)가 헤드(28)에서 수동적으로 홀딩된다. 스프링 부재(38)는 수직 지지대의 헤드 플레이트를 위해 마련되고 커플링 러그(34) 사이에 형성된 수용 평면까지 그리고 그 속으로 그 중앙 영역이 최소한 하향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부재(38)의 상기 중앙 영역이 수직 지지대나 그 헤드 플레이트의 단부면 공간으로 끼워진다. 이에 따라, 헤드(28)는 수직 지지대에 대해 한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 위치에서, 두 개의 접촉부재(36)는 수직 지지대의 헤드 플레이트에 접촉한다. 헤드(28)를 수직 지지대로부터 빼낼 때는, 스프링 부재가 제거력에 의해 변형되어 수직 지지대에 대한 헤드(28)의 정확한 위치를 보장하는 한편, 수직 지지대로부터 헤드(28)의 해제를 허용한다.
지지 평면(32)의 네 모서리 영역은 각각 지지 평면(32)에 대해 직교하게 상향 절곡되어 각각 U-형 돌출부(3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또는 평행하게 연장된 총 여덟개의 고정 러그(44-51)를 형성한다. 서로 직교하고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고정 러그(51, 44)(45, 46)(47, 48)(49,50) 각각은 지지 평면(32)의 각각의 모서리와 관련되어 있다. 고정 러그(44-51)의 폭은 그 높이의 약 2배보다 크다. 지지 평면(3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고정 러그(44-51)의 모서리 영역은 각각 모따기 되어 있다. 고정 러그(44-51)의 직교하는 각각의 단부(52, 54)(56, 58)(60, 62)(64, 66)는 캐리어(2)의 홈(20-26)에 맞물리기에 적합한 고정 요소를 형성한다. 고정 러그(44-51)의 하나를 통해 캐리어(2)를 결합할 때, 단지 고정 러그(44-51)의 두 고정 요소(52-66) 중 하나만이 항상 유효하게 된다. 고정 러그 쌍(51, 44)(45, 46)(47, 48)(49, 50)마다 두 개의 고정 요소(52-66)를 마련하면 서로 90°만큼 변위되고 지지 평면(3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 두 방향으로 캐리어(2)를 고정 러그(44-51)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접촉 러그(68, 70)는 지지 평면(32)의 두 개의 반쪽 각각으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있다. 지지 평면(32)에 수직으로 연장된 접촉 러그(68, 70)의 양 단부면은 각각 캐리어(2)의 베이스부(4)의 후방측을 위한 접촉면(72, 74, 76, 78)을 형성한다.
다른 네 개의 접촉면(80, 82, 84, 86)은 지지 평면(32)에 직교하게 연장된 U-형 돌출부의 영역에 의해, 특히 접촉 비드(31)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이 접촉면(80-86)은 각각 캐리어(2)의 베이스부(4)의 후방측과 상호작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캐리어(2)는 각각 상호 대향 배치된 고정 요소(52-66)와 접촉면(72- 86)의 쌍(52, 80)(54, 72)(56, 74)(58, 82)(60, 84)(62, 76)(64, 78)(66, 86)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U-형 돌출부(30)의 길이방향에 직교 연장된 모든 고정 러그(46, 47, 50, 51)는 각각 그 고정 요소(58, 60, 66, 52)에서 U-형 돌출부(30) 쪽으로 연장되고 위에서 볼 때 캐리어(2)의 지지면(6) 또는 제2후크요소에 의해 후방 결합될 수 있는 제1후크요소(87)를 갖는다. 나머지 고정 러그의 다른 고정 요소(54, 56, 62, 64)는 제1후크요소(87)가 없다. 이렇게 하여 U-형 돌출부(3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헤드(28)에 결합된 캐리어(2)는 제1후크요소(87)에 의해 헤드(28)로부터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는 반면, U-형 돌출부(3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연장되고 헤드(28)에 결합된 캐리어(2)는 고정 요소(54, 56, 62, 64)에 제1후크요소(87)가 없으므로 헤드(28)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수직 지지대(90)의 헤드 플레이트(88)를 도시한 것이다. 헤드 플레이트(88)는 그 단부가 헤드(28)의 접촉 요소(36)에 접할 때까지 헤드(28)의 커플링 러그(34)로 밀려들어간다. 도 1에 따른 각각의 캐리어(2)는 헤드(28)에 결합되어 있고, 세로 부재(92)는 접촉면(8)에 결합되어 캐리어(2)에 직교 연장된다. 도 4에 따르면, 커버 부재(94)는 세로 부재(92)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고, 위쪽의 벌크 거푸집(96)에 결합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캐리어(2)는 고정 요소(52)가 절개부(12) 및 홈(20)(도 1 참조) 속으로 연장되도록 헤드(28)와 결합된다. 동시에, 고정 요소(58)는 절개부(14) 및 홈(22) 속으로 연장된다. 캐리어(2)의 베이스부(4)는 그 후방측에서 접촉면(80, 82)에 지지되고, 이에 의해 접촉면(80, 82)과 고정 요소(52, 58)가 캐리어(2)가 베이스부(4)에 직교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고정 요소(52, 58)와 홈(20, 22)의 결합은 캐리어(2)의 길이방향으로 헤드(28)에 대한 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캐리어(2)는 고정 요소(58)가 절개부(12) 속으로 또는 그에 대응하는 홈(20) 속으로 결합되는, 캐리어(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헤드(28)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캐리어(2)는 도 3 및 도 4에서와는 달리 헤드(28)의 전체 지지 평면(32)를 넘어 연장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단지 지지 평면(32) 폭의 반 미만에 걸쳐 연장될 것이고, 이에 의해, 예컨대 다른 캐리어(2)가 고정 요소(52)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양 캐리어(2)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연장될 것이다.
최종적으로 캐리어(2)는 도 3에 도시된 배열에 직교 연장되도록 절개부(12, 14) 또는 홈(20, 22)를 통해 헤드(28)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 요소(54)가 홈(20, 22)의 하나와 결합될 것이고, 이때 캐리어(2)의 베이스부(4)의 후방측은 접촉 러그(68)의 접촉면(72)에 지지된다.
특히 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의 캐리어(2)를 헤드(28)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각 캐리어(2)는 고정 요소(52-55)와 접촉면(72-86)의 쌍들 중 하나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캐리어(2)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거나 직교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5a-5c는 캐리어(2)와 헤드(28) 사이에서 어떻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먼저, 캐리어(2)와 세로 부재(92)를 포함하는 거푸집 요소(98)는, 세로 부재(92)가 수직 지지대(9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부터 약간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수직 지지대(90)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된다. 이 배치에서 거푸집 요소(98)는, 캐리어(2)가 최종적으로 수직 지지대(90)의 헤드(28) 위에 위치하도록, 조립자에 의해 쉽게 들어올려질 수 있다. 들어올려진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거푸집 요소(98)는, 고정 요소(52, 58)가 러그(10)의 V-형 절개부(12, 14) 속으로 진입하도록, 조립자에 의해 하강 정렬된다. 이 진입은 절개부(12, 14)의 V-형상에 의해 촉진된다. 고정 요소(52, 58)의 제1후크요소(87)는 상기 진입이 방해되지 않도록 U-형 돌출부(30)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헤드(28)와 캐리어(2) 사이에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고, 거푸집 요소(98)의 무게의 상당 부분이 지지 평면(32)을 통해 수직 지지대(9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조립자는 더 이상 거푸집 요소(98)의 전체 무게를 지탱할 필요가 없다.
도 5a에 따른 후크 결합으로부터 시작하여, 도 5b에 따른 거푸집 요소(98)는 캐리어 또는 가로 부재(2)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상향 회전한다. 회전 중에, V-형 절개부(12, 14)에 의해 안내되는 고정 요소(52, 58)는 캐리어(2)의 지지면(6)의 홈(20, 22) 속으로 자동으로 들어간다. 이 회전은 도 5c에 따른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 위치에서, 거푸집 요소(98)와 그 세로 부재(92)는 수직 지지대(90)와 직교하게 수평으로 연장된다. 이렇게 설치가 완료된 위치에서, 특히 도 5c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부 재(80, 82)는 캐리어(2)가 그 베이스부(4)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고정 요소(52, 58)가 홈(20, 22)과의 결합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더욱이, 도 5c는 제1후크요소(87)가 상기 회전운동에 의해서만 지지면 또는 제2후크요소(6)의 홈 없는 영역 상의 결합 위치로 움직였고, 이에 의해 거푸집 요소(98)가 베이스부(4)에 평행하게 상향 이동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국 헤드(28)로부터 그리고 거푸집 요소(98)로부터 결합 해제는 거푸집 요소(98)가 도 5b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하향 회전할 때만 가능하다.
만일 거푸집 요소(98)의 분해작업이 도 5a-5c와 관련하여 설명된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된다면, 베이스부(4)에 대해 약 75°의 각을 이루는 지지면(6)의 하측에 형성된 경사부가 유리하게 작용한다. 즉, 도 5c에 따른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도 5b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거푸집 요소(98)의 상측과 그 위에 놓인 커버 부재와 이미 준비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서 발생하는 클램핑 효과 없이, 거푸집 요소(98)를 회전시키는 것은 이 경사부에 기초하여 가능해진다. 오히려 경사부는 거푸집 요소(98)의 모든 부품들이 하향 회전하는 것을 보장하고, 이에 의해 용이한 해체가 가능하다.
도 6a는 상승방지부재를 구현하지 않고 완전 설치된 거푸집 요소(98)가 도 3 및 도 5a-5c를 기준으로 헤드(28)에 대해 90°만큼 회전한 각도로 연장될 필요가 있을 때 대응하는 결합과정이 구현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이 경우, 예컨대 고정 요소(64)가 캐리어(2)의 절개부(12) 또는 홈(20)과 상호 작용한다. 도 6a-6c에 따른 회전과정은 도 5a-5c에 따른 회전과정과 유사하다. 다만, 도 6c에 따른 캐리 어(2)의 베이스부(4)의 후방측이 최종적으로 접촉 러그(70)의 지지면(78)에 지지되고, 이에 의해 고정 요소(64)가 홈(20, 22)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는 점이 다르다. 더욱이, 도 6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요소(64)는 제1후크요소(87)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거푸집 요소(98)는 베이스부(4)에 평행하게 수직으로 상향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총 네 개의 캐리어(100, 102, 104, 106)가 수직 지지대(90)의 헤드(28)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두 개의 캐리어(100, 102)는 단부 면이 이격되게 서로 정렬되어 있고, 두 개의 캐리어(104, 106)는 캐리어(100, 102)에 직교하게 서로 평행 연장되어 있다. 모든 캐리어들(102-106)은 도 1에 따른 캐리어(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리어들(102-106)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고정 요소, 홈 및 접촉면이 상호 작용한다:
캐리어(100): 고정 요소(56), 홈(20), 접촉면(74)
캐리어(102): 고정 요소(62), 홈(20), 접촉면(76)
캐리어(104): 고정 요소(52), 홈(20), 접촉면(80)
캐리어(106): 고정 요소(66), 홈(20), 접촉면(86)
캐리어(104, 106)는, 캐리어(100, 102)와 달리, 제1후크요소(87)를 갖고 있는 고정 요소(52, 66)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상승 이동이 방지된다.
도 8은 모든 캐리어들(102-106)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구성을 보여준다. 두 개의 캐리어들(100, 106)(102, 104)은 각각 단부 면에서 서로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고정 요소, 홈 및 접촉면이 상호 작용한다:
캐리어(100): 고정 요소(52), 홈(20), 접촉면(80)
캐리어(102): 고정 요소(66), 홈(20), 접촉면(86)
캐리어(104): 고정 요소(60), 홈(20), 접촉면(84)
캐리어(106): 고정 요소(58), 홈(20), 접촉면(82)
모든 캐리어들(102-106)은 제1후크요소(87)를 갖고 있는 고정 요소(52, 58, 60, 66)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상승 이동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개의 헤드(28)에 대해 한 개 내지 네 개의 캐리어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개의 외부 홈(20, 22) 중 하나를 통해 헤드(28)에 결합된 각각의 캐리어(2)에서, 서로 90°만큼 변위된 서로 다른 두 개의 캐리어(2) 배열이 헤드(28)에 결합된 다른 모든 캐리어(2)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31)

  1. 그 하측에서 수직 지지대(90)의 헤드(28)와 결합 가능한 캐리어(2, 100-106)를 갖는 복수의 거푸집 요소(98)를 포함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90)의 헤드(28)는 상기 거푸집 요소(98)의 상기 캐리어(2, 100-106)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상승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지지대(90)의 헤드(28)는 상기 캐리어(2, 100-106)가 상기 헤드(28)에 결합될 때 상기 캐리어(2, 100-106)가 상기 헤드(28)에 대해 상기 캐리어(2, 100-10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요소(52-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방지부재는 상기 거푸집 요소(98)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거푸집 요소(98)의 상기 캐리어(2, 100-106)에 형성된 제2후크요소(6)와 맞물리는 제1후크요소(87)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 100-106)의 횡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부(4)로부터 연장된 두 개의 날개부(6, 8)를 갖는 C-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부의 하나(6)는 상기 제2후크요소로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요소(6)로 마련된 상기 날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직 지지대(90)의 상기 헤드(28) 상에서 상기 캐리어(2, 100-106)의 지지를 위한 지지면(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90)의 상기 헤드(28)는 상기 지지면(6)의 홈(20, 22)에 맞물리는 상기 고정 요소(52-66)를 포함하고, 상기 홈(20, 22)은 상기 C-형 캐리어의 상기 베이스부(4)로부터 이격된 상기 지지면(6)의 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요소(87)는 상기 고정 요소(52-66)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 100-106)는 서로에 대해 90°만큼 변위된 두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수직 지지대(90)에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 100-106)는 개방된 단면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 100-106)의 상기 지지면(6)은 상기 캐리어(2, 100-106)의 상호 이격된 양 단부 영역의 각각에서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홈(20, 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6)의 두 개의 홈(20, 22)과 상기 수직 지지대(90)의 헤드(28)의 두 개의 고정 요소(52-66)는 각각 상기 헤드(28)의 두 개의 고정 요소(52-66)가 상기 지지면(6)의 두 개의 홈(20, 22)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6)은 상기 베이스부(4)로부터 이격된 그 단부 영역에 상기 베이스부(4)와 평행하게 상향으로 연장 또는 절곡된 러그(10)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10)는 상기 지지면(6)에 마련된 상기 홈(20, 22)과 정렬된 V-형 절개부(12, 14)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12, 14)와 상기 홈(20, 22)이 서로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10)는 상기 캐리어(2, 100-106)의 상호 이격된 양 단부 영역의 각각에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절개부(12, 14)를 갖고, 상기 절개부 각각은 상기 지지면(6)에 있는 대응 홈(20, 22)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6)의 하측은 그 설치 위치에서, 상기 지지면(6)의 하측과 상기 베이스부(4) 사이의 각이 90°보다 작도록, 상기 베이스부(4)로부터 시작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90)는 각각 상기 헤드(28)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28)는 상기 수직 지지대(90)의 길이방향에 직교 연장된 지지 평면(32)과 상기 지지 평면(32)으로부터 절곡된 고정 러그(44-51)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러그(44-51)는 상기 캐리어(2, 100-106)의 상기 지지면(6)의 홈(20, 22)에 맞물리는 상기 고정 요소(52-6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8)마다 상기 헤드(28)의 상기 지지 평면(32)에 직교 연장된 여덟 개의 고정 러그(44-5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평면(32)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고, 그 네 모서리 영역의 각각에 서로 인접하고 직교 연장된 두 개의 고정 러그(44-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동시에 제1후크요소(87)를 갖는 상기 고정 요소(58, 60, 66, 52)는 상기 복수의 고정 러그의 일부(46, 47, 50, 51)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러그(46, 47, 50, 51)는 상기 제1후크요소(87)를 갖는 고정 요소(58, 60, 66, 52)를 갖고;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러그(44, 43, 48, 49)는 상기 제1후크요소(87)가 없는 고정 요소(54, 56, 62, 6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8)는 상기 날개부(6, 8)로부터 이격된 상기 캐리어(2, 100-106)의 베이스부(4)의 후방측에 대한 접촉 영역을 갖고, 상기 접촉 영역의 접촉면(72-86)은 상기 지지 평면(32)에 직교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총 여덟 개의 접촉 영역이 마련되고, 그 접촉면(72-86)은 관련된 고정 러그(44-50)에 대해 90°의 각도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네 개의 접촉 영역(80-86)은 실질적으로 U-형으로 절곡된, 상기 헤드(28)의 돌출부(30)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접촉 영역(72, 74)(76, 78)은 상기 지지 평면(32)으로부터 절곡된 하나의 접촉 러그(68, 70)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프 거푸집 시스템.
  2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8)는 상기 수직 지지대(9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2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8)는 상기 수직 지지대(90)의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헤드 플레이트(88)에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8)는 상기 수직 지지대(90)의 상기 헤드 플레이트(88)에 평행하게 연장된 방향으로 상기 헤드 플레이트(88) 상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8)의 지지 평면(32)의 하측은 설치 위치에서 상기 수직 지지대(90)의 상기 헤드 플레이트(88) 상에 직접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2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8)는 단일의 절곡, 주조 또는 단조 강판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제조되고, 상기 헤드(28)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수직 지지대(90)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2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90)와 상기 거푸집 요소(98)의 캐리어(2, 100-106)는 상기 거푸집 요소(98)와 상기 수직 지지대(90)가 90°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서로 후크 결합 가능하고,
    상기 거푸집 요소(98)의 회전은, 상기 후크 결합 후 상기 거푸집 요소(98)와 상기 수직 지지대(90)가 90°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 및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후크요소(87, 6)가 서로 후크 결합되어 상승방지부재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상기 후크 결합을 유지하면서 행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요소(98)의 상기 캐리어(2, 100-106)는 상기 거푸집 요소(98)가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 지지대(90)와 평행하게 연장된 위치에서 상기 수직 지지대(90)와 후크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3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요소(98)는 각각 서로 평행하게 이격 연장된 세로 부재(92)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부재(92)는 그에 직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2, 100-106)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세로 부재(92)의 상측은 커버 부재(94)를 위한 접촉면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캐리어(2, 100-106)의 상측은 상기 세로 부재(92)의 하측과 접촉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캐리어(2, 100-106)의 하측은 지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3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요소(98)는 그 상측이 커버 부재를 위한 접촉면을 형성하는 캐리어(2, 100-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1020087026629A 2006-04-03 2007-03-29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101424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5348A DE102006015348A1 (de) 2006-04-03 2006-04-03 Deckenschalungssystem
DE102006015348.0 2006-04-03
PCT/EP2007/002825 WO2007115700A1 (de) 2006-04-03 2007-03-29 Deckenschalung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057A KR20080109057A (ko) 2008-12-16
KR101424034B1 true KR101424034B1 (ko) 2014-07-28

Family

ID=3805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629A KR101424034B1 (ko) 2006-04-03 2007-03-29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523137B2 (ko)
EP (1) EP1987213B1 (ko)
KR (1) KR101424034B1 (ko)
CN (1) CN101460690B (ko)
DE (2) DE102006015348A1 (ko)
ES (1) ES2342849T3 (ko)
HK (1) HK1134529A1 (ko)
PT (1) PT1987213E (ko)
WO (1) WO20071157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03836U1 (de) * 2006-03-10 2006-06-14 Peri Gmbh Deckenschalungssystem
EP2080853A1 (en) * 2008-01-17 2009-07-22 SAFE b.v. Stabilizing receiving member for temporary structures
DE102010001042B4 (de) * 2010-01-20 2012-03-01 Doka Industrie Gmbh Fallkopf für ein Deckenschalungssystem und Deckenschalungssystem
FR2957957B1 (fr) * 2010-03-26 2015-01-02 Deko Structures, systemes, et procedes de coffrage de dalles
CN103243908B (zh) * 2013-05-21 2015-08-05 罗灿雄 楼板模板系统以及房屋建筑的筑造方法
AU2014215950B2 (en) 2014-08-19 2019-09-19 Form 700 Pty Ltd Concrete formwork and a formwork support bracket
ITUB20152326A1 (it) * 2015-07-20 2017-01-20 Faresin Building S P A Struttura di casseratura per l'esecuzione di getti orizzontali per la realizzazione di solai
DE102015223773A1 (de) * 2015-11-30 2017-06-01 Peri Gmbh Stützenkopf, Deckenstütze und Deckenschalung mit einer solchen Deckenstütze
ITUB20156234A1 (it) * 2015-12-04 2017-06-04 Faresin Building S P A Sistema di aggancio anti-sollevamento per la giunzione reversibile di elementi per la realizzazione di una casseratura per getti di solai
ITUB20159267A1 (it) * 2015-12-22 2017-06-22 Tecnotelai Componenets S R L Testa di sostegno di almeno una trave e metodo di connessione della trave alla testa
CA2962013A1 (en) 2016-03-24 2017-09-24 Faresin Building S.P.A. Formwork for performing horizontal castings for the provision of floors
US10487521B2 (en) * 2017-07-10 2019-11-26 Doka Gmbh Formwork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 formwork support system
US10053875B1 (en) * 2017-07-10 2018-08-21 Doka Gmbh Formwork support system and formwork support prop
US10407925B2 (en) 2017-07-10 2019-09-10 Doka Gmbh Method of installing a formwork support system, formwork support system and longitudinal beam
EP3438365A1 (de) * 2017-08-02 2019-02-06 DOKA GmbH Deckenschal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eckenelements
IT201700099585A1 (it) * 2017-09-06 2019-03-06 Faresin Building S P A Dispositivo perfezionato di supporto per travi di sostegno di casseforme per solai
IT201800003425A1 (it) * 2018-03-12 2019-09-12 Faresin Formwork S P A "dispositivo perfezionato di supporto, del tipo a testa cadente, per travi di sostegno di casseforme per solai, attrezzatura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e trave di sostegno da associare al dispositivo"
DE202018102398U1 (de) 2018-04-30 2018-06-05 Nikken Lease Kogyo co., LTD Stützenkopf zur Stufenausbildung
EP3702550A1 (de) * 2019-02-27 2020-09-02 DOKA GmbH Schalungsrahmen, schalungselement, deckenschalung und verfahren
DE102019107430A1 (de) * 2019-03-22 2020-09-24 Peri Gmbh Anschlussleiste für Deckenschalungen
DE102019107464A1 (de) * 2019-03-22 2020-09-24 Polytech Gmbh Querhaupt, das an einer Baustütze oder einem Baugerüst-Stiel anbringbar ist
US20220220753A1 (en) * 2019-04-29 2022-07-14 Shinwide Pty. Ltd. Prop Head For Formwork Shoring And Method Of Using Same
EP3798387B1 (en) * 2019-09-26 2024-02-14 Sistemas Técnicos de Encofrados, S.A. Support system for formworks
ES2929382T3 (es) * 2020-03-06 2022-11-28 Sist Tecnicos De Encofrados Sa Cabezal de anclaje para puntales de encofrado y puntal de encofrado para la ejecución de forjados inclinado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0425A2 (de) * 1983-07-02 1985-01-09 Hünnebeck-RöRo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Deckenschalung
GB2266114A (en) * 1992-04-03 1993-10-20 Gerhard Dingler Ceiling formwork support
KR960701273A (ko) * 1993-02-20 1996-02-24 슈뵈러 아더 천장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04245A1 (de) * 1980-02-06 1981-08-13 Peri-Werk Artur Schwörer KG, 7912 Weißenhorn System-deckenschalung mit fallkopf
DE3024580A1 (de) * 1980-06-28 1982-01-21 Maier, Josef, 7611 Steinach Halterung fuer deckenschalelemente
DE3147081A1 (de) 1981-05-30 1982-12-30 Udo 4836 Herzebrock Rose "geruest fuer betonschalungen"
DE3515322A1 (de) 1985-04-27 1986-10-30 Josef 7611 Steinach Maier Deckenschalung
DE4211136C2 (de) * 1992-04-03 1997-04-17 Gerhard Dingler Vorrichtung zur Deckenschalung
DE19726102A1 (de) * 1996-07-03 1998-01-08 Gramer Bau Gmbh Haltekopf für Stahlstützenbau
ATE433025T1 (de) * 2001-04-03 2009-06-15 Ulma C Y E S Coop Decken- und dachschalungs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0425A2 (de) * 1983-07-02 1985-01-09 Hünnebeck-RöRo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Deckenschalung
GB2266114A (en) * 1992-04-03 1993-10-20 Gerhard Dingler Ceiling formwork support
KR960701273A (ko) * 1993-02-20 1996-02-24 슈뵈러 아더 천장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34529A1 (en) 2010-04-30
KR20080109057A (ko) 2008-12-16
CN101460690A (zh) 2009-06-17
CN101460690B (zh) 2012-07-25
PT1987213E (pt) 2010-07-15
US20090250589A1 (en) 2009-10-08
EP1987213A1 (de) 2008-11-05
WO2007115700A1 (de) 2007-10-18
DE502007003506D1 (de) 2010-06-02
US8523137B2 (en) 2013-09-03
EP1987213B1 (de) 2010-04-21
DE102006015348A1 (de) 2007-10-04
ES2342849T3 (es)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034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US8727582B2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with alignment enhancements and methods for mounting same
US8313079B2 (en) Ceiling formwork system
US10787826B2 (en) Support head, ceiling support, and ceiling formwork having such a ceiling support
US9556976B1 (en) Cable guide for wire basket cable tray
KR20090088107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WO2019074632A1 (en) EDGE PROTECTION SYSTEM HAVING A STUD PLATE
EP3695063B1 (en) Edge protection system having retaining clip
US5702204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nd aligning frame member sections of a trench
KR20110107020A (ko) 천정패널 클립바 및 그를 이용한 취부구조
KR20190021039A (ko) 그레이팅 스토퍼
EP3695065B1 (en) Edge protection system having dowel plate
EP3695064B1 (en) Edge protection system with intersection module
EP3695066B1 (en) Edge protection system having clip retainment
US20200325638A1 (en) Edge protection system having support foot
EP3695052B1 (en) Edge protection system having bridging pins
EP4174398A1 (en) A support bracket for equipment, in particular units for air-conditioning plants
JP2013007246A (ja) 溝ブロックへのグレーチングの固定方法及びグレーチング
WO2019074631A1 (en) BOARD PROTECTION SYSTEM WITH RETAINER CLAMP
WO2019074629A1 (en) INBOARD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LINK PINS
GB2435995A (en) Clip having retaining w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