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107A -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107A
KR20090088107A KR1020080013462A KR20080013462A KR20090088107A KR 20090088107 A KR20090088107 A KR 20090088107A KR 1020080013462 A KR1020080013462 A KR 1020080013462A KR 20080013462 A KR20080013462 A KR 20080013462A KR 20090088107 A KR20090088107 A KR 20090088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channel
support
fixing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범
Original Assignee
김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향순 filed Critical 김향순
Priority to KR1020080013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8107A/ko
Publication of KR20090088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07Longitudinal elements having an open profile, with the opening parallel to the concrete or masonry surface, i.e. anchor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0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directly attached to th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또는 덱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매입되고 상면이 콘크리트 타설면의 상면과 일치되는 채널과 상기 채널의 내부공간에 헤드부가 끼움결합되고 몸통에는 상기 브라켓이 너트를 통해서 고정결합되는 티헤드 볼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에 있어서 거푸집의 상부로 상부가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받침지지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안착하고, 상기 삽입공간에는 분리형성되는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공에 헤드부가 관통되어 스냅링에 의해 몸체에 고정되면서 그 하부에는 형성되는 단턱지지부를 통해서 보강지지하는 앵커볼트를 끼움장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몸체와 연결된 앵커볼트의 높이조절 후 용접을 이용해서 앵커볼트와 받침지지대를 고정하여 상기 채널과 콘크리트 상면 수평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채널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수단, 채널, 몸체, 앵커볼트, 티헤드 볼트, 받침지지대, 브라켓, 용접, 스냅링.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The fixation means which is bought in the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또는 덱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널을 구성하는 몸체와 앵커볼트를 분리구성하면서 몸체의 저면에는 장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에는 거푸집의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지지대와 고정결합되는 앵커볼트를 끼움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채널의 수평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피지지체와 고정되는 티헤드 볼트를 강인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은 하중을 지지하고 있지 않은 바깥벽을 차단하는 커튼역할을 수행하는 커튼윌(Curtain Wall) 구조체 등을 포함하는 피지지체의 브라켓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ㄴ'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상기 브라켓은 수평면이 티헤드 볼트를 통해서 고정수단의 콘크리트 채널에 고정장착되면서 수직면으로 커튼월을 고정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을 고정지지하는 종래의 고정수단(100)을 도시된 도 1 및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수단(100)은 콘크리트 타설시 매입되고 상면이 콘크리트 타설면의 상면과 일치되는 채널(200)과 상기 채널(200)의 내부공간에 헤드부(320)가 끼움결합되고 몸통(340)에는 상기 브라켓(400)이 너트(500)를 통해서 고정결합되는 티헤드 볼트(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채널(200)은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면 끝단(222)이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몸체(220)와 상기 몸체(220)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앵커볼트(2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수단(100)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설치하게 되는데,
먼저, 콘크리트 타설전에 지정된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철근을 설치한 후 상기 채널(200)을 철근의 상부나 브라켓이 구비된 측면바에 장착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상기 채널(200)의 내부공간(224)에는 충진제를 공급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200)의 상면과 콘크리트 타설면의 상면을 일치시킨 후 콘크리트가 굳게 되면 상기 내부공간(224)에 공급되어 있던 충진제를 제거한 후 티헤드 볼트(300)를 삽입장착한 후 상기 브라켓(400)를 고정하면 고정수단(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은 콘크리트 타설시 채 널이 거푸집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 아닌 떠있는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매입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면의 수평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량의 채널을 단시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채널의 설치작업시 매입되어 있는 철근 위치를 작업자가 미인식시 그에 따른 설치 간격이 일정치 않아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그에 따른 저면에 장착되는 앵커볼트의 거리를 따로 맞추어 제작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채널을 구성하는 몸체와 앵커볼트를 분리구성하면서 몸체의 저면에는 장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에는 거푸집의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지지대와 고정결합되는 앵커볼트를 끼움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채널의 수평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피지지체와 고정되는 티헤드 볼트를 강인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면 끝단이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몸체를 소정구간 형성하면서 그 몸체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볼트가 일체로 형성되는 채널을 콘크리트 구조체에 다수개 설치하며, 각각의 채널의 내부공간에는 헤드부가 상기 끝단의 내측에 지지되고 몸통에는 커튼월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이 고정결합되는 티헤드 볼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에 있어서 거푸집의 상부로 상부가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받침지지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안착하고, 상기 삽입공간에는 분리형성되는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공에 헤드부가 관통되어 스냅링에 의해 몸체에 고정되면서 그 하부에는 형성되는 단턱지지부를 통해서 보강지지하는 앵커볼트를 끼움장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몸체와 연결된 앵커볼트의 높이조절 후 용접을 이용해서 앵커볼트와 받침지지대를 고정하여 상기 채널과 콘크리트 상면 수평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채널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널을 구성하는 몸체와 앵커볼트를 분리구성하면서 몸체의 저면에는 장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에는 거푸집의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지지대와 고정결합되는 앵커볼트를 끼움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채널의 수평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피지지체와 고정되는 티헤드 볼트를 강인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장착공 및 앵커볼트와 받침지지대는 작업환경 및 위치에 따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별도의 부품 및 장비가 소모되지 않아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채널은 고정결합되는 앵커볼트와 받침지지대가 거푸집의 상부까지 연장형성되어 기존의 측면에 설치되거나 고정없이 가 설치되었던 채널보다 강인한 인발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며,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의 앵커볼트와 받침지지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이하, '고정수단'이라 함)(10)은 몸체와 앵커볼트로 분리형성되는 채널(20)과, 상기 채널(2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티헤드 볼트(30)와, 상기 앵커볼트와 고정결합되고 거푸집의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지지대(40)로 대별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체에 매입되는 채널(20)은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몸체(22)와 상기 몸체(22)에 끼움결합되는 앵커볼트(24)로 구성되는데
즉, 상기 채널(20)은 상부가 개방되며 양측면 끝단(22a)이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앵커볼트(24)를 각각 분리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끝단(24)은 하부를 향해 소정구간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티헤드 볼트(30)의 헤드부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양측으로 힘을 균일하게 받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몸체(22)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공(22b)은 분리형성되는 앵커볼 트(24)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은 도시된 도 9(a)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 9(b)와 같이 중앙부분(22b-1)에 간격이 넓고 양측이 간격이 좁은 이동통로(22b-2)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부재(40)의 걸림부(42)는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공(22b)의 중앙부분(22b-1)에 삽입 후 좌, 우 이동을 통해서 콘크리트 구조체에 형성되는 철근을 회피하면서 몸체(22)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장착공(22b)은 중앙부분(22b-1)으로 후설 할 걸림부를 삽입장착하면서 양측에 형성되는 이동통로(22b-2)를 따라서 앵커볼트(24)를 이동시켜 채널(20)의 균형 및 콘크리트 구조체에 장착되는 철근을 회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22)에 형성되는 장착공(22b)에 삽입고정되는 앵커볼트(24)는 장착공(22b)에 관통삽입되는 헤드부(24a)와 상기 헤드부(24a)의 하부에 위치하고 몸체를 구성하는 판재 두께만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단턱지지부(24b)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높이조절부(24c)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24a)의 외주면에는 스냅링(70)을 고정장착하기 위한 홈(24d)이 더 형성되고, 상기 단턱지지부(24b)는 스냅링(70)과 더불어 앵커볼트(24)를 몸체(22)에 고정하면서 필요 이상 앵커볼트(24)가 장착공(22b)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도 5는 상기 몸체(22)에 형성되는 장착공(22b)과 앵커볼트(24)의 헤드부(24a)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몸체(22)에 형성되는 장착공(22b)은 중앙부분이 간격이 넓고 양측에는 좁은 간격의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24)의 헤드부(24a)는 알파벳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24a)를 장착공(22b)의 중앙부분에 삽입한 후 일정각도를 회전시켜 고정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채널(20)에 형성되는 내부공간(26)에 삽입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티헤드 볼트(30)는 상기 끝단(22a)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헤드부(32)와 상기 헤드부(32)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는 몸통(3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티헤트 볼트(30)는 헤드부(32)가 상기 끝단(22a)에 지지되면서 몸통(34)에는 커튼월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50)이 너트(52)를 통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앵커볼트(24)의 하부에 장착되고 높이조절부(24c)와 고정되는 받침지지대(40)는 내부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삽입공간(42)과 거푸집의 상부에 안착되는 수평부(4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간(42)의 좌, 우에 소정구간 간격을 형성한 것은 콘크리트 구조체에 설치되는 철근과 높이조절부(24c)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최대한 균형있게 높이조절부(24c)를 지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받침지지대(40)는 상기 삽입공간(42)으로 높이조절부(24c)를 삽입장착 후 간격조종이 끝난 후 용접을 통해서 고정결합하게 되고 수평부(44)는 거푸집의 상, 하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상부에 안착되어 이를 지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의 앵커볼트와 받침지지대의 도시된 도 7 및 8과 같이 고정될 수 있는데,
도시된 도 7은 상기 앵커볼트(24)의 높이조절부(24c)와 받침지지대(40)가 용접(60)결합을 대신하여 높이조절부(24c)와 받침지지대(4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고정공(62a, 62b)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간격고정공(62a, 62b)에는 간격부재의 간격조정 후 간격고정공(62a, 62b)에 간격고정핀(64)을 삽입장착하여 고정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때, 상기 간격고정핀(64)은 한 곳뿐만 아니라 여러 곳에 삽입장착될 수 있다.
즉, 거푸집에 안착되는 받침지지대(40)의 간격고정공(62b)에 상기 몸체(22)와 결합되는 앵커볼트(24)의 위치를 맞춘 후 그와 근접하는 간격고정공(62a, 62b)에 간격고정핀(64)을 삽입장착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8은 상기 앵커볼트(24)의 높이조절부(24c)와 받침지지대(40)가 용접(60)결합을 대신하여 높이조절부(24c)의 외주면과 받침지지대(60)의 내주면에 나사(66)를 형성하여 고정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높이조절부(24c)와 결합된 받침지지대(40)를 회전작동시켜 앵커볼트(24)와 연결된 몸체(22)의 위치를 각각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수단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양측면 끝단(22a)이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앵커볼트(24)를 각각 분리형성하여 채널(20)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22)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공(22b)으로 관통삽입되는 헤드부(24a)와 상기 헤드부(24a)의 하부에 위치하고 몸체를 구성하는 판재 두께만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단턱지지부(24b)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높이조절부(24c)로 형성되는 앵커볼트(24)를 장착한다.
즉, 상기 헤드부(24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24d)으로 스냅링(70)이 고정장착되면서 상기 단턱지지부(24b)는 스냅링(70)과 더불어 앵커볼트(24)를 몸체(22)에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앵커볼트(24)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간(52)으로 높이조절부(26)가 삽입장착되면서 간격조정이 끝난 후 용접(60)을 통해서 고정결합되는 받침지지대(40)를 거푸집 상부에 다수개 안착하면 고정수단(10)의 가 조립상태는 완료된다.
즉, 상기 채널(20)의 저면에 앵커볼트(24)와 받침지지대(40)를 장착하여 채널(20)의 고정설치 위치를 맞추게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채널(20)의 내부공간(26)에는 충진제를 공급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구조체에 콘트리트 타설하면서 상기 채널(20)의 상면과 콘크리트 상면을 일치시킨 후 콘크리트가 굳게 되면 상기 내부공간(26)에 충진제를 제거한 후 상기 끝단(24)의 내측면에 머리부(32)와 상기 머리부(32)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는 몸통(34)가 일체로 형성되는 티헤드 볼트(3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한 후 상기 몸통(34)에 브라켓(50)을 고정하면 고정수단(10)의 조립은 완료되고 이후, 상기 브라켓(50)의 측면으로 커튼월 구조체를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의 앵커볼트와 받침지지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를 형성하는 장착홈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수단, 20 : 채널,
22 : 몸체, 24 : 앵커볼트,
30 : 티헤드 볼트, 32 : 헤드부,
40 :받침지지대, 50 : 브라켓
52 : 너트, 60 : 용접,
62 : 간격고정공, 64 : 간격고정핀,
70 : 스냅링.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면 끝단(24)이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몸체(22)를 소정구간 형성하면서 그 몸체(22)의 저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볼트(26)가 일체로 형성되는 채널(20)을 콘크리트 구조체에 다수개 설치하며,
    각각의 채널(20)에 형성되는 내부공간(29)에는 헤드부(32)가 상기 끝단(24)의 내측에 지지되고 몸통(34)에는 커튼월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60)이 고정결합되는 티헤드 볼트(30)가 다수개 장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10)에 있어서,
    거푸집의 상부로 상부가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삽입공간(42)이 형성되는 받침지지대(4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안착하고, 상기 삽입공간(42)에는 분리형성되는 몸체(22)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공(22b)에 헤드부(24a)가 관통되어 스냅링(70)에 의해 몸체(22)에 고정되면서 그 하부에는 형성되는 단턱지지부(24b)를 통해서 보강지지하는 앵커볼트(24)를 끼움장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몸체(22)와 연결된 앵커볼트(24)의 높이조절 후 용접(60)을 이용해서 앵커볼트(24)와 받침지지대(40)를 고정하여 상기 채널(20)과 콘크리트 상면 수평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채널(20)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24)에 형성되는 높이조절부(24c)와 받침지지대(40)를 용접(60)결합한 것을 대신하여 상기 높이조절부(24c)와 받침지지대(4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조정공(62a, 62b)을 각각 형성하여 앵커볼트(24)의 높이조절 후 간격고정공(62a, 62b)에 간격고정핀(64)을 삽입장착하여 고정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24)에 형성되는 높이조절부(24c)와 받침지지대(40)를 용접(60)결합한 것을 대신하여 상기 높이조절부(24c)의 외주면과 받침지지대(40)의 내주면에 나사(66)를 각각 형성하여 앵커볼트(24)의 높이조절 및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20080013462A 2008-02-14 2008-02-14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20090088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462A KR20090088107A (ko) 2008-02-14 2008-02-14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462A KR20090088107A (ko) 2008-02-14 2008-02-14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107A true KR20090088107A (ko) 2009-08-19

Family

ID=4120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462A KR20090088107A (ko) 2008-02-14 2008-02-14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8107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5327A (zh) * 2011-11-15 2012-02-08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用于固定建筑施工设备的可周转使用的固定件及安装方法
CN102587550A (zh) * 2012-02-29 2012-07-18 福建鹏坤实业有限公司 石材幕墙便捷销扣
CN103015576A (zh) * 2011-09-27 2013-04-03 苏州金螳螂幕墙有限公司 一种单元幕墙的侧挂装置
KR101256884B1 (ko) * 2012-02-28 2013-04-22 (주)동양윈텍 커튼월용 앵커장치
CN104278777A (zh) * 2014-08-06 2015-01-14 悉地(北京)国际建筑设计顾问有限公司 连接装置
CN104563334A (zh) * 2014-12-19 2015-04-29 徐州飞虹网架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钢结构体系中内嵌墙板连接组件
CN105421615A (zh) * 2015-12-01 2016-03-23 沈阳建筑大学 预制装配式剪力墙水平螺栓连接构造
CN105464262A (zh) * 2015-12-24 2016-04-06 多维联合集团有限公司 墙面骨架连接板及其应用节点结构
CN105464259A (zh) * 2015-12-24 2016-04-06 多维联合集团有限公司 槽式预埋件以及槽式预埋件的应用节点结构
CN105526233A (zh) * 2016-01-20 2016-04-27 山东天盾矿用设备有限公司 T型螺栓防脱落槽道
KR101677210B1 (ko) * 2016-06-27 2016-11-18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조립형 채널
CN111779891A (zh) * 2019-10-25 2020-10-16 河北帕克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应用于哈芬槽的支架及哈芬槽套件
KR20210138885A (ko) * 2020-05-13 2021-11-22 김정년 매입형 앵커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5576A (zh) * 2011-09-27 2013-04-03 苏州金螳螂幕墙有限公司 一种单元幕墙的侧挂装置
CN102345327A (zh) * 2011-11-15 2012-02-08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用于固定建筑施工设备的可周转使用的固定件及安装方法
KR101256884B1 (ko) * 2012-02-28 2013-04-22 (주)동양윈텍 커튼월용 앵커장치
CN102587550A (zh) * 2012-02-29 2012-07-18 福建鹏坤实业有限公司 石材幕墙便捷销扣
CN102587550B (zh) * 2012-02-29 2015-05-20 福建鹏坤实业有限公司 石材幕墙便捷销扣
CN104278777A (zh) * 2014-08-06 2015-01-14 悉地(北京)国际建筑设计顾问有限公司 连接装置
CN104563334A (zh) * 2014-12-19 2015-04-29 徐州飞虹网架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钢结构体系中内嵌墙板连接组件
CN105421615A (zh) * 2015-12-01 2016-03-23 沈阳建筑大学 预制装配式剪力墙水平螺栓连接构造
CN105464262A (zh) * 2015-12-24 2016-04-06 多维联合集团有限公司 墙面骨架连接板及其应用节点结构
CN105464259A (zh) * 2015-12-24 2016-04-06 多维联合集团有限公司 槽式预埋件以及槽式预埋件的应用节点结构
CN105464262B (zh) * 2015-12-24 2018-06-26 多维联合集团有限公司 墙面骨架连接板及其应用节点结构
CN105526233A (zh) * 2016-01-20 2016-04-27 山东天盾矿用设备有限公司 T型螺栓防脱落槽道
KR101677210B1 (ko) * 2016-06-27 2016-11-18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조립형 채널
CN107542168A (zh) * 2016-06-27 2018-01-05 八角工程株式会社 埋入混凝土结构物的组装型槽钢
CN111779891A (zh) * 2019-10-25 2020-10-16 河北帕克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应用于哈芬槽的支架及哈芬槽套件
KR20210138885A (ko) * 2020-05-13 2021-11-22 김정년 매입형 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8107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2108417B1 (ko) 시설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앵커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1556545B1 (ko)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KR10183537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60299B1 (ko) 분리형 데크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0873266B1 (ko)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20090088106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1848727B1 (ko) 피씨기둥의 접합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JP2000034784A (ja) インサート兼用スペーサー
KR20090088104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0996724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용 철근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KR20180010685A (ko)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83509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16113B1 (ko) 스틸박스 교량의 슬라브 거푸집용 높이 조절장치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JP4982217B2 (ja) 設備用基礎構造体
KR102002429B1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JP2019148158A (ja) 壁高欄施工方法と壁高欄
KR20180136749A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KR100840624B1 (ko) 휀스용 포스트
JP4757902B2 (ja) トンネル通路構築用壁面板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JP2012067441A (ja) アンカーボルトの設置方法
KR20090123379A (ko) 조립식 기둥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