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834B1 - 표시기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834B1
KR101420834B1 KR1020127016519A KR20127016519A KR101420834B1 KR 101420834 B1 KR101420834 B1 KR 101420834B1 KR 1020127016519 A KR1020127016519 A KR 1020127016519A KR 20127016519 A KR20127016519 A KR 20127016519A KR 101420834 B1 KR101420834 B1 KR 10142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handle
guide
spring
indica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068A (ko
Inventor
볼커 빈데커
슈테판 하버
드니제 슈미트
카디르 야자로글루
베른트 하이만
토비아스 브라운
페터 뮐러
Original Assignee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09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3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 특히 자동차의 뒷좌석의 접을 수 있는 등받이가 잠기지 않았음을 신호하기 위한 표시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잠김 위치 및 잠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봇 축선(12)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핸들(9)을 가지며, 핸들에 의해 잠금 장치의 걸쇠(4)가 차단된 위치 및 차단 해제된 위치 사이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전달 부재에 의해 가이드 내에 리세스되는 비-표시 위치와 부분적으로 가이드(19)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표시 위치 사이의 가이드(9)에서 안내되는 표시기 부재(18)는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핸들(9)이 잠김 해제 위치에 놓일 때 가이드(19)로부터 돌출하는 외측 단부 영역으로의 힘의 인가에 의해 표시기 부재(18)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비-표시 위치 안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전달 부재는 핸들(9) 및 표시기 부재(18) 양측 모두에 단단히 연결되는 스프링 부재이다.

Description

표시기 장치{INDIC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좌석의 접힘 가능한 등받이, 특히 자동차의 뒷좌석 등받이가 잠기지 않았음을 신호하기 위한 표시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잠김 위치 및 잠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봇축(pivot axis)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핸들을 가지며, 핸들에 의해 잠금 장치의 걸쇠(catch)가 차단된 위치 및 차단 해제된 위치 사이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전달 부재에 의해 가이드 내에 리세스되는(recessed) 비-표시 위치와 가이드로부터 부분적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표시 위치 사이의 가이드 내에서 안내되는 표시기 부재는 변위 가능한 방식(displaceable manner)으로 움직일 수 있고, 핸들이 잠김 해제 위치에 놓일 때, 가이드로부터 돌출하는 그 외측 단부 영역으로의 힘의 인가에 의해 표시기 부재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비-표시 위치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표시기 장치는, 특히 뒷좌석의 접힐 수 있는 등받이를 가지는 승용차의 경우, 상기 등받이의 잠금 장치가 정확한 걸림 위치(latched position)에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이는 운전 작동 중에 어떤 감속이 일어날 경우, 특히 브레이크 적용 중에 등받이가 전방으로 접히게 되는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표시기 장치의 경우, 표시기 부재가 핸들에 의해 비-표시 위치로부터 표시 위치 내로 스프링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표시기 부재는 핸들에 의해 포지티브 록킹 방식(positive locking manner)으로 표시 위치로부터 비-표시 위치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운동의 표시기 부재는 고가의 구성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므로, 간단한 구성를 가지고 그 조립에 대하여 적은 비용을 요구하는, 도입부에서 언급된 유형의 표시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달 부재가 핸들 및 또한 표시기 부재 양측 모두에 단단히 연결된 스프링 부재이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표시기 부재가 핸들에 의해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움직일 경우에, 변형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며, 스프링 부재는 핸들이 잠김 해제 위치에 놓일 때 탄성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고, 표시기 부재는 표시 위치로부터 비-표시 위치 내로 이동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스프링 부재는 본 실시예에 의해, 표시기 부재를 비-표시 위치로부터 표시 위치 내로, 그리고 또한 표시 위치로부터 비-표시 위치 내로, 모두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이동하는 3단 접힘 기능(three-fold function)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기 부재에 외력이 인가될 때, 스프링 부재는 프로세스 중 핸들의 작동없이 표시 위치로부터 가이드 내로 이동한다.
이는 표시기 부재의 돌출이 임의의 승객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임의의 다른 힘이 인가되는 경우에 표시기 부재가 편향되도록 하여, 표시기 장치의 작동 안전성이 증대되도록 한다.
스프링 부재는 표시기 부재와 핸들 상의 스프링 부재의 연결지점 사이에서 스프링 부재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탄성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고, 피봇 축선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배치에서 핸들에 맞물릴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 부재가 핸들에 부착된 탄성 아암이고, 적어도 핸들의 피봇 축선에 대해 대략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며, 표시기 부재의 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스프링 부재의 타단부와 표시기 부재가 접촉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간단한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부재는 그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탄성 방식으로 편향될 수 있는 푸시/풀 로드(push/pull rod)일 수 있고, 이 푸시/풀 로드는 탄성 와이어 또는 판 스프링 또는 또한 일래스토머 로드(elastomer rod)일 수 있다.
표시기 부재의 정상적인 외향 또는 내향 운동의 경우에, 푸시/풀 로드의 강성은 푸시/풀 로드가 변형하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외력이 표시 위치에서 표시기 부재에 인가되면, 푸시/풀 로드의 강성은 극복되고 이는 탄성 방식으로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도록 편향되어, 표시기 부재가 가이드 내로 이동할 수 있고 그 안에서 보호되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스프링 부재는 탄력-탄성 재료로, 특히 굴곡형 판 스프링(meandering leaf spring)으로 제조된 굴곡형 스프링(meander spring) 부재일 수있다.
만일 외력이 적용되면, 굴곡형 부재는 그 길이를 줄이는 방식으로 압축되어, 표시기 부재는 가이드 안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굴곡형 판 스프링으로서의 실시예는 굴곡형 부재가 측부로 좌굴(buckling)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 실시예는 스프링 부재가 나선형 압축 스프링이라는 사실에 관련된다.
나선형 압축 스프링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기 부재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의 권선부를 통과하여 대략 동축으로, 또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과 평행으로,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 부재는 2개의 상호 대략적으로 대칭인 굽힘 로드들(bending rods)을 포함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굽힘 로드들은 그들의 2개의 단부 영역에서 서로 단단히 연결되고 그들의 종방향 연장부의 중간 영역에서 상기 굽힘 로드들은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이형부(ear shape)를 형성한다.
추가적인 연결 부재의 요구 없이 간단하고 신속한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는 핸들 및/또는 표시기 부재에 클립 연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영향과 손상에 대하여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기 장치는 표시기 부재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에 배치될 수 있다.
만일 스프링 부재가 탄력-탄성 합성 재료로 제조된 사출 성형 부품(injection molded part)이라면, 스프링 부재는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cost-effective)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추가적인 비용 절감 및 조립 공정의 단순화는 스프링 부재 및 표시기 부재가 일체형으로 구체화되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스프링 부재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스프링 부재의 핸들-측 단부는 푸시/풀 부재의 방식에 의해 핸들에 연결될 수 있다.
만일 푸시/풀 부재가 핸들의 피봇 축선에 대하여 평행한, 관절형 조인트 축선(articulated joint axis)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핸들 상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면, 푸시/풀 부재는 핸들의 각각 위치에 적합한 핸들의 피봇 운동 중에 정렬될 수 있다.
표시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원통 또는 또한 평탄한 슬라이드(slide) 방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자동차 승객을 위해 표시기 부재를 좀더 쉽게 눈에 띄게 만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예를 들면 적색과 같은, 경고 색을 가진다.
만일 표시기 부재가 그 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탄성 방식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면, 비록 외력이 인가될 경우라도, 가이드 내에서 그 변위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고 손상을 피할 수 있다.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좀더 상세하게 이하에서 설명되고 도면으로 도시되며,
도 1은 비-표시 위치에 있는 표시기 장치와 함께 차단된 위치에 있는 잠금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표시 위치에 있는 표시기 장치와 함께 차단 해제된 위치에 있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잠금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비-표시 위치에 있는 표시기 장치와 함께 차단 해제된 위치에 있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잠금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비-표시 위치에 있는 표시기 장치의 제 2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와 함께 차단 해제된 위치에 있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잠금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잠금 장치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기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표시 위치에 있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기 장치와 함께 차단 해제된 위치에 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기 장치 및 잠금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비-표시 위치에 있는 표시기 장치의 제 3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와 함께 차단 해제된 위치에 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9는 표시 위치에 있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기 장치와 함께 차단 해제된 위치에 있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잠금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표시 위치에 있는 표시기 장치의 제 4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와 함께 차단 해제된 위치에 있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잠금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표시기 장치의 제 5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스프링 부재 및 표시기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8 및 도 9의 표시기 장치의 스프링 부재 및 표시기 부재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3은 도 8 및 도 9의 표시기 장치의 스프링 부재 및 표시기 부재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표시기 장치의 제 6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스프링 부재 및 표시기 부재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5는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기 장치의 스프링 부재 및 표시기 부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잠금 장치들은 잠금 장치 하우징의 잠금 장치 하우징 절반 부분(half; 1)을 포함하고, 잠금 장치 하우징 절반 부분은 에지 측부에 개방된 유입 슬롯(entry slot; 2)을 포함하며, 유입 슬롯을 통하여, 자동차의 샤시 부분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잠금 핀(도시되지 않음)이 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멈춤쇠(pawl; 도시되지 않음)는 베어링 구멍(3)에서 피봇 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멈춤쇠가 잠김 위치에 있을 때 유입 슬롯(2) 안으로 삽입되는 잠금 핀은 상기 멈춤쇠에 의해 포획된다.
멈춤쇠는 잠김 위치에서 멈춤쇠를 고정하기 위해 대략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숄더(shoulder)를 포함하고, 숄더는 멈춤쇠가 잠김 위치에 있을 때, 걸쇠(catch; 4)의 디텐트(detent; 6)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맞물릴 수 있다.
걸쇠(4)는 잠금 장치 하우징 절반 부분(1)에서 피봇 축선(5)을 중심으로, 차단된 위치(도 1) 및 차단 해제된 위치(도 2 내지 도 10)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다.
링크(7)의 일 단부는 관절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걸쇠(4)에, 피봇 축선(5)에 평행한, 제 1 축선(8)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링크의 다른 한 단부는 관절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핸들(9)에, 제 2 축선(10)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핸들(9)은 하우징(11)에 장착되고, 하우징은 제 2 축선(10)과 평행한 제 2 피봇 축선(12)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잠금 장치 절반 부분(1)에 연결된다. 상기 핸들(9)은 하우징(11)에서 개구(13)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는 파지부(grip; 14)를 포함하고, 파지부에 의해 핸들(9)은 수동으로 잠김 위치(도1) 및 잠김 해제 위치(도 2 내지 10)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걸쇠(4)는 차단된 위치 및 차단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다.
표시기 장치의 전달 부재는 제 2 피봇 축선(1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배치로 핸들(9)에 부착된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경우에서, 푸시/풀 부재(16)는 그 단부들중 하나에서 관절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관절 조인트 축선(articulated joint axis; 15)에 의해 핸들(9)에 연결되고, 나선형 압축 스프링(17)에 대한 제 2 피봇 축선(12)을 중심으로 관절형 조인트 축선(15)의 피봇 운동에 대해 대략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며, 나선형 압축 스프링(17)은 그 단부들 중 하나에서 상기 나선형 압축 스프링으로 향하는 푸시/풀 부재(16)의 단부에 연결되고, 푸시/풀 부재(16)의 종방향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다.
나선형 압축 스프링(17)의 타 단부는 평탄한 슬라이드-유형(flat slide-type) 표시기 부재(18)에 연결되고, 표시기 부재(18)는 하우징(11)에 배치된 가이드(19)에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안내된다.
여기서, 가이드(19)는 하우징(11)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다.
표시기 부재(18) 및 가이드(19)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0의 표시기 장치의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두 동일하다.
도 4 내지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달 부재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17')이고, 나선형 압축 스프링은 그 단부들 중 하나에서 관절 조인트 축선(15)에 의해 핸들(9)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하우징(11) 안으로 향한 표시기 부재(18)의 단부에 연결된다.
표시기 부재(18)는 가이드(19)에 대해 축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로드(20)를 포함하고, 나선형 압축 스프링(17')에 인접하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관절형 조인트 축선(15)의 영역에서 핸들(9) 상의 가이드 러그(guide lug; 26)를 관통한다.
표시기 장치의 도 8 및 도 9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가이드 로드(2)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4 내지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상응한다.
도 1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달 부재는 푸시/풀 로드이고, 이 푸시/풀 로드는 판 스프링(21)으로서 구체화되고, 대략 가이드(19)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며, 탄성 방식으로 그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판 스프링(21)은 그 단부 중 하나에서 표시기 부재(18)에 단단히 연결되고, 다른 한 단부는 핸들(9)에 연결된다.
전달 부재와 함께, 도 11에 도시된 표시기 부재(18')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일체형으로 구체화된다. 여기서 전달 부재는 두 개의 상호 거의 대칭적인 굽힘 로드(bending rod, 22)를 포함하는 스프링 부재이고, 상기 굽힘로드는 그것들의 두 단부 영역에서 서로 단단히 연결되고 결과로서 굴곡 강성(flexurally rigid)이다. 굽힘 로드의 종방향 연장부의 중간 영역에서 상기 굽힘 로드들은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떨어져 이형부(23)를 형성하고 탄성 방식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그 부품들에 상당한 정도 상응하는, 표시기 부재(18) 및 전달 부재의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나선형 압축 스프링(17)은 그 단부들 중 하나에서 표시기 부재(18)에 단단히 연결되고 그 다른 한 단부 상에 클립(24)을 포함한다. 나선형 압축 스프링(17)은 클립(24)에 의해 상응하는 핸들(9)의 리세스안으로 클립 고정될 수 있다.
표시기 부재(18) 및 전달 부재의 도 14 및 도 1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기 부재(18)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표시기 부재(18)에 상응한다.
굴곡형 판 스프링의 형태로 굴곡형 스프링 부재(25)로서 구체화된 전달 부재는 합성 재료로 된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표시기 부재(18)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서 클립(24)을 포함하며, 이는 도 12 및 도 13에 상응한다.
스프링 부재로서 구체화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달 부재들은 핸들(9)이 피봇 운동을 수행할 때, 상기 전달 부재가 푸시 로드로 기능하여 이러한 운동을 표시기 부재 (18,18')에 전달하며, 그 가이드(19) 내에서 표시기 부재(18,18')를 변위시킬 정도로 그들의 연장부에서 변형에 대해 저항한다.
여기서, 핸들(9)이 잠김 위치(도 1)에 놓일 때, 표시기 부재(18,18')는 가이드(9) 내에서 리세스되어 완전하게 비-표시 위치에 놓이고, 핸들이 잠김 해지 위치 (도 2, 6, 7, 9, 10)에 놓일 때, 상기 표시기 부재는 가이드(9)로부터 부분적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표시 위치에 위치된다.
만일 외력이 그 표시 위치에 위치된 표시기 부재(18,18')에 적용되는 경우, 표시기 부재(18,18')는 전달 부재의 탄성 변형 동안에, 스프링 부재로서 구체화되어, 완전하게 가이드(9) 안으로 변위되어 그 안에서 보호된다.
핸들(9)은 그 잠김 해지 위치에 남아 있다. 만일 외력이 제거되면, 표시기 부재(18,18')는 스프링 부재로서 구체화된 전달 부재에 의해 그 표시 위치로 되돌아간다.
핸들(9)이 잠김 해지 위치로부터 잠김 위치로 피봇될 때, 전달 부재는 변형에 대해 저항하는 푸시 로드로서 한번 더 작용하고 표시기 부재(18, 18')를 가이드(9) 내로 그 비-표시 위치로 잡아당긴다.
1 잠금 장치 하우징 절반 부분
2 유입 슬롯
3 베어링 구멍
4 걸쇠
5 피봇 축선
6 디텐트
7 링크
8 제 1 축선
9 핸들
10 제 2 축선
11 하우징
12 제 2 피봇 축선
13 개구부
14 파지부
15 관절형 조인트 축선
16. 푸시/풀 부재
17 나선형 압축 스프링
17' 나선형 압축 스프링
18 표시기 부재
18' 표시기 부재
19 가이드
20 가이드 로드
21 판 스프링
22 굽힘 로드
23 이형부
24 클립
25 굴곡형 스프링 부재

Claims (10)

  1. 좌석의 접힘 가능한 등받이가 잠기지 않았음을 신호하기 위한 표시기 장치로서,
    잠김 위치 및 잠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봇 축선(pivot axis)을 중심으로 피봇(pivoted)될 수 있는 핸들(handle)을 가지며, 상기 핸들에 의해 잠금 장치의 걸쇠(catch)는 차단된 위치 및 차단 해제된 위치 사이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가이드 내에서 리세스되는(recessed) 비-표시 위치와 부분적으로 상기 가이드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표시 위치 사이에서 전달 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 내에서 안내되는 표시기 부재는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핸들이 상기 잠김 해제 위치에 놓일 때, 가이드로부터 돌출하는 외측 단부 영역으로의 힘의 인가에 의해 상기 표시기 부재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비-표시 위치 내로 이동될 수 있는, 표시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핸들(9)에 및 상기 표시기 부재(18, 18')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 부재이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푸시 로드(push rod)로 기능하여, 상기 표시기 부재(18, 18')를 변위 가능한 방식(displaceable manner)으로 비-표시 위치로부터 표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풀 로드(pull rod)로 기능하여, 상기 표시기 부재(18, 18')를 변위 가능한 방식(displaceable manner)으로 표시 위치로부터 비-표시 위치로도 이동시키고,
    상기 핸들(9)에 의해 상기 표시기 부재(18, 18')가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프링 부재가 변형에 저항하고, 상기 핸들(9)이 상기 잠김 해제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스프링 부재는 탄성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기 부재(18, 18')가 상기 표시 위치로부터 상기 비-표시 위치 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피봇 축선(1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배치에서 상기 핸들(9)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탄성 방식으로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는 푸시/풀 로드(push/pull ro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탄력-탄성(resilient-elastic) 재료로 제조된 굴곡형 스프링(meander spring) 부재(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호 대칭인 두 개의 굽힘 로드들(22)을 포함하고, 상기 굽힘 로드들은 상기 굽힘 로드들의 두 단부 영역에서 서로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굽힘 로드들의 종방향 연장부의 중간 영역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이형부(ear shape; 2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 장치는 상기 표시기 부재(18, 18')의 가이드(19)를 포함하는 하우징(1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의 핸들-측 단부는 푸시/풀 부재(16)에 의해 상기 핸들(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 부재(16)는, 상기 핸들(9)의 상기 피봇 축선(12)에 평행한 관절형 조인트 축선(articulated joint axis; 15)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관절 방식(articulated manner)으로 상기 핸들(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 부재(18, 18')는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경고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 부재는 탄성 방식으로 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장치.
KR1020127016519A 2009-11-25 2010-11-22 표시기 장치 KR101420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56155.2 2009-11-25
DE102009056155.2A DE102009056155B4 (de) 2009-11-25 2009-11-25 Anzeigevorrichtung
PCT/EP2010/007062 WO2011063920A1 (de) 2009-11-25 2010-11-22 Anzeige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068A KR20120094068A (ko) 2012-08-23
KR101420834B1 true KR101420834B1 (ko) 2014-07-18

Family

ID=4364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519A KR101420834B1 (ko) 2009-11-25 2010-11-22 표시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16672B2 (ko)
EP (1) EP2504198B1 (ko)
JP (1) JP5521046B2 (ko)
KR (1) KR101420834B1 (ko)
CN (1) CN102686446B (ko)
DE (1) DE102009056155B4 (ko)
IN (1) IN2012DN02840A (ko)
WO (1) WO2011063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1876B4 (de) 2011-05-12 2012-11-22 Keiper Gmbh & Co. Kg Verriegelungs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zur Verriegelung an einer Fahrzeugstruktur eines Fahrzeugs
DE102011054990B4 (de) * 2011-11-02 2021-05-27 Witte Automotive Gmbh Rückenlehnenverriegelung mit Anzeigeglied
JP6349905B2 (ja) 2014-04-18 2018-07-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アンロックレバー装置
DE102016205485A1 (de) 2016-04-04 2017-10-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tätigungsvorrichtung zur Lehnenentriegelung mit zwei Betätigungselementen und einem Indikator zur Anzeige der Lehnenverriegelung
EP3653430B1 (en) * 2017-07-13 2023-05-17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Seat lock device
US10577063B2 (en) * 2017-09-12 2020-03-03 The Boeing Company Stowage container with breach detection and indication system
DE102019209006A1 (de) * 2019-06-20 2020-12-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dikatoreinrichtung und Fahrzeugsitz
CN110203112A (zh) * 2019-07-04 2019-09-06 苏州红荔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靠背锁的解锁手柄
CN113022401B (zh) * 2020-07-24 2022-04-05 诺创汽车科技(上海)有限公司 车辆座椅靠背锁的解锁警示机构
US20240001817A1 (en) * 2020-12-11 2024-01-04 Bambino Prezioso Switzerland Ag Child safety seat and seat base
US20240059197A1 (en) * 2022-08-17 2024-02-22 Kiekert Ag Motor vehicle latch, in particular motor vehicle backrest lat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2486A1 (de) * 2001-08-30 2003-03-20 Witte Velbert Gmbh & Co Kg Verschluss zum Fesseln einer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es an der Karosserie
DE102004045988B3 (de) 2004-09-22 2005-12-01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Anzeige zur Signalisierung der Nichtverriegelung einer klappbaren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2004052746B3 (de) 2004-09-22 2006-04-27 Faurecia Autositze Gmbh & Co.Kg Anzeige zur Signalisierung der Nichtverriegelung einer klappbaren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4047A1 (de) * 1994-04-22 1995-10-26 Frank Oelke Stuhl
JPH08119010A (ja) 1994-10-20 1996-05-14 Toyota Tekko Kk 可倒式リヤシートバックのアンロック警告装置
GB2298123B (en) * 1995-02-24 1998-07-01 Rover Group A rear sea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3810944B2 (ja) * 1999-05-21 2006-08-16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装置
JP3694728B2 (ja) 1999-09-29 2005-09-14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JP4047646B2 (ja) * 2002-07-15 2008-02-13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シートバック用ロック装置
DE102004023401B4 (de) * 2004-05-12 2006-04-13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Ent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 Fondlehnenteil eines Fahrzeuges
JP4597058B2 (ja) * 2006-01-23 2010-12-1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DE102007060922A1 (de) * 2007-09-04 2009-03-05 Johnson Controls Gmbh Anzeige- und Betätigungsvorrichtung sowie Fahrzeugsitz
DE102008033305B4 (de) * 2008-07-11 2019-06-27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08033303B4 (de) * 2008-07-11 2015-08-20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8033304B4 (de) * 2008-07-11 2018-01-04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JP5414108B2 (ja) * 2009-09-04 2014-02-12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2486A1 (de) * 2001-08-30 2003-03-20 Witte Velbert Gmbh & Co Kg Verschluss zum Fesseln einer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es an der Karosserie
DE102004045988B3 (de) 2004-09-22 2005-12-01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Anzeige zur Signalisierung der Nichtverriegelung einer klappbaren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2004052746B3 (de) 2004-09-22 2006-04-27 Faurecia Autositze Gmbh & Co.Kg Anzeige zur Signalisierung der Nichtverriegelung einer klappbaren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2DN02840A (ko) 2015-07-24
US9216672B2 (en) 2015-12-22
EP2504198B1 (de) 2015-05-27
CN102686446B (zh) 2015-04-08
WO2011063920A1 (de) 2011-06-03
KR20120094068A (ko) 2012-08-23
US20120227660A1 (en) 2012-09-13
DE102009056155A1 (de) 2011-08-04
EP2504198A1 (de) 2012-10-03
DE102009056155B4 (de) 2017-03-09
JP2013506597A (ja) 2013-02-28
JP5521046B2 (ja) 2014-06-11
CN102686446A (zh)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834B1 (ko) 표시기 장치
US6880867B2 (en) Vehicle door latching mechanism having an improved link rod
US7979950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7520122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658569B2 (en) Extensible bar with a simplified locking system
US8935825B2 (en) Wiper blade assembly
KR100549116B1 (ko) 방수 그로밋
CN103097629B (zh) 车辆的门把手装置
JP5826280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CA1236390A (en) Slide element employing balls and slide structure including said element
CA2562174A1 (en) Coupling for a fluid conducting system
US20030151290A1 (en) Guide sleeve for the rod of a neck rest
JP2004074920A (ja) 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結合部材及びワイパーブレード
WO2007009885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080184693A1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20060191095A1 (en) Composite buckling spring in compression spring wiper arm
JP5554532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アーム
US10926741B2 (en) Wiper bracket and wiper
US20090096140A1 (en) Gas Spring
CN112585028B (zh) 头枕锁定装置
GB2363423A (en) Vehicle glove box door latch actuation mechanism
KR101799287B1 (ko)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US11772610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wiper blade to a driving arm
JP4891279B2 (ja) 二部材組付け構造
KR100872929B1 (ko)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