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483B1 - 분말 유지 배합 저작용 소프트 캡슐 - Google Patents

분말 유지 배합 저작용 소프트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483B1
KR101420483B1 KR1020117016899A KR20117016899A KR101420483B1 KR 101420483 B1 KR101420483 B1 KR 101420483B1 KR 1020117016899 A KR1020117016899 A KR 1020117016899A KR 20117016899 A KR20117016899 A KR 20117016899A KR 101420483 B1 KR101420483 B1 KR 10142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soft
gelatin
fil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017A (ko
Inventor
노부유키 이시카와
고지 가지마
야스노리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쿄
Publication of KR2011011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품」, 「특정 보건용 식품」, 「이른바 건강 식품」및 식품에 널리 범용되고 있는 소프트 캡슐에 관한 것으로, 구강 내에서 소프트하고 양호한 저작성, 용해성을 가지면서, 젤라틴 피막에 부드러운 감칠맛을 주어, 캡슐 피막의 접착성, 캡슐끼리나 용기에 대한 부착 방지성이 우수한 데에다, 나아가 고습도 조건 하 등에 있어도 젤라틴 피막 수분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은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으로서 젤라틴, 가소제, 물과 함께 분말 유지를 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말 유지 배합 저작용 소프트 캡슐{POWDERY FAT-CONTAINING SOFT CAPSULES TO BE MASTICATED}
본 발명은 「의약품」, 「특정 보건용 식품」, 「이른바 건강 식품」및 식품에 널리 범용되고 있는 소프트 캡슐에 관한 것으로, 캡슐 피막으로서 분말 유지를 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용 소프트 캡슐에 관련된 것이다.
기능성 소재 등의 내용물을 내포하는 소프트 캡슐에 있어서의 피막 수분은 그 처해진 환경에 따라 변화하고, 일정한 온도 조건에서는, 그 때의 외기의 상대 습도 (이하, 간단히 「습도」로 표기한다) 에 지배되어, 캡슐이 그 피막 수분을 외기상으로 방습하거나, 혹은 외기상으로부터 흡습하여, 외기상과 캡슐 중의 피막 수분이 평형하게 도달한 수분량이 된다 (평형 수분량).
이와 같은 캡슐의 피막 수분 변동에 따라, 물성적인 변화나 이화학적인 성질의 변화가 일어나, 경화, 수축, 균열, 결정화, 석출 등이 진행되어, 캡슐의 맛, 향기나, 색, 식감 등의 풍미의 열화 등을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피막 수분 상승의 정도에 따라서는,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자유수 (水) 가 증가하여, 미생물적인 문제가 발생해 버리는 위험성도 안고 있다.
따라서, 이들 캡슐의 피막 수분 변동을 억제하는 것은, 품질 유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습성이 낮은 포재, 건조제의 봉입, 밀폐 용기 등을 사용함으로써, 외상의 습도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캡슐의 평형 수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
그러나, 이들 방법은, 비용이 들거나, 또는 일단, 캡슐이 개방계에 놓여지면, 수분 변동이 시작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어,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한편, 기능성 소재 등을 내포하는 소프트 캡슐에 있어서, 내용물을 덮는 캡슐 피막은, 그 강도나 탄력성 등을 높이기 위해서, 젤라틴 피막에 글리세린,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가 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가소제의 배합 비율을 높이면, 캡슐에 점착성을 필연적으로 부여해 버리는 성질이 있고, 특히 고온하나 다습하에서는, 이 점착성이 현저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환경 조건에 따라서는, 소프트 캡슐을 병에 넣는 공정 등의 포장 공정에 있어서의 캡슐의 활주성 (미끄러지기 쉬움) 을 악화시켜, 이들 작업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없음과 함께, 용기 충전 후에도 용기 내에서 캡슐끼리가 부착하거나 캡슐 용기에 부착하거나 하여,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가소제의 배합량을 낮게 하면, 이와 같은 점착성을 억제할 수 있지만, 주로 저온화나 저습하에 있어서는, 캡슐 피막부의 탄력성이 부족하여, 캡슐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피막이 경화되어, 균열, 내용물의 누출이라는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가소제의 배합량은 적당히 높이면서도, 부착성을 억제하는 여러 가지 수법으로서, (1) 젤라틴 피막에 대한 셀룰로오스의 첨가 (특허문헌 1), (2) 젤라틴 피막에 대한 식물성 왁스 등의 소수성 물질의 첨가 (특허문헌 2), (3) 젤라틴 피막에 대한 자일리톨 등의 결정성 수용성 물질의 첨가 (특허문헌 3)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의 방법은, 부착 방지에 일정한 효과는 있지만, 캡슐의 형성성 (캡슐 피막의 접착성) 이 저하되는 데에다, 젤라틴 피막 특유의 싱거운 맛 등이 남아, 저작성, 용해성, 맛 등의 점으로부터 충분한 상품 가치를 갖기에 이르지 않았다.
또, 소프트 캡슐 피막 수분의 상승의 정도에 따라서는, 부착 방지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이용할 수 있는 자유수가 증가하여, 미생물적인 문제가 발생해 버릴 위험성이 있다. 그 해결 수단으로서, 투습성이 낮은 포재, 건조제의 봉입, 밀폐 용기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원재료비의 증가나 생산성의 저하를 위해서 비용이 들거나 또한 일단, 소프트 캡슐이 고온, 다습 하에 놓여지면, 곧바로 피막 수분 상승이 시작되는 문제는 해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를 사용한 캡슐 성형 후에 있어서의 텀블러식 건조기를 사용한 건조 공정에 있어서, 캡슐 표면에 분말을 묻혀 부착 방지성을 높이는 방법 (특허문헌 4) 등도 제안되어 있는데, 생산성이 열등하여, 특히 다품종 소량 생산 등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734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360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893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8376호
「양과자 제조의 기초와 실제」주식회사 광림 평성3년 발행 303 ∼ 372페이지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을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과제는, 구강 내에서 소프트하고 양호한 저작성, 용해성을 가지면서, 젤라틴 피막에 부드러운 감칠맛을 주어, 캡슐 피막의 접착성, 캡슐끼리나 용기에 대한 부착 방지성이 우수한 데에다, 나아가 고습도 조건 하 등에 있어도 젤라틴 피막 수분의 상승을 억제한 저작용 소프트 캡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먼저 청구항 1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은, 내용물을 피막에 충전한 후, 캡슐 본체를 형성하는 캡슐 피막의 건조를 실시하는 소프트 캡슐에 있어서, 상기 피막부는, 젤라틴, 가소제, 분말 유지, 물을 함유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2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은, 상기 청구항 1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로, 상기 가소제의 피막 중의 배합량이,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80 ∼ 250 중량부이고, 상기 분말 유지가, 유지, 분말화 기재, 유화제를 함유하는 O/W 에멀션을 건조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3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로, 상기 분말 유지의 피막 중의 배합량이,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1 ∼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4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은, 상기 청구항 1, 2 또는 3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로, 내용물을 피막에 충전한 후, 상기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을, 텀블러식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캡슐 피막에 균일하게 분산된 분말 유지 유래의 유지분이, 캡슐 피막 표면에 배어 나옴으로써, 그 유지분으로 캡슐 표면이 오일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5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은, 상기 청구항 1, 2, 3 또는 4 항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로, 상기 분말 유지의 성분인 분말화 기재가,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올리고당, 자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6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은, 상기 청구항 1, 2, 3, 4 또는 5 항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로, 상기 분말 유지의 평균 입자 직경이, 0.3 ∼ 3 ㎛ 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7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은, 상기 청구항 1, 2, 3, 4, 5 또는 6 항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로, 상기 가소제가, 글리세린, 당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 이소말토 올리고당, 폴리덱스트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8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은, 상기 청구항 1, 2, 3, 4, 5, 6 또는 7 항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로, 상기 피막부를 조정하는 데에 있어서, 젤라틴, 가소제, 분말 유지, 물을 함유함으로써, 부착 방지성, 구강 내에서의 저작성, 용해성, 부드러운 감칠맛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9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은, 상기 청구항 1, 2, 3, 4, 5, 6, 7 또는 8 항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로, 상기 피막부를 조정하는 데에 있어서, 젤라틴, 가소제, 분말 유지, 물을 함유함으로써, 젤라틴 피막 수분의 상승을 억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10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은, 상기 청구항 1, 2, 3, 4, 5, 6, 7, 8 또는 9 항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로, 상기 피막부를 조정하는 데에 있어서, 젤라틴, 가소제, 분말 유지, 물을 함유함으로써, 젤라틴 피막 수분의 상승을 억제하여, 실리카 겔, 산화칼슘, 염화칼슘, 실리카알루미나 겔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인 건조제를 사용하지 않고 병에 넣어 포장하거나 또는 봉투에 넣어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으로서 분말 유지를 배합함으로써, 구강 내에서 소프트하고 양호한 저작성, 용해성을 가지면서, 젤라틴 피막에 부드러운 감칠맛을 주어, 캡슐 피막의 접착성, 캡슐끼리나 용기에 대한 부착 방지성이 우수한 데에다, 나아가 고습도 조건 하 등에 있어도 젤라틴 피막 수분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이들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을 수단으로서, 병에 넣어 포장하거나, 봉투에 넣어 포장할 때 실리카 겔 등의 건조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보다 간편하고 보다 안정적인 품질을 유지한 저작용 소프트 캡슐을 얻을 수 있다.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으로서 분말 유지를 첨가하는 작용 효과>
본 발명의 분말 유지 첨가의 작용 효과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지만, 분말 유지의 물성에 의해, 그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찰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말 유지란, 유지, 분말화 기재, 유화제를 함유하는 O/W 에멀션을 건조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유지를 단백질이나 당질 등으로 감싼 식품 소재이다. 그러므로, 분말 유지를 캡슐 피막으로서 첨가함으로써, 통상적인 유지를 캡슐 피막으로서 첨가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내었다.
즉,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으로서, 젤라틴, 가소제, 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액에 분말 유지를 첨가하여 용해 분산하면 평균 입자 직경이 약 1 ㎛ 인 오일 방울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젤라틴 피막액에 유지를 첨가하여 교반 분산해도, 30 ∼ 50 ㎛ 정도로만 미세해지고, 또한 유지는 소수성 물질이기 때문에, 젤라틴, 가소제, 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액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도 매우 곤란하다.
유지에 따라서도 상이한데, 유지를 젤라틴 피막액에 첨가, 교반 분산함으로써 평균 입자 직경이 30 ㎛ 정도로 미세해진 것으로 상정한다. 그러나, 유지 대신에 분말 유지를 젤라틴 피막액에 첨가함으로써, 이 입자 직경 30 ㎛ 의 오일 방울 1 개를, 입자 직경 1 ㎛ 의 분말 유지 27000 개 (303 개) 로 분해하면, 그 표면적은 900 배 (302 배) 가 된다. 표면적이 증가하면, 유화 안정성의 기능이 유효하게 발휘되기 때문에, 젤라틴 피막액에 대한 균일성, 분산성이 높아져, 건조시켜 저작용 소프트 캡슐로 했을 때에, 구강 내에서 소프트하고 양호한 저작성, 용해성을 가지면서, 젤라틴 피막에 부드러운 감칠맛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통상, 젤라틴, 가소제, 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액에, 유지 등 젤라틴, 가소제 이외의 물질을 배합하면, 피막액 중에서의 균일성, 분산성이 열등한 데에다, 캡슐 피막끼리의 접착도 저해되기 때문에, 일정량 (예를 들어,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이상 배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유지, 분말화 기재, 유화제를 함유하는 O/W 에멀션을 건조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유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분말 유지를 일정량 (예를 들어,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이상 배합해도, 피막액 중에서의 균일성, 분산성이 우수한 데에다, 캡슐 피막끼리의 접착을 저해하지 않고, 우수한 접착성을 가진 캡슐을 얻을 수 있다.
또,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를 사용한 캡슐 성형 직후의 캡슐 피막 수분은 약 25 ∼ 40 % 정도인데, 그 후에 텀블러식 건조기를 사용하여, 캡슐 피막 수분을 약 7 ∼ 15 % 로 건조시켜 가는 과정에 있어서, 캡슐 피막에 균일하게 분산된 분말 유지 유래의 유지분이, 캡슐 피막 표면에 배어 나옴으로써, 그 유지분으로 캡슐 표면이 오일 코팅된다. 이 분말 유지 유래의 유지분으로 캡슐 표면이 오일 코팅됨으로써, 캡슐끼리나 용기에 대한 부착 방지성이 우수한 데에다, 나아가 고습도 조건 하 등에 있어도, 젤라틴 피막의 수분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캡슐 건조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식 건조기란, 금망을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소프트 캡슐과 분위기의 접촉을 촉진함으로써, 소프트 캡슐 피막에 함유되는 수분의 방산을 도모하는 것으로, 적절한 급기 기구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한 텀블러식 건조기로서는, 예를 들어, 주식회사 산쿄사 제조의 형식 : KTB 타입, OTB 타입, 주식회사 카마타사 제조의 형식 : TDM-P5 타입, TDM-SL5 타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사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분말 유지와 함께 캬라멜 색소와 같은 착색제나 감미료 등 다른 성분이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 성분으로서 함유되어 있어도, 분말 유지 첨가에 의한, 구강 내에서 소프트하고 양호한 저작성, 용해성을 가지면서, 젤라틴 피막에 부드러운 감칠맛을 주어 캡슐끼리나 용기에 대한 부착 방지성이 우수한 데에다, 나아가 고습도 조건 하 등에 있어도 젤라틴 피막 수분의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 효과를 저해하는 것은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말 유지란, 유지, 분말화 기재, 유화제를 함유하는 O/W 에멀션을 건조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분말 유지이면, 어느 것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요시유지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매직펫 215, 매직펫 110, 매직펫 202, 매직펫 250, 매직펫 100, 매직펫 200, 매직펫 700, 매직펫 100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말 유지에 사용할 수 있는 유지로서는, 액체, 고체의 동식물 유지, 경화된 동식물 유지, 동식물 유지의 에스테르 교환유, 분별한 액체유 또는 고체 지방 등, 식용에 적합한 것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채종유, 콘유, 대두유, 면실유, 사플라워유, 팜유, 야자유, 미강유, 참기름, 카카오지, 올리브유, 팜핵유 등의 식물성 유지, 어유, 돈지, 우지, 계지, 유지 등의 동물성 유지 및, 이들 유지의 경화유 또는 에스테르 교환유, 혹은 이들 유지를 분별하여 얻어지는 액체유, 고체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이다.
본 발명의 분말 유지에 사용할 수 있는 분말화 기재로서는, 유단백, 대두단백, 소맥 단백, 전지분유, 탈지분유, 소맥분, 전분, 젤라틴, 훼이, 검질,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이다. 그 중에서도,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올리고당, 이당류의 자당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분말 유지의 분말화 기재로서 환원당을 사용하는 경우, 그 환원당과 소프트 캡슐 피막 유래의 젤라틴 분자의 메이라드 반응에 의해 붕괴 지연 및 갈색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분말 유지의 분말화 기재로서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올리고당, 이당류의 자당을 사용하는 경우, 환원당을 사용했을 때와 같은 젤라틴 분자와의 메이라드 반응에 의한 붕괴 지연 및 갈색 변화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분말화 기재로서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올리고당, 자당을 사용한 분말 유지를 저작용 소프트 캡슐제 피막으로서 배합함으로써, 구강 내에서 소프트하고 양호한 저작성, 용해성을 가지면서, 젤라틴 피막에 부드러운 감칠맛을 주어, 캡슐 피막의 접착성, 캡슐끼리나 용기에 대한 부착 방지성이 우수한 데에다, 나아가 고습도 조건 하 등에 있어도 젤라틴 피막 수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분말 유지와 젤라틴 분자의 메이라드 반응에 의한 붕괴 지연 및 갈색 변화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그러한 분말 유지로서는, 예를 들어, 미요시유지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매직펫 215 (분말화 기재로서 말토덱스트린을 사용), 매직펫 200 (분말화 기재로서 덱스트린을 사용)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유단백으로서는, 산 카세인, 레닛 카세인, 카세인나트륨 등을, 전분으로서는, 옥테닐숙신산 전분,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소맥분 전분, 타카피오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또 검질로서는, 잔탄 검,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검, 젤란 검, 로카스트빈 검, 타마린드시드 검, 카리기난, 한천, LM 펙틴, HM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말 유지에 사용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O/W 의 유화력을 높이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유화력이 있는 가공 전분 (옥테닐숙신산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말 유지란, 유지, 분말화 기재, 유화제를 함유하는 O/W 에멀션을 건조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O/W 에멀션을 건조 분말화하는 방법으로서는, 분무 건조법, 진공 동결 건조법, 진공 건조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말 유지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 중의 배합량은, 기대하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하면 되는데,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1 ∼ 30 중량부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 15 중량부, 더욱 더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12.5 중량부이다. 분말 유지의 캡슐 피막 중의 배합량이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1 중량부 이하이면 효과가 발현되기 어렵고, 30 중량부 이상이면 분말 유지 성분의 맛이 지나치게 강해져, 캡슐 피막의 맛의 밸런스가 열등한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말 유지의 평균 입자 직경은 0.3 ∼ 3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2 ㎛,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 1.5 ㎛,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0.9 ∼ 1.1 ㎛ 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말 유지의 평균 입자 직경은 0.3 ㎛ 이하이면 젤라틴 피막에 부드러운 감칠맛이 나오기 어렵고, 3 ㎛ 이상이면 캡슐 피막 용액 중에서의 균일성, 분산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젤라틴은, 소, 돼지, 닭, 물고기 등의 뼈나 가죽 혹은 힘줄 등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을 분해, 정제하여 얻어지는 분자량 수 만 ∼ 수십 만의 단백질로,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젤라틴이면,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가소제는, 글리세린, 당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폴리덱스트로오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이다.
여기서 당 알코올로서는, 에리트리톨, 락티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등을 들 수 있고, 단당류로서는,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리보오스, 크실로오스, 아라비노오스 등을 들 수 있고, 이당류로서는,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또 가소제의 배합 비율은, 기대하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하면 되는데,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30 ∼ 300 중량부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25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200 중량부,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150 중량부이다. 가소제의 배합 비율이 30 중량 이하이면 캡슐 피막의 강도나 탄력성이 충분하지 않고, 3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이면, 캡슐 강도는 있지만, 캡슐 피막이 딱딱하여 씹히지 않아 저작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다. 가소제의 배합 비율을 80 중량부로부터 늘려 가면, 저작성은 양호해지지만, 250 중량부 이상이 되면 캡슐 피막의 점착성이 증대되어 제조 안정성이 열등하고, 제조 후의 캡슐끼리의 부착 방지성도 열등한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 중에는, 젤라틴, 가소제, 분말 유지, 물의 성분 이외에, 기대하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추가로 감미료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감미료로서는, 아스파탐, 글리시리진산2나트륨,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아, 소마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이다. 또한 편의상, 전술한 가소제로서 든 당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 등은, 감미료의 정의로부터 제외하고 있는데, 이들을 감미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감미료의 배합 비율은, 기대하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하면 되는데,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5 ∼ 100 중량부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8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3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 중에는, 젤라틴, 가소제, 분말 유지, 물의 성분 이외에, 기대하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감미료 이외에 또한 착색제, 방부제, 붕괴제, 방향제, 교미제, 교취제, 부착 방지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분은, 젤라틴, 가소제, 분말 유지, 물과 함께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 중에 배합함으로써 캡슐 피막 표면에 요철을 주어, 분말 유지 배합과의 상승 효과로 캡슐끼리의 부착 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전분은, 통상 5 ∼ 50 중량 % 의 물을 함유할 수 있어 보수 (保水) 작용을 갖기 때문에,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를 사용한 제조시의 캡슐 피막 시트에 점성을 주어 금형, 캐스팅 드럼 등에서의 박리성을 높여, 캡슐의 제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분의 보수 작용에 의해 캡슐 피막의 저작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분은, 본래 소수성 물질인데,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를 사용한 캡슐 제조시에 금형으로부터 받는 압력 (예를 들어 150 ∼ 200 ㎏/㎠) 에 의해 부분적으로 α 화하여, 호료 (糊料) 로서도 작용한다. 그 때문에, 비교적 많이 (예를 들어,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30 중량부) 배합해도, 캡슐 피막끼리의 접착을 저해하지 않고, 우수한 접착성을 가진 캡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분의 배합 비율은, 기대하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하면 되는데,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10 ∼ 60 중량부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5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40 중량부이다.
또한, 여기서 본 발명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 내용물로서는, 식물유, 동물유, 식물유와 동물유의 조합, 나아가서는 각 유지류에 동식물 엑기스류 및 엑기스류 분말을 함유하는 현탁유 등 온갖 유지와의 혼합물로 캡슐화가 가능한 것 모두의 기능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캡슐 내용물의 구체예를 들면, 로열 젤리, 프로폴리스, 버섯 엑기스, 레이시, 솔잎 엑기스, 은행나무잎 엑기스, 얼룩조릿대 엑기스,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옥타코사놀, 알로에, 에조우코기, 고려 인삼, 우콘, 동충하초, 두중 (杜中) 엑기스, 마늘, 초, 흑초, 향초, 루틴, 김네마, 대두 펩티드, 하톰기 엑기스, 허브, 효모, 효소류, 물개 엑기스, 심해 상어 엑기스, 자라 엑기스, 프라센타 엑기스, 살무사, 마로 엑기스, 감 엑기스, 비피더스균, 락트산균, 키틴, 키토산, 타우린, 핵산, 올리고당, 센존스워트, 발레리안, 에키나케아, 대두 이소플라본, 달맞이꽃 오일, 녹차 카테킨, 폴리페놀, 블루베리, 리코핀, 아가리쿠스, 영초, 모로헤이야,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콜라겐, DHA, EPA, 발아 현미, 실리마린, 시스테인펩티드, 레시틴, β 카로틴, 비타민 E, 세라미드, 스쿠알렌, 석류 엑기스, 비타민 C,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니아신, 비타민 A, 비타민 K1, 비타민 K2, 비타민 D, 니코틴산, 니코틴아미드, 판토텐산, 비오틴, 카로틴, 사라시아, 가르시니아, 고추 캅사이신, 카르니틴, 식물 섬유, 뽕잎, 난소화성 덱스트린, 펩티드류, 엽산, 칼슘, 마그네슘, 리튬, 아연, 크롬, 망간, 인, 나트륨, 칼륨, 클로라이드, 염화나트륨, 철, 구리, 게르마늄, 규소, 셀렌, 마카, 스쿠알렌, 벌꿀, 화분,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페닐알라닌, 프롤린, 세린, 스레오닌,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트리프오판, 티로신, 하이드록시프롤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아슈와간다, β1,3 글루칸, 비르베리, 보스웰리아 (칸란), 소 기관 연골, 브로콜리 추출물, 브로멜라인, 캣츠클로우, 세틸·미리스트리에이트, 클로렐라, 피콜린산크롬, 치와야, 코엔자임 Q10, 공액 리놀산, 카와라타케 추출물 (쿠레스틴), 크레아틴, 크립토크산틴, 시나린, 감초, 탈글리시리진 감초, 엘더 추출물 (세이요우니와트코), 에뮤 오일, 아마씨유, 포르스콜린 (콜레우스), 글리세롤, 구글리피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 마 오일, 하이드록시시트르산, 하이드록시아파다이트, 락토페린, L 카르니틴, 리포산, 루테인, 마이타케 추출물, 말산, 중사슬 지방산, 멜라토닌, 조정 시트러스펙틴 (MCP), 모노라우린, 메틸술포닐메탄, 프로게스테론, 님, 올리브입 추출물, 오르가노 오일, 피페린, 포스파티딜콜린, 프레그네노론, 프로안토시아니딘, 피듐, 켈세틴, 레스베라트롤, 로즈마리, 노코기리야시, 시리마린, 소마, 트리메틸글리신, 황산바나딜, 유청, 요힌빈, 제아크산틴, 안드로스텐디온, 글리신, 카페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캡슐 내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발명에서는, 캡슐 내용물의 감미료로서, 아스파탐, 글리시리진산2나트륨,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아, 소마틴, 글리세린, 당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 이소말토 올리고당, 폴리덱스트로오스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당 알코올로서는, 에리트리톨, 락티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등을 들 수 있고, 단당류로서는,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리보오스, 크실로오스, 아라비노오스 등을 들 수 있고, 이당류로서는,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저작용 소프트 캡슐의 포장 형태로서, 병에 넣은 포장, 봉투에 넣은 포장 등이 있는데, 종래의 병에 넣은 포장, 봉투에 넣은 포장 등으로는, 부착 방지성 등의 품질 저하 방지를 위해, 실리카 겔, 산화칼슘, 염화칼슘, 실리카알루미나 겔 등으로 이루어지는 건조제와 함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을 포장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분말 유지를 배합한 저작용 소프트 캡슐에서는, 고습도 조건 하 등에 있어서도 젤라틴 피막 수분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실리카 겔 등의 건조제를 함께 포장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 비용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구강 내에서 소프트하고 양호한 저작성, 용해성을 가지면서, 젤라틴 피막에 부드러운 감칠맛을 주어, 캡슐 피막의 접착성, 캡슐끼리나 용기에 대한 부착 방지성이 우수한 데에다, 나아가 고습도 조건 하 등에 있어서도 젤라틴 피막 수분의 상승을 억제하여, 병에 넣어 포장하거나, 봉투에 넣어 포장할 때에 실리카 겔 등의 건조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성, 비용 면, 품질성이 우수한 종래에 없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1) 비교예 1 ∼ 2
표 1 의 비교예 1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 처방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젤라틴 50 ㎏ (100 중량부), 글리세린 50 ㎏ (100 중량부), RO 수 35 ㎏ (70 중량부) 을 혼합 후, 약 70 ℃ 에서 가온 용해시키고, 진공 탈포하여 젤라틴 시트 조성물을 얻었다. 그 조성물을 스테인리스제의 금속판 (약 50 ㎝ × 50 ㎝) 상에 균일하게 흐르게 하고, 약 25 ℃ 에서 젤라틴 시트 수분을 9 ∼ 10 중량 % 가 되도록 건조시켜, 두께 약 0.5 ㎜ 의 젤라틴 시트를 얻었다. 젤라틴 시트로부터 약 1 ㎝ × 1 ㎝ 의 칩을 잘라내어, 젤라틴 시트 칩 비교예 1 을 얻었다. 또한, RO 수의 RO 는, (Reverse Osmosis) 의 약칭이다.
또, 유지 (닛신 오일리오 그룹 주식회사의 상품명 : 닛신 사플라워유) 5 ㎏ (10 중량부) 을 표 1 의 처방으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젤라틴 시트 칩 비교예 2 를 얻었다.
(2) 본 발명품 1 ∼ 5
다음으로 표 1 의 본 발명품 1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 처방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젤라틴 50 ㎏ (100 중량부), 글리세린 50 ㎏ (100 중량부), 분말 유지 (미요시 유지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매직펫 215) 1.25 ㎏ (2.5 중량부), RO 수 35 ㎏ (70 중량부) 을 혼합 후, 약 70 ℃ 에서 가온 용해시키고, 진공 탈포하여 젤라틴 시트 조성물을 얻었다. 그 조성물을 스테인리스제의 금속판 (약 50 ㎝ × 50 ㎝) 상에 균일하게 흐르게 하고, 약 25 ℃ 에서 젤라틴 시트 수분을 9 ∼ 10 중량 % 가 되도록 건조시켜, 두께 약 0.5 ㎜ 의 젤라틴 시트를 얻었다. 젤라틴 시트로부터 약 1 ㎝ × 1 ㎝ 의 칩을 잘라내어, 젤라틴 시트 칩 본 발명품 1 을 얻었다.
본 발명품 1 과 동일하게 하여, 표 1 의 캡슐 피막 처방으로, 젤라틴 시트 칩 본 발명품 2 ∼ 5 를 얻었다.
또한, 젤라틴, 글리세린은, 비교예 1 ∼ 2 및 본 발명품 1 ∼ 5 에서 공통적이며, 젤라틴은, 부아이스할트사 제조의 상품명 Weishardt GXAS-7 을 사용하고, 글리세린은, 켄코 통상 주식회사 판매로 VVF LTD 사 제조의 상품명 REFINED GLYCERINE USP 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11055683519-pct00001
<평가 항목>
(1) 관능 평가
7 명의 패널러에 의해, 비교예 1 ∼ 2, 본 발명품 1 ∼ 5 의 젤라틴 시트 칩의 구강 내에서의 1) 저작성, 2) 용해성, 3) 맛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2) 부착 방지성 평가
또, 비교예 1 ∼ 2, 본 발명품 1 ∼ 5 의 젤라틴 시트 칩을 6 호 유리 샘플병에 넣고, 캡이 닫힌 상태에서 온도 40 ℃, 습도 75 %RH 의 항온·고습기 내에서 48 시간 보존한 경우의 젤라틴 시트 칩끼리의 부착 방지성을 평가하였다.
관능 평가와 부착 방지성 평가의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55683519-pct00002
비교예 1 ∼ 2 와 본 발명품 1 ∼ 5 의 관능 평가 결과, 부착 방지성 평가 결과를 비교하면 비교예 1 에서는, 구강 내에서의 저작성, 용해성이 나쁘고, 젤라틴 피막 특유의 싱거운 맛 등이 남았다. 또 보존 후의 시트의 부착도 현저하였다. 비교예 1 의 피막 처방에 추가로 유지를 배합한 비교예 2 에서는, 저작성, 젤라틴 피막 특유의 싱거운 맛, 보존 후의 시트의 부착성에 대해서는 비교예 1 보다 개선되어 있지만, 구강 내에서의 용해성은 열등하였다.
한편, 분말 유지를 배합한 본 발명품 1 ∼ 5 에서는, 구강 내에서의 저작성, 용해성이 양호하고, 젤라틴 피막 특유의 싱거운 맛이 개선되어, 젤라틴 피막에 부드러운 풍미가 있었다. 또 보존 후의 시트의 부착도 없어, 보슬보슬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정법에 따라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면 되고, 예를 들어 로터리식, 심리스식 또는 평판식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로터리식의 예인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에 의한 소프트 캡슐 제조 방법은, 본 출원인이 이미 특허 출원에 이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51007 의 단락 번호 0024 ∼ 0031 에 개시하고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캡슐 내용물로서는, 식물유, 동물유, 식물유와 동물유의 조합, 나아가서는 각 유지류에 동식물 엑기스류 및 엑기스류 분말을 함유하는 현탁유 등 온갖 유지와의 혼합물로 캡슐화가 가능한 것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시험예 2>
(1) 비교예 1´ ∼ 2´
표 3 의 비교예 1´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 처방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젤라틴 50 ㎏ (100 중량부), 글리세린 50 ㎏ (100 중량부), RO 수 35 ㎏ (70 중량부) 을 혼합 후, 약 70 ℃ 에서 가온 용해시키고, 진공 탈포하여 젤라틴 캡슐의 성형에 사용하였다.
캡슐의 성형은,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를 사용하고, 5 호 오벌을 금형에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캡슐의 내용물로서 「MCT (중사슬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 대두 레시틴 = 50 : 50 (중량 %)」300 ㎎ 을 충전하여 성형 후, 주식회사 산쿄사 제조의 텀블러식 건조기 형식 : KTB 타입을 사용하여, 캡슐 피막의 수분이 8.2 ∼ 8.7 중량 % 가 되도록 건조시켜, 비교예 1´의 소프트 캡슐을 얻었다. 캡슐 내용물의 MCT 는, 카오 주식회사의 상품명 : 코코나드 MT 를 사용하였다. 대두 레시틴은, 주식회사 J-오일밀스 제조의 상품명 : J 레시틴 CL 을 사용하였다.
또, 유지 (닛신 오일리오 그룹 주식회사의 상품명 : 닛신 사플라워유) 5 ㎏ (10 중량부) 을 표 3 의 처방으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와 동일하게 하여 소프트 캡슐 비교예 2´를 얻었다.
(2) 본 발명품 1´ ∼ 5´
다음으로 표 3 의 본 발명품 1´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 처방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젤라틴 50 ㎏ (100 중량부), 글리세린 50 ㎏ (100 중량부), 분말 유지 (미요시 유지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매직펫 215) 1.25 ㎏ (2.5 중량부), RO 수 35 ㎏ (70 중량부) 을 혼합 후, 약 70 ℃ 에서 가온 용해시키고, 진공 탈포하여 젤라틴 캡슐의 성형에 사용하였다.
캡슐의 성형은,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를 사용하고, 5 호 오벌을 금형에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캡슐의 내용물로서 「MCT (중사슬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 대두 레시틴 = 50 : 50 (중량 %)」300 ㎎ 을 충전하여 성형 후, 주식회사 산쿄사 제조의 텀블러식 건조기 형식 : KTB 타입을 사용하여, 캡슐 피막의 수분이 8.2 ∼ 8.7 중량 % 가 되도록 건조시켜, 본 발명품 1´의 소프트 캡슐을 얻었다. 캡슐 내용물의 MCT 및 대두 레시틴은, 비교예 1´ ∼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품 1´와 동일하게 하여, 표 3 의 피막 처방으로, 본 발명품 2´ ∼ 5´의 소프트 캡슐을 얻었다.
또한, 젤라틴, 글리세린은, 비교예 1´ ∼ 2´및 본 발명품 1´ ∼ 5´에서 공통적이며, 젤라틴은, 부아이스할트사 제조의 상품명 Weishardt GXAS-7 을 사용하고, 글리세린은, 켄코 통상 주식회사 판매로 VVF LTD 사 제조의 상품명 REFINED GLYCERINE USP 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11055683519-pct00003
<평가 항목>
(1) 관능 평가
7 명의 패널러에 의해, 비교예 1´ ∼ 2´, 본 발명품 1´ ∼ 5´의 캡슐 피막의 구강 내에서의 1) 저작성, 2) 용해성, 3) 맛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2) 부착 방지성 평가
비교예 1´ ∼ 2´, 본 발명품 1´ ∼ 5´의 소프트 캡슐을 6 호 유리 샘플병에 넣고, 캡이 닫힌 상태에서 온도 40 ℃, 습도 75 %RH 의 항온·고습기 내에서 48 시간 보존한 경우의 소프트 캡슐끼리의 부착 방지성을 평가하였다.
(3) 접착성 평가
비교예 1´ ∼ 2´, 본 발명품 1´ ∼ 5´의 소프트 캡슐 성형 후에 캡슐을 절반으로 절단하여, 현미경 관찰을 통해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4) 피막 수분값 상승 억제 평가
1) 피막 수분값의 측정
비교예 1´ ∼ 2´, 본 발명품 1´ ∼ 5´의 소프트 캡슐을 6 호 유리 샘플병에 넣고, 캡이 닫힌 상태에서 40 ℃, 75 %RH 의 항온·고습기 내에서 0 일간, 2 일간, 4 일간 보존한 경우의 소프트 캡슐 피막의 수분값을 측정하여, 10 개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수분값의 측정은, 가열 건조식 수분계 (주식회사 에이·앤드·디 제조, 형명 : MX-5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피막 수분값 상승률
피막 수분값 상승률을 다음 식으로 산출하였다.
피막 수분값 상승률 (%)
= (2 일 후 또는 4 일 후의 수분값 - 0 일째의 수분값) ÷ 0 일째의 수분값 × 100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막 수분값 상승률이 적을수록 캡슐 피막의 흡습이 억제되어 있어, 본 발명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로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3) 피막 수분값 상승 억제 효과
상기 1) 피막 수분값의 측정, 2) 피막 수분값 상승률로 구한 각 수치를 기초로, 비교예 1´ ∼ 2´, 본 발명품 1´ ∼ 5´의 소프트 캡슐 피막 수분값 상승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1) 관능 평가, (2) 부착 방지성 평가, (3) 접착성 평가, (4) 피막 수분 상승 억제 평가의 결과를 하기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55683519-pct00004
표 4 의 비교예 1´ ∼ 2´에서 본 발명품 1´ ∼ 5´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의 관능 평가 결과, 부착 방지성 평가 결과를 비교하면, 표 2 의 비교예 1 ∼ 2 와 본 발명품 1 ∼ 5 의 평가 결과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비교예 1´에서는, 구강 내에서의 저작성, 용해성이 나쁘고, 젤라틴 피막 특유의 싱거운 맛 등이 남았다. 또 보존 후의 소프트 캡슐끼리의 부착도 현저하였다. 비교예 1´의 피막 처방에 추가로 유지를 배합한 비교예 2´에서는, 저작성, 젤라틴 피막 특유의 싱거운 맛, 보존 후의 소프트 캡슐끼리의 부착에 대해서는 비교예 1´보다 개선되어 있지만, 구강 내에서의 용해성이 열등하였다.
한편, 분말 유지를 배합한 본 발명품 1´ ∼ 5´에서는, 구강 내에서의 저작성, 용해성이 양호하고, 젤라틴 피막 특유의 싱거운 맛이 개선되어, 젤라틴 피막에 부드러운 풍미가 있었다. 또 보존 후의 소프트 캡슐끼리의 부착도 없어, 보슬보슬하였다.
표 4 에서 피막 수분값 상승 억제 효과를 비교하면, 분말 유지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분말 유지를 첨가한 본 발명품 1´ ∼ 5´에서는, 피막 수분값의 상승이 억제되고 있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 비교예 1´에서 본 발명품 1´ ∼ 5´의 접착성은, 동레벨로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예 2´는, 본 발명품 1´ ∼ 5´와 동일하게 피막 수분값 상승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접착성이 열등하여 캡슐 형성 후에 캡슐 피막 접착부로부터 캡슐 내용물이 누출되어 오는 「액 누출」이라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액 누출」은 접착성이 양호한 비교예 1´와 본 발명품 1´ ∼ 5´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3>
표 3, 표 4 의 비교예 1´와 피막 처방, 캡슐 내용물, 제법을 동일하게 하여, 표 5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 비교예 3, 비교예 4 를 얻었다. 또 표 3, 표 4 의 본 발명품 3´와 피막 처방, 캡슐 내용물, 제법을 동일하게 하여, 표 5 의 저작용 소프트 캡슐 본 발명품 6 을 얻었다.
주식회사 산쿄사 제조의 텀블러식 건조기 형식 : KTB 타입을 사용하여, 각 캡슐의 피막 수분값은 10.0 ∼ 10.4 중량 % 로 조정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4 는, 함께 캡슐 150 개를 12 호 유리병에 넣고, 캡이 닫힌 상태에서 하고 있는데, 비교예 3 은 실리카 겔 건조제를 넣지 않고, 비교예 4 는 실리카 겔 건조제 1 g (오오에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실리카 겔 QP1) 을 넣은 것이다.
본 발명품 6 은, 캡슐 150 개를 12 호 유리병에 넣고, 실리카 겔 건조제를 넣지 않고 캡이 닫힌 상태로 한 것이다.
(1) 관능 평가
7 명의 패널러에 의해, 비교예 3, 비교예 4, 본 발명품 6 의 제조 직후 0 개월 보존의 캡슐과, 20 ℃, 25 %RH 로 6 개월 보존의 캡슐을, 캡슐 피막의 구강 내에서의 1) 저작성, 2) 용해성, 3) 맛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2) 부착 방지성 평가
비교예 3, 비교예 4, 본 발명품 6 의 제조 직후 0 개월 보존의 캡슐과, 20 ℃, 25 %RH 로 6 개월 보존의 캡슐의 소프트 캡슐끼리의 부착 방지성을 평가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55683519-pct00005
표 5 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면, 건조제를 넣지 않은 비교예 3 에서는, 6 개월 보존함으로써 부착 방지성이 저하되고, 건조제를 넣은 비교예 4 에서는, 6 개월 보존했을 때의 저작성, 용해성이 저하되어 있었다.
한편, 본 발명품 6 에서는, 건조제를 넣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6 개월 보존해도, 저작성, 용해성, 맛, 부착 방지성 모두 시간 경과적 목표 변화가 거의 없어, 품질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의약품」, 「특정 보건용 식품」, 「이른바 건강 식품」및 식품의 분야 이외에, 내용물의 선택에 의해, 예를 들어 공업용 조제를 내포한 것 등 공업의 분야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내용물을 피막에 충전한 후, 캡슐 본체를 형성하는 캡슐 피막의 건조를 실시하는 소프트 캡슐에 있어서,
    상기 피막은 젤라틴, 가소제, 분말 유지, 물을 함유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용 소프트 캡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의 피막 중의 배합량이,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80 ∼ 250 중량부이고,
    상기 분말 유지가 유지, 분말화 기재, 유화제를 함유하는 O/W 에멀션을 건조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용 소프트 캡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유지의 피막 중의 배합량이,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1 ∼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용 소프트 캡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용물을 피막에 충전한 후, 상기 저작용 소프트 캡슐 피막을, 텀블러식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캡슐 피막에 균일하게 분산된 분말 유지 유래의 유지분이, 캡슐 피막 표면에 배어 나옴으로써, 그 유지분으로 캡슐 표면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용 소프트 캡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유지의 성분인 분말화 기재가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올리고당, 자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인 저작용 소프트 캡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유지의 평균 입자 직경이 0.3 ∼ 3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용 소프트 캡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글리세린, 당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폴리덱스트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인 저작용 소프트 캡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을 조정하는 데에 있어서, 젤라틴, 가소제, 분말 유지, 물을 함유함으로써, 부착 방지성, 구강 내에서의 저작성, 용해성, 부드러운 감칠맛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용 소프트 캡슐.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을 조정하는 데에 있어서, 젤라틴, 가소제, 분말 유지, 물을 함유함으로써, 젤라틴 피막 수분의 상승을 억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용 소프트 캡슐.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을 조정하는 데에 있어서, 젤라틴, 가소제, 분말 유지, 물을 함유함으로써, 젤라틴 피막 수분의 상승을 억제하여,
    실리카 겔, 산화칼슘, 염화칼슘, 실리카알루미나 겔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인 건조제를 사용하지 않고 병에 넣어 포장하거나 또는 봉투에 넣어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용 소프트 캡슐.
KR1020117016899A 2009-01-23 2009-01-23 분말 유지 배합 저작용 소프트 캡슐 KR101420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1053 WO2010084601A1 (ja) 2009-01-23 2009-01-23 粉末油脂配合咀嚼用ソフトカプセ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017A KR20110116017A (ko) 2011-10-24
KR101420483B1 true KR101420483B1 (ko) 2014-07-16

Family

ID=4235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899A KR101420483B1 (ko) 2009-01-23 2009-01-23 분말 유지 배합 저작용 소프트 캡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58054B2 (ko)
KR (1) KR101420483B1 (ko)
WO (1) WO2010084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0185A (ja) * 2013-04-03 2014-10-27 株式会社創元舎 カプセル状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カプセル状食品
JP6124710B2 (ja) * 2013-06-28 2017-05-10 小林製薬株式会社 ノコギリヤシエキス配合製剤
KR102064242B1 (ko) * 2018-04-26 2020-01-09 주식회사 서흥 천연 소재에 기반한 정제 조성물, 정제 및 정제 제조방법
CN111686090A (zh) * 2020-06-17 2020-09-22 福建省神六保健食品有限公司 一种螺旋藻灵芝孢子油软胶囊及其加工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6283A1 (ja) 2003-05-02 2004-11-11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ソフトカプセル皮膜及びソフトカプセ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7439A (ja) * 1987-07-17 1989-10-13 Nippon Flour Mills Co Ltd パスタ類、麺類の調理方法および調理用耐熱容器、包装麺類
JP3253948B2 (ja) * 1999-03-24 2002-02-04 富士カプセル株式会社 カプセル剤
JP4169894B2 (ja) * 1999-12-24 2008-10-22 株式会社三協 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
JP5324755B2 (ja) * 2007-05-31 2013-10-23 株式会社カネカ 粒子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6283A1 (ja) 2003-05-02 2004-11-11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ソフトカプセル皮膜及びソフトカプセ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4601A1 (ja) 2010-07-29
KR20110116017A (ko) 2011-10-24
JP4958054B2 (ja) 2012-06-20
JPWO2010084601A1 (ja)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e et al. Microencapsulation of active ingredients in functional foods: From research stage to commercial food products
Donsì Applications of nanoemulsions in foods
JP5147239B2 (ja) コエンザイムq10含有乳化組成物
WO2009081833A1 (ja) 安定化された(ss)-s-アデノシル-l-メチオニンを含有する微生物乾燥菌体又は微生物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023826A1 (en) Enclosing materials in natural transport systems
EP3117838B1 (en) Composition containing sophorolipid,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and oil and fat, and method of producing said composition
TW201713313A (zh) 軟膠囊皮膜用組成物
JP5731697B2 (ja) ソフトカプセル皮膜及びソフトカプセル
EP2842560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bifidobacteria growth
KR101840508B1 (ko) 피부 미용 촉진제 및 그의 이용
CN107205466B (zh) 无溶剂虫胶涂层组合物
KR101420483B1 (ko) 분말 유지 배합 저작용 소프트 캡슐
Zhang et al. Seaweed-derived hydrocolloids as food coating and encapsulation agents
JP6358950B2 (ja) 機能性成分を含有する糖衣層付き固形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693415A1 (en) Defoaming and/or foam suppressing method for naturally derived water soluble colorant or substance including same
CN115915967A (zh) 一种用于将不稳定且食品不相容的活性成分递送至食品产品的稳定的食品级微胶囊
JP2010090080A (ja) 崩壊遅延を防止または抑制した酢含有ソフトカプセル
JP2017193497A (ja) 筋肉増強剤
JP2003313120A (ja) カプセル形態の食品用組成物
WO2022215753A1 (ja) ゼラチンカプセル剤
JP2007230881A (ja) 抗疲労用組成物
KR100530279B1 (ko) 유산균 분말을 포함하는 제형의 제조 방법 및 유산균분말의 신규한 용도
YB NEW GENERATION FUNCTIONAL FOODS-A PROSPECTUS ON PROCESSING TECHNOLOGY ASSISTANCE IN DEVELOPMENT AND PRODUCTION-A REVIEW.
JP5101087B2 (ja) 多重構造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法
JP6842970B2 (ja) コエンザイムq10含有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