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01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014B1
KR101420014B1 KR1020120102660A KR20120102660A KR101420014B1 KR 101420014 B1 KR101420014 B1 KR 101420014B1 KR 1020120102660 A KR1020120102660 A KR 1020120102660A KR 20120102660 A KR20120102660 A KR 20120102660A KR 101420014 B1 KR101420014 B1 KR 10142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object
contact
spring
p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127A (ko
Inventor
유조 사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0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컨택트의 내구성과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컨택트 (50) 의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접촉하는 접촉부 (51) 에, 접촉부 (51) 를 카드형 전자 부품 (81) 으로 가압하는 1 쌍의 스프링부 (52) 를 연결한다. 1 쌍의 스프링부 (52) 에, 하우징 (30) 에 유지되는 유지부 (53) 를 연결한다. 유지부 (53) 에, 프린트 기판 (86) 에 접속되는 접속부 (54) 를 연결한다. 1 쌍의 스프링부 (52) 를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함과 함께, 어느 스프링부 (52) 도 탄성 변형되었을 때, 그 스프링부 (52) 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하우징 높이 방향 (H) 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스프링부 (52) 를 구부렸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이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 (903) 와 이 인슐레이터 (903) 에 유지되어 있는 컨택트 (910) 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901) 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2031호 (단락 0015, 0022, 0023, 0025, 도 1, 도 2, 도 4 등) 참조). 또한, 도 28, 도 29, 도 30 은 각각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2031호의 도 1, 도 2, 도 4 에 대응한다. 단, 도 28, 도 29, 도 30 중의 부호는 변경되고, 일부의 부호는 삭제되어 있다.
각 컨택트 (910) 는 접촉판부 (911) 와 유지판부 (913) 와 단자부 (915) 를 갖고 있다. 접촉판부 (911) 는 인슐레이터 (903) 의 끼워맞춤구 (903d)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지판부 (913) 는 인슐레이터 (903) 의 바닥부 (903b) 에 유지되어 있다. 단자부 (915) 는 인슐레이터 (903) 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판부 (911) 는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를 갖고 있다.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는 도 29 나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로 정렬해 있다.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는 각각 제 1, 제 2, 제 3 접점부 (918a, 918b, 918c) 를 갖고 있다. 제 1, 제 2 접점부 (918a, 918b) 의 위치와 제 3 접점부 (918c) 의 위치는 길이 방향으로 엇갈려 있다.
상대 커넥터 (930) 에 커넥터 (901) 를 삽입하면, 먼저, 커넥터 (901) 의 제 1, 제 2 접점부 (918a, 918b) 가 상대 커넥터 (930) 의 상대 컨택트 (934) 의 상대 접촉판부 (936) 에 접촉하고, 다음으로, 커넥터 (901) 의 제 3 접점부 (918c) 가 상대 커넥터 (930) 의 상대 컨택트 (934) 의 상대 접촉판부 (936) 에 접촉된다.
종래의 커넥터 (901)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는 각각 제 1, 제 2, 제 3 접점부 (918a, 918b, 918c) 를 갖고 있고,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는 각각 단순한 직선적 형상이기 때문에, 그들의 탄성 변위량은 크지 않다. 따라서, 예를 들어 커넥터 (901) 나 상대 커넥터 (930) 의 제조 정밀도가 낮은 경우, 제 1, 제 2, 제 3 접점부 (918a, 918b, 918c) 의 소정의 접촉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접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 종래의 커넥터 (901) 에서는, 상대 커넥터 (930) 의 상대 끼워맞춤부 (934a) 에 대해 커넥터 (901) 가 비틀려 삽입된 경우, 제 1, 제 2, 제 3 접점부 (918a, 918b, 918c) 는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의 배열 방향으로 거의 변위될 수 없기 때문에, 제 1, 제 2, 제 3 접점부 (918a, 918b, 918c) 는 커넥터 (901) 의 경사진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다. 그 결과, 접촉판부 (911) 가 유지판부 (913) 와 연속하는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의 고정단이 소성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컨택트의 내구성과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접속 대상물과 제 2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유지되는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이 접촉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그 접촉부를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가압하는 1 쌍의 스프링부와, 이 1 쌍의 스프링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이 유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어느 상기 스프링부도 탄성 변형되었을 때, 그 스프링부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하우징 높이 방향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모두 거의 180 도 만곡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모두 거의 90 도 만곡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배치면과 대향하는 바닥면부를 갖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를 변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바닥면부를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쪽으로 올라가도록, 일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와 타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를 지나는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평행한 면을 경계로 하는 일방의 영역에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고, 그 면의 타방의 영역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위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컨택트의 내구성과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카드형 전자 부품을 삽입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로부터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A 부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B 부의 확대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컨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1 은,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를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5 는,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6 은,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를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카드형 전자 부품의 선단부를 삽입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 에 나타내는 XIX-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카드형 전자 부품을 삽입 종료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내는 XXI-XX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19 의 C 부의 확대도이다.
도 23 은, 도 21 의 D 부의 확대도이다.
도 24 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5 는, 도 24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6 은, 도 24 에 나타내는 E 부의 확대도이다.
도 27 은, 도 25 에 나타내는 F 부의 확대도이다.
도 28 은, 종래의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9 는, 도 28 에 나타내는 컨택트를 그 단자부를 굽힘 가공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 은, 도 28 에 나타내는 컨택트의 접촉판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 도 2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0) 는 카드형 전자 부품 (제 1 접속 대상물) (81) 과 프린트 기판 (제 2 접속 대상물) (86)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커넥터 (10) 는, 하우징 (30) 과 6 개의 컨택트 (50) 와 커버 (7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30) 은 그 전부 (前部) 과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체상으로, 바닥면부 (31) 와 2 개의 측벽부 (32) 와 후벽부 (33) 를 갖는다. 바닥면부 (31) 는 평판상이고,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된다. 바닥면부 (31) 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의 배치면 (82) (도 19 참조) 과 대향한다. 바닥면부 (31) 에는 6 개의 수용부 (31a) 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31a) 는 바닥면부 (31) 를 하우징 높이 방향 (H) 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다. 6 개의 수용부 (31a) 는 하우징 폭방향 (W) 을 따라 2 열로 등간격으로 정렬해 있다. 또, 바닥면부 (31) 에는 6 개의 구멍 (31b) 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 (31b) 은 바닥면부 (31) 를 하우징 높이 방향 (H) 으로 관통한다. 6 개의 구멍 (31b) 은 하우징 폭방향 (W) 을 따라 2 열로 등간격으로 정렬해 있다. 구멍 (31b) 은 수용부 (31a) 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6, 도 7 에 있어서 커넥터 (10) 의 오른쪽이 커넥터 (10) 의 뒤, 커넥터 (10) 의 왼쪽이 커넥터 (10) 의 앞이다.
측벽부 (32) 는 바닥면부 (31) 의 양측부에 각각 연결된다. 후벽부 (33) 는 바닥면부 (31) 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바닥면부 (31) 와 측벽부 (32) 와 후벽부 (33) 에 의해,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34) 이 형성된다.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컨택트 (50) 는 하우징 (30) 에 유지되어 있다.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50) 는 접촉부 (51) 와 1 쌍의 스프링부 (52) 와 유지부 (53) 와 접속부 (54) 와 연결부 (55) 를 갖는다. 컨택트 (50) 는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접촉부 (51) 의 단면 형상 (도 7 참조) 은 대략 원호상이며,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의 패드 (도시 생략) 에 접촉된다. 접촉부 (51) 는, 하우징 (30) 의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수용부 (31a) 로부터 돌출되고,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되었을 때에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의해 수용부 (31a) 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접촉부 (51) 가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의해 수용부 (31a) 측으로 밀려 들어갔을 때, 접촉부 (51) 의 일부분은 수용부 (31a) 내로 밀려 들어가지만, 접촉부 (51) 의 다른 부분 (접촉부 (51) 의 정상부) 은 수용부 (31a) 내로 밀려 들어가지 않는다 (도 22, 도 23 참조).
1 쌍의 스프링부 (52) 는 접촉부 (51) 를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의 패드로 가압한다. 1 쌍의 스프링부 (52) 는 연결부 (55) 를 통하여 접촉부 (51) 에 연결된다. 각 스프링부 (52) 는 하우징 (30) 의 높이 방향 (H) 에서 봤을 때 U 자상으로 거의 180 도 만곡되어 있다. 1 쌍의 스프링부 (5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어느 스프링부 (52) 도 스프링부 (52) 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스프링부 (52) 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하우징 높이 방향 (H) (도 4, 도 5 참조) 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우징 높이 방향 (H)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1 쌍의 스프링부 (52) 는 변위 가능하도록 수용부 (31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2, 도 23 참조).
유지부 (53) 는 대략 판상이고, 1 쌍의 스프링부 (52) 에 연결되며, 하우징 (30) 에 유지되어 있다 (도 7 참조). 유지부 (53) 는 절결 (53a) 과 구멍 (53b) 을 갖는다. 절결 (53a) 은 접촉부 (51) 와의 간섭을 피하는 것이다. 구멍 (53b) 은 절결 (53a) 의 후측에 위치한다 (도 11 참조).
접속부 (54) 는 유지부 (53) 에 연결된다. 접속부 (54) 는 잘라서 세움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54) 는 L 자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도 10 참조), 접속부 (54) 의 대부분은 구멍 (31b) 내에 수용되고, 접속부 (54) 의 하단부는 구멍 (31b) 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속부 (54) 는 프린트 기판 (86) 의 패드 (도시 생략) 에 납땜된다 (도 7 참조).
일방의 스프링부 (52) 의 유지부측 단부 (52b) (도 5 참조) 와 타방의 스프링부 (52) 의 유지부측 단부 (52b) (도 5 참조) 를 지나는 하우징 높이 방향 (H) 과 평행한 면 (P) (도 7 참조) 를 경계로 하는 일방의 영역 (도 7 의 면 (P) 의 우측의 영역) 에 접촉부 (51) 가 위치하고, 그 면 (P) 의 타방의 영역 (도 7 의 면 (P) 의 좌측의 영역) 에 1 쌍의 스프링부 (52) 의 만곡부 (52a) 가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 (30) 의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되어,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접촉부 (51) 에 접촉되었을 때, 1 쌍의 스프링부 (52) 의 만곡부 (52a) 는 수용부 (31a) 내에서 상방으로 변위된다 (도 22, 도 23 참조).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70) 는 그 전부와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체상이고, 상면부 (71) 와 2 개의 측벽부 (72) 와 후벽부 (73) 를 갖는다. 상면부 (71) 는 평판상으로, 하우징 (30) 의 상부를 덮는다. 측벽부 (72) 는 상면부 (71) 의 양측부에 각각 연결된다. 후벽부 (73) 는 상면부 (71) 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커넥터 (10) 에 장전하려면, 도 18, 도 19, 도 20,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삽입 방향 (I) 을 따라 커넥터 (10) 의 하우징 (30) 의 수용 공간 (34) 에 삽입하면 된다.
이 때, 도 22,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50) 의 접촉부 (51) 및 연결부 (55) 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의해 수용부 (31a) 쪽으로 압압되어, 접촉부 (51) 및 스프링부 (52) 가 하방으로 변위되고, 접촉부 (51) 의 일부가 수용부 (31a) 내로 들어가는데, 접촉부 (51) 의 정상부는 수용 공간 (34)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부 (51) 및 연결부 (55) 의 변위에 수반하여 스프링부 (52) 가 탄성 변형되어, 접촉부 (51) 를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의 패드로 가압하는 스프링력이 생긴다.
또, 스프링부 (52) 는 U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의 길이가 길고, 게다가 스프링부 (52) 가 탄성 변형될 때에 스프링부 (52) 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간섭하지 않아, 탄성 변형량이 적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연결부 (55) 를 통하여 접촉부 (51) 에 연결되는 스프링부 (52) 가, 하우징 높이 방향 (H)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10) 의 높이가 커지지 않는 것에 도움이 된다.
또, 하우징 (30) 의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되어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접촉부 (51) 에 접촉되었을 때, 1 쌍의 스프링부 (52) 의 만곡부 (52a) 는 수용부 (31a) 내에서 상방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만곡부 (52a) 가 프린트 기판 (86) 에 접촉되어 스프링부 (52) 가 소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프린트 기판 (86) 의 패드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10) 의 하우징 (30) 의 수용 공간 (34)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비틀어 삽입해도, 1 쌍의 스프링부 (52) 가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고, 접촉부 (51) 가 하우징 폭방향 (W) 으로 움직이기 (추종하기) 때문에, 스프링부 (52) 가 소성 변형되기 어렵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컨택트 (50) 의 스프링부 (52) 가 구부러져 있어 스프링의 길이가 길고, 게다가 스프링부 (52) 가 탄성 변형될 때에 스프링부 (52) 의 일부분이 그 밖의 부분에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변형량을 벌 수 있어, 컨택트 (50) 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1 쌍의 스프링부 (52) 가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접촉부 (51) 가 하우징 폭방향 (W) 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커넥터 (10) 의 하우징 (30) 의 수용 공간 (34) 에 비틀어 삽입해도, 스프링부 (52) 가 소성 변형되기 어려워, 컨택트 (50) 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컨택트 (50) 의 스프링부 (52) 가 수용부 (31a) 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면부 (31) 에 수용부 (31a)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커넥터 (도시 생략) 에 비해, 커넥터 (10) 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도 24, 도 25, 도 26, 도 2 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210) 는, 컨택트 (250) 의 스프링부 (252) 의 형상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0) 와 상이하다.
컨택트 (250) 의 한 쌍의 스프링부 (252) 는 모두 하우징 (30) 의 높이 방향 (H) 에서 봤을 때 L 자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일방의 스프링부 (252) 의 유지부측 단부 (252b) (도 26 참조) 와 타방의 스프링부 (252) 의 유지부측 단부 (252b) (도 26 참조) 를 지나는 하우징 높이 방향 (H) 과 평행한 면 (도시 생략) 을 경계로 하는 일방의 영역에 접촉부 (51) 가 위치하고, 하우징 높이 방향 (H) 과 평행한 면 상에 1 쌍의 스프링부 (252) 의 만곡부 (252a) 가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하우징 (30) 의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되어,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접촉부 (51) 에 접촉되었을 때, 제 1 실시형태의 만곡부 (52a) 와 비교하여 1 쌍의 스프링부 (252) 의 만곡부 (252a) 의 변위량은 적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부 (52) 의 형상을 타발에 의해 U 자상으로 하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부 (252) 의 형상을 타발에 의해 L 자상으로 했으나, 스프링부 (52, 252) 의 형상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V 자상, W 자상이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커넥터 (10) 의 하우징 (30) 의 수용 공간 (34) 에 삽입하여 접촉부 (51) 가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접촉되었을 때, 스프링부 (52) 의 만곡부 (52a) 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커넥터 (210) 에 삽입하여 접촉부 (51) 가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접촉되었을 때, 스프링부 (252) 의 만곡부 (252a) 의 변위량이 제 1 실시형태보다 적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와 같이 구성할 필요는 없다. 접촉부 (51) 가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접촉되었을 때, 만곡부 (52a, 252a) 가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나 프린트 기판 (86) 에 접촉되지 않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만곡부 (52a) 가, 수용부 (31a)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도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접촉되지 않으면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 (31a) 가 관통공인데, 바닥면을 갖는 구멍 (도시 생략) 이어도 된다.
또, 제 1 접속 대상물로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면부 (31) 와 대향하는 평탄한 배치면을 갖는 카메라 모듈이나 LED 모듈 등의 전자 부품이나 프린트 기판 등도 제 1 접속 대상물에 포함되고, 제 2 접속 대상물에는 F PC 등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 (55) 를 통하여 접촉부 (51) 에 스프링부 (52, 252) 를 간접적으로 연결하였지만, 접촉부 (51) 에 스프링부 (52, 252) 를 직접 연결해도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으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확하다.

Claims (24)

  1. 제 1 접속 대상물과 제 2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유지되는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이 접촉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그 접촉부를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가압하는 1 쌍의 스프링부와, 이 1 쌍의 스프링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이 유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어느 상기 스프링부도 탄성 변형되었을 때, 그 스프링부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하우징 높이 방향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모두 180 도 만곡되어 있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배치면과 대향하는 바닥면부를 갖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를 변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바닥면부를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쪽으로 올라가도록, 일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와 타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를 지나는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평행한 면을 경계로 하는 일방의 영역에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고, 그 면의 타방의 영역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인 커넥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인 커넥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인 커넥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인 커넥터.
  9. 제 1 접속 대상물과 제 2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유지되는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이 접촉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그 접촉부를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가압하는 1 쌍의 스프링부와, 이 1 쌍의 스프링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이 유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어느 상기 스프링부도 탄성 변형되었을 때, 그 스프링부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하우징 높이 방향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배치면과 대향하는 바닥면부를 갖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를 변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바닥면부를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쪽으로 올라가도록, 일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와 타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를 지나는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평행한 면을 경계로 하는 일방의 영역에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고, 그 면의 타방의 영역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인 커넥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20102660A 2011-10-13 2012-09-17 커넥터 KR101420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5548A JP5602117B2 (ja) 2011-10-13 2011-10-13 コネクタ
JPJP-P-2011-225548 2011-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127A KR20130040127A (ko) 2013-04-23
KR101420014B1 true KR101420014B1 (ko) 2014-07-15

Family

ID=4799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660A KR101420014B1 (ko) 2011-10-13 2012-09-17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4524B2 (ko)
JP (1) JP5602117B2 (ko)
KR (1) KR101420014B1 (ko)
CN (1) CN103050806B (ko)
DE (1) DE102012216525B4 (ko)
FI (1) FI1244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2629B2 (ja) * 2012-06-12 2014-01-08 Smk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818366B2 (ja) 2012-08-07 2015-11-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カード用コネクタ
DE202012008961U1 (de) * 2012-09-17 2012-10-1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ntaktelement
FR3009445B1 (fr) * 2013-07-31 2017-03-31 Hypertac Sa Organe de contact entre un support et un dispositif et connecteur electrique comprenant un tel organe de contact
JP5718425B2 (ja) * 2013-10-01 2015-05-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18506B1 (ja) * 2014-04-09 2015-05-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098415B (zh) 2014-05-07 2017-12-05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端子座与电子卡连接器
US9130292B1 (en) * 2014-06-05 2015-09-08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US9547809B2 (en) 2014-07-01 2017-01-17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Card connector preventing scrapping to card inserted therein
JP6309429B2 (ja) * 2014-10-31 2018-04-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TW201707286A (zh) 2015-08-10 2017-02-16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CN205282702U (zh) * 2015-12-03 2016-06-01 美国莫列斯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206194997U (zh) 2016-10-19 2017-05-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连接器
KR102582689B1 (ko) * 2018-08-13 202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접속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054457B2 (ja) * 2019-01-31 2022-04-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バスバ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4841A (ja) * 2005-03-03 2006-09-14 Hosiden Corp 電子部品の構成部品同士の接合方法とそれを利用した電子部品
JP2008146873A (ja) * 2006-12-06 2008-06-26 Hosiden Corp コンタクトとそれを備えるカードアダプ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
JP2011165560A (ja) * 2010-02-12 2011-08-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カード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9606A (en) * 1989-12-18 1991-04-23 Burndy Corporation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US5152695A (en) * 1991-10-10 1992-10-06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JPH1032031A (ja) * 1996-07-16 1998-02-0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コンタクト
FR2773275B1 (fr) 1997-12-26 2000-01-28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electrique de tres faible epaisseur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JP3299945B2 (ja) * 1999-11-05 2002-07-0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507434B2 (ja) 2000-07-21 2004-03-15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弾性コンタクト片
JP4181307B2 (ja) * 2001-01-19 2008-11-1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847227B2 (ja) 2001-10-02 2006-11-22 日本碍子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シート
JP4213559B2 (ja) * 2002-12-27 2009-01-21 日本碍子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ソケット
JP4030119B2 (ja) * 2004-06-30 2008-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EP1782509A1 (en) * 2004-07-07 2007-05-09 Molex Incorporated Edge card connector with keying means for proper connection
TWM310488U (en) 2006-08-08 2007-04-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573881B2 (ja) * 2008-05-14 2010-11-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252205Y (zh) * 2008-07-21 2009-06-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065221B2 (ja) * 2008-10-14 2012-10-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端子配置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用いたカード型装置
JP2010161012A (ja) 2009-01-09 2010-07-22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JP5110442B2 (ja) 2009-03-05 2012-12-26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US7913914B2 (en) 2009-04-28 2011-03-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nector device
CN201549668U (zh) * 2009-09-30 2010-08-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端子及使用该端子的电连接器
US7909657B1 (en) * 2009-11-12 2011-03-22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stress, reduced-electrical-length contacts
JP5667490B2 (ja) * 2011-03-24 2015-02-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4841A (ja) * 2005-03-03 2006-09-14 Hosiden Corp 電子部品の構成部品同士の接合方法とそれを利用した電子部品
JP2008146873A (ja) * 2006-12-06 2008-06-26 Hosiden Corp コンタクトとそれを備えるカードアダプ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
JP2011165560A (ja) * 2010-02-12 2011-08-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カー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02117B2 (ja) 2014-10-08
US20130095687A1 (en) 2013-04-18
DE102012216525B4 (de) 2024-05-29
KR20130040127A (ko) 2013-04-23
CN103050806A (zh) 2013-04-17
DE102012216525A1 (de) 2013-04-18
FI20125974A (fi) 2013-04-14
FI124497B (en) 2014-09-30
CN103050806B (zh) 2015-09-02
JP2013089290A (ja) 2013-05-13
US8864524B2 (en)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014B1 (ko) 커넥터
US833361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ncreased distances among mounting portions thereof
EP1577980B1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US8197272B2 (en) Connector
US7635276B1 (en) Electrical connector
EP1986275A1 (en) Connector
US9033743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20080139026A1 (en) C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US9033722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8556667B2 (en) Terminal and connector with terminal
US7766677B2 (en) Dustproof receptacle connector
JP4794905B2 (ja) Icカードコネクタの端子取付方法
KR20150110333A (ko) 커넥터
KR101397768B1 (ko) 전기 부품
US737782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581033B1 (ko)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KR20020051838A (ko) 전기 커넥터
US20110151695A1 (en) Card Connector
KR20130130857A (ko) 커넥터 장치
JP5733868B2 (ja) コネクタ
KR20130135363A (ko) 커넥터 장치
US20220140510A1 (en) Card retain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set
CN109980447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US20050095906A1 (en) Socket connector with reliable retaining means
KR101606775B1 (ko)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