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01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0014B1 KR101420014B1 KR1020120102660A KR20120102660A KR101420014B1 KR 101420014 B1 KR101420014 B1 KR 101420014B1 KR 1020120102660 A KR1020120102660 A KR 1020120102660A KR 20120102660 A KR20120102660 A KR 20120102660A KR 101420014 B1 KR101420014 B1 KR 1014200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object
- contact
- spring
- pair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컨택트의 내구성과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컨택트 (50) 의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접촉하는 접촉부 (51) 에, 접촉부 (51) 를 카드형 전자 부품 (81) 으로 가압하는 1 쌍의 스프링부 (52) 를 연결한다. 1 쌍의 스프링부 (52) 에, 하우징 (30) 에 유지되는 유지부 (53) 를 연결한다. 유지부 (53) 에, 프린트 기판 (86) 에 접속되는 접속부 (54) 를 연결한다. 1 쌍의 스프링부 (52) 를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함과 함께, 어느 스프링부 (52) 도 탄성 변형되었을 때, 그 스프링부 (52) 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하우징 높이 방향 (H) 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스프링부 (52) 를 구부렸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 (903) 와 이 인슐레이터 (903) 에 유지되어 있는 컨택트 (910) 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901) 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2031호 (단락 0015, 0022, 0023, 0025, 도 1, 도 2, 도 4 등) 참조). 또한, 도 28, 도 29, 도 30 은 각각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2031호의 도 1, 도 2, 도 4 에 대응한다. 단, 도 28, 도 29, 도 30 중의 부호는 변경되고, 일부의 부호는 삭제되어 있다.
각 컨택트 (910) 는 접촉판부 (911) 와 유지판부 (913) 와 단자부 (915) 를 갖고 있다. 접촉판부 (911) 는 인슐레이터 (903) 의 끼워맞춤구 (903d)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지판부 (913) 는 인슐레이터 (903) 의 바닥부 (903b) 에 유지되어 있다. 단자부 (915) 는 인슐레이터 (903) 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판부 (911) 는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를 갖고 있다.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는 도 29 나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로 정렬해 있다.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는 각각 제 1, 제 2, 제 3 접점부 (918a, 918b, 918c) 를 갖고 있다. 제 1, 제 2 접점부 (918a, 918b) 의 위치와 제 3 접점부 (918c) 의 위치는 길이 방향으로 엇갈려 있다.
상대 커넥터 (930) 에 커넥터 (901) 를 삽입하면, 먼저, 커넥터 (901) 의 제 1, 제 2 접점부 (918a, 918b) 가 상대 커넥터 (930) 의 상대 컨택트 (934) 의 상대 접촉판부 (936) 에 접촉하고, 다음으로, 커넥터 (901) 의 제 3 접점부 (918c) 가 상대 커넥터 (930) 의 상대 컨택트 (934) 의 상대 접촉판부 (936) 에 접촉된다.
종래의 커넥터 (901)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는 각각 제 1, 제 2, 제 3 접점부 (918a, 918b, 918c) 를 갖고 있고,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는 각각 단순한 직선적 형상이기 때문에, 그들의 탄성 변위량은 크지 않다. 따라서, 예를 들어 커넥터 (901) 나 상대 커넥터 (930) 의 제조 정밀도가 낮은 경우, 제 1, 제 2, 제 3 접점부 (918a, 918b, 918c) 의 소정의 접촉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접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 종래의 커넥터 (901) 에서는, 상대 커넥터 (930) 의 상대 끼워맞춤부 (934a) 에 대해 커넥터 (901) 가 비틀려 삽입된 경우, 제 1, 제 2, 제 3 접점부 (918a, 918b, 918c) 는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의 배열 방향으로 거의 변위될 수 없기 때문에, 제 1, 제 2, 제 3 접점부 (918a, 918b, 918c) 는 커넥터 (901) 의 경사진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다. 그 결과, 접촉판부 (911) 가 유지판부 (913) 와 연속하는 제 1, 제 2, 제 3 접촉 스프링부 (917a, 917b, 917c) 의 고정단이 소성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컨택트의 내구성과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접속 대상물과 제 2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유지되는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이 접촉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그 접촉부를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가압하는 1 쌍의 스프링부와, 이 1 쌍의 스프링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이 유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어느 상기 스프링부도 탄성 변형되었을 때, 그 스프링부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하우징 높이 방향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모두 거의 180 도 만곡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모두 거의 90 도 만곡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배치면과 대향하는 바닥면부를 갖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를 변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바닥면부를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쪽으로 올라가도록, 일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와 타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를 지나는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평행한 면을 경계로 하는 일방의 영역에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고, 그 면의 타방의 영역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위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컨택트의 내구성과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카드형 전자 부품을 삽입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로부터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A 부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B 부의 확대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컨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1 은,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를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5 는,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6 은,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를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카드형 전자 부품의 선단부를 삽입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 에 나타내는 XIX-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카드형 전자 부품을 삽입 종료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내는 XXI-XX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19 의 C 부의 확대도이다.
도 23 은, 도 21 의 D 부의 확대도이다.
도 24 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5 는, 도 24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6 은, 도 24 에 나타내는 E 부의 확대도이다.
도 27 은, 도 25 에 나타내는 F 부의 확대도이다.
도 28 은, 종래의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9 는, 도 28 에 나타내는 컨택트를 그 단자부를 굽힘 가공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 은, 도 28 에 나타내는 컨택트의 접촉판부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로부터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A 부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B 부의 확대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컨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1 은,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8 에 나타내는 컨택트를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5 는,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6 은,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3 에 나타내는 커버를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카드형 전자 부품의 선단부를 삽입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 에 나타내는 XIX-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카드형 전자 부품을 삽입 종료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내는 XXI-XX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19 의 C 부의 확대도이다.
도 23 은, 도 21 의 D 부의 확대도이다.
도 24 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5 는, 도 24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6 은, 도 24 에 나타내는 E 부의 확대도이다.
도 27 은, 도 25 에 나타내는 F 부의 확대도이다.
도 28 은, 종래의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9 는, 도 28 에 나타내는 컨택트를 그 단자부를 굽힘 가공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 은, 도 28 에 나타내는 컨택트의 접촉판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 도 2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0) 는 카드형 전자 부품 (제 1 접속 대상물) (81) 과 프린트 기판 (제 2 접속 대상물) (86)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커넥터 (10) 는, 하우징 (30) 과 6 개의 컨택트 (50) 와 커버 (7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30) 은 그 전부 (前部) 과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체상으로, 바닥면부 (31) 와 2 개의 측벽부 (32) 와 후벽부 (33) 를 갖는다. 바닥면부 (31) 는 평판상이고,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된다. 바닥면부 (31) 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의 배치면 (82) (도 19 참조) 과 대향한다. 바닥면부 (31) 에는 6 개의 수용부 (31a) 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31a) 는 바닥면부 (31) 를 하우징 높이 방향 (H) 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다. 6 개의 수용부 (31a) 는 하우징 폭방향 (W) 을 따라 2 열로 등간격으로 정렬해 있다. 또, 바닥면부 (31) 에는 6 개의 구멍 (31b) 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 (31b) 은 바닥면부 (31) 를 하우징 높이 방향 (H) 으로 관통한다. 6 개의 구멍 (31b) 은 하우징 폭방향 (W) 을 따라 2 열로 등간격으로 정렬해 있다. 구멍 (31b) 은 수용부 (31a) 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6, 도 7 에 있어서 커넥터 (10) 의 오른쪽이 커넥터 (10) 의 뒤, 커넥터 (10) 의 왼쪽이 커넥터 (10) 의 앞이다.
측벽부 (32) 는 바닥면부 (31) 의 양측부에 각각 연결된다. 후벽부 (33) 는 바닥면부 (31) 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바닥면부 (31) 와 측벽부 (32) 와 후벽부 (33) 에 의해,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34) 이 형성된다.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컨택트 (50) 는 하우징 (30) 에 유지되어 있다.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50) 는 접촉부 (51) 와 1 쌍의 스프링부 (52) 와 유지부 (53) 와 접속부 (54) 와 연결부 (55) 를 갖는다. 컨택트 (50) 는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접촉부 (51) 의 단면 형상 (도 7 참조) 은 대략 원호상이며,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의 패드 (도시 생략) 에 접촉된다. 접촉부 (51) 는, 하우징 (30) 의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수용부 (31a) 로부터 돌출되고,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되었을 때에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의해 수용부 (31a) 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접촉부 (51) 가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의해 수용부 (31a) 측으로 밀려 들어갔을 때, 접촉부 (51) 의 일부분은 수용부 (31a) 내로 밀려 들어가지만, 접촉부 (51) 의 다른 부분 (접촉부 (51) 의 정상부) 은 수용부 (31a) 내로 밀려 들어가지 않는다 (도 22, 도 23 참조).
1 쌍의 스프링부 (52) 는 접촉부 (51) 를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의 패드로 가압한다. 1 쌍의 스프링부 (52) 는 연결부 (55) 를 통하여 접촉부 (51) 에 연결된다. 각 스프링부 (52) 는 하우징 (30) 의 높이 방향 (H) 에서 봤을 때 U 자상으로 거의 180 도 만곡되어 있다. 1 쌍의 스프링부 (5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어느 스프링부 (52) 도 스프링부 (52) 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스프링부 (52) 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하우징 높이 방향 (H) (도 4, 도 5 참조) 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우징 높이 방향 (H)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1 쌍의 스프링부 (52) 는 변위 가능하도록 수용부 (31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2, 도 23 참조).
유지부 (53) 는 대략 판상이고, 1 쌍의 스프링부 (52) 에 연결되며, 하우징 (30) 에 유지되어 있다 (도 7 참조). 유지부 (53) 는 절결 (53a) 과 구멍 (53b) 을 갖는다. 절결 (53a) 은 접촉부 (51) 와의 간섭을 피하는 것이다. 구멍 (53b) 은 절결 (53a) 의 후측에 위치한다 (도 11 참조).
접속부 (54) 는 유지부 (53) 에 연결된다. 접속부 (54) 는 잘라서 세움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54) 는 L 자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도 10 참조), 접속부 (54) 의 대부분은 구멍 (31b) 내에 수용되고, 접속부 (54) 의 하단부는 구멍 (31b) 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속부 (54) 는 프린트 기판 (86) 의 패드 (도시 생략) 에 납땜된다 (도 7 참조).
일방의 스프링부 (52) 의 유지부측 단부 (52b) (도 5 참조) 와 타방의 스프링부 (52) 의 유지부측 단부 (52b) (도 5 참조) 를 지나는 하우징 높이 방향 (H) 과 평행한 면 (P) (도 7 참조) 를 경계로 하는 일방의 영역 (도 7 의 면 (P) 의 우측의 영역) 에 접촉부 (51) 가 위치하고, 그 면 (P) 의 타방의 영역 (도 7 의 면 (P) 의 좌측의 영역) 에 1 쌍의 스프링부 (52) 의 만곡부 (52a) 가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 (30) 의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되어,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접촉부 (51) 에 접촉되었을 때, 1 쌍의 스프링부 (52) 의 만곡부 (52a) 는 수용부 (31a) 내에서 상방으로 변위된다 (도 22, 도 23 참조).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70) 는 그 전부와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체상이고, 상면부 (71) 와 2 개의 측벽부 (72) 와 후벽부 (73) 를 갖는다. 상면부 (71) 는 평판상으로, 하우징 (30) 의 상부를 덮는다. 측벽부 (72) 는 상면부 (71) 의 양측부에 각각 연결된다. 후벽부 (73) 는 상면부 (71) 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커넥터 (10) 에 장전하려면, 도 18, 도 19, 도 20,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삽입 방향 (I) 을 따라 커넥터 (10) 의 하우징 (30) 의 수용 공간 (34) 에 삽입하면 된다.
이 때, 도 22,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50) 의 접촉부 (51) 및 연결부 (55) 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의해 수용부 (31a) 쪽으로 압압되어, 접촉부 (51) 및 스프링부 (52) 가 하방으로 변위되고, 접촉부 (51) 의 일부가 수용부 (31a) 내로 들어가는데, 접촉부 (51) 의 정상부는 수용 공간 (34)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부 (51) 및 연결부 (55) 의 변위에 수반하여 스프링부 (52) 가 탄성 변형되어, 접촉부 (51) 를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의 패드로 가압하는 스프링력이 생긴다.
또, 스프링부 (52) 는 U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의 길이가 길고, 게다가 스프링부 (52) 가 탄성 변형될 때에 스프링부 (52) 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간섭하지 않아, 탄성 변형량이 적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연결부 (55) 를 통하여 접촉부 (51) 에 연결되는 스프링부 (52) 가, 하우징 높이 방향 (H)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10) 의 높이가 커지지 않는 것에 도움이 된다.
또, 하우징 (30) 의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되어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접촉부 (51) 에 접촉되었을 때, 1 쌍의 스프링부 (52) 의 만곡부 (52a) 는 수용부 (31a) 내에서 상방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만곡부 (52a) 가 프린트 기판 (86) 에 접촉되어 스프링부 (52) 가 소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프린트 기판 (86) 의 패드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10) 의 하우징 (30) 의 수용 공간 (34)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비틀어 삽입해도, 1 쌍의 스프링부 (52) 가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고, 접촉부 (51) 가 하우징 폭방향 (W) 으로 움직이기 (추종하기) 때문에, 스프링부 (52) 가 소성 변형되기 어렵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컨택트 (50) 의 스프링부 (52) 가 구부러져 있어 스프링의 길이가 길고, 게다가 스프링부 (52) 가 탄성 변형될 때에 스프링부 (52) 의 일부분이 그 밖의 부분에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변형량을 벌 수 있어, 컨택트 (50) 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1 쌍의 스프링부 (52) 가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접촉부 (51) 가 하우징 폭방향 (W) 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커넥터 (10) 의 하우징 (30) 의 수용 공간 (34) 에 비틀어 삽입해도, 스프링부 (52) 가 소성 변형되기 어려워, 컨택트 (50) 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컨택트 (50) 의 스프링부 (52) 가 수용부 (31a) 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면부 (31) 에 수용부 (31a)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커넥터 (도시 생략) 에 비해, 커넥터 (10) 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도 24, 도 25, 도 26, 도 2 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210) 는, 컨택트 (250) 의 스프링부 (252) 의 형상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0) 와 상이하다.
컨택트 (250) 의 한 쌍의 스프링부 (252) 는 모두 하우징 (30) 의 높이 방향 (H) 에서 봤을 때 L 자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일방의 스프링부 (252) 의 유지부측 단부 (252b) (도 26 참조) 와 타방의 스프링부 (252) 의 유지부측 단부 (252b) (도 26 참조) 를 지나는 하우징 높이 방향 (H) 과 평행한 면 (도시 생략) 을 경계로 하는 일방의 영역에 접촉부 (51) 가 위치하고, 하우징 높이 방향 (H) 과 평행한 면 상에 1 쌍의 스프링부 (252) 의 만곡부 (252a) 가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하우징 (30) 의 바닥면부 (31) 에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배치되어,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 접촉부 (51) 에 접촉되었을 때, 제 1 실시형태의 만곡부 (52a) 와 비교하여 1 쌍의 스프링부 (252) 의 만곡부 (252a) 의 변위량은 적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부 (52) 의 형상을 타발에 의해 U 자상으로 하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부 (252) 의 형상을 타발에 의해 L 자상으로 했으나, 스프링부 (52, 252) 의 형상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V 자상, W 자상이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커넥터 (10) 의 하우징 (30) 의 수용 공간 (34) 에 삽입하여 접촉부 (51) 가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접촉되었을 때, 스프링부 (52) 의 만곡부 (52a) 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을 커넥터 (210) 에 삽입하여 접촉부 (51) 가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접촉되었을 때, 스프링부 (252) 의 만곡부 (252a) 의 변위량이 제 1 실시형태보다 적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와 같이 구성할 필요는 없다. 접촉부 (51) 가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접촉되었을 때, 만곡부 (52a, 252a) 가 카드형 전자 부품 (81) 이나 프린트 기판 (86) 에 접촉되지 않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만곡부 (52a) 가, 수용부 (31a)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도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접촉되지 않으면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 (31a) 가 관통공인데, 바닥면을 갖는 구멍 (도시 생략) 이어도 된다.
또, 제 1 접속 대상물로는 카드형 전자 부품 (81) 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면부 (31) 와 대향하는 평탄한 배치면을 갖는 카메라 모듈이나 LED 모듈 등의 전자 부품이나 프린트 기판 등도 제 1 접속 대상물에 포함되고, 제 2 접속 대상물에는 F PC 등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 (55) 를 통하여 접촉부 (51) 에 스프링부 (52, 252) 를 간접적으로 연결하였지만, 접촉부 (51) 에 스프링부 (52, 252) 를 직접 연결해도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으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확하다.
Claims (24)
- 제 1 접속 대상물과 제 2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유지되는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이 접촉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그 접촉부를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가압하는 1 쌍의 스프링부와, 이 1 쌍의 스프링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이 유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어느 상기 스프링부도 탄성 변형되었을 때, 그 스프링부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하우징 높이 방향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모두 180 도 만곡되어 있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배치면과 대향하는 바닥면부를 갖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를 변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바닥면부를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는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쪽으로 올라가도록, 일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와 타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를 지나는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평행한 면을 경계로 하는 일방의 영역에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고, 그 면의 타방의 영역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인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인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인 커넥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인 커넥터. - 제 1 접속 대상물과 제 2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유지되는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이 접촉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그 접촉부를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가압하는 1 쌍의 스프링부와, 이 1 쌍의 스프링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이 유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어느 상기 스프링부도 탄성 변형되었을 때, 그 스프링부의 일부분과 그 밖의 부분이 하우징 높이 방향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배치면과 대향하는 바닥면부를 갖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를 변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바닥면부를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고,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바닥면부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1 쌍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쪽으로 올라가도록, 일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와 타방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지부측 단부를 지나는 상기 하우징 높이 방향과 평행한 면을 경계로 하는 일방의 영역에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고, 그 면의 타방의 영역에 상기 1 쌍의 스프링부의 만곡부가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카드형 전자 부품이고,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기판인 커넥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225548A JP5602117B2 (ja) | 2011-10-13 | 2011-10-13 | コネクタ |
JPJP-P-2011-225548 | 2011-10-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0127A KR20130040127A (ko) | 2013-04-23 |
KR101420014B1 true KR101420014B1 (ko) | 2014-07-15 |
Family
ID=4799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2660A KR101420014B1 (ko) | 2011-10-13 | 2012-09-17 |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864524B2 (ko) |
JP (1) | JP5602117B2 (ko) |
KR (1) | KR101420014B1 (ko) |
CN (1) | CN103050806B (ko) |
DE (1) | DE102012216525B4 (ko) |
FI (1) | FI12449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82629B2 (ja) * | 2012-06-12 | 2014-01-08 | Smk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JP5818366B2 (ja) | 2012-08-07 | 2015-11-18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カード用コネクタ |
DE202012008961U1 (de) * | 2012-09-17 | 2012-10-12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Kontaktelement |
FR3009445B1 (fr) * | 2013-07-31 | 2017-03-31 | Hypertac Sa | Organe de contact entre un support et un dispositif et connecteur electrique comprenant un tel organe de contact |
JP5718425B2 (ja) * | 2013-10-01 | 2015-05-1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718506B1 (ja) * | 2014-04-09 | 2015-05-1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05098415B (zh) | 2014-05-07 | 2017-12-05 |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 端子座与电子卡连接器 |
US9130292B1 (en) * | 2014-06-05 | 2015-09-08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Card connector |
US9547809B2 (en) | 2014-07-01 | 2017-01-17 |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 Card connector preventing scrapping to card inserted therein |
JP6309429B2 (ja) * | 2014-10-31 | 2018-04-1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
TW201707286A (zh) | 2015-08-10 | 2017-02-16 |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 電連接器 |
CN205282702U (zh) * | 2015-12-03 | 2016-06-01 | 美国莫列斯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 |
CN206194997U (zh) | 2016-10-19 | 2017-05-24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卡连接器 |
KR102582689B1 (ko) * | 2018-08-13 | 2023-09-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중 접속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JP7054457B2 (ja) * | 2019-01-31 | 2022-04-14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バスバ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44841A (ja) * | 2005-03-03 | 2006-09-14 | Hosiden Corp | 電子部品の構成部品同士の接合方法とそれを利用した電子部品 |
JP2008146873A (ja) * | 2006-12-06 | 2008-06-26 | Hosiden Corp | コンタクトとそれを備えるカードアダプ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 |
JP2011165560A (ja) * | 2010-02-12 | 2011-08-25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カード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09606A (en) * | 1989-12-18 | 1991-04-23 | Burndy Corporation |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
US5152695A (en) * | 1991-10-10 | 1992-10-06 | Amp Incorporated |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
JPH1032031A (ja) * | 1996-07-16 | 1998-02-03 |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 コンタクト |
FR2773275B1 (fr) | 1997-12-26 | 2000-01-28 | Itt Mfg Enterprises Inc | Connecteur electrique de tres faible epaisseur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
JP3299945B2 (ja) * | 1999-11-05 | 2002-07-08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JP3507434B2 (ja) | 2000-07-21 | 2004-03-15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弾性コンタクト片 |
JP4181307B2 (ja) * | 2001-01-19 | 2008-11-12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JP3847227B2 (ja) | 2001-10-02 | 2006-11-22 | 日本碍子株式会社 | コンタクトシート |
JP4213559B2 (ja) * | 2002-12-27 | 2009-01-21 | 日本碍子株式会社 | コンタク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ソケット |
JP4030119B2 (ja) * | 2004-06-30 | 2008-01-0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カード用コネクタ |
EP1782509A1 (en) * | 2004-07-07 | 2007-05-09 | Molex Incorporated | Edge card connector with keying means for proper connection |
TWM310488U (en) | 2006-08-08 | 2007-04-2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4573881B2 (ja) * | 2008-05-14 | 2010-11-0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201252205Y (zh) * | 2008-07-21 | 2009-06-03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5065221B2 (ja) * | 2008-10-14 | 2012-10-31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端子配置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用いたカード型装置 |
JP2010161012A (ja) | 2009-01-09 | 2010-07-22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カード用コネクタ |
JP5110442B2 (ja) | 2009-03-05 | 2012-12-26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US7913914B2 (en) | 2009-04-28 | 2011-03-29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Connector device |
CN201549668U (zh) * | 2009-09-30 | 2010-08-1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端子及使用该端子的电连接器 |
US7909657B1 (en) * | 2009-11-12 | 2011-03-22 | Hubbell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stress, reduced-electrical-length contacts |
JP5667490B2 (ja) * | 2011-03-24 | 2015-02-1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
2011
- 2011-10-13 JP JP2011225548A patent/JP5602117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9-13 US US13/615,546 patent/US8864524B2/en active Active
- 2012-09-17 DE DE102012216525.8A patent/DE102012216525B4/de active Active
- 2012-09-17 KR KR1020120102660A patent/KR10142001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9-20 FI FI20125974A patent/FI124497B/en active IP Right Grant
- 2012-10-12 CN CN201210385348.8A patent/CN103050806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44841A (ja) * | 2005-03-03 | 2006-09-14 | Hosiden Corp | 電子部品の構成部品同士の接合方法とそれを利用した電子部品 |
JP2008146873A (ja) * | 2006-12-06 | 2008-06-26 | Hosiden Corp | コンタクトとそれを備えるカードアダプ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 |
JP2011165560A (ja) * | 2010-02-12 | 2011-08-25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カード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602117B2 (ja) | 2014-10-08 |
US20130095687A1 (en) | 2013-04-18 |
DE102012216525B4 (de) | 2024-05-29 |
KR20130040127A (ko) | 2013-04-23 |
CN103050806A (zh) | 2013-04-17 |
DE102012216525A1 (de) | 2013-04-18 |
FI20125974A (fi) | 2013-04-14 |
FI124497B (en) | 2014-09-30 |
CN103050806B (zh) | 2015-09-02 |
JP2013089290A (ja) | 2013-05-13 |
US8864524B2 (en) | 2014-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0014B1 (ko) | 커넥터 | |
US8333614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ncreased distances among mounting portions thereof | |
EP1577980B1 (en) |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 |
US8197272B2 (en) | Connector | |
US7635276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EP1986275A1 (en) | Connector | |
US9033743B2 (en) |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 |
US20080139026A1 (en) | C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 |
US9033722B2 (en) |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 |
US8556667B2 (en) | Terminal and connector with terminal | |
US7766677B2 (en) | Dustproof receptacle connector | |
JP4794905B2 (ja) | Icカードコネクタの端子取付方法 | |
KR20150110333A (ko) | 커넥터 | |
KR101397768B1 (ko) | 전기 부품 | |
US7377821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581033B1 (ko) |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 |
KR20020051838A (ko) | 전기 커넥터 | |
US20110151695A1 (en) | Card Connector | |
KR20130130857A (ko) | 커넥터 장치 | |
JP5733868B2 (ja) | コネクタ | |
KR20130135363A (ko) | 커넥터 장치 | |
US20220140510A1 (en) | Card retain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set | |
CN109980447B (zh) | 电路基板用电连接器 | |
US20050095906A1 (en) | Socket connector with reliable retaining means | |
KR101606775B1 (ko) | 전기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