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857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857A
KR20130130857A KR1020137025991A KR20137025991A KR20130130857A KR 20130130857 A KR20130130857 A KR 20130130857A KR 1020137025991 A KR1020137025991 A KR 1020137025991A KR 20137025991 A KR20137025991 A KR 20137025991A KR 20130130857 A KR20130130857 A KR 20130130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lider
circuit body
flat circu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2477B1 (ko
Inventor
코우이치 오야마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0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 장치(1)가 커넥터(2), 커넥터(2)에 삽입되는 슬라이더(20)를 구비한다. 커넥터(2)의 커넥터 하우징(3)은, 슬라이더(20)의 삽입 가이드부 (22)의 삽입 과정에서, 슬라이더(20)의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이 커넥터(2)의 단자(10)의 선단(14b)의 위치에 달하기 전에, 플랫 회로체(30)의 접점(31) 사이의 오목부(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하고, 플랫 회로체 (30)의 선단(30a)을 단자(10)의 선단(14b)보다 높은 위치로 가이드 하는 리브(7)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플랫 회로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장치로서 회로기판상의 회로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플렉시블 프린트 서킷(FPC) 등의 플랫 회로체와의 사이를 전선으로 접속하는 것이 여러 가지 제안되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이 종류의 커넥터 장치가 관련되는 예가 도 1∼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도시 생략) 위에 고정된 커넥터(101)와, 커넥터(101)에 슬라이드 삽입에 의해 끼워맞추어지는 슬라이더(120)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10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2)과 복수의 단자(110)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102)은 슬라이더(120)의 삽입 가이드부(122)가 삽입되는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과, 삽입 가이드부(122)의 삽입방향의 직교방향에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단자 수용실(104)을 갖는다.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은 삽입구(103a)에 의해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104)은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의 상방, 하방 및 깊이측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104)은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의 상면, 하면, 깊이측의 면에 각각 개구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02)의 각 단자 수용실(104)에는, 압입벽부(105)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110)는 회로기판측의 접점(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111)와, 플랫 회로체(130)의 접점(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제 2 접속부(112)를 갖는다. 제 1 접속부(111)는 커넥터 하우징(10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속부(111)는 회로기판측의 접점(도시 생략)에 납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속부(11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협지 압입부(113)와 단자 접촉부(114)를 갖는다. 단자(110)는 그 협지 압입부(113)가 압입벽부(105)와 상면벽부(102a) 사이에 압입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102)에 고정되어 있다. 협지 압입부(113)와 단자 접촉부(114)는 상하 위치의 단자 수용실(104)에 배치되고,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을 사이에 끼고 대향배치되어 있다.
단자 접촉부(114)는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측으로 돌출하는 접촉돌기부(114a)를 갖는다. 접촉돌기부(114a)로부터 선단(114b)에는, 테이퍼면(114c)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접촉부(114)는 접촉돌기부(114a)를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단자 수용실(104)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2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121)와, 슬라이더 본체(121)의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플랫 회로체(130)의 선단측을 협지하는 누름 커버(125)를 갖는다.
슬라이더 본체(121)는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122)를 갖는다. 삽입 가이드부(122)의 선단측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단자누름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누름부(123)에는 그 하면에 테이퍼면(123a)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123a)의 후단측에 플랫 회로체(130)의 선단(130a)(도 4 참조)이 위치하도록 하고 플랫 회로체(130)는 슬라이더 본체(121)의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누름 커버(125)는 플랫 회로체(130)의 접점 위치보다도 바로 앞 위치에서 플랫 회로체(130)를 고정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더(120)의 삽입 가이드부(122)를 커넥터(101)의 삽입구(103a)로부터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에 삽입한다. 그러면,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누름부(123)의 테이퍼면(123a)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로 돌출하는 단자(110)의 접촉돌기부(114a)에 맞부딪치고, 이 누름력에 의해 단자 접촉부(114)가 단자 수용실(104)의 안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삽입 가이드부(122)의 삽입이 허용된다. 단자 접촉부(114)는 단자누름부(123)의 테이퍼면(123a)에 추종하여 서서히 단자 수용실(104)의 안길이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플랫 회로체(130)의 선단(130a)이 삽입 가이드부(122)의 바닥면보다 처져도 단자누름부(123)의 테이퍼면(123a)이 플랫 회로체(130)의 선단(130a)를 끌어올려(拾) 플랫 회로체(130)의 하면을 슬라이딩 한다. 삽입 가이드부(122)가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되면, 단자 접촉부(114)의 접촉돌기부(114a)가 플랫 회로체(130)의 접점(도시 생략)에 탄성 복귀력에 의해 압접한다.
일본 특개 2005-78842호 공보 일본 특개 2002-141127호 공보
(발명의 개요)
그런데, 커넥터(101)는 리플로우 납땜으로 회로기판(도시 생략) 위에 실장되기 때문에, 그때에 고온환경하에 노출된다. 커넥터 하우징(102)은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고온환경하에 노출되면, 형상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 열에 의한 형상 변형은 도 2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은 커넥터 하우징(102)의 상면벽부(102a)가 상방으로 휘는 것과 같은 변형이 되고, 이 변형에 추종하도록 단자(110)가 변위한다. 즉, 상면벽부(102a)의 후단부가 단자(110)의 후단부를 하방(도 2의 화살표(AR1) 방향)으로 눌러, 단자(110)가 압입벽부(105)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단자(110)의 선단측이 상방으로 변위한다(도 2의 화살표(AR2) 방향). 이와 같이 단자(110)가 정규의 위치로부터 변위하면,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접촉부(114)의 선단(114b)이 단자 수용실(104)에서 나와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에 위치한다. 그러면, 삽입 가이드부(122)의 단자누름부(123)가 단자 접촉부(114)에 접촉하기 전에, 단자 접촉부(114)의 선단(114b)이 플랫 회로체(130)의 선단(130a)에 맞부딪쳐, 플랫 회로체(130), 단자(110) 등이 변형, 파손되어 접촉 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커넥터 장치(100)의 소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단자(110)와 커넥터 하우징(102)의 치수관계에서 안전률을 고려한 치수여유값을 취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접촉 불량의 방지가 요망된다.
여기에서, 도 5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수용실(104)의 높이(h)를 상기 관련되는 예(도 5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냄)보다도 높게 하고, 단자 접촉부(114)의 선단(114b)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로 뚫고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하면, 단자 수용실(104)을 높게 한만큼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의 폭 치수(W)가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의 폭 치수(W)가 슬라이더(120)의 삽입 가이드부(122)(플랫 회로체(130)의 두께를 포함함)의 두께(T) 이하가 되어, 끼워맞춤 불량을 야기하기 때문에, 채용할 수 없다.
또한 도 6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접촉부(114)의 선단(114b)의 높이 위치를 상기 관련되는 예(도 6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냄)보다도 낮은 위치로 하여, 단자 접촉부(114)의 선단(114b)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103)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하면, 슬라이더(120)의 끼워맞춤시에 단자 접촉부(114)가 단자 수용실(104)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적절한 접촉 상태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채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단자 접촉부의 선단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로 돌출해 있는 경우에도 플랫 회로체와 단자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끼워맞춤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은 슬라이더 끼워맞춤실과 상기 슬라이더 끼워맞춤실로 개구하는 단자 수용실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단자 수용실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슬라이더 끼워맞춤실로 돌출하는 단자 접촉부를 갖는 단자를 갖는 커넥터와, 상기 슬라이더 끼워맞춤실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와,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단자 접촉부를 상기 단자 수용실 안길이 방향으로 눌러 탄성 변형시키는 단자누름부와, 상기 단자누름부로보다 삽입 후방 위치에 배치되고, 끼워맞춤 위치에서 상기 단자 접촉부에 상기 단자 접촉부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압접되는 접점을 갖는 플랫 회로체를 갖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플랫 회로체의 선단이 상기 단자의 선단의 위치에 달하기 전에, 상기 플랫 회로체의 상기 접점 간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하고, 상기 플랫 회로체의 선단을 상기 단자의 선단보다 높은 위치로 가이드 하는 리브를 갖는 커넥터 장치인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의 선단측은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높아지는 테이퍼면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삽입 가이드부를 슬라이더 끼워맞춤실에 삽입하면, 플랫 회로체의 선단이 단자의 선단의 위치에 달하기 전에, 플랫 회로체의 선단의 오목부에 리브가 들어가고, 플랫 회로체의 선단측이 리브에 가이드 되어 단자의 선단보다 높은 위치를 유지하면서 삽입된다. 이 때문에, 단자 접촉부의 선단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로 돌출해 있는 경우이어도 단자 접촉부의 선단이 플랫 회로체의 선단에 맞부딪치는 것과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자 접촉부의 선단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로 돌출해 있는 경우이어도, 플랫 회로체와 단자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끼워맞춤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관련되는 예를 도시하며,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관련되는 예를 도시하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관련되는 예를 도시하며, 슬라이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관련되는 예를 도시하며, 도 4(a)는 단자 접촉부의 선단이 단자 수용실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슬라이더의 삽입 가이드부를 커넥터의 슬라이더 끼워맞춤실에 삽입하는 1 과정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4(b)는 단자 접촉부의 선단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로 돌출해 있는 경우에, 슬라이더의 삽입 가이드부를 커넥터의 슬라이더 끼워맞춤실에 삽입하는 1 과정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관련되는 예보다 단자 수용실의 높이를 높게 한 커넥터 장치이며, 슬라이더를 커넥터에 끼워맞추기 전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관련되는 예보다 단자 접촉부의 선단 위치를 낮게 한 커넥터 장치이며, 슬라이더를 커넥터에 끼워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도 8(a)는 커넥터의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도 9(a)는 커넥터의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B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슬라이더의 바닥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도 12(a)는 슬라이더의 평면도, 도 12(b)는 슬라이더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도 12(b)의 XIII-XIII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도 14(a)는 플랫 회로체의 정면도, 도 14(b)는 플랫 회로체의 하면도, 도 14(c)는 도 14(a)의 C부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슬라이더의 삽입 가이드부를 커넥터의 슬라이더 끼워맞춤실에 삽입하는 1 과정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슬라이더의 삽입 가이드부를 커넥터의 슬라이더 끼워맞춤실에 삽입하는 1 과정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슬라이더의 커넥터에의 끼워맞춤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도 18(a)는 슬라이더의 커넥터에의 끼워맞춤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b)는 도 18(a)의 XVIIIb-XVIIIb선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도 18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커넥터 장치(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도시 생략) 위에 고정된 커넥터(2)와, 커넥터(2)에 슬라이드 삽입에 의해 끼워맞추어지는 슬라이더(20)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2)는, 도 8∼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3)과 복수의 단자(10)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3)은 절연성의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3)은 슬라이더(20)의 삽입 가이드부(22)가 삽입되는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과, 삽입 가이드부(22)의 삽입방향의 직교방향에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단자 수용실(5)을 갖는다.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의 전방측에는 삽입구(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5)은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의 상방, 하방 및 깊이측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실(5)은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방 수용실(5a)과,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방 수용실(5b)과, 이것들을 연통하는 베이스부용 수용실(5c)로 구성되어 있다. 상방 수용실(5a)과 하방 수용실(5b)은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의 상하면에 각각 개구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3)에는 단자 수용실(5)의 베이스부용 수용실(5c)을 관통하는 압입벽부(6)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3)에는, 인접하는 하방 수용실(5b)의 칸막이 벽부(8)의 상면, 즉, 플랫 회로체(30)의 접점(31) 사이의 오목부(32)에 대응하는 위치에, 리브(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리브(7)는 삽입구(4a)로부터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의 가장 안쪽 위치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리브(7)는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이 단자(10)의 선단(14b)의 위치에 달하기 전에 플랫 회로체(30)에 접촉하고,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을 단자 접촉부(14)의 선단(14a)보다 높은 위치로 가이드 한다. 상세하게는, 단자 접촉부(14)의 선단(14b)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로 돌출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의 접점(31)의 높이가 단자 접촉부(14)의 선단(14b)보다 높은 위치로 가이드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리브(7)의 높이 치수는 플랫 회로체(30)의 오목부(32)의 깊이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각 리브(7)의 선단측은 삽입 가이드부(22)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높아지는 테이퍼면(7a)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10)는, 도 9(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10)는 회로기판측의 접점(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11)와, 플랫 회로체(30)의 접점(31)에 접속되는 제 2 접속부(12)를 갖는다. 제 1 접속부(11)는 커넥터 하우징(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속부(11)는 회로기판측의 접점(도시 생략)에 납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속부(1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협지 압입부(13)와 단자 접촉부(14)와 이것들을 연결하는 연결베이스부(15)를 갖는다.
협지 압입부(13)와 단자 접촉부(14)는 상방 수용실(5a)과 하방 수용실(5b)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협지 압입부(13)와 단자 접촉부(14)는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을 사이에 끼고 대향배치되어 있다. 협지 압입부(13)는 압입벽부(6)와 상면벽부(3a)에 압입되어 있다. 단자(10)는 이 압입력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3)에 고정되어 있다. 단자 접촉부(14)는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측으로 돌출하는 접촉돌기부(14a)를 갖는다. 접촉돌기부(14a)로부터 선단(14b)에는, 테이퍼면(14c)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접촉부(14)는 통상은 접촉돌기부(14a)를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단자 수용실(5)의 하방 수용실(5b)에 배치된다. 연결베이스부(15)는 단자 수용실(5)의 베이스부용 수용실(5c)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20)는, 도 11∼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21)와, 슬라이더 본체(21)의 바닥면 사이에서 플랫 회로체(30)의 선단측을 협지하는 누름 커버(25)를 갖는다.
슬라이더 본체(21)는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22)를 갖는다. 삽입 가이드부(22)의 선단측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단자누름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누름부(23)는 삽입 가이드부(22)를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단자 접촉부(14)를 누른다. 단자누름부(23)의 바닥면은 삽입 선단측으로부터 삽입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단자 접촉부(14)의 탄성변위량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23a)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랫 회로체(30)는 유연성이 높고, 편평 형상의 회로체이다. 플랫 회로체(30)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플렉시블 프린트 서킷(FPC) 등이다. 플랫 회로체(30)의 선단측은, 슬라이더 본체(21)의 바닥면이고, 또한, 단자누름부(23)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누름부(23)의 후단에는, 슬라이더 본체(21)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단차면(23c)이 형성된다. 단차면(23c)을 따르도록 하여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이 배치되어 있다.
플랫 회로체(30)의 선단측에는, 도 14(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폭 방향으로 병렬된 복수의 접점(31)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접점(31)은 도전 패턴을 노출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접점(31) 사이에는, 접점(31)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절연층을 벗겨서 생긴 오목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누름 커버(25)는 플랫 회로체(30)의 접점(31)위치보다도 바로 앞 위치에서 플랫 회로체(30)를 고정하고 있다.
다음에 커넥터(2)에의 슬라이더(20)의 끼워맞춤 동작을 설명한다. 슬라이더(20)의 삽입 가이드부(22)를 커넥터(2)의 삽입구(4a)로부터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에 삽입한다. 그러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부(22)가 단자(10)의 협지 압입부(13)와 단자 접촉부(14) 사이에 들어간다. 그러면, 우선,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의 각 오목부(32)에 각 리브(7)가 들어가고, 플랫 회로체(30)의 선단측이 각 리브(7)에 가이드 되어 단자(10)의 선단(14a)보다 높은 위치로 가이드 되면서 삽입된다. 여기에서, 각 리브(7)는 플랫 회로체(30)의 각 오목부(3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플랫 회로체(30)의 접점(31)이 접촉하지 않는다.
삽입 가이드부(22)의 삽입이 진행되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누름부(23)의 테이퍼면(23a)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에 돌출하는 단자(10)의 접촉돌기부(14a)에 접촉하고, 이 누름력에 의해 단자 접촉부(14)가 단자 수용실(5)의 안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에 의해 변위하여, 삽입 가이드부(22)의 삽입이 허용된다. 단자 접촉부(14)는 단자누름부(23)의 테이퍼면(23a)에 추종하여 서서히 단자 수용실(5)의 안길이 방향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이 삽입 가이드부(22)의 바닥면보다 다소 처져 있어도 단자누름부(23)의 테이퍼면(23a)이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에 맞부딪치지 않아 플랫 회로체(30)의 하방으로 들어간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부(22)가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되면, 단자 접촉부(14)의 접촉돌기부(14a)가 플랫 회로체(30)의 접점(31)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고, 단자 접촉부(14)의 접촉돌기부(14a)가 플랫 회로체(30)의 접점(31)에 탄성복귀력에 의해 압접한다.
상기 끼워맞춤 동작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3)의 열변형 등에 의해 단자(10)의 단자 접촉부(14)의 선단(14b)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로 돌출해 있는 것과 같은 사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슬라이더(20)의 삽입 가이드부(22)를 삽입구(4a)로부터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에 삽입하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이 단자(10)의 선단(14b)의 위치에 달하기 전에 리브(7)가 플랫 회로체(30)에 접촉을 개시하여,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이 리브(7)에 가이드 되어 단자 접촉부(14)의 선단(14b)보다 높은 위치를 유지하면서 삽입된다. 따라서, 단자 접촉부(14)의 선단(14b)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로 돌출해 있는 경우에도, 단자 접촉부(14)의 선단(14b)이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에 맞부딪치는 것과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고, 단자 접촉부(14)의 선단(14b)이 플랫 회로체(30)의 하방으로 들어간다. 이상으로부터, 단자 접촉부(14)의 선단(14b)이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로 돌출해 있는 경우에도, 플랫 회로체(30)와 단자(10)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끼워맞춤 신뢰성이 높다.
리브(7)의 선단측은 삽입 가이드부(22)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높아지는 테이퍼면(7a)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랫 회로체(30)의 선단(30a)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더 끼워맞춤실(4)의 상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리브(7)는 인접하는 단자 수용실(5)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 설치 위치는 커넥터 하우징(3) 내에서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한 부위이다. 따라서, 단자(10)와 커넥터 하우징(3)의 치수관계에서 안전률을 충분히 고려한 설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100)의 소형화가 진행되어도 단자(10)와 커넥터 하우징(3)의 치수관계에서 안전률을 고려한 치수여유값을 취할 수 있어, 끼워맞춤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단자(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협지 압입부(13)와 단자 접촉부(14)를 갖고, 협지 압입부(13)와 단자 접촉부(14) 사이에 슬라이더(20)의 삽입 가이드부(22)를 협지하여 단자 접촉부(14)를 플랫 회로체(30)에 압접시키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자(10)는 단자 접촉부(14)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플랫 회로체(30)에 압접시키는 것이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

  1. 슬라이더 끼워맞춤실과 상기 슬라이더 끼워맞춤실로 개구되는 단자 수용실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단자 수용실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슬라이더 끼워맞춤실로 돌출하는 단자 접촉부를 갖는 단자;
    를 갖는 커넥터와,
    상기 슬라이더 끼워맞춤실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와;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단자 접촉부를 상기 단자 수용실의 안길이 방향으로 눌러 탄성 변형시키는 단자누름부와;
    상기 단자누름부보다 삽입 후방 위치에 배치되고, 끼워맞춤 위치에서 상기 단자 접촉부에 상기 단자 접촉부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압접되는 접점을 갖는 플랫 회로체;
    를 갖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플랫 회로체의 선단이 상기 단자의 선단의 위치에 달하기 전에, 상기 플랫 회로체의 상기 접점 사이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하고, 상기 플랫 회로체의 선단을 상기 단자의 선단보다 높은 위치로 가이드 하는 리브를 갖는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선단측은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높아지는 테이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37025991A 2011-03-22 2012-03-19 커넥터 장치 KR101502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62657A JP5687535B2 (ja) 2011-03-22 2011-03-22 コネクタ装置
JPJP-P-2011-062657 2011-03-22
PCT/JP2012/057028 WO2012128254A1 (ja) 2011-03-22 2012-03-19 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857A true KR20130130857A (ko) 2013-12-02
KR101502477B1 KR101502477B1 (ko) 2015-03-13

Family

ID=4687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991A KR101502477B1 (ko) 2011-03-22 2012-03-19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6686B2 (ko)
JP (1) JP5687535B2 (ko)
KR (1) KR101502477B1 (ko)
CN (1) CN103430384B (ko)
DE (1) DE112012001361T5 (ko)
WO (1) WO2012128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9095B2 (ja) * 2013-06-26 2017-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該端子金具を使用したコネクタ
CN107658654B (zh) * 2017-08-23 2019-04-3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7611671B (zh) * 2017-08-23 2019-12-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TWI708436B (zh) * 2019-09-24 2020-10-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直下式鎖定結構之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4124B2 (ja) 2000-11-06 2007-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JP3929763B2 (ja) * 2001-01-12 2007-06-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JP2002252048A (ja) 2001-02-23 2002-09-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端子及び同コネクタ端子の製造方法
JP2005078842A (ja) 2003-08-28 2005-03-24 Yazaki Corp コネクタ
KR100745824B1 (ko) * 2005-11-25 2007-08-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CN101114740A (zh) * 2006-07-28 2008-01-30 明基电通信息技术有限公司 电路板及其连接器
JP4858249B2 (ja) * 2007-03-1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29965B2 (ja) * 2007-06-29 2012-09-19 山一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用アダプタ
JP4548803B2 (ja) * 2008-04-24 2010-09-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1361T5 (de) 2013-12-19
JP2012199084A (ja) 2012-10-18
KR101502477B1 (ko) 2015-03-13
CN103430384A (zh) 2013-12-04
JP5687535B2 (ja) 2015-03-18
WO2012128254A1 (ja) 2012-09-27
CN103430384B (zh) 2015-09-30
US9236686B2 (en) 2016-01-12
US20140017931A1 (en)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36841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1584086A (zh) 具有预载荷盖的边缘连接器
JP6008783B2 (ja) コネクタ
US9356373B2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plate-shaped object
KR20100027190A (ko) 검출 성능을 구비한 와이어 대 보드 커넥터
JP2018206624A (ja) 多接点コネクタ
KR101439338B1 (ko) Fpc용 커넥터
JP2017117734A (ja) コネクタ
KR20130130857A (ko) 커넥터 장치
JP2008112682A (ja) 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JP2020064834A (ja) 可動コネクタ
US9093790B2 (en) Connector device
US20140113462A1 (en) Connector
US8500472B2 (en) Thin connector
JP2014165065A (ja) コネクタ
KR20160071607A (ko) 무접촉단자형 fpc 커넥터
JP2009199823A (ja) 接続用ソケット
KR102001285B1 (ko)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US10439312B2 (en) Flat-conductor connector having flat-conductor retaining structure in housing itself
KR100606482B1 (ko) 단자부재와 그 단자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단자부재의제조방법
JP6439930B2 (ja) コネクタ装置
KR100515173B1 (ko)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JP2009277372A (ja) 雌コネクタとコネクタ接続構造
JP2005339837A (ja) 低背カードコネクタ
JP2007141784A (ja) コネクタ端子および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