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628B1 - 대역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대역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628B1
KR101419628B1 KR1020127022057A KR20127022057A KR101419628B1 KR 101419628 B1 KR101419628 B1 KR 101419628B1 KR 1020127022057 A KR1020127022057 A KR 1020127022057A KR 20127022057 A KR20127022057 A KR 20127022057A KR 101419628 B1 KR101419628 B1 KR 101419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lave station
control
station apparatus
band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919A (ko
Inventor
세이지 고자키
다카시 니시타니
마사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1Centralised allocation of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64Arbitration, scheduling or medium access control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79Operation or maintenance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제 1 통신 장치(OLT), 및 OLT에 접속된 복수의 제 2 통신 장치(ONU)에 의해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OLT가 ONU에 대해서 신호 송신용의 대역을 할당하는 경우의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ONU 중의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장치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슬립 제어 스텝과, 슬립 제어 스텝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 하는 장치를 선택하는 제어 대상 선택 스텝과, 선택한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해서 할당하는 대역을 결정하는 대역 결정 스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역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BAND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대역 제어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복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가입자측의 통신 장치)와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국측의 통신 장치)의 접속에 의해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가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서 대역을 할당하는 경우의 대역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와 이들을 수용하는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에 의해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종래의 대역 제어 방법에서는, 대역 할당을 요구한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서, 각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계약 대역비로, 업스트림 대역을 동적으로 분배하는 제어 등을 이용하고 있었다.
예컨대,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업스트림 대역을 각 가입자의 계약 대역비로 분배하기 위해서, 각 가입자의 계약 대역에 부가하여, 각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서 과거에 할당한 대역의 누적 값 또는 각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가 과거에 송신한 데이터의 누적 값에 기초하여 대역을 할당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7283호 공보
최근, 기기의 전력 절약화에 대한 검토가 한창 행해져 오고 있다. 그리고, 전력 절약화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파워 세이브 동작 상태로 시키는 파워 세이브 제어를 적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대역 제어에 있어서는,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파워 세이브 제어한 때에도, 해당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계약 대역에 기초하여 대역 할당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각 가입자에 대해서 최저 보증 대역을 설정해 두고, 전체 대역으로부터 각 가입자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감산하고, 남은 대역을 각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동적으로 할당한다. 그 때문에, 상기 종래의 대역 제어를 실시하고 있는 통신 시스템에 파워 세이브 제어를 적용한 경우, 업스트림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파워 세이브 상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위해 확보된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분에 상당하는 대역이 쓸모없게 되어, 대역의 유효 이용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IEEE802.3에 준거한 1Gbps의 전송 대역을 구비한 GE-PON(Gigabit Ethernet(등록 상표) Passive Optical Network) 방식에 의한 광 액세스 시스템에 의해, 32대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1대의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에 접속하고, 각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의 계약 대역으로서, 최저 보증 대역이 10Mbps인 경우를 상정하면, 32대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 중 절반 수인 16대가 파워 세이브 상태인 경우, 전체 대역(1Gbps)의 16%에 미치는 160Mbps의 대역이 사용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역 이용 효율을 종래보다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대역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파워 세이브 상태에서 이행 가능한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이더라도 대역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고, 또한 각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로의 대역 할당의 공평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대역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통신 장치, 및 제 1 통신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제 2 통신 장치에 의해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통신 장치가 상기 제 2 통신 장치에 대해서 신호 송신용의 대역을 할당하는 경우의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통신 장치 중의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장치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슬립 제어 스텝과, 상기 슬립 제어 스텝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 하는 장치를 선택하는 제어 대상 선택 스텝과, 상기 선택한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해서 할당하는 대역을 결정하는 대역 결정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역 제어 방법은, 전송 대역의 유효 이용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의 대역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의 대역 제어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의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의 OLT가 실행하는 제어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2의 대역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2의 대역 제어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동기 제어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2의 제어를 적용한 경우의 대역 할당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의 OLT가 실행하는 제어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시퀀스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의 대역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3의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3의 대역 제어를 적용한 경우의 대역 할당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4의 대역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4의 대역 제어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4의 제어를 적용한 경우의 대역 할당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대역 제어 방법 및 통신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PON 방식의 광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대역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의 대역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대역 제어를 실시하는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의 구성도 함께 기재하고 있다. 이 통신 시스템은,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인 OLT(Optical Line Terminal)(1)와,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인 복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2)을 구비하고, 각 ONU(2)는, 광 파이버 및 광 커플러를 거쳐서 OLT(1)에 접속되어 있다. 각 ONU(2)는, OLT(1)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대역의 할당을 요구하고, 그 결과 OLT(1)로부터 할당된 대역(송신이 허가된 기간)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각 ONU(2)는, OLT(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통상 동작 시보다도 소비 전력을 낮게 억제한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하고, 이 파워 세이브 상태에 있어서는 업스트림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지 않는다. 각 ONU(2)는, 예컨대, 데이터 송신 동작에서만 사용되는 각 디바이스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상기 디바이스가 저소비 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저소비 전력 모드로 동작시키는 등의 제어를 실시하여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단화를 위해, 시스템 내의 모든 ONU(2)가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 가능한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하지만, 후술하는 대역 제어 방법은, 일부의 ONU(2)(하나 이상의 ONU(2))만이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업스트림 데이터의 송신을 실시하지 않는 상태로 이행하는 하나 이상의 ONU(2)가 존재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어서, OLT(1)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도 1 및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OLT(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ONU(2)와의 인터페이스를 종단하는 회선 IF(11), 각 ONU(2)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PON 제어부(12) 및 상위의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종단하는 망 IF(13)를 주 데이터의 전송계로서 구비하며, 또한, 각 ONU(2)의 업스트림 대역의 제어를 행하는 대역 제어부(14), 각 ONU(2)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제어인 슬립 제어를 실시하는 슬립 제어부(15), 대역 제어부(14)에 있어서의 업스트림 대역 할당 제어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 및 각 ONU(2)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계약 대역 등을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17)를 구비한다. 대역 제어부(14) 및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는, 대역 할당 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구성의 OLT(1)에 있어서, 주 데이터의 전송계를 구성하고 있는 회선 IF(11), PON 제어부(12) 및 망 IF(13)는, 적용하는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에 준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각 ONU(2)와 상위 네트워크를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한 전송 링크를 확립한다.
슬립 제어부(15)는, PON 제어부(12)로부터 각 ONU(2)의 회선 사용 상태의 정보를 입수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각 ONU(2)의 슬립 제어를 행한다. 제어의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IEEE802.3 인터림(interim) 회합 자료의「EPON Power saving via Sleep Mode(3av_0809_mandin_4.pdf)」의 4page, 5page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립 개시 시각과 슬립 시간을 지시하는 신호를, 각 ONU(2)에 대해서 송신하도록 PON 제어부(12)에 지시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슬립 제어부(15)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ONU(2)를 검출한 경우, 이 ONU(2)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이 ONU(2)측으로 슬립 개시 시각과 슬립 시간을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PON 제어부(12)에 대해서 지시를 행한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ONU(2)는, 예컨대, PON 제어부(12)로부터 취득한 정보인 각 ONU(2)의 회선 사용 상태의 정보가, 일정 기간에 걸쳐 업스트림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지 않은(업스트림 회선을 사용하고 있지 않음) 것을 나타내고 있는 ONU(2)로 한다. 또한, 파워 세이브 상태로의 이행을 희망하는 신호를 송신해 온 ONU(2)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조건을 조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슬립 제어부(15)는, 업스트림 회선을 일정 기간에 걸쳐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것을 검출한 경우, 또는 파워 세이브 상태로의 이행을 희망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하는 ONU(2)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킨다.
파워 세이브 상태로의 이행 지시를 수취한 ONU(2)는,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하고, 그 후,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는 통상 동작 상태(비파워 세이브 상태)로 복귀한다. 파워 세이브 상태로의 이행 지시에 있어서 파워 세이브 상태로의 이행 기간이 지정된 경우, ONU(2)는, 적어도 이 이행 기간(후술하는 슬립 제어 주기에 상당)이 종료하면 비파워 세이브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ONU(2)는, 파워 세이브 상태에 있어서도 OLT(1)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고, 또한, OLT(1)로부터 송신된 송신 허가 신호(업스트림 대역을 할당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파워 세이브 상태로 복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복귀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비파워 세이브 상태로 복귀하여 OLT(1)로의 신호 송신을 행한다. 복귀하는지 여부는, 예컨대, 송신 허가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 업스트림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비파워 세이브 상태로 복귀하여 OLT(1)에 송신하는 신호는, 유지하고 있는 업스트림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대역의 할당을 요구하는 신호이다.
또한, 각 ONU(2)가, OLT(1)측에서도 검출 가능한 미리 설정되어 있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자율적으로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하는 시각 및 기간을 OLT(1)에 미리 통지해 두고, ONU(2)는, OLT(1)에 통지해 둔 시각으로 된 시점에서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한다.
대역 제어부(14)는, PON 제어부(12)를 경유하여 각 ONU(2)으로부터의 대역 요구를 수신하고, 이 대역 요구나 PON 제어부(12)로부터 입수 가능한 각 ONU(2)의 회선 사용 상태와,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로부터 출력되는 대역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의 할당을 요구하고 있는 ONU(2)(대역 요구를 송신해 온 각 ONU(2))에 할당하는 대역을 결정한다. 이 때, 파워 세이브 상태에서 이행 중인 각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도 포함시켜, 대역의 할당을 요구하고 있는 각 ONU(2)에 대해서 할당하는 대역의 배분을 산출한다. 최저 보증 대역이란, ONU(2)으로부터의 대역의 할당 요구를 수취한 경우에 할당하는 대역의 최저치이며, 이 대역에 관해서는, 통상 시에는, 대역 할당을 요구하고 있는 다른 ONU(2)에 할당하지 않고 확보해 두는 것이다.
대역 제어부(14)는, ONU(2)에 할당하는 대역의 결정 결과를 나타내는 송신 허가 신호를 더 생성하고, PON 제어부(12)를 경유하여 각 ONU(2)측으로 송신한다.
도 2는, 대역 제어부(14)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역 제어부(14)는, 대역 요구 수신부(141), 송신 허가 송신부(142), 대역 할당 산출부(143) 및 할당 대역 관리부(144)를 구비한다.
대역 요구 수신부(141)는, ONU(2)으로부터 송신된 대역 요구 신호를 PON 제어부(12)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수신 신호로부터 대역 요구 정보를 추출하여 대역 할당 산출부(143)에 출력한다. 대역 요구 정보는, 그 송신원인 ONU(2)가 OLT(1)에 대해서 송신하기 위해서 유지하고 있는 데이터의 정보이며, 예컨대,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송신 허가 송신부(142)는, 대역 할당 산출부(143)로부터 송신 제어 정보를 수취한 경우, 그 정보를 포함한 송신 허가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 허가 신호는 PON 제어부(12)를 경유하여 ONU(2)에 송신된다.
대역 할당 산출부(143)는, 대역 요구 수신부(141)로부터 출력된 대역 요구 정보를 수취하고, 또한,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로부터 출력된 대역 파라미터 정보를 할당 대역 관리부(144)를 경유하여 수취한다. 그리고, 이들 대역 요구 정보 및 대역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 요구 정보의 송신원인 각 ONU(2)에 할당하는 대역을 산출한다. 또한, 산출 결과인 대역 산출 정보를 할당 대역 관리부(144)에 출력함과 아울러,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 허가 송신부(142)에 출력한다. 대역 할당 산출부(143)는, 예컨대, ONU(2)에 할당 가능한 모든 대역을, 대역 요구 정보를 송신해 온 각 ONU(2)의 계약 대역(최대 대역)의 비로 분배한다(계약 대역이 큰 ONU(2)에 보다 많은 대역을 할당함). 단, 대역의 산출 방법을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각 ONU(2)으로부터의 대역의 요구량에 따라 분배비를 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대역 할당 산출부(143)는, 상기의 대역 요구 정보 및 대역 파라미터 정보에 부가하여, 할당 대역 관리부(144)에서 관리되어 있는 정보인 각 ONU(2)로의 대역 할당 결과의 이력 정보를 사용하여 각 ONU(2)에 할당하는 대역을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서비스의 계약 내용이 동일하며, 또한 대역 할당의 요구량이 동일한 ONU(2)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과거의 일정 기간 동안에 보다 많은 대역이 할당된 ONU(2)에 관해서는, 할당하는 대역을 다른 ONU(2)보다도 적게 한다. 그리고, 그 만큼을 다른 ONU(2)(계약 내용 및 대역의 요구량이 동일한 다른 ONU(2))에 할당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계약 내용이 동일한 ONU(2)에 대해서 대역이 공평하게 할당되도록 된다.
할당 대역 관리부(144)는, 대역 할당 산출부(143)에 있어서의 대역 요구 정보의 송신원인 각 ONU(2)에 할당하는 대역의 산출 결과를 취득하고, 이 정보를 각 ONU(2)로의 대역 할당 결과의 이력 정보로서 유지해 둔다.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는, 슬립 제어부(15)로부터 출력되는 슬립 정보, 및 사용자 관리부(17)에서 관리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 제어부(14)가 대역 제어를 실시할 때에 사용하는 대역 파라미터 정보를 생성한다.
도 3은,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는, 슬립 정보 저장부(161), 사용자 대역 저장부(162) 및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를 구비한다.
슬립 정보 저장부(161)는, 슬립 제어부(15)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인 각 ONU(2)의 슬립 정보(파워 세이브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 경우, 그것을 유지해 두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슬립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의 하나인 파워 세이브 중 ONU(2)의 식별 정보를 제외 ONU 정보로서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에 출력한다. 예컨대,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제외 ONU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 대역 저장부(162)는, 사용자 관리부(17)에서 관리되어 있는 각 ONU(2)의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여 유지해 두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계약 대역에 근거하는 사용자 대역 정보로서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에 출력한다.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는, 슬립 정보 저장부(161) 및 사용자 대역 저장부(162)로부터 제외 ONU 정보 및 사용자 대역 정보를 취득하고,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각 ONU(2)의 대역 제어용의 파라미터(대역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대역 파라미터의 결정 동작에 있어서는,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는, 우선, 사용자 대역 정보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각 ONU(2)에 최저한 할당해야 되는 대역(최저 보증 대역)을 파악하여, 각 ONU(2)(시스템 내의 전체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산출한다. 다음에, 제외 ONU 정보에 기초하여, 파워 세이브 중의 ONU(2)를 검출하고, 파워 세이브 중의 각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산출하며, 상기의 전체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로부터 파워 세이브 중의 전체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감산한다. 즉, 비파워 세이브 중의 ONU(2)에 대한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획득된 산출 결과를, 비파워 세이브 중의 각 ONU(2)를 위해 확보해 두는 대역(최저 보증 대역)으로 하여, 이 대역의 정보를 대역 파라미터 정보로서 대역 제어부(14)에 출력한다.
대역 제어부(14)는,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의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에서 결정된 상기 대역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중인 전체 ONU(2)에 대한 대역 할당 계산을 행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반영한 송신 제어 정보를 송신 허가 신호에 포함시켜 각 ONU(2)측으로 송신함으로써, 각 ONU(2)의 업스트림 대역의 할당 제어를 행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OLT(1)가 실행하는 제어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ONU(2)의 슬립 제어 동작과 대역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OLT(1)는, 각 ONU(2)의 회선 사용 상태를 확인한다(스텝 S1). 이 스텝 S1에서는, 슬립 제어부(15)가, PON 제어부(12)로부터 각 ONU(2)의 회선 사용 상태의 정보를 취득하고, 일정 기간에 걸쳐 업스트림 회선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ONU(2)를 검출한다. 즉,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ONU(2)를 검출한다.
OLT(1)는, 다음에, 슬립 제어를 실시한다(스텝 S2). 즉, 상기 스텝 S1에서 검출한 ONU(2)(일정 기간에 걸쳐 업스트림 회선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ONU(2))에 대해서,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하도록 지시를 행한다. 이 스텝 S2에서는, 슬립 제어부(15)가, 예컨대, 슬립 개시 시각과 슬립 시간을 지시하는 신호를, 각 ONU(2)에 대해서 송신하도록 PON 제어부(12)에 지시하고, PON 제어부(12)가 지시 내용에 따른 슬립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이 때,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킨 ONU(2)와 이행 기간에 대한 정보를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에 출력한다. 또한, 슬립 제어부(15)가 스스로 슬립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PON 제어부(12)를 경유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슬립 개시 시각과 슬립 시간(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하고 있는 기간)은,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모든 ONU(2)에서 공통으로 해도 좋고, ONU(2)마다 상이한 설정으로 해도 좋다. 예컨대, 장기간에 걸쳐 업스트림 회선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ONU(2)에 대해서 지정하는 슬립 시간을 업스트림 회선의 미사용 시간에 따른 값으로 하고(장기간에 걸쳐 업스트림 회선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 슬립 시간을 큰 값, 또는 작은 값으로 함), 과거의 데이터 송신량에 따라 슬립 시간을 설정하며(데이터 송신량이 큰 경우, 슬립 시간을 작은 값으로 함), 과거에 송신한 데이터의 종별에 따라 슬립 시간을 설정하는(저지연이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빈도가 높은 ONU(2)의 슬립 시간을 보다 작은 값으로 함)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계약 대역에 따른 길이(최저 보증 대역이 큰 경우, 슬립 시간을 작은 값으로 함)로 해도 좋다.
OLT(1)는, 다음에, 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슬립 중의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최소 대역)의 합계를 산출한다(스텝 S3). 이 스텝 S3에서는,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가, 슬립 제어부(15)로부터 출력된 각 ONU(2)의 슬립 정보(파워 세이브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어느 ONU(2)가 파워 세이브 상태에 있는 것인지를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가 항상 파악할 수 있도록, 파워 세이브 상태로 되어 있는 기간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함)에 기초하여 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를 파악하고, 또한, 사용자 관리부(17)가 유지하고 있는 각 ONU(2)의 사용자 정보(각 ONU(2)에 할당하는 최저 보증 대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함)를 확인하여 각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을 파악하고, 파워 세이브 상태의 각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를 산출한다. 또한, 산출 결과를 대역 제어부(14)에 출력한다. 또한, 비파워 세이브 상태의 각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를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어느 쪽을 산출할지는 대역 제어부(14)가 채용하는 대역 결정 순서에 따라 결정하면 바람직하다.
OLT(1)는, 다음에, 각 ONU(2)으로부터의 대역 요구를 체크한다(스텝 S4). 이 스텝 S4에서는, 대역 제어부(14)가, 전회 대역 요구 체크를 실시한 후에 수신한 각 ONU(2)으로부터의 대역 요구를 확인하여, 대역의 할당을 요구하고 있는 ONU(2), 및 그 요구량을 파악한다.
OLT(1)는, 다음에, 상기 스텝 S3에서 산출한 합계치를 고려한 대역 할당을 실시한다(스텝 S5). 이 스텝 S5에서는, 대역 제어부(14)가, 상기 스텝 S3에서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에 의해 산출된 합계치, 및 스텝 S4에서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각 ONU(2)에 할당하는 업스트림 대역을 결정한다. 이 때, 파워 세이브 상태의 각 ONU(2)의 최저 보증 대역도 포함시켜, 대역 할당을 요구하고 있는 각 ONU(2)에 분배하는 대역을 결정한다. 대역의 결정 방법에 관해서는 특히 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우선 모든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시스템에 할당되어 있는 전체 대역으로부터 감산하고, 획득된 대역을 대역 요구의 송신원인 각 ONU(2)에 분배한다(여기까지는, 종래 실시되고 있던 제어와 마찬가지의 처리로 됨). 또한, 이들 ONU(2)에 대해서, 상기 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추가 분배하여, 각 ONU(2)에 할당하는 최종적인 대역을 결정한다. 결정 결과는, PON 제어부(12)를 경유하여, 대역 할당을 요구해 온 각 ONU(2)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종래에는 업스트림 데이터의 송신을 실시하지 않는 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를 위해 확보해 둔 대역(최저 보증 대역)을 해제하여 비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에 할당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대역의 유효 이용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스텝 S5를 실행하면, OLT(1)는, 대역 갱신 주기가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스텝 S6), 대역 갱신 주기의 종료를 검출할 때까지 확인 동작을 계속한다(스텝 S6:No). 또한, 대역 갱신 주기가 종료한 경우(스텝 S6:Yes), 슬립 제어 주기가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스텝 S7), 슬립 제어 주기가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7:No), 스텝 S4로 천이하여, 상술한 스텝 S4 및 S5의 처리(대역 할당 동작)를 재차 실행한다. 한편, 슬립 제어 주기가 종료하고 있으면(스텝 S7:Yes), 스텝 S1로 천이하여, 상술한 스텝 S1 내지 S4의 처리(슬립 제어 동작)를 재차 실행하고 나서, 스텝 S4 내지 S6의 대역 할당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대역 갱신 주기는, OLT(1)가 대역 할당 동작(상기 스텝 S4 및 S5에 상당)을 실행하는 주기이며, 슬립 제어 주기는, OLT(1)가 슬립 제어 동작(상기 스텝 S1 내지 S4에 상당)을 실행하는 주기이다. 슬립 제어 주기는, 대역 갱신 주기보다도 작지 않게 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OLT(1)는, ONU(2)에 대해서 대역을 할당할 때, 파워 세이브 상태의 각 ONU(2)를 위해 확보하고 있는 대역(최저 보증 대역)을 비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에 할당하기 위해서 해제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의해, 종래와 같은 경우 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에서 계속 확보되고, 사용할 수 없는 대역에 대해서도, 비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에서 사용할 수 있어, 전송 대역의 유효 이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 전부에 대한 최저 보증 대역을 해제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에 대한 최저 보증 대역을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든 ONU(2)(파워 세이브 상태의 것을 포함함)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확보한 후에 대역을 할당하면 대역을 요구하고 있는 ONU(2)에 대해서 그 요구량 미만의 대역만이 할당되는 경우에, 부족분 상당의 대역이 해제되도록, 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의 일부에 대해서, 그 최저 보증 대역을 해제한다. 이 경우에도 전송 대역의 유효 이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대역을 시분할하여 복수의 장치(ONU)에 분배하는 광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제어 방법은, 파워 세이브 중의 장치에 대해서도 대역을 보증하는 대역 제어를 실시하고 있는 통신 시스템이면, 다른 방법으로 대역을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이더라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 형태 2)
이어서,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대역 제어와 슬립 제어의 처리 타이밍에 대해서는 특히 규정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PON 방식의 광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2의 대역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OLT(1)(도 1참조)를 OLT(1a)로 치환한 것이다. 도 5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실시 형태 1의 통신 시스템과 공통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1의 통신 시스템과 공통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OLT(1a)는, 실시 형태 1의 OLT(1)의 대역 제어부(14) 및 슬립 제어부(15)를 대역 제어부(14a) 및 슬립 제어부(15a)로 치환하고, 또한 동기 제어부(18)를 추가한 것이다.
대역 제어부(14a)는, ONU(2)에 대한 대역 할당 동작을 실시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를 동기 제어부(18)에 출력한다. 대역 할당 동작 그 자체에 관해서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OLT(1)의 대역 제어부(14)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ONU(2)에 할당하는 대역을 결정한다.
도 6은, 대역 제어부(14a)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대역 제어부(14)(도 2 참조)와의 차이는, 송신 허가 송신부(142)를 송신 허가 송신부(142a)로 치환하고, ONU(2)로의 대역 할당 동작이 종료하면, 송신 허가 송신부(142a)가 그 취지를 나타내는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를 동기 제어부(18)에 대해서 출력하는 것이다.
슬립 제어부(15a)는, 동기 제어부(18)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슬립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슬립 제어 동작 그 자체에 관해서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OLT(1)의 슬립 제어부(15)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ONU(2)(예컨대, 일정 기간에 걸쳐 업스트림 회선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ONU(2))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킨다.
동기 제어부(18)는, 대역 제어부(14a)로부터 출력되는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를 기초로, 그 정수배의 주기의 신호를 생성하고, 슬립 제어 타이밍 신호로서 슬립 제어부(15a)에 출력한다.
도 7은, 동기 제어부(18)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제어부(18)는, 동기 타이밍 생성부(181) 및 체배 처리부(182)를 구비한다.
동기 타이밍 생성부(181)는,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에 동기한 동기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체배 처리부(182)는, 동기 타이밍 신호 및 사용자 관리부(17)에서 유지되어 있는 슬립 주기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동기 타이밍 신호의 수신 주기의 정수배의 주기로, 슬립 제어의 실시를 지시하는 슬립 제어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슬립 주기 설정 정보란, 대역 할당 동작의 실행 주기(=대역 갱신 주기)의 몇 배의 주기로 슬립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1 이상의 정수로 한다.
이에 의해, 슬립 제어의 실행 주기(슬립 제어 주기)가 대역 갱신 주기에 동기하기 때문에, 대역 이용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2의 제어를 적용한 경우의 대역 할당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를 적용한 경우, 대역 제어(대역 할당 동작)와 슬립 제어가 연동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립 제어 동작과 대역 할당 동작을 동기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시한 최초의(좌측의) 슬립 제어 주기에 있어서는, ONU#3이 슬립 제어되어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하고 있고, 대역 할당은 ONU#1 및 ONU#2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고 있다(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3을 제외하여 대역 할당을 실시하고 있음). 슬립 제어 주기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은, 대역 갱신 주기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OLT(1a)는, 도시한 바와 같이, ONU#3이 슬립하고 있는 기간의 전체에 걸쳐 ONU#1과 ONU#2에 대역 할당을 행할 수 있다. 가령, 슬립 제어 주기와 대역 갱신 주기의 개시/종료 타이밍이 어긋나 있는 경우, ONU#3이 대역 갱신 주기의 도중에서 통상 동작 상태(비파워 세이브 상태)로 복귀하는 것으로 된다. 이 결과, ONU#3은, 비파워 세이브 상태로 복귀하여 곧 데이터의 송신(대역의 할당)을 희망하였다 해도, 다음 대역 갱신 주기로 될 때까지 대역의 할당을 요구할 수 없게 되어, 어긋난 기간에 있어서의 대역 이용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데이터의 전송 지연이 증대한다. 또한, 2번째의(중앙의) 슬립 제어 주기에 있어서는, 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가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슬립 제어 주기 내의 각 대역 갱신 주기에 있어서는, 모든 ONU를 대상으로 하여 대역 할당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3번째의(우측의) 슬립 제어 주기에 있어서는, ONU#1, #2가 파워 세이브 상태이기 때문에, 이 슬립 제어 주기 내의 각 대역 갱신 주기에 있어서는, ONU#3에 대해서만 대역을 할당하고 있다.
도 8에서는, 대역 제어의 3회에 1회의 비율로 슬립 제어를 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설정에 의해 다른 배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OLT(1a)의 제어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ONU(2)의 슬립 제어 동작과 대역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동작은, 실시 형태 1의 제어 동작(도 4 참조)에 포함되어 있던 스텝 S7를 스텝 S8로 치환한 것이다.
OLT(1a)는, 스텝 S4 및 S5의 대역 할당 동작을 실행하고, 스텝 S6에서 대역 갱신 주기가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면, 다음에, 대역 갱신 주기의 종료 회수가 규정치(상술한 슬립 주기 설정 정보가 나타내는 1 이상의 정수 N)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8). 그리고, 규정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8:No), 스텝 S4로 천이하여 대역 할당 동작을 개시한다. 한편, 규정치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에는(스텝 S8:Yes), 스텝 S1로 천이하여 슬립 제어 동작을 개시한다. 이 규정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처리는 동기 제어부(18)에서 행하고, 규정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경우, 동기 제어부(18)는 슬립 제어 타이밍 신호를 슬립 제어부(15a)에 출력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시퀀스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OLT(1a)는, 슬립 제어 주기 #1가 개시되면, 우선, 제어 대상의 ONU 중, ONU#3을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나타내는 슬립 제어 신호를 각 ONU에 송신한다. 또한, 도 10에서는, 파워 세이브 상태로의 이행을 지시하는 신호를 「슬립 제어(OFF)」로 표현하고 있다. 파워 세이브 상태로의 이행 지시를 수취한 ONU#3은, 응답 신호(슬립 제어 응답)를 반송하여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한다. 그 후, 슬립 제어 주기 #1가 종료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는, OLT(1a)는, 대역 갱신 주기가 종료할 때마다, 제어 대상의 ONU#1 및 ONU#2에 대해서, 그들로부터의 대역 요구에 따른 대역 할당을 실시한다. 또한, ONU#3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는 비파워 세이브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OLT(1a)는, 슬립 제어 동작을, 대역 할당 동작의 실행 주기(대역 갱신 주기)의 정수배의 타이밍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의해, 실시 형태 1의 통신 시스템보다도 대역 이용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을 해제하여 비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에 할당한다,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대역 제어(대역 할당 동작)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대역 제어의 실행 타이밍과 슬립 제어의 실행 타이밍이 동기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했지만, 이 제어 방법은, 종래의 대역 제어(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의 최저 보증 대역을 해제하여 다른 ONU(2)에 할당하지 않는 제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종래의 대역 제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슬립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실행 타이밍이 대역 제어의 실행 타이밍과 동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파워 세이브 상태로부터 비파워 세이브 상태로 복귀한 ONU(2)에 대한 대역 할당이 그 시점의 대역 갱신 주기가 종료할 때까지 불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대역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3)
이어서, 실시 형태 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의 대역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OLT(1a)(도 5 참조)를 OLT(1b)로 치환한 것이다. 도 11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 또는 2의 통신 시스템(도 1, 도 5 참조)과 공통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전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과 공통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OLT(1b)는, 실시 형태 2의 OLT(1a)의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를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b)로 치환한 것이다.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b)는, 대역 제어부(14a)로부터 출력되는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를 수취하고, 이 신호 및 슬립 제어부(15a)로부터 출력된 슬립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 파라미터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그때까지 실시한 슬립 제어에 따라 대역의 할당을 제외한 영향이 보정된 대역 제어가 대역 제어부(14a)에서 실시되도록 고려한 대역 파라미터 정보를 생성한다.
도 12는,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b)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b)는,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도 3 참조)의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를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b)로 치환하고, 또한, 적산부(164)를 추가한 것이다.
적산부(164)는, 슬립 제어부(15a)로부터 출력되고, 슬립 정보 저장부(161)에서 유지되어 있는 슬립 정보 내의 제외 ONU 정보(파워 세이브 중 ONU의 식별 정보), 및 대역 제어부(14a)로부터 출력된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각 ONU(2)가, 지금까지의 대역 갱신 주기에서 대역 할당 처리로부터 제외된 회수를 적산하고, 그 결과를 적산 시간 정보로서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b)에 출력한다. 이 적산 시간 정보는, 각 ONU(2)가 과거에 몇 번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b)는, 적산부(164)로부터 취득한 적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 제어부(14a)의 각 ONU(2)에 대한 대역 할당이 장기적으로 공평하게 되는 대역 파라미터 정보를 생성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대역 제어를 적용한 경우의 대역 할당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의 효과를 설명한다. 또한, 도 13에서는, 횡축을 시간, 종축을 할당 대역으로 하고 있다.
통상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마다의 계약 대역에 의해, 최저 보증 대역(최소 대역)과 최대 대역이 설정되고, 다른 사용자와의 관계로부터, 각 ONU에 대한 장기적인 목표 대역이 계산된다. 그리고, OLT(1b)는, 각 ONU에 대역을 할당하는 경우, 각 ONU에 대해서 할당한 대역의 적산 값이 목표 대역에 수렴하도록 대역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하는 ONU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대역 제어에서는, 각 ONU가 접속되어 있는 시간의 적산 값만을 고려하면 좋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고 있는 파워 세이브을 고려한 대역 제어에서는, 파워 세이브 중에 할당을 제외한 시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한 「보정 없음」의 경우와 같이 목표 대역으로부터 어긋나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파워 세이브 상태로 되는 빈도가 높은 ONU와 낮은 ONU의 사이에서 대역 할당에 관한 공평성이 손상되어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상기의 보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도시한 「보정 있음 」의 경우와 같이, 목표 대역에 수렴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마다의 공평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163b)에서, 대역 파라미터 정보를 생성할 때에, 각 ONU(2)가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한 회수의 비교를 행하도록 하고, 이행 회수가 다른 ONU(2)보다도 많은 ONU(2)에 관해서는, 파워 세이브 상태로 된 경우에도 대역 제어의 대상 ONU(2)로부터 제외하지 않도록 한다(해당하는 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를 비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로서 취급하여 대역 파라미터 정보를 생성함). 이 때, 각 ONU(2)의 계약 대역이 상이한 경우에는, 파워 세이브 상태로의 이행 회수를 계약 대역에 기초하여 보정하고, 보정 후의 이행 회수를 비교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OLT(1b)는, 슬립 제어에 따라 과거의 대역 제어로 처리 대상으로부터 제외한 빈도를 고려하면서 ONU(2)로의 대역 할당을 행하는 것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각 ONU(2)에 대한 대역 할당이 장기적으로 공평하게 되도록 고려하여 대역을 할당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의해, 파워 세이브 상태의 ONU(2)를 제외하여 대역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한 시스템에 있어서도 사용자마다의 공평성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이어서,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슬립 제어 주기 내에서의 처리 부하를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 형태 4의 대역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실시 형태 3에서 설명한 OLT(1b)(도 11 참조)를 OLT(1c)로 치환한 것이다. 도 14에 있어서는, 이전의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도 1, 도 5, 도 11 참조)과 공통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전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과 공통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OLT(1c)는, 실시 형태 3의 OLT(1b)의 대역 제어부(14a)를 대역 제어부(14c)로 치환한 것이다.
대역 제어부(14c)는, PON 제어부(12)를 경유하여 수취한 각 ONU(2)으로부터의 대역 요구 신호,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16b)로부터 출력된 대역 파라미터 정보, 및 동기 제어부(18)로부터 출력된 슬립 제어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대역 제어를 행한다.
도 15는, 대역 제어부(14c)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대역 제어부(14c)는, 실시 형태 2에서 나타낸 대역 제어부(14a)(도 6 참조)의 송신 허가 송신부(142a) 및 대역 할당 산출부(143)를, 송신 허가 송신부(142c) 및 대역 할당 산출부(143c)로 치환한 것이다.
대역 할당 산출부(143c)는, 대역 요구 신호(PON 시스템에 있어서의 REPORT 신호에 상당)를 송신하기 위한 대역을 각 ONU(2)에 할당할 때, 각 ONU(2)으로부터 송신된 대역 요구 신호의 도달 타이밍이 슬립 제어의 실행 타이밍을 기준으로 한 일정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대역을 할당하고, 할당 결과를 나타내는 송신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 허가 송신부(142c)에 출력한다.
송신 허가 송신부(142c)는, 대역 요구 신호의 송신용 대역의 할당 결과를 나타내는 송신 제어 정보를 대역 할당 산출부(143c)로부터 수취한 경우, 그것을 포함한 송신 허가 신호를 생성하고, 슬립 제어 타이밍 신호로부터 도출되는 슬립 제어 주기에 동기시킨 타이밍으로 각 ONU(2)에 송신한다. 예컨대, 파워 세이브 중의 각 ONU(2)에 대한 송신 허가 신호를, 도 16에 나타낸 슬립 제어 주기가 종료하기 직전의 대역 갱신 주기에 집약하여 송신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OLT(1c)에서는, 대역 제어부(14c)의 대역 할당 산출부(143c)가, 파워 세이브 중의 각 ONU(2)를 대상으로 한 대역 요구 신호의 송신용 대역의 할당 계산을 슬립 제어 주기의 최후에 행하고, 다른 처리를 슬립 제어 주기의 전반에 행하는 등과 같이 행한다. 도 16에서는, 파워 세이브 상태의 각 ONU(2)에 대해서 송신 허가 신호 송신용의 대역을 할당하는 처리를, 각 슬립 제어 주기 내의 최후의 대역 갱신 주기에 집약하고 그 결과, 이들 대역 갱신 주기에서는 대역 계산 처리에 90%의 파워를 사용하고, 다른 대역 갱신 주기에서는 대역 계산 처리에 60%의 파워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대역 할당 산출부(143c)는, 다수의 ONU(2)에 대한 대역 할당 계산을 1ms 정도의 단시간에서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속 동작 가능한 전용 H/W 엔진이나 고성능의 CPU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처리가 단시간에 집중하면, 보다 고속·고성능의 회로가 필요하게 되어, 소비 전력의 증대나 장치 비용의 증대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OLT(1c)는, 파워 세이브 중의 ONU(2)에 대해서 대역 요구 신호의 송신용 대역을 할당하는 제어를, 파워 세이브 중의 ONU(2)가 기동할(비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함) 가능성이 있는 타이밍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의해, 파워 세이브 중의 ONU(2)에 대한 대역 할당 처리(대역 요구 신호의 송신용 대역을 할당하는 처리)가 슬립 제어 주기의 최후에 집중하기 때문에, 그 밖의 처리를 그 이외의 시간대에서 행하도록 하여 처리 부하를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소비 전력이나 비용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어를 적용한 경우의 대역 할당 결과의 일례를 도시한 도 16에서는, 파워 세이브 중의 ONU(2)에 대한 상기 대역 제어 동작을 슬립 제어 주기의 최후에 집약시킨 경우의 예를 도시했지만,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등의 별도의 배치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파워 세이브 중의 ONU(2)의 대수에 따라서 배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 내지 4에 따른 대역 제어 방법에 의하면, 파워 세이브 중의 ONU(2)를 위한 최저 보증 대역을 비파워 세이브 중의 ONU(2)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PON 등의 복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ONU)를 접속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 대역의 사용 효율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그 때에 파워 세이브 상태로 된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와, 파워 세이브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 사이에서, 대역 할당의 공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에 있어서의 대역 할당 처리에 요하는 회로 비용이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역 제어 방법은, 예컨대, 국측의 통신 장치와 이것에 접속된 복수의 가입자측의 통신 장치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국측의 통신 장치가 가입자측의 통신 장치에 대해서 신호 송신용의 대역을 할당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특히, 가입자측의 통신 장치 중에, 송신 동작을 정지하여 파워 세이브 상태로 되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의 대역 제어 방법에 적합하다.
1, 1a, 1b, 1c : OLT
2 : ONU
11 : 회선 IF
12 : PON 제어부
13 : 망 IF
14, 14a, 14c : 대역 제어부
15, 15a : 슬립 제어부
16, 16b : 대역 파라미터 처리부
17 : 사용자 관리부
18 : 동기 제어부
141 : 대역 요구 수신부
142, 142a, 142c : 송신 허가 송신부
143, 143c : 대역 할당 산출부
144 : 할당 대역 관리부
161 : 슬립 정보 저장부
162 : 사용자 대역 저장부
163b : 대역 파라미터 결정부
164 : 적산부
181 : 동기 타이밍 생성부
182 : 체배 처리부

Claims (21)

  1.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가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서 신호 송신용의 대역을 할당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 중의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슬립 제어 스텝과,
    상기 슬립 제어 스텝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 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선택하는 제어 대상 선택 스텝과,
    상기 제어 대상 선택 스텝에서 선택한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 대역을 할당하고, 이 대역 할당 동작이 종료되면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대역 할당 스텝과,
    상기 대역 할당 스텝에서 출력된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에 근거하여 종료 횟수가 규정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슬립 제어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 제어 스텝
    을 포함하되,
    상기 대역 할당 스텝을 일정 주기로 실행하고, 상기 동기 제어 스텝에서 출력된 슬립 제어 타이밍 신호에 의한 지시에 따라, 상기 슬립 제어 스텝을 상기 일정 주기의 정수배의 주기로, 상기 대역 할당 스텝과 동기시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제어 방법.
  2.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가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서 신호 송신용의 대역을 할당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 중의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슬립 제어 스텝과,
    상기 슬립 제어 스텝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 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선택하는 제어 대상 선택 스텝과,
    상기 제어 대상 선택 스텝에서 선택한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 대역을 할당하는 대역 할당 스텝
    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대상 선택 스텝에서는,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가 과거에 파워 세이브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던 시간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마다의 적산 값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선택 스텝에서는,
    파워 세이브 상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의 일부 또는 모든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제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제어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할당 스텝에서는,
    상기 제어 대상 선택 스텝에서 선택된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전체 대역으로부터 감산하고, 나머지의 대역을, 대역 할당을 요구하고 있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제어 방법.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파워 세이브 상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서, 상기 슬립 제어 스텝의 실행 타이밍에 기초한 타이밍으로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제어 방법.
  7.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에 의해 할당된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는,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 일정 주기로 대역의 할당을 실행하고, 이 대역의 할당 동작이 종료하면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고, 이 출력된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에 근거하여 종료 횟수가 규정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슬립 제어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고, 이 출력된 슬립 제어 타이밍 신호에 의한 지시에 따라,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슬립 제어를 상기 일정 주기의 정수배의 주기로,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한 대역의 할당과 동기시켜 실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 각각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 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전체 대역으로부터 감산하고, 나머지의 대역을, 대역 할당을 요구하고 있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파워 세이브 상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가 과거에 파워 세이브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던 시간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마다의 적산 값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워 세이브 상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슬립 제어의 실행 타이밍에 기초한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자신에게 접속된 복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가 자신을 향해서 신호를 송신할 때의 대역을 할당하는 마스터 스테이션 장치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로서,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 각각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한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제어 대상으로 하여,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저 보증 대역 중, 그 시점에서 대역 할당을 요구하고 있지 않는 제어 대상 장치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전체 대역으로부터 감산하고, 나머지의 대역을, 대역 할당을 요구하고 있는 제어 대상 장치에 분배하는 대역 할당 수단
    을 구비하되,
    상기 대역 할당 수단은,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가 과거에 파워 세이브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던 시간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마다의 적산 값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할당 수단은,
    파워 세이브 상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4. 삭제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할당 수단이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해 대역을 할당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주기의 정수배의 주기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슬립 제어를 실행하는 슬립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파워 세이브 상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슬립 제어 수단이 슬립 제어를 실행하는 타이밍에 기초한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7. 자신에게 접속된 복수의 통신 장치인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가 자신을 향해서 신호를 송신할 때의 대역을 할당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 대역을 할당하는 대역 제어를 일정 주기로 실행하고, 이 대역을 할당하는 동작이 종료되면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대역 할당 수단과,
    상기 대역 할당 수단에서 출력된 대역 제어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종료 횟수가 규정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슬립 제어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 제어 수단과,
    상기 동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된 슬립 제어 타이밍에 의한 지시에 따라,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이행시키는 슬립 제어를 상기 일정 주기의 정수배의 주기로, 상기 대역 할당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대역 제어와 동기시켜 실행하는 슬립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할당 수단은,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 각각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 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선택하고,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저 보증 대역 중, 그 시점에서 대역 할당을 요구하고 있지 않는 제어 대상 장치의 최저 보증 대역의 합계치를 전체 대역으로부터 감산하고, 나머지의 대역을, 대역 할당을 요구하고 있는 제어 대상 장치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할당 수단은,
    파워 세이브 상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할당 수단은,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가 과거에 파워 세이브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던 시간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마다의 적산 값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워 세이브 상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장치에 대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슬립 제어 수단이 슬립 제어를 실행하는 타이밍에 기초한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20127022057A 2010-01-28 2010-01-28 대역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KR101419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1152 WO2011092822A1 (ja) 2010-01-28 2010-01-28 帯域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919A KR20120119919A (ko) 2012-10-31
KR101419628B1 true KR101419628B1 (ko) 2014-07-15

Family

ID=4431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057A KR101419628B1 (ko) 2010-01-28 2010-01-28 대역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79912B2 (ko)
JP (1) JP5249432B2 (ko)
KR (1) KR101419628B1 (ko)
CN (1) CN102549975B (ko)
TW (1) TWI449377B (ko)
WO (1) WO20110928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3394B2 (ja) * 2009-06-16 2013-08-14 富士通オプティカル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光通信装置及び光通信装置の節電制御方法
EP2456131B1 (en) * 2009-07-14 2018-08-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tical line terminal device and pon system
CN102404047B (zh) * 2010-09-17 2015-09-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Onu与olt间实现节能机制管理的方法及系统
JP5589810B2 (ja) * 2010-12-06 2014-09-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時計
JP5651548B2 (ja) * 2011-06-30 2015-0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局側装置、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343650B1 (ko) 2011-09-21 2014-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저전력모드 지원을 위한 동적대역할당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85362B1 (ko) * 2012-01-17 2016-01-13 니폰 덴신 덴와 가부시끼가이샤 파장 대역 할당 방법
CN104040961B (zh) * 2012-01-17 2017-02-22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波长带宽分配方法
JP5841250B2 (ja) * 2012-06-04 2016-01-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OpticalLineTerminalおよびフレーム転送方法
KR101420227B1 (ko) * 2012-11-21 2014-07-17 한국전기연구원 이종 시스템들의 상호공존을 위한 효율적인 리소스 할당 방식의 고속 전력선 통신 방법
US9762401B2 (en) * 2013-01-25 2017-09-12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5994689B2 (ja) * 2013-03-14 2016-09-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装置
WO2014209407A1 (en) * 2013-06-29 2014-12-31 Intel Corporation Service rate redistribution for credit-based arbitration
CN107302412B (zh) * 2016-04-14 2019-12-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源光网络架构及其实现数据传输的方法和光网络设备
JP2020120321A (ja) * 2019-01-25 2020-08-06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省電力設定方法及び省電力設定プログラム
CN113573388A (zh) * 2020-04-29 2021-10-29 宸芯科技有限公司 星形网络调度睡眠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438827B2 (en) 2020-12-17 2022-09-06 Realtek Singapore Private Limited Band steering system
US20230040541A1 (en) * 2021-08-05 2023-02-09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Power Saving For Multi-Wavelength Passive Optical Network (P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4019B1 (en) * 1998-12-28 2003-06-03 Nec Corpor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station unit and remote units to be used therein
US20090263127A1 (en) * 2008-04-17 2009-10-22 Pmc Sierra Ltd.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while maintaining service continuit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22004B1 (en) * 2001-09-10 2014-10-0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circuit,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method,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3768421B2 (ja) 2001-09-10 2006-04-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動的帯域割当回路、動的帯域割当方法、動的帯域割当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506209B1 (ko) * 2003-06-16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 다중 서비스를 고려한 동적대역폭 할당방법
KR100526551B1 (ko) * 2003-07-23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더넷 기반 수동형 광 가입자망의 하향 트래픽 제어 방법및 그 장치
US8509051B2 (en) 2003-09-02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and transmission of multiple data streams in a wireless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JP3772180B2 (ja) 2004-08-16 2006-05-10 株式会社東芝 Atm通信システム及びatm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帯域割り当て方法
WO2006106499A2 (en) * 2005-04-04 2006-10-12 Passave Ltd.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based on partial cycles
CN100488207C (zh) * 2005-09-23 2009-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源光网络用户终端的运行方法
US8289837B2 (en) 2007-05-04 2012-10-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ultimode Bluetooth and WLAN operation concurrently
CN101494594B (zh) * 2008-01-22 2011-05-04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传输控制方法、同轴线路终端及光网络单元
JP5040732B2 (ja) 2008-03-03 2012-10-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動的帯域割当方法及び動的帯域割当装置
JP5094664B2 (ja) * 2008-09-26 2012-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受動光網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用方法
US8498534B2 (en) * 2008-11-05 2013-07-30 Broadcom Corporation Epon with power-saving features
US20100208747A1 (en) * 2009-02-18 2010-08-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utput demultiplexing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in passive optical networks
JP5267193B2 (ja) * 2009-02-19 2013-08-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Pon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る宅側装置及びその送信制御方法
JP5669613B2 (ja) * 2011-02-18 2015-02-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動的帯域割当方法、光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局側装置
JP5790097B2 (ja) * 2011-04-04 2015-10-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加入者側端末装置及び加入者側端末装置の消費電力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4019B1 (en) * 1998-12-28 2003-06-03 Nec Corpor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station unit and remote units to be used therein
US20090263127A1 (en) * 2008-04-17 2009-10-22 Pmc Sierra Ltd.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while maintaining service continu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49377B (zh) 2014-08-11
US8879912B2 (en) 2014-11-04
WO2011092822A1 (ja) 2011-08-04
JPWO2011092822A1 (ja) 2013-05-30
TW201145909A (en) 2011-12-16
CN102549975A (zh) 2012-07-04
CN102549975B (zh) 2015-05-20
JP5249432B2 (ja) 2013-07-31
KR20120119919A (ko) 2012-10-31
US20120301145A1 (en)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628B1 (ko) 대역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JP4416053B1 (ja) Ponシステム、ponシステムにおける局側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TWI424758B (zh) 通訊裝置、用戶側通訊裝置、點對多點通訊系統及頻帶控制方法
JP6590017B2 (ja) 局側装置及び局側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6804695B1 (ja) 光通信装置およびリソース管理方法
JP5723632B2 (ja) 動的帯域割当方法及び受動光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JP5728274B2 (ja) 動的通信帯域割当方法、動的通信帯域割当プログラム、ponシステム及び局側終端装置
JP2015186222A (ja) 動的波長割当制御方法及び局側装置
US8824892B2 (en) Optical line terminal for optoelectrically converting a signal and a method therefor
JP5487055B2 (ja) Onu、光通信システム及びonuの休止方法
JP5720515B2 (ja) 局内光回線終端装置及び局内光回線終端装置の帯域付与方法
JP2011135501A (ja) 通信システム、親局装置および子局装置
JP7072358B2 (ja) 光通信装置、光通信方法、光通信プログラム、及び光通信システム
JP7034386B2 (ja) 局側装置、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帯域割当方法
JP6159265B2 (ja) 帯域割当方法、局側装置及び光通信システム
JP6315693B2 (ja) 帯域割当方法、帯域割当システム、加入者側終端装置及び局側終端装置
JP6547520B2 (ja) 光通信装置、光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光通信プログラム
JP6324915B2 (ja) 帯域割当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12129959A (ja) 局側通信装置
JP2013175836A (ja) 光端局装置、光通信システム、並びに、動的帯域割当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062283A (ja) 光通信システム、波長リソース管理方法及び収容局側装置
Gliwan et al. A G. 984 GPON exhibiting multi-wavelength protocol functionalities
CN105592078A (zh) 授权发现方法及装置
JP2013106204A (ja) 局側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