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252B1 - 폴리에틸렌이민계 안료 분산제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이민계 안료 분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252B1
KR101416252B1 KR1020087026560A KR20087026560A KR101416252B1 KR 101416252 B1 KR101416252 B1 KR 101416252B1 KR 1020087026560 A KR1020087026560 A KR 1020087026560A KR 20087026560 A KR20087026560 A KR 20087026560A KR 101416252 B1 KR101416252 B1 KR 101416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i
acid
residue
polyethyleneimine
b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8584A (ko
Inventor
옌페이 류
프랑크 올리버 하인리히 피렁
하이양 위
후이광 커우
Original Assignee
시바 홀딩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7780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1625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홀딩 인크 filed Critical 시바 홀딩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10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06Polyalkylene(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6Polyester-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71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ehydrating agents; Dispersing agents; Dustfree compositions
    • C09B67/0084Dispersions of dyes
    • C09B67/0085Non common dispersing agents
    • C09B67/009Non common dispersing agents polymeric dispers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16Amines or poly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프팅 프롬" 접근법을 특징으로 하며, 용매계 분산제 시스템의 제조를 허용하는, 폴리에틸렌이민(PEI)계 안료 분산제의 신규한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이민(PEI)계 안료 분산제는 화학식 I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X-(T)m-P-(T)n-H
위의 화학식 I에서,
P는 폴리에틸렌이민(PEI) 주쇄이고;
T는 잔기 -CO-A-O-(여기서, A는 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2-C12알킬렌이다)이며, 단, PT 사이의 각각의 결합은 아미드 결합이며 XT 사이의 각각의 결합은 에스테르 결합이고;
X는 변형제 또는 정지제 잔기 R-CO-(여기서, R-CO-는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측쇄, 포화 또는 불포화 알칸카복실산 잔기, 또는 불포화 지방산 잔기 또는 하이드록시카복실릭 잔기, 또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중축합으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에스테르 잔기, 또는 산 말단화된 폴리에테르의 잔기이다)이고;
nm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수이다.
그래프팅 프롬, 폴리에틸렌이민

Description

폴리에틸렌이민계 안료 분산제 {Polyethylene imine based pigment dispersants}
본 발명은, "그래프팅 프롬(grafting from)" 접근법을 특징으로 하며, 용매계 분산제 시스템의 제조를 허용하는, 폴리에틸렌이민(PEI)계 안료 분산제의 신규한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제0 208 041 B1호에는 소위 "그래프팅 투(grafting to)" 방법에 따라 제조된, 2종 이상의 모노 또는 폴리(카보닐-C1-7-알킬렌옥시) 그룹을 갖는 폴리(C2-4-알킬렌이민)을 포함하는 분산제가 기재되어 있다. 주쇄는 각종 분자량(1000 내지 100,000g/mol)의 폴리에틸렌이민이고, 그래프팅 쇄는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락톤이며, 이는 락톤(예를 들면, 카프로락톤)의 카복실산-개시된 개환 중합에 의해 수득된다. 이어서, 당해 폴리에스테르 쇄는 산과 아민 그룹 사이의 4급화(염 결합 형성) 및 아미드화(아미드 결합 형성) 반응 둘 다를 통해 폴리에틸렌이민과 반응한다. 당해 염 결합은 용이하게 분할되어 자유 NH2 그룹이 수득되며, 이는 최종 수지의 황변으로 귀결된다.
락톤의 PEI-개시된 개환 중합이 유럽 특허 제0 208 041 B1호에 간단하게 언급되어 있지만, 유럽 특허 제0 208 041 B1호는 이에 따라 개방된 락톤의 임의의 추 가의 반응 단계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중요한 경쟁 등급(competitive grade)은, 비방향족 용매 중에서 낮은 용해도를 갖고 방향족 용매 중에서는 제한된 용해도만을 갖는 황색 결정질 고체이다.
일본 특허 제07 025993호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 쇄를 갖는 폴리(저급 알킬렌 이민)과의 락톤의 개환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저급 알킬렌 이민) 변형된 락톤 그래프트 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당해 방법으로 수득된 중합체는, 아미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펜딩(pending) 에스테르 그룹 X1 및 X2를 갖는 폴리(저급 알킬렌 이민)의 주쇄를 갖는다. 일본 특허 제07 025993호에는 추가의 에스테르교환 단계가 없는 카프로락톤 및 PEI의 그래프팅 공중합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07 025993호와 비교하여, "그래프팅 프롬" 공중합 및 에스테르교환은 현재 순차적으로(2단계 방법) 또는 동일반응계에서(단일용기(one-pot) 방법) 발생한다. 수득된 생성물의 구조 및 특성은, 일본 특허 제07 025993호에서 수득된 생성물과 상이하다.
미국 특허 제6787600호(Lubrizol)에는 PAI/PEI를 이의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또는 락톤과 단계별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거나 PAI/PEI를 수행된 폴리에스테르 쇄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분산제가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787600호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분산제는 "2단계" 방법 또는 "단일용기" 방법에 의해 PAI를 카복실산 화합물 및 락톤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측면은, 향상된 저장 안정성 및 중간 극성 또는 비극성 시스템에서의 향상된 혼화성을 갖는 분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로, 당해 분 산제는 백색 안료 제형 중에서 덜 황변되어야 하며 안료 농축물의 점도가 더 낮아야 한다.
더욱 우수한 분산제는 소위 "그래프팅 프롬"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현재 밝혀져 있다. "그래프팅 프롬(grafting from)"은, 락톤의 개환 중합을 개시하기 위해 PEI가 거대개시제(macroinitiator)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해 생성물은, 추가로 변형될 수 있는 하이드록시-관능화된 그래프팅 공중합체이다. 당해 변형된 공중합체는, 아미드 결합을 통해 PEI에 결합된 2종 이상의 타입의 측쇄를 갖는다. 하나의 측쇄는 OH-말단화되고, 더욱 극성이고 친수성이며, 락톤으로부터 유도된다. 당해 쇄는
Figure 112012019738331-pct00001
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나머지 측쇄 또한 변형된 것이다. 당해 측쇄는 무극성 또는 중간 극성이고 소수성이며,
Figure 112008075291512-pct00002
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제조 방법에 따라,
Figure 112008075291512-pct00003
으로서 나타내는 제3 쇄가 제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폴리에틸렌이민(PEI)계 안료 분산제에 관한 것이다.
X-(T)m-P-(T)n-H
위의 화학식 I에서,
P는 폴리에틸렌이민(PEI) 주쇄이고;
T는 잔기 -CO-A-O-(여기서, A는 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2-C12알킬렌이다)이며, 단, PT 사이의 각각의 결합은 아미드 결합이며 XT 사이의 각각의 결합은 에스테르 결합이고;
X는 변형제(modifier) 또는 정지제(terminator) 잔기 R-CO-(여기서, R-CO-는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측쇄, 포화 또는 불포화 알칸카복실산 잔기, 또는 불포화 지방산 잔기 또는 하이드록시카복실릭 잔기, 또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중축합으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에스테르 잔기, 또는 산 말단화된 폴리에테르의 잔기이다)이고;
nm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수이다.
정의:
아미드 결합은 1급 N-원자(a); 2급 N-원자(b) 또는 염 결합을 가질 수 있다.
(a):
Figure 112008075291512-pct00004
(b):
Figure 112008075291512-pct00005
폴리에틸렌이민(PEI)은 평균 분자량 200 내지 100,000g/mol의 범위의 측쇄 또는 직쇄일 수 있다.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g/mol의 범위인 PEI가 바람직하다. 무수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룹 (T)n 또는 (T)m은 폴리(카복시알킬렌 옥시) 쇄(-CO-A-O-)n, m이며, 이는 락톤의 개환 중합에 의해, 예를 들면, 엡실론-카프로-락톤, 감마-카프로락톤, 프로피오락톤, 베타-부티로락톤, 감마-부티로락톤, 감마-발레로락톤, 델타-발레로락톤, 감마-데카노락톤, 델타-데카노락톤 등, 또는 알킬 치환된 락톤으로부터 수득된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바람직한 락톤은 엡실론-카프로락톤 또는 델타-발레로락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A는 바람직하게는 C4-C5알킬렌이다.
변형제 또는 정지제 잔기 X는, 에스테르화(축합 반응, 물이 방출됨) 또는 에스테르교환(축합, 알코올 분자가 방출됨) 반응에 의한 그래프트된 쇄(T)의 말단 OH-관능기와 반응하는 카복실산 및/또는 카복실산 에스테르 유도체로부터 유도된다.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측쇄, 포화 또는 불포화 알칸카복실산의 예로는 아세트산, 카프로산=헥산산(CH3-(CH2)4COOH), 헵탄산, 옥탄산, 메틸옥탄산, 노난산, 3,3,5-이소노난산, 데칸산, 운데칸산, 운데켄산, 라우르산=도데칸산(CH3-(CH2)10COOH),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등이 있다.
불포화 지방산의 예로는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트올레산, 미리스트올레산, 아라키돈산 또는 톨유(tall oil) 지방산 등이 있다.
산 에스트레의 예로는 메틸올레에이트, 부틸올레에이트, 옥틸올레에이트, 메틸스테아레이트, 및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포화 및 불포화 직쇄 또는 측쇄 카복 실산의 유사한 C1-C8알킬 에스테르가 있다.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은, 하나 이상의 카복실산 그룹 및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을 가지며 당해 단량체의 중합을 방해하지 않는 다른 치환체도 포함할 수 있는 단량체를 의미한다.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적합한 치환체의 예로는, 예를 들면,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및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콕시, 할로 등이 포함된다.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은 폴리에스테르 제조 분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자가-중축합 중합 반응을 통해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예로는, 예를 들면,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CH3-(CH2)5-CHOH-(CH2)10-COOH, 리놀레산= [(R)-12-하이드록시-(Z)-9-옥타데켄산], 하이드록시카프로산 및 하이드록시아세트산이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의 쇄 길이는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이다.
산가(acid number)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mg KOH/g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PHSA)이 바람직하다.
"산-말단화된 폴리에테르"는, 예를 들면, 분자량이 200 내지 5000g/mol,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g/mol인 석신산 무수물-변형된 (메톡시)폴리알킬 글리콜을 의미한다.
방법:
화학식 I의 PEI계 안료 분산제는 "그래프팅 프롬" 접근법을 기본으로 하여, 2단계 방법 또는 단일용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당해 방법은
(a) PEI를 거대개시제로서 사용하여, PEI의 1급 아민 및 2급 아민에 의한 락톤의 개환 중합을 개시시켜, P-(T) n -H를 수득하는 단계 및
(b) 그래프트된 공중합체를 변형제 또는 정지제 X로 트랜스에스테르화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2단계 방법에서, 단계(a) 다음에 단계(b)가 수행된다.
단일용기 방법에서 반응 시스템은 더욱 복잡하다. "그래프팅 프롬" 공중합 및 트랜스에스테르화가 단일 용기에서 작업된다. 생성물이 1개 단계에서 수득된다.
수득된 생성물은 2종 이상의 그래프트된 측쇄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P-(T)n-H의 최종 그룹 -CO-A-OH의 50% 이상은 트랜스에스테르화된다. 당해 화합물은 아미드 결합에 의해 PEI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측쇄를 포함하며, 당해 측쇄는 에스테르교환 방법에 의해 수득된 쇄 중에 에스테르 결합을 추가로 포함한다.
그래프트된 측쇄의 쇄 길이는, 사용된 락톤 대 PEI의 반응성 아민 그룹의 상대적인 몰 비에 의해 결정된다. PEI 대 락톤 단량체의 중량비는 1:1 내지 1:50 범위이므로, 폴리락톤의 디자인된 MW는 대략 100 내지 10,000g/mol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PEI 대 락톤 단량체의 중량 비는 1:1 내지 1:20의 범위이므로, 폴리락톤의 고안된 쇄 길이는 대략 500 내지 5000g/mol 범위이다.
반응 온도는 "그래프팅 프롬" 공중합에 대해 N2 대기하에 60 내지 200℃ 범위이고, 트랜스에스테르화 과정에서는 N2 대기하에 100 내지 200℃의 범위이다.
트랜스에스테르화 촉매는 당해 분야에 적합한 임의의 촉매일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주석(II) 염, 예를 들면, 주석(II) 옥토에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 디클로라이드; 또는 주석(IV) 화합물 SnCl4; 또는 티탄 착물, 예를 들면,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또는 알루미늄 착물, 예를 들면,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토)알루미늄, (폴피네이토)알루미늄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응 온도는 N2 대기하에 150 내지 180℃의 범위이다.
화학식 I의 안료 분산제는 바람직하게는 산가가 0 내지 50mg KOH/g,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mg KOH/g이다.
총 활성 아민 그룹을 그래프트된 중합체 쇄(T)로 나눈 것으로서 정의되는 그래프팅 비는, PEI 분자 중의 1급 및 2급 아미노 그룹의 함량에 따라 결정된다.
그래프트된 중합체를 중합체의 총량으로 나눈 것으로서 정의되는 그래프팅 효율은 100%에 이른다.
그래프팅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30%를 초과한다.
바람직한 생성물은 산가가 일반적으로 20mg KOH/g 미만, 바람직하게는 5mg KOH/g 미만으로 낮으며, 이는 PAI 및 폴리에스테르 쇄의 결합이 주로 아미드 결합 을 통한 것임을 보여준다.
이점:
그래프트된 폴리에스테르 쇄가 친수성(HO-말단화된) 중합체 쇄 및 소수성(알킬-말단화된) 중합체 쇄의 혼합물이기 때문에, 화학식 I의 안료 분산제는 양친매성이다. 트랜스에스테르화와 함께,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극성 및 이에 따르는 혼화성은, 각종 카복실산 또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을 사용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당해 방법은, 공정 종결 시점에서 적절한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유도체 혼합물을 선택함으로써, 동일한 OH-관능화 예비중합체를 상황 또는 조건에 맞추는 현저한 유연성을 갖는다.
당해 분야의 설명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민-개시된 개환 중합 키네틱은 산-개시된 중합보다 훨씬 더 빠르다. 단일용기 공정에서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물질은 중합을 가속화시키기 위한 공-촉매로서도 작용할 수 있다. 양호한 성능을 갖는 생성물은 촉매의 더욱 적은 양으로 더욱 짧은 반응 시간 동안 수득될 수 있으며, 이는 단일용기 "그래프팅 프롬" 접근법의 제조 비용이 더욱 낮음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은 광범위한 렛-다운(let-down) 수지 시스템, 예를 들면, 알코올 알키드, CAB 등에서 양호한 혼화성을 나타낸다. 안료 농축물의 점도는 낮으며, 이는 더 많은 안료 부하량의 가능성을 나타내고; 상이한 안료 제제들의 드로우-다운(draw-down) 및 푸어-아웃(pour-out)은 높은 광택, 더 낮은 응집(flocculation) 및 씨딩(seeding)의 부재를 나타낸다.
그래프팅 프롬 접근법에서의 반응성 자유 아민의 완전한 소비로 인하여, 스토빙(stoving) 알코올 알키드 렛-다운에서의 백색 제형의 상당히 적은 황변이 명백하게 관찰될 수 있다. FW 200와 같은 카본 블랙 안료에 대해, 당해 분산제는 선행 기술에 비해 매우 양호한 분산성을 나타낸다.
모든 반응성 아민 그룹의 제거 및 그래프트된 폴리에스테르 쇄의 양친매성은 다수의 수득된 효과들의 기원이며, 그래프트된 쇄의 다소 더욱 불규칙한 배열로 인해 용해도가 더욱 양호하고 결정화 거동이 더욱 적은 반면, 선행 기술과 유사한 단량체를 사용하면, 상기 특징들이 나타나지 않는다.
당해 생성물의 저장 안정성은 향상되며, 이는 대부분의 페인트 시스템과 혼화성인 것으로 나타나며, 안료 농축물의 더욱 낮은 점도, 높은 광택 및 백색 제형의 더욱 낮은 황변을 나타낸다.
용도:
당해 분산제는 안료 분산제를 안정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그래프팅 프롬'된 잔기는 폴리에스테르 측쇄이며, 이는 수지 상(phase)과 상호작용하며 안료 분산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입체 환경(steric environmemt)을 증강시키는데 필수적이다. 중합체의 폴리에틸렌이민 부분은 안료 표면(앵커링 그룹(anchoring group))에 대해 친화성이며, 따라서 고체 안료 입자에 대한 분산제의 강한 물리적 결합을 제공한다.
당해 분산제는, 코팅, 플라스틱, 접착제, 잉크 및 토너, 특히 잉크젯 잉크, 컬러 필터 제형과 같은 전자 재료, 캐스팅 수지와 같은 구조(construction) 재료, 네일 코팅(nail coating)과 같은 화장품 및 개인 위생 용품용 제형의 분야를 위한, 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액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당해 분산제는 전기 또는 열 전도도 증대를 위한 입자와 같은 기능성 입자, 예를 들면, 금속 입자, 흑연, 유기 및 무기 나노입자, 탄소 나노튜브 또는 자성 입자의 분산을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 분야용 하전된 전기영동 입자의 분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당해 분산제는 알루미늄 플레이크 안료, 운모와 같은 효과 안료(effect pigment)를 분산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분산제는 안료의 표면 변형, 예를 들면, 건조 안료 분말의 용이한 재분산성의 향상에 사용할 수 있다.
2단계 방법에 관한 실시예
1단계. "그래프팅 프롬" 접근법에 의한 HO-관능화된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1 (CL:PEHA = 16:1, w/w)
펜타에틸렌 헥사민 5.0g(PEHA, 알드리히(Aldrich), MW 232), ε-카프로락톤 78.8g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04g을 질소하에 교반하고 125℃로 6.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에, 생성물을 고체 함량이 98%를 초과하는 투명한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아민 수는 32mg KOH/g이다.
실시예 2 내지 5 (CL:Epomin SP-018 = 7.75:1, w/w)
실시예 2 내지 5를 다음의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Epomin SP-018 32.25g(1부, 상표명, 니혼 쇼쿠바이(Nippon Shokubai) 제조, MW 1800), ε-카프로락톤 250.0g(7.75부)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5.0×10-4w/w)를 질소하에 교반하고, 고체 함량이 98%에 도달할 때까지 80 내지 200℃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표 1에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8075291512-pct00006
실시예 6 내지 11 (CL:Epomin SP-018 = 20.0:1, w/w)
실시예 6 내지 11을 다음의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Epomin SP-018 12.5g(1부), ε-카프로락톤 250.0g(20.0부)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5.0×10-4w/w)를 질소하에 교반하고, 고체 함량이 98%에 도달할 때까지 80 내지 200℃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표 2에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8075291512-pct00007
실시예 12 내지 17 (CL:Lupasol PR 8515 = 각종 중량 비)
실시예 12 내지 17를 다음의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Lupasol PR 8515 (상표명, BASF 제조, MW 2000), ε-카프로락톤 100.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5.0×10-4w/w)를 질소하에 교반하고 고체 함량이 98%에 도달할 때까지 100 내지 200℃에서 가열하였다. 표 3에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8075291512-pct00008
실시예 18 내지 25 (CL:Epomin SP-200 = 각종 중량 비)
실시예 18 내지 25를 다음의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Epomin SP-200(상표명, 니혼 쇼쿠바이 제조, MW 10,000), ε-카프로락톤 100.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5.0×10-4w/w)를 질소하에 교반하고 고체 함량이 98%에 도달할 때까지 100 내지 200℃에서 가열하였다. 표 4에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8075291512-pct00009
실시예 26 (Epomin SP-018, MW 1800g/mol, CL:VL = 1:1)
폴리에틸렌이민 5.0g(1부, Epomin SP 018, 니혼 쇼쿠바이, 대략 MW 1800), ε-카프로락톤 35.0g(7.0부), δ-발레로락톤 35.0g(VL, 7.0부)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05g을 질소하에 교반하고 5.0시간 동안 150℃로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에, 생성물을 고체 함량 98%의 투명한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아민 수는 50mg KOH/g이다.
실시예 27 (Epomin SP-200, MW 10,000g/mol, CL:VL =1:1)
폴리에틸렌이민 5.0g(1부, Epomin SP 200, 니혼 쇼쿠바이, 대략 MW 10,000), ε-카프로락톤 35.0g(7.0부), δ-발레로락톤 35.0g(7.0부)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05g을 질소하에 교반하고 5.0시간 동안 150℃로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에, 생성물은 고체 함량 98%를 초과하는 투명한 황색 액체로서 수득된다.
2단계. OH- 관능화된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의 변형
실시예 28 내지 34 (상이한 카복실산으로의 변형)
실시예 24(표 4)는 전구체(50.0g)로서 사용되고, 1.0 내지 40.0시간 동안 100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질소 대기하에 카복실산(폴리락톤 쇄: 산의 몰 비 1.5:1)과 교반한다. 생성물의 산가는 적정에 의해 측정한다.
표 5에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12019738331-pct00023
실시예 35 내지 49 (라우르산에 의해 변형)
단계 1에서 수득된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전구체로서 사용하였으며, 라우르산(폴리락톤:라우르산의 몰 비 1.5:1)과 100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1.0 내지 30.0시간 동안 질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생성물의 산가는 적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6에 반응 조건 및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8075291512-pct00011
실시예 50 내지 53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에 의해 변형)
실시예 25(210g, 표 4)를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24.0g)과 170℃에서 1.0 내지 30.0시간 동안 질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생성물의 산가는 적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7에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12019738331-pct00024
실시예 54 내지 60 (각종 MW의 PHSA에 의한 변형)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200.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0.20g)를 응축수 분리기가 장착된 4구 반응기에 첨가하고, 180℃에서 1.0 내지 60.0시간 동안 질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벤젠으로 환류시켜, 부산물인 물을 제거하였다. 상이한 반응 시간에 따라, 상이한 산가를 갖는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PHSA)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5(표 4)를 전구체로서 사용하였으며, 이를 수득된 PHSA(폴리락톤: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의 몰 비 1.5:1)와 16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0시간 동안 질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생성물의 산가는 적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8에 반응 조건 및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8075291512-pct00013
실시예 61 내지 64 (상이한 카복실산 에스테르에 의해 변형)
실시예 24(표 4)를 전구체(50.0g)로서 사용하였으며, 딘 스타크(dean stark) 분리기가 장착된 반응기에서 카복실산 에스테르(폴리락톤 쇄:산의 몰 비 1.5:1)와 100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1.0 내지 40.0시간 동안 질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0.3%)를 에스테르교환 촉매로서 첨가하였다. 알코올의 제거된 몰 수에 의해, 에스테르교환의 전환을 체크하였다.
표 9에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8075291512-pct00014
2. 단일용기 방법에 관한 실시예
실시예 65
Lupasol PR 8515(6.45g), 엡실론-카프로락톤(50.0g),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15.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0.12g)를 180℃에서 18.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은 실온에서 산가 2mg KOH/g의 금색 액체이다.
실시예 66
Epomin SP-018(6.45g), 엡실론-카프로락톤(100.0g),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15.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0.12g)를 180℃에서 1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은 산가 7.5mg KOH/g의 황색 고체이다.
실시예 67
Epomin SP-018(6.45g), 엡실론-카프로락톤(85.0g), 델타-발레로락톤(15.0g),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15.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0.12g)를 180℃에서 1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은 산가 15mg KOH/g의 갈색 액체이다.
실시예 68
Epomin SP-018(6.45g), 엡실론-카프로락톤(50.0g),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30.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0.08g)를 180℃에서 6.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은 산가 26mg KOH/g의 금색 액체이다.
실시예 69
Epomin SP-020(6.45g), 엡실론-카프로락톤(100.0g),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15.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0.12g)를 180℃에서 1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은 산가 9mg KOH/g의 갈색 고체이다.
실시예 70
Epomin SP-020(6.45g), 엡실론-카프로락톤(100.0g), PHSA-4(표 8, 80.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0.20g)를 180℃에서 1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은 산가 6mg KOH/g의 갈색 고체이다.
실시예 71
Epomin SP-020(6.45g), 카프로락톤(100.0g), 12-하이드록실스테아르산(15.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르산(0.12g)을 18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은 산가 5mg KOH/g의 황색 고체이다.
실시예 72
Epomin SP-020(6.45g), 카프로락톤(100.0g), 에틸 라우레이트(12.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르산(0.12g)을 170℃에서 6.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은 산가 4mg KOH/g의 황색 고체이다.
실시예 73
Epomin SP-020(6.45g), 카프로락톤(100.0g), 메틸 스테아레이트(15.5g) 및 디부틸틴 디라우르산(0.12g)을 170℃에서 6.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은 산가 3mg KOH/g 미만의 황색 고체이다.
실시예 74
Epomin SP-020(6.45g), 카프로락톤(60.0g), 발레로락톤(40.0g), 12-하이드록실스테아르산(15.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르산(0.12g)을 170℃에서 18.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은 산가 12mg KOH/g의 호박색 액체이다.
실시예 75
Epomin SP-020(6.45g), 카프로락톤(60.0g), 발레로락톤(40.0g), 메틸 스테아레이트(15.5g) 및 디부틸틴 디라우르산(0.12g)을 170℃에서 15.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은 산가 3mg KOH/g의 호박색 액체이다.
실시예 76
Epomin SP-018(6.45g), 카프로락톤(60.0g), 발레로락톤(40.0g),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15.0g) 및 디부틸틴 디라우르산(0.12g)을 170℃에서 15.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은 산가 2.9mg KOH/g의 호박색 액체이다.
실시예 77
Epoin SP-20(3.25g), Epomin SP-018(3.25g), 카프로락톤(60.0g), 발레로락톤(40.0g), 메틸 스테아레이트(15.5g) 및 디부틸틴 디라우르산(0.12g)을 170℃에서 15.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은 산가 3mg KOH/g 미만의 호박색 왁스이다.
경쟁 생성물 A
경쟁 생성물 A(competitive product A)를 미국 특허 제4863880호의 분산제 9에 따라 제조하였다.
E-카프로락톤 250g, 라우르산 88g 및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2g의 혼합물을 질소하에 8시간 동안 170℃에서 교반하였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140g 및 무수 폴리에틸렌이민 "POLYMIN Waterfree" 20g의 혼합물을 질소하에 8시간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Figure 112008075291512-pct00015
표 10은 본 발명의 생성물의 융점이 경쟁 생성물의 융점보다 낮음을 보여준다.
성능 심사
합성 샘플의 분산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수지가 부재한 안료 농축물을 제형 1에 따라 제조하였다. 당해 밀 베이스(mill base)를 스칸덱스 쉐이커(Scandex Shaker)에서 1.5시간 동안 유리 비드의 도움으로 분산시켰다. 이어서 당해 밀 베이스를 여과하고 상온에서 밤새 저장하였다. 시험용 렛-다운(제형 2)은 스토빙 에나멜(stoving enamel), CAB 베이스 코트 및 코일 코팅 수지를 기본으로 한다. 제형 3은 스토빙 에나멜 및 CAB 페인트용 페인트 제형을 나타낸다. 5분 동안 2000rpm에서의 고속 교반하에 페인트 제형을 혼합하고, 습윤 필름 두께 35 내지 7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도포하였다. 드로우-다운을 제조한 후에, 나머지 페인트를 배출 시험(pour-out)용으로 부틸 아세테이트와 1:1로 희석하였다. 제형 4는 코일 코팅이며, 이를 흑색 스트립(strip)으로 스틸 패널 위에 도포하였으며, 문지름 제거(rub-out) 시험 후에, 7초 동안 320℃에서 베이킹하였다.
제형 1
Figure 112008075291512-pct00016
제형 2
Figure 112008075291512-pct00017
제형 3
Figure 112008075291512-pct00018
제형 4
Figure 112012019738331-pct00025
실시예 28 내지 70은 산-변형된 분산제 및 이의 성능을 제형 1, 2, 3 및 4에 따라 시험하였다. 안료 농축물이 양호하게 유동하고 이의 점도가 경쟁 등급보다 낮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안료 농축물의 레올로지 거동을 CR 모드하에 써모-하케 레오스트레스 600(Thermo-Haake RheoStress 600) 장치로 측정하였다. 안료 농축물의 최초 점도(ηo) 및 동적 점도(ηt)가 표 11에 기재되어 있다. 점도 곡선에 따라, 피그먼트 화이트(Pigment White) 농축물(PW 21) 뉴턴 유동을 나타내고, 피그먼트 블랙(Pigment Black) 농축물(스페셜 블랙-100(Special Black-100))은 의가소성(pseudoplastic) 유동을 나타낸다. 피그먼트 블루(Pigment Blue) 농축물(PB 15:2)은 가소성 유동 및 요변 특성을 갖지만, 낮은 전단 응력(T)(표 11)하에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피그먼트 블랙 7(Black FW 200)은 본 발명의 생성물에 의해 매우 양호하게 분산되지만, 경쟁 등급에 의해 분산이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112008075291512-pct00020
스토빙 에나멜 페인트, CAB 페인트 및 코일 코팅에서, 예를 들면, 높은 광택도(20°)(평균 80을 초과함), 씨딩의 부재, 문지름 제거의 부재, 양호한 색 강도, 및 백색 안료의 낮은 황변(표 12)과 같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지므로 분산제의 성능은 일반적으로 매우 양호하였다.
가용성 시험에서, 샘플을 우선 50%(w/w)의 농도로 각종 용매에 용해시켰다. 경쟁 샘플의 결정화는 밤새 상온에서 정치시킨 후에 모든 시험된 용매에서 관찰되었지만, 본 발명의 샘플의 용액은 대부분 장기간 안정성을 나타내었다(표 13). 이는, 본 발명의 샘플들은 덜 결정화되며 각종 용매 시스템에서의 이들 샘플의 혼화성이 경쟁 생성물의 혼화성보다 양호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성능 시험은, 경쟁 생성물이 무극성(apolar) 시스템에 더욱 적합하지만 극성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으며, 반면, 본 발명의 생성물은 극성 및 무극성 시스템에서 양호하게 수행됨을 보여준다.
Figure 112008075291512-pct00021
Figure 112008075291512-pct00022
잉크에 대한 적용
경쟁자 B를 미국 특허 제6197877호의 실시예 48에 따라 제조한다.
라우르산(10부, 0.049M), 엡실론-카프로락톤(67부, 0.58M) 및 델타-발레로락톤(29.4부, 0.294M)을 질소하에 교반하고 105℃로 가열하였다. 지르코늄 이소프로폭사이드(0.45부)를 첨가하고 170℃로 승온시켰다. 반응물을 질소하에 해당 온도에서 추가의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생성물(78부) 및 폴리에틸렌이민(6부, MW 대략 10,000)를 질소하에 교반하고 추가의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표 14는 분산제의 UV 수지/단량체와의 혼화성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모든 액체 누출물(leads)은 UV 수지/단량체와의 혼화성이 더욱 양호하다.
2개 액체 분산제의 성능: 실시예 74 및 실시예 75를 대표물로서 취하여, 제형 A에 따르는 경쟁자 A 및 B와 비교하였다. 결과(광택 및 투명도)가 표 15에 기재되었으며, 표 16에는 PC의 점도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분산제의 저장 안정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모든 결과는, 본 발명의 생성물이 경쟁자 A 및 B 보다 더욱 양호하거나 혼화성인 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12019738331-pct00026
제형 A.
단계 1. 당해 밀 베이스의 제조 (안료:고체 첨가 비를 1:1로 설정함):
안료: 10.0
DPGDA: 30.0
첨가제: 10.0
합계: 50.0
상기한 제형을 유리 비드 함유 유리 병에 첨가하고, Skandex(시험 전반에 걸쳐 사용된 Skandex No. 5)에 2시간 동안 두었다.
단계 2: 렛-다운 제형
91.5g DPGDA
0.5g E-3883
8.0g IRGACURE 379
당해 렛-다운 제형을 어두운 병에서 제조하고, 70℃로 설정된 오븐에서 대략 2시간 동안 또는 IRGACURE 379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두었다.
단계 3: 최종 잉크 제형
25g 밀베이스
75g 렛-다운 바니시
상기한 최종 잉크 제형을 40cc 백색 불투명 용기에 첨가하고, 균질한 용액이 수득될 때까지 완전 혼합하였다.
Figure 112012019738331-pct00027
Figure 112012019738331-pct00028

Claims (7)

  1. 화학식 I의 폴리에틸렌이민(PEI)계 안료 분산제(pigment dispersant).
    화학식 I
    X-(T)m-P-(T)n-H
    위의 화학식 I에서,
    P는 폴리에틸렌이민(PEI) 주쇄(backbone)이고;
    T는 잔기 -CO-A-O- 이며, 여기서, A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알킬로 치환된 C4-C5알킬렌이고, 단, PT 사이의 각각의 결합은 아미드 결합이며 XT 사이의 각각의 결합은 에스테르 결합이고;
    X는 변형제(modifier) 또는 정지제(terminator) 잔기 R-CO- 이고, 여기서, R-CO-는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잔기, 또는 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의 중축합으로부터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잔기로부터 선택되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잔기이며;
    nm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수이다.
  2. (a) 폴리에틸렌이민(PEI)을 거대개시제로서 사용하여, PEI의 1급 아민 및 2급 아민에 의한 락톤의 개환 중합을 개시시켜, P-(T)n-H(여기서, P, T 및 n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를 수득하는 단계 및
    (b) 그래프팅 공중합체를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폴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및 이의 에스테르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변형제 또는 정지제로 트랜스에스테르화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폴리에틸렌이민(PEI)계 안료 분산제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단일용기(one-pot) 공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폴리에틸렌이민(PEI)계 안료 분산제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PEI 대 락톤 단량체의 중량 비가 1:5 내지 1:20이고 폴리락톤의 쇄 길이가 100 내지 5000g/mol의 범위인, 화학식 I의 폴리에틸렌이민(PEI)계 안료 분산제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 반응 온도가 N2 대기하에 60 내지 200℃의 범위이고, 단계(b)에서 반응 온도가 N2 대기하에 100 내지 200℃의 범위인, 화학식 I의 폴리에틸렌이민(PEI)계 안료 분산제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안료 분산제로서 사용하는, 안료 분산물(pigment dispersion)을 제조하는 방법.
  7. 삭제
KR1020087026560A 2006-03-29 2007-03-19 폴리에틸렌이민계 안료 분산제 KR101416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1887 2006-03-29
EP06111887.3 2006-03-29
PCT/EP2007/052552 WO2007110333A1 (en) 2006-03-29 2007-03-19 Polyethylene imine based pigment dispers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584A KR20080108584A (ko) 2008-12-15
KR101416252B1 true KR101416252B1 (ko) 2014-07-07

Family

ID=3677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560A KR101416252B1 (ko) 2006-03-29 2007-03-19 폴리에틸렌이민계 안료 분산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68957B2 (ko)
EP (1) EP1999185B1 (ko)
JP (1) JP5443971B2 (ko)
KR (1) KR101416252B1 (ko)
CN (1) CN101410436B (ko)
AT (1) ATE547452T1 (ko)
WO (1) WO2007110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1481B2 (en) * 2006-09-27 2016-07-05 Basf Se Polyethylene imine based dendritic dispersant
JP5602434B2 (ja) * 2007-03-05 2014-10-08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ポリアミン−ポリアクリレート分散剤
JP5371449B2 (ja) * 2008-01-31 2013-12-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樹脂、顔料分散液、着色硬化性組成物、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GB0910750D0 (en) 2009-06-22 2009-08-05 Unilever Plc Branched polymer dispersants
GB0910747D0 (en) 2009-06-22 2009-08-05 Unilever Plc Branched polymer dispersants
GB0910722D0 (en) 2009-06-22 2009-08-05 Unilever Plc Branched polymer dispersants
JP5588638B2 (ja) * 2009-08-19 2014-09-1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非水系顔料インク
CN101637708B (zh) * 2009-09-01 2011-12-07 陕西科技大学 无溶剂聚醚接枝有机硅/双酰胺复合乳液消泡剂的制备方法
US9497859B2 (en) 2009-09-30 2016-11-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Metal microparticle dispers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substrate
PT2366456E (pt) 2010-03-19 2014-01-21 Omya Development Ag Processo de flutuação de espuma para a separação de silicatos e de carbonatos de metais alcalinoterrosos utilizando um coletor que compreende pelo menos uma polialquilenoimina hidrofobicamente modificada
WO2012008619A1 (ja) * 2010-07-15 2012-01-19 味の素株式会社 変性ポリアミン
IT1404805B1 (it) * 2011-02-10 2013-11-29 Lamberti Spa Disperdenti
CN103159957A (zh) * 2011-12-09 2013-06-19 叶磊 一种分散剂及其制备方法
FR2995901B1 (fr) * 2012-09-21 2015-08-14 Inst Corps Gras Etudes Et Rech S Tech Iterg Nouveaux pre-polymeres biosources et leurs utilisations pour la preparation de polymeres utiles comme additifs dans une matrice poly(acide lactique)
EP3074449B1 (de) 2013-11-29 2017-06-14 BYK-Chemie GmbH Additionsverbindungen von polyaminen
TWI674301B (zh) * 2014-04-08 2019-10-11 美商盧伯利索先進材料有限公司 噴墨印墨組成物及研磨無機微粒的方法
US9359517B2 (en) 2014-10-15 2016-06-07 Eastman Kodak Company Non-aqueous compositions of dispersed carbon-coated metal particles
US9447501B2 (en) 2014-10-15 2016-09-20 Eastman Kodak Company Forming articles and devices with carbon-coated metal particles
US9434852B2 (en) 2014-10-15 2016-09-06 Eastman Kodak Company Photocurable compositions with dispersed carbon-coated metal particles
US9650533B2 (en) 2014-10-15 2017-05-16 Eastman Kodak Company Articles containing carbon-coated metal particles
CN107429098B (zh) * 2015-01-27 2021-03-09 住友金属矿山株式会社 近红外线吸收微粒分散液及其制造方法、防伪油墨组合物及防伪印刷物
US10442948B2 (en) * 2015-01-27 2019-10-15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Near-infrared absorbing fine particle dispersion liqui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5028398A (zh) * 2015-07-09 2015-11-11 江苏擎宇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聚羟基脂肪酸酯接枝有机多胺分散剂的应用及其制备方法
BR112018016572B1 (pt) * 2016-02-16 2023-01-10 Basf Se Polímero, processo para fabricar um polímero, composição líquida, e, uso de um polímero
JP2017171711A (ja) * 2016-03-18 2017-09-28 味の素株式会社 ポリアリルアミン誘導体及びポリエチレンイミン誘導体
EP3222650A1 (de) * 2016-03-24 2017-09-27 Evonik Degussa GmbH Dispergiermittel
KR102188323B1 (ko) * 2016-09-16 2020-12-08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폴리에스테르-개질된 아미노 부가생성물
IT201600109323A1 (it) 2016-10-28 2018-04-28 Giovanni Broggi Preparazioni pigmentarie universali per colorare e rinforzare materie plastiche
GB201707211D0 (en) * 2017-05-05 2017-06-21 Lankem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EP3428216B1 (en) * 2017-07-11 2022-11-02 Henkel AG & Co. KGaA 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ized polyesters
EP3684841B1 (en) * 2017-09-19 2022-07-20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Multi-amine polyester dispersant made via an anhydride intermediate
JP2022526249A (ja) * 2019-03-14 2022-05-24 ルブリゾル アドバンス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水物中間体を介して作製されたマルチアミンポリエステル分散剤
WO2021052999A1 (en) 2019-09-20 2021-03-25 Basf Se Polyalkyleneimine-based polymer as dispersa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4939A (ja) * 1985-01-22 1986-08-06 ゼネカ・リミテッド 徴細な非磁気性固体組成物、及び分散剤
EP0752439A1 (en) * 1995-07-06 1997-01-08 Chevron Chemical Company Polylactone aminocarbamate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JP2003509205A (ja) * 1999-09-18 2003-03-11 アベシア・リミテッド ポリエステル分散剤
JP2003531001A (ja) * 2000-04-20 2003-10-21 アベシア・リミテッド 分散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287A (en) * 1970-12-22 1973-12-11 Ici Ltd Pigment dispersions
US3728143A (en) * 1971-03-31 1973-04-17 Plastic Molders Supply Co Pigment dispersion
US4963275A (en) * 1986-10-07 1990-10-16 Exxon Chemical Patents Inc. Dispersant additives derived from lactone modified amido-amine adducts
JP3215756B2 (ja) * 1993-07-12 2001-10-09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低級アルキレンイミン)変性ラクトングラフト重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4939A (ja) * 1985-01-22 1986-08-06 ゼネカ・リミテッド 徴細な非磁気性固体組成物、及び分散剤
EP0752439A1 (en) * 1995-07-06 1997-01-08 Chevron Chemical Company Polylactone aminocarbamate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JP2003509205A (ja) * 1999-09-18 2003-03-11 アベシア・リミテッド ポリエステル分散剤
JP2003531001A (ja) * 2000-04-20 2003-10-21 アベシア・リミテッド 分散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4046A1 (en) 2010-07-08
EP1999185A1 (en) 2008-12-10
CN101410436B (zh) 2013-10-16
CN101410436A (zh) 2009-04-15
JP5443971B2 (ja) 2014-03-19
WO2007110333A1 (en) 2007-10-04
EP1999185B1 (en) 2012-02-29
ATE547452T1 (de) 2012-03-15
US8268957B2 (en) 2012-09-18
JP2009531490A (ja) 2009-09-03
KR20080108584A (ko) 2008-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252B1 (ko) 폴리에틸렌이민계 안료 분산제
JP5350844B2 (ja) 分散剤
KR100449197B1 (ko) 안료분산제
US9752067B2 (en) Amine adducts preparable by Michael addition
CN1749288B (zh) 共聚物、其制备、和作为润湿剂与分散剂的用途
JP5085655B2 (ja) ポリエチレンイミンベースの樹状分散剤
JP3235930B2 (ja) 顔料分散剤の製造方法
CN112867751A (zh) 用于涂料体系的分散剂
Pirrung et al. Hyperbranched polymers as a novel class of pigment dispersants
US20160297966A1 (en) Method for generation of nanoparticles
CN112654419A (zh) 多胺聚酯分散剂和制备方法
CN110698664B (zh) 固体颗粒分散剂及其制备方法以及含有该分散剂的固体颗粒的分散体
JP3696222B2 (ja) 分散液
US20190263964A1 (en) Polyester-modified amino adducts
WO2024029578A1 (ja) エマルション
JPH09194585A (ja) 顔料分散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