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392B1 -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392B1
KR101415392B1 KR1020130060125A KR20130060125A KR101415392B1 KR 101415392 B1 KR101415392 B1 KR 101415392B1 KR 1020130060125 A KR1020130060125 A KR 1020130060125A KR 20130060125 A KR20130060125 A KR 20130060125A KR 101415392 B1 KR101415392 B1 KR 101415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uilding
connecting member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용주
천영균
Original Assignee
천영균
천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영균, 천용주 filed Critical 천영균
Priority to KR102013006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04B1/7633Dowels with enlarged insulation retaining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6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n unthreaded element, e.g. pin or na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이나 천정에 건축용 단열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서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재; 상기 고정수단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삽입방향 쪽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보다 넓은 접촉판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삽입방향의 반대 쪽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FIXING DEVICE OF FUNCTIONAL PANEL FOR CONSTRUCTION AND FIXING METHOD OF FUNCTIONAL PANEL FOR CONSTRUC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이나 천정에 단열재 또는 방음재와 같은 건축용 기능성 판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빌딩, 공공건물 등의 건축물에는 단열 등의 목적을 위해 단열재와 같은 기능성 판재가 벽면과 천장에 설치된다. 도 1a 및 도 1b에는 종래의 기술로서 건축물의 벽면과 천장에 단열재가 고정되는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등록특허 제10-1245546호 참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단열재(S)가 파스너(fastener)(10)에 의해 벽면(W)에 고정되어 있다. 파스너(10)는 단열재(S)의 외면과 접촉하는 접촉부(11)와, 접촉부(11)로부터 돌출되어서 단열재(S)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12)를 구비한다. 삽입부(12) 내부에는 벽면(W)에 박혀서 파스너(10)를 고정시키는 고정용 못(N)이 통과하는 통로(14)가 마련되며, 접촉부(11)에는 통로(14)와 통하는 개구부(13)가 형성된다. 개부부(13)를 통해 에어건이 삽입되어서 못(N)이 벽면(W)에 박힌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고정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단열재(S)의 두께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파스너(10)가 제조되어서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금속성인 고정 못(N)에는 이슬이 쉽게 맺히는데, 이때 발생한 물기가 파스너(10)로부터 아래로 떨어지며, 특히 도 1b와 같이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천장으로부터 물방울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것은 금속재의 못의 경우 주위 공기보다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어서 금속재 못에 이슬이 지속적으로 맺히고 이것이 물방울이 되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다. 이는 건축 내장재 설치시 치명적인 단점이며, 고객으로부터 계속하여 지적되고 있는 불만 사항이다.
셋째, 고정 못(N)을 박는 과정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이 틀어져서 설치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불량으로 설치된 파스너(10)는 제거된 후 다시 설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재설치 작업은 작업자에게 있어서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이러한 재설치 작업은 작업자에게 매우 성가신 일이며, 전체적인 시공기간을 증가시키고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킨다.
넷째, 접촉부(10)에 개구부(13)가 형성되므로 방음 및 단열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방음, 방수, 단열 효과가 개선된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서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재; 상기 고정수단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삽입방향 쪽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보다 넓은 접촉판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삽입방향의 반대 쪽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서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재; 상기 고정수단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삽입방향 쪽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삽입방향의 반대방향 쪽 끝단에 마련되는 접촉판을 포함하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볼조인트 결합방식, 끼워맞춤 결합방식과 나사 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서 끼워맞춤되는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다수의 외부 걸림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부 걸림 톱니에 대응하는 다수의 내부 걸림 톱니가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연결부재와, 고정수단 통과용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접촉판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용 기능성 판재를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으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고정 단계;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결합 단계; 및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시키는 가압부재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연결부재와, 고정수단 통과용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용 기능성 판재를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으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고정 단계;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가 시공과정에서 결합되는 여러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시공되는 단열재의 두께에 대응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와 연결부재가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시공 불량 문제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못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방음, 방수, 단열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도 1a는 종래의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에 의해 건축용 단열재가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의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에 의해 건축용 단열재가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팬재 고정장치의 시공 불량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를 분해된 상태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용 단열재를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의 각 단계에서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를 분해된 상태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100)는 연결부재(110)와, 가압부재(120)와, 고정부재(13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부재(110, 120, 130)는 합성수지재인 것으로 설명한다. 시공 전에 3개의 부재(110, 120, 130)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관 유지되다가 시공 과정에서 3개의 부재(110, 120, 130)가 결합되어서 건축용 기능성 판재를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건축용 기능성 판재는 단열, 방음, 방진 등을 위하여 벽면 또는 천장에 부착되는 판상의 부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로서 건축물에서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는 판상의 합성수지 발포체(스티로폼)를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이제,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100)에 삽입방향을 설정한다.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 삽입방향은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100)가 건축용 단열재를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해 건축용 단열재로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도 3 내지 도 5에는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연결부재(110)는 삽입방향을 따라서 직선으로 길게 연장된 기둥 형태로서, 몸체(110a)와, 가압부재 결합부(111a)와, 고정부재 결합부(115)를 구비한다.
몸체(110a)의 길이는 시공에 사용되는 건축용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서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몸체(110a)의 길이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110)가 제작되고, 시공에 사용되는 건축용 단열재의 두께에 적합한 길이를 갖는 것이 선택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가압부재 결합부(111)는 몸체(110a)의 길이방향 끝단(삽입 반대방향의 끝단)에 형성된다. 가압부재 결합부(111)에는 삽입 반대방향 쪽 끝단이 개방된 결합홈(111a)이 마련된다. 가압부재 결합부(111)는 내부에 결합홈(111a)을 형성하는 벽체(113)를 구비한다. 벽체(113)의 내주면에는 연결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다수의 내부 걸림 톱니(112)가 형성된다. 각 내부 걸림 톱니(112)는 삽입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위치하는 경사면(1121)과, 단턱면(1122)을 구비한다. 경사면(1121)은 가압부재(12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단턱면(1122)은 결합된 가압부재(120)의 이탈을 막기 위해 삽입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벽체(113)에는 벽체(113)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슬릿(113a)가 형성된다.
고정부재 결합부(115)는 몸체(110a)의 길이방향 타단(삽입방향의 끝단)에 형성된 구형상의 볼부(115a)를 구비한다. 볼부(115a)는 고정부재(130)와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된다. 볼부(115)가 고정부재(130)와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연결부재(110)와 고정부재(130)는 고정부재 결합부(115)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내에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된다.
가압부재(120)는 접촉판(121)과, 제1 연결부재 결합부(120a)를 구비한다. 가압부재(120)는 연결부재(110)와 결합되어서 건축물의 벽면이나 천장에 부착되는 단열재를 가압한다.
접촉판(121)은 얇은 원판 형상인데, 본 발명은 접촉판(121)의 형상을 이와 같은 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접촉판(121)은 건축물의 벽면이나 천장에 부착되는 단열재와 밀착한다. 접촉판(121)은 연결부재(110)와 연결되는 부분을 폐쇄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방수성 및 방음성이 향상된다.
제1 연결부재 결합부(120a)는 접촉판(121)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된 기둥형상의 결합돌기(122)를 구비한다. 결합돌기(122)는 연결부재(110)의 가압부재 결합부(111)에 삽입되어서 결합된다. 결합돌기(122)는 기둥 형태로서, 외주면에는 삽입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다수의 외부 걸림 톱니(123)를 구비한다. 각 외부 걸림 톱니(123)는 삽입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위치하는 단턱면(1231)과, 경사면(1232)을 구비한다. 단턱면(1231)은 제1 연결부재 결합부(121)가 연결부재(110)의 결합홈(111a)에 수용되었을 때 가압부재 결합부(111)의 단턱면(1122)과 접하도록 삽입 반대방향을 향한다. 경사면(1232)은 제1 연결부재 결합부(121)가 연결부재(110)의 결합홈(111a)으로 삽입될 때,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결합홈(111a)에 대한 결합돌기(122)의 삽입 깊이에 따라서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100) 전체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는 단열재를 건축물의 벽면이나 천장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10)와 가압부재(120)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홈(111a)이 연결부재(110)에 형성되고, 결합홈(111a)에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122)가 가압부재(12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결합홈(111a)가 가압부재(120)에 형성되고, 결합돌기(122)가 연결부재(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110)와 가압부재(120)의 결합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재(110)와 가압부재(120)는 다른 형태의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너트 방식의 결합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볼트-너트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촉판(121)에 드라이버 홈과 같은 회전공구 결합부가 형성된다.
고정부재(130)는 시공 과정에서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못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고 연결부재(110)와 결합된다. 고정부재(130)는 고정몸체(131)와, 제2 연결부재 결합부(135)를 구비한다.
고정몸체(131)에는 삽입방향을 따라 중심부를 관통하는 통로(132)와, 삽입 반대방향 끝단에 형성된 확장홈(133)이 형성된다. 통로(132)의 삽입방향 측 끝단(132a)과 삽입 반대방향 측 끝단(132b)은 개방되어서 통로(132)를 통해 못과 같은 고정수단이 통과하게 된다. 통로(132)의 단면적과 형태는 이용되는 고정수단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정해진다. 확장홈(133)은 통로(132)의 삽입 반대방향 측 끝단(132b)와 연결되어서 위치한다. 확장홈(133)에는 못과 같은 고정수단의 머리부가 안착된다.
제2 연결부재 결합부(135)는 고정몸체(131)에 대해 삽입 반대방향 측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제2 연결부재 결합부(135)에는 삽입 반대방향 쪽 끝단이 개방된 수용홈(136)이 마련된다. 수용홈(136)에는 시공 과정에서 연결부재(110)의 볼부(115a)가 삽입 반대방향 측에 형성된 개구부(135a)를 통해 삽입 수용되어서, 연결부재(115)와 고정부재(130)가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2 연결부재 결합부(135)는 내부에 수용홈(136)을 형성하는 벽부(136a)를 구비한다. 벽부(136a)에는 벽부(136a)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슬릿(137)이 형성된다. 개구부(135a)는 볼부(115a)보다 작게 형성되며, 볼부(115a)가 개구부(135a)를 통해 수용홈(136) 안으로 삽입될 때, 벽부(136a)의 탄성변형을 통해 개구부(135a)가 확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10)와 고정부재(130)가 시공 과정에서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다른 다양한 방식(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연결부재(110)와 가압부재(120)의 결합과 같은 끼워맞춤방식 또는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용 단열재를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용 단열재를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하는 방법은 고정부재 고정 단계(S10)와, 연결부재 결합 단계(S20)와, 가압부재 결합 단계(S30)를 포함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각 단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정부재 고정 단계(S10)에서는 고정부재(도 5의 130)가 단열재를 통과하여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된다. 도 7a에는 고정부재 고정 단계(S10)가 수행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단열재(S)는 건축물의 벽면(W)에 부착되어 있으며, 단열재(S)에는 벽면(W)과 직각을 이루는 기준축선(O)을 따라 연장된 관통홀(h)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130)는 관통홀(h)에 삽입되고 못과 같은 고정수단(N)으로 벽면(W)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수단(N)는 에어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부재(130)를 벽면(W)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수단(N)이 기준축선(O)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벽면(W)에 박혀서 고정부재(130)의 중심축선(O')이 기준축선(O)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정수단(N)을 벽면(W)에 박는 과정에서 기준축선(O)과 고정부재(130)의 중심축선(O`)이 서로 경사지게 도 7a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0)가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 고정 단계(S10) 후에는 연결부재 결합 단계(S20)가 수행된다.
연결부재 결합 단계(S20)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상태에서 연결부재(도 5의 110)가 단열재(S)의 관통홀(h)을 통해 삽입되어서 고정부재(도 7a의 130)에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재(도 5의 110)는 단열재(S)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합한 길이를 갖는 것이 선택된다. 도 7b에는 연결부재 결합 단계(S20)가 수행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10)의 볼부(도 5의 115a)가 고정부재(130)의 수용홈(도 5의 136)에 수용되어서, 연결부재(110)와 고정부재(130)가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재(110)와 고정부재(130)가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연결부재(110)는 그 중심축이 기준축선(O)과 일치하도록 정렬된다. 연결부재 결합 단계(S20) 후에는 가압부재 결합 단계(S30)가 수행된다.
가압부재 결합 단계(S30)에서는 도 7b에 도시된 상태에서 가압부재(도 5의 120)가 연결부재(도 7b의 110)에 결합된다. 작업자는 가압부재(도 5의 120)의 결합돌기(도 5의 122)를 연결부재(110)의 결합홈(도 5의 111a)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접촉판(도 5의 121)을 밀어서 결합돌기(도 5의 122)를 결합홈(도 5의 111a) 안으로 삽입시킨다. 결합돌기(도 5의 122)는 접촉판(도 5의 121)이 단열재(S)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한 후 멈추게 된다. 도 7c에는 가압부재 결합 단계(S30)가 수행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가압부재(120)가 연결부재(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단열재(S)와 밀착되어서, 단열재(S)를 단단히 벽면(W)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10)와 가압부재(120)가 시공 과정에서 결합되는 별도의 분리된 부재들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두 부재(110, 120)는 일체로 이루어져서 하나의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이다. 연결부재(110)와 가압부재(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연결부재(110)와 고정부재(13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나사결합 또는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연결부재(110)와 고정부재(130)의 결합을 위해 채택되는 나사결합 또는 끼워맞춤 방식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연결부재(110)와 가압부재(120)의 결합 방식과 유사한 방식이 될 것이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110 : 연결부재
110a : 몸체 111: 가압부재 결합부
111a : 결합홈 113 : 벽체
113a : 분리 슬릿 112 : 내부 걸림 톱니
115 : 고정부재 결합부 115a : 볼부
120 : 가압부재 121 : 접촉판
120a : 제1 연결부재 결합부 122 : 결합돌기
123 : 외부 걸림 톱니 130 : 고정부재
131 : 고정몸체 132 : 통로
133 : 확장홈 135 : 제2 연결부재 결합부
135a : 개구부 136 : 수용홈
136a : 벽부 137 : 분리 슬릿

Claims (7)

  1.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서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재(110);
    상기 고정수단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10)의 상기 삽입방향 쪽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30); 및
    상기 연결부재(110)보다 넓은 접촉판(121)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110)의 상기 삽입방향의 반대 쪽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볼조인트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2.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서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재;
    상기 고정수단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삽입방향 쪽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삽입방향의 반대방향 쪽 끝단에 마련되는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볼조인트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서 끼워맞춤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다수의 외부 걸림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부 걸림 톱니에 대응하는 다수의 내부 걸림 톱니가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6. 연결부재와, 고정수단 통과용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접촉판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용 기능성 판재를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으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고정 단계;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결합 단계; 및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시키는 가압부재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7. 연결부재와, 고정수단 통과용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용 기능성 판재를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으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고정 단계;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건축용 기능성 판재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KR1020130060125A 2013-05-28 2013-05-28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KR10141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25A KR101415392B1 (ko) 2013-05-28 2013-05-28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25A KR101415392B1 (ko) 2013-05-28 2013-05-28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392B1 true KR101415392B1 (ko) 2014-07-04

Family

ID=5174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125A KR101415392B1 (ko) 2013-05-28 2013-05-28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63B1 (ko) 2015-11-30 2016-01-20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40Y1 (ko) * 1998-03-16 2000-05-01 장한백 건축용 천정판 고정구
KR100730656B1 (ko) * 2007-03-16 2007-06-20 양내문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KR101245546B1 (ko) * 2012-04-27 2013-03-20 차형권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40Y1 (ko) * 1998-03-16 2000-05-01 장한백 건축용 천정판 고정구
KR100730656B1 (ko) * 2007-03-16 2007-06-20 양내문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KR101245546B1 (ko) * 2012-04-27 2013-03-20 차형권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63B1 (ko) 2015-11-30 2016-01-20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521B2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KR101569026B1 (ko)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US9702388B2 (en) Axially adjustable threaded mounting snap fit connector
TW202012754A (zh) 包含用於金屬蓋板的鑄入式錨的系統與方法
KR101415392B1 (ko)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JP4584885B2 (ja) ボックス固定具及びボックス固定具の取付方法
JP2006254571A (ja) 電気接続ボックス及び電気接続ボックス用ボックスカバー
JP3961538B2 (ja) 引き寄せ金物
US20040200184A1 (en) Support device for orthogonal mounting of sheet material
JP2008240468A (ja) コーナー被覆具及びコーナー構造
WO2016041597A1 (en) Board mounting structure for building a corner element defining a corner
KR200317133Y1 (ko) 건축용 조립판넬의 구조
KR101536352B1 (ko) 단열패널 고정철물 및 그를 이용한 단열패널 시공방법
JP2001280005A (ja) 連窓方立
JP5313582B2 (ja) 壁用パネル材
JP5913703B1 (ja) 化粧枠
JP2008223232A (ja) 仕切板および間仕切壁
JP2006090019A (ja) 壁面パネルのコーナー連結構造
JP4030818B2 (ja) 天井の施工方法
JP2006312828A (ja) フローリングの固定具
JP7426212B2 (ja) 天井材
JP7203638B2 (ja) 波付管装置、波付管用の端末部材、および波付管端部固定装置
JP2009068257A (ja) 端部キャップおよび建具
JP5179117B2 (ja) 足場の壁つなぎ取付け金物
JP3120934U (ja) 壁類用点検口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