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546B1 -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 - Google Patents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546B1
KR101245546B1 KR1020120044573A KR20120044573A KR101245546B1 KR 101245546 B1 KR101245546 B1 KR 101245546B1 KR 1020120044573 A KR1020120044573 A KR 1020120044573A KR 20120044573 A KR20120044573 A KR 20120044573A KR 101245546 B1 KR101245546 B1 KR 101245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astening
fixing
fasten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형권
Original Assignee
차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형권 filed Critical 차형권
Priority to KR102012004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01Nail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 B25C1/047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B27F7/05Driving means
    • B27F7/09Driving means operated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연속적으로 공기압을 고정 수단에 가하여 단열재 또는 보온재와 같은 것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파스너는 중앙에 관통 부분(112)이 형성된 판형의 접촉 판(11), 관통 부분(112)과 연결되어 접촉 판(11)으로부터 접촉 판(11)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고정 관(12), 고정 관(12)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고정 관(12)의 아래쪽 및 고정 관(12)의 내부로 연장되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의 체결 관(13) 및 고정 관(12)과 체결 관(13)을 연결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고정 관(12)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배출 홀(133)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관(12)은 외부에서 작용되는 공기압이 체결 관(13)에 삽입되는 고정 수단으로 유도한다.

Description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Pneumatic Type of Fastener}
본 발명은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연속적으로 공기압을 고정 수단에 가하여 단열재 또는 보온재와 같은 것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파스너(fastener)는 판형 부재를 견고한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기구를 말하고 예를 들어 단열재 또는 보온재를 벽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파스너는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못 또는 스크루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양한 용도 또는 기능을 가지는 파스너가 벽에 단열재 또는 보온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건축 현장에서 사용된다. 파스너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예를 들어 망치, 드라이버 또는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파스너가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파스너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3-0023315호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작업자가 건축물의 벽면에 하부패널을 부착하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되는 하부 패널과, 하부패널에서 돌출되고 단열 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며 선단에 서로 대향되게 2갈래로 이격된 탄성의 후크부가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단열 부재가 끼워진 고정편과 끼움 결합되어 단열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중공축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축의 내측에는 상기 후크부의 갈라진 부분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후크부의 상단부가 과삽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T형상의 스토퍼가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과 다른 하부 패널들을 연결 하여 한 번의 작업으로 다수 개의 하부 패널을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열재 고정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단열재 고정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0-0108794호 ‘단열재 고정구’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거푸집 판넬(101)에 나사체결되는 나사부가 하측부에 형성되고 상단에 조임부가 형성되며 나사부와 조임부 사이에 걸림편 및 확개된 호형부로 구성된 고정 볼트체와; 상기 고정 볼트체의 조임부에 내측에 장입되는 장입부와 상기 장입부의 하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호형부에 의해 절개 확개되는 절개띠와, 상기 장입부의 상단에 형성된 판체와, 상기 판체의 하부 양단에 하향지게 형성되고 끝단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단열재 고정부와, 상기 판체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된 단열재 고정체를 포함하는 단열재 고정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단열재 고정구는 전동 드라이버 또는 끼움 공정에 의하여 고정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전동 드라이버에 의한 고정은 모든 고정구가 견고하게 고정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끼움 공정은 작업 효율을 감소시킨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공기압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견고하게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작업 효율성의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파스너는 중앙에 관통 부분이 형성된 판형의 접촉 판, 관통 부분과 연결되어 접촉 판으로부터 접촉 판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고정 관, 고정 관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고정 관의 아래쪽 및 고정 관의 내부로 연장되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의 체결 관 및 고정 관과 체결 관을 연결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고정 관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배출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관은 외부에서 작용되는 공기압이 체결 관(13)에 삽입되는 고정 수단으로 유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정 관 및 체결 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둘레 면을 따라 형성된 회전 방지 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관통 부분의 외부에 형성된 체결 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는 연속적으로 공기압을 주입하여 파스너를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물의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는 공기압 주입 건(gun)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는 벽체에 대한 고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a 또는 도 1b의 파스너를 다른 각도에서 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에 의한 단열재 또는 보온재의 시공 공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a 또는 도 1b의 파스너를 다른 각에서 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벽체에 판형의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파스너는 중앙에 관통 부분(112)이 형성된 판형의 접촉 판(11); 관통 부분(112)과 연결되어 접촉 판(11)으로부터 접촉 판(11)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고정 관(12); 고정 관(12)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고정 관(12)의 아래쪽 및 고정 관(12)의 내부로 연장되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의 체결 관(13); 및 고정 관(12)과 체결 관(13)을 연결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고정 관(12)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배출 홀(133)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관(12)은 외부에서 작용되는 공기압이 체결 관(13)에 삽입되는 고정 수단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벽체는 건물의 지지를 위한 벽체 또는 건물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벽체와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벽체를 포함한다. 또한 벽체는 건물의 바닥 면 또는 천정 면을 포함한다. 판형의 구조물은 예를 들어 단열재, 보온재 또는 보강재와 같이 벽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건축용 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파스너(10)는 판형의 구조물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 수단을 말하며 예를 들어 금속, 비금속, 합성수지 또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접촉 판(11)은 원판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각 형상이 될 수 있다. 접촉 판(11)의 아래쪽 면은 벽체의 외부 표면과 접촉이 될 수 있고 접촉 판(11)의 위쪽 표면에 덮개(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접촉 판(11)은 베이스(111) 및 베이스(11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 부분(112), 베이스(111)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돌기(114) 및 관통 부분(1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체결 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부분(112)은 원통 형상이 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공기압을 작용시키기 위한 공기총의 배출구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 홀(113) 및 다수 개의 돌기(114)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홀(113)은 파스너(10) 자체를 판형의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볼트 또는 스크루와 같은 것이 체결 홀(113)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다수 개의 돌기(114)는 작업의 편의성 또는 판형의 구조물의 외부에 결합되는 다른 부재에 대한 부착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체결 홀(113) 또는 다수 개의 돌기(114)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 관(12)은 관통 부분(112)과 연결되어 접촉 판(11)의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예를 들어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관(12)에 위에서 설명한 공기총(도시되지 않음)의 배출구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 관(12)은 원통의 외부 면에 해당되는 둘레 면(121)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 관(12)의 내부는 속이 빈 원통의 내부 면에 해당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기총(도시되지 않음)의 배출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관(12)의 아래쪽에 고정 관(1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관(13)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관(13)은 고정 관(12)의 내경에 비하여 작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a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 관(13)의 일부는 고정 관(12)의 내부로 연장되고 체결 관(13)의 나머지 부분은 고정 관(12)의 외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체결 관(13)은 예를 들어 벽체에 삽입되는 못, 볼트 또는 스크루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속이 빈 원통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체결 관(13)에 못, 볼트 또는 스크루와 같은 고정 수단이 삽입이 되고 그리고 고정 수단에 공기압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수단은 판형의 구조물 또는 벽체에 삽입 및 고정이 될 수 있다.
체결 관(13)은 원통 형상의 둘레 면에 해당되는 바깥 면(131) 및 고정 수단의 일부가 돌출되는 돌출 홀(134)을 포함할 수 있다. 못, 볼트 또는 스크루와 같은 고정 수단은 체결 관(13)의 내부에 삽입되고 고정 수단의 위쪽 부분 또는 머리는 체결 관(13)의 위쪽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그리고 고정 수단의 아래쪽 부분은 돌출 홀(134)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a의 (가) 및 (나)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 관(13)의 위쪽 부분에 확장 연결 부분(135)이 형성될 수 있고 확장 연결 부분(135)에 배출 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 연결 부분(135)은 직경이 큰 고정 관(12)의 아래쪽 끝 부분과 직경이 작은 체결 관(13)의 위쪽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나팔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배출 홀(133)은 공기총에 의하여 고정 수단의 머리 부분에 작용된 공기압을 발생시킨 공기의 배출을 위한 것이다. 확장 연결 부분(135) 또는 배출 홀(133)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배출 홀(133)은 적절한 위치에 다양한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a의 (나)에 도시된 3개의 배출 홀(133)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체결 관(12)의 바깥 면(131)에 회전 방지 돌기(132)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방지 돌기(132)는 바깥 면(131)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판 형태가 될 수 있고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관(12)의 아래쪽으로부터 체결 관(13)의 아래쪽 부분에 이르도록 체결 관(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회전 방지 돌기(132)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높이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체결 관(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수직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체결 관(13)의 바깥 면(131)에 형성되는 회전 방지 돌기(132)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회전 방지 돌기(132)는 파스너(10)가 단열재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적합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a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 관(131)의 일부는 고정 관(12)의 내부로 연장되고 그리고 내부로 연장된 부분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연결 판(124)이 고정 관(12)의 내부와 체결 관(13)의 외부를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판(124)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관(12)의 위쪽 둘레 면을 따라 부착 면(122)이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부착 면(122)의 둘레를 따라 경계 면(123)이 형성될 수 있다. 부착 면(122)은 고정 관(12)의 위쪽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진 원형의 띠 형상이 될 수 있다. 경계면(123)은 부착 면(122)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진 원형의 띠 형상이 될 수 있다. 부착 면(122)과 경계 면(123)은 단차를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경계 면(123)은 베이스(111)의 위쪽 표면에 연장되거나 약간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부착 면(122)은 경계 면(123)에 비하여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부착 면(122) 또는 경계 면(123)은 파스너(10)의 관통 부분(112)에 삽입되는 공기총의 배출구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 관(13)은 일정한 두께의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바깥 면(131)에 회전 방지 돌기(132)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고정 관(12)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체결 관(13)의 직경은 삽입되는 고정 수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베이스(111)의 안쪽 면은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분할 부분에 체결 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베이스(111)에 덮개와 같은 것이 결합될 수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고정 관(12)은 관통 부분(112)과 연결되고 고정 관(12)은 체결 관(13)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체결 관(13)의 일부는 고정 관(12)의 내부로 연장되고 체결 관(13)을 고정 관(1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 관(12)의 바닥 면과 체결 관(13)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 판(124)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관(13)은 다양한 바깥 면(131)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고정 관(12)의 전체 높이의 1/4~3/4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고정 관(12)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공기압에 의하여 고정 수단을 벽체에 삽입시키면서 이로 인하여 벽체에 결합되는 판형의 구조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에 의하여 단열재 또는 보온재가 벽체에 고정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에 의한 단열재 또는 보온재의 시공 공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벽체(W)에 단열재(S)가 임시적으로 고정되면 파스너가 단열재(S)에 삽입될 수 있다. 파스너는 미리 단열재(S)에 삽입이 되거나 또는 벽체(W)에 고정된 이후 단열재(S)에 삽입될 수 있다. 파스너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 수단(P)은 예를 들어 볼트, 못, 스크루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건축 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고정 수단(P)은 고정 머리(P1)와 삽입 몸체(P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수단(P)의 일정 부분은 미리 고정 관(32)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 관(33)에 삽입될 수 있다. 접촉 판(31)은 단열재(S)의 표면에 접착되고 공기총(G)이 준비된다. 공기총(G)은 배출구(G1)를 통하여 일정 압력의 공기를 토출시켜 고정 수단(P)에 가할 수 있다. 공기총(G)은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일정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견고한 벽체(W)의 경우 고정 수단(P)이 한 번에 벽체(W) 내부로 삽입이 되기 어렵고 이와 같은 경우 1회 내지 3회에 걸쳐 연속적으로 공기총(G)에 의하여 고정 수단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도 3의 (나)를 참조하면, 파스너(30)의 고정 관(32)의 내부로 배출구(G1)가 삽입될 수 있다. 배출구(G1)의 내경은 고정 머리(P1)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클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배출구(G1)가 고정 관(32)에 삽입되면 공기총(G)으로부터 일정 압력의 공기압이 고정 머리(P1)에 작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고정 수단(P)은 벽체(W) 내부로 삽입이 될 수 있다. 만약 한 번의 공기압으로 고정 수단(P)이 벽체(W) 내부로 충분히 삽입이 되지 않는다면 연속적으로 공기압이 가해질 수 있다. 한 번 또는 연속적인 공기압이 고정 머리(P1)에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체결 관(33)의 내부를 경유하여 고정 수단(P)이 벽체(W)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공기총(G)에 의하여 한 번 또는 연속적인 공기압이 고정 머리(P1)에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고정 머리(P1)가 체결 관(33)의 위쪽 부분과 접촉하게 되고 도 3의 (다)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도 3의 (라)는 공기총(G)에 의하여 고정 수단(P)이 벽체(W)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 수단(P)은 체결 관(33)의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 몸체(P2)는 벽체(W)의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 머리(P2)는 체결 관(33)의 위쪽 부분과 접촉하여 아래쪽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고정 수단(P)의 일부는 단열재(S)에 삽입된 파스너(30)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이 벽체(W)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단열재(S)는 벽체(W)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파스너(S)는 단열재(S) 내부에 다양한 깊이로 고정될 수 있고 고정 수단(P)은 체결 관(33) 및 배출구(G1)의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단열재(S)를 제시하여 설명이 되었지만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건축 부재가 벽체, 바닥 면 또는 천정 면에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는 연속적으로 공기압을 주입하여 파스너를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물의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는 공기압 주입 건(gun)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는 벽체에 대한 고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파스너 11: 접촉 판
12: 고정 관 13: 체결 관
30:파스너 31: 접촉 판
32: 고정 관 33: 체결 관
111:베이스 112:관통 부분
113: 체결 홀 114: 돌기
121: 둘레 면 122: 부착 면
123: 경계 면 124:연결 판
131: 바깥 면 132:회전 방지 돌기
133:배출 홀 134: 배출 홀
135:확장 연결 부분
S: 단열재 W: 벽체
P: 고정 수단 P1: 고정 머리
P2: 삽입 몸체 G: 공기총
G1: 배출구

Claims (3)

  1. 벽체에 판형의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파스너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 부분(112)이 형성된 판형의 접촉 판(11);
    관통 부분(112)과 연결되어 접촉 판(11)으로부터 접촉 판(11)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고정 관(12); 및
    고정 관(12)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일부는 고정 관(12)의 내부로 연장되고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고정 관(12)의 외부로 연장되는 속이 빈 원형 형상의 체결 관(13)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관(13)에 삽입되는 고정 수단(G)은 고정 관(12)에 삽입되는 배출구(G1)를 가진 공기총(G)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체결 관(13)을 통하여 벽체(W)에 완전히 삽입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 관(12) 및 체결 관(13)의 길이 방향으로 둘레 면을 따라 형성된 회전 방지 돌기(132)를 더 포함하는 파스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관통 부분(112)의 외부에 형성된 체결 홀(113)을 더 포함하는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
KR1020120044573A 2012-04-27 2012-04-27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 KR101245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573A KR101245546B1 (ko) 2012-04-27 2012-04-27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573A KR101245546B1 (ko) 2012-04-27 2012-04-27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546B1 true KR101245546B1 (ko) 2013-03-20

Family

ID=4818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573A KR101245546B1 (ko) 2012-04-27 2012-04-27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5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220B1 (ko) * 2013-07-31 2014-05-30 신용판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15392B1 (ko) * 2013-05-28 2014-07-04 천영균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KR101554873B1 (ko) 2014-03-27 2015-09-23 박경훈 벽판고정용 결착구
KR20160147192A (ko) * 2015-06-12 2016-12-22 주식회사 가비한 단열재 고정장치
KR101706307B1 (ko) * 2016-07-28 2017-02-13 강민영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52332A (ko) * 2016-11-10 2018-05-18 이주연 건물의 건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413A (ja) * 2002-02-19 2003-08-27 Fukuvi Chem Ind Co Ltd 断熱パネル用取付治具及び断熱パネル取付方法
JP2008298281A (ja) * 2007-05-01 2008-12-11 Hokkai Giken Kogyo Kk 断熱用ワッシャ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断熱構造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413A (ja) * 2002-02-19 2003-08-27 Fukuvi Chem Ind Co Ltd 断熱パネル用取付治具及び断熱パネル取付方法
JP2008298281A (ja) * 2007-05-01 2008-12-11 Hokkai Giken Kogyo Kk 断熱用ワッシャ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断熱構造体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392B1 (ko) * 2013-05-28 2014-07-04 천영균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KR101402220B1 (ko) * 2013-07-31 2014-05-30 신용판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54873B1 (ko) 2014-03-27 2015-09-23 박경훈 벽판고정용 결착구
KR20160147192A (ko) * 2015-06-12 2016-12-22 주식회사 가비한 단열재 고정장치
KR101691166B1 (ko) 2015-06-12 2016-12-30 주식회사 가비한 단열재 고정장치
KR101706307B1 (ko) * 2016-07-28 2017-02-13 강민영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52332A (ko) * 2016-11-10 2018-05-18 이주연 건물의 건축 방법
KR101960678B1 (ko) * 2016-11-10 2019-03-21 이주연 건물의 건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546B1 (ko) 공기압 방식의 파스너
KR101515937B1 (ko)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KR102118997B1 (ko)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007939A (ko) 내외장재용 흡음판넬의 고정장치
KR20170101321A (ko) 빌딩 패널 또는 빌딩 패널 세트, 빌딩 패널용 고정 시스템 및 빌딩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
KR20090039070A (ko) 체결 볼트
RU2009137379A (ru) Устройство с монтажной вставкой для крепления элементов фурнитуры на полых профилях, а также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монтажной вставки на полом профиле
KR200424652Y1 (ko) 티볼트
KR20140071621A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KR101303007B1 (ko) 앙카볼트
KR101554873B1 (ko) 벽판고정용 결착구
JP2007218009A (ja) 内装材の取付構造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JP4997506B2 (ja) プレハブ式建築物のパネル連結金具
KR200477273Y1 (ko)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KR20170018147A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KR20170121972A (ko) 조립이 용이한 작업공간이 구비된 볼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체결구조
KR101115411B1 (ko)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설치구조
KR100767567B1 (ko) 건축용 인서트
KR101005627B1 (ko) 원터치 클릭형 인테리어용 조립 판넬
KR20080017772A (ko) 벽체 마감용 패널
KR200436258Y1 (ko)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KR102135318B1 (ko) 개선된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KR200411727Y1 (ko) 자재 인양 오픈 박스용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