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73Y1 -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73Y1
KR200477273Y1 KR2020150001632U KR20150001632U KR200477273Y1 KR 200477273 Y1 KR200477273 Y1 KR 200477273Y1 KR 2020150001632 U KR2020150001632 U KR 2020150001632U KR 20150001632 U KR20150001632 U KR 20150001632U KR 200477273 Y1 KR200477273 Y1 KR 200477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extrusion
panel
coupl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훈
Original Assignee
벽산베이스아이엔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산베이스아이엔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산베이스아이엔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기역자(ㄱ)형상의 고정구를 서로 맞대어 티자 형상의 고정구를 형성하여 두께가 높고 길이가 긴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을 피스만을 이용하여 하지틀에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을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으로 마감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을 고정하기 위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을 갖는 우측 결합부 몸체(102) 및 좌측 결합부 몸체(104)가 서로 맞물려서 고정되어 티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 고정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2)는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10)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몸체(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기역자 형상의 패널고정몸체(16)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2)에는 하지틀(400)을 고정수단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하지틀 고정공(22)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 결합부 몸체(104)는 상부몸체(24)와 상기 상부몸체(24)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몸체(26)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24)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기역자 형상의 패널고정몸체(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6)에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지틀(400)에 가로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하지틀 고정공(36)이 형성되어 길고 두꺼운 후판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A BASE PANNEL FIXTURE}
본 고안은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기역자(ㄱ)형상의 고정구를 서로 맞대어 티자 형상의 고정구를 형성하여 두께가 높고 길이가 긴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을 피스만을 이용하여 하지틀에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는 벽체의 경우, 그 벽체를 미려하게 장식하기 위하여 벽체의 표면에 마감 공사를 실시하게 된다.
벽체 마감의 재료로는 천연석재 또는 인조석, 금속판재, 합성수지판재, 나무판, 압출 성형 시멘트패널 등과 같이 일정한 크기의 사각판넬의 형태로 형성된 마감용 패널을 건축물의 벽체에 연속적으로 부착하는 벽체 마감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건축용 마감 패널의 부착 시공방법은 기존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벽체 표면에 시멘트 모르타르 등을 도포한 후 마감 패널을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습식 시공방법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벽체에 먼저 금속제 각 파이프 등의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지지프레임의 외면에 마감패널들을 용접 및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시키는 건식 시공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건식시공 방식에 있어서 사용되는 종래의 마감 패널은 스크류를 박을 수 있도록 패널 본체의 네 측면에 띠모양의 평철을 외부측으로 돌출되게 부착하여 연결철물 또는 하지틀을 마련하고, 이와 같이 장착된 연결철물 하지틀의 나사구멍을 통하여 용접 및 스크류 등으로 지지프레임에 부착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축공사에서 석재나 패널 등 내,외장공사를 시공할 경우, 콘크리트 옹벽 등 구조체에 각종 단열재가 먼저 시공되어 있으며, 설치된 단열재 위에 석재, 패널, 등 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해 각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하지틀을 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지틀의 상부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용접 또는 스크류, 피스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였으며, 상기 고정구에는 천연석재패널 또는 인조석재패널, 금속판재, 합성수지판재, 나무판, 압출 성형 시멘트패널 등의 외장패널을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시공하였다.
하지만, 고정구를 용접에 의해 시공할 경우 두껍고 긴 패널을 고정할 수는 있지만 용접할 수 있는 내부 작업공간이 요구되며 불필요하게 마감두께가 커지며 용접불꽃에 의해 기 설치된 내부의 단열재에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고정구를 스크류, 피스 등에 의해 시공할 경우 내부 작업공간이 필요 없고, 용접불꽃에 의한 화재의 우려는 없지만 스크류, 피스등이 외부에서 작용하는 인발력에 의해 쉽게 뽑히거나 이탈되는 등으로 인하여 외장패널이 분리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구조적인 발생함으로써 두껍고 긴 패널을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크류, 피스 등의 고정수단을 앞에서 고정하는 경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의 무게가 크고 긴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약하므로 시공 설치가 불가능하였고, 피스로 고정하는 경우 양끝단만 고정하여야 하므로 무거워서 어려웠으며, 특히 35-60mm이상의 후판의 고정시에는 용접시공이 필요하여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9332호(2011.05. 12. 공개)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두께가 두껍고 긴 후판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을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용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과 수평하게 고정 시공함으로써 피스에 작용하는 풍압에 의한 인발력의 발생시에도 후판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을 견고하게 잡아주고 시공할 수 있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두 개의 기역자 형상의 결합부 몸체를 서로 맞대어서 티자형상으로 고정하여 형성함으로써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의 시공시 전기 용접작업을 하지 않고, 고정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의 시공시 오픈 조인트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이 두껍고 별도의 보강이 없어도 시공 가능한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기역자(ㄱ)형상의 좌우측부의 결합부 몸체가 서로 결합하여 티(T)자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두껍고 긴 후판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의 결합 시공을 원할하게하고, 작업이 간편하며 수명이 오래가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을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로 마감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을 고정하기 위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을 갖는 우측 결합부 몸체(102) 및 좌측 결합부 몸체(104)가 서로 맞물려서 고정되어 티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 고정부(102)를 포함하되,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2)는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10)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몸체(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기역자 형상의 패널고정몸체(16)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2)에는 하지틀(400)을 고정수단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하지틀 고정공(22)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 결합부 몸체(104)는 상부몸체(24)와 상기 상부몸체(24)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몸체(26)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24)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기역자 형상의 패널고정몸체(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6)에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지틀(400)에 가로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하지틀 고정공(36)이 형성되어 길고 두꺼운 후판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고정부(120)는,
상기 하부몸체(12)의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구 결합돌부(18)와, 상기 하부몸체(26)의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구 결합돌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18)와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32)가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져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18,32)는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고정부(120)는,
상기 하부몸체(10)의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 방향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구 결합홈(40)과; 상기 고정구 결합홈(40)의 오목부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일측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 방향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구 결합턱(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 결합홈(40) 및 고정구 결합턱(42)은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구 결합홈(40)의 오목한 내경 부위에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구 결합턱(42)의 외경을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고정구(120)는,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구 결합 가이드(44)와; 상기 고정구 결합 가이드(44)에 끼움 결합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길게 대응하여 형성되는 고정구 결합 레일(4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 결합 가이드(44)와 고정구 결합 레일(46)은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경우, 외장패널의 시공시 패널 시공시 마감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두께가 두껍고 긴 후판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시공함으로써 작업효율과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무게가 무거운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이 외부에서 작용하는 인발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구의 손실이 없고 시공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전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공 비용이 저렴함과 동시에 재료의 손실이 방지되어 가격이 저렴하여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일부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일부 결합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여 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100)는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시공시 두껍고 긴 후판의 형상을 가진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을 고정하기 위한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100)를 이용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100)는 티(T)자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00)는 기역자(ㄱ)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좌우측 결합부 몸체(102)(104)가 서로 맞대어져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맞대어져서 고정되어 티(T)자를 이루도록 기역자(ㄱ)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100)는 상부에 형성된 상부몸체(10,24)와, 상기 상부몸체(10,24)에 연장되어 아래방향으로 수직하게 하향 절곡 형성된 하부몸체(12,2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12,26)는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을 고정하기 위해 하지틀(400)에 스크류, 피스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우선, 기역자(ㄱ) 형상의 우측 결합부 몸체(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2)와 서로 맞대어지도록 대칭되는 모양으로 좌측 결합부 몸체(104)가 형성되며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2)와 좌측 결합부 몸체(104)가 서로 결합되어 티(T)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2)와 좌측 결합부 몸체(104)는 결합 고정부(120)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2)는 기역자(ㄱ)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역자 형상의 상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상부몸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수직 하향으로 형성되는 하부몸체(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10)의 중앙에는 통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14)의 일측변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서 기역자(ㄱ)형상으로 형성된 패널고정몸체(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고정몸체(16)에는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이-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끼워져서 결합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은 두께가 35-60mm의 후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2)와 좌측 결합부 몸체(104)는 결합 고정부(120)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바, 상기 결합 고정부(120)는 고정구 결합돌부(18)와 고정구 결합돌부(32)로 이루어져서 서로 치합되어서 고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하부몸체(12)의 외측면부 중앙부에는 고정구 결합돌부(18)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18)의 하부에는 통공(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18)의 상하부에는 각각의 하지틀 고정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지틀 고정공(22)에는 스크류, 피스 등의 고정수단이 고정되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2)가 후술되는 하지틀(400)에 가로방향으로 고정 시공된다.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18)의 하부에는 결합홈(3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좌측 결합부 몸체(104)는 역기역자(ㄱ)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역기역자 형상의 상부에 평행하게 상부몸체(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24)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수직 하향으로 형성되는 하부몸체(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24)의 중앙에는 통공(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28)의 일측변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역기역자(ㄱ)형상으로 형성된 패널고정몸체(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고정몸체(30)에는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이-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끼워져서 결합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은 두께가 35-60mm의 후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하부몸체(26)의 외측면부 중앙부에는 고정구 결합돌부(3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32)의 하부에는 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32)의 상하부에는 각각의 하지틀 고정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지틀 고정공(36)에는 스크류, 피스 등의 미도시된 고정수단이 고정 되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좌측 결합부 몸체(104)가 후술되는 하지틀(400)에 가로방향으로 고정 시공된다.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32)의 하부에는 결합홈(3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2)와 상기 좌측 결합부 몸체(104)가 결합되는바,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2)에 형성된 고정구 결합돌부(18)가 상기 좌측 결합부 몸체(104)에 형성된 고정구 결합돌부(32)가 서로 상하부에서 화살표 방향을 이동되어 끼워져서 결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18)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38)에는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32)가 끼워지고,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32)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38)에는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18)가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져서 고정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100)를 이용한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먼저, 옹벽(300)의 일측부에 단열재(500)가 시공되고, 상기 단열재의 일측부에 하지틀(400)이 시공되며, 상기 하지틀(400)에는 본 고안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10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100)의 상하부에는 각각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이 고정 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보면, 우선, 옹벽(300)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옹벽(300)의 상부에 단열재(500)가 시공되며, 앵커볼트(310)가 상기 단열재(500)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앵커볼트(310)의 상단부에 앵커볼트 브라켓(320)이 고정되며, 상기 앵커볼트 브라켓(320)에는 하지틀(400)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지틀(400)에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100)가 좌우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100)를 이루고 있는 좌우측 결합부 몸체(102,104)의 상부에 형성된 패널고정몸체(16,30)에는 각각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이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 단열재(500)와 옹벽(300)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310)는 길게 형성되어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이 후판인 경우, - 즉 두께가 두껍고 길며 크기가 큰 경우에 처짐이나 휨 등에 취약하고, 특히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스크류, 피스 등의 고정수단(410)에 작용하는 전단력이 컸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일부 결합 단면도로서, 우측 결합부 몸체(106)와 좌측 결합부 몸체(10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6)와 좌측 결합부 몸체(108)는 결합 고정부(120)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바, 상기 결합 고정부(120)는 하부몸체(12)의 중앙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구 결합홈(40)과, 상기 하부몸체(26)의 중앙부에 볼록하게 형성된 고정구 결합턱(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구 결합홈(40)에 상기 고정구 결합턱(42)이 끼워져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6)와 좌측 결합부 몸체(108)가 결합되어 티(T)자 형상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1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우측 결합부 몸체(110)와 좌측 결합부 몸체(112)가 결합 고정부(1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바, 상기 결합 고정부(120)는 하부몸체(12)의 중앙부에 볼록하게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구 결합 가이드(44)와, 상기 하부몸체(26)의 중앙부에 오목하게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구 결합레일(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 결합 가이드(44)와 고정구 결합 레일(46)은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구 결합 가이드(44)가 상기 고정구 결합 레일(46)에 끼워져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6)와 좌측 결합부 몸체(108)가 결합되어 티(T)자 형상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과 기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상부몸체 12 : 하부몸체
14 : 통공 16 : 패널고정몸체
18 : 고정구 결합돌부 20 : 통공
22 : 하지틀 고정공 24 : 상부몸체
26 : 하부몸체 28 : 통공
30 : 패널고정몸체 32 : 고정구 결합돌부
34 : 통공 36 : 하지틀 고정공
38 : 결합홈 40 : 고정구 결합홈
42 : 고정구 결합턱 44 : 고정구 결합 가이드
46 : 고정구 결합레일
100 :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102,106,110 : 우측 결합부 몸체
104,108,112 : 좌측 결합부 몸체 120 : 결합 고정
200 :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300 : 옹벽
400 : 하지틀 500 : 단열재

Claims (7)

  1. 건물의 외벽을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으로 마감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을 고정하기 위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을 갖는 우측 결합부 몸체(102) 및 좌측 결합부 몸체(104)가 서로 맞물려서 고정되어 티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 고정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우측 결합부 몸체(102)는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10)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몸체(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기역자 형상의 패널고정몸체(16)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2)에는 하지틀(400)을 고정수단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하지틀 고정공(22)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 결합부 몸체(104)는 상부몸체(24)와 상기 상부몸체(24)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몸체(26)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24)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기역자 형상의 패널고정몸체(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6)에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지틀(400)에 가로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하지틀 고정공(36)이 형성되어 길고 두꺼운 후판의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20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고정부(120)는,
    상기 하부몸체(12)의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구 결합돌부(18)와,
    상기 하부몸체(26)의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구 결합돌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18)와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32)가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져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결합돌부(18,32)는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고정부(120)는
    상기 하부몸체(10)의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 방향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구 결합홈(40)과;
    상기 고정구 결합홈(40)의 오목부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일측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 방향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구 결합턱(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결합홈(40) 및 고정구 결합턱(42)은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구 결합홈(40)의 오목한 내경 부위에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구 결합턱(42)의 외경을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고정구(120)는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구 결합 가이드(44)와;
    상기 고정구 결합 가이드(44)에 끼움 결합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길게 대응하여 형성되는 고정구 결합 레일(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결합 가이드(44)와 고정구 결합 레일(46)은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KR2020150001632U 2015-03-16 2015-03-16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KR200477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632U KR200477273Y1 (ko) 2015-03-16 2015-03-16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632U KR200477273Y1 (ko) 2015-03-16 2015-03-16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273Y1 true KR200477273Y1 (ko) 2015-06-25

Family

ID=5351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632U KR200477273Y1 (ko) 2015-03-16 2015-03-16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2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10Y1 (ko) * 2015-12-16 2016-06-15 주식회사 중원철강산업 외장 패널용 고정구
KR101681930B1 (ko) * 2016-02-18 2016-12-02 주식회사 중원철강산업 S자형 클립을 이용한 무용접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32A (ko) * 2001-02-08 2001-06-05 이회랑 건축물의 장식재 및 그 장식재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JP2010101038A (ja) * 2008-10-22 2010-05-06 Asahi Woodtec Corp 木質パネルの取付構造
KR20110004692U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시멘트 패널 마감재 고정클립
KR101421965B1 (ko) * 2013-06-14 2014-07-30 박광일 테라코타패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32A (ko) * 2001-02-08 2001-06-05 이회랑 건축물의 장식재 및 그 장식재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JP2010101038A (ja) * 2008-10-22 2010-05-06 Asahi Woodtec Corp 木質パネルの取付構造
KR20110004692U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시멘트 패널 마감재 고정클립
KR101421965B1 (ko) * 2013-06-14 2014-07-30 박광일 테라코타패널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10Y1 (ko) * 2015-12-16 2016-06-15 주식회사 중원철강산업 외장 패널용 고정구
KR101681930B1 (ko) * 2016-02-18 2016-12-02 주식회사 중원철강산업 S자형 클립을 이용한 무용접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407B1 (ko) 각관을 이용한 무용접 하지틀 체결 구조
KR101642817B1 (ko) 시공이 용이한 커튼월
KR101163094B1 (ko) T-브라켓용 결로방지패드
JP2010180601A5 (ko)
KR20140049413A (ko) 벽체 외장설비
KR200477273Y1 (ko)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KR101310889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연결구조
KR20150079383A (ko) 건축용 석재판넬 지지부재
CN110821071B (zh) 一种用于外墙安装的铝塑板安装连接结构
JP3188828U (ja) ソーラーパネル一体型屋根
KR102096775B1 (ko)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KR200480610Y1 (ko) 외장 패널용 고정구
KR101433597B1 (ko) 조립식 건축물의 각도 조절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620253B1 (ko) 거푸집설치용 거푸집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993901B1 (ko)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KR20130087668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
KR101242833B1 (ko) 대리석 판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5385805B2 (ja) 建造物の外装仕上げパネル取り付け構造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648197B1 (ko) 외장패널 고정구 및 그를 이용한 외장패널 시공방법
KR101728007B1 (ko) 기둥거푸집 고정구
KR101536352B1 (ko) 단열패널 고정철물 및 그를 이용한 단열패널 시공방법
KR101370702B1 (ko)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면서 견고한 고정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CN202595959U (zh) 新型幕墙立柱
KR20170121972A (ko) 조립이 용이한 작업공간이 구비된 볼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