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656B1 -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656B1
KR100730656B1 KR1020070025976A KR20070025976A KR100730656B1 KR 100730656 B1 KR100730656 B1 KR 100730656B1 KR 1020070025976 A KR1020070025976 A KR 1020070025976A KR 20070025976 A KR20070025976 A KR 20070025976A KR 100730656 B1 KR100730656 B1 KR 100730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support
synthetic resin
heat insulating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940A (ko
Inventor
양내문
양근영
Original Assignee
양내문
양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내문, 양근영 filed Critical 양내문
Priority to KR1020070025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6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표면재(2)와 발포성합성수지(3)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그 내주면 상측부에 형성된 체결턱(51)을 가진 결합홀더(50)와, 상기 발포성합성수지(3)의 상측면에서부터 상기 결합홀더(5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나의 체결턱(51)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61)의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된 걸림턱(62)을 가진 지지구(60)와, 상기 지지구(60)의 중앙에 못구멍(63)이 형성되고, 이 못구멍(63)에 상측으로부터 박아 하측의 유로폼(5)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측에 나사돌기(71)가 형성되고, 상측 외주면에는 수직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72)가 형성된 무두못(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복합 단열재를 결합하는 결합홀더의 내주면 체결턱과 결합하는 지지구의 결합돌기 외주면에 걸림턱을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여서 구성함으로써, 상기 지지구와 유로폼 사이에 위치하는 복합 단열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 복합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지지구의 형상을 변경해야 함으로 인해 구성 부품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지만, 본 발명은 복합 단열재의 두께에 한정하지 않고 복합 단열재를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결합홀더, 지지구, 무두못

Description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Fixing device of a double insulating material}
도1은 종래의 단열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2는 종래의 결합홀더 및 지지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3은 종래의 결합홀더 및 지지구를 일부 절개한 분해사시도,
도4는 종래의 단열재에 결합되는 결합홀더 및 지지구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5는 종래의 고정못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유로폼에 고정시키는 상태도,
도6은 종래의 고정못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유로폼에 고정시킨 상태도,
도7은 종래의 단열재가 유로폼에 고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벽체가 타설된 상태도,
도8은 종래의 유로폼 및 고정못의 동시 탈형 상태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홀더 및 지지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홀더 및 지지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합성수지표면재 3 : 발포성합성수지
5 : 유로폼 50 : 결합홀더
51 : 체결턱 52 : 외주걸림턱
60 : 지지구 61 : 결합돌기
62 : 다수의 걸림턱 63 : 못구멍
64 : 다수의 슬릿 70 : 무두못
71 : 나사돌기 72 : 다수의 돌기
본 발명은 가옥이나 건물의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실내 측의 구조체(콘크리트, 기타 벽체)에 설치하는 복합 단열재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 단열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높이조정이 가능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시공된 가옥이나 건물의 경우 동절기에는 영하의 외부 기온과 실내의 내부 기온의 온도차에 의해서 노점온도를 유지하는 벽체의 표면에 실내의 습공기가 접촉하면서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단열을 위한 목적으로 근자에 들어 실내의 벽체에 발포성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단열재를 설치하고, 상기 단열재의 내면에는 합성수지표면재를 고정하며, 상기 합성수지표면재의 표면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벽지를 부착하는 단열공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발포성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단열재를 벽체에 고정할 때 통상 거푸집으로 단열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해 벽체에 단열재가 고정되도록 시공하고 있지만 이 경우 콘크리트와 고정되는 발포성 합성수지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콘크리트와 이격되면서 단열재가 벽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더욱이 합성수지표면재와 발포성합성수지가 접착제만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에 노출되거나 장시가 사용하면 접착력이 떨어지면서 합성수지표면재와 발포성합성수지가 벌어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야기됨은 물론 발포성합성수지와 합성수지표면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체화 접착함으로써 인체에 해를 가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었다.
즉 상기한 접착제에 의한 일체화 작업은 접착제의 독성으로 인해 작업자는 물론 세입자의 경우 근자에 들어 사회적인 문제로 이슈화되고 있는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SHS)과 같이 일시적으로 눈과 목이 따갑거나 기침 등의 증상을 보이며, 그 증상이 심할 경우 천식, 비염, 아토피 등의 알레르기 질환에 걸릴 우려가 있어 작업자 및 사용자 모두 이를 꺼리고 있는 실정인 것이었다.
또한, 상기한 접착제가 완전하게 건조될 때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단열재의 제작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표면재(2)와 발포성합성수지(3)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홀더(10)와, 상기 결합홀더(10)의 체결턱(13)에 끼움 결합되는 삽지홈(21)의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어 콘크리트의 양생과 함께 벽체(4)에 매설되며 길이방향 중앙에 못 구멍(25)이 형성된 지지구(20)와, 상기 못구멍(25)을 관통하여 단열재(1)를 유로폼(5)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못(30)의 유기적인 결합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우선적으로 단열재(1)를 구성하는 합성수지표면재(2)와 발포성합성수지(3)를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배제한 채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일체화시키는 일 구성요소인 결합홀더(10)는 하단부에 형성된 머리부(11)가 합성수지표면재(2)에 밀착된 상태에서 합성수지표면재(2) 및 발포성합성수지(3)를 동시에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12)의 내주연에는 체결턱(13)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더(10)와 결합되어 단열재(1)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단열재(1)의 시공시 콘트리트의 양생과 함께 벽체(4)에 일체로 매설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하는 지지구(20)는 결합홀더(10)의 결합공(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턱(13)에 끼움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삽지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지홈(21)의 타측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벽체(4)에 매설시 뛰어난 고정력과 결착력을 유지하도록 상, 하부에 각각 외향으로 돌출된 지지날개(22)가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지지구(20) 및 넓은 면적을 갖는 지지날개(22)가 동시에 벽체(4)에 매설되어 유동 없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단열재가 벽체(4)로부터 떨어지거나 들뜨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여기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날개(22)는 결합홀더(10)와의 결합시 단열재(1)의 표면에 밀착되어 결합홀더(10) 및 지지구(20)가 빠지거나 유동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더욱이 상기 지지구(20)의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탄성홈(23)이 형성됨으로써 체결턱(13)에 결합시 지지구(20)의 양측이 탄성홈(23)으로 밀리면서 쉽게 결합된 후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지지구(20)는 길이방향 중앙으로 상, 하부를 관통하여 탄성홈(23)과 연통하는 못구멍(25)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못구멍(25)은 고정못(30)을 이용하여 단열재(1)를 신속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유로폼(5)에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지구(20)에는 못구멍(25)이 중앙을 관통하여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도 5와 같이 상기 못구멍(25)을 고정못(30)으로 관통하여 유로폼(5)에 박음질 고정하면 유로폼(5)에 단열재(1)가 일시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연속되는 콘크리트 벽체(4)의 타설 작업시 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벽체(4) 및 단열재(1)의 공사 품질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못(30)은 못구멍(25)에 억지 끼움으로 끼워짐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단열재(1)를 일시적으로 유로폼(5)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벽체(4)의 타설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유로폼(5)을 탈형할 경우 유로폼(5)과 함께 고정못(30)이 쉽게 탈형되도록 머리가 없는 형태의 무두못이 적용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에 의한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의 시공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밀착상태의 합성수지표면재(2)와 발포성합성수지(3)는 천공기 등 을 이용하여 관통홀(1a)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공장이나 작업현장에서는 도4와 같이 결합홀더(10)를 상기 관통홀(1a)에 결합시킨 후 결합홀더(10)에 지지구(20)를 끼우는 방법으로 환경친화적인 단열재(1)를 조립 구성한다.
상기 조립 구성된 단열재(1)를 도5 및 도6과 같이 유로폼(5)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못(30)으로 상기 지지구(20)의 중앙에 형성된 못구멍(25)을 관통하여 유로폼(5)에 박음질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1)는 유로폼(5)에 유동 없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연속되는 콘크리트 벽체(4)의 타설 작업시 신속성, 편의성을 제공하며, 이와 동시에 한 쌍의 지지날개(22)는 콘크리트의 양성과정에서 벽체(4)에 매설됨으로써 단열재(1)는 어떠한 경우에도 벽체(4)로부터 떨어지거나 들뜨지 않고 견고한 시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으로 벽체(4)의 시공이 완료된 후 도8과 같이 유로폼(5)을 벽체(4)로부터 탈형시키면 상기 고정못(30)은 매끈한 상태로 못구멍(25)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유로폼(5)과 함께 쉽게 탈형됨으로써 단열재(1)의 표면은 매끈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못(30)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후처리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못(30)의 잔재로 인한 녹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단열재(1)를 벽체(4)에 견고하게 시공하며, 콘크리트 벽체(4)의 시공에 따른 편의성, 신속성, 뛰어난 작업품질의 향상을 도모하고, 유로 폼(5)의 탈형 과정에서 고정못(30)이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는 복합적인 기능과 효과를 제공함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접착체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구와 결합홀더를 이용하여 합성수지표면재와 발포성합성수지를 일체로 조립하여 환경 친화적인 단열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와 결합홀더를 고정못으로 관통하여 단열재를 유로폼에 일시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의 타설 작업시 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 공사품질의 향상을 도모함은 물론 상기 지지구가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벽체에 매설됨으로써 단열재가 떨어지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유로폼의 탈형작업시 고정못이 자동으로 유로폼과 함께 탈형됨으로써 고정못의 제거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하며, 고정못에서 녹이 발생됨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는 상기 결합홀더(10)와 결합되어 단열재(1)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단열재(1)의 시공시 콘트리트의 양생과 함께 벽체(4)에 일체로 매설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하는 지지구(20)는 결합홀더(10)의 결합공(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나의 체결턱(13)에 끼움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삽지홈(21)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결합홀더(10)의 내주면에 돌설된 체결턱(13)이 지지구(20)의 삽지홈(21)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단열재(3)의 두께가 일정해야 한다. 즉, 단열재(3)의 두께는 상기 결합홀더(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머리부(11)의 상면과 상기 지지구(20)의 하 부 지지날개(22)의 하면과의 간격으로 정해지기 때문이다.
즉, 상기한 종래의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는 상기한 단열재(3)의 두께가 상기 결합홀더(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머리부(11)의 상면과 상기 지지구(20)의 하부 지지날개(22)의 하면과의 간격보다 클 경우에 종래의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로서 고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바꿔 말하면 종래의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는 단열재(3)의 두께에 따른 높이조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는 단열재(3)의 두께와 꼭 맞도록 된 구조이다. 즉 단열재(3)의 상면부는 지지구(20)의 하부 지지날개(22)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또 지지구(20)의 하부 지지날개(22)의 하면은 결합홀더(10)의 상단와 접면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못(30)을 고정시키는 마무리 단계에서 조금만 세게 박으면 지지구(20)의 상부 지지날개(22)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지지구(20)의 하부 지지날개(22)의 하면과 이에 밀접된 결합홀더(10)의 상단에 충격이 전달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단열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높이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고정이 견고하고 그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는, 합성수지 표면재(2)와 발포성합성수지(3)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그 내주면 상측부에 형성된 체결턱(51)을 가진 결합홀더(50)와, 상기 발포성합성수지(3)의 상측면에서부터 상기 결합홀더(5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나의 체결턱(51)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61)의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된 걸림턱(62)을 가진 지지구(60)와, 상기 지지구(60)의 중앙에 못구멍(63)이 형성되고, 이 못구멍(63)에 상측으로부터 박아 하측의 유로폼(5)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측에 나사돌기(71)가 형성되고, 상측 외주면에는 수직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72)가 형성된 무두못(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고, 종래의 기술과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홀더 및 지지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홀더 및 지지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는, 합성수지표면재(2)와 발포성합성수지(3)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그 내주면 상측부에 형성된 체결턱(51)을 가진 결합홀더(50)와, 상기 발포성합성수지(3)의 상측면에서부터 상기 결합홀더(5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나의 체결턱(51)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61)의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된 걸림턱(62)을 가진 지지구(60)와, 상기 지지구(60)의 중앙에 못구 멍(63)이 형성되고, 못구멍(63)을 관통하는 무두못(70)에 의하여 유로폼(5)에 발포성합성수지(3)를 고정한다.
무두못(70)에는 그 하측에 나사돌기(71)가 형성되고, 상측 외주면에는 수직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72)가 형성되어있다. 무두못(70)에 형성된 수직 길이 방향의 돌기(72)는 운반과정에서나 작업과정에서 못구멍(63)으로부터 무두못(70)이 이탈되지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상기 지지구(60)의 하측 결합돌기(61)에는 수직방향으로 십자상 형상의 슬릿(64)이 형성되어있다. 슬릿(64)은 못구멍(63)과 관통되어있고, 슬릿(64)이 길이는 결합돌기(61)의 하단에서 그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62)이 끝나는 지점까지이다.
결합돌기(61)가 결합홀더(50)에 삽입고정될 때 결합홀더(50)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턱(51)에 의하여 방해를 받지않기 위해서다. 슬릿(64)이 체결턱(51)과 접촉되는 순간 그 반경이 축소되었다가 그 지점을 지나게 되면 합성수지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릿(64)이 체결턱(51)을 향하여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발휘되기 때문에 결합돌기(61)의 삽입이 원활할 뿐 아니라 그 결착력도 그 결착력도 견고해진다.
또한 상기 결합홀더(50)의 외주면 하측부에는 발포성합성수지(3)의 하측으로 통해 삽입되어 이를 재차 고정하도록 외주걸림턱(52)이 형성된다.
결합홀더(50)의 높이와 발포성합성수지(3) 두께의 관계에 있어서는 결합홀더(50)의 높이가 발포성합성수지(3)의 두께보다 d만큼 작게 설치되는 구조이다.
무두못(70)의 타정시 지지구(20)의 상부 지지날개(22)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지지구(20)의 하부 지지날개(22)에 의하여 파손되지않도록 하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콘크리트로서 시공되는 슬라브의 하부면 또는 벽체의 일측면에는 단열판재들이 일체로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에는 상하층 또는 외부와의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판 형상의 단열재가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 또는 벽체의 측면에 일체로 부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의 거푸집을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나사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a는 본 발명의 단열재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b는 본 발명의 단열재 고정구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단열재 고정구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콘크리트로서 시공되는 슬라브의 하부면 또는 벽체의 일측면에는 단열판재들이 일체로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에는 상하층 또는 외부와의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판 형상의 단열재가 벽체(4)의 하부면 또는 벽체의 측면에 일체로 부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벽체(4)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발포성합성수지(3)와 합성수지표면재(2)로 이루어진 복합 단열재를 부착하기 위하여 먼저 유로폼(5)의 상면에 결합홀더(50)에 의해 결합된 합성수지표면재(2)와 발포성합성수지(3)를 위치시키고, 상기 발포성합성수지(3)의 상측면을 통하여 지지구(60)의 하측으로 돌설된 결합돌기(61)를 삽입하여 그 외주면의 다수의 걸림턱(62) 중 하나를 상기 결합홀더(51)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턱(51)과 결합시킨다.
그런 상태에서 지지구(60)의 못구멍(63)을 통하여 무두못(70)을 망치로 타격하여 하측 유로폼(5)에 박는다. 이와 같이 복합 단열재가 고정되면 복합 단열재의 상면에 콘크리트 벽체(4)를 타설하게 된다. 상기 지지구(60)는 콘크리트 벽체(4)에 매설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4)가 양생되면, 상기 유로폼(5)과 무두못(70)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에 의하면, 복합 단열재를 결합하는 결합홀더의 내주면 체결턱과 결합하는 지지구의 결합돌기 외주면에 걸림턱을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구성함으로써 상기 지지구와 유로폼 사이에 위치하는 복합 단열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높이조정이 가능하고 고정이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 복합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지지구의 형상을 변경해야 함으로 인해 구성 부품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지만, 본 발명은 복합 단열재의 두께에 한정하지 않고 복합 단열재를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구(60)의 하측 결합돌기(61)에 수직방향의 슬릿(64)이 형성되어있으므로 지지구(60)의 하측 결합돌기(61)가 결합홀더(50)에 삽입될 때 체결턱(51)에 접촉되는 순간 슬릿(64)이 축소되어 삽입이 원활해질 뿐만 아니라 다시 탄성력이 발휘되어 체결턱(51)에 견고하게 결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홀더(50)의 높이와 발포성합성수지(3) 두께의 관계에 있어서는 결합홀더(50)의 높이가 발포성합성수지(3)의 두께보다 d만큼 작게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무두못(70)의 타정시 지지구(20)의 상부 지지날개(22)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지지구(20)의 하부 지지날개(22)에 의하여 파손될 염려가 없다.
못 구멍(63)의 하측에 나사돌기(71)가 형성됨으로써 하측의 유로폼(5)과 고정이 용이하고 또 그 상측 외주면에 수직 길이 방향의 다수의 돌기(72)가 형성됨으로써 운반과정과 작업과정에서 못구멍(63)에서 무두못(70)이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지지구(60)의 중앙에 못구멍(63)이 형성되고, 이 못구멍(63)에 무두못(70)을 삽입하여 하측의 유로폼(5)에 발포성합성수지(3)를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합성수지표면재(2)와 발포성합성수지(3)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그 내주면 상측부에 형성된 체결턱(51)을 가진 결합홀더(50)와;
    상기 발포성합성수지(3)의 상측면에서부터 상기 결합홀더(5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나의 체결턱(51)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61)의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된 걸림턱(62)을 가진 지지구(60)와;
    결합홀더(50)의 높이와 발포성합성수지(3)의 두께의 관계에 있어서는 결합홀더(50)의 높이가 발포성합성수지(3)의 두께보다 d만큼 작게 설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60)의 하측 결합돌기(61)의 외주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못구멍(63)에 관통된 수직방향의 슬릿(6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무두못(70)의 상측 외주면에 수직 길이 방향으 로 다수의 돌기(72)가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무두못(70)의 하측에 나사돌기(7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KR1020070025976A 2007-03-16 2007-03-16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KR100730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976A KR100730656B1 (ko) 2007-03-16 2007-03-16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976A KR100730656B1 (ko) 2007-03-16 2007-03-16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940A KR20070042940A (ko) 2007-04-24
KR100730656B1 true KR100730656B1 (ko) 2007-06-20

Family

ID=3817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976A KR100730656B1 (ko) 2007-03-16 2007-03-16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392B1 (ko) * 2013-05-28 2014-07-04 천영균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KR20170012931A (ko) 2015-07-27 2017-02-06 배용웅 유로폼 단열재 고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293B1 (ko) * 2008-07-15 2010-10-12 김진호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KR100974922B1 (ko) * 2010-03-15 2010-08-09 김승묵 단열 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단열 패널 고정 방법
KR101159453B1 (ko) * 2010-08-05 2012-06-25 최재진 콘크리트 구조물속으로 홀더를 매설하기 위한 홀더 지지체
KR102269623B1 (ko) * 2019-11-18 2021-06-25 김재문 방음부재 및 단열부재를 구비한 갱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9357A (ja) * 1991-03-19 1992-10-14 Sekisui House Ltd 壁パネルの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9357A (ja) * 1991-03-19 1992-10-14 Sekisui House Ltd 壁パネルの取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392B1 (ko) * 2013-05-28 2014-07-04 천영균 건축용 기능성 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판재의 고정방법
KR20170012931A (ko) 2015-07-27 2017-02-06 배용웅 유로폼 단열재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940A (ko)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656B1 (ko)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US20140174012A1 (en) Method for making facades of buildings
US20150013255A1 (en) Hybrid cementitious buildings for a multi-level habitat
US20190234066A1 (en) Thermal insulator module and thermal insulating wall structure using same and thermal insulat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0859100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0769582B1 (ko) 벽돌 패널
KR101027394B1 (ko) 단열재를 건축물 구조체에 부착하는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식공법
KR101413089B1 (ko) 건물 외벽 마감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53544B1 (ko)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KR100708252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25142Y1 (ko) 단열재 고정장치
KR101899248B1 (ko) 슬라브 단열재 고정구
JP2007071012A (ja) 壁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032097B1 (ko) 단열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판 시공방법
KR20200025634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JP2018510983A (ja) 暖かい家を建築するための窓枠断熱工法
KR100789328B1 (ko) 시공이 용이한 보온단열재 고정장치
KR200226499Y1 (ko) 건축용 부착식 마감재
JP4916693B2 (ja) コンクリート壁と断熱パネ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具
KR200385272Y1 (ko) 환경친화형 단열재
KR200384125Y1 (ko) 건축물 외장재
JP2010189972A (ja) 外断熱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4177718B2 (ja) タイル取付けパネル、金属板へのタイル取付け工法並びに内装又は外装施工方法
KR20110000288U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486849B1 (ko) 건축물 벽면장식용 석재 시공방법 및 브라켓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