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545B1 -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 Google Patents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545B1
KR101414545B1 KR1020097012979A KR20097012979A KR101414545B1 KR 101414545 B1 KR101414545 B1 KR 101414545B1 KR 1020097012979 A KR1020097012979 A KR 1020097012979A KR 20097012979 A KR20097012979 A KR 20097012979A KR 101414545 B1 KR101414545 B1 KR 101414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storage box
wing portion
outlet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103A (ko
Inventor
아키라 히라사와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rton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구에 필름을 접착하지 않고도, 가정용 박엽지(薄葉紙)의 유지성 및 인출성이 양호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납 상자의 인출구의 에지에, 그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길게 뻗은 제1 날개부와,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다른 쪽으로부터 한쪽 측에 길게 뻗은 제2 날개부를, 각각의 수가 다르게 형성하는 동시에, 그 제1 날개부의 선단부와 제2 날개부의 선단부 간극으로서 수납 상자의 폭방향의 간격을 3mm 이상 17mm 이하로 형성함으로써, 가정용 박엽지의 인출성 및 유지성의 양쪽을 만족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날개부, 인출성, 유지성, 인출구

Description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TISSUE PAPER CONTAINING BOX FOR HOME USE}
본 발명은, 티슈 페이퍼, 키친 페이퍼, 페이퍼 타올 등의 가정용 박엽지(薄葉紙)를 수납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박엽지의 하나인 티슈 페이퍼를 수납하는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이하, 수납 상자라고 함)의 시판되는 제품은 종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수납 상자의 상면에는 티슈 페이퍼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인출구는, 수납 상자가 사용자의 수중에 건네질 때까지는, 커버부에 의해 덮혀져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그 커버부를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는 것에 의해 인출구가 형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납 상자에 있어서의 티슈 페이퍼의 인출 구조로서, 크게 나누어 2종류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 하나는, 인출구의 에지에 아래쪽으로부터 폴리에틸렌 등의 투명한 수지 필름이 미리 접착되고, 이 수지 필름의 중앙에 형성된 슬릿으로부터 티슈 페이퍼를 꺼내는 구조이다. 다른 하나는, 상기 수지 필름이 없이 커버부를 파단용 절취선으로 절취하여 형성된 인출구로부터 티슈 페이퍼를 꺼내는 구조, 이른바 필름을 접착하지 않는 구조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 중, 전자의 인출 구조에 의하면, 인출구의 에지에 수지 필름을 미리 접 착하므로, 수고와 비용이 커지는 것에 더하여, 티슈 페이퍼를 다 사용한 후에, 쓰레기의 분리 수거를 위해 사용자가 수지 필름과 상자 본체(종이)를 분리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후자의 인출 구조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2004-208765호 공보
그러나, 후자인 필름을 접착하지 않는 구조의 수납 상자에 있어서는,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즉, 필름을 접착하지 않는 구조의 수납 상자에 있어서는, 인출구의 폭(인출구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치수)이 작으면, 티슈 페이퍼를 인출할 때 인출구의 하드한 에지에 티슈 페이퍼가 강하게 마찰되게 되어, 인출 저항이 커져, 티슈 페이퍼가 찢어지거나 하여 인출성이 좋지 않을 뿐만아니라, 비록 찢어지지 않아도 마찰에 의한 지분(紙紛) 즉 종이가루의 발생으로 이어져 문제가 생긴다.
한편, 티슈 페이퍼의 인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출구의 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하면, 티슈 페이퍼의 인출성은 향상되지만, 이번에는 티슈 페이퍼의 유지성이 악화되어 티슈 페이퍼의 수납 상자 내에 빠지기 쉽게 되는 동시에, 인출구로부터 먼지 등이 들어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것이며, 가정용 박엽지의 인출성 및 유지성의 양쪽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교호적으로 절첩되어 적층된 가정용 박엽지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면의 커버부가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를 절취하여 형성되는 인출구를 통해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상면이 직사각형인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구의 전체 길이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으로 크고, 또한 그 폭방향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한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다른 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부가, 그 제1 날개부의 수와 제2 날개부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각각의 선단부 간극 간격으로서, 상기 폭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날개부끼리 또는 상기 제2 날개부끼리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한편, 각각 독립하여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 중심선」이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의미한다. 또한, 「인출구의 전체 길이」란 인출구의 최대 길이를 말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는,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 측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어 대향하는 양쪽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각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각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양쪽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교호적으로 절첩되어 적층된 가정용 박엽지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면의 커버부가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를 절취하여 형성되는 인출구를 통해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상면이 직사각형인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구의 전체 길이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으로 크고, 또한 그 폭방향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한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다른 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부가, 그 제1 날개부의 수와 제2 날개부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각각의 선단부 간극 간격으로서, 상기 폭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각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날개부의 아래쪽에 형성된 접이용 선과,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 형성된 접이용 선의 폭과 깊이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교호적으로 절첩되어 적층된 가정용 박엽지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면의 커버부가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를 절취하여 형성되는 인출구를 통해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상면이 직사각형인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구의 전체 길이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으로 크고, 또한 그 폭방향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한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다른 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부가, 그 제1 날개부의 수와 제2 날개부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각각의 선단부 간극 간격으로서, 상기 폭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는,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 측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어 대향하는 양쪽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각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양쪽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 형성된 접이용 선과, 상기 양쪽 날개부의 아래쪽에 형성된 접이용 선의 폭과 깊이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각각의 선단 부분은, 직선 형상 또는 파형(波形)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한쪽으로부터 길게 뻗은 제1 날개부와,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다른 쪽으로부터 길게 뻗은 제2 날개부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날개부의 선단부와 제2 날개부의 선단부가 엇갈리게 나란히 배치되게 되어, 그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 중 적어도 한쪽에 가정용 박엽지가 쉽게 접촉하도록 하여, 가정용 박엽지가 인출구로부터 수납 상자 내에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하는 가정용 박엽지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양호한 간격인 3mm ~ 17mm로 배치된 제1 날개부의 선단부와 제2 날개부의 선단부가 가정용 박엽지와 접촉함으로써, 가정용 박엽지에 바람직한 인출 저항이 부여되므로, 가정용 박엽지의 인출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2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2: 티슈 페이퍼(가정용 박엽지)
3: 파단용 절취선
11: 인출구
12: 커버부
13a: 제1 날개부
13b: 제2 날개부
13c: 양쪽 날개부
14a, 14b, 14c: 접이용 선
15: 손가락 구멍
C1: 길이 방향 중심선
C2: 폭방향 중심선
[제1 실시예]
도 1은, 필름이 접착되지 않은 구조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이하, 수납 상자라고 함)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이 수납 상자의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이 수납 상자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 「필름이 접착되지 않은」이란, 인출구에, 슬릿이 형성된 수지 필름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수납 상자(1)는, 예를 들면, 길이 방향의 길이가 160 ~ 250mm, 폭방향의 길이가 100 ~ 120mm, 높이가 50 ~ 120mm인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 수납 상자이며, 이 수납 상자(1) 내에 티슈 페이퍼(2)…가 팝업 가능하게 적층되어 수납된다.
수납 상자(1)의 상면(1a)에는, 티슈 페이퍼(2)…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인출구(11)는, 최초의 사용 시에, 수납 상자(1)의 상면(1a)에 형성된 루프형의 파단용 절취선(3)을 따라 수납 상자(1)의 일부인 커버부(12)를 절취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파단용 절취선(3)은 연속하여 루프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커버부(12)를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면, 인출구(11)의 에지도 연속하여 루프형을 이루게 된다. 수납 상자(1)는 이 상태로 사용된다. 여기서, 「연속하여 루프형을 이룬다」는 것은, 에지의 도중에 커트인(cut-in)하여, 갈라진 곳이 없이 전체가 연속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인출구(11)는 수납 상자(1)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 인출구(11)의 치수는, 수납 상자(1)의 길이 방향에서 폭방향에 비해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인출구(11)의 길이 방향 길이는, 수납 상자(1)의 상면의 길이 방향 길이의 60 ~ 96%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을 60%로 한 것은, 60%보다 작게 하면, 티슈 페이퍼의 양단이 강하게 마찰되어 인출성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이 인출구(11)는, 비교적 큰 원호형의 에지(11-1)와, 대략 U자형의 에지(11-2)와, 비교적 작은 원호형의 에지(11-3)와, 직선형의 에지(11-4)와, 비교적 작은 원호형의 에지(11-5)와, 대략 U자형의 에지(11-6)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루프형의 에지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인출구(11)의 에지에는, 원호형의 에지(11-1)가 자유단 에지를 구성하고, 인출구(11)의 내측을 향해 원호형으로 부풀어 길게 뻗은 1개의 제1 날개부(13a)와, 원호형의 에지(11-3)와 (11-5)가 자유단 에지를 구성하고, 인출구(11)의 내측을 향해 원호형으로 부풀어 정렬되도록 길게 뻗은 2개의 제2 날개부(13b, 13b)가, 수납 상자(1)의 상면(1a)의 길이 방향 중심선(C1)(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날개부(13a)는,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사이에 둔 한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향해 수납 상자(1)의 상면(1a)의 폭방향(길이 방향 중심선(C1))과 직교하는 폭방향 중심선(C2)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제1 날개부(13a)의 아래쪽에 접이용 선(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날개부(13b)는,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사이에 둔 다른 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향해 수납 상자(1)의 상면(1a)의 폭방향(폭방향 중심선(C2)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제2 날개부(13b)의 아래쪽에 접이용 선(14b)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날개부(13a)와 제2 날개부(13b)는, 각각의 접이용 선(14a, 14b)의 근방인 기단부(基端部)로부터, 각각의 자유단 에지의 선단부까지의 날개부의 연장 방향(폭방향 중심선(C2)을 따른 방향)의 길이를 거의 같게 하고, 제1 날개부(13a)의 폭 방향의 길이는, 제2 날개부(13b)의 폭 방향의 길이의 약 2배이며, 제1 날개부(13a)는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따른 방향으로 폭넓은 형상을 이루고, 제2 날개부(13b)보다 큰 사이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날개부(13a)의 선단부의 배치와 제2 날개부(13b)의 선단부의 배치는,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따른 방향으로 어긋나, 그 길이 방향 중심선(C1)에 대하여 엇갈리는 배치로 되어 있다.
특히, 제1 날개부(13a)의 선단부와 제2 날개부(13b)의 선단부는, 폭방향 중심선(C2)을 따른 방향으로, 3mm 이상 17mm 이하의 간격을 가지는 배치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한쪽의 제2 날개부(13b)의 선단부와 제1 날개부(13a)의 선단부가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간극 간격으로서 폭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다.
이 제1 날개부(13a)의 선단부와 제2 날개부(13b)의 선단부 간극 간격이 3mm 미만이면, 수납 상자(1)로부터 티슈 페이퍼(2)를 인출할 때 인출구(11)의 제1 날개부(13a)나 제2 날개부(13b)에 티슈 페이퍼(2)가 강하게 마찰되므로 인출 저항이 커져, 티슈 페이퍼(2)가 찢어지거나 하여 인출성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초의 1세트의 티슈 페이퍼(2)를 인출구(11)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제1 날개부(13a)의 선단부와 제2 날개부(13b)의 선단부 간극 간격이 17mm보다 크면, 티슈 페이퍼(2)의 인출성은 향상되지만, 각 날개부(13a, 13b)에 의한 티슈 페이퍼(2)의 유지성이 악화되어 버리므로, 티슈 페이 퍼(2)가 수납 상자(1) 내로 빠져버리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한 제1 날개부(13a)의 선단부와 제2 날개부(13b)의 선단부 간극 간격은, 3mm 이상 15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mm 이상 8mm 이하이다.
접이용 선(14a)은, 제1 날개부(13a)의 아래쪽에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몰드에 의해 가압하여 형성된,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따른 직선형의 오목한 곳이며, 제1 날개부(13a)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접이용 선(14b)은, 제2 날개부(13b)의 아래쪽에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몰드에 의해 가압하여 형성된,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따른 직선형의 오목한 곳이며, 제2 날개부(13b)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1 날개부(13a)의 아래쪽의 접이용 선(14a)과, 제2 날개부(13b)의 아래쪽의 접이용 선(14b)은, 그 접이용 선의 폭이나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접이용 선(14a)은 폭 0.6mm, 깊이 0.4mm 정도 오목하게 되어 있고, 접이용 선(14b)은 폭 0.4mm, 깊이 0.2mm 정도 오목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직선형의 접이용 선(14a, 14b)으로 하고 있지만, 수납 상자(1)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한 원호형의 접이용 선이라도 된다. 또한, 이 접이용 선은 날개부의 아래 전역에 연장되는 것은 아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날개부(13a)나 제2 날개부(13b)에 있어서의 밑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돌출 길이는, 티슈 페이퍼(2)…가 각 날개부(13a, 13b)에 유지되는 정도면 되고, 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티슈 페이퍼(2)…의 크기나 수납 상자(1)의 폭방향의 길이 및 인출구(11)의 크기에 따라 적당히 결정하면 된다.
커버부(12)는 인출구(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커버부(12)에는, 반원형의 파단용 절취선이 형성되고, 이 파단용 절취선의 내부에 손가락을 대어 힘을 가하면, 파단용 절취선의 내부가 수납 상자(1)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구멍(15)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수납 상자(1)에 수납되는 티슈 페이퍼(2)에 대하여 설명하면, 티슈 페이퍼(2)는, 그 절첩축 방향의 길이가 100 ~ 245mm로 되어 있다.
이 티슈 페이퍼(2)…는, 2매가 1세트(1단위)로 되고, 1세트 1세트가 계속하여 상자에서 꺼낼 수 있도록 교호적으로 절첩되어 있고 한쪽의 날개부(예를 들면, 제1 날개부(13a))에 유지되어 있는 티슈 페이퍼 1세트를 밖으로 인출했을 때, 다음의 티슈 페이퍼 1세트가 수납 상자(1)의 내부로부터 다른 쪽의 날개부(예를 들면, 제2 날개부(13b))에 유지되는 위치까지 인출되는 접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즉, 티슈 페이퍼(2)…는, 1세트마다 인출할 때, 각 날개부(13a, 13b)에 교호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납 상자(1)이면, 바람직한 간격으로 형성된 각 날개부(13a, 13b)의 선단 정상부가 티슈 페이퍼(2)와 점 접촉하게 되고, 티슈 페이퍼(2)의 인출성 및 유지성의 양쪽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1]
도 4는 변형예 1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 1은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의 변형예이다.
변형예 1의 수납 상자(1)에서는, 제1 날개부(13a)의 선단 부분 및 제2 날개부(13b)의 선단 부분의 형상이,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따른 직선 형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변형예 1의 수납 상자(1)는, 그 외의 점에서는,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변형예 1의 수납 상자(1)는, 적당히,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의 설명 부분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변형예 1에 의하면, 각 날개부(13a, 13b)의 선단측이 티슈 페이퍼(2)와 선 접촉하게 되므로, 티슈 페이퍼(2)의 유지성은 높아지게 된다.
[변형예 2]
도 5는 변형예 2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 2는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의 변형예이다.
변형예 2의 수납 상자(1)에서는, 제1 날개부(13a)의 선단 부분 및 제2 날개부(13b)의 선단 부분의 형상이,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따라 연속하는 파형(波形) 형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변형예 2의 수납 상자(1)는, 그 외의 점에서는,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변형예 2의 수납 상자(1)는, 적당히,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의 설명 부분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변형예 2에 의하면, 각 날개부(13a, 13b)의 선단측의 파형 형상의 요철(凹凸)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각 날개부(13a, 13b)의 선단측이 티슈 페이퍼(2)와 점 접촉하는 부분이나 영역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티슈 페이퍼(2)의 인출성 및 유지성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6은 필름이 접착되지 않은 구조의 수납 상자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이 수납 상자의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이 수납 상자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다음의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첫째,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크기 및 외형이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둘째,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수납 상자(1)의 내부에 수납되는 티슈 페이퍼(2)의 크기 및 수납 구조가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셋째,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인출구(11)가 커버부(12)를 파단용 절취선(3)을 따라 절취하여 형성되는 점, 인출구(11)가 수납 상자(1)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점, 인출구(11)의 치수가 수납 상자(1)의 길이 방향으로 크고, 또한 그 폭방향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점, 인출구(11)의 에지가 사용 상태에서 전 주위에 걸쳐 연속하여 루프형을 이루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넷째,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커버부(12)를 절취한 상태에서, 수납 상자(1)의 길이 방향이 상이한 위치에 선단부를 가지는 날개부가, 수납 상자(1) 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인출구(11)의 양측에 제1 날개부(13a)와 제2 날개부(13b)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점, 제1 날개부(13a)와 제2 날개부(13b) 각각의 선단부 간극 간격으로서 폭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는 점, 각 날개부의 아래쪽에 접이용 선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다섯째,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커버부(12)에 손가락 구멍(15)이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적당히,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의 설명 부분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가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상위한 점을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의 인출구(11)는, 3개 정렬된 비교적 작은 원호형의 에지(11-1, 11-2, 11-3)와, 대략 W자형의 에지(11-4)와, 2개 정렬된 비교적 큰 원호형의 에지(11-5, 11-6)와, 대략 W자형의 에지(11-7)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루프형의 에지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인출구(11)의 에지에는, 원호형의 에지(11-1, 11-2, 11-3)가 자유단 에지를 구성하고, 인출구(11)의 내측을 향해 원호형으로 부풀어 정렬되도록 길게 뻗은 3개의 제1 날개부(13a, 13a, 13a)와, 원호형의 에지(11-5)와 (11-6)가 자유단 에지를 구성하고, 인출구(11)의 내측을 향해 원호형으로 부풀어 정렬되도록 길게 뻗은 2개의 제2 날개부(13b, 13b)가, 수납 상자(1)의 상면(1a)의 길이 방향 중심 선(C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날개부(13a)와 제2 날개부(13b)는, 각각의 접이용 선(14a, 14b)의 근방인 기단부로부터, 각각의 자유단 에지의 선단부까지의 날개부의 연장 방향(폭방향 중심선(C2)을 따른 방향)의 길이가 거의 같으며, 제2 날개부(13b)의 폭 방향의 길이는, 제1 날개부(13a)의 폭 방향의 길이의 약 1.5배이며, 제2 날개부(13b)는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따른 방향으로 폭넓은 형상을 이루고, 제1 날개부(13a)보다 큰 사이즈로 되어 있다.
또한, 인출구(11)의 에지에는, 대략 W자형의 에지(11-4)와 (11-7)에 있어서의 각각의 중앙 측의 대략 반원형의 돌기부가 자유단 에지를 구성하고, 인출구(11)의 내측을 향해 길게 뻗은 각각의 양쪽 날개부(13c)가 폭방향 중심선(C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양쪽 날개부(13c)는, 인출구(11)의 길이 방향의 양단 측으로부터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따른 방향으로 길게 뻗어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양쪽 날개부(13c)가 티슈 페이퍼(2)와 접촉함으로써 티슈 페이퍼(2)가 수납 상자(1) 내로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양쪽 날개부(13c)의 아래쪽에는, 폭방향 중심선(C2)을 따른 직선형의 오목한 곳인 접이용 선(14c)이, 양쪽 날개부(13c)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직선형의 접이용 선(14c)으로 하고 있지만, 수납 상자(1)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한 원호형의 접이용 선이라도 된다. 또한, 이 접이용 선(14c)은 양쪽 날개부(13c)의 아래 전역에 연장되는 것은 아니어 도 된다.
특히, 제1 날개부(13a)의 아래쪽 접이용 선(14a)과 제2 날개부(13b)의 아래쪽 접이용 선(14b)과, 양쪽 날개부(13c)의 아래쪽 접이용 선(14c)은, 그 접이용 선의 폭이나 깊이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접이용 선(14a)은 폭 0.4mm, 깊이 0.2mm 정도 오목하게 되어 있고, 접이용 선(14b)은 폭 0.5mm, 깊이 0.3mm 정도 오목하게 되어 있고, 접이용 선(14c)은 폭 0.6mm, 깊이 0.4mm 정도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납 상자(1)라도, 티슈 페이퍼(2)의 인출성 및 유지성의 양쪽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외의 변형]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나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날개부의 수나, 인출구(11)의 에지인 날개부의 곡률 등은, 임의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7)

  1. 교호적으로 절첩되어 적층된 가정용 박엽지(薄葉紙)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면의 커버부가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를 절취하여 형성되는 인출구를 통해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상면이 직사각형인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구의 전체 길이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으로 크고, 또한 그 폭방향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한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다른 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부가, 그 제1 날개부의 수와 제2 날개부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각각의 선단부 간극 간격으로서, 상기 폭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날개부끼리 또는 상기 제2 날개부끼리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한편, 각각 독립하여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는,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 측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어 대향하는 양쪽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각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각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양쪽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5. 교호적으로 절첩되어 적층된 가정용 박엽지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면의 커버부가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를 절취하여 형성되는 인출구를 통해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상면이 직사각형인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구의 전체 길이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으로 크고, 또한 그 폭방향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한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다른 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부가, 그 제1 날개부의 수와 제2 날개부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각각의 선단부 간극 간격으로서, 상기 폭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각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날개부의 아래쪽에 형성된 접이용 선과,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 형성된 접이용 선의 폭과 깊이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6. 교호적으로 절첩되어 적층된 가정용 박엽지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면의 커버부가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를 절취하여 형성되는 인출구를 통해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상면이 직사각형인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구의 전체 길이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으로 크고, 또한 그 폭방향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한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둔 다른 쪽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부가, 그 제1 날개부의 수와 제2 날개부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각각의 선단부 간극 간격으로서, 상기 폭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는,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 측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어 대향하는 양쪽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각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날개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양쪽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용 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아래쪽에 형성된 접이용 선과, 상기 양쪽 날개부의 아래쪽에 형성된 접이용 선의 폭과 깊이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각각의 선단 부분은, 직선 형상 또는 파형(波形) 형상으로 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KR1020097012979A 2006-12-27 2007-12-26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KR101414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52674A JP4589912B2 (ja) 2006-12-27 2006-12-27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JP-P-2006-352674 2006-12-27
PCT/JP2007/074913 WO2008078763A1 (ja) 2006-12-27 2007-12-26 家庭用薄葉紙収納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103A KR20090094103A (ko) 2009-09-03
KR101414545B1 true KR101414545B1 (ko) 2014-07-01

Family

ID=3956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979A KR101414545B1 (ko) 2006-12-27 2007-12-26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89912B2 (ko)
KR (1) KR101414545B1 (ko)
CN (1) CN101573275A (ko)
WO (1) WO2008078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8832A1 (ja) * 2009-08-10 2011-02-17 Fujimoto Hiromichi シート収納箱
CN102633062B (zh) * 2012-04-01 2014-04-16 全利机械股份有限公司 抽取式纤维制品的包装构造
JP5732502B2 (ja) * 2013-09-12 2015-06-10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7415126B2 (ja) 2019-08-06 2024-01-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モータ支持部材及び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
JP7455544B2 (ja) * 2019-09-30 2024-03-26 大王製紙株式会社 シート収納箱
JP7438707B2 (ja) * 2019-09-30 2024-02-27 大王製紙株式会社 シート収納箱
JP7376304B2 (ja) * 2019-10-01 2023-11-08 大王製紙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ティシュー集合包装体及びフィルム包装ティシュー集合包装体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871A (ja) * 1995-11-27 1997-06-10 Sogo Package Kk ティシュペーパーカートン
JP2005225562A (ja) * 2004-01-16 2005-08-25 Oji Nepia Kk 衛生用紙入りカート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78449A (fr) * 1907-06-04 1907-10-04 Braunstein Et Cie Soc Nouveau système d'étui pour feuilles de papier à cigarettes
JPS58121871U (ja) * 1982-02-15 1983-08-19 十條セントラル株式会社 テツシユペ−パ−類容器の繰出口装置
JPS6111573U (ja) * 1984-06-25 1986-01-23 鶴治 横田 テツシユ−の取り出し口
JPS63102680U (ko) * 1986-12-22 1988-07-04
JPH0928613A (ja) * 1995-07-20 1997-02-04 Kyodo Printing Co Ltd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紙箱
JP4324774B2 (ja) * 2002-10-21 2009-09-02 王子製紙株式会社 衛生用紙入りカートン
JP2004208765A (ja) * 2002-12-27 2004-07-29 Daio Paper Corp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紙箱
JP3670650B2 (ja) * 2003-02-28 2005-07-13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2006027648A (ja) * 2004-07-14 2006-02-02 Kimura Kigata:Kk 積層紙類の包装容器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871A (ja) * 1995-11-27 1997-06-10 Sogo Package Kk ティシュペーパーカートン
JP2005225562A (ja) * 2004-01-16 2005-08-25 Oji Nepia Kk 衛生用紙入りカー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62624A (ja) 2008-07-17
WO2008078763A1 (ja) 2008-07-03
CN101573275A (zh) 2009-11-04
JP4589912B2 (ja) 2010-12-01
KR20090094103A (ko)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545B1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KR101488553B1 (ko) 위생 박엽지 수납상자
KR101414544B1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CA2330098C (en) A tissue box
JP5041806B2 (ja) 家庭用衛生薄葉紙の収納箱
MX2009001048A (es) Dispensador de pañuelos oblongo.
ATE303322T1 (de) Behälter für einen stapel von ineinandergefalteten papiertüchern
JP5475552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2007112503A (ja) 衛生用紙収納用カートン
JP4538444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2002362537A (ja) 紙箱の把手
JP2004018010A (ja) 衛生薄葉紙収納箱
JP2008195412A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収納箱
JP2013166593A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及び家庭用薄葉紙収納箱における家庭用薄葉紙の詰め替え方法
CN104470826A (zh) 片材分配器
JP4409026B2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カートン
JP3208788U (ja) 紙製容器
WO2021153509A1 (ja) シート収納箱
JP5503415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
KR200269902Y1 (ko) 개봉이 용이하도록 칼선이 형성된 봉투
JP2023033740A (ja) 薄葉紙収納箱
JP3089834U (ja) 両取出式ティッシュ箱
JP2005170480A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収容箱
JPH1077047A (ja) ロール状フィルムの収容箱
JP2022011182A (ja) シート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