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999B1 - 핀펫 디바이스들 - Google Patents

핀펫 디바이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999B1
KR101412999B1 KR1020120102726A KR20120102726A KR101412999B1 KR 101412999 B1 KR101412999 B1 KR 101412999B1 KR 1020120102726 A KR1020120102726 A KR 1020120102726A KR 20120102726 A KR20120102726 A KR 20120102726A KR 101412999 B1 KR101412999 B1 KR 10141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adjacent
forming
conductor
fi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687A (ko
Inventor
시앙동 첸
아그네스 우
헨리 첸
웨이 시아
Original Assignee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4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20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8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gate at the side of the channel
    • H01L29/6679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gate at the side of the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01L29/785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with at least two independent g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01L29/7856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with an non-uniform gate, e.g. varying doping structure, shape or composition on different sides of the fin, or different gate insulator thickness or composition on opposing fin s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92Capacitors with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9/94Metal-insulator-semiconductors, e.g. MO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FinFET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각종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한 쌍의 정합 캐패시터는 공통 소스, 드레인 및/또는 채널을 공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 특성은 상호 유사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FinFET 기술들을 이용하여 제조된 레지스터가 또한 설명된다. 레지스터는 상기 레지스터에 의해 기판을 따라 가로질러진 거리보다 더 긴 유효 길이로써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핀펫 디바이스들{FINFET DEVICES}
본 발명은 핀펫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레이아웃 밀도가 증가하고 있다. 반도체 기판 상에 비평면(non-planar) 구조들을 만들기 위해 핀(fin)-타입 제조 기술들이 이용된다. 이러한 기술들에 있어서, 반도체 "핀"이 형성되며, 이는 디바이스의 게이트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채널, 소스, 및/또는 드레인이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외부로 융기(raised out)될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밀도가 증가되며, 이는 디바이스로부터 잠재적인 전류 누설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들에 따라 제조된 디바이스는 흔히 핀 형상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n-shaped field effect transistor; FinFET)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핀(fin)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핀 구조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핀 구조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것인, 단계; 상기 실리콘 기판에 상기 제 1 측면에 인접한 제 1 트렌치(trench)와 상기 제 2 측면에 인접한 제 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트렌치와 상기 제 2 트렌치 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측면에 인접한 제 1 절연체 구조와 상기 제 2 측면에 인접한 제 2 절연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절연체 구조에 인접한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절연체 구조에 인접한 제 2 절연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전하는 상기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핀 구조 사이에 유지(hold)되고, 제 2 전하는 상기 제 2 도전체 구조와 상기 핀 구조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반도체 기판에서 제 2 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핀 구조는 제 3 측면과 제 4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 3 측면과 상기 제 4 측면은 상기 제 2 핀 구조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 2 핀 구조는 상기 제 1 트렌치에 인접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제 3 측면에 인접한 제 3 절연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3 전하는 상기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핀 구조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핀 구조에 인접한 제 3 도전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도전체 구조는 상기 제 2 도전체 구조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하드 마스크층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핀 구조의 자리(location)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드 마스크층 상에, 상기 핀 구조의 단면적의 표면적을 가지도록 크기가 변경된, 포토레지스트를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층을 에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절연체층과 상기 제 2 절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드 마스크층을 에칭한 다음에 절연체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 재료는 상기 핀 구조와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도전체 구조는 금속, 실리사이드, 및 폴리실리콘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도체 기판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절연체 구조와 상기 제 2 절연체 구조는 고-k 유전체 재료(high-k dielectric material) 및 산화물 절연체 재료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합 캐패시터 쌍(matched capacitor pair)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는: 반도체 기판 내 핀 구조로서, 상기 핀 구조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핀 구조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것인, 핀 구조; 상기 실리콘 기판에서 상기 제 1 측면에 인접한 제 1 트렌치와 상기 제 2 측면에 인접한 제 2 트렌치; 상기 제 1 트렌치와 상기 제 2 트렌치 내의 절연층; 상기 제 1 측면에 인접한 제 1 절연체 구조와 상기 제 2 측면에 인접한 제 2 절연체 구조; 및 상기 제 1 절연체 구조에 인접한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절연체 구조에 인접한 제 2 절연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도전체 구조는 금속, 실리사이드, 및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연체 구조와 상기 제 2 절연체 구조는 고-k 유전체 재료와 산화물 절연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레지스터를 형성하는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적어도 하나의 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 구조는 제 1 측면, 제 2 측면 및 상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 구조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것인, 단계; 상기 실리콘 기판에서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측면, 상기 제 2 측면 및 상기 상면에 인접한 절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체층에 인접한 도전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도전체 구조는 상기 제 1 측면, 상기 제 2 측면, 및 상기 상면을 가로지르는(traverse)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체 구조는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금속 중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반도체 기판에 n-웰(well)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웰은 상기 핀 구조 아래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 2 절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절연체층은 상기 실리콘 기판과 상기 핀 구조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절연체층은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증착된 산화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 구조는 복수의 핀 구조들을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도전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핀 구조들 각각의 상기 제 1 측면, 상기 제 2 측면, 및 상기 상면을 더 가로지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체 구조는 고-k 유전체 재료와 산화물 절연체 재료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 측면들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크기가 조정될 필요는 없으며,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중점을 둔다. 또한, 도면들 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몇몇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정합 캐패시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한 쌍의 정합 캐패시터들의 대안적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한 쌍의 정합 캐패시터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구조 및/또는 게이트 구조의 추가 개수를 갖는 한 쌍의 정합 캐패시터들의 대안적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지스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FinFET 기술들을 이용함에 의한 정합 캐패시터들과 레지스터들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금속-산화물-반도체 캐패시터들(Metal-Oxide-semiconductor capacitors, MOSCaps)이 반도체 디바이스들에 흔히 이용된다. 추가적으로,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사 및/또는 동일한 캐패시턴스를 갖는 정합 MOSCap들이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대해서 흔히 요구된다. 특히, 아날로그 신호들을 이용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들은 반도체 기판상에 제조된 두 개 이상의 캐패시터들의 캐패시턴스 정합을 보통 요구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MOSCap의 캐패시턴스 값은 캐패시터의 면적, 실리콘의 도핑, 및/또는 유전체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리콘 도핑뿐만 아니라 유사 및/또는 거의 동일한 캐패시터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정합 캐패시터들(100) 또는 MOSCaps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의 도면들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계에 있어, 절연체 또는 유전체 두께 또한 각각의 캐패시터 사이에서 유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1 및 C2로 표기된 한 쌍(100)의 정합 캐패시터들의 동작 이치를 도시한 것이다. 한 쌍의 캐패시터들(C1 및 C2)은 공통 드레인(103) 및 소스(105)를 공유한다. 전하가 각각의 게이트(107, 109) 및 공통 채널을 걸쳐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 설계와 관련하여 상호 캐패시터들의 정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합 캐패시터들(100)의 대안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FinFET 기술들을 이용하여 캐패시터들이 어떤 방식으로 3차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핀 구조(201)가 반도체 기판(203)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핀 구조(201) 자체뿐만 아니라 반도체 기판은, 예를 들어, 실리콘, 게르마늄, 또는 임의의 다른 반도체 재료와 같은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하가 각각의 게이트(107, 109)와 핀 구조에 걸쳐서 각각 유지될 수 있도록, 각 캐패시터(C1 및 C2)의 게이트들(107, 109)은 핀 구조(201)와 인접하여 반도체 기판의 맨 위에 도전 재료를 이용하여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캐패시터들(C1 및 C2)의 각각이 소스(105)와 드레인(103)뿐만 아니라 공통 반도체 핀 구조(201)를 공유하기 때문에, 각각의 캐패시턴스 속성(properties)은 이러한 특성(characteristics)을 포함하지 않는 설계에 비하여 밀접하게 정합된다. 추가적으로, 각 게이트(107, 109)가 도전 재료의 단일 증착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각 게이트(107, 109)의 화학적 및 물리적 속성 또한 거의 유사하다. 마찬가지로, 각 게이트(107, 109)와 핀 구조(201) 사이에 형성된 유전체 또는 절연체가 재료의 단일 증착으로 또한 형성되어, 동일한 이익을 가져온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2개의 정합 MOSCap들은 동일한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되고, 따라서, 각 캐패시터의 채널 도핑과 캐패시터 크기(capacitor dimensions)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 3 내지 도 7을 이하 참조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정합 캐패시터들은 FinFET 기반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반도체 기판(301)이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판(301)은, 예를 들어, 웨이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웨이퍼 상에는 반도체 디바이스들을 형성하는 다양한 다른 층들이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증착된다. 기판(301)은, 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 게르마늄, SiGe, Ga, As 및/또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FinFET 제조 기술들과 호환 가능한 임의의 다른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합 캐패시터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드 마스크층(hard mask layer)(303)이 반도체 기판(301) 상에 증착될 수 있다. 하드 마스크층은, 예를 들어, 산화물층 또는 질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핀 구조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증착된다. 포토레지스트층(photoresist layer)(305)이 하드 마스크층(303) 상에 또한 증착된다. 포토레지스트층(305)은 정합 캐패시터들의 핀 구조의 표면적에 대응하는 영역에 증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포토레지스트층(305)은 도 2의 예시 도면에서 소스(103), 드레인(105), 및 채널을 포함하는 핀 구조(201)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있을 수 있다.
이제 다음의 도면에 도시되는 정합 캐패시터들의 일부를 번갈아 형성하는 반도체 핀 구조(401)의 형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 4를 참조한다. 핀 구조(401)는 포토레지스트층(301)이 증착되어 있지 않은 기판(301)의 일부를 에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드 마스크층(303)과 기판(301)의 일부는, 포토레지스트층(305)이 증착되지 않은 반도체 기판(301)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종래 임의의 습식 또는 건식 에칭 기술들과 같은, 적당한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에칭되지 않을 수 있다. 핀 구조(401)를 형성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도체 기판(301)의 에칭은 핀 구조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에 인접한 트렌치(trench)(403, 405)를 형성하기 위해 또한 작용할 수 있다. 핀 구조(401) 옆에 트렌치들을 형성하기 위해 별개의 에칭 프로세스가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제 핀 구조와 인접한 각각의 트렌치(403, 405) 내에 절연층(511, 513)의 형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 5를 참조하고자 한다. 포토레지스트층(305)은 화학 에칭 기술 또는 포토레지스트층(305)를 제거하는데 적당한 임의의 다른 기술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절연층(511, 513)은 그런 후에 반도체 기판상으로 증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핀 구조(401) 및/또는 다음의 도면들에 도시된 정합 캐패시터들의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로의 전류 누설 또는 그들로부터의 전류 누설을 감소 및/또는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절연 또는 유전 재료 또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얕은 트렌치 격리(STI; shallow trench isolation)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얕은 트렌치(shallow trench)들은 핀 구조(401)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초과 재료(excess material) 또는 트렌치들의 높이 위로 연장하는 트렌치들 내로 증착된 재료로써 얕은 트렌치들에 증착된 절연층은 차후에 에칭되어 제거될 수 있다.
핀 구조(401)상에 절연체층(621)과 도전체층(619)의 증착을 나타내는 도 6을 이하에서 참조한다. 절연체층(621)은 핀 구조(401) 상으로 증착되어 핀 구조(401)의 노출면들을 덮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절연체층(621)은 증착되어 핀 구조(201)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뿐만 아니라 핀 구조(201)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절연체층(621)은, 예를 들어, 산화물 재료, 고-k 유전체(high-K dielectric), SiO2, 또는 절연 속성을 가지고 FinFET 디바이스들에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체층(conductor layer)(619)이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증착될 수 있다. 도전층(619)은 도전성 금속, 다결정 실리콘, 폴리실리콘, 또는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반도체 디바이스 내의 도전성 재료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도전성 재료와 같은 임의의 도전성 재료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절연층들(511, 513)의 상부뿐만 아니라 절연체층(621)에 인접하도록 도전체층(619)이 증착될 수 있다. 제 1 게이트 및 제 2 게이트는 다음의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층(619)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정합 캐패시터(100)를 나타내고 있는 도 7을 이하 참조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적인 제 1 절연체 구조(731) 및 제 2 절연체 구조(733)가 핀 구조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되도록, 절연체층(621)은 FinFET 제조 공정에 적합한 종래 에칭 기술들을 이용하여 에칭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도전체 구조(741)와 제 2 도전체 구조(743)가 제 1 절연체 구조(731)와 제 2 절연체 구조(733)에 각각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FinFET 제조 공정에 적합한 종래 에칭 기술들을 이용하여 선택된 도전성 재료뿐만 아니라 도전층(619) 또한 에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별개의 구조들이 핀 구조(401)의 반대 측면들 상에 형성되도록, 도 6에 도시된 도전층(619)뿐만 아니라 절연체층(621)이 충분한 정도로 에칭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핀 구조(401) 위에 증착된 하드 마스크(303)는 제거되도록 에칭되지 않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드 마스크층(303)은 핀 구조(401)의 구조적인 안정성에 도움을 주도록 핀 구조(401) 위에 잔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절연체층(621)의 증착 전에 제거되도록 하드 마스크층(303)이 에칭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연체층(621)은 핀 구조(401)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에 인접한 별개의 제 1 절연체 구조(731)와 제 2 절연체 구조(733)를 형성하기 위해 또한 에칭될 수 있다. 묘사된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하가 핀 구조(401)뿐만 아니라 각각의 도전체 구조에 걸쳐서 유지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한 쌍의 정합 캐패시터는 공통 반도체 핀 구조(401)를 공유하고 그리고 도전성 재료의 공통 증착에 의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한 쌍의 캐패시터들의 속성은 매우 유사하고 정합 캐패시터들을 요구하는 응용들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정합 캐패시터(20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 8을 이하 참조한다. 도 8에 도시된 일례에서, 핀 구조들(801)뿐만 아니라 도전체 구조들(851, 853)의 교번 어레이(alternating array)가 요망되는 정합 캐패시터 쌍의 캐패시턴스 속성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구조에서, 복수 반도체 핀 구조들의 각각의 측면에 차례로 인접한 절연체 구조들에 복수의 도전체 구조들이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제 1 캐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반도체 핀 구조들의 다른 측면에 차례로 인접한 절연체 구조들에 복수의 별개 도전체 구조들이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제 2 캐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캐패시터와 제 2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도전체 구조들(851, 85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 구조(871, 873)와 도전적으로뿐만 아니라 기계적으로 링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자는 필요에 따라 게이트 도전체 구조들뿐만 아니라 핀 구조의 개수를 증가시켜 큰 캐패시턴스를 갖는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일례에서, 복수의 핀 구조들(801)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각각의 핀 구조에 인접하여 절연층들(803)이 형성된다. 절연체 구조들(807)이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핀 구조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 각각에 인접하여 또한 형성된다. 도전체 구조들(851, 853)이 절연체 구조들(807)에 인접하여 또한 형성된다. 도전체 구조들(851, 853)이 도시된 교번 어레이에서 인접한 핀 구조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하가 도전체 구조들과 2개 인접한 핀 구조들에 걸쳐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inFET 기술로 제조된 레지스터(300)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 10a 및 도 10b를 이하 참조한다. 비실리사이드 폴리 레지스터(unsilicided poly resistor)들은 집적회로 설계에 널리 이용된다. 일부 설계에서, 특히 어떤 아날로그 회로에서 큰 저항이 요구된다. 반도체 디바이스 내의 레지스터의 저항은 다음의 식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에서, R은 저항의 정도(예를 들어, 오옴)이고, ρ는 레지스터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재료의 저항률 정도이며, L은 레지스터의 길이이고, 그리고 A는 그의 단면적이다:
R = ρ* L/A
일부 실시예들에서, 레지스터의 저항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면적을 대신하여, 레지스터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도전체의 폭이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특정 설계에 따라 큰 저항을 얻기 위해, 그 저항 값에 비례하는 절대 길이(absolute length)를 갖는 레지스터가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레지스터 설계와 그에 의해 기판 상에 대응하는 추가 공간의 소모 없이 유효 길이가 증가될 수 있는 레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지스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지스터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시된 일례에서, 도전체층(1001)은 하나 이상의 반도체 핀 구조들(1003)의 맨 위에 증착된다. 다음의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연체는 핀 구조들(1003)과 도전체층(1001) 사이에 증착된다.
따라서, 도 10a의 레지스터(30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는 도 10b를 이하 참조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체층(1001)은 도전체를 반도체 핀 구조들(1004)로부터 절연하는 절연체층(1005) 위에 증착된다. 도 10b의 비-제한적인 예시적 레지스터는 핀 구조들(1003)에 인접하여 형성된 절연층들(1007)에 의해 보다 더 정의된다. 다시 말해, 제조 공정은, 예를 들어, 도전체층(1001)으로부터 기판까지의 전류 누설을 감소 및/또는 방지하기 위해 얕은 트렌치 격리(STI, shallow trench isolation) 기술들을 이용한다.
기판은, 예를 들어, 도시된 핀 구조들(1003)이 형성될 수 있는 p-형 반도체 기판(1011)을 포함할 수 있다. 레지스터는 핀 구조(1003)의 일부분 아래의 p-형 반도체 기판(1011)에 형성된 n-웰(1009)에 의해 또한 특징지어진다. 확산, 이온 주입, 및/또는 p-형 기판(1011)에 n-웰을 형성하는 임의의 기타 공지 기술들에 의해 n-웰(1009)이 형성될 수 있다. n-웰(1009)은 p-형 기판과 도전체층(1001) 사이의 절연을 돕기 위해 p-형 기판(1011)에 형성된다.
따라서, FinFET 제조 기술들이 도시된 레지스터에서 이용되기 때문에, 도전체층(1001)에 의해 이동하는 직선거리보다 도전체의 유효 길이가 더 길다. 도시된 예에서, 유효 길이는 다음의 방정식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L eff 는 도전체의 유효 길이이고, L은 도전체에 의해 가로질러진 직선거리이며, H는 도전체의 높이이고, 그리고 N은 도전체층(1001)이 형성된 핀 구조들(1003)의 개수이다:
L eff = L + 2 * h * N
상술한 방정식에 따르면, 도전체층(1001)의 유효 길이는 반도체 기판(1011)에 대해 도전체층(1001)에 의해 가로질러진 직선 거리뿐만 아니라 도전체층(1001)이 증착된 핀 구조들(1003)의 높이를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지스터의 제조를 나타내는 도 11 내지 도 17을 이하 참조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 마스크층(1013)이 반도체 기판(1011)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1011)은 p-형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드 마스크층(1013)은 질화물, 산화물, 및/또는 유사한 속성을 갖는 공지된 다른 재료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포토레지스트층(1015)이 핀 구조가 요망되는 각각의 위치에서 하드 마스크층(1013) 위에 증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영역들(regions)이 규정될 수 있도록 기판(1011)과 하드 마스크층(1013)이 에칭되고, 포토레지스트층(1015)이 제거될 수 있다. 반도체 리소그래피 및/또는 임의의 기타 기술들과 같은 적절한 에칭 기술들이 이용되어 포토레지스트층(1015)이 배치되지 않은 하드 마스크층(1013)을 에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드 마스크층(1013)은 구조의 형성 동안 및/또는 구조의 형성 후 핀 구조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핀 영역들을 규정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11)은 핀 구조들(1003)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에칭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에칭은 얕은 트렌치 격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각각의 핀 구조에 인접한 트렌치들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n-웰(1009)은 핀 구조(1003) 아래의 기판 영역에 적절한 도펀트들을 부여함으로써 핀 구조(1003)의 밑에 형성될 수 있다. P-형 반도체 재료가 남아있는 핀 구조(1003)뿐만 아니라 n-웰(1009) 아래에 P-형 반도체 기판(1011)의 일부가 남아 있도록 n-웰(1009)이 기판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핀 구조(1003)에 인접한 트렌치들에서 절연층들(1005)의 증착을 나타내는 도 14를 이하 참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얕은 트렌치 격리 절차에 이용된 절연층들(1005)은 산화물층 또는 얕은 트렌치 격리를 이용하는데 적당한 임의의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에서, 핀 구조들(1003)이 반도체 기판(1011)과 n-웰(1009) 위에 노출되도록 절연층들(1005)은 에칭될 수 있다.
도 16은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도전체로부터 각각의 핀 구조들(1003)을 절연할 수 있는 절연체층(1017)의 증착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핀 구조(1003) 위에 증착된 절연체층(1017)은 절연체 재료를 대량으로 증착하고 이어서 증착된 절연체 재료를 에칭함으로써 형성되어, 각각의 핀 구조들(1003) 위에 도시된 절연체층들(1017)을 형성할 수 있다. 절연체층(1017)은, 예를 들어, 산화물 재료, 고-k 유전체(high-K dielectric) 재료, 또는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절연체로서 역할을 하기 위한 적당한 임의의 기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핀 구조체들(1003) 위에 증착된 도전체층(1020)의 형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전체층(1020)은 폴리실리콘, 금속, 또는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도전체로서 이용하는데 적당한 임의의 기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체층(1020)은 각각의 핀 구조(1003)의 제 1 측면, 상면, 및 제 2 측면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핀 구조들(1003)의 개수는 레지스터의 유효 길이 및 그에 따른 요망되는 저항을 얻을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도시되어 상술된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들의 크기를 반드시 조정할 필요가 없으며 도시된 디바이스들의 여러 층들 사이 경계를 표시하는 선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또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된 층들과 구조들을 규정하는 선들이 직선 및/또는 직각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그 도면들은 단지 본 명세서 내에서 논의된 개념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된 특정 제조 단계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가능한 구현들 예시들이고, 단지 본 발명의 원칙들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었음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과 원리들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든 변형 및 수정들은 본 명세서 및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기에 포함되어 있으며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하기 위함이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capacitor)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반도체 기판에 핀(fin)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핀 구조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핀 구조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opposing) 것인,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에 상기 제 1 측면에 인접한 제 1 트렌치(trench)와 상기 제 2 측면에 인접한 제 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트렌치와 상기 제 2 트렌치 내에 절연층(isolation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측면에 인접한 제 1 절연체 구조와 상기 제 2 측면에 인접한 제 2 절연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절연체 구조에 인접한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절연체 구조에 인접한 제 2 도전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도전체 구조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전하는 상기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핀 구조 사이에 유지되고(held) 제 2 전하는 상기 제 2 도전체 구조와 상기 핀 구조 사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2 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핀 구조는 제 3 측면과 제 4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측면과 상기 제 4 측면은 상기 제 2 핀 구조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며, 상기 제 2 핀 구조는 상기 제 1 트렌치에 더 인접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제 3 측면에 인접한 제 3 절연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 3 전하는 상기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핀 구조 사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핀 구조에 인접한 제 3 도전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도전체 구조는 상기 제 2 도전체 구조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에 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하드 마스크층(hard mask layer)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핀 구조의 자리(location)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드 마스크층 상에, 상기 핀 구조의 단면적(cross-sectional area)의 표면적(surface area)을 가지도록 사이즈된(sized), 포토레지스트를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층을 에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체 구조와 상기 제 2 절연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드 마스크층을 에칭한 다음에 절연체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 재료는 상기 핀 구조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도전체 구조는 금속, 실리사이드, 및 폴리실리콘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체 구조와 상기 제 2 절연체 구조는 고-k 유전체 재료(high-k dielectric material)와 산화물 절연체 재료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정합 캐패시터 쌍(matched capacitor pair)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로서,
    반도체 기판 내의 핀 구조로서, 상기 핀 구조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핀 구조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것인, 핀 구조;
    상기 반도체 기판 내의 상기 제 1 측면에 인접한 제 1 트렌치와 상기 제 2 측면에 인접한 제 2 트렌치;
    상기 제 1 트렌치와 상기 제 2 트렌치 내의 절연층(isolation layer);
    상기 제 1 측면에 인접한 제 1 절연체 구조와 상기 제 2 측면에 인접한 제 2 절연체 구조; 및
    상기 제 1 절연체 구조에 인접한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절연체 구조에 인접한 제 2 도전체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도전체 구조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체 구조와 상기 제 2 도전체 구조는 금속, 실리사이드, 및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연체 구조와 상기 제 2 절연체 구조는 고-k 유전체 재료와 산화물 절연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3. 레지스터(resistor)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반도체 기판에 적어도 하나의 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 구조는 제 1 측면, 제 2 측면 및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 구조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것인,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에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측면, 상기 제 2 측면 및 상기 상면에 인접한 절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체층에 인접한 도전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도전체 구조는 상기 제 1 측면, 상기 제 2 측면, 및 상기 상면을 가로지르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구조는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금속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에 n-웰(well)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102726A 2011-11-02 2012-09-17 핀펫 디바이스들 KR101412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87,331 US9293584B2 (en) 2011-11-02 2011-11-02 FinFET devices
US13/287,331 2011-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87A KR20130048687A (ko) 2013-05-10
KR101412999B1 true KR101412999B1 (ko) 2014-06-27

Family

ID=4711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726A KR101412999B1 (ko) 2011-11-02 2012-09-17 핀펫 디바이스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93584B2 (ko)
EP (1) EP2590221B1 (ko)
KR (1) KR101412999B1 (ko)
CN (1) CN103094070B (ko)
TW (1) TWI5172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0901B2 (en) * 2012-01-31 2016-12-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ecoupling finFET capacitors
US8796772B2 (en) * 2012-09-24 2014-08-05 Intel Corporation Precision resistor for non-planar semiconductor device architecture
US8940602B2 (en) * 2013-04-11 2015-0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ligned structure for bulk FinFET
US9035425B2 (en) * 2013-05-02 2015-05-19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CN104637814B (zh) * 2013-11-11 2017-10-20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鳍式场效应晶体管及其制备方法
KR102191221B1 (ko) 2014-09-23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WO2017099792A1 (en) * 2015-12-11 2017-06-15 Intel Corporation Metal-oxide-polysilicon tunable resistor for flexible circuit design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10002868B2 (en) 2016-09-30 2018-06-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tical fin resistor devices
JP6885779B2 (ja) 2017-04-28 2021-06-1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21072365A (ja) * 2019-10-31 2021-05-0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抵抗素子および電子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731A (ko) * 2002-05-13 2004-12-10 제네럴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트렌치 dmos 트랜지스터 구조
US20110068404A1 (en) * 2009-09-18 2011-03-24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5152A (ja) 1994-10-28 1996-05-17 Canon Inc 半導体装置、それを用いた相関演算装置、ad変換器、da変換器、信号処理システム
JP4044276B2 (ja) 2000-09-28 2008-02-0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38783B1 (en) 2000-10-28 2002-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expanded effective width of active region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6657259B2 (en) * 2001-12-04 2003-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plane FinFET CMOS
KR20040014731A (ko) 2002-08-10 2004-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별 인터넷 접근 제어 방법및 시스템
US8222680B2 (en) * 2002-10-22 2012-07-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Double and triple gate MOSFET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7172943B2 (en) 2003-08-13 2007-02-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ultiple-gate transistors formed on bulk substrates
KR100555518B1 (ko) * 2003-09-1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게이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578130B1 (ko) * 2003-10-14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위한 다중 실리콘 핀 및 그형성 방법
KR100518602B1 (ko) * 2003-12-03 2005-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돌출된 형태의 채널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TWI295506B (en) 2005-02-03 2008-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ransistor with vertical gate electr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93249B1 (ko) * 2005-02-03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한 게이트 전극의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70018239A1 (en) 2005-07-20 2007-0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a-of-fins structure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342264B2 (en) 2005-12-13 2008-03-1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159972A (ja) 2006-12-26 2008-07-1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R2917896B1 (fr) 2007-06-21 2009-11-0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Transistor a effet de champ a contacts electriques alternes.
US7683417B2 (en) 2007-10-26 2010-03-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mory device with memory cell including MuGFET and fin capacitor
JP2009283685A (ja) 2008-05-22 2009-12-03 Panason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043920B2 (en) * 2009-09-17 2011-10-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nFE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731A (ko) * 2002-05-13 2004-12-10 제네럴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트렌치 dmos 트랜지스터 구조
US20110068404A1 (en) * 2009-09-18 2011-03-24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93584B2 (en) 2016-03-22
TW201320163A (zh) 2013-05-16
CN103094070B (zh) 2017-03-01
CN103094070A (zh) 2013-05-08
KR20130048687A (ko) 2013-05-10
US20130105942A1 (en) 2013-05-02
TWI517221B (zh) 2016-01-11
EP2590221A1 (en) 2013-05-08
EP2590221B1 (en)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999B1 (ko) 핀펫 디바이스들
TWI515904B (zh) 半導體裝置、鰭式場效電晶體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435712B1 (ko) 커패시터가 집적된 FinFET를 위한 구조 및 방법
CN103208517B (zh) 控制FinFET结构中的鳍状件高度
US9196540B2 (en) FinFET structure with novel edge fins
US20150060959A1 (en) Eliminating Fin Mismatch Using Isolation Last
US9773696B2 (e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224249B2 (en) Merged gate for vertical transistors
US9728635B1 (en) Uniform gate length in vertical field effect transistors
KR102053973B1 (ko)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CN107046061A (zh) 半导体结构和相关制造方法
CN108400137B (zh) 垂直场效应晶体管与鞍形鳍式场效应晶体管的集成
US9698061B2 (en) Polysilicon resistor formation in silicon-on-insulator replacement metal gate finFET processes
US20180350605A1 (en) High aspect ratio gates
KR20170046078A (ko) 반도체 구조체 및 반도체 구조체의 형성 방법
US10367076B1 (en) Air gap spacer with controlled air gap height
JP5743831B2 (ja) 半導体装置
US9589831B2 (en) Mechanisms for forming radio frequency (RF) area of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US11658240B2 (en) Semiconductor transistors on multi-layered substrates
US11404326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847246B1 (en) Multiple finFET formation with epitaxy separation
TWI553866B (zh)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KR20230076089A (ko) 파워 레일을 갖는 집적 회로 소자들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