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120B1 -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120B1
KR101411120B1 KR1020127032224A KR20127032224A KR101411120B1 KR 101411120 B1 KR101411120 B1 KR 101411120B1 KR 1020127032224 A KR1020127032224 A KR 1020127032224A KR 20127032224 A KR20127032224 A KR 20127032224A KR 101411120 B1 KR101411120 B1 KR 10141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ime
record
arrival
wa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8415A (ko
Inventor
노리오 히라이
미츠노리 고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16Details of conversion of file system types or form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데이터 수신부(102)가 복수의 계측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101)를 수신하고, 시각 판정부(103)가 데이터(101)의 날짜 시각(111)으로부터 관리 시각을 판별하며, 소정의 접수 시간 동안에 수신된 같은 관리 시각의 데이터를 레코드 생성부(105)가 같은 레코드에 저장하고, 접수 시간의 종료 시점에 같은 관리 시각에 속하는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미착 데이터의 도착을 기다림으로써 데이터의 도착이 다소 늦더라도 도착이 지연된 데이터를 같은 레코드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손 데이터 발생 빈도를 억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IN}
본 발명은 시각 정보가 부가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복수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시각 정보에 기초해서 복수의 데이터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기적으로 계측을 행하는 복수의 계측 기기에서의 계측 결과가 표시되는 복수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시각 정보에 기초해서 복수의 데이터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센서나 온도 센서 등의 계측 기기에서는 일정한 주기로 계측을 행하고, 계측 결과가 표시되는 데이터가 출력된다.
계측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는, 계측이 행해진 '날짜 시각', 상기 계측 기기를 고유하게(uniquely) 식별 가능한 '기기 ID' 및 계측된 '계측값'으로 구성된다.
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로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종래부터 가장 일반적인 것은, 상기 형식 그대로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식으로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예컨대, 감시 등의 용도로 동일한 시각의 전체 데이터를 일괄해서 추출하려고 해도, 데이터 자체에 부가된 시각은 계측 기기에 따라 제각각이어서, 동일 시각에 계측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종래의 관리 방식에서는, 시각마다 각 기기의 데이터가 모두 열(列) 방향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예컨대 온도와 전력의 사이의 상관을 구하는 등의 경우에는 복잡한 처리가 필요했다.
이상에 대해, 일정 주기로 계측되는 센서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특허문헌 1에서는, 시각으로 구분된 레코드를 생성하고, 데이터의 시각과 근사한 시각의 레코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서로 같은 시각 또는 근사한 시각을 가진 복수의 데이터를 하나의 레코드에 저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301071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동일 시각에 계측되었다고 상정되는 데이터를 1레코드에 저장하며, 예컨대 복수의 사람에게 부착한 가속도 센서의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로서 비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는,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날짜 시각', '센서 식별자', '계측값'을 갖는 레코드로서 도착 순서로 테이블에 저장하고, 센서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대기 시간 제어를 행하면서 동일 시각에 취득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1레코드에 다시 저장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수집한 데이터를 도착 순서로 테이블에 기입한 후, 동일 시각에 계측되었다고 상정되는 데이터를 동일 레코드에 다시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검색하는 경우 등에 시간의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가령 특허문헌 1의 레코드 저장 방식의 실행을, 데이터 수신부터 축적(데이터의 테이블에의 저장)까지의 동안에 실행했다고 해도, 네트워크의 혼잡 등에 의해서 데이터의 도착 지연이 발생한 경우에, 지연된 데이터를 동일 시각에 계측되었다고 상정되는 데이터(지연되지 않은 데이터)와 함께 같은 테이블에 저장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항을 감안해서,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레코드를 테이블에 추가하기 전에, 수신한 데이터를 대응하는 시각의 레코드에 저장하는 방식에 있어서, 데이터의 도착에 지연이 발생한 경우에도, 도착이 지연된 데이터를, 동일 시각에 계측되었다고 상정되는 데이터와 함께 같은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는 방식을 실현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는,
소정 폭의 관리 시각에 따라 레코드를 관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시각이 표시되는 타임 스탬프가 부가되어, 소정의 주기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의 시각에 대응하는 관리 시각을 판정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시각으로 구분하는 시각 판정부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레코드 생성의 대상이 되는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을 갱신하며,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의 상기 시각 판정부로부터의 입력 개시부터 소정의 접수 시간 동안 상기 시각 판정부로부터 입력한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를 배열하여 레코드를 생성하며, 현재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 중 상기 접수 시간의 종료 시점에 아직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까지 입력된 미착 데이터를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상기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며,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 시점에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상기 미착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값을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상기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는 레코드 생성부와,
상기 레코드 생성부에 의한 생성이 완료된 레코드를 소정의 테이블에 추가하는 테이블 추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수 시간 종료시에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대기 시간 동안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대기 시간의 종료까지 입력된 데이터도 같은 관리 시각의 레코드에 추가하여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도착이 다소 늦어도 도착이 지연된 데이터를 레코드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여, 결손 데이터 발생 빈도를 억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레코드의 관리 시각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의 레코드에의 저장 순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완전 레코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불완전 레코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기입 판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구성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예 1에 따른 구성 정보의 각 요소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1에 따른 센서 데이터의 집계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1에 따른 센서 데이터의 집계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실시예 1에 따른 수집 주기가 다른 2종류의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실시예 1에 따른 수집 주기가 다른 2종류의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실시예 1에 따른 대기 시간 제어 방식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실시예 1에 따른 대기 시간 제어 방식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실시예 1에 따른 대기 시간 제어 방식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9는 실시예 1에 따른 레코드 생성부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은 실시예 1에 따른 레코드 생성부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전력 센서나 온도 센서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계측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테이블에 기입, 데이터의 검색/집계를 문제없이 실행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기술을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코드의 테이블에의 기입 전에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각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판단하고, 각 데이터를 대응하는 레코드에 저장하는 방식에 있어서, 데이터의 도착 지연이 발생한 경우에도 가능한 한 레코드의 테이블에의 기입 처리를 늦춰서 데이터의 도착을 대기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레코드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여, 레코드 내에서의 데이터 결손을 억지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기적으로 도착하는 데이터의 레코드에의 기입 횟수를 줄임으로써 성능의 저하를 막고, 아울러 데이터의 지연에 의해서 레코드 중에 결손이 발생한 경우에도 지연한 데이터가 도착했을 때에 그 데이터를 테이블에 추가함으로써 데이터의 폐기를 회피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환경 IT 시스템에 적용한, 데이터 리얼 타임 로드 기능에 있어서의 레코드 생성 방식을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레코드 생성 방식은 환경 IT 시스템에의 적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정기적으로 계측을 행하고 있는 계측 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집·관리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환경 IT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이용해서 전체적인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경 IT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계측을 행하고, 계측값이 표시되는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복수의 계측 기기(201)와, 계측 기기(201)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서버 장치(202)와, 수집 서버 장치(202)가 수집한 데이터를 레코드 형식으로 축적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로 구성된다.
데이터는, 전력, 온도, 그 외의 다종 다양한 계측 기기(201)에서 계측되고, 네트워크(204)를 경유해서 일단 수집 서버 장치(202)에 수집된다.
수집 서버 장치(202)는 시스템 내에 복수개 있어도 된다.
수집 서버 장치(202)는 수집한 데이터를 네트워크(205)를 경유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에 송신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가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데이터를 축적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는,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시각으로 분류하여, 대상이 되는 레코드에 저장하고, 같은 시간대의 데이터가 저장된 레코드를 테이블에 추가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는 데이터 처리 장치의 예이고, 수집 서버 장치(202)는 데이터 송신 장치의 예이다.
계측 기기(201)에서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에서 축적되는 데이터는, 예컨대 도 3에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날짜 시각(301)은 타임 스탬프이고, 예컨대 계측 기기(201)로 계측이 행해진 시각이 표시된다.
기기 ID(302)는, 계측을 행한 계측 기기(201)를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계측 기기(201)의 식별자이다.
계측값(303)은 계측 기기(201)가 계측을 행한 값으로 예컨대, 계측 기기(201)가 온도 센서인 경우에는 온도이고, 계측 기기(201)가 전력 센서이면 전력값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2에 입각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의 각 요소를 설명한다.
데이터 수신부(102)는,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데이터(101)를 수신한다.
데이터(101)는 도 3에 나타내는 데이터 형식을 갖는다.
시각 판정부(103)는, 데이터 수신부(102)에 의해 데이터(101)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데이터(101)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의 시각에 대응하는 관리 시각을 판정하고, 수신된 데이터(101)를 상기 관리 시각으로 구분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는, 레코드를 소정 폭(예컨대, 30초, 1분 등)의 관리 시각에 따라 관리한다.
이를 위해서, 시각 판정부(103)는 데이터 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101)의 날짜 시각(111)에 표시되는 시각이 관리 시각 중 어느 것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데이터(101)를 어느 하나의 관리 시각으로 분류한다.
구성 정보 관리부(104)는 구성 정보를 관리한다.
구성 정보는, 계측 기기(201)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 기기 ID와 레코드 내의 열 위치의 관계, 계측값의 종류(온도의 계측값인지, 전력의 계측값인지) 등을 정의하는 정보이다.
구성 정보는, 구성 정보 기억부(110)에 기억되어 있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같은 관리 시각에 속하는 데이터(101)를 구성 정보로 정의되어 있는 열 위치에 따라서 같은 레코드 내에 배열한다.
도 2의 예에서는, 레코드 생성부(105)는, 같은 관리 시각에 속하는 데이터 1~데이터 N을 배열하여 하나의 레코드를 생성하고 있다.
또한, 레코드 생성부(105)는, 레코드를 일시 저장하는 일시 기억 장치를 갖고 있고, 소정의 시간 동안, 생성한 레코드를 일시 기억 장치에 유지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레코드 생성 대상이 되는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을 갱신하고,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의 시각 판정부(103)로부터의 입력 개시부터 소정의 접수 시간 동안에 시각 판정부(103)로부터 입력한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를 배열하여 레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레코드 생성부(105)는,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 중 접수 시간의 종료 시점에 아직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접수 시간의 종료 시점에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릴지 여부를 결정한다.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는 경우에는, 레코드 생성부(105)는,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대기 시간 종료까지 입력된 미착 데이터를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한다.
또한, 레코드 생성부(105)는, 대기 시간의 종료 시점에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상기 미착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값을 레코드에 추가하여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한다.
한편,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지 않는 경우에는, 접수 시간의 종료 시점에 상기 미착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값을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한다.
또한, 레코드 생성부(105)는, 과거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를 시각 판정부(103)로부터 늦게 입력한 경우에, 늦게 입력한 지연 데이터의 레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지연 데이터와 같은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로서 아직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대기 시간의 종료까지 입력된 미착 데이터를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한다.
그리고, 레코드 생성부(105)는, 대기 시간의 종료 시점에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상기 미착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값을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한다.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시스템으로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이나 오픈/클로스 그 밖의 처리에 요하는 시간 등으로부터 데이터의 도착 지연에 대해 허용되는 대기 시간을 산출함과 아울러, 선택된 대기 시간 제어 방식에 따라 개개의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지연 시간이란, 데이터가 도착하고 나서 유저가 데이터를 참조 가능하게 되기까지의 시간이다.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집 서버 장치(202)마다 데이터 수신시의 지연 상황을 감시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의 수집 서버 장치(202)에 대한 대기 시간 제어부(108)의 감시 결과에 기초해서,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릴지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지연 상황 감시부의 예이다.
기입 판정부(107)는, 대기 시간과 기입 처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 크기 등으로부터 레코드 생성부(105)의 일시 기억 장치 상의 어떤 레코드를 기입해야 할지를 판정한다.
기입 처리부(106)는 기입 판정부(107)에 의해 기입 대상이 된 레코드를 테이블 기억부(109)에 기입한다.
기입 처리부(106)는 테이블 추가부의 예이다.
테이블 기억부(109)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 시각마다의 레코드를 시계열로 나열시킨 테이블을 기억한다.
또한, 레코드 생성부(105)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레코드는, 테이블의 최하단에 추가된다.
다음으로 도 4의 흐름도를 이용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의 동작예를 개설한다.
스텝 S401에서, 데이터 수신부(102)가 데이터(101)를 수신하면, 스텝 S402에서, 시각 판정부(103)가 데이터(101)의 날짜 시각(111)을 취득하고, 날짜 시각(111)이 대응되는 관리 시각을 판별하여, 관리 시각에 따라 데이터(101)를 분류한다.
스텝 S403에서, 레코드 생성부(105)가 시각 판정부(103)에 의한 분류에 따라서, 데이터(101)를 저장할 레코드(데이터(101)가 속하는 관리 시각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이미 일시 기억 장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응하는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404에서, 레코드 생성부(105)가 신규로 레코드를 생성하고, 최초로 도착한 데이터(101)의 도착 시각(예컨대, 레코드 생성부(105)가 데이터(101)를 입력한 시각)을, 신규로 생성한 레코드에 부가한다.
스텝 S403의 판단에 있어서, 대응하는 레코드가 이미 생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05에서, 레코드 생성부(105)는 기존의 레코드를 일시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한다.
다음으로 스텝 S406에서, 레코드 생성부(105)는 데이터 수신부(102)가 수신한 개개의 데이터의 기기 ID(112)를 구성 정보 관리부(104)에 통지하고, 구성 정보 관리부(104)로부터 기기 ID(112)마다 데이터(113)(계측값)를, 저장할 열 위치를 취득하여 데이터(113)마다 열 위치를 결정하여, 레코드에 기입한다.
스텝 S407에서는, 기입 판정부(107)가, 스텝 S408에서 이미 생성된 레코드에 대하여 테이블 기억부(109)의 테이블에의 기입 처리를 행해야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기입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기입 처리부(106)에서 기입 대상이 되는 모든 레코드에 대해 기입 처리를 행한다.
한편, 기입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401로 돌아가서, 데이터(101)의 수신을 기다린다.
한편, 레코드 생성부(105)에서는, 새로운 데이터를 인식하면 해당하는 시각을 갖는 레코드가 메모리(일시 기억 장치) 상에서 생성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레코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운 레코드를 생성하여 각 항목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항목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그 이외의 항목(대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항목)에는 NULL을 저장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이 조작을 일정 간격으로 실행할 뿐 기입 판정을 행하는 것은 아니다.
기입 판정부(107)는 지정된 대기 시간 제어 방식에 따라 기입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양자는 독립 또한 비 동기로 동작한다.
다음으로 시각 판정부(103)의 동작의 상세를 설명한다.
시각 판정부(103)는, 데이터 수신부(102)로부터 데이터(101)를 취득하여, 데이터(101)의 날짜 시각(111)이 대응하는 관리 시각을 산출한다.
도 5는 시각 판정부(103)의 관리 시각의 산출에 관한 설명도이다.
관리 시각은 지정된 저장 주기(501)로 결정할 수 있으며, 모든 데이터(101)는 어느 하나의 관리 시각을 가진 레코드에 저장되게 된다.
관리 시각의 폭은, 저장 주기(501)와 일치한다.
개개의 데이터가 어떤 관리 시각에 해당할지는 저장 주기(501)와 단수 처리(502)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컨대, 저장 주기(501)의 값(관리 시각의 폭)이 30초인 경우에는, 30초의 범위 내에 있는 날짜 시각(111)은 동일 관리 시각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하나의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범위는, 단수 처리(502)에 의해 결정된다.
단수 처리(502)가 ROUND(반올림)인 경우에는, 관리 시각을 기준으로 해서 -15초~+14초의 범위에 날짜 시각(111)이 있는 데이터는 상기 관리 시각의 레코드에 저장되게 된다.
단수 처리(502)가 UP(올림)인 경우에는, 관리 시각을 기준으로 해서 -29초~0초의 범위에 날짜 시각(111)이 있는 데이터는 상기 관리 시각의 레코드에 저장되게 된다.
단수 처리(502)가 DOWN(버림)인 경우에는, 관리 시각을 기준으로 해서 0초~+29초의 범위에 날짜 시각(111)이 있는 데이터는 상기 관리 시각의 레코드에 저장되게 된다.
예컨대, 저장 주기가 30초인 경우에, 10시 00분 00초의 관리 시각에 대해서는, 단수 처리(502)가 ROUND(반올림)이면, 날짜 시각 9시 59분 45초~10시 00분 14초의 범위에 있는 날짜 시각(111)은, 상기 관리 시각(10시 00분 00초)으로 구분된다.
또한, 단수 처리(502)가 UP(올림)이면, 날짜 시각 9시 59분 31초~10시 00분 00초의 범위에 있는 날짜 시각(111)은, 상기 관리 시각(10시 00분 00초)으로 구분된다.
또한, 단수 처리(502)가 DOWN(버림)이면, 날짜 시각 10시 00분 0초~10시 00분 29초의 범위에 있는 날짜 시각(111)은, 상기 관리 시각(10시 00분 00초)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시각 판정부(103)의 처리에 의해, 데이터의 수집 주기에 맞춘 형식으로 레코드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장 주기(501)는 개개의 데이터를 동일하다고 간주하는 기준 시각을 취득하기 위한 주기로, 실제 계측 기기(201)의 수집 주기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단, 저장 주기(501)는 계측 기기(201)의 수집 주기 이하의 값을 설정할 수는 없다.
또한, 단수 처리로서 반올림, 올림, 버림 등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이들 처리 방법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레코드 생성부(105)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시각 판정부(103)로부터, 데이터(113)(계측값), 기기 ID(112), 시각 판정부(103)가 판정한 관리 시각을 입력한다(S1601).
다음으로 레코드 생성부(105)는 입력한 관리 시각이 새로운 것인지 여부를 해석한다(S1602).
구체적으로는, 레코드 생성부(105)는, 입력한 관리 시각이 현재 레코드 생성중인 관리 시각과 같은지 여부, 즉 접수 시간 또는 대기 시간의 계측을 행하고 있는 관리 시각과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해석 결과, 새로운 관리 시각인 경우(S1603에서 예)에는, 레코드 생성부(105)는 접수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한편, 이 새로운 관리 시각이 이제부터 레코드를 생성하는 관리 시각으로,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이 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예컨대, 소정의 타이머에 접수 시간을 설정하고,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접수 시간은, 예컨대 저장 주기(관리 시각의 폭)의 반의 시간으로 한다.
예컨대, 저장 주기가 1분이고, 최초의 데이터의 도착 시각이 10시 00분 05초인 경우에, 관리 시각 10시 00분 00초의 레코드의 접수 시간은 10시 00분 35초까지가 된다. 한편, 접수 시간을 어느 정도의 길이로 할지는, 시스템 관리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또한 새로운 관리 시각으로 분류된 데이터(113)(계측값)를 저장하기 위해서 레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레코드에, 새로운 관리 시각으로 분류된 최초의 데이터(113)(S1601에서 입력한 데이터(113))의 레코드 생성부(105)에의 도착 시각을 부가한다(S1606).
한편, S1601에서 입력한 데이터(113)의 관리 시각이 새로운 것이 아닌 경우(S1603에서 아니오)에는, 레코드 생성부(105)는, 그 관리 시각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일시 기억 영역으로부터 판독한다(S1604).
또한, 레코드 생성부(105)는, 현재 그 관리 시각에 대해 접수 시간을 계측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접수 시간의 계측중인 경우(S1611에서 예)에는, S1607로 진행하고, 수신 시간의 계측중이 아닌 경우(S1611에서 아니오)에는, 현재 대기 시간의 계측중이 되기 때문에, S1702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S1702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S1607에서는, 레코드 생성부(105)는, 구성 정보 관리부(104)를 통해서 구성 정보 기억부(110)로부터 구성 정보를 판독한다(S1607).
또한, 레코드 생성부(105)는, 구성 정보에 기초해서, S1601에서 입력한 데이터(113)를 S1606에서 생성한 레코드 또는 S1604에서 판독한 레코드의 소정의 열에 저장한다(S1608).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 정보에는, 기기 ID(112)마다 데이터(113)를 저장할 열이 지정되어 있고, 레코드 생성부(105)는 S1601에서 수신한 기기 ID(112)에 대응하는 열에 데이터(113)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레코드 생성부(105)는, 레코드의 모든 열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1609), 전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경우(S1609에서 예)에는,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고(S1711), 기입 판정부(107)에 레코드의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한편, 레코드에 저장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S1609에서 아니오)에는, 레코드 생성부(105)가 S1605에서 계측을 개시한 접수 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접수 시간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S1610에서 아니오)에는, S1601로 처리를 되돌려서, 시각 판정부(103)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
접수 시간이 종료한 경우(S1610에서 예), 즉 접수 시간의 종료 시점에 레코드에 저장할 수 없는 데이터(미착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레코드 생성부(105)는, 접수 시간 종료 시점에 도착하지 않은 미착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1).
미착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은, 대기 시간 제어부(108)의 감시 결과에 기초한다. 대기 시간 제어부(108)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후 처리는, 어떤 미착 데이터를 기다리는지에 따라 다르다(S1702).
미착 데이터 중 일부는 기다리고, 나머지는 기다리지 않는 등, 기다리는 데이터와 기다리지 않는 데이터가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다리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S1705~S1710의 처리를 행하고, 기다리지 않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S1704의 처리를 행한다(S1703).
미착 데이터를 모두 기다리지 않는 경우에는, 레코드 생성부(105)는, 구성 정보에 기초해서, 접수 시간 종료 시점에 미착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열에 NULL값(미착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값)을 저장하고,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며(S1711), 기입 판정부(107)에 레코드의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미착 데이터를 모두 기다리는 경우에는, 레코드 생성부(105)는 대기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S1705).
레코드 생성부(105)는, 예컨대 소정의 타이머에 대기 시간을 설정하고,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대기 시간은, 예컨대 접수 시간 종료후, 저장 주기(관리 시각의 폭)의 4분의 1의 시간으로 한다.
예컨대, 저장 주기가 1분이고, 최초의 데이터의 도착 시각이 10시 00분 05초 이며, 접수 시간이 30초인 경우에는, 관리 시각 10시 00분 00초의 레코드의 대기 시간은 10시 00분 35초부터 10시 00분 50초까지가 된다. 한편, 대기 시간을 어느 정도의 길이로 할지는, 시스템 관리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미착 데이터를 입력한 경우(S1706에서 예)에는, 구성 정보에 기초해서, 레코드의 소정의 열에 미착 데이터를 저장한다(S1707).
그리고, 레코드 생성부(105)는, 레코드의 모든 열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1708), 전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경우(S1708에서 예)에는,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고(S1711), 기입 판정부(107)에 레코드의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한편, 레코드에 저장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S1708에서 아니오)에는, 레코드 생성부(105)가 S1705에서 계측을 개시한 대기 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대기 시간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S1709에서 아니오)에는, S1706로 처리를 되돌리고,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린다.
한편, 대기 시간이 종료한 경우에는, 레코드 생성부(105)는, 구성 정보에 기초해서, 대기 시간 종료 시점에 미착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열에 NULL값(미착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값)을 저장하고(S1710),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며(S1711), 기입 판정부(107)에 레코드의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또한, S1611의 판단에서 아니오가 된 경우에는, S1601에서 수신된 데이터(113)는, 대기 시간 동안에 입력된 미착 데이터이다.
S1702의 판단에서, 모두 기다리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S1706의 판단이 예가 되어서, 상기 미착 데이터에 대해 S1707의 처리가 행해지고, 또한 S1708 및 S1709의 판단이 행해진다.
또한, S1702의 판단에 있어서 혼재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가 기다리는 대상이라면, 상기 미착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S1706의 판단이 예가 되어, 상기 미착 데이터에 대해 S1707의 처리가 행해지고, 또한 S1708 및 S1709의 판단이 행해진다. 상기 미착 데이터가 기다리는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S1704로 이미 NULL값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미착 데이터는 파기된다.
한편, 이 대신, 이미 설정되어 있는 NULL값을, 미착 데이터로 덮어쓰기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대기 시간이 종료되고(S1709에서 예), 미착 데이터에 NULL값이 저장되며(1710), NULL값이 존재하는 레코드의 생성이 완료되고(S1711), NULL값이 존재하는 레코드가 테이블 기억부(109)에서 테이블에 추가된 후에, 상기 미착 데이터(지연 데이터)가 시각 판정부(103)로부터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지연 데이터)의 관리 시각은 과거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이기는 하지만, 새로운 관리 시각이라고 판단되어(S1603에서 예), S1605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예컨대, 관리 시각 10시 00분 00초의 레코드에 미착 데이터가 있기 때문에, NULL값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관리 시각 10시 00분 00초의 레코드가 테이블 기억부(109)의 테이블에 추가된 후에, 관리 시각 10시 00분 00초에 분류되는 미착 데이터가 지연 시각 판정부(103)로부터 입력된 경우(S1601)를 생각한다.
상기 미착 데이터(지연 데이터)의 관리 시각 10시 00분 00초에 대응하는 레코드는 생성중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미착 데이터(지연 데이터)의 관리 시각은 새로운 관리 시각이라고 판단되고(S1603에서 예), 이 때문에, 상기 미착 데이터(지연 데이터)의 입력을 계기로 접수 시간의 계측이 개시되며(S1605), 관리 시각 10시 00분 00초의 레코드가 새롭게 생성된다.
또한, 상기 미착 데이터(지연 데이터)의 도착 시각이 레코드에 부가되고(S1606), 상기 미착 데이터(지연 데이터)가 새롭게 생성된 관리 시각 10시 00분 00초의 레코드에 저장되고, 또한 그 외에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접수 시간 동안, 다른 미착 데이터의 도착을 기다린다(S1609, S1610).
또한, 다른 미착 데이터가 있어, 다른 미착 데이터가 접수 시간의 종료까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필요하다면, 대기 시간 동안, 다른 미착 데이터의 도착을 기다린다.
이렇게 해서, 레코드가 테이블에 추가된 후에, 지연되어서 미착 데이터(지연 데이터)가 도착한 경우에도, 레코드 생성부(105)는 지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레코드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미착 데이터의 도착을 접수 시간 동안 기다리고, 또한, 필요하면 대기 시간 동안 기다린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도 19에 있어서, S1609에서 모든 데이터가 레코드에 저장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접수 시간의 종료를 기다리지 않고,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는(S1711) 것으로 했지만, 모든 데이터가 레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접수 시간이 종료한 후에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도록 해도 된다.
도 6은,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레코드 생성부(105)의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여기서는, 계측 기기의 수는 5개, 레코드 생성 주기는 1분, 단수 처리 방법을 반올림으로 한다.
지금, 수집 서버 장치(202)를 경유하여, 4개의 계측 기기(201)로부터 4개의 데이터(601)가 도착했다고 한다.
4개의 데이터의 날짜 시각, 기기 ID, 계측값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이 시점에서는, 기기 ID=4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지연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시각 판정부(103)에 의해 4개의 데이터에 대해 도출된 관리 시각은 10:00:00(10시 00분 00초)이다.
데이터 입력 시점에는, 10:00:00의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레코드 생성부(105)는 신규로 10:00:00의 레코드(이하, 레코드(602)로 한다)를 생성한다.
그리고, 레코드 생성부(105)는, 최초에 도착한 데이터인 기기 ID=1의 도착 시각(10:00:05)을 타이머로부터 취득하여, 레코드(602)의 도착 시각(603)에 부가한다.
또한, 레코드 생성부(105)는, 구성 정보(606)를 참조하여, 각 기기의 데이터를 레코드 내의 어떤 열에 저장할지를 판단하여, 각 데이터를 대응하는 열에 배열하여 레코드에 저장해 나간다.
그 후, 접수 시간이 종료되더라도, 기기 ID=4의 데이터가 도착하지 않기 때문에, 지연된 데이터를 기다릴지 여부를 판정하여, '기다린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대기 시간만큼 기다린다.
그리고, 대기 시간 이내에 미착 데이터가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레코드 생성부(105)는, 미착 데이터를 저장할 열(607)에 NULL값을 저장하고,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며, 기입 처리부(106)가 상기 레코드를 테이블 기억부(109)의 테이블에 추가한다.
레코드(602)가 테이블 기억부(109)에 축적된 후에, 기기 ID=4인 데이터(이하, 데이터(604)라고 한다)가 지연하여 도착한 경우에, 시각 판정부(103)는 이 데이터(604)를 관리 시각 10:00:00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레코드 생성부(105)는, 관리 시각 10:00:00인 레코드는 현재 생성중이 아니기 때문에, 새로운 관리 시각이라고 판단하고, 관리 시각 10:00:00의 레코드(이하, 레코드(605)라고 한다)를 다시 생성한다.
그리고, 레코드 생성부(105)는, 레코드(605)에 데이터(604)의 도착 시각(10:07:00)을 부가함과 아울러, 구성 정보(606)에 따라, 데이터(604)의 계측값을 소정 위치에 저장한다.
한편, 기기 ID=1, 2, 3, 5의 계측값은 이미 레코드(602)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레코드(605)에서는, 이들 계측값에 대응하는 열에는 NULL값이 설정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예컨대 레코드(605)의 관리 시각 10:00:00와 같은 관리 시각을 가지는 레코드가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입 처리부(106)에 문의하고, 관리 시각 10:00:00과 같은 관리 시각을 갖는 레코드가 테이블 기억부(109)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입 처리부(106)로부터 이미 계측값이 저장되어 있는 열(또는 기기 ID)의 통지를 받는다.
이로써, 레코드 생성부(105)는, 이미 레코드(602)에 계측값이 저장되어 있는 열을 판별할 수 있어, 대응하는 열에 NULL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레코드 생성부(105)는, 그 외에 미착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접수 시간을 기다리고, 또한 필요하다면, 대기 시간을 기다리지만, 도 6의 예에서는 기기 ID=1~5의 모든 계측값이 레코드(602)와 레코드(605)에 저장되어 있고, 미착 데이터는 없기 때문에, 레코드(605)의 생성을 완료하며, 기입 처리부(106)가 레코드(605)를 테이블 기억부(109)의 테이블에 추가한다.
한편, 도 7과 같이 모든 데이터가 저장된 레코드를 완전 레코드(701)라고 하고, 도 8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결손 데이터를 갖는 레코드를 불완전 레코드(702)라고 부른다.
도 14는 2개의 데이터에 있어서 수집 주기가 다른 경우이고, 데이터(1101)가 1분 주기, 데이터(1102)가 5분 주기라고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저장 주기(501)의 값을 수집 주기와 같은 값으로 설정하면, 5분 주기의 데이터(1102)는 5분간 수집된 몇 개의 데이터(1101)와 동일 레코드에 저장되게 된다.
5분 주기의 계측 기기(2)의 데이터(1102)의 저장 주기를 5분으로 하면, 예컨대 수집 시각 09:01의 데이터(1102)는 1분 주기의 계측 기기(1)의 관리 시각 09:01, 09:02, 09:03, 09:04, 09:05 중 어느 한 데이터(1101)와 같은 레코드에 저장된다.
즉, 계측 기기(2)로부터의 데이터(1102)가 계측 기기(1)의 5개의 데이터(1101) 중 어느 하나와 동일 레코드에 저장될지는, 계측 기기(2)로부터의 데이터의 도착 타이밍에 따라 변동한다.
이에 비해서, 도 15와 같이 엄밀하게 수집 시각이 동일한 경우에만 동일 레코드에 저장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다른 레코드에 저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저장 주기(501)의 값을 데이터(1202)에 대해서도 데이터(1201)의 저장 주기와 같은 1분으로 설정함으로써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5분 주기의 데이터여도 저장 주기를 1분으로 해 두면, 예컨대 수집 시각 09:01의 데이터(1202)는, 도 15와 같이, 관리 시각 09:01의 데이터(1201)와 머지(merge)된다.
한편, 도 15에 있어서, 데이터(1201)는 수집 주기가 1분의 데이터이고, 데이터(1102)는 수집 주기가 5분의 데이터다.
다음으로 기입 판정부(107)의 동작예를 도 9에 입각해서 설명한다.
기입 판정부(107)는, 레코드 생성부(105)로부터 호출되면 스텝 S801에서 완전 레코드(701)의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고, 스텝 S802에서 불완전 레코드(702)의 데이터 크기를 산출한다.
단, 불완전 레코드이더라도 데이터가 완전한 경우를 상정하여 산출한다.
다음으로 기입 판정부(107)는, 스텝 S803에서 취득한 상기 데이터 크기로부터 기입 처리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기입 처리 시간과 대기 시간 제어부(108)에 의해 설정된 대기 시간부터 최적 허용 대기 시간을 산출한다.
최적 허용 대기 시간의 산출은, 예컨대 이하에 따른다.
금회 최적 허용 대기 시간=대기 시간-전회 기입 처리 시간
기입 처리 시간은 이미 기입된 데이터 크기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에, 전회 기입 처리 시간으로 한다.
금회의 기입 처리 시간은, 다음회의 최적 허용 대기 시간의 산출에 이용된다.
또한, 대기 시간은, 이하에 의해 도출된다.
대기 시간=지연 시간/감시 주기
한편, 지연 시간, 감시 주기 모두 시스템 관리자 등의 유저가 설정한다.
기입 판정부(107)는, 스텝 S804에서, 최적 대기 시간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완전 레코드(701) 또는 불완전 레코드(702) 중에 허용 대기 시간을 넘는 레코드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입 판정부(107)는, 스텝 S805에서 완전 레코드에 대해서는 전체 레코드의 기입 판정 플래그 영역에 기입 플래그를 세운다.
또한, 불완전 레코드에 대해서는, 기입 판정부(107)는 각 레코드에 대해 대기 시간을 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넘는 레코드만 기입 판정 플래그 영역에 기입 플래그를 세우고, 기입 판정을 종료한다.
한편, 대기 시간을 넘는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806에서 기입 플래그를 세우지 않고 기입 판정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미착 데이터를 기다리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미착 데이터를 기다리지 않는 경우에는, 항상 기입 플래그를 세운다.
최적 대기 시간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지정된 지연 시간에 의한 제약 보증을 만족시키기 위한 판정을 행한다. 여기서 기입 플래그가 선 경우에는 기입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입 판정은 플래그를 세우는 것일 뿐, 최종적으로 기입 처리에 있어서 플래그가 서 있는 경우에는 기입 처리를 실행하고, 레코드를 삭제하는 처리가 된다. 따라서 기입 플래그가 서지 않으면 기입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다시 판정 기능이 동일 레코드에 대해 판정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다음으로 대기 시간 제어부(108)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데이터 수신부(102)에 의한 데이터 수신 상황을 감시하고, 개개의 데이터의 지연의 발생 빈도로부터 그 데이터에 있어서 도착 지연이 발생한 경우에 '기다린다/기다리지 않는다'를 판정하는 것이다.
즉,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수집 서버 장치(202)마다, 데이터 수신시의 지연 상황을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데이터에 도착 지연이 생겼을 때에 미착 데이터를 기다릴지 여부를 결정한다.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도착 지연에 대한 대기 시간 제어 방식으로서 3종류의 제어 방식을 가지며, 데이터마다 어떤 제어 방식을 선택할지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처리 도중에 대기 시간 제어 방식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제어 방식을 변경한 경우에는 '기다린다/기다리지 않는다'의 판정은 리셋되고, 모든 데이터를 기다리는 것으로 한다.
도 16에 따라 대기 시간 제어 방식(1)의 처리 스텝에 대해서 설명한다.
대기 시간 제어 방식(1)은 도착 지연의 연속 발생 횟수에 따라 '기다린다/기다리지 않는다'를 판정하는 제어 방식이다.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스텝 S1301에서 수신한 데이터가 소정의 적정 수신 타이밍에 지연되어 도착된 것인지 여부, 즉 도착 지연이 발생되고 있는지 여부를 스텝 S1302에서 판정한다.
적정 수신 타이밍은, 예컨대 어느 관리 시각에 분류되는 데이터 중 최초로 수신한 데이터의 수신 시간으로부터 접수 시간 동안으로 한다.
한편, 적정 수신 타이밍을 어떤 타이밍으로 할지는 시스템 관리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적정 수신 타이밍에 지연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303에서 수집 서버 장치(202)마다, 연속 지연 횟수를 인크리먼트한다.
한편, 스텝 S1302에서 도착 지연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304에서, 해당하는 수집 서버 장치(202)의 연속 지연 횟수를 0으로 세팅한다.
스텝 S1305에서는,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각 수집 서버 장치(202)의 연속 지연 횟수를 비교하여, 어느 수집 서버 장치(202)의 연속 지연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스텝 S1306에서 이후 '기다리지 않는다'라고 결정하고, 레코드 생성부(105)에 대해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의 데이터는 기다리지 않는 취지를 통지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미착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이 대기 시간 제어부(108)로부터 통지된 수집 서버 장치(202)인 경우에는,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미착 데이터는 기다리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도 20의 S1702).
한편, S1305의 판단에 있어서, 연속 지연 횟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데이터를 '기다린다'라고 결정하고, 레코드 생성부(105)에 대해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의 데이터는 기다린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미착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이 대기 시간 제어부(108)로부터 통지된 수집 서버 장치(202)인 경우에는,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미착 데이터는 기다린다고 판정한다(도 20의 S1702).
다음으로 도 17에 따라, 대기 시간 제어 방식 2의 처리 스텝에 대해서 설명한다.
대기 시간 제어 방식 2는 소정의 감시 시간 내에 발생한 도착 지연 횟수에 따라 수집 서버 장치(202)의 데이터에 대해 '기다린다/기다리지 않는다'를 판정하는 제어 방식이다.
감시 시간은, 예컨대 저장 주기(관리 시간의 폭)의 10배로 한다.
예컨대, 관리 주기가 1분인 경우에는, 감시 시간은 10분이 된다.
한편, 어느 정도의 시간을 감시 시간으로 할지는, 시스템 관리자가 임의로 결정 가능하다.
우선,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스텝 S1401에서 수신한 데이터가 소정의 적정 수신 타이밍에 늦게 도착하는지 여부, 즉 도착 지연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스텝 S1402에서 판정한다.
적정 수신 타이밍의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다.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적정 수신 타이밍에 늦은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403에서 지연 발생 횟수를 1 인크리먼트한다.
또한,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스텝 S1404에서, 경과 시간이 감시 시간 내인지, 즉 감시 시간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감시 시간이 종료되지 않았다면(S1404에서 예) 스텝 S1401의 데이터 수신으로 돌아간다.
한편, 경과 시간이 감시 시간을 초과한 경우(S1404에서 아니오), 즉 감시 시간이 종료된 경우에는,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스텝 S1405에서 수집 서버 장치(202)마다 감시 시간 내의 지연 발생 횟수가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어느 한 수집 서버 장치(202)의 지연 발생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스텝 S1407에서,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데이터는 이후 '기다리지 않는다'라고 결정하고, 레코드 생성부(105)에 대해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의 데이터는 기다리지 않는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미착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이 대기 시간 제어부(108)로부터 통지된 수집 서버 장치(202)인 경우에는,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미착 데이터는 기다리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도 20의 S1702).
한편, S1405의 판단에 있어서, 지연 발생 횟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S1406에 있어서 지연 발생 횟수, 감시 시간 모두 0으로 리셋하고, 지연 발생 횟수의 카운트 및 감시 시간의 계측을 재개한다.
또한, S1405의 판단에 있어서, 지연 발생 횟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데이터를 '기다린다'고 결정하고, 레코드 생성부(105)에 대해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의 데이터는 기다린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미착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이 대기 시간 제어부(108)로부터 통지된 수집 서버 장치(202)인 경우에는,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미착 데이터는 기다린다고 판정한다(도 20의 S1702).
다음으로 도 18에 따라서, 대기 시간 제어 방식 3의 처리 스텝에 대해서 설명한다.
대기 시간 제어 방식 3은, 감시 시간 내에 발생한 평균 지연 시간(지연 시간의 평균값)에 따라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해 '기다린다/기다리지 않는다'를 판정하는 제어 방식이다.
감시 시간의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다.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스텝 S1501에서 수신한 데이터가 소정의 적정 수신 타이밍에 늦게 도착했는지 여부, 즉 도착 지연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스텝 S1502에서 판정한다.
적정 수신 타이밍의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다.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적정 수신 타이밍에 늦은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503에서 적정 수신 타이밍으로부터의 지연 시간을 계측하고, 계측한 지연 시간을 기억한다.
다음으로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스텝 S1504에서 경과 시간이 감시 시간 내인지, 즉 감시 시간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감시 시간이 종료되지 않았다면(S1504에서 예) 스텝 S1501의 데이터 수신으로 돌아간다.
한편, 경과 시간이 감시 시간을 초과한 경우(S1504에서 아니오), 즉 감시 시간이 종료된 경우에는,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스텝 S1505에서 수집 서버 장치(202)마다 감시 시간 내의 지연 시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균값이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어느 한 수집 서버 장치(202)의 지연 시간의 평균값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스텝 S1507에서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데이터는 이후 '기다리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레코드 생성부(105)에 대해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의 데이터는 기다리지 않는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미착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이 대기 시간 제어부(108)로부터 통지된 수집 서버 장치(202)인 경우에는,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미착 데이터는 기다리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도 20의 S1702).
한편, S1505의 판단에 있어서, 지연 발생 횟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S1506에서 지연 시간, 감시 시간 모두 0으로 리셋하고, 지연 시간의 계측 및 감시 시간의 계측을 재개한다.
또한, S1505의 판단에 있어서, 지연 시간의 평균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데이터를 '기다린다'고 결정하고, 레코드 생성부(105)에 대해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의 데이터는 기다린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레코드 생성부(105)는, 미착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이 대기 시간 제어부(108)로부터 통지된 수집 서버 장치(202)인 경우에는, 상기 수집 서버 장치(202)로부터의 미착 데이터는 기다린다고 판정한다(도 20의 S1702).
한편, 도 16~도 18의 각 방식의 설명에서는, 도 1의 구성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집 서버 장치(202)가 복수의 계측 기기(201)로부터의 데이터를 모아서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에 송신하는 방식에 대응시켜서, 수집 서버 장치(202)마다 데이터 수신 상황을 감시하여, 수집 서버 장치(202)마다 미착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했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가 각 계측 기기(201)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식, 또는 수집 서버 장치(202)가 계측 기기(20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만 복수의 계측 기기(201)로부터의 데이터를 모으지 않고 데이터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에 전송하는 방식에서는, 대기 시간 제어부(108)는 계측 기기(201)마다(데이터마다) 수신 상황을 감시하고, 계측 기기(201)마다(데이터마다) 미착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
계측 기기(201)마다(데이터마다) 미착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에서는, 계측 기기(201)가 데이터 송신 장치의 예가 된다.
또한, 도 16~도 18의 각 방식의 설명에서는, 대기 시간 제어부(108)가 연속 지연 횟수, 지연 발생 횟수, 평균 지연 시간과 각각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이와 달리, 대기 시간 제어부(108)가 연속 지연 횟수, 지연 발생 횟수, 평균 지연 시간을 도출하면, 연속 지연 횟수, 지연 발생 횟수, 평균 지연 시간을 레코드 생성부(105)에 통지하고, 레코드 생성부(105)가, 연속 지연 횟수, 지연 발생 횟수, 평균 지연 시간과 각각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데이터를 기다리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이상 설명한 레코드 관리 방식에 있어서, 계측 기기의 추가, 삭제, 변경에 대응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레코드 관리 방식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레코드와 같이 기기와 데이터가 고유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기기의 변경에 대해 대응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구성 정보 관리부(104)를 구비한다.
도 10은 건물에 설치되는 전력 센서나 온도 센서에 대한 정의의 일례이다.
또한,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각 항목의 설명을 나타낸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는 건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그 이외의 설치이어도 정의 가능하다.
센서 식별자(901)는, 어떤 센서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 내에서 고유한 것이 아니면 안 된다.
테이블 정보(902)는 이 센서의 정보가 기입하는 테이블 식별자를 정의한다.
레코드 정보(903)는, 이 센서로 계측된 데이터가 레코드 내의 어느 열째에 저장되는지를 나타낸다.
위치 정보(904)는, 이 센서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정의한다.
데이터 타입 정보(905)에서는 계측값에 관한 정보가 정의된다.
위치 정보(904)에는, 건물의 경우라면 어떤 건물인지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건물 ID(906), 상기 건물의 몇 층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플로어 ID(907)가 포함된다.
또한, 플로어를 더 세분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예컨대 에어리어 ID(908) 등이 정의된다.
또한, 전력 등의 경우에는 공기 조절이나 조명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도록 용도 ID(909), 어느 분전반의 전력값인지를 나타내는 기기 ID(910) 등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레코드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모두 수치이지만, 센서 추가도 포함해서 사전에 모든 데이터의 타입을 상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데이터는 64비트형 등의 정수값으로서 저장하고, 데이터의 종류는 데이터 종별(911), 데이터의 소수점 자리수 등의 정밀도는 데이터형(912)으로 정의해 둠으로써, 어떤 데이터라도 저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는 수치를 대상으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수치 데이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과 같이 기기 정보와 레코드 정의를 분리함으로써 기기의 구성을 변경한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시스템 가동 중에 기기의 고장 등에 의해서 기기를 변경한 경우에도 구성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변경 가능하다.
도 12 및 도 13은, 상술한 레코드로 관리되는 센서 데이터의 집계예이다.
도 12는 건물 1의 플로어별 전력량의 집계치와 실내 온도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도 13은, 건물 2의 플로어별 전력량의 집계치와 실내 온도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막대 그래프는 전력량을 나타내고, 꺾은선 그래프는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레코드 생성으로는 각 센서의 정보를 관리하지 않지만, 집계시에 구성 정보의 정의를 참조함으로써 여러가지 축에서의 집계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입시에 상정되는 처리 시간과 유저가 설정한 지연 시간으로부터 데이터의 결핍을 가능한 한 억지하여, 기입 처리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처리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기 시간을 갖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도착이 다소 늦어도 도착이 지연된 데이터를 레코드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손 데이터 발생 빈도를 억지할 수 있다.
축적한 데이터의 이용의 일례로 해서 정기적으로 감시(모니터링)하는 것(예컨대, 실내 온도를 수집/축적하고 있어, 이 데이터를 일정 간격으로 취출하는 것) 등이 생각되지만, 검색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기입 횟수를 가능한 한 삭감, 한번에 가능한 한 큰 크기의 데이터를 기입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의 트레이드 오프(검색 성능과 지연 시간의 트레이드 오프)를 제어하면서 수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테이블에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검색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지연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복수의 데이터를 하나의 레코드에 저장하는 레코드 생성 기능으로서,
(1) 수신한 데이터의 타임 스탬프로부터 레코드 저장 시각을 판정하는 동일 시각 판정 기능과,
(2) 개개의 데이터에 대해서 도착 지연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레코드의 기입을 늦춰서 상기 데이터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기다리지 않는다'를 판정하며, 해당하는 레코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기 시간 제어 기능과,
(3) 생성된 레코드를 테이블에 기입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입 판정 기능을 갖고,
(4) 개개의 데이터가 동일 시각에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5) 도착이 지연된 데이터를 '기다린다/기다리지 않는다'를 판정하는 스텝과,
(6) 동일 시각에 발생한 데이터를 동일 레코드에 저장하는 스텝과,
(7) 저장된 레코드를 테이블에 기입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을 갖는 레코드 생성 기능을 설명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레코드 생성 기능은,
레코드 생성 주기로부터 설정되는 날짜 시각(레코드 날짜 시각)과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의 차분을 저장 주기에 기초해서 임계값 처리함으로써 저장 대상이 되는 레코드의 날짜 시각을 결정하며,
저장할 레코드 날짜 시각을 갖는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레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레코드에 날짜를 부가하며,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억 장치 상에서 상기 레코드를 호출하는 동일 시각 판정 기능을 갖추는 것을 설명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시각 판정 기능은,
저장 주기의 시각을 기준으로 해서, 그 기준 시각에 대한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의 차분을 반올림, 올림, 버림 하는 등 해서 기준 시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설명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레코드 생성 기능은,
선택한 대기 시간 제어 방식에 따라, '기다린다/기다리지 않는다'를 개개의 데이터에 대해 판정하고,
'기다린다'고 판정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허용 대기 시간 내에 도착한 경우에는 해당하는 레코드에 저장하며,
허용 대기 시간 이후에 도착한 데이터는, 원래 저장되어야 하는 레코드와 같은 날짜 시각을 갖는 레코드를 중복해서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레코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대기 시간 제어를 행하여,
이미 도착된, 또는 또한 지연하는 등 해서 대기 시간 내에 도착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열에 NULL값을 저장하는 대기 시간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설명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제어 기능은,
도착이 지연된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대기 시간 이내에 도착하지 않은 횟수로 판정하는 대기 시간 제어 방식에 있어서는,
대기 시간 이내에 도착하지 않는 것이 연속해서 발생한 횟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넘지 않는 데이터는 '기다린다'고 판정하며,
대기 시간 이내에 도착하지 않는 것이 연속해서 발생한 횟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넘은 데이터는 '기다리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것을 설명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제어 기능은,
도착이 지연된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일정 시간 내의 늦게 발생 빈도로 판정하는 대기 시간 제어 방식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간 내에 도착 지연이 발생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의 데이터는 '기다린다'고 판정하며,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간 내에 도착 지연이 발생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넘은 데이터는 '기다리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것을 설명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제어 기능은,
도착이 지연된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일정 시간 내의 평균 지연 시간으로 판정하는 대기 시간 제어 방식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간 내에 발생한 도착 지연의 평균 지연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기다린다'고 판정하고,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간 내에 발생한 도착 지연의 평균 지연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기다리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것을 설명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코드 생성 기능은,
기억 장치에 보존되는 모든 레코드에 대해 기입을 실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으로,
전체 레코드가 갖는 레코드가 신규로 생성된 날짜 시각과 현재의 시각으로부터, 생성 날짜 시각을 기점으로 한 경과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경과 시간, 레코드 사이즈, 테이블 기입 처리 시간으로부터 기입 처리를 실행해야 하는 레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기입 처리를 실행해야 하는 레코드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레코드에 대해서 기입 플래그를 세우는 기입 판정 기능을 갖는 것을 설명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입 판정 기능은,
기억 장치에 보존되는 레코드에 있어서, 대기 시간을 토대로 기입 처리를 행해야 한다고 판정한 레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모든 데이터가 갖춰진 레코드에 대해서는 전부 기입 플래그를 세우고,
데이터 도착 지연에 의해 불완전한 레코드에 대해서는 대기 시간을 경과한 레코드에만 기입 플래그를 세우는 것을 설명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복수의 데이터를 하나의 레코드에 저장하는 레코드 생성 기능에 있어서,
데이터를 계측하는 기기의 설치 장소 등의 구성 정보와, 데이터 형식을 관리하는 기능을 갖고,
데이터가 어떤 레코드에 저장해야 할지를 판정하는 스텝을 갖는 구성 정보 관리 기능을 설명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성 정보 관리 기능은,
데이터 계측 기기의 설치 장소를 계층 구조(예컨대 플로어, 에어리어, 기기, 용도 등)로 해서 관리하고,
각 계측 기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코드내 항목 번호를 관리하며,
각 계측 기기의 데이터에 있어서 NULL값 및 정밀도를 규정하고,
대기 시간을 설정할지 여부를 규정하며,
구성 변경(계측 기기의 추가, 삭제, 변경)의 경우에 관리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시스템에 반영시키는 것을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에 나타낸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의 하드웨어 자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21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21에 기재된 구성으로 한하지 않고,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도 21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911)(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프로세서라고도 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CPU(1911)는, 버스(1912)를 통해서, 예컨대, ROM(Read Only Memory)(1913), RAM(Random Access Memory)(1914), 통신 보드(1915), 표시 장치(1901), 키보드(1902), 마우스(1903), 자기디스크 장치(1920)와 접속되어, 이들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또한, CPU(1911)은, FDD(1904)(Flexible Disk Drive), 콤팩트 디스크 장치(1905)(CDD), 프린터 장치(1906), 스캐너 장치(1907)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자기디스크 장치(1920) 대신, 광 디스크 장치, 메모리 카드(등록상표) 판독 장치 등의 기억 장치이어도 된다.
RAM(1914)은 휘발성 메모리의 일례이다. ROM(1913), FDD(1904), CDD(1905), 자기디스크 장치(1920)의 기억 매체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일례이다. 이들은, 기억 장치 또는 기억부의 일례이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억부'는, RAM(1914), 자기디스크 장치(1920) 등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 보드(1915), 키보드(1902), 마우스(1903), 스캐너 장치(1907), FDD(1904) 등은 입력 장치의 일례이다.
또한, 통신 보드(1915), 표시 장치(1901), 프린터 장치(1906) 등은, 출력 장치의 일례이다.
통신 보드(191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예컨대, 통신 보드(1915)는, LAN(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WAN(와이드 에어리어 네트워크), SAN(스토리지 에어리어 네트워크) 등에 접속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자기디스크 장치(1920)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921)(OS), 윈도우 시스템(1922), 프로그램군(1923), 파일군(1924)이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군(1923)의 프로그램은, CPU(1911)이 오퍼레이팅 시스템(1921), 윈도우 시스템(1922)을 이용하면서 실행한다.
또한, RAM(1914)에는, CPU(1911)에 실행시키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921)의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RAM(1914)에는, CPU(1911)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ROM(1913)에는,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자기디스크 장치(1920)에는 부트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의 기동시에는, ROM(1913)의 BIOS 프로그램 및 자기디스크 장치(1920)의 부트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BIOS 프로그램 및 부트 프로그램에 의해 오퍼레이팅 시스템(1921)이 기동된다.
상기 프로그램군(1923)에는,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부'('~기억부'이외, 이하 마찬가지), '~기능'이라고 해서 설명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CPU(1911)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된다.
파일군(1924)에는,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의 판단', '~의 분류', '~의 산출', '~의 도출', '~의 비교', '~의 기입', '~의 저장', '~의 갱신', '~의 설정', '~의 등록', '~의 선택' 등으로 해서 설명하는 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나 데이터나 신호값이나 변수값이나 파라미터가, '~ 파일'이나 '~ 데이터베이스'의 각 항목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 파일'이나 '~ 데이터베이스'는, 디스크나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기억된다. 디스크나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정보나 데이터나 신호값이나 변수값이나 파라미터는, 읽기 쓰기 회로를 통해서 CPU(1911)에 의해 메인 메모리나 캐시 메모리에 판독되고, 추출·검색·참조·비교·연산·계산·처리·편집·출력·인쇄·표시 등의 CPU의 동작에 이용된다.
추출·검색·참조·비교·연산·계산·처리·편집·출력·인쇄·표시의 CPU의 동작 동안, 정보나 데이터나 신호값이나 변수값이나 파라미터는, 메인 메모리,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버퍼 메모리 등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흐름도의 화살표의 부분은 주로 데이터나 신호의 입출력을 나타내고, 데이터나 신호값은, RAM(1914)의 메모리, FDD(1904)의 플렉서블 디스크, CDD(1905)의 컴팩트 디스크, 자기디스크 장치(1920)의 자기디스크, 기타 광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데이터나 신호는, 버스(1912)나 신호선이나 케이블, 그 외의 전송 매체에 의해 온라인 전송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부', '~기능'으로서 설명하는 것은, '~회로', '~장치', '~기기'이어도 되고, 또한 '~스텝', '~순서', '~처리'이어도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흐름도에 나타내는 스텝, 순서, 처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부', '~기능'으로서 설명하는 것은, ROM(1913)에 기억된 펌웨어로 실현되어도 상관없다. 혹은, 소프트웨어만, 혹은, 소자·디바이스·기판·배선 등의 하드웨어만, 혹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 나아가서, 펌웨어와의 조합으로 실시되어도 상관없다. 펌웨어와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으로서, 자기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 등의 기록 매체에 기억된다. 프로그램은 CPU(1911)에 의해 판독되고, CPU(1911)에 의해 실행된다. 즉, 프로그램은, 본 실시예의 '~부', '~기능'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이다. 또는, 본 실시예의 '~부', '~기능'의 순서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100)는, 처리 장치인 CPU, 기억 장치인 메모리, 자기디스크 등, 입력 장치인 키보드, 마우스, 통신 보드 등, 출력 장치인 표시 장치, 통신 보드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로서, 상술한 바나와 같이 '~부', '~기능'으로서 나타내여진 기능을 이들 처리 장치, 기억 장치, 입력 장치, 출력 장치를 이용해서 실현하는 것이다.
100 :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 101 : 데이터
102 : 데이터 수신부 103 : 시각 판정부
104 : 구성 정보 관리부 105 : 레코드 생성부
106 : 기입 처리부 107 : 기입 판정부
108 : 대기 시간 제어부 109 : 테이블 기억부
110 : 구성 정보 기억부 201 : 계측 기기
202 : 수집 서버 장치 204 : 네트워크
205 : 네트워크

Claims (15)

  1. 소정 폭의 관리 시각에 의해 레코드를 관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시각이 표시되는 타임 스탬프가 부가되고, 소정의 주기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의 시각에 대응하는 관리 시각을 판정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시각으로 구분하는 시각 판정부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레코드 생성의 대상이 되는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을 갱신하고,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의 상기 시각 판정부로부터의 입력 개시부터 소정의 접수 시간 동안에 상기 시각 판정부로부터 입력한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를 배열하여 레코드를 생성하며,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 중 상기 접수 시간의 종료 시점에 아직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까지 입력된 미착 데이터를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상기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고,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 시점에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상기 미착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값을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상기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는 레코드 생성부와,
    상기 레코드 생성부에 의한 생성이 완료된 레코드를 소정의 테이블에 추가하는 테이블 추가부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 생성부는,
    과거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를 상기 시각 판정부로부터 늦게 입력한 경우에, 늦게 입력한 지연 데이터의 레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지연 데이터와 같은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로서 아직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까지 입력된 미착 데이터를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상기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며,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 시점에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상기 미착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값을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상기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고,
    상기 테이블 추가부는,
    상기 레코드 생성부에 의한 생성이 완료된 상기 지연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는 레코드를 상기 테이블에 추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 생성부는,
    상기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접수 시간의 종료 시점에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릴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는 경우에는, 상기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접수 시간의 종료 시점에 상기 레코드에 상기 미착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값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복수의 데이터 송신 장치로부터 소정의 주기마다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또한 데이터 송신 장치마다, 데이터 수신시의 지연 상황을 감시하는 지연 상황 감시부를 가지며,
    상기 레코드 생성부는, 상기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의 데이터 송신 장치에 대한 상기 지연 상황 감시부의 감시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릴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상황 감시부는, 데이터 송신 장치마다, 연속해서 적정 수신 타이밍으로부터 늦게 데이터가 수신된 횟수를 연속 지연 횟수로서 계수하고,
    상기 레코드 생성부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의 데이터 송신 장치의 연속 지연 횟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상기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의 데이터 송신 장치의 연속 지연 횟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지 않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상황 감시부는, 데이터 송신 장치마다, 소정의 감시 기간내에 적정 수신 타이밍으로부터 늦게 데이터가 수신된 횟수를 지연 발생 횟수로서 계수하고,
    상기 레코드 생성부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의 데이터 송신 장치의 지연 발생 횟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상기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의 데이터 송신 장치의 지연 발생 횟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지 않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상황 감시부는, 데이터 송신 장치마다, 적정 수신 타이밍으로부터 늦게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적정 수신 타이밍으로부터 늦은 지연 시간을 계측하고, 계측한 지연 시간의 소정의 감시 기간에 있어서의 평균값을 산출하며,
    상기 레코드 생성부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의 데이터 송신 장치의 지연 시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상기 미착 데이터의 송신원의 데이터 송신 장치의 지연 시간의 평균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지 않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 생성부는, 복수의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미착 데이터마다 입력을 기다릴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 생성부는, 상기 접수 시간의 종료까지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모든 데이터가 레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접수 시간의 종료를 기다리는 일없이 상기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추가부는,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전에 상기 레코드 생성부에 의한 레코드의 생성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를 기다리는 일없이, 생성이 완료한 레코드를 상기 테이블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판정부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의 시각의 올림, 버림 및 반올림 중 어느 하나의 연산을 행하여, 상기 타임 스탬프의 시각에 대응하는 관리 시각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복수의 계측 기기 각각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이 표시되는 데이터를, 계측 기기의 기기 ID(Idenfication)와 대응시켜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또한, 기기 ID마다, 레코드 내의 데이터의 위치를 지정하는 구성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 정보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레코드 생성부는, 상기 시각 판정부로부터 입력한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기기 ID에 기초해서,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를 상기 구성 정보로 지정되어 있는 위치에 배열하여 레코드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복수의 설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계측 기기 각각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이 표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 기억부는, 기기 ID마다, 계측 기기의 설치 장소, 계측값의 속성, 계측값의 정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구성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4. 소정 폭의 관리 시각에 의해 레코드를 관리하는 컴퓨터가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시각이 표시되는 타임 스탬프가 부가되고, 소정의 주기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가 수신하며,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컴퓨터가, 수신한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의 시각에 대응하는 관리 시각을 판정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시각으로 구분하며,
    상기 컴퓨터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레코드 생성의 대상이 되는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을 갱신하며,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의 수신 개시부터 소정의 접수 시간 동안 수신한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를 배열하여 레코드를 생성하고,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 중 상기 접수 시간의 종료 시점에 아직 수신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미착 데이터의 수신을 기다리고,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까지 수신된 미착 데이터를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상기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며,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 시점에 수신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값을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상기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고,
    상기 컴퓨터가, 생성이 완료된 레코드를 소정의 테이블에 추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5. 소정 폭의 관리 시각에 의해 레코드를 관리하는 컴퓨터에,
    시각이 표시되는 타임 스탬프가 부가되어, 소정의 주기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와,
    상기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의 시각에 대응하는 관리 시각을 판정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시각으로 구분하는 시각 판정 처리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레코드 생성의 대상이 되는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을 갱신하며,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의 상기 시각 판정 처리로부터의 입력 개시부터 소정의 접수 시간 동안 상기 시각 판정 처리로부터 입력한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를 배열하여 레코드를 생성하며, 현재의 레코드 대상 관리 시각으로 구분되는 데이터 중 상기 접수 시간의 종료 시점에 아직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미착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까지 입력된 미착 데이터를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여 상기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며, 상기 대기 시간의 종료 시점에 입력되지 않은 미착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미착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값을 상기 레코드에 추가하고 상기 레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는 레코드 생성 처리와,
    상기 레코드 생성 처리에 의한 생성이 완료된 레코드를 소정의 테이블에 추가하는 테이블 추가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7032224A 2010-06-18 2010-06-18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11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0352 WO2011158372A1 (ja) 2010-06-18 2010-06-18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415A KR20130018415A (ko) 2013-02-21
KR101411120B1 true KR101411120B1 (ko) 2014-06-25

Family

ID=4534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224A KR101411120B1 (ko) 2010-06-18 2010-06-18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46927B2 (ko)
JP (1) JP5478722B2 (ko)
KR (1) KR101411120B1 (ko)
CN (1) CN102947829B (ko)
WO (1) WO2011158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3186866A1 (ja) * 2012-06-13 2016-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保存装置及びデータ保存システム及びデータ保存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50234897A1 (en) * 2013-01-10 2015-08-20 Hitachi, Ltd. Time seri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70046353A1 (en) * 2014-07-29 2017-02-16 Hitachi, Ltd.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database management method
WO2016046929A1 (ja) * 2014-09-25 2016-03-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集積装置、及び、データ集積方法
US9846574B2 (en) 2014-12-19 2017-12-19 Signalfx, Inc. Representing result data streams based on execution of data stream language programs
US10394692B2 (en) 2015-01-29 2019-08-27 Signalfx, Inc. Real-time processing of data streams received from instrumented software
FR3045255A1 (fr) * 2015-12-11 2017-06-16 Orange Routeur d'un reseau domestique, interface de supervision et un procede de supervision de l'utilisation d'un reseau domestique
CN108803502B (zh) * 2017-04-27 2022-07-26 横河电机株式会社 数据收集装置及系统、数据服务器、数据收集方法及计算机可读取的非易失性的记录介质
JP6320654B1 (ja) * 2017-06-27 2018-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管理装置、通信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US10871994B2 (en) * 2017-07-31 2020-12-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7548092B (zh) * 2017-08-04 2021-01-26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分布式网络延迟的数据处理方法及系统
WO2019130840A1 (ja) * 2017-12-28 2019-07-04 日本電気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解析システム、信号処理方法および信号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252A (ja) * 1997-03-27 1998-10-09 Hitachi Ltd 分散情報の統合方法及び装置
JP2008072536A (ja) 2006-09-15 2008-03-27 Brother Ind Ltd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716A (ja) 1992-12-14 1994-06-28 Nec Corp 時系列データ管理装置
US5734706A (en) * 1995-07-27 1998-03-31 Windsor; Victoria Brein Caller identification and data retrieval system
US5812826A (en) * 1996-06-27 1998-09-22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mulating a network of state monitoring devices
JP2000076257A (ja) 1998-08-26 2000-03-14 Fujitsu Ltd 分散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における情報検索装置及びその検索方法
US6184829B1 (en) * 1999-01-08 2001-02-06 Trueposition, Inc. Calibration for wireless location system
US6574246B1 (en) * 1999-02-17 2003-06-03 Tektronix, Inc. Measuring delay variation of regenerated data clock and of associated data packets
WO2002032079A1 (fr) * 2000-10-06 2002-04-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donnees
US6799258B1 (en) * 2001-01-10 2004-09-28 Datacore Softwar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int-in-time volumes
US6748202B2 (en) * 2001-12-12 2004-06-0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to GPS time
US7739122B2 (en) * 2002-04-12 2010-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of measurement data associated with service elements
US8611919B2 (en) * 2002-05-23 2013-12-17 Wounder Gmbh.,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and mobile e-commerce
US7231555B2 (en) * 2002-08-22 2007-06-12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coordinate groups of heterogeneous measurements
CN101339777B (zh) * 2003-02-19 2013-03-20 日本胜利株式会社 光盘记录再现装置
EP1455495B1 (en) * 2003-03-06 2006-08-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ssage-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JP4359572B2 (ja) * 2005-03-29 2009-11-04 富士通株式会社 状態管理装置及び方法
JP4507127B2 (ja) * 2005-05-25 2010-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トリーム配信システム
CN101189902B (zh) * 2005-05-31 2013-03-06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以及通信控制方法
WO2006130959A1 (en) * 2005-06-06 2006-12-14 Mobidia, In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information to a carrier
JP4594869B2 (ja) * 2006-01-24 2010-12-08 富士通株式会社 状態監視装置
JP2008092163A (ja) * 2006-09-29 2008-04-17 Brother Ind Ltd 状況提示システム、サーバ及び、サーバプログラム
US8112425B2 (en) * 2006-10-05 2012-02-07 Splunk Inc. Time series search engine
US8229083B2 (en) * 2007-01-10 2012-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conference calls
CN101242337B (zh) * 2007-02-08 2010-11-10 张永敏 一种计算机网络的内容发布方法及系统
JP5010985B2 (ja) * 2007-05-30 2012-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ンサノード
JP4948276B2 (ja) 2007-06-15 2012-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ベース検索装置及びデータベース検索プログラム
JP5122890B2 (ja) * 2007-09-06 2013-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装置
US20090164293A1 (en) * 2007-12-21 2009-06-25 Keep In Touch Systemstm, Inc. System and method for time sensitive scheduling data grid flow management
JP5074216B2 (ja) 2008-01-21 2012-1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ンサネットサーバ、及びセンサネットシステム
US8226572B2 (en) * 2008-08-27 2012-07-24 Lifeline Biotechnologies, Inc. Methods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thermal data based on breast surface temperature to determine suspect conditions
US8910006B2 (en) * 2008-09-12 2014-12-09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delay between network interfaces
CN101738218A (zh) * 2008-11-14 2010-06-16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测量数据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US10456036B2 (en) * 2008-12-23 2019-10-29 Roche Diabetes Care, Inc. Structured tailoring
JPWO2010079538A1 (ja) * 2009-01-08 2012-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伝送装置
EP2211502A1 (en) * 2009-01-22 2010-07-28 IBBT vz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network for transferring media data
JP2010192095A (ja) * 2009-01-26 2010-09-02 Panasonic Corp 電子機器、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記録システム
CN102308646B (zh) * 2009-02-06 2014-04-16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及系统
US20110153603A1 (en) * 2009-12-17 2011-06-23 Yahoo! Inc. Time series storage for large-scale monitoring system
CN102792658B (zh) * 2009-12-29 2016-03-16 意大利电信股份公司 在通信网络中进行时间测量
WO2011157301A1 (en) * 2010-06-18 2011-12-22 Nokia Siemens Networks Oy Correlation of collected mobile terminal based measurement data and positioning data
JP2013009159A (ja) * 2011-06-24 2013-01-10 Jvc Kenwood Corp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US8863154B2 (en) * 2012-02-27 2014-10-14 Hitachi, Ltd.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252A (ja) * 1997-03-27 1998-10-09 Hitachi Ltd 分散情報の統合方法及び装置
JP2008072536A (ja) 2006-09-15 2008-03-27 Brother Ind Ltd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03643A1 (en) 2013-04-25
US9146927B2 (en) 2015-09-29
JP5478722B2 (ja) 2014-04-23
KR20130018415A (ko) 2013-02-21
CN102947829B (zh) 2016-03-16
JPWO2011158372A1 (ja) 2013-08-15
WO2011158372A1 (ja) 2011-12-22
CN102947829A (zh)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120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298651B2 (en) Continuous in-memory accumulation of hardware performance counter data
US11024182B2 (en) System and method to forecast flight delay based on real-time data
US8655623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JP2019511054A (ja) 分散クラスタ型訓練方法及び装置
US20140379904A1 (en) Time series data processing device, time series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ime series data processing program
WO2012020456A1 (ja) 時系列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8140919B2 (en) Display of data used for system performance analysis
US114187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setting video content analysis modules
CN114325405A (zh) 电池组一致性分析方法、建模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6252309B2 (ja) 監視漏れ特定処理プログラム,監視漏れ特定処理方法及び監視漏れ特定処理装置
US20170098010A1 (en) Data integration apparatus and data integration method
TWI669675B (zh) 時序資料的分析控制方法及分析控制裝置
US7072813B2 (en) Mechanism to synchronize probes during simulation of system-level designs
JP201304157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運用管理装置、運用管理方法及び運用管理プログラム
US20160077945A1 (en) Storage system statistical data storage and analysis
JP5380386B2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CN113608981A (zh) 时序数据库测试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5781005B2 (ja) データ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672751B2 (ja) パケット収集方法、パケット収集プログラム及びパケット収集装置
CN117077592B (zh) 回归数据监控方法、监控装置及监控系统
Horng et al. Towards The Automated Inference Of Queueing Network Models From High-Precision Location Tracking Data.
JP2001236119A (ja) データ収集装置
CN114141353A (zh) 医疗设备的质量监督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7745401A (zh) 网上银行系统的检测方法及装置、非易失性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