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155B1 - 유압 완충기 - Google Patents

유압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155B1
KR101410155B1 KR1020070097808A KR20070097808A KR101410155B1 KR 101410155 B1 KR101410155 B1 KR 101410155B1 KR 1020070097808 A KR1020070097808 A KR 1020070097808A KR 20070097808 A KR20070097808 A KR 20070097808A KR 101410155 B1 KR101410155 B1 KR 101410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oil
chamber
oil tank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4015A (ko
Inventor
아츠치 마에다
레이지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8007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8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where gas is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9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where gas is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comprising a gas spring with a flexible wall provided between the tubes of a bitubular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20Type of damper
    • B60G2202/24Fluid 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레벨링 타입의 유압 완충기에 있어서, 용접 스퍼터에 의한 오일액 속으로의 이물 혼입 및 용접의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오일액이 봉입된 실린더(3) 내에, 피스톤 로드(27)를 연결한 피스톤(24)을 끼워 장착한다. 신장측, 축소측 디스크 밸브(31, 32) 및 오리피스(33)에 의해서 감쇠력을 발생하고, 셀프 레벨링 기구(S)에 의해 실린더(3)와 오일 탱크(10) 사이에서 오일액을 주고받아 차고 조정을 한다. 오일 탱크(10)의 블래더(12)를 칸막이 부재(8)의 외측 플랜지부(9)와 케이스(2) 사이에서 클램프한다. 오일 탱크(10)가 용접에 의하지 않고서 형성되기 때문에. 용접 스퍼터에 의한 이물의 혼입 및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외측 플랜지부(9)에 O링(49)을 설치함으로써, 리저버(11)로부터 블래더(12)의 클램프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경감할 수 있어, 블래더(12)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리저버, 오일 탱크, 가요성 막, 클램프부

Description

유압 완충기{HYDRAULIC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에 장착되는 차고 자동 조정 기구를 갖춘 유압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는, 현가 장치의 용수철 위, 용수철 아래 사이에 유압 완충기를 장착하여, 용수철 위 및 용수철 아래의 진동을 감쇠시킴으로써, 승차감 및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밴, 웨곤차 등의 비교적 적재 중량이 큰 차량에 있어서는, 사람이 타고 내리거나, 짐을 쌓고 내리는 등에 따른 적재 하중의 변화에 의해서 차고가 크게 변화되어 승차감 및 조종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짐의 적재에 의해 후륜측의 차고가 내려가기(엉덩이가 내려감) 때문에, 헤드라이트의 광축이 위쪽으로 향해 버린다. 이 때문에, 적재 하중의 대소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일정한 차고를 유지할 수 있는 현가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피스톤 로드의 신축에 의해서 오일 탱크의 오일액을 실린더 내에 공급하는 펌프 수단과, 피스톤 로드의 신축 위치에 따라서 펌프 수단 및 실린더로부터 오일 탱크에 압유를 되돌리는 복귀 수단을 구비하여, 주행시의 현가 장치의 진동을 이용하여 펌프 수단 및 복귀 수단을 작동시켜 실린더 내의 압력을 적절하게 가감하여 피스톤 로드의 신장 길이를 일정하게 조정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일정한 표준 차고를 유지하도록 한, 소위 셀프 레벨링 타입의 유압 완충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9-144801호 공보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셀프 레벨링 타입의 유압 완충기에서는, 오일 탱크는, 오일실과 가스실을 가요성 막에 의해서 격리하여, 오일액 속으로 가스가 혼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여, 외통(케이스)의 외주의 현가 스프링의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죽은 공간을 이용하여 필요한 용적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셀프 레벨링 타입의 유압 완충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오일 탱크는, 리저버의 가스실과 오일실을 구획하는 블래더를 유지하기 위한 환상 부재를 용접에 의해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시의 스퍼터의 발생에 의해서 오일액 속에 이물이 혼입될 우려가 있고, 또한, 용접시의 열에 의해서 환상 부재가 변형되어 시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페이스 효율을 높여 리저버 및 오일 탱크의 필요한 용량을 확보하면서 부품 개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용접에 의한 오일액 속으로의 이물 혼입 및 용접의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셀프 레벨링 타입의 유압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위해서,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오일액이 봉입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뻗어 나온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오일액의 유동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실린더에 접속되어 오일액 및 가스가 봉입된 리저버와, 오일액을 저류하는 오일 탱크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신축에 의해서 상기 실린더와 상기 오일 탱크 사이에서 오일액을 교환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의 신장 길이를 조정하는 셀프 레벨링 기구를 구비한 유압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주에 외통을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와 상기 외통 사이에 챔버를 형성하고, 이 챔버를 칸막이 부재에 의해서 구획하여 상부에 상기 리저버를 배치하여, 하부에 상기 오일 탱크를 배치하고, 상기 오일 탱크의 내부를 가요성 막에 의해서 오일실과 가스실로 구획하여,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와 상기 리저버를 연통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셀프 레벨링 기구와 상기 오일 탱크의 오일실을 연통하는 제2 유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유압 완충기는, 상기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에 의해서 상기 가요성 막을 유지하고, 이 가요성 막의 유지부를 상기 리저버로부터 시일하는 시일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른 유압 완충기는, 상기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외통 사이에서 상기 가요성 막을 클램프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외통 사이의 상기 가요성 막의 클램프부에 대하여 상기 리저버측에 상기 시일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른 유압 완충기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오일 탱크의 가스실에는 그 조립시에 대기가 봉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유압 완충기에 의하면, 셀프 레벨링 기구를 갖춘 유압 완충기에 있어서, 외통과 실린더 사이의 상부에 리저버를 배치하고, 하부에 오일 탱크를 배치함으로써, 용접 부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리저버는, 상부에 배치했기 때문에, 액면을 충분 높게 하여 오일액에 가스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일 탱크는, 하부에 배치하여 가요성 막에 의해서 오일실과 가스실을 분리했기 때문에, 오일액에 가스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스페이스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유압 완충기에 의하면, 시일 수단에 의해서 리저버로부터 가요성 막의 유지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경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른 유압 완충기에 의하면, 가요성 막의 클램프부와 시일 수단에 의해서 리저버와 오일 탱크 사이를 2 단계로 시일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른 유압 완충기에 의하면, 오일 탱크의 가스실에 별도 로 가스를 봉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완충기(1)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케이스(2)(외통) 내에 실린더(3)가 삽입된 이중 통 구조로 되어 있고, 케이스(2)의 개구부에 시일 부재(4)가 장착되어 케이스(2)와 실린더(3) 사이에 환상의 챔버가 형성되고 있다. 케이스(2)에는 하단부측이 벌지 가공 등에 의해서 지름이 팽창되어 팽경부(5)가 형성되고, 또한, 팽경부(5) 위쪽 부분이 약간 지름이 넓어져 스프링 받침 지지부(6)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의 바닥부는 캡 부재(7)가 용접되어 폐색되어 있다. 케이스(2)의 팽경부(5)와 실린더(3) 사이에는 칸막이 부재(8)가 삽입되어 있고, 칸막이 부재(8)의 상단부에 형성된 외측 플랜지부(9)가 케이스(2)에 끼워 맞춰져, 케이스(2)와 실린더(3) 사이의 환상의 챔버가 팽경부(5)에 향해 있는 하부의 오일 탱크(10)와 상부의 리저버(11)로 구획되고 있다.
오일 탱크(10)는 가요성의 블래더(12)(가요성 막)에 의해서 내주측의 오일실(13)과 외주측의 가스실(14)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3) 및 오일 탱크(10)의 오일실(13)에는 오일액이 봉입되고, 오일 탱크(10)의 가스실(14)에는 저압 가스가 봉입되고, 또한, 리저버(11)에는 오일액 및 고압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8)의 하단부와 캡 부재(7) 사이에는 환상의 유지 부재(15)가 개재되어 있다. 유지 부재(12)의 내주부에 베이스 가이드(16)가 끼워 맞춰져, 캡 부재(7)와 베이스 가이드(16) 사이에 오일실(17)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가이 드(16)와 실린더(3)의 하단부 사이에는 베이스 부재(18)가 개재되어 있으며, 베이스 가이드(16)와 베이스 부재(18) 사이에 오일실(19)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의 하단부와 칸막이 부재(8) 사이에는 환상 부재(20)가 끼워 맞춰져 있다. 환상 부재(20)는 캡 부재(7)의 가장자리부와 칸막이 부재(8)의 외주의 단부에 의해서 협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오일 탱크(10)의 블래더(12)는 칸막이 부재(8)의 외측 플랜지부(9) 및 환상 부재(20)에 의해서 클램프되어 있다.
캡 부재(7)와 베이스 가이드(16) 사이의 오일실(17)은 환상 부재(20)에 설치된 유로(21)에 의해서 오일 탱크(10)의 오일실(13)에 연통되어 있다. 베이스 가이드(16)와 베이스 부재(18) 사이의 오일실(19)은 실린더(3)와 칸막이 부재(8) 사이에 형성된 환상 유로(22)(제1 유로)를 통해 리저버(11)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8)에 의해서 형성된 오리피스(23)(후술)에 의해서 실린더(3)와 오일실(19)(즉, 환상 유로(22)를 통해 리저버(11))이 연통되어 있다.
실린더(3) 내에는 환상의 피스톤(24)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이 피스톤(24)에 의해서 실린더(3) 안이 실린더 상실(3A)과 실린더 하실(3B)의 2실로 구획되어 있다. 피스톤(24)에는 피스톤 볼트(25) 및 너트(26)에 의해서 중공의 피스톤 로드(27)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7)의 타단측은 케이스(2) 및 실린더(3)의 상단부에 장착된 로드 가이드(28) 및 시일 부재(4)에 삽입 관통되어 실린더(3) 및 케이스(2)의 외부로 뻗어 나와 있다.
피스톤(24)에는 실린더 상실(3A)과 실린더 하실(3B)을 연통시키는 신장측 통로(29) 및 축소측 통로(30)가 형성되고, 또한, 신장측 통로(29) 및 축소측 통로(30)의 오일액의 유동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측 디스크 밸브(31), 축소측 디스크 밸브(32) 및 오리피스(33)를 포함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7)에는 실린더(3) 및 리저버(11)와 오일 탱크(10) 사이에서 오일액을 주고받음으로써 차고 조정을 행하는 셀프 레벨링 기구(S)가 내장되어 있다.
셀프 레벨링 기구(S)에 관해서 이어서 설명한다. 중공의 피스톤 로드(27)의 내부에는 펌프 튜브(34)가 삽입되어, 피스톤 볼트(25)와 스프링(35)에 의해서 협지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3) 내에는 그 축심을 따라서 관상의 펌프 로드(36)가 배치되어 있고, 펌프 로드(36)의 기단부는 베이스 부재(18)의 개구에 삽입 관통되어 베이스 가이드(16)에 연결되어 있다. 펌프 로드(36)와 베이스 부재(18)의 개구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간극에 의해서 실린더 하실(3B)과 오일실(19)(즉 리저버(11))을 연통하는 오리피스(23)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 로드(36)의 선단부는 펌프 튜브(34)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펌프 튜브(34) 내에 펌프실(37)을 형성하고 있다. 펌프 로드(36) 내의 유로(38)는 베이스 가이드(16)에 설치된 유로(38A)(제2 유로)를 통해 오일실(17)(따라서, 유로(21)를 통해 오일 탱크(10)의 오일실(13))에 연통되어 있다.
펌프실(37)은 펌프 로드(36)의 선단부에 설치된 역지 밸브(39)를 통해 펌프 로드(36) 내의 유로(38)에 연통되어 있으며, 역지 밸브(39)는 유로(38)로부터 펌프실(37)에의 오일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또한, 펌프실(37)은 펌프 튜브(34)의 단부에 설치된 역지 밸브(40)를 통해, 중공의 피스톤 로드(27)와 펌프 튜브(34) 사이 에 형성된 환상의 유로(41)에 연통되어 있으며, 또한, 유로(41)는 실린더 상실(3A)에 연통되고 있다. 역지 밸브(40)는 펌프실(37)로부터 유로(41)에의 오일액의 유통만을 허용한다.
펌프 로드(36)의 측면부에는 선단부에서부터 소정 길이에 걸쳐 축 방향을 따라서 뻗는 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상은 펌프실(37)이 홈(42)을 통해 실린더 하실(3B)에 연통되어, 피스톤 로드(27)가 소정 위치까지 단축했을 때, 펌프 튜브(34)에 의해서 홈(42)과 실린더 하실(3B)과의 연통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펌프 로드(36)의 측벽에는 릴리프 포트(43)가 뚫려 형성되어 있으며, 릴리프 포트(43)는 통상은 펌프 튜브(34)에 의해서 폐쇄되고, 피스톤 로드(27)가 소정 위치까지 신장했을 때, 펌프 튜브(34)로부터 노출되어 실린더 하실(3B)과 펌프 로드(36) 내의 유로(38)를 연통시킨다.
베이스 가이드(16)에는 오일실(19)(즉, 고압의 실린더(3) 및 리저버(11)측의)측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했을 때, 밸브 개방하여 이 압력을 챔버(17)측(즉, 저압의 오일 탱크(10)측)으로 릴리프하는, 평상시에 닫힌 릴리프 밸브(44)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의 스프링 받침 지지부(6)의 외주에는 현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하단부를 받치기 위한 환상의 스프링 받침(45)이 끼워 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 완충기(1)는, 피스톤 로드(27)의 선단부를 차체측(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고, 케이스(2)의 하단부에 부착된 장착 아이(46)를 차륜측(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여 차량의 현가 장치에 장착되어 스프링 받침(45)에 의해서 현가 스프링의 하단부를 받친다.
이어서, 오일 탱크(10)의 시일 구조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블래더(12)의 상단부는 칸막이 부재(8)의 외측 플랜지부(9)에 형성된 외주 홈(47)에 끼워 맞추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 홈(47)과 케이스(2)의 내주면 사이에서 클램프되어, 리저버(11)와 오일 탱크(10)의 오일실(13) 및 가스실(14)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더욱이, 칸막이 부재(8)의 외측 플랜지부(9)는 리저버(11)측으로 축 방향으로 뻗어 외주 홈(48)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 홈(48)에 O링(49)(시일 수단)이 끼워 맞춰져, O링(49)에 의해서 케이스(2)와 외측 플랜지부(9)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블래더(12)의 하단부는 환상 부재(20)에 형성된 외주 홈(50)에 끼워 맞추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 홈(50)과 케이스(2)의 내주면 사이에서 클램프되어 오일실(13)과 가스실(14)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해서 이어서 설명한다.
피스톤 로드(27)의 신축에 따른 실린더(3) 내의 피스톤(24)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실린더 상하실(3A, 3B) 사이에서 신장측 및 축소측 유로(29, 30)를 지나는 오일액의 흐름이 발생하여, 이 오일액의 유동을 신장측 및 축소측 디스크 밸브(31, 32) 및 오리피스(33)에 의해서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 피스톤 로드(27)의 침입, 후퇴에 의한 실린더(3) 내의 용적 변화를 리저버(11) 내의 가스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해서 보상한다.
이어서, 유압 완충기(1)의 차고 조정 기능에 관해서 설명한다.
통상, 공차일 때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27)의 신장 길이는 소정의 표준 범위 내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펌프실(37)은 펌프 로드(36)의 홈(42)에 의해서 실 린더 하실(3B)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27)가 신축하더라도 펌핑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고, 그 차고가 유지된다.
적재 하중의 증가 등에 의해서 차고가 저하되어, 피스톤 로드(27)의 신장 길이가 소정의 표준 범위보다 줄어들면, 펌프 튜브(34)에 의해서 홈(42)이 실린더 하실(3B)로부터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는, 주행 중에 피스톤 로드(27)가 신축하면, 신장 행정시에는 펌프 로드(36)가 후퇴하여 펌프실(37)이 확대, 감압되어, 역지 밸브(39)가 열려, 오일 탱크(10)의 오일실(13)의 오일액이 유로(21), 오일실(17), 유로(38A) 및 유로(38)를 지나 펌프실(37)에 도입된다. 축소 행정시에는, 펌프 로드(36)가 전진하여 펌프실(37)이 축소, 가압되어 역지 밸브(40)가 열려, 펌프실(37)로부터 오일액이 유로(41)를 지나 실린더 하실(3B)에 공급되어 피스톤 로드(27)를 신장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주행 중의 피스톤 로드(27)의 신축에 의해서 펌핑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피스톤 로드(27)를 신장시켜 차고를 올린다. 그리고, 차고가 소정의 표준 범위에 달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홈(42)에 의해서 펌프실(37)이 실린더 하실(3A)에 연통되어 펌핑 동작이 해제된다.
또한, 적재 하중의 감소 등에 의해서 차고가 상승하여, 피스톤 로드(27)의 신장 길이가 소정의 표준 범위를 넘으면, 펌프 로드(36)의 릴리프 포트(43)가 펌프 튜브(34)로부터 노출되어, 릴리프 포트(43)에 의해서 실린더 하실(3B)과 유로(38)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 하실(3B)의 오일액이 오일 탱크(10)의 오일실(13)로 되돌려져, 피스톤 로드(27)가 단축하여 차고가 내려간다. 그리고, 차고가 내려가 피스톤 로드(27)의 신장 길이가 소정의 표준 범위까지 단축되면, 릴리프 포 트(43)가 펌프 튜브(34)에 의해서 차단되어, 그 차고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주행시의 피스톤 로드(27)의 신축을 이용하여, 펌핑 동작 및 복귀 동작을 적절하게 반복함으로써, 피스톤 로드(27)의 신장 길이를 소정의 표준 범위로 조정하여, 적재 하중에 관계없이 차고를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오일 탱크(10)는, 오일실(13)과 가스실(14)을 블래더(12)에 의해서 격리함으로써, 오일액에 가스가 혼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여 스프링 받침(45)에 의해서 지지되는 현가 스프링의 아래쪽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에 팽경부(5)를 형성함으로써, 용적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죽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리저버(11)는 오일 탱크(10)의 위쪽에 배치되어 환상 유로(22)를 통해 실린더(3)에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액면의 높이를 충분히 높게 잡을 수 있어, 오일액에 가스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탱크(10)의 가스실(14)은 블래더(12)에 의해서 시일되기 때문에, 조립시에 저압 가스로서 대기를 봉입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케이스(2)의 팽경부(5)에 의해서 오일 탱크(10)를 형성함으로써,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예에 비하여,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제조 공정수 및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탱크(10)는 용접에 상관없이, 칸막이 부재(8) 및 환상 부재(20)에 의해서 블래더(12)를 클램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스퍼터의 발생에 의한 오일액에의 이물의 혼입 및 용접의 열에 의한 변형의 문제가 생기는 일이 없다.
오일 탱크(10)와 리저버(11) 사이는 블래더(12)의 상단부에 더하여 O링(49)에 의해서 시일되어 있기 때문에, 펌핑에 의해서 고압으로 되는 리저버(11)의 압력이 블래더(12)의 상단부에 직접 작용하지 않으므로, 시일성을 확보하고, 고압에 의한 블래더(12)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외주 홈(48) 및 O링(49)이 생략되고, 대신에 블래더(12)의 상단부가 끼워 맞춰지는 외주 홈(47)이 축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칸막이 부재(8) 및 블래더(12)를 케이스(2)에 셋팅한 후, 케이스(2)를 외주측에서부터 코오킹하여, 코오킹부(50)를 블래더(12)의 상단부에 먹혀 들어가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코오킹부(50)의 양측에 블래더(12)에 의한 2단 시일을 형성하여 시일성을 높이고, 블래더(12)의 클램프를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칸막이 부재(8)의 외측 플랜지(9) 및 블래더(12)의 상단부의 외주부와 케이스(2)의 내주부 사이에 끼워 맞춰져, 칸막이 부재(8)의 상단부에 접촉하는 환상의 시일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51)의 케이스(2)에 끼워 맞추는 외주부에는 외주 홈(52)이 형성되고, 외주 홈(52)에는 O링(53)이 끼워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O링(52) 및 블래더(12)의 상단부에 의해서 리저버(11)와 오일 탱크(10) 사이를 시일하고, 시일 부재(51)에 의해서 시일 길 이를 길게 함으로써, 블래더(12)의 상단부에 작용하는 리저버(11)의 압력을 경감하여 블래더(12)의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래더(12)를 클램프하는 칸막이 부재(8)의 외측 플랜지부(9)의 하단 외주연부 및 환상 부재(20)의 상단 외주연부에 라운딩(R)을 형성함으로써, 도 4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래더(12)가 내측으로 변형했을 때, 블래더(12)가 라운딩(R)에 의해서 지지되어, 코너부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블래더(12)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압 완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유압 완충기의 변형예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유압 완충기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유압 완충기의 또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변형예의 환상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유압 완충기 2 : 케이스(외통)
3 : 실린더 8 : 칸막이 부재
10 : 오일 탱크 11 : 리저버
12 : 블래더(가요성 막) 13 : 오일실
14 : 가스실 22 : 환상 유로(제1 유로)
24 : 피스톤 27 : 피스톤 로드
31 : 디스크 밸브(감쇠력 발생 기구)
32 : 디스크 밸브(감쇠력 발생 기구)
33 : 오리피스(감쇠력 발생 기구) 38 : 유로(제2 유로)
49 : O링(시일 수단) S : 셀프 레벨링 기구

Claims (4)

  1. 오일액이 봉입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실린더 내를 실린더 상실과 실린더 하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뻗어 나온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생기는 오일액의 유동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실린더에 접속되어 오일액 및 고압 가스가 칸막음(仕切ること) 없이 봉입된 리저버와, 오일액을 저류하는 오일 탱크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신축에 의해서 상기 실린더와 상기 오일 탱크 사이에서 오일액을 주고받아 상기 피스톤 로드의 신장 길이를 조정하는 셀프 레벨링 기구를 구비한 유압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주에 외통을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와 상기 외통 사이에 챔버를 형성하고, 이 챔버를 칸막이 부재에 의해서 구획하여 상부에 상기 리저버를 배치하고, 하부에 상기 오일 탱크를 배치하고, 상기 실린더 하실과 상기 셀프 레벨링 기구가 연통되는 것에 의해 상기 오일 탱크가 상기 실린더 하실과 연통되는 상기 오일 탱크의 내부를 가요성 막에 의해서 오일실과 저압 가스실로 구획하고, 상기 실린더 하실의 일단부와 상기 리저버를 연통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실린더 하실과 상기 셀프 레벨링 기구가 연통되는 것에 의해 연통되는 상기 오일 탱크의 오일실을 연통하는 제2 유로를 설치하고,
    상기 리저버는 차체측에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오일 탱크는 차륜측에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에 의해서 상기 가요성 막을 유지하고, 이 가요성 막의 유지부를 상기 리저버로부터 시일하는 시일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완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외통 사이에서 상기 가요성 막을 클램프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외통 사이의 상기 가요성 막의 클램프부에 대하여 상기 리저버측에 상기 시일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완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탱크의 가스실에는, 그 조립시에 대기가 봉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완충기.
KR1020070097808A 2007-02-07 2007-09-28 유압 완충기 KR101410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28248A JP2008190691A (ja) 2007-02-07 2007-02-07 油圧緩衝器
JPJP-P-2007-00028248 2007-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015A KR20080074015A (ko) 2008-08-12
KR101410155B1 true KR101410155B1 (ko) 2014-06-19

Family

ID=3967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808A KR101410155B1 (ko) 2007-02-07 2007-09-28 유압 완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56048B2 (ko)
JP (1) JP2008190691A (ko)
KR (1) KR101410155B1 (ko)
CN (1) CN1012408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7549B2 (ja) * 2007-10-31 2012-11-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油圧緩衝器の製造方法
KR101162306B1 (ko) * 2008-03-05 2012-07-04 주식회사 만도 차고 조정식 쇽업소버
US8857580B2 (en) 2009-01-07 2014-10-14 Fox Factory, Inc. Remotely operated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US11306798B2 (en) 2008-05-09 2022-04-19 Fox Factory, Inc. Position sensitive suspension damping with an active valve
US9033122B2 (en) 2009-01-07 2015-05-19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10047817B2 (en) 2009-01-07 2018-08-14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10060499B2 (en) 2009-01-07 2018-08-28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20100170760A1 (en) 2009-01-07 2010-07-08 John Marking Remotely Operated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US9452654B2 (en) 2009-01-07 2016-09-27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8627932B2 (en) 2009-01-07 2014-01-14 Fox Factory, Inc.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US8393446B2 (en) 2008-08-25 2013-03-12 David M Haug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lock out and signal generation
US9422018B2 (en) 2008-11-25 2016-08-23 Fox Factory, Inc. Seat post
US9140325B2 (en) 2009-03-19 2015-09-22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pring pre-load adjustment
US10036443B2 (en) 2009-03-19 2018-07-31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adjustment
US10821795B2 (en) 2009-01-07 2020-11-03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9038791B2 (en) 2009-01-07 2015-05-26 Fox Factory, Inc. Compression isolator for a suspension damper
US11299233B2 (en) 2009-01-07 2022-04-12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9556925B2 (en) 2009-01-07 2017-01-31 Fox Factory, Inc. Suspension damper with by-pass valves
US8936139B2 (en) 2009-03-19 2015-01-20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adjustment
US8838335B2 (en) 2011-09-12 2014-09-16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set up
US8672106B2 (en) 2009-10-13 2014-03-18 Fox Factory, Inc. Self-regulating suspension
US8955653B2 (en) 2009-10-13 2015-02-17 Fox Factory,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luid damper
US10697514B2 (en) 2010-01-20 2020-06-30 Fox Factory, Inc. Remotely operated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NL2004138C2 (nl) * 2010-01-25 2011-07-26 Koni Bv Stijve demper.
JP5473676B2 (ja) * 2010-03-02 2014-04-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ガススプリングを用いたカバー開閉支持機構および自動取引装置
EP3778358B1 (en) 2010-07-02 2023-04-12 Fox Factory, Inc. Positive lock adjustable seat post
EP2530355B1 (en) 2011-05-31 2019-09-04 Fox Factory, Inc. Apparatus for position sensitive and/or adjustable suspension damping
US11279199B2 (en) 2012-01-25 2022-03-22 Fox Factory, Inc. Suspension damper with by-pass valves
US10330171B2 (en) 2012-05-10 2019-06-25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ES2612183T3 (es) * 2012-05-30 2017-05-12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Una unidad de amortiguador de suspensión
DE102016201649B4 (de) * 2015-09-21 2018-07-26 Zf Friedrichshafen Ag Selbstpumpendes hydropneumatisches Federbein
US10737546B2 (en) 2016-04-08 2020-08-11 Fox Factory, Inc. Electronic compression and rebound control
CN113108005B (zh) * 2020-01-09 2022-07-2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减振器总成
CN114352668A (zh) * 2021-11-03 2022-04-15 浙江快乐树减震器有限公司 自适应车用变阻尼减振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7444A (en) * 1972-11-17 1974-09-24 F Allinquant Oleopneumatic shock absorbers
US5988655A (en) * 1996-11-08 1999-11-23 Kayaba Kogyo Kabushiki Kaisha Vehicular height adjusting device
KR100363449B1 (ko) * 1998-06-30 2002-11-30 도키코 가부시키 가이샤 유압 완충기
KR20050016045A (ko) * 2003-08-01 2005-02-21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차량 높이에 대한 자체 조정 기능을 갖는 유압식 완충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55237B1 (de) * 1968-04-17 1971-10-07 Hoesch Ag Selbstpumpendes hydropneumatisches Federbein mit innerer Niveauregelung fuer Fahrzeuge
DE2226682A1 (de) * 1971-06-08 1972-12-21 Alhnquant, Fernand Michel, Allin quant, Jacques Gabriel, Sceaux (Frank reich) Selbstpumpendes Federbein, insbeson dere fur Kraftfahrzeuge
JPS5813769B2 (ja) * 1978-08-11 1983-03-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緩衝器
JP2952149B2 (ja) * 1994-02-21 1999-09-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ドロニューマチックシリンダ
JP3649352B2 (ja) 1995-07-31 2005-05-1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JP4022649B2 (ja) 1995-11-27 2007-1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油圧緩衝器
DE19857595C2 (de) * 1997-12-18 2003-06-26 Zf Sachs Ag Selbstpumpendes hydropneumatisches Federbein mit innerer Niveauregelung
JP2000337419A (ja) * 1999-05-25 2000-12-05 Tokico Ltd 油圧緩衝器
JP2001027276A (ja) * 1999-07-15 2001-01-30 Showa Corp 車高調整機構付きダンパ
DE19959197B4 (de) * 1999-12-08 2006-04-20 Zf Sachs Ag Selbstpumpendes hydropneumatisches Federbein mit innerer Niveauregelung
JP2006038098A (ja) * 2004-07-27 2006-02-09 Hitachi Ltd 油圧緩衝器
DE102004047898B4 (de) * 2004-10-01 2007-12-20 Zf Friedrichshafen Ag Selbstpumpendes hydropneumatisches Federbe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7444A (en) * 1972-11-17 1974-09-24 F Allinquant Oleopneumatic shock absorbers
US5988655A (en) * 1996-11-08 1999-11-23 Kayaba Kogyo Kabushiki Kaisha Vehicular height adjusting device
KR100363449B1 (ko) * 1998-06-30 2002-11-30 도키코 가부시키 가이샤 유압 완충기
KR20050016045A (ko) * 2003-08-01 2005-02-21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차량 높이에 대한 자체 조정 기능을 갖는 유압식 완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0830A (zh) 2008-08-13
US8556048B2 (en) 2013-10-15
KR20080074015A (ko) 2008-08-12
JP2008190691A (ja) 2008-08-21
CN101240830B (zh) 2013-02-06
US20080185244A1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155B1 (ko) 유압 완충기
KR101503532B1 (ko) 유압 완충기의 조립 방법 및 유압 완충기
EP0855296B1 (en) Suspension apparatus
US6871845B2 (en) Self-pumping, hydropneumatic suspension strut unit
US6270064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KR100585923B1 (ko) 차량 높이에 대한 자체 조정 기능을 갖는 유압식 완충기
US8042791B2 (en) Self-pumping hydropneumatic shock absorber
US6412615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for motor vehicles
JP4022649B2 (ja) 油圧緩衝器
JP6630201B2 (ja) 緩衝器
JP4816968B2 (ja) 油圧緩衝器
JP3988143B2 (ja) 油圧緩衝器
JP2017166572A (ja) 緩衝器
JP5110285B2 (ja) 油圧緩衝器
JP3988090B2 (ja) 油圧緩衝器
JP2000337419A (ja) 油圧緩衝器
JP4844889B2 (ja) 油圧緩衝器
JP3279127B2 (ja) セルフポンピング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00135909A (ja) 油圧緩衝器
JP2000337423A (ja) 油圧緩衝器
JP2000074125A (ja) 油圧緩衝器
JP2008025665A (ja) 油圧緩衝器における内部シール構造
JP2000145871A (ja) 車高調整機構付きダンパ
JP2000161418A (ja) シリンダ装置
KR20020053601A (ko)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