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057B1 -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 Google Patents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057B1
KR101398057B1 KR1020140001073A KR20140001073A KR101398057B1 KR 101398057 B1 KR101398057 B1 KR 101398057B1 KR 1020140001073 A KR1020140001073 A KR 1020140001073A KR 20140001073 A KR20140001073 A KR 20140001073A KR 101398057 B1 KR101398057 B1 KR 101398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pulp
powder
patch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경
Original Assignee
장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유경 filed Critical 장유경
Priority to KR102014000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057B1/ko
Priority to PCT/KR2015/000032 priority patent/WO20151024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241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hot packs, hot compresses, cooling pads, e.g. heaters or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8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ays of manufacturing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6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organic solids or fibres
    • A61F2007/0207Plants, dried plants, seeds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2Ba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2Bags therefor
    • A61F2007/0223Bags therefor made of text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패치 복합체는 쑥 패치부, 상기 쑥 패치부의 일면에 형성된 보온재부, 상기 보온부 상면에 형성된 발열팩 수납부 및 상기 보온재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부착부로 이루어진 패치; 및 상기 발열팩 수납부에 수납 가능한 발열팩을 포함하고, 상기 쑥 패치부는 쑥 분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쑥 분말은 생쑥을 파쇄착즙기로 분쇄하는 생쑥 분쇄과정을 거쳐 쑥즙과 펄프로 분리한 후 각각을 동결건조시켜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로 형성한 후 상기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을 혼합하는 쑥 분말 형성을 위한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 혼합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되, 상기 쑥즙 분말은 생쑥 파쇄과정에서 발생한 액상의 쑥즙만을 추출하는 쑥즙추출단계, 상기 쑥즙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액체상태의 쑥즙에 유산균, 이엠(EM)원액, 효모 및 누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첨가하여 약효성분을 극대화하기 위한 유효물질 첨가단계, 쑥즙과 유효물질을 혼합하여 배양기에서 5 내지 12시간 배양하여 약효성분을 극대화하는 쑥즙 배양 단계, 쑥즙을 수분함량이 4% 이하가 되도록 영하 40 이하에서 동결건조하는 쑥즙 동결건조단계, 쑥즙입자를 입자크기가 0.5 내지 2mm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을 거쳐 이루어지고, 펄프 분말은 생쑥 파쇄과정에서 발생한 고상의 펄프를 추출하는 펄프추출단계, 상기 펄프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펄프를 찌거나 볶음로서 조직을 해리 및 연화시키는 펄프조직 해리/연화단계, 펄프를 수분함량이 4% 이하가 되도록 영하 40 이하에서 동결건조하는 펄프 동결건조단계, 펄프를 입자크기가 5 내지 20mm의 크기로 절단하는 펄프 절단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며, 상기 보온재부는 면 및 모의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되, 저온화상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뜸질의 효과가 최대화되도록 0.01 내지 0.5 cm로 형성하며, 상기 발열팩 수납부는 상기 발열팩이 수납가능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지퍼, 벨크로, 버튼, 단추 또는 덮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개폐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의 일부분은 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는 발열에 의한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보온재로부터 0.5 내지 3cm 이격되어 형성하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약용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사용자가 발열팩을 임의로 수납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취양에 맞는 발열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저온화상을 회피하고 최적의 뜸질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약쑥의 탁월한 효능 극대화 및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MUGWORT PATCH COMPLEX FOR MOXA TREATMENT}
본 발명은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발열팩 수납부를 포함하여 원하는 온도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쑥은 생혈(生血), 보혈(補血), 해혈(咳血), 지혈(止血) 및 청혈(淸血) 작용을 한다. 또한 쑥은 여성들의 자궁 질환, 하복부 냉증, 생리 불순, 냉.대하, 수족 냉증의 치료에도 효과가 현저하며, 진통, 구충 작용, 혈압 강하, 소염 작용 및 복통, 토사의 치료에도 쓰여 왔다. 쑥의 주요 성분은 시네올, 아데닌, 콜린, 타닌, 클로로필 등이며, 비타민 A, C, 비타민 B1, B2, B6도 들어 있다. 또한, 칼슘과 카로틴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시력을 보호하고 감기를 예방하는데 특별한 효과를 나타내며, 무기질이 풍부한 알카리성 식품으로 병에 걸리기 쉬운 산성 체질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혈액을 정화시키고, 풍부한 섬유소의 함유로 숙변을 용이하게 하여 피부 미용에도 효과가 있으며, 비료, 농약 등의 독소를 분해해서 체외로 내보내는 해독제 역할도 한다.
쑥뜸이란, 주성분인 쑥의 약효 성분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효능은 진통 작용, 지혈 작용, 항염증(亢炎症) 작용, 자율 신경 조절, 인체의 면역력 강화 등의 약리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고, 고대부터 전래되는 한방 시술로서 예부터 우리 민족이 즐겨 사용해 온 한방 치료 방법의 하나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직접구를 이용하여 쑥뜸을 하는 방법은 피부에 쑥 기둥을 부착하고 상기 쑥에 점화하고 쑥 불이 피부를 살짝 태우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여성이나 연소자 등이 사용하기 불편하다. 간접구를 이용하는 방법은 소금, 마늘 또는 뜸 받침대 위에 쑥 기둥을 형성하고 상기 쑥에 점화하여 환자의 피부에 쑥 불이 닿기 전에 진화하여 쑥 불의 간접적인 열에 의하여 질병을 치료 예방하는 방법이다. 간접구를 이용하는 방법은 시술자가 뜸을 시술하는 동안 쑥 불을 계속 주시하여 관찰하여야 하고, 도중에 쑥의 불꽃이 환자의 피부에 닿기 전에 쑥 재료를 새로 매번 교체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 등 불편함을 초래한다.
아울러 기존의 쑥 뜸 방법 및 장치들은 화상의 위험,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105845호는 쑥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으며 쑥의 약효성분을 피하 심층부까지 침투하도록 음이온을 발생하는 황토성분을 포함하는 뜸 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105845호의 뜸 기구는 발열수단이 본체에 고정되어 있어 발열 팩의 온도조절이 불가능하여 저온화상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뜸질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뜸질 온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발열체의 수납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쑥 패치부의 약효를 높이기 위한 가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쑥 패치부의 약효를 높이면서 제조과정에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는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패치 복합체는 쑥 패치부, 상기 쑥 패치부의 일면에 형성된 보온재부, 상기 보온재부 상면에 형성된 발열팩 수납부 및 상기 보온재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부착부로 이루어진 패치; 및 상기 발열팩 수납부에 수납 가능한 발열팩을 포함하고, 상기 쑥 패치부는 쑥 분말을 포함하되, 상기 쑥 분말은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팩 수납부는 상기 발열팩이 수납가능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의 일부분은 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는 발열에 의한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보온재로부터 이격되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쑥 분말은 생쑥을 분쇄하는 생쑥 분쇄과정(S10)을 거쳐 쑥즙과 펄프로 분리하여 각각을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로 형성한 후 상기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을 혼합하는 쑥 분말 형성을 위한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 혼합과정(S20)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쑥 분말 형성을 위한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 혼합과정(S20)에서 생성되는 쑥 분말은 쑥즙 분말 5 내지 10중량%와 펄프 분말 90 내지 95중량%로 혼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쑥즙 분말은 생쑥 파쇄과정(S10)에서 발생한 액상의 쑥즙을 추출하는 쑥즙추출단계(A10), 쑥즙을 동결건조하는 쑥즙 동결건조단계(A40), 쑥즙입자를 분쇄하는 쑥즙 분말화단계(A50)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쑥즙추출단계(A10)에 이어서 상기 쑥즙추출단계(A10)에서 추출된 액체상태의 쑥즙에 유산균, 이엠(EM)원액, 효모 및 누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유효물질을 첨가하는 유효물질 첨가단계(A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효물질 첨가단계(A20)에 이어서 상기 쑥즙과 유효물질을 혼합하여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약효성분을 극대화하는 쑥즙 배양 단계(A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펄프 분말은 생쑥 파쇄과정(S10)에서 발생한 고상의 펄프를 추출하는 펄프추출단계(B10), 펄프를 동결건조하는 펄프 동결건조단계(B30), 펄프를 절단하는 펄프 절단 단계(B40)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펄프추출단계(B10)에 이어서 상기 펄프추출단계(B10)에서 추출된 펄프의 조직을 해리 및 연화시키는 펄프조직 해리/연화단계(B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부는 지퍼, 벨크로, 버튼, 단추 또는 덮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개폐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발열팩을 임의로 수납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발열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저온 화상을 회피하고 최적의 뜸질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쑥 자체를 발효시키는 것은 3개월 이상의 시간과 많은 공간이 필요하나 이에 비하여 쑥즙과 펄프를 분리 후 동결 건조시키는 방법은 쑥 자체를 발효시키는 것에 비해 55 내지 70%의 생산비만 투여되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쑥 분말을 제조하는 제조과정 개락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패치 복합체는 패치(10) 및 발열팩(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의 분해 사시도 이다. 패치(10)는 두면을 포함하는 쑥 패치부(11), 상기 쑥 패치부(11)의 상기 두면 중 일면에 형성된 보온재부(12), 상기 보온재부(12)의 상면에 형성된 발열팩 수납부(13) 및 상기 보온재부(12)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부착부(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쑥 패치부(11)는 통기성 부재로 구성된 팩에 건조 쑥, 발효 쑥, 쑥 오일 및 쑥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쑥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통기성 부재는 면, 마, 견, 펄프, 옥수수원료 원단, 부직포 및 식용 나일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면, 마, 견 또는 양모 등의 천연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옥수수원료 원단이란, 옥수수에서 얻어지는 전분을 발효시켜 글르코오스를 거쳐 유산으로 만든 후, 이것을 축합 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등과 같이 용융방사, 용융 성형 등으로 얻어지는 섬유사를 이용한 원단을 의미하여, 바람직하게는 PLA(생분해 젖산)으로 이루어진 소재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휴비스사의 인지오(Ingeo) 원단이다.
통기성 부재 중 신체와 접촉하는 측면은 미세공(pore)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공의 크기는 0.01 내지 0.5mm,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mm이다. 또, 각 미세공은 0.5 내지 5mm 간격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공은 신체와 접촉하는 측면의 전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쑥 조성물이 위치한 부분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미세공은 쑥의 약효 성분이 체내에 더 잘 전달되고, 쑥 냄새가 심하게 나지 않는 범위로 조정된다.
쑥 패치부(11)의 모양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마름모 등의 모든 형태 일 수 있다.
쑥 조성물은 통기성 부재로 구성된 팩의 상부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쑥 조성물은 통기성 부재로 구성된 팩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쑥 조성물은 건조 쑥, 발효 쑥, 쑥 오일 및 쑥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건조 쑥은 생쑥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시킨 쑥이다. 바람직하게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 건조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발효 쑥은 염분, 당 또는 유용한 미생물군(EM)으로부터 발효시킨 것이다. 상기 염분에 의한 발효는 생쑥을 소금과 혼합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시로서 생쑥 100 중량부 당 소금 1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 내지 3개월 동안 발효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당에 의한 발효는 생쑥을 당과 혼합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생쑥 100 중량부 당 1~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 내지 3개월 동안 발효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당은 그 종류를 불문하나,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용한 미생물군은 이엠(EM: Effective Microorganism)이라고 명명되며, 이엠(EM)은 인간에게 유용하게 작용하는 미생물, 예를 들어 유산균, 효모, 광합성 세균, 방선균, 사상균 등을 집합시켜 놓은 액체 상태의 물질이다. 이엠(EM)에 포함된 대표적인 미생물로서, 유산균은 유기물의 부패를 방지하고 발효를 돕고, 효모는 비타민이나 생리 활성 물질을 만들어내고, 식물이나 다른 유효군의 활성화를 증진시키며, 광합성 세균은 유해 물질로부터 비타민이나 식물의 양분을 합성하여 이엠(EM)중의 주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방선균은 항생 물질을 만들어 병원균을 억제하며, 사상균은 유기물의 발효를 돕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쑥 분말은 생쑥을 파쇄착즙기로 분쇄하여 쑥즙과 펄프로 분리한 후 각각을 동결건조시켜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로 형성하여 각각의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는 생쑥을 파쇄착즙기로 분쇄하는 생쑥 분쇄과정(S10)을 거친 후 상기 분말들을 혼합하는 쑥 분말 형성을 위한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 혼합과정(S20)을 거쳐 이루어진다. 여기서 생쑥을 분쇄하는 것은 열로 인한 변색 및 약효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저속 스크루 프레스식 파쇄착즙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쑥즙 분말은 생쑥 파쇄과정(S10)에서 발생한 액상의 쑥즙만을 추출하는 쑥즙추출단계(A10), 상기 쑥즙추출단계(A10)에서 추출된 액체상태의 쑥즙에 유산균, 이엠(EM)원액, 효모 및 누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첨가하여 약효성분을 극대화하기 위한 유효물질 첨가단계(A20), 쑥즙과 유효물질을 혼합하여 배양기에서 5 내지 12시간 배양하여 약효성분을 극대화하는 쑥즙 배양 단계(A30), 쑥즙을 수분함량이 4% 이하가 되도록 영하 40 이하에서 동결건조하는 쑥즙 동결건조단계(A40), 쑥즙입자를 입자크기가 0.5 내지 2mm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A50)를 거쳐 이루어진다.
또한 펄프 분말은 생쑥 파쇄과정(S10)에서 발생한 고상의 펄프를 추출하는 펄프추출단계(A10), 상기 펄프추출단계(B10)에서 추출된 펄프를 찌거나 볶음로서 조직을 해리 및 연화시키는 펄프조직 해리/연화단계(B20), 펄프를 수분함량이 4% 이하가 되도록 영하 40 이하에서 동결건조하는 펄프 동결건조단계(B30), 펄프를 입자크기가 5 내지 20mm의 크기로 절단하는 펄프 절단 단계(B40)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어서 각각의 단계를 거친 쑥즙 분말 및 펄프 분말은 쑥즙 분말 5 내지 10중량%와 펄프 분말 90 내지 95중량%로 혼합하여 쑥 분말 형성을 위한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 혼합과정(S20)을 거쳐 쑥 분말이 형성된다.
보온재부(12)는 쑥 패치부(11)의 두면 중 일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미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일면에 형성된다. 보온재부(12)는 면, 모, 펄프, 옥수수원료원단, 순면 부직포 및 열가소성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면 및 모의 천연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온재부의 두께는 0.01 내지 0.5c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cm일 수 있다. 보온재부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열이 쉽게 전달되어 저온 화상의 위험이 있고, 두꺼운 경우에는 열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쑥 뜸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발열팩 수납부(13)는 보온재부(12)의 상면에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부는 부착 후 활동의 편리성을 위하여 지퍼, 벨크로 접착부, 버튼, 단추 및 덮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1 종의 개폐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발열팩 수납부의 상부는 발열팩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열팩 수납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 중 발열팩이 뜨거운 경우에는 발열팩을 제거하여 사용 온도 및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사용하던 발열팩을 제거하고 새로운 발열팩을 사용하여 사용 온도 및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부착부(14)는 보온재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일부분에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온재부로부터 0.5 내지 3c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cm 떨어져 있는 부분에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가 보온재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유는 접착 성분이 발열팩에 의해 가열되면 유해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발생한 유해 성분이 신체에 침투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부착부(14)는 쑥 패치부의 모양과 같이,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마름모 등의 모든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부(14)는 2 이상의 날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면하는 위치로 이루어진 2 또는 4개의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부착 부분의 활동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14)는 부착 및 부착 후 활동의 편리함을 위하여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쑥 패치부, 보온재부 및 발열팩 수납부는 열 융착, 니들 펀치 및 스티치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접착제와 같은 유해한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결합하여 유해 성분이 신체에 침투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발열팩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열팩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는 철분 40 내지 70 중량%, 염분 5 내지 15 중량%, 수분 20 내지 35 중량% 및 규조토, 쑥가루, 편백나무 가루, 허브, 한약재, 황토 또는 톱밥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들이다. 도 1의 패치(10)는 개폐 조절 수단이 없는 발열팩 수납부(13)와 4 개의 날개 형태로 이루어진 부착부(12)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이다. 도 2의 패치(20)는 원형의 쑥 패치부(21), 보온재부(22) 및 발열팩 수납부(23)를 포함하고 보온재부(22)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원형의 부착부(24)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이다. 여기서 발열팩(25)의 형상은 발열팩 수납부(2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패치(30)는 사각형의 쑥 패치부(31), 보온재부(32) 및 발열팩 수납부(33)를 포함하고, 보온재부(32)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사각형의 부착부(34)를 포함하고, 발열팩 수납부(33)의 개폐 수단으로 지퍼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이다.
이하, 실험 예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험 예 1 ]
실험 예 1은 보온재부의 두께에 따른 온도 유지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실험이다. 실시 예 1 내지 4 및 비교 예 1, 2는 쑥 패치부에 쑥 분말을 사용하였고, 보온재부로 면을 사용하였고, 쑥 패치부의 통기성 부재는 0.2mm의 미세공을 포함하는 패치와 철분 60 중량%, 염분 10 중량%, 수분 20 중량% 및 편백나무 가루 10 중량%를 포함하는 발열팩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보온재부 두께(cm) 0.05 0.1 0.3 0.5 - 0.7
찜질시작 5분 후
온도 (℃)
40.9 39.6 38.2 38.4 42.1 38.1
찜질시작 10분 후
온도 (℃)
41.2 40.2 40.1 40.6 43.2 39.8
찜질시작 15분 후
온도 (℃)
41.5 40.7 40.2 40.5 43.9 39.8
찜질시작 20분 후
온도 (℃)
41.8 40.8 40.6 40.6 44.1 40.1
찜질시작 25분 후
온도 (℃)
41.6 40.9 40.5 40.4 44.2 40.0
찜질시작 30분 후
온도 (℃)
41.9 41.2 40.3 40.5 44.5 40.1
발열팩제거 1분 후
온도 (℃)
41.3 41.0 40.2 40.3 42.9 40.0
발열팩제거 2분 후
온도 (℃)
40.6 40.8 40.1 40.2 40.2 39.8
발열팩제거 3분 후
온도 (℃)
39.2 39.8 39.5 39.8 39.2 39.1
발열팩제거 4분 후
온도 (℃)
37.6 38.2 38.1 38.5 37.7 38.5
발열팩제거 5분 후
온도 (℃)
36.7 37.2 37.2 37.5 36.5 37.9
발열팩제거 6분 후
온도 (℃)
36.5 36.9 36.9 37.2 36.3 37.5
발열팩제거 7분 후
온도 (℃)
36.4 36.9 36.8 37.0 36.0 37.3
발열팩 제8분 후
온도 (℃)
36.3 36.8 36.8 37.0 35.8 37.2
발열팩 제9분 후
온도 (℃)
36.1 36.5 36.7 36.9 35.8 37.0
발열팩 제10분 후
온도 (℃)
36.0 36.4 36.7 36.9 35.8 36.9
쑥 찜질이 가장 효과적인 온도는 40 내지 42℃이다. 보온재부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 예 1은 찜질 시작 후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화상의 위험이 있으며, 발열팩 제거 후에는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보온재부의 두께가 0.7cm인 비교 예 2는 찜질 효과가 큰 온도로 상승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실시 예 1 내지 4는 찜질 시작 후 찜질에 효과적인 온도로 상승하고, 발열팩 제거 후에도 온도 하강 폭이 크지 않은 이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 예 2 ]
실험 예 2는 미세공의 크기에 따른 쑥 냄새를 측정한 실험이다. 실시 예 5 내지 8 및 비교 예 3, 4는 쑥 패치부에 쑥 분말을 사용하였고, 보온재부로 면을 사용하였고, 보온재부의 두께는 0.2cm의 미세공을 포함하는 패치와 철분 60중량%, 염분 10중량%, 수분 20중량% 및 편백나무 가루 10중량%를 포함하는 발열팩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또, 쑥 냄새는 테스토(testo) 냄새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발열 쑥 패치를 2시간 동안 허리의 통증 부위에 올려놓고 찜질하였으며, 찜질하는 도중 또는 찜질하고 난 후의 쑥 냄새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3 비교예 4
미세공크기(mm) 0.01 0.05 0.3 0.5 - 0.7
찜질 중 쑥 냄새(m/s) 0.21 0.22 0.24 0.24 0.16 0.50
찜질 후 쑥 냄새 (m/s) 0.25 0.26 0.28 0.28 0.17 0.30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 예 5 내지 실시 예 8은 찜질 전후의 쑥 냄새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20, 30 : 패치
11, 21, 31 : 쑥 패치부
12, 22, 32 : 보온재부
13, 23, 33 : 발열팩 수납부
14, 24, 34 : 부착부
15, 25, 35 : 발열팩

Claims (9)

  1.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패치 복합체는 쑥 패치부, 상기 쑥 패치부의 일면에 형성된 보온재부, 상기 보온재부 상면에 형성된 발열팩 수납부 및 상기 보온재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부착부로 이루어진 패치; 및 상기 발열팩 수납부에 수납 가능한 발열팩을 포함하고,
    상기 쑥 패치부는 쑥 분말을 포함하되, 상기 쑥 분말은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팩 수납부는 상기 발열팩이 수납가능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의 일부분은 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는 발열에 의한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보온재로부터 이격되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쑥 분말은 생쑥을 분쇄하는 생쑥 분쇄과정(S10)을 거쳐 쑥즙과 펄프로 분리하여 각각을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로 형성한 후 상기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을 혼합하는 쑥 분말 형성을 위한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 혼합과정(S20)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쑥 분말 형성을 위한 쑥즙 분말과 펄프 분말 혼합과정(S20)에서 생성되는 쑥 분말은 쑥즙 분말 5 내지 10중량%와 펄프 분말 90 내지 95중량%로 혼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쑥즙 분말은 생쑥 파쇄과정(S10)에서 발생한 액상의 쑥즙을 추출하는 쑥즙추출단계(A10), 쑥즙을 동결건조하는 쑥즙 동결건조단계(A40), 쑥즙입자를 분쇄하는 쑥즙 분말화단계(A50)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쑥즙추출단계(A10)에 이어서 상기 쑥즙추출단계(A10)에서 추출된 액체상태의 쑥즙에 유산균, 이엠(EM)원액, 효모 및 누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유효물질을 첨가하는 유효물질 첨가단계(A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효물질 첨가단계(A20)에 이어서 상기 쑥즙과 유효물질을 혼합하여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약효성분을 극대화하는 쑥즙 배양 단계(A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펄프 분말은 생쑥 파쇄과정(S10)에서 발생한 고상의 펄프를 추출하는 펄프추출단계(B10), 펄프를 동결건조하는 펄프 동결건조단계(B30), 펄프를 절단하는 펄프 절단 단계(B40)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펄프추출단계(B10)에 이어서 상기 펄프추출단계(B10)에서 추출된 펄프의 조직을 해리 및 연화시키는 펄프조직 해리/연화단계(B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지퍼, 벨크로, 버튼, 단추 또는 덮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개폐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 기능을 하는 패치 복합체.
KR1020140001073A 2014-01-06 2014-01-06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KR101398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073A KR101398057B1 (ko) 2014-01-06 2014-01-06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PCT/KR2015/000032 WO2015102437A1 (ko) 2014-01-06 2015-01-05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073A KR101398057B1 (ko) 2014-01-06 2014-01-06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057B1 true KR101398057B1 (ko) 2014-05-27

Family

ID=5089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073A KR101398057B1 (ko) 2014-01-06 2014-01-06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8057B1 (ko)
WO (1) WO20151024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502B1 (ko) * 2018-12-13 2019-08-13 (주)지엘 쑥 부직포를 이용한 핫팩
KR102312099B1 (ko) * 2020-11-16 2021-10-14 박리베 복부 온열 패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7875A (zh) * 2021-04-30 2021-08-03 殷月琴 一种艾草足贴的配方及其制备方法
CN218165609U (zh) * 2021-09-01 2022-12-30 广州纽得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艾灸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205A (ja) 1999-03-08 2000-09-19 Man O 温熱灸
KR20030039061A (ko) * 2001-11-09 2003-05-17 이재봉 쑥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5312710A (ja) 2004-04-30 2005-11-10 Yoshimi Nose 灸材及び灸付きカイロ
KR200425064Y1 (ko) 2006-04-25 2006-09-01 에이네트 주식회사 다용도 복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456A (ko) * 2005-01-12 2005-10-07 김명국 溫浴(온욕)패드
KR200414195Y1 (ko) * 2006-01-13 2006-04-18 도점락 쑥패드가 포함된 면상발열체패드
KR101072959B1 (ko) * 2009-11-04 2011-10-12 이대윤 훈증용 패드를 포함하는 복합물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205A (ja) 1999-03-08 2000-09-19 Man O 温熱灸
KR20030039061A (ko) * 2001-11-09 2003-05-17 이재봉 쑥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5312710A (ja) 2004-04-30 2005-11-10 Yoshimi Nose 灸材及び灸付きカイロ
KR200425064Y1 (ko) 2006-04-25 2006-09-01 에이네트 주식회사 다용도 복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502B1 (ko) * 2018-12-13 2019-08-13 (주)지엘 쑥 부직포를 이용한 핫팩
KR102312099B1 (ko) * 2020-11-16 2021-10-14 박리베 복부 온열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2437A1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057B1 (ko)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WO2007021098A1 (en) Sanitary napkin containing herbal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5838545A (zh) 一种山楂酒酒饼及其制作方法
KR101454315B1 (ko) 인삼열매발효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연질 흑삼 제조 방법
CN105685869A (zh) 一种火龙果茎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3053738A (zh) 一种茶制肉苁蓉及其制备方法
CN103783192A (zh) 一种复方薏米红茶的加工方法
KR20080095002A (ko)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CN103083374A (zh) 一种茶制锁阳及其制备方法
CN107279403A (zh) 美藤果叶养生茶的制备方法
KR101387047B1 (ko)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KR20140137155A (ko) 원적외선수가 포함되는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KR101851247B1 (ko) 원적외선 온열(체온) 조건에 의한 삼투압 발한요법
KR101365410B1 (ko) 온열찜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KR101334521B1 (ko)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
CN105767693A (zh) 一种即食山药片的制备方法
CN103798800A (zh) 一种玄参清热解毒火锅料及生产方法
KR20150122302A (ko) 약초를 이용한 기능성 생리활성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CN106137731A (zh) 一种单穴养生灸疗套装及其使用方法
CN103830633B (zh) 一种藻类养生泡脚粉
CN103816443B (zh) 一种藻类养生泡脚粉的制备方法
CN106539023A (zh) 一种蜂花粉冻干生物制品及其制备工艺
CN102630785A (zh) 一种木豆叶茶及其加工方法
CN102049034B (zh) 一种促进组织修复的蹄甲多肽制剂及其制备方法
CN220237343U (zh) 一种艾柱热熏膏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