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521B1 -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 - Google Patents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521B1
KR101334521B1 KR1020110050762A KR20110050762A KR101334521B1 KR 101334521 B1 KR101334521 B1 KR 101334521B1 KR 1020110050762 A KR1020110050762 A KR 1020110050762A KR 20110050762 A KR20110050762 A KR 20110050762A KR 101334521 B1 KR101334521 B1 KR 101334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fermented product
hours
adhesive patch
worm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129A (ko
Inventor
정호춘
이상세
손인철
김재효
양재헌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52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84Transdermal patches having a drug layer or reservoir, and one or more separate drug-free skin-adhesive layers, e.g. between drug reservoir and skin, or surrounding the drug reservoir; Liquid-filled reservoir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 발효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온에서 음건한 약쑥 1.0kg을 취하고 에탄올 2ℓ를 넣어 8시간동안 흔들어 주면서 방치한 후 에탄올 추출용액을 흔들어 주면서 여과지를 사용하여 감압 여과하는 단계와; 여과한 액을 감압농축기에 넣고 45~55℃에서 일정한 조건으로 감압 농축시켜 연조엑스 상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연조엑스 200g을 취하고 베타글루코시다제 2,000 단위가 함유된 효소 용액 200㎖를 가하여 발효조에 넣고 45~55℃에서 48시간 동안 발효 숙성시켜 쑥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쑥 발효물에 겔화제인 카보머940(carbomer) 12g을 정제수 500㎖에 가하여 팽윤시키고, 라브라솔 50g, 프로필렌글리콜 100g 및 에탄올 30g을 순차적으로 혼합한 후 흔들어 주면서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pH 6.5로 만들어 하이드로 겔을 형성시킨 다음 4℃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쑥 발효물의 하이드로 겔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MANUFACTURING METHOD OF WORMWOOD FERMENT AND PATCH DEVICE USING WORMWOOD FERMENT}
본 발명은 한방이나 의료기관의 뜸에 사용되는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식 패치의 중심부에 쑥 발효물을 하이드로 겔 형태로 제작하여 겔이 접착식 패치와 분리되지 않도록 격자형 실망에 쑥 발효물 겔을 부착하고, 아래쪽면은 인체 표피에 부착하여 쑥 발효물 겔이 인체 표피에 접촉되도록 제작하며, 위쪽면은 접착식 패치 부분과 쑥발효물 겔이 다른 기구에 부착하기 쉽도록 양쪽이 똑같은 형태로 제작된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쑥 발효물 겔은 인체에 장시간 부착된 상태에서도 쑥 발효물이 표피에 침투가 잘 되도록 하이드로 겔 형태로 제작되며, 또한 쑥 발효물 겔에 열자극을 가하면 침투의 속도가 더 빨리 흡수되도록 된 패치의 형태이다.
쑥(애엽)은 약쑥, 뜸쑥, 참쑥, 사재발 쑥 등으로 불리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한국에서는 황해쑥(Artemisia argyi Lev. et Vant.), 쑥(A. princeps Pamp. var. orientlis Hara) 또는 산쑥(A. montana Pamp.)의 잎 및 어린줄기를 말린 약재를 사용하고. 일본에서는 산쑥(A. montana Pamp.) 및 애초(A. princeps Pamp.: 艾草)를 사용하며, 중국에서는 황해쑥(A. argyi Lev. et Vant.)만을 사용하고 있다.
땅속에 줄기가 옆으로 뻗고 다시 가지 줄기를 처서 곳곳에서 싹을 내어 번식한다. 뿌리에서 돋는 잎은 원형의 날개깃 형태로 깊게 갈라지고 갈라진 잎은 5~6조각 결각(缺刻)이거나 혹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 붙은 잎은 약간 긴 타원형으로 결각이 없어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단조롭게 된다. 줄기와 잎에는 털이 많이 나있고 잎의 밑면에는 백색털이 밀생해 있다.
한의학에서는 쑥의 효능을 기혈(氣血)과 경맥(經脈)을 따뜻하게 해 자궁과 하복부가 허약하고 차서 일어나는 자궁출혈 및 임신 중 출혈, 토혈, 코피, 각혈 등에 지혈반응을 나타내며, 하초(下焦)가 허약하고 차며 복부에 냉감과 동통이 있는 증상 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 등에 좋은 것으로 수록되어 있다.
쑥의 일반적인 효능은 강력한 살균작용, 보온작용 혈액순환을 돕는 작용 이 보고되어 있으며, 피를 정화시키고 부족한 피를 보충해주며 혈액순환을 도와 몸속의 냉기를 몰아내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이 쑥을 오래 먹으면 좋은 이유도 여기에 있는데 약쑥의 효능은 사람에 따라서 녹용보다도 더 나은 효과를 보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녹용이 지닌 생혈(生血)작용과 보혈(補血)작용 뿐만 아니라, 청혈(淸血)작용을 같이하기 때문이다.
특히 위장병, 만성간염, 빈혈, 천식, 두통, 신경통, 류마티스, 동맥경화, 고혈압, 피로회복 등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를 나타내며 몸이 냉한 여성의 생리불순, 생리통, 하복부통증, 하혈에도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용으로는 지혈작용이 있어 상처가 생겨 피가 날 때 쑥의 생잎을 비벼서 상처에 붙이면 당장 피가 멎고, 피부미용에도 좋아서 쑥을 잘게 썰어 탕에 넣고 목욕을 하면 몸이 훈훈해져 피로회복, 감기, 신경통, 냉증 등에 좋으며 피부의 독성 및 노폐물, 잡티를 제거하여 매끄럽고 촉촉한 피부로 가꿔준다.
또한 습진, 피부가려움증에는 쑥을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하여 피부질환을 치료하기도 한다. 약으로 쓰는 쑥은 오래되어 잘 건조될수록 약효성분인 정유가 잘 배어나와 그 약효가 증강된다.
쑥은 약용과 다양한 먹거리로 이용되며 입욕제, 방향제 및 쑥뜸에도 사용되는 활용법이 다양한 만능의 식물이다. 각종 약품과 비료, 농약 등의 독소를 분해해서 체외로 내보내는 공해독(公害毒)의 강력한 해독제이다.
잎을 따서 말린 것을 애엽이라 하고 한방에서는 식중독, 냉증, 자궁출혈, 복통에 활용하고, 민간요법으로 여름에 배를 차게 해서 나는 설사에 생즙을 내서 마시면 신속하게 약효를 나타낸다.
쑥뜸이나 한약재로 쓰이는 것은 약쑥으로 전국 어디에서나 흔히 볼 수 있으나 바닷바람을 맞은 해풍음건(海風陰乾) 쑥을 좋은 쑥으로 본다.
종래 한방 뜸의 주재료인 약쑥은 양기를 가장 많이 받는 시기인 단오(음력 오월 오일) 이전에 채취하여 건조한 후 줄기를 버리고 잎만 따서 절구에 곱게 빻은 후 체로 쳐서 먼지와 찌꺼기를 걸러 내고 다시 빻아 손으로 비벼 솜과 같이 결백한 것만 취해 다시 불에 볶아 습기를 완전히 날린 후 쑥뜸의 재료로 사용된다. 현재는 쑥뜸은 쑥을 태워 쑥의 열기가 인체 표피를 침투하여 온열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태울 때 표피에 화상을 주게 되고, 또한 태울 때 쑥 연기로 인해 쑥뜸을 기피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약쑥에는 유파틸린(eupatilin) 등의 훌라보노이드 성분과 시네올 (1,8-cineole) 등의 정유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 지혈 작용, 세포보호 작용, 항염증 작용, 항 세균작용 및 항 진균작용을 나타낸다. 이러한 약쑥을 물로 가열 추출할 경우 유효성분들이 충분히 빠져 나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정유 성분들이 휘발하게 되므로 효능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매추출법과 저온발효법을 도입하여 쑥의 유효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되도록 한 쑥 발효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접착식 패치의 중심부에 쑥 발효물을 하이드로 겔 형태로 제작하여 겔이 접착식 패치와 분리되지 않도록 격자형 실망에 쑥 발효물 겔을 부착하고, 아래쪽면은 인체 표피에 부착하여 쑥 발효물 겔이 인체 표피에 접촉되도록 제작하며, 쑥 발효물 겔은 인체에 장시간 부착된 상태에서도 쑥 발효물이 표피에 침투가 잘 되도록 하이드로 겔 형태로 제작되며, 또한 쑥 발효물 겔에 열자극을 가하면 침투의 속도가 더 빨리 흡수되도록 한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쑥 발효물 제조방법은, 실온에서 음건한 약쑥 1.0kg을 취하고 에탄올 2ℓ를 넣어 8시간동안 흔들어 주면서 방치한 후 에탄올 추출용액을 흔들어 주면서 여과지를 사용하여 감압 여과하는 단계와; 여과한 액을 감압농축기에 넣고 45~55℃에서 일정한 조건으로 감압 농축시켜 연조엑스 상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연조엑스 200g을 취하고 베타글루코시다제 2,000 단위가 함유된 효소 용액 200㎖를 가하여 발효조에 넣고 45~55℃에서 48시간 동안 발효 숙성시켜 쑥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쑥 발효물에 겔화제인 카보머940(carbomer) 12g을 정제수 500㎖에 가하여 팽윤시키고, 라브라솔 50g, 프로필렌글리콜 100g 및 에탄올 30g을 순차적으로 혼합한 후 흔들어 주면서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pH 6.5로 만들어 하이드로 겔을 형성시킨 다음 4℃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쑥 발효물의 하이드로 겔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는, 표피에 붙이도록 상면 및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환형의 아래쪽 접착식 패치와; 상기 아래쪽 접착식 패치의 중앙 홀을 커버하는 격자형 실망과; 상기 아래쪽 접착식 패치와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격자형 실망 위에 부착시키는 위쪽 접착식 패치와; 상기 위쪽 접착식 패치의 중앙 홀에 노출된 격자형 실망 위에 올려진 쑥 발효물 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에 의하면, 쑥 발효물을 가열 추출하여 유효성분들이 충분히 빠져 나오게 하고 표피에 침투되도록 하여 지혈 작용, 세포보호 작용, 항염증 작용, 항 세균작용 및 항 진균작용을 나타내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인체 표피에 부착된 쑥 발효물 한방 패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장치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쑥 발효물 한방 패치 장치를 도시한 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쑥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실온에서 음건한 약쑥 1.0kg을 취하고 에탄올 2ℓ를 넣어 8시간동안 흔들어 주면서 방치한 후 에탄올 추출용액을 흔들어 주면서 여과지를 사용하여 감압 여과하는 단계와;
여과한 액을 감압농축기에 넣고 45~55℃에서 일정한 조건으로 감압 농축시켜 연조엑스 상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연조엑스 200g을 취하고 베타글루코시다제 2,000 단위가 함유된 효소 용액 200㎖를 가하여 발효조에 넣고 45~55℃에서 48시간 동안 발효 숙성시켜 쑥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쑥 발효물에 겔화제인 카보머940(carbomer) 12g을 정제수 500㎖에 가하여 팽윤시키고, 라브라솔 50g, 프로필렌글리콜 100g 및 에탄올 30g을 순차적으로 혼합한 후 흔들어 주면서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pH 6.5로 만들어 하이드로 겔을 형성시킨 다음 4℃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쑥 발효물의 하이드로 겔(이하, "쑥 발효물 겔"이라 한다)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인체 표피에 부착된 쑥 발효물 한방 패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표피에 접착식 패치와 쑥 발효물 겔을 부착한 후 쑥 발효물 겔은 인체에 장시간 부착된 상태에서도 쑥 발효물이 표피에 침투가 잘 되도록 하이드로 겔 형태로 제작되며, 또한 쑥 발효물 겔에 열자극을 가하면 침투의 속도가 더 빨리 흡수되도록 된 패치의 형태이다.
도 2는 쑥 발효물 한방패치를 1번부터 4번까지 제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쑥 발효물 한방 패치 장치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서 1번 과정은 표피에 붙이도록 상면 및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환형의 아래쪽 접착식 패치를 표피에 붙이는 과정이고, 2번 과정은 상기 아래쪽 접착식 패치의 중앙 홀을 커버하는 격자형 실망을 부착하는 과정이며, 3번 과정은 상기 아래쪽 접착식 패치와 동일한 형상의 위쪽 접착식 패치를 상기 격자형 실망 위에 덮는 과정이며, 4번 과정은 상기 위쪽 접착식 패치의 중앙 홀에 노출된 격자형 실망 위에 쑥 발효물 겔을 올려 놓아 쑥 발효물 한방 패치 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Claims (3)

  1. 실온에서 음건한 약쑥 1.0kg을 취하고 에탄올 2ℓ를 넣어 8시간동안 흔들어 주면서 방치한 후 에탄올 추출용액을 흔들어 주면서 여과지를 사용하여 감압 여과하는 단계와;
    여과한 액을 감압농축기에 넣고 45~55℃에서 일정한 조건으로 감압 농축시켜 연조엑스 상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연조엑스 200g을 취하고 베타글루코시다제 2,000 단위가 함유된 효소 용액 200㎖를 가하여 발효조에 넣고 45~55℃에서 48시간 동안 발효 숙성시켜 쑥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발효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쑥 발효물에 겔화제인 카보머940(carbomer) 12g을 정제수 500㎖에 가하여 팽윤시키고, 라브라솔 50g, 프로필렌글리콜 100g 및 에탄올 30g을 순차적으로 혼합한 후 흔들어 주면서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pH 6.5로 만들어 하이드로 겔을 형성시킨 다음 4℃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쑥 발효물의 하이드로 겔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발효물 제조방법.
  3. 표피에 붙이도록 상면 및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환형의 아래쪽 접착식 패치와;
    상기 아래쪽 접착식 패치의 중앙 홀을 커버하는 격자형 실망과;
    상기 아래쪽 접착식 패치와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격자형 실망 위에 부착시키는 위쪽 접착식 패치와;
    상기 위쪽 접착식 패치의 중앙 홀에 노출된 격자형 실망 위에 올려진 쑥 발효물 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












KR1020110050762A 2011-05-27 2011-05-27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 KR101334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762A KR101334521B1 (ko) 2011-05-27 2011-05-27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762A KR101334521B1 (ko) 2011-05-27 2011-05-27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129A KR20120132129A (ko) 2012-12-05
KR101334521B1 true KR101334521B1 (ko) 2013-11-28

Family

ID=4751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762A KR101334521B1 (ko) 2011-05-27 2011-05-27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035A (ko) * 2018-12-13 2020-06-23 (주)지엘 쑥 하이드로 겔이 도포된 핫팩
KR102312099B1 (ko) 2020-11-16 2021-10-14 박리베 복부 온열 패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3752A (zh) * 2019-01-03 2019-03-15 山西金科海生物制品有限公司 一种沙棘复合酵素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061A (ko) * 2001-11-09 2003-05-17 이재봉 쑥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65186A (ko) * 2006-04-04 2007-06-22 김수동 다이어트용 파스
KR20080023941A (ko) * 2006-09-12 2008-03-17 이재성 쑥 분말을 포함한 찜질매질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4459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061A (ko) * 2001-11-09 2003-05-17 이재봉 쑥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65186A (ko) * 2006-04-04 2007-06-22 김수동 다이어트용 파스
KR20080023941A (ko) * 2006-09-12 2008-03-17 이재성 쑥 분말을 포함한 찜질매질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4459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035A (ko) * 2018-12-13 2020-06-23 (주)지엘 쑥 하이드로 겔이 도포된 핫팩
KR102193432B1 (ko) 2018-12-13 2020-12-21 (주)지엘 쑥 하이드로 겔이 도포된 핫팩
KR102312099B1 (ko) 2020-11-16 2021-10-14 박리베 복부 온열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129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ton Folk uses and commercial exploitation of Aloe leaf pulp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606452B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CN103751633B (zh) 一种治疗下肢静脉曲张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768567B (zh) 一种黑膏药及其制备方法
Hutchens A Handbook of Native American Herbs: The Pocket Guide to 125 Medicinal Plants and Their Uses
KR101334521B1 (ko)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
CN104857290A (zh) 一种治疗烧烫伤的中药消毒膏及其制备方法
CN107635573A (zh) 特应性皮炎中药制剂、制备方法及其用途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20140137155A (ko) 원적외선수가 포함되는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KR101916641B1 (ko) 능이버섯을 이용한 한방 오리백숙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능이버섯을 함유하는 한방 오리백숙
CN111166859A (zh) 一种足浴粉及其制备方法
CN108355042A (zh) 一种消炎止痛药膏及其制备方法
CN101249186A (zh) 一种兼治外伤、风湿痛、牙痛的中药油剂及其生产方法
KR20070023898A (ko) 마늘 진액의 제조 방법
CN111067839A (zh) 一种调理修护剂及其制备方法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0829048B1 (ko) 높은 항산화성 쑥엑기스의 특성 및 제조법
KR20060029807A (ko) 피부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816443B (zh) 一种藻类养生泡脚粉的制备方法
CN107929372A (zh) 治疗甲癣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487450B1 (ko) 츄잉검
KR101253951B1 (ko) 구창용 고약의 제조 방법
KR20120093127A (ko)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