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056B1 -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 Google Patents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056B1
KR101393056B1 KR1020140019380A KR20140019380A KR101393056B1 KR 101393056 B1 KR101393056 B1 KR 101393056B1 KR 1020140019380 A KR1020140019380 A KR 1020140019380A KR 20140019380 A KR20140019380 A KR 20140019380A KR 101393056 B1 KR101393056 B1 KR 10139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frame
frame
assembly plate
panel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근
임영철
오해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Priority to KR102014001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 틀 형태를 이루는 고정프레임(110)과, 조립판(130)이 설치되는 설치홈(124)이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틀 형태의 분할프레(120a)(120b)임이 서로 연결되어 접힐 수 있게 형성되는 가동프레임(120)을 포함하여 상기 가동프레임(120)이 상기 고정프레임(110) 안쪽에 설치되되,
상기 가동프레임(120)의 좌/우 방향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110) 후방으로 이탈이 방지되게 되고,
상기 분할프레임(120a)(120b)이 서로 연결되는 면에서 상기 설치홈(124)과 연통되는 관통공(122)의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프레임(120)을 일정 각도로 접은 상태로 상기 관통공(122)을 통해 조립판(130)을 설치 및 분리하여 줄 수 있게 되어 유지와 보수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Folder type transparency pannel}
본 발명은 판넬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판의 기능에 따라 방음판넬이나 방진판넬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면서도 조립판 교체시 작업 공간이 최소화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에 관한 것이다.
주거지에 인접한 도로에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방음벽이 설치되고, 공사현장 인근에는 먼지의 비산을 막기 위해 방진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과 방진벽은 통상적으로는 H빔으로 되는 지주를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그 사이에 방음판넬이나 방진판넬을 위에서 아래로 차곡차곡 끼워주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한편 방음판넬과 방진판넬은 일정한 규격으로 된 프레임에 방음기능을 갖는 방음판과 방진 기능을 갖는 방진판을 조립하여서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이 제안된바 있다. 방음판과 방진판이 손상되는 경우 해당 부속만을 교체하여 줌으로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방음판넬을 형성한 것을 예로 들면 특허등록 제10-0913340호(2009. 8. 14.) "투명 방음판넬의 조립판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이 있다. 이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에 끼워지는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딱 맞게 끼워지는 크기로 되는 가동프레임(120)을 구비하여 방음기능을 가진 판넬(1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동프레임(120) 좌우 측 중간 부분이 고정프레임(110)에 힌지(112)로 고정됨으로써 회동할 수 있게 형성된 형태인데, 상기 내부프레임(120) 상단에는 관통공(122)이 관통되어 내부프레임(120) 내측 좌우 벽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홈(124)과 서로 이어짐으로써 상기 관통공(122)을 통해 방음판과 방진판의 기능을 하는 조립판(130)을 끼워넣어 설치홈(124)에 안착되게 하여 조립판(130)을 내부프레임(120)에 설치하게 된다. 이로써 조립판(130)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판넬(100)이 설치된 방음벽에서 작업자가 조립판(130)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방음벽 앞쪽, 특히 도로 쪽에 사다리를 놓고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판넬(100)에서는 조립판(130)을 관통공(122)을 통해 빼내면 조립판(130)이 작업자의 몸쪽을 향해 상향 경사진 상태로 빠지면서 분리될 수밖에 없는 구성이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몸을 숙여 조립판(130)을 빼내다가 조립판(130)을 완전히 빼내기 위해서는 몸을 뒤로 젖히거나 팔을 높이 들고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서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교체작업은 더뎌질 뿐만 아니라 더욱이 도로 쪽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로 안쪽 깊숙한 지점까지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교통을 방해하고 작업의 위험성도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조립판의 기능에 따라 방음판넬과 방진판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조립판의 교체가 용이하고 교체작업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어 안전한 폴더식 판넬을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동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동프레임이 좌우로 꺾이는 폴더식 구조를 이루게 하되, 가동프레임이 꺾이는 지점에서 조립판이 끼워지게 함으로써 조립판의 설치와 분리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식 판넬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프레임의 회전반경을 최소로 한 상태에서 조립판을 작업자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끼워 넣거나 빼낼 수 있게 되므로 조립판의 설치와 분리작업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됨과 아울러 안전하고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조립판이 교체가능하게 설치된 종래 방음기능을 가진 판넬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에서 가동프레임이 접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에서 가동프레임이 접히는 상태를 평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에서 투명한 조립판을 가동프레임에 설치하여 투명 방음판넬로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에서 방진기능을 가진 조립판을 가동프레임에 설치하여 방진판넬로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로 방음 또는 방진벽을 형성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에서 조립판을 끼우거나 빼는 작업을 도로 쪽에서 수행하는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조립판의 교체작업을 안전하면서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식 판넬을 제안하기 위해,
사각 틀 형태를 이루는 고정프레임과, 조립판이 설치되는 설치홈이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틀 형태의 분할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접힐 수 있게 형성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가동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 안쪽에 설치되되,
상기 가동프레임의 좌/우 방향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 후방으로 이탈이 방지되게 되고,
상기 분할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는 면에서 상기 설치홈과 연통되는 관통공의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프레임을 일정 각도로 접은 상태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조립판을 설치 및 분리하여 줄 수 있게 되는 폴더식 판넬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방음판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에서 가동프레임이 접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에서 가동프레임이 접히는 상태를 평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에서 투명한 조립판을 가동프레임에 설치하여 투명 방음판넬로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에서 방진기능을 가진 조립판을 가동프레임에 설치하여 방진판넬로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100)은 고정프레임(110) 내부에 가동프레임(120)이 딱 맞게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고정프레임(110)은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알루미늄 프레임이 사각틀 형태를 이루며 결합되어 형성된다. 마치 창틀과 같은 형태를 이룬다. 다만 재질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프레임(120)은 전체적으로 고정프레임(110) 안쪽에 딱 맞게 끼워지는 규격을 이루고, 좌/우 방향 일단이 고정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면 좌측 끝단이 고정프레임(110)에 경첩으로 고정되는 것인데, 이로써 가동프레임(120)을 여닫이 문을 열듯이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동프레임(120)은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분할프레임(120a)(120b)이 서로 이어져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분할프레임(120a)(120b)이 서로 이어져서 가동프레임(120)으로 형성되는바, 이로써 가동프레임(120)이 꺾여 접힐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분할프레임(120a)(120b)의 연결은 경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분할프레임(120a)(120b)이 이어지는 지점에 경첩을 설치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후방에 설치하여 가동프레임(120)이 한쪽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서로 이어져 가동프레임(120)을 형성하는 상기 분할프레임(120a)(120b)의 규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규격을 달리할 수 있다. 가동프레임(120)의 규격이나 시공환경 또는 디자인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다.
상기와 같이 분할프레임(120a)(120b)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가동프레임(120)은 고정프레임(110) 후방으로는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된다. 한쪽 방향, 즉 전방으로만 여닫이 식으로 열릴 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고정프레임(110) 안쪽면에 가동프레임(120)이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게 되는 걸림턱(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분할프레임(120a)(120b)은 안쪽 면을 따라 설치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24)은 조립판(130)이 끼워지는 홈으로써 분할프레임(120a)(120b)을 이루는 상/하/좌/우 프레임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조립판(130)의 상/하/좌/우 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분할프레임(120a)(120b)이 서로 연결되는 면에는 관통공(122)의 입구가 형성된다. 관통공(122)은 상기 분할프레임(120a)(120b)을 이루는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홈(124)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122)을 통해 조립판(130)을 분할프레임(120a)(120b)에 끼워 설치하거나 또는 빼내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동프레임(120)은 분할프레임(120a)(120b)이 서로 연결된 지점이 고정프레임(110)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접히게 된다. 이를 위해 가동프레임(120)의 타단에서 상단과 하단에 안내돌기(11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10) 안쪽 면에는 상기 안내돌기(118)가 이동하는 궤적을 따라 돌기안내홈(128)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118)가 상기 돌기안내홈(128)에 끼워지게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가동프레임(120)의 일단은 경첩으로 고정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인바, 분할프레임(120a)(120b)이 연결된 지점을 고정프레임(110) 전방 쪽으로 당겨주면 상기 안내돌기(118)가 돌기안내홈(128)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동프레임(120)의 타단이 고정프레임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가동프레임(120)이 꺾이면서 접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가동프레임(120)의 회전 반경을 최소로 되게 한 상태에서 조립판(130)의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해 지는 것이다.
안내돌기(118)는 탄성적으로 출몰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에 의해 안내돌기(118)가 탄성적으로 출몰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안내돌기(118)를 돌기안내홈(128)에 보다 용이하게 끼워줄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안내홈(128)은 고정프레임(110) 중간 지점을 향해 일정 위치까지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프레임(120)이 접히는 각도가 상기 돌기안내홈(128)이 형성된 길이에 따라 제한되게 된다. 이때 가동프레임(120)이 접히는 각도는 관통공(122)의 입구가 완전히 개방되어 조립판(130)을 분할프레임(120a)(120b)에서 원활하게 끼워주거나 빼낼 수 있는 각도여야 함은 당연하다. 바람직하게는 분할프레임(120a)(120b)이 꺾인 상태에서 이루는 각도가 90도 정도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안내돌기(118)와 돌기안내홈(128)의 구조는 가동프레임(120)이 고정프레임(110)에서 이탈이 방지되지 않게 하는 작용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잠금장치(140)가 마련되어 상기 가동프레임(120)이 접히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가동프레임(120)은 펼쳐진 상태로 고정프레임(110)에 고정되어야 제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가동프레임(120)이 펼쳐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장치(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프레임(120a)(120b)이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서 분할프레임(120a)(120b)에 고정되어 잠금돌기(142)가 탄성적으로 출몰되어 고정프레임(110)에 박히는 형태로 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동프레임(12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한바, 필요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폴더식 판넬(100)은 조립판(130)의 기능에 따라 방음판넬 또는 방진판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의 조립판(130)이 적용되면 투명 방음판넬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 기능을 가진 조립판(130)이 적용되면 방진판넬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100)을 이용해 방음벽 또는 방진벽을 형성한 상태에서 조립판(130)을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로 방음 또는 방진벽을 형성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에서 조립판을 끼우거나 빼는 작업을 도로 쪽에서 수행하는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100)은 지주(200) 사이에 차곡차곡 끼워져 방음벽 또는 방음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조립판(130)이 손상되는 경우 교체 또는 수리해줄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방음벽 전방에 사다리를 세운 다음 해당 폴더식 판넬(100) 전방, 주로 도로 쪽에 자리를 잡은 상태에서 조립판(130)을 교체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도로 쪽에서 해당 폴더식 판넬(100) 좌/우 길이방향 중간 지점에 자리를 잡고 가동프레임(120)이 접히는 것을 제한하고 있는 잠금장치(140)를 해제한 다음 분할프레임(120a)(120b)이 연결되는 지점을 전방으로 당겨서 가동프레임(120)을 접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동프레임(120)이 접힌 상태에서 손상된 조립판(130)을 관통공(122)을 통해 빼내서 제거하고, 다시 새 조립판(130)을 관통공(122)을 통해 끼워 넣어 분할프레임(120a)(120b)에 설치하며, 그런 다음 접혀 있는 가동프레임(120)을 다시 원위치로 펼치고 잠금장치(140)를 체결하여서 조립판(130) 교체를 마무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판넬(100)에 따르면 조립판(130)을 작업자의 좌/우측으로 비스듬하게 빼내거나 끼워넣을 수 있게 되는바, 안전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도로 쪽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판넬, 110 : 고정프레임,
118 : 안내돌기,
120 : 가동프레임, 120a, 120b : 분할프레임
122 : 관통공, 124 : 설치홈,
128 : 돌기안내홈, 130 : 조립판,
140 : 잠금장치, 142 : 잠금돌기,
200 : 지주.

Claims (5)

  1. 사각 틀 형태를 이루는 고정프레임(110)과, 조립판(130)이 설치되는 설치홈(124)이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틀 형태의 분할프레임(120a)(120b)이 서로 연결되어 접힐 수 있게 형성되는 가동프레임(120)을 포함하여 상기 가동프레임(120)이 상기 고정프레임(110) 안쪽에 설치되되,
    상기 가동프레임(120)의 좌/우 방향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110) 후방으로 이탈이 방지되게 되고,
    상기 분할프레임(120a)(120b)이 서로 연결되는 면에서 상기 설치홈(124)과 연통되는 관통공(122)의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프레임(120)을 일정 각도로 접은 상태로 상기 관통공(122)을 통해 조립판(130)을 설치 및 분리하여 줄 수 있게 되는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프레임(120)의 타단 상단과 하단에는 안내돌기(118)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10) 안쪽 면에는 상기 안내돌기(118)가 이동하는 궤적을 따라 돌기안내홈(128)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118)가 상기 돌기안내홈(128)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동프레임(120)을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되는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118)는 탄성적으로 출몰하게 형성되는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안내홈(128)은 고정프레임(110) 중간 지점을 향해 일정 위치까지만 형성되어 가동프레임(120)이 접히는 각도를 제한하게 되는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프레임(120)은 잠금장치(140)에 의해 접히는 것이 제한되는 유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KR1020140019380A 2014-02-20 2014-02-20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KR101393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380A KR101393056B1 (ko) 2014-02-20 2014-02-20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380A KR101393056B1 (ko) 2014-02-20 2014-02-20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056B1 true KR101393056B1 (ko) 2014-05-12

Family

ID=5089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380A KR101393056B1 (ko) 2014-02-20 2014-02-20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0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956B1 (ko) * 2015-01-19 2015-07-07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투명판의 교체가 용이한 투명 방음판넬
KR101715829B1 (ko) * 2016-05-20 2017-03-13 주식회사 두림건설산업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KR102394124B1 (ko) * 2021-06-18 2022-05-09 한국철도공사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KR102450137B1 (ko) * 2021-09-14 2022-09-30 김효철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263A (ko) * 2008-01-14 2009-07-17 주식회사 코엠이엔지 교체형 장식패널을 구비한 탈,부착식 투명방음패널
KR20100002740A (ko) * 2008-06-30 2010-01-07 정종상 교체형 여닫이식 투명방음패널을 갖는 방음벽
KR101219095B1 (ko) * 2012-09-03 2013-01-11 알에스시스템(주)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KR101226306B1 (ko) * 2012-08-20 2013-01-24 (주)한찬기업 창문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263A (ko) * 2008-01-14 2009-07-17 주식회사 코엠이엔지 교체형 장식패널을 구비한 탈,부착식 투명방음패널
KR20100002740A (ko) * 2008-06-30 2010-01-07 정종상 교체형 여닫이식 투명방음패널을 갖는 방음벽
KR101226306B1 (ko) * 2012-08-20 2013-01-24 (주)한찬기업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219095B1 (ko) * 2012-09-03 2013-01-11 알에스시스템(주)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956B1 (ko) * 2015-01-19 2015-07-07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투명판의 교체가 용이한 투명 방음판넬
KR101715829B1 (ko) * 2016-05-20 2017-03-13 주식회사 두림건설산업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KR102394124B1 (ko) * 2021-06-18 2022-05-09 한국철도공사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WO2022265159A1 (ko) * 2021-06-18 2022-12-22 한국철도공사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KR102450137B1 (ko) * 2021-09-14 2022-09-30 김효철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56B1 (ko)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JP5358126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1823363B1 (ko)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RU2008105036A (ru) Перегородка в кабине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KR101541726B1 (ko) 루프랙 거치용 차양막
JP6367066B2 (ja) ガイドレール
US20100307697A1 (en) Multiple window shade system and method
JP2016079657A (ja) アウトセット折戸
KR101973263B1 (ko) 미닫이창문용 미세먼지 제거 장치
KR101869359B1 (ko) 폴딩도어의 프레임조립체
JP5661574B2 (ja) ウイング式車両荷室
KR20048006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JP6785466B2 (ja) 戸装置
JP5488040B2 (ja) サイドシールドの組み付け構造
JP5289868B2 (ja)
JP2006177105A (ja) 組立式トイレボックス
JP5997505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
JP7089925B2 (ja) 門柱
CN214145137U (zh) 移动空间分隔装置
JP5978651B2 (ja) 建造物開口部用開閉体
JP4502128B2 (ja) 電気通信機器収納用屋外ハウジング
JP2018135724A (ja) 開閉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986578B1 (ko)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JP6302959B2 (ja) 躯体間連絡通路の目地装置
JP2024007135A (ja) 扉用遮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