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829B1 -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 Google Patents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829B1
KR101715829B1 KR1020160062049A KR20160062049A KR101715829B1 KR 101715829 B1 KR101715829 B1 KR 101715829B1 KR 1020160062049 A KR1020160062049 A KR 1020160062049A KR 20160062049 A KR20160062049 A KR 20160062049A KR 101715829 B1 KR101715829 B1 KR 101715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panel
sound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auxiliar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림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림건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림건설산업
Priority to KR102016006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개폐 가능한 것으로서, 내부에 흡음재를 수용할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전면판과, 상기 받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받침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거치되는 흡음재로 이루어진 메인 방음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REPLACEABLE SOUNDPROOFING PANEL DEVICE}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에 의해 흡음재가 부식되어 흡음재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나 교통사고 발생으로 일정 부분을 보수해야 하는 경우, 최소한의 비용과 시간으로 흡음재를 편리하게 교체하거나 유지 보수가 용이한 방음 패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이라 함은,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그 소음에 의한 피해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는 장소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주택가 주위에 형성된 차도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방음벽이 구비된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음벽은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기초 옹벽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H빔 지주 사이에 내부에 흡음재를 수납한 방음 패널이 적층 삽입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바,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흡음재가 부식되어 분진이 발생하거나 방음 패널 내부 공간에서 하부로 쳐짐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흡음재를 교체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였을 시, 방음 패널을 순차적으로 지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전면판, 후면판, 측면판, 상판 등의 구성을 분리시켜 흡음재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또한, 차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등을 이유로 바닥과 가까운 측에 배치된 방음 패널이 파손되었을 경우, 이의 교체를 위해 해당 방음 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즉 해당 방음 패널과 동일한 지주에 적층 삽입된 모든 방음 패널을 분리시킨 후 재 삽입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247503호 '방음벽 및 방음벽의 시공 방법'에서는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을 개별 부품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시공 위치에 설치된 지주에 직접 고정시키면서 조립 시공하는 방음벽 및 방음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주의 정면에 마련되어 소음을 반사 또는 흡수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일측 면과 결합하여 지지한 상태로 양측의 지주 정면에 고정시키되, 후면 방향으로 소음체류공간을 제공하는 중간판; 지주의 후면에 마련되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의 일측 면을 지지한 상태로 양측의 지주 정면에 고정시키는 후면고정프레임; 상기 중간판과 후면판의 사이에 삽입되어, 유입된 소음을 흡수하면서 소멸시키는 흡음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경량의 조립 재료들을 이용해 지주에 직접 조립 시공함으로써 방음판의 다량 이송이 가능하며 시공 및 유지 보수와 관련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다고 기술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흡음재만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상부를 개방시켜 흡음재를 상측으로 꺼내거나, 또는 나사 결합으로 지주와 결합된 전면판 및 중간판 등을 모두 분리하여 흡음재를 전면 측으로 꺼내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되어야 하는 상황으로 흡음재의 교체를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교통사고 등에 의한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는 구성이 없어 바닥측 부속품의 파손이 우려되는 상황이고, 바닥측 부속품이 크게 파손되었을 경우 교체가 매우 번거로울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되었다.
또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224488호 '분리식 방음판넬'은, 이격된 H형강의 지주들의 플렌지로 형성되는 측부의 요홈속에 단부가 끼워져 조립되며 다수의 흡음공들이 형성된 전면판넬과, 전면이 오목하게 요부가 형성된 배면체 및 흡음재를 구비한 분리식 방음판넬에 있어서, 중앙의 분리벽 양측에서 각각 전면판넬들과 흡음재를 고정수단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고속 도로등의 주변에 설치하여 필요시 전면판넬만을 분해하여 방음판넬을 보수유지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나, 상기 발명의 분리식 방음판넬 전체가 지주 요홈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지주가 외관으로 드러나게 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지주가 파손될 수 있는 개연성이 다분하며, 구조상 흡음재가 매우 작은 부피로 형성될 수밖에 없어 흡음 효율에 한계가 있다는 취약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문제점을 보완하여 흡음재만의 교체가 용이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지주를 보호하여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유지 보수가 용이한 방음 패널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기간 사용에 의해 흡음재가 부식되어 흡음재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나 교통사고 발생으로 일정 부분을 보수해야 하는 경우, 최소한의 비용과 시간으로 효율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토록 한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흡음재가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하되 각 흡음재 사이에 공간이 제공된 상태로 적층 배치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음 효과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접한 지주의 마주보는 요홈 각각에 양 단이 삽입 고정된 하나의 방음 패널과, 상기 지주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또 다른 방음 패널이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이 안정적으로 완충되어 지주 측으로 전달될 수 있어, 보수해야할 파손 범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지주가 도로 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지주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하여 대대적인 교체 공사의 발생 확률을 현저하게 낮추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방음 패널에 삽입되는 흡음재를 벌집 구조체 기반으로 구성하여 흡음재의 굽힘 강도를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방음 패널의 파손 정도를 감소시키고 흡음재의 노후에 따른 처짐 현상을 일정 수준 예방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음 패널 장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회전 연결 수단을 매개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전면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후면 일 측에 흡음재를 수용할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전면판과,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거치되는 흡음재를 포함하는 메인 방음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전면에 상기 전면판의 개폐 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받침부는, 양 측면 및 후면 모서리 각각에서 상측으로 수직 절곡 연장된 가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면판의 일 측에는, 상기 하우징 측에서 상기 흡음재의 너비와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형성된 걸림 돌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방음 패널 장치는, 도로 가장자리를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회전 연결 수단을 매개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전면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후면 일 측에 흡음재를 수용할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전면판과,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거치되는 흡음재를 포함하는 메인 방음 패널; 상기 지주 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메인 방음 패널의 후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흡음재를 포함한 보조 방음 패널; 상기 메인 방음 패널과 상기 보조 방음 패널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탄성 연결부는, 상기 메인 방음 패널의 후면과 상기 보조 방음 패널의 전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방음패널은, 상기 지주와 인접한 부위와 양 측면에 상기 탄성 연결부보다 탄성 계수가 낮은 완충재를 적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보조 방음 패널의 전면은, 복수 개의 소음 관통공을 구비한 유공 철판을 포함하되, 상기 소음 관통공의 둘레에서 보조 방음 패널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끝단 둘레면을 따라 톱니 형상의 삽입날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방음 패널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삽입날의 단면은, 상기 가이드관의 둘레 일 측에서 제 1 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 1 라운딩부와, 상기 제 1 라운딩부로부터 상기 제 1 곡도보다 큰 제 2 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 2 라운딩부 및, 상기 제 2 라운딩부로부터 상기 소음 관통공의 둘레 타 측까지 상기 제 1 곡도보다 크고 상기 제 2 곡도보다 작은 제 3 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 3 라운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흡음재는, 복수 개의 육각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벌집 구조체와, 상기 벌집 구조체의 셀 내부에 충전되는 흡음 충전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흡음재는, 상기 벌집 구조체의 일 측에 부착되어 상기 흡음 충전소재의 부피를 감지하는 변성감지장치와, 상기 전면판의 일 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부착되는 알림등과, 상기 변성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부피가 기 지정된 부피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상기 알림등을 점등하는 발광제어부로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에 의하면,
1) 고정 수단의 체결 여부에 따라 전면판이 일정 각도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흡음재 또는 방음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2) 두 개의 흡음재 사이에 공간이 제공된 상태로 적층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효율적인 방음 효과를 보장하며,
3) 각 방음 패널이 탄력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을 안정적으로 완충시킬 뿐만 아니라,
4) 지주가 도로 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지주를 보호함과 동시에,
5) 흡음재의 내부를 벌집 구조체 기반으로 구성하여 흡음재의 굽힘 강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인 방음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가 적용된 방음벽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의 횡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 방음 패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음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는, 간편하고 경제적인 유지 보수와 효율적인 방음 및 물리적 외압에 대한 완충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장치 형태로 구현된 것으로, 메인 방음 패널(10)과 보조 방음 패널(20) 및 탄성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설치 상황에 따라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이 단독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인 방음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은 하우징(11)과 전면판(12) 및 흡음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은, 바닥면과 측면, 상면 및 후면을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며 전면이 개방 형성된 것으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구현된다. 즉, 내부에 흡음재(100)가 보관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흡음재(100)를 삽입 및 분리하기 위해 전면이 개방된 것이다.
전면판(12)은 받침부(12a)와 커버부(12b)로 이루어지는바, 받침부(12a)는 하우징(11)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판으로써 상기 하우징(11)의 상부에 적층 배치되고, 커버부(12b)는 상기 받침부(12a)의 전면측 모서리에서 상측으로 수직 절곡 연장됨으로써 측면에서 보았을 때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의 전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금속재의 평판 또는 굴곡판으로 소음의 유입을 위해 타공처리 또는 갤러리 처리된 것일 수 있고 목재나 아크릴판인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전면판(12)은 상기 받침부(12a)가 상기 하우징(1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12b)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의 전면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받침부(12a)의 전면측 모서리, 즉 상기 받침부(12a)와 커버부(12b)의 연결 부위는 상기 하우징(11) 바닥면의 전면측 모서리와 경첩 등의 회전 연결 수단(13)을 매개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2a)의 후면측, 즉 상기 커버부(12b)의 대향 측 모서리와 상기 하우징(11) 바닥면의 후면측 모서리를 연결하며 일정 길이만큼만 신장되는 스토퍼(14)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전면판(12)이 상기 하우징(11)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해 회동될 때 받침부(12a)와 하우징(11)의 이격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전 연결 수단(13)의 무한 회전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회전 연결 수단(13)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즉, 상기 스토퍼(14)는 그 양 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의 후면 일 측과 상기 받침부의 일 측을 연결하는 것으로, 일정 길이의 끈이거나, 2절 링크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 연결 수단(13)과 스토퍼(14)를 매개로 상기 전면판(12)은 상기 하우징(11)의 전면을 일정 각도 수준에서 개폐할 수 있는데, 보수 조치를 완료한 후 상기 전면판(12)과 상기 하우징(11)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1)에는 마감부(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11a)는 상기 하우징(11)의 전면 상측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소폭 연장된 부위로서, 상기 전면판(12)이 상기 하우징(11)의 전면을 모두 커버하였을 때 상기 커버부(12b)의 상측과 맞닿게 되며, 이 때 상기 마감부(11a)와 상기 커버부(12b)가 맞닿는 부위에는 각각 나사 관통공(15a)을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나사나 볼트 등의 별도의 고정 수단(15)을 매개로 상기 마감부(11a)와 상기 커버부(12b)가 서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별도의 부속 없이 자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다양한 고정 수단(15)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흡음재(100)는 폴리에스터나 유리섬유 등을 가공한 다공질 흡음재이거나, 베니어판, 석고판, 섬유판, 석면판 등의 흡음재일 수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벌집 구조체(100a) 형상을 기반으로 한 것이 내구성 면에서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재(100)는, 접합유리, PMMA, PC 등의 재질로 형성된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명판 프레임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한바, 이 경우에는 상기 흡음재가 방음재로서 기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흡음재(100)는 상기 커버부(12b)와 하우징(11)의 후면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데, 보다 안정적인 배치를 위해서 상기 전면판(12)과 연동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전면판(12)의 받침부(12a)는 양 측 모서리와 후면측 모서리 각각에서 상측으로 수직 절곡 연장된 가드부(12a(1))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흡음재(100)의 하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커버부(12b)는 상기 하우징(11)이 구비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흡음재(100)의 유동을 일정 수준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 돌기(12b(1))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드부(12a(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받침부(12a)는 마치 바구니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기 흡음재(100)를 내부에 안착배치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교체를 위해 상기 전면판(12)을 개폐하였을 때 상기 흡음재(100)의 위치가 함께 가변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흡음재(100)를 분리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 흡음재(100)가 노후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분진을 보관하는 기능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걸림 돌기(12b(1))가 상기 커버부(12b)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음재(100)의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걸림 돌기(12b(1))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흡음재(100)에 별도로 구비된 걸림 수단과 대응됨에 따라 중력 작용과 흡음재(100)의 노후에 따른 처짐 현상을 일부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신규 구성을 포함하여 보다 용이한 유지 보수가 가능토록 한 메인 방음 패널(10)은, 양 측단이 H빔 지주(1)의 좌우에 형성된 각각의 요홈(1a)에 삽입 결합되어 적층되는 방식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나, 외부 충격의 완화 등 보다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을 가로 길이가 양 지주(1) 간 거리, 즉 일 지주(1)의 중심 부위와 인접한 지주(1)의 중심 부위 간의 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양 지주(1)의 전면에 배치하고 그 외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여 방음 패널 장치를 구현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가 적용된 방음벽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방음 패널 장치는 지주에 연결되되 상술한 메인 방음 패널(10)에 보조 방음 패널(20) 및 탄성 연결부(30)를 추가로 포함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음 효과를 보장하고 외부 충격을 안정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보조 방음 패널(20)은 양 측단이 예를 들어 H 빔 형태를 가진 지주(1)의 좌우에 형성된 각각의 요홈(1a)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주(1) 사이에 고정되는 것으로, 가로 길이는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과 상응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특히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방음 패널(10)의 가로 길이는 각 지주(1)의 중심점을 이은 거리(L1)이고, 보조 방음 패널(20)의 길이는 각 요홈(1a)의 함입끝단을 이은 거리(L2)가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의 길이가 각 지주(1)의 중심점을 이은 거리가 되므로,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가 모두 설치된 이후에는 도로 내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지주(1)가 노출되지 않게 되어, 교통사고 등의 상황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지주(1)가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조 방음 패널(20)은 상술한 가로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측에는 흡음재(100)가 내장되어야할 것인바, 상기 흡음재(100)의 보다 용이한 교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11)과 전면판(12), 회전 연결 수단(13), 스토퍼(14)와 같은 구성을 구비토록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 때 개폐되는 부위는 후면을 향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탄성 연결부(30)는 지주(1)의 전면 외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과 지주(1)의 요홈(1a)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기 보조 방음 패널(20)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메인 방음 패널(10)로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 보조 방음 패널(20)로 전달되는 데 있어서 큰 완충 역할을 하여, 보조 방음 패널(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연결부(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방음 패널(10)의 후면과 상기 보조 방음 패널(20)의 전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스프링일 수 있으며, 물론 탄성스프링 외 다른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과 보조 방음 패널(2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의 존재가 방음 효율에 있어 큰 영향을 주므로, 가능한 여백을 보장하며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연결부(30)가 탄성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에 가해진 충격이 상기 보조 방음 패널(20)로 전달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지주(1)로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는 없을 것인바,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메인 방음 패널(10)에는,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과 상기 지주(1)가 맞닿는 부위에 상기 탄성 스프링보다 탄성 계수가 낮은 완충재(10a)가 적층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메인 방음 패널(10)로 가해진 충격을 보조 방음 패널(20)로 전달하지 않기 위해 형성한 탄성스프링에 의해 메인 방음 패널(10)의 유동성이 커지게 되는데, 이로써 상기 지주(1)에 큰 압력이 전달될 수 있는 개연성을 낮추고자 상기 지주(1)와 메인 방음 패널(10) 사이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완충재(10a)를 적층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 완충재(10a)를 형성함에 따라 지주(1)의 손상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지주(1)의 파손에 의해 대대적인 보수 공사가 야기되는 경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메인 방음 패널(10)에 가해진 충격으로 인해 인접한 다른 메인 방음 패널(10)이 손상되는 경우를 일정 수준 방지하기 위해, 메인 방음 패널(10)의 양 측면에 상기 완충재(10a)가 적층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 서로 맞닿게 되는 완충재(10a)가 탄력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 등을 매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는, 상기 보조 방음 패널(20)이 상기 지주(1)의 요홈(1a) 사이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연결부(30) 매개로 탄력적으로 연결 고정된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이 도로 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두 개의 흡음재(100) 사이에 공간이 제공된 상태로 적층 배치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음 효과를 보장하며, 교통사고 등으로 인해 메인 방음 패널(10)에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을 완화하여 보조 방음 패널(20)로 전달되도록 하여 보조 방음 패널(20)의 파손을 획기적으로 방지하여 메인 방음 패널(10)의 손상에서만 그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는 메인 방음 패널(10) 전체만, 또는 메인 방음 패널(10)의 전면판(12)만 교체하면 되어 비용과 시간 면에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지주(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음벽 구조물이 일정 수준 이상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 방음 패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는 방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방음 패널(20)의 전면의 재질을 철제로 구성하되 복수 개의 소음 관통공(21a)을 구비한 유공 철판(21)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을 통해 유입된 소음 중 일정량은 상기 소음 관통공(21a)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방음 패널(20)로 흡수되고 나머지 소음은 상기 소음 관통공(21a) 외 철판 부위에서 반사되어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에서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소음 관통공(21a) 외 철판 부위와 연결되도록 형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유공 철판(21)은 상기 소음 관통공(21a)의 둘레에서부터 상기 보조 방음 패널(20)의 내측에 구비된 흡음재(100) 측으로 연장되되 연장 끝단 둘레에는 톱니 형상의 날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 방음 패널(20)의 내부에 배치된 흡음재(100)에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관(21b)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음재(100)는 상기 가이드관(21b)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무른 재질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관(21b)은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을 지나 유입된 소음 중 일부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보조 방음 패널(20) 측으로 진행되도록 소음의 진행 방향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흡음재(100)와 일정 수준 연결되어 물리적인 결합력을 증가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에서의 걸림 돌기(12b(1))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가이드관(21b)에는 끝단 둘레면을 따라 톱니 형상의 삽입날(21c)이 형성되어 보조 방음 패널(20)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날(21c)은 보조 방음패널(20)에 가이드관(21b)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마치 삽의 앞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삽입을 돕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삽입날(21c)은 다시, 가이드관(21b)의 둘레 일 측에서 제 1 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 1 라운딩부(21d)와, 상기 제 1 라운딩부(21d)로부터 제 2 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 2 라운딩부(21e) 및, 상기 제 2 라운딩부(21e)로부터 가이드관(21b)의 둘레 타 측까지 제 3 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 3 라운딩부(21f)로 구성된다.
삽입날(21c)의 전체 형상은 초승달 또는 바나나형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제 1 라운딩부(21d)와 제 2 라운딩부(21e)가 가이드관(21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 측면을 이루고, 제 3 라운딩부(21f)는 제 1 라운딩부(21d)와 제 2 라운딩부()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가이드관(21b)으로 돌아오는 구성이다. 다만, 제 1 곡도와 제 2 곡도의 서로 다른 곡도로서, 제 2 곡도가 제 1 곡도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 1 라운딩부(21d)와 제 2 라운딩부(21e)가 각각 나뉘어 구성되는 이유는 가이드관(21b)의 원형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며,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제 2 라운딩부(21e)의 경우 삽입과 고정이 모두 용이하도록 작은 크기의 다른 각도로 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후 다시 제 1 곡도보다 크고 제 2 곡도보다는 작은 제 3 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 3 라운딩부(21f)를 통해 가이드관(21b)의 둘레 타 측으로 되돌아 오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관(21b)의 삽입날(21c)을 통해 보조 방음 패널(20)에 삽입 고정시켜 물리적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음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방음 패널 장치에 적용되는 흡음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벌집 구조체(100a)를 기반으로 하여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바, 이는 상기 벌집 구조체(100a)가 흡음재(100)의 코어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흡음재(100)를 수납한 방음 패널의 굽힘 강도를 높여주어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시켜주기 때문이다.
벌집 구조체(100a)를 기반으로 한 흡음재(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육각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벌집 구조체(100a)와, 상기 벌집 구조체(100a)의 셀 내부에 충전되는 흡음 충전소재(100b)를 포함하여 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메인 방음 패널(10) 및 보조 방음 패널(2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흡음 충전소재(100b)는 상술한 폴리에스터나 유리섬유, 베니어, 석고, 섬유, 석면 등 다양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고, 광물을 분쇄하고 이를 소성하여 고 압력 상태로 만든 후 순간적으로 압력을 강하시켜 팽창시킴으로써 다공을 형성한 비중이 낮은 팽창광물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음재(100)는 벌집 구조체(100a) 셀의 내부에 삽입된 흡음 충전소재(100b)가 벌집 구조체(100a)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다양한 재질의 케이스(100c)를 추가로 포함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 흡음재(100)에는 벌집 구조체(100a)의 일 측에 부착되어 흡음 충전소재(100b)의 부피를 감지하는 변성감지장치(40)와, 전면판(12)의 일 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부착되는 알림등(41)과, 변성감지장치(40)로부터 감지된 부피가 기 지정된 부피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알림등(41)을 점등하는 발광제어부(42)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음 충전소재(100b)는 시간이 지날수록 자연적으로 부피가 감소될 수도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 손실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변성감지장치(41)를 부착하여 부피의 감소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전면판(12)의 일 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부착되는 알림등(43)과, 변성감지장치(41)에서 감지한 부피가 기 지정된 부피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알림등(43)을 점등하는 발광제어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트롤러(4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알림등(43)의 경우 일반적으로 저전력 고출력의 LED전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수단이라면 사용 가능하며, 변성감지장치에서 부피의 감소가 감지되는 경우 알림등(43)을 점등하여 사용자가 흡음 충전소재(100b)의 교체시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지주 1a: 요홈
10: 메인 방음 패널 10a: 완충재
11: 하우징 11a: 마감부
12: 전면판 12a: 받침부
12a(1): 가드부 12b: 커버부
12b(1): 걸림 돌기 13: 회전 연결 수단
14: 스토퍼 15: 고정 수단
15a: 나사 관통공 20: 보조 방음 패널
21: 유공 철판 21a: 소음 관통공
21b: 가이드관 21c: 삽입날
21d: 제 1 라운딩부 21e: 제 2 라운딩부
21f: 제 3 라운딩부 30: 탄성 연결부
40: 컨트롤러 41: 변성감지장치
42: 발광제어부 43: 알림등
100: 흡음재 100a: 벌집 구조체
100b: 흡음 충전소재 100c: 케이스

Claims (11)

  1.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로서,
    도로 가장자리를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회전 연결 수단을 매개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전면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후면 일 측에 흡음재를 수용할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전면판과,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거치되는 흡음재를 포함하는 메인 방음 패널;
    상기 지주 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메인 방음 패널의 후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흡음재를 포함한 보조 방음 패널;
    상기 메인 방음 패널과 상기 보조 방음 패널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방음패널은,
    상기 지주와 인접한 부위와 양 측면에 상기 탄성 연결부보다 탄성 계수가 낮은 완충재를 적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는,
    상기 메인 방음 패널의 후면과 상기 보조 방음 패널의 전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방음 패널의 전면은,
    복수 개의 소음 관통공을 구비한 유공 철판을 포함하되,
    상기 소음 관통공의 둘레에서 보조 방음 패널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끝단 둘레면을 따라 톱니 형상의 삽입날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방음 패널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날의 단면은,
    상기 가이드관의 둘레 일 측에서 제 1 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 1 라운딩부와,
    상기 제 1 라운딩부로부터 상기 제 1 곡도보다 큰 제 2 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 2 라운딩부 및,
    상기 제 2 라운딩부로부터 상기 소음 관통공의 둘레 타 측까지 상기 제 1 곡도보다 크고 상기 제 2 곡도보다 작은 제 3 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 3 라운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복수 개의 육각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벌집 구조체와,
    상기 벌집 구조체의 셀 내부에 충전되는 흡음 충전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상기 벌집 구조체의 일 측에 부착되어 상기 흡음 충전소재의 부피를 감지하는 변성감지장치와,
    상기 전면판의 일 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부착되는 알림등과, 상기 변성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부피가 기 지정된 부피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상기 알림등을 점등하는 발광제어부로 구성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62049A 2016-05-20 2016-05-20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KR101715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49A KR101715829B1 (ko) 2016-05-20 2016-05-20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49A KR101715829B1 (ko) 2016-05-20 2016-05-20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829B1 true KR101715829B1 (ko) 2017-03-13

Family

ID=5841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049A KR101715829B1 (ko) 2016-05-20 2016-05-20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8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4964A (ja) * 2007-01-18 2008-07-31 Jfe Jenzai Fence Kk 遮音パネルおよび目隠しフェンス
KR101151270B1 (ko) * 2012-03-15 2012-06-15 중재기업(주) 주조형 방음판
KR101393056B1 (ko) * 2014-02-20 2014-05-12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4964A (ja) * 2007-01-18 2008-07-31 Jfe Jenzai Fence Kk 遮音パネルおよび目隠しフェンス
KR101151270B1 (ko) * 2012-03-15 2012-06-15 중재기업(주) 주조형 방음판
KR101393056B1 (ko) * 2014-02-20 2014-05-12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099B1 (ko) 방음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715829B1 (ko) 흡음재의 교체가 가능한 방음 패널 장치
KR20130084430A (ko) 토출소음 저감을 위한 방음터널용 흡음체
KR101614717B1 (ko) 하중전이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흡음, 투명형 방음벽
KR200403525Y1 (ko) 도로용 방음벽
KR101746124B1 (ko) 분리형 수평지지바를 이용한 투명 방음벽
KR101157194B1 (ko) 흡음형 경관 지주를 겸비한 방음벽
WO2010027123A2 (en) Frame for noise barrier enabling to adjust connection angle
KR102461352B1 (ko) 유지 보수형 투명방음판
KR101824140B1 (ko) 지지구조물의 충격완화장치
KR200425367Y1 (ko) 흡음형 방음판넬 구조
KR101473302B1 (ko) 흡음형 방음판
KR101309180B1 (ko) 방음벽 설치구조
KR101889426B1 (ko) 기와형 방음벽 모듈 및 이에 의한 기와형 방음벽
KR10193658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
KR200313145Y1 (ko) 양면 흡음형 방음판
KR100951012B1 (ko) 투명성을 가진 목재흡음벽
KR101059278B1 (ko) 방음갤러리
KR102576426B1 (ko) 소음 흡음장치
KR102422296B1 (ko) 유지보수성을 향상한 방음판과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060022450A (ko) 방음판넬
JP3153379B2 (ja) 防音壁
KR100527005B1 (ko) 방음벽 지주용 빔
KR101409661B1 (ko) 퍼즐형 방음판 설치 구조
KR200252799Y1 (ko)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방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