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124B1 -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 Google Patents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124B1
KR102394124B1 KR1020210079255A KR20210079255A KR102394124B1 KR 102394124 B1 KR102394124 B1 KR 102394124B1 KR 1020210079255 A KR1020210079255 A KR 1020210079255A KR 20210079255 A KR20210079255 A KR 20210079255A KR 102394124 B1 KR102394124 B1 KR 102394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crete foundation
soundproofing plate
coupl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훈
이정술
손성훈
최명숙
이승희
김동영
이경길
장봉춘
조성두
우영수
홍상민
정대현
김태섭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210079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124B1/ko
Priority to PCT/KR2021/012946 priority patent/WO202226515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5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or operated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4Doors disappearing in pockets of a wall, e.g. so-called pocket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방음벽의 외측에 결합된 체결부재를 점검 및 보수하기 위해 작업자가 접근하여 작업하기 어려움이 있다. 특히 고가 다리에 설치된 방음벽의 경우 유지보수 차량을 이용하여 체결부재를 점검하게 되나, 인력 및 많은 시간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방음벽 하단에 도어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외측에 결합된 체결부재의 접근을 용이하도록 하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콘크리트기초와 지주 및 방음판을 이용한 것으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스토퍼 또는 가변부를 배치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Sound barrier with doors for maintenance}
본 발명은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방음벽의 지주와 콘크리트기초를 결합하는 체결부재 중 외측에 결합된 체결부재에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한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차량 또는 기차와 같은 이동수단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 및 이완시키기 위해 도로 또는 철로의 가변에 방음벽이 설치된다. 방음벽은 지면 또는 다리 위에 콘크리트로 형성된 기초가 형성되고. 콘크리트기초에 앵커의 일부가 매립되어 H빔으로 형성된 지주와 콘크리트기초가 결합된다. 지주는 앵커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방법인 너트식이 주로 채택되어 설치되어 있다.
지주와 콘크리트기초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경우, 이동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시간에 따른 노후화에 의해 지주에 매립된 앵커와 너트 사이에 풀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앵커가 매설된 기초가 파손되고, 방음판이 탈락되거나 지주가 전도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콘크리트기초와 지주를 고정하는 채결부재를 점검이 실시된다.
체결부재 유지보수 시, 차량 또는 기차가 다니는 방향을 내측이라 하고, 반대측을 외측이라 할 때, 내측에 설치된 채결부재는 작업자가 큰 어려움 없이 접근이 가능하나, 외측에 설치된 체결부재의 경우 교량 또는 하천 등과 같이 작업자가 접근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유지보수 차량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접근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인력 및 시간 소모가 큰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큰 어려움 없이 외측에 설치된 체결부재에 접근할 수 있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된 방음벽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기초 및 지주를 활용하여 발생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을 제안한다.
또한, 마그네틱 도어 또는 반중력식 도어를 설치하여 도어의 이중쇄정을 보안하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을 제안한다.
또한,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 또는 가변식 레일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점검 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을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은 지면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콘크리트기초;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와 상기 콘크리트기초를 고정하는 체결부재; 이격된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배치되는 방음판; 및 상기 방음판과 상기 콘크리트기초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와 맞닿는 상기 방음판의 하면과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도어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길이방향 양단에 상기 지주와 결합되는 잠금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잠금장치가 형성된 면에 마그네틱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지주방향으로 하방향 경사가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레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지주와 맞닿는 면에 상기 레일 홈에 대응하는 스토퍼가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의 운동방향을 상하방향 제한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레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레일부와 고정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가변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면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콘크리트기초;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와 상기 콘크리트기초를 고정하는 체결부재; 이격된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배치되는 방음판; 및 상기 방음판과 상기 콘크리트기초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와 맞닿는 상기 방음판의 하면과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고 상단은 지주와 연결된 연결부, 하단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지면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콘크리트기초;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와 상기 콘크리트기초를 고정하는 체결부재; 이격된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배치되는 방음판; 및 상기 방음판과 상기 콘크리트기초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상면과 상기 방음판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하면과 상기 콘크리트기초 상면과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와 도어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방음판의 하면과 결합되며, 하단은 상기 콘크리트기초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방음판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판과 상기 도어는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방음벽에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큰 어려움 없이 외측에 설치된 체결부재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최하단에 위치한 방음판을 교체함으로 기존의 기초 및 지주를 활용하여 발생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도어 또는 반중력식 도어가 설치되어 도어의 이중쇄정을 보안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 또는 가변식 레일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점검 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 방음벽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투명 방음판이 설치된 방음벽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그네틱 도어가 설치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반중력식 도어가 설치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토퍼가 구비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변부가 구비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폴딩 도어가 설치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여닫이도어가 설치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도어가 설치된 예시도
종래에는 고가 다리에 배치된 방음벽의 외측에 설치된 체결부재를 유지보수 시, 유지보수용 차량을 통해 작업자가 접근하여 작업하여, 유지보수에 인력 및 시간 소모가 크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방음벽 하단에 도어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방음벽의 외측에 설치된 체결부재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대한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전체구성 및 동작원리
도 1은 본 발명의 유지보수용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 방음벽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지면에 콘크리트기초(100)가 형성되며, 콘크리트기초(100)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지주(200)가 배치되고, 지주(200)와 지주(200) 사이에 방음판(300)이 배치된다. 이때, 콘크리트기초(100)와 방음판(300) 사이에 슬라이딩 도어(500)가 배치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체결부재(210)에 접근할 수 있다.
콘크리트기초(100)는 도로, 철로, 교량 등의 외각에 형성되며, 형성 시 앵커가 매설된다. 지주(200)는 콘크리트기초(10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체결부재(210)와 앵커에 의해 콘크리트기초(100)와 결합된다. 방음판(300)은 이격 배치된 지주(200) 사이에 배치되며, 지주(200)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된다.
슬라이딩 도어(500)는 하단에 배치된 방음판(300)과 콘크리트기초(100)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도어(500)는 지주(200)간의 사이에 하나 이상이 배치되며, 양단 또는 일단이 지주(200)와 맞닿도록 배치된다. 도면과 같이 지주(200)와 지주(200) 사이에 2개의 도어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가 배치되지 않을 경우 방음판(300)이 배치되거나, 콘크리트기초(100)가 지주(200) 간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500)의 일단이 지주(200)와 결합될 때, 슬라이딩 도어(500)의 타단과 타단방향에 배치된 지주(200)간의 공간 또는 타단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도어 간의 공간은 지지부(220)가 간격 배치되고, 지지부(220) 사이에 방음판(300)이 배치된다.
이때 지지부(220)는 도어의 타단에 결합되고 도어의 상단에 배치된 방음판(300)의 하중을 지지하여 도어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어의 양단은 잠금장치(510)가 배치되어 지주(200) 또는 지지부(220)에 결합된다. 내측도어가 지지부(220)에 결합되고 외측도어가 지주(200)에 결합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내측 도어와 외측도어가 지지부(220)에 결합되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어의 상측에 위치한 방음판(300)의 하면과 콘크리트기초(100) 상면에는 레일부(400)가 형성되며, 레일부(400)는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410)를 포함한다. 도어의 상면과 하면에는 돌출부(410)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도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도 2는 투명 방음판이 설치된 방음벽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콘크리트기초(100)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지주(200)가 배치되며, 매설된 앵커와 채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지주(200)와 지주(200) 사이에 방음판이 배치되되, 투명한 소재의 방음판(310)을 설치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투명소재의 방음판(310)을 감싸는 방음판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지주(200)에 결합되어 배치되며, 하단에 배치된 프레임(320) 내에 도어가 형성된다. 방음판 프레임(320)은 방음판의 하중을 지지하여 지지부가 배치되지 않는다.
도어는 도어의 상하면에 돌출부를 포함한 레일부(400)가 형성되고, 도어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며, 방음판(310)과 동일한 투명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마그네틱 도어가 설치된 방음벽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레일부(400)는 돌출부(410)가 형성되고 도어의 하단에 돌출부(410)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도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도어의 양단에는 잠금장치가 포함되어 있으며, 지주 또는 지지부와 결합되어 도어를 폐쇄한다.
이때, 도어의 양단과 지주 및 지지부의 도어와 맞닿는 면에 마그네틱(520)이 배치된다. 마그네틱(520)은 도어 하면에 형성된 홈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잠금장치와 함께 이중으로 잠금 된다. 이는 작업자의 실수를 보안할 수 있는 수단임과 동시에 소음이 차단 또는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반중력식 도어가 설치된 방음벽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방음벽과 콘크리트기초(100) 사이에 도어가 배치되며, 콘크리트기초(100)의 상단에 형성된 레일부(400)는 도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된 돌출부(41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돌출부(410) 중 일부는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11)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411)는 도어가 맞닿는 지주(200)를 향해 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도어가 지주(200)와 접하도록 한다. 이는 작업자의 실수를 보안함과 동시에 소음이 차단 또는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경사부(411)는 2% 내지 3%의 경사각을 가진다.
경사부(411)의 형성범위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어가 평평한 돌출부(410)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완전히 열리지 않은 경우는 경사부(411)에 의해 다시 닫히게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도어로 형성될 경우 돌출부(410) 길이 중 절반에 해당되는 부분이 경사부(411)로 형성되며, 3개의 도어로 형성될 경우 돌출부(410) 길이 중 2/3에 해당되는 부분이 경사부(411)로 형성된다.
또한, 도어와 맞닿는 방음벽의 하면에 형성된 레일부(400)의 돌출부(410)는 도어의 아래에 형성된 경사부(411)에 대응되도록 경사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스토퍼가 구비된 방음벽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콘크리트기초 상단에 형성된 레일부는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410)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어의 하면에 돌출부(410)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도어는 레일부(400)와 결합되며, 도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폐된다.
이때, 돌출부(41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레일홈(420)을 포함한다. 레일홈(420)에 부재가 끼워짐으로써 도어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레일홈(420)에 대응하는 스토퍼(530)를 휴대하고 다닐 수 있다. 또한, 레일홈(420)은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 이상 이격 배치되며, 레일홈(420)에 삽입되는 스토퍼(530)가 도어의 양단에 배치된다. 스토퍼(530)는 돌출부(410)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된다. 스토퍼(530)가 레일홈(420)에 삽입됨으로써 도어의 움직임이 고정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으며, 잠금장치가 고장으로 인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 이용 될 수 있다. 도어에 구비된 스토퍼(530)는 스토퍼(530) 양측에 가이드(540)가 배치되어 스토퍼(530)의 움직임을 상하운동으로 제한하도록 한다.
또한, 스토퍼(530)와 가이드(540)는 도어에 매몰되도록 배치되어 도어가 지주 또는 지지부와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6은 가변부가 구비된 방음벽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부(4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410)를 포함하고 있으며, 돌출부(410)는 하나 이상의 레일홈(42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레일홈(420)에 대응하는 가변부(430)가 배치된다. 가변부(430)는 중앙 또는 일단에 수직으로 힌지(440)가 관통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다. 가변부(430)는 결합된 힌지(440)를 중심으로 회전을 되어 돌출부(41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유지보수 작업 시, 도어가 닫히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작업이 완료된 후, 가변부(430)를 길이방향으로 변경하여 도어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통과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제시된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 및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마그네틱(520)과 경사부(411),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530) 및 가변부(430)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중첩되어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7은 폴딩 도어가 설치된 방음벽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폴딩 도어(600)는 복수개의 도어프레임(610)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인접한 도어프레임(610)는 도어프레임(610) 간의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재(620)에 의해 연결된다. 도어프레임(610)와 접하는 방음벽 하면과 콘크리트기초(100)의 상면에 레일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복수개의 도어프레임(610)은 결합된 연결부재(620)에 의해 접힘으로써 개방된다.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잠금장치가 배치되고 지주 또는 지지부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잠금장치는 자성을 이용한 결합 또는 부재를 이용한 결합이 이용될 수 있으며, 잠금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은 방음벽의 외측에서 바라본 여닫이 도어가 설치된 방음벽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지면에 콘크리트기초가 형성되며, 콘크리트기초 상면에 지주(20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지주(200)와 지주(200) 사이에 복수의 방음판(300)이 설치되되, 하단의 방음판(300)과 콘크리트기초(100) 사이에 도어가 배치된다. 도어는 지주(200) 하단에 결합된 체결부재(210)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지주(200)와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때 도어는 방음판(300)과 맞닿는 상면과 콘크리트기초(100)와 맞닿는 하면, 지주(200) 또는 지지부에 맞닿는 좌우측면에 도어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형성된다. 도어는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도어의 상단과 프레임이 연결된 연결부(710)가 포함되며, 도어의 하단에는 손잡이가 배치되어 방음판(3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열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은 단부에 잠금장치가 배치되어 지주(200) 또는 지지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하단부에 배치된 경우 하단 프레임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잠금장치는 자성을 이용한 결합 또는 부재를 이용한 결합이 이용될 수 있으며, 잠금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어의 하단에 배치된 손잡이는 프레임과 결합되어 도어가 폐쇄된다.
도 9는 회전체가 구비된 회전도어가 설치된 방음벽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콘크리트기초 상면에 지주(20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지주(200)와 지주(200) 사이에 복수의 방음판(300)이 설치되되, 하단의 방음판(300)과 콘크리트기초(100) 사이에 도어가 배치된다. 도어는 지주(200) 하단에 결합된 체결부재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지주(200)와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때, 도어는 프레임의 상면과 하면 중심에 회전축(810)이 배치되어 도어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축(810)은 도어의 상면과 상기 방음판(300)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하면과 상기 콘크리트기초(100) 상면과 결합된다. 회전축(810)의 위치는 작업자의 편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일예로 도어의 일단이 지주(200)와 결합되고 타단의 상면과 하면에 회전축(810)이 결합되어 지주(200)가 결합된 일측이 더 열리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어는 단부에 형성된 잠금장치에 의해 지주 또는 지지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잠금장치는 자성을 이용한 결합 또는 부재를 이용한 결합이 이용될 수 있으며, 잠금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콘크리트기초
200 : 지주
210 : 체결부재 220 : 지지부
300 : 방음판
310 : 투명 방음판 320 : 방음판 프레임
400 : 레일부
410 : 돌출부 411 : 경사부
420 : 레일홈 430 : 가변부 440 : 힌지
500 : 슬라이딩 도어
510 : 잠금장치 520 : 마그네틱
530 : 스토퍼 540 : 가이드
600 : 폴딩 도어
610 : 도어프레임 620 : 연결부재
700 : 여닫이 도어
710 : 연결부 720 : 손잡이
800 : 회전도어
810 : 회전축

Claims (9)

  1. 지면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콘크리트기초;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방음벽의 높이에 대응되는 지주;
    이격된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배치되는 방음판;
    상기 방음판과 상기 콘크리트기초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와 도어 또는 상기 도어와 지주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방음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단은 상기 방음판의 하면과 결합되며, 하단은 상기 콘크리트기초와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높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방음판이 더 배치되며
    상기 도어와 맞닿는 상기 방음판의 하면과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도어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길이방향 양단에 상기 지주와 결합되는 잠금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잠금장치가 형성된 면에 마그네틱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지주방향으로 하방향 경사가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레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지주와 맞닿는 면에 상기 레일 홈에 대응하는 스토퍼가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의 운동방향을 상하방향 제한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레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홈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레일부와 고정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6. 지면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콘크리트기초;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방음벽의 높이에 대응되는 지주;
    이격된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배치되는 방음판;
    상기 방음판과 상기 콘크리트기초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와 도어 또는 상기 도어와 지주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방음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단은 상기 방음판의 하면과 결합되며, 하단은 상기 콘크리트기초와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높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방음판이 더 배치되며,
    상기 도어와 맞닿는 상기 방음판의 하면과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형성된 프레임,
    상기 도어의 하단에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잠금장치,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고 상단은 지주와 연결된 연결부, 하단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여닫이 도어를 포함하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7. 지면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콘크리트기초;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방음벽의 높이에 대응되는 지주;
    이격된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배치되는 방음판;
    상기 방음판과 상기 콘크리트기초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와 도어 또는 상기 도어와 지주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방음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단은 상기 방음판의 하면과 결합되며, 하단은 상기 콘크리트기초와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높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방음판이 더 배치되며,
    상기 도어는 도어의 양단에 지주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잠금장치,
    상기 도어의 상면과 상기 방음판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하면과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상면과 결합되는 회전도어를 포함하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8. 삭제
  9. 제 1항, 제 6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과 상기 도어는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KR1020210079255A 2021-06-18 2021-06-18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KR102394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55A KR102394124B1 (ko) 2021-06-18 2021-06-18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PCT/KR2021/012946 WO2022265159A1 (ko) 2021-06-18 2021-09-23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55A KR102394124B1 (ko) 2021-06-18 2021-06-18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124B1 true KR102394124B1 (ko) 2022-05-09

Family

ID=8158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255A KR102394124B1 (ko) 2021-06-18 2021-06-18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4124B1 (ko)
WO (1) WO202226515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6Y1 (ko) * 2000-05-13 2000-10-16 윤두남 라체트식 미닫이창문
KR200304278Y1 (ko) * 2002-11-08 2003-02-15 주식회사 백산기술단 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도로 방음벽 비상구 패널문 구조
JP2014009471A (ja) * 2012-06-28 2014-01-20 Shinki Corp 引戸用施錠装置および引戸構造
KR101393056B1 (ko) * 2014-02-20 2014-05-12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KR200475822Y1 (ko) * 2012-06-12 2015-01-12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철도용 근접 방음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7062B2 (en) * 2004-06-10 2009-12-29 Durisol Inc. Panel section for sound barri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6Y1 (ko) * 2000-05-13 2000-10-16 윤두남 라체트식 미닫이창문
KR200304278Y1 (ko) * 2002-11-08 2003-02-15 주식회사 백산기술단 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도로 방음벽 비상구 패널문 구조
KR200475822Y1 (ko) * 2012-06-12 2015-01-12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철도용 근접 방음벽
JP2014009471A (ja) * 2012-06-28 2014-01-20 Shinki Corp 引戸用施錠装置および引戸構造
KR101393056B1 (ko) * 2014-02-20 2014-05-12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159A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216B1 (ko) 출입구가 설치된 교통방호책
US20180148896A1 (en) Support for a panel of a section of guided transport track
CN109505493A (zh) 适用于地铁区间和出入段线的双扇防护密闭隔断门
CA2806266C (en) Wall structure working as a noise barrier for railways and use of the wall structure as a noise or passage barrier
KR102394124B1 (ko) 유지보수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KR102303557B1 (ko) 유지보수용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방음벽
KR20130007266U (ko) 철도용 근접 방음벽
KR102232018B1 (ko) 철도레일의 레일바이크용 복선 개조시스템
KR100699904B1 (ko) 노상 방음 구조물
RU191856U1 (ru) Настил для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CN112813867A (zh) 一种市政工程用公路减速带
CN106555516A (zh) 一种地铁滑动门解锁机构
RU100524U1 (ru) Противотаранный шлагбаум
CN220108412U (zh) 轨道交通无线设备箱
KR101679707B1 (ko) 폐기물 저장용 건축 구조물 폐쇄장치
KR200384904Y1 (ko) 지하철 투신 방지용 현가식(懸架式) 전동 스크린 셔터
CN112896196B (zh) 一种轨道交通系统中纵向避让式疏散平台
CN218780100U (zh) 运输巷道用安全防护栏
CN215154659U (zh) 搭扣对开式挡车栏及跑车防护装置
RU600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гараж
CN214656028U (zh) 一种轨道的沟槽填充安全防护结构
CN219237044U (zh) 井下矿车驻车用阻车器
KR102257501B1 (ko) 철도 차량용 개폐식 구름막이
KR101679715B1 (ko) 폐기물 저장용 건축 구조물 폐쇄장치
US20220120046A1 (en) Access-deni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