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137B1 -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 Google Patents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137B1
KR102450137B1 KR1020210122597A KR20210122597A KR102450137B1 KR 102450137 B1 KR102450137 B1 KR 102450137B1 KR 1020210122597 A KR1020210122597 A KR 1020210122597A KR 20210122597 A KR20210122597 A KR 20210122597A KR 102450137 B1 KR102450137 B1 KR 10245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ner frame
fastening
pair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철
Original Assignee
김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철 filed Critical 김효철
Priority to KR102021012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은 사각 형상의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프레임; 한 쌍의 상기 내부프레임 각각에 결합되며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중간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는 한 쌍의 투명부재; 및 한 쌍의 상기 내부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중간프레임의 대향 측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중간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상기 외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FOLDING TYPE MAINTENANCE SOUNDPROOF WALL}
본 발명은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판은 차량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음들을 흡수하거나 감소시켜 근처 주거지역 주민들의 생활환경을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근래 들어 도시의 미관상 방음판을 아크릴 등의 투명한 소재로 사용하게 되면서, 차량의 운행으로 인해 돌이 튀거나 조류의 충돌로 인해 방음판이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음판은 프레임과 방음판이 모두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파손된 방음판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교체하고자 하는 방음판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방음판을 모두 제거하여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방음판은 파손된 방음판의 개수가 적은 경우, 방음판을 교체하기 위한 유지보수 비용 및 시간의 소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방음판을 그대로 방치하게 되어 도시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KR 10-1394374 B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손된 방음판만을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음판이 안착되는 프레임이 폴딩되고 이동 가능 하여, 방음판 교체 작업이 용이한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각 형상의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프레임; 한 쌍의 상기 내부프레임 각각에 결합되며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중간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는 한 쌍의 투명부재; 및 한 쌍의 상기 내부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중간프레임의 대향 측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중간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상기 외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프레임은, 상기 투명부재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상기 투명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너비로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1 투명부재홈이 구비된 제1 프레임부재 및 제2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 구비된 적어도 한 쌍의 롤러; 상기 바디에 상기 롤러를 결합하는 롤러 결합부재; 및 상기 롤러 결합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을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내부프레임의 제1 체결홈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프레임의 제2 체결홈에 체결되며, 양단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제1 내부프레임 및 제2 내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프레임과 상기 제2 내부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투명부재가 안착되도록"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프레임 및 상기 제2 내부프레임 각각은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내부프레임 및 상기 제2 내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은 내부프레임을 한 쌍으로 분리하고 중간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내부프레임의 폴딩에 의해 파손된 방음판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은 롤러를 통해 내부프레임이 이동하여 폴딩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하기 용이한 위치로 내부프레임을 이동시켜 빠르게 교체가 가능하므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이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이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C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D-D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이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이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C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D-D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100)은 기초(10)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된 H빔(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기초(10)는 도로 및 철로주변에 길이방향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때, 기초(1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할 수 있다.
H빔(20)은 기초(10)의 콘크리트 타설 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기초(10)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H빔(20)의 간격은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10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H빔(20)은 H빔(20)의 빈공간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100)은 도로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소음저감시설물일 수 있다.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100)은 H빔(20)과 브라켓(21) 및 볼트(22)를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21)과 볼트(22)는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100)의 재질과 무게에 따라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100)을 지지하도록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100)은 투명부재(110), 중간프레임(120), 내부프레임(140), 외부프레임(150) 및 슬라이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100)은 H빔(20)사이에 끼워지기 용이하고, 시공 면적에 따라 투명부재(110)를 복수개로 적재하기 용이하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부재(110)는 도시의 미관을 개선하고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리, 목재,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투명부재(110)는 소음을 차단 및 반사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부재(110)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반으로 분리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간프레임(120)은 투명부재(110) 일단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투명부재(110)의 두께에 대응하는 너비의 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프레임(120)은 투명부재(110)의 설치 및 분해가 쉽도록 폴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중간프레임(120)을 회동시켜 투명부재(110)를 교체할 수 있다.
내부프레임(140)은 투명부재(110)의 세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투명부재(110)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의 "ㄷ"형상을 포함하는 사각틀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40)은 중간프레임(120)이 회동할 때, 중심 측으로 폴딩되도록 일측이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150)은 내부프레임(140)의 외측면에 접하여 내부프레임(14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내부프레임(140)을 감싸는 사각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프레임(1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1 체결부재(130)에 의해 내부프레임(140)과 결합되고, 내부프레임(140)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프레임(150)은 H빔(20)과 체결되어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100)이 H빔(20)에 구속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60)는 내부프레임(140) 및 외부프레임(150)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160)는 중간프레임(120)의 폴딩 시 내부프레임(140)의 일측이 외부프레임(150)을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회동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100)은 제1 체결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30)는 내부프레임(140)과 외부프레임(150)을 결합하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30)는 일단이 내부프레임(140)의 제1 체결홈(143)에 체결되고, 타단이 외부프레임(150)의 제2 체결홈(153)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30)는 투명부재(110) 교체 시, 내부프레임(140) 및 외부프레임(150)에서 탈부착 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부재(130)가 탈착되면, 내부프레임(140)과 외부프레임(150)의 결합이 해제되어 중간프레임(120)이 회동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30)는 양단에 제1 체결돌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돌출부(131)는 내부프레임(140)의 제1 체결홈(143) 및 외부프레임(150)의 제2 체결홈(15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돌출부(131)는 내부프레임(140) 및 외부프레임(150)과 견고히 체결되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부프레임(140)은 제1 내부프레임(141), 제2 내부프레임(142), 제1 체결홈(143), 가이드홈(144) 및 제2 투명부재홈(1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프레임(141)은 내부프레임(140)이 폴딩되도록, 중간프레임(120)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프레임(141)은 투명부재(110)가 안착되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프레임(142)은 중간프레임(120)을 기준으로 제1 내부프레임(141)과 대칭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내부프레임(142)은 투명부재(110)가 안착되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프레임(141) 및 제2 내부프레임(142)은 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슬라이딩부(160)가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내부프레임(141) 및 제2 내부프레임(142) 각각에 슬라이딩부(160)가 설치된 경우, 제1 내부프레임(141) 및 제2 내부프레임(142) 각각은 중간프레임(120)의 회동 시 외부프레임(1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내부프레임(141) 및 제2 내부프레임(142) 중 어느 하나에만 슬라이딩부(160)가 설치된 경우, 슬라이딩부(160)가 설치된 프레임은 타측의 프레임을 향하여 외부프레임(1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타측의 프레임은 외부프레임(1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체결홈(143)은 내부프레임(14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제1 체결부재(130)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홈(143)은 제1 체결부재(130)의 제1 체결돌출부(131)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44)은 외부프레임(150)과 접하는 내부프레임(14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44)은 슬라이딩부(160)가 삽입되도록 내부프레임(140)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투명부재홈(145)은 내부프레임(140)의 일측에 형성되되, 투명부재(110)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투명부재홈(145)은 투명부재(110)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부프레임(150)은 내부프레임(14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외부프레임(150)은 내부프레임(140)과 결합되고, 내부프레임(140)이 슬라이딩하여 폴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150)은 제2 체결홈(153), 외부홈(154) 및 가이드홀(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홈(153)은 외부프레임(150)의 양측에 형성되어, 제1 체결부재(130)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홈(153)은 제1 체결부재(130)의 제1 체결돌출부(131)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홈(154)은 외부프레임(15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외부홈(154)은 외부프레임(150)의 상면부터 하면까지의 거리가 후술할 롤러(162)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외부프레임(15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55)은 내부프레임(140)과 접하는 외부프레임(15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55)은 슬라이딩부(16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딩부(160)의 롤러 결합부재(163)의 지름에 대응하여 절개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홀(155)은 슬라이딩부(160)가 슬라이딩 될 때, 슬라이딩부(160)의 롤러 결합부재(163)가 가이드홀(155)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고, 슬라이딩부(160)가 외부프레임(150)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부(160)는 바디(161), 롤러(162), 롤러 결합부재(163) 및 가이드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61)는 전체적으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161)는 양측에 롤러(162)가 연결되고, 일측에 롤러 결합부재(163)가 삽입될 수 있다.
롤러(162)는 바디(161)의 양측에 두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롤러(16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롤러(162)는 외부프레임(150)의 내측면을 따라 구르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 결합부재(163)는 일단이 바디(161)의 일측에 삽입되고, 타단이 가이드부재(164)에 체결될 수 있다. 롤러 결합부재(163)는 바디(161)에 삽입된 상태로 회동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 결합부재(163)가 가이드부재(164)와 체결되는 일단의 지름은 롤러 결합부재(163)가 바디(161)에 삽입되는 일단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 결합부재(163) 중앙의 지름은 가이드홀(155)에 삽입되어 가이드홀(155)을 따라 슬라이딩 하여 이동하도록 가이드홀(155)의 너비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64)는 롤러(162)의 구름에 따라 내부프레임(140)의 가이드홈(144)에 접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64)는 내부프레임(140)과 외부프레임(15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64)는 롤러 결합부재(163)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일면에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볼록하게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중간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부재(121), 제2 프레임부재(122), 제3 체결홈(123), 경첩(124) 및 제1 투명부재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재(121)는 투명부재(110) 일측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진 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부재(121)는 투명부재(110)의 두께에 대응하는 너비로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재(122)는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접하여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재(122)는 투명부재(110) 일측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진 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홈(123)은 중간프레임(12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제2 체결부재(132)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체결홈(123)은 제2 체결부재(132)의 제2 체결돌출부(133)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132)는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2)를 결합하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132)는 일단이 제1 프레임부재(121)의 제3 체결홈(123)에 체결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부재(122)의 제3 체결홈(12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재(132)는 경첩(124)이 결합된 일면에 대향하는(경첩(124)이 결합되지 않은) 일측에 형성된 제3 체결홈(123)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132)는 투명부재(110) 교체시, 제1 프레임부재(121) 및 제2 프레임부재(122)에서 탈부착 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재(132)가 탈착되면,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2)의 결합이 해제되어 경첩(124)이 회동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132)는 양단에 제2 체결돌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돌출부(133)는 제1 프레임부재(121)의 제3 체결홈(123) 및 제2 프레임부재(122)의 제3 체결홈(12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돌출부(133)는 제1 프레임부재(121) 및 제2 프레임부재(122)와 견고히 체결되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경첩(124)은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2)를 결합하도록 그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경첩(124)은 중심축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때,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2)는 경첩(124)이 회동함에 따라 경첩(124)에 결합된 측이 접히고, 경첩(124)이 결합되지 않은 측은 벌어지질 수 있다.
제1 투명부재홈(125)은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2)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어, 투명부재(110)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부재홈(125)은 투명부재(110)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100)의 투명부재(110)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파손된 투명부재(110)를 교체하기 위해서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2)를 체결하는 제2 체결부재(132)를 탈착하고, 내부프레임(140)과 외부프레임(150)을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130)를 탈착한다. 이때,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2)의 결합이 해제되어 경첩(124)이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내부프레임(140)과 외부프레임(150)의 결합이 해제되어 내부프레임(140)은 외부프레임(15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중간프레임(120)의 전방(경첩(124)이 결합된 측)을 힘을 주어 밀면, 경첩(124)이 회동함에 따라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2)에서 경첩(124)이 결합되지 않은 측이 벌어지는 동시에, 롤러 결합부재(163)가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롤러(162)가 구르기 시작한다. 이때, 슬라이딩부(160)가 구비된 내부프레임(140)은 외부프레임(150)으로부터 중심측으로 슬라이딩을 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중간프레임(120)을 더 밀거나 슬라이딩된 내부프레임(140) 측을 중심 측으로 밀면, 롤러 결합부재(163)가 외부프레임(150)의 가이드홀(155)을 따라 중간 지점을 향해 수평 슬라이딩한다. 또한,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2)에서 경첩(124)이 결합되지 않은 측의 벌어진 각도가 약 50도가 되면, 이때, 투명부재(110)는 고정시키고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2)만의 각도를 약 30도로 줄이면, 중간프레임(120)이 탈착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작업 공간을 고려하여 내부프레임(140)을 작업하기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켜 투명부재(110)를 내부프레임(140)으로부터 탈착함으로써, 투명부재(110)를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작업자는 새로운 투명부재(110)를 역순으로 작업하여 교체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새로운 투명부재(110)를 내부프레임(140)에 삽입하여 교체한 뒤, 중간 프레임(120)을 새로운 투명부재(110)에 결합함으로써, 투명부재(110)의 교체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기초 20 : H빔
21 : 브라켓 22 : 볼트
100 :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110 : 투명부재
120 : 중간프레임 121 : 제1 프레임부재
122 : 제2 프레임부재 123 : 제3 체결홈
124 : 경첩 125 : 제1 투명부재홈
130 : 제1 체결부재 131 : 제1 체결돌출부
132 : 제2 체결부재 133 : 제2 체결돌출부
140 : 내부프레임 141 : 제1 내부프레임
142 : 제2 내부프레임 143 : 제1 체결홈
144 : 가이드홈 145 : 제2 투명부재홈
150 : 외부프레임 153 : 제2 체결홈
154 : 외부홈 155 : 가이드홀
160 : 슬라이딩부 161 : 바디
162 : 롤러 163 : 롤러 결합부재
164 : 가이드부재

Claims (5)

  1. 사각 형상의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프레임;
    한 쌍의 상기 내부프레임 각각에 결합되며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중간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는 한 쌍의 투명부재;
    한 쌍의 상기 내부프레임의 각각에서 상기 중간프레임의 대향 측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중간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상기 외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을 상측, 하측 및 측면에서 각각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프레임은,
    상기 투명부재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상기 투명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너비로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1 투명부재홈이 구비된 제1 프레임부재 및 제2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첩;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는 제2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체결부는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프레임은 제1 내부프레임 및 제2 내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프레임과 상기 제2 내부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투명부재가 안착되도록"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프레임 및 상기 제2 내부프레임 각각은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내부프레임 및 상기 제2 내부프레임 각각은 상기 중간프레임의 회동 시 상기 외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중간프레임은 상기 제1 내부프레임 및 상기 제2 내부 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 구비된 적어도 한 쌍의 롤러;
    상기 바디에 상기 롤러를 결합하는 롤러 결합부재; 및
    상기 롤러 결합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외부프레임과 접하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며 볼록하게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 프레임은 외부홈 및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홈은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면부터 하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롤러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내부프레임과 접하는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롤러 결합부재의 지름에 대응하여 절개되는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내부프레임의 제1 체결홈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프레임의 제2 체결홈에 체결되는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5. 삭제
KR1020210122597A 2021-09-14 2021-09-14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KR102450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597A KR102450137B1 (ko) 2021-09-14 2021-09-14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597A KR102450137B1 (ko) 2021-09-14 2021-09-14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137B1 true KR102450137B1 (ko) 2022-09-30

Family

ID=8345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597A KR102450137B1 (ko) 2021-09-14 2021-09-14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1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286U (ko) * 2011-07-07 2012-03-28 에스에이 주식회사 다수 프레임이 결합된 투명흡음판 프레임
KR101393056B1 (ko) * 2014-02-20 2014-05-12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KR101394374B1 (ko) 2013-07-08 2014-05-13 강현숙 투명방음판 유지보수 방법
KR20210015224A (ko) * 2019-08-01 2021-02-10 김순석 은폐판을 이용한 폴딩도어의 가이드프레임 은폐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286U (ko) * 2011-07-07 2012-03-28 에스에이 주식회사 다수 프레임이 결합된 투명흡음판 프레임
KR101394374B1 (ko) 2013-07-08 2014-05-13 강현숙 투명방음판 유지보수 방법
KR101393056B1 (ko) * 2014-02-20 2014-05-12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최소 회전반경을 가지는 폴더식 판넬
KR20210015224A (ko) * 2019-08-01 2021-02-10 김순석 은폐판을 이용한 폴딩도어의 가이드프레임 은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99355A3 (en) Garage door panel construction and hardware
KR102450137B1 (ko) 폴딩형 유지보수 방음판
GB1560469A (en) Screed plate for road finishers
US2061304A (en) Sectional garage door
JP6690922B2 (ja) 引戸開閉装置
US7121531B1 (en) Gate with lock housing
KR20180109830A (ko) 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KR20120002286U (ko) 다수 프레임이 결합된 투명흡음판 프레임
CN220581057U (zh) 一种弧形件拼装机的滚轮移动装置
KR101062938B1 (ko) 다수 프레임이 결합된 투명흡음판 프레임 장착방법
KR20160088604A (ko)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
KR101017526B1 (ko) 자주식 강재거푸집의 방향전환장치 구조
CN215564934U (zh) 一种土建施工用隔离栏
KR102161186B1 (ko) 신축이음을 갖는 터널
KR100669912B1 (ko) 공동주택 단지의 소음흡수 방음벽구조
JP2004060327A (ja) 引き戸
JP3715297B2 (ja)
CN113846843B (zh) 适用于行走布料机的双向开合式泵管机构及其使用方法
CN221019473U (zh) 一种钢桁架焊接用固定架
CN114673104B (zh) 一种声屏障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51740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EP1180187B1 (en) Hollow-core slab bearer
JP7255380B2 (ja) ドア構造
JP2001164799A (ja) 不陸対応型移動フェンス
JP4832120B2 (ja) 門柱改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