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363B1 -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363B1
KR101823363B1 KR1020160011294A KR20160011294A KR101823363B1 KR 101823363 B1 KR101823363 B1 KR 101823363B1 KR 1020160011294 A KR1020160011294 A KR 1020160011294A KR 20160011294 A KR20160011294 A KR 20160011294A KR 101823363 B1 KR101823363 B1 KR 10182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members
frame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662A (ko
Inventor
이제택
Original Assignee
이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택 filed Critical 이제택
Priority to KR102016001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3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적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 10a)과 수직 프레임(20, 20a)의 모서리 부위에 연결부재(50, 50a, 50b, 50c)가 결합되어 도어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10, 10a)의 한쪽에는 고정 프레임(40a)이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편에는 이동 프레임(40))의 롤러(400)가 가이드 레일(100)에 안내되어 왕복이동하여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접식 도어 프레임(70,70a)이 절첩되며 개폐되는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0, 50a)는 고정부재(60, 60a)가 각각 결합되는 공간(502, 502a)을 형성하면서, 상기 공간(502)에는 수평 프레임(10)에서 빠져나오는 롤러(400)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600)을 구비하는 고정부재(6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고정부재(60)가 분리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이동프레임(40)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공간(502a)에는 고정부재(60a)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고정부재(60a)가 분리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고정프레임(40a)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고정부재(60, 60a)를 연결부재(50, 50a)에 고정시키거나 분리하는 단순한 작업에 의하여 방충망(30, 30a)과 이동프레임(30, 30a) 및 절첩식 도어 프레임(70, 70a) 일체를, 수평 프레임(10, 10a)과 수직 프레임(20, 20a)으로 형성되는 도어 틀의 전면으로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되어 절첩식 도어의 설치 분리 및 교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A frame assembly device which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frame for sliding security screens}
본 발명은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식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닫혀졌을 때에는 실내에서 실외쪽으로 밀리는 힘이 작용하여도 전도되지 아니하면서,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틀로부터 절첩식 방충망을 구성하는 일체의 조립체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되어 설치 분리 및 교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 샤시는 가공성이 용이하고, 다른 금속재 보다 비교적 경량이어서 창호 및 도어 등의 건축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절첩식 도어의 방충망은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에 설치되는데, 설치된 이후에도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교환 수리를 하거나, 또는 창문을 통하여 물품을 이동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방충망이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첩식 도어 프레임과, 절첩 가능하게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이 일체로 되는 절첩식 도어를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도어 틀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또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는 닫혀졌을 때에 실내에서 실외쪽으로 작용하는 미는 힘에 의하여 도어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 프레임에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평 프레임에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롤러가 설치된 이동 프레임이 상기 단차가 형성된 공간까지 이동할 수 있어야 된다.
이를 위하여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는 롤러를 유도 및 안내할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로부터 연속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방충망을 개폐하는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절첩식 도어를 원활하게 분리시킨 다음 다시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이렇게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와 함께, 방충망을 인출시키는 이동 프레임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이동 프레임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KR 10-1101170 KR 20-0455121
본 발명의 목적은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에서
방충망이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첩식 도어 프레임과, 절첩 가능하게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이 일체로 되는 절첩식 도어를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도어 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에서 방충망을 인출시키는 이동 프레임이 방충망을 펼친 상태에서, 수직 프레임에서 이동 프레임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는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적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에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도어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한쪽에는 고정 프레임이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편에는 이동 프레임의 롤러가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왕복이동하며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접식 도어 프레임이 절첩 개폐되는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에 있어서,
좌우측의 수직 프레임 뒤쪽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부 양쪽 연결부재는 고정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공간이 형성되면서, 한편의 공간에는 수평 프레임에서 빠져나오는 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고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고정부재가 분리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이동 프레임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되고, 다른 한편의 공간에는 고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고정부재가 분리되는 공간을 이용히여 고정프레임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내부면이 연결부재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상부면이 연결부재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재와 고정부재가 접촉하는 내부면과 상부면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연결부재와 고정부재가 접촉하는 면에서 어느 한 쪽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면에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본 발명은 고정부재가 연결부재에 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가 외부면에 나사의 머리부가 통과할 수 있는 제 1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상기 제 1 나사구멍과 동일한 수평축상의 위치에서 나사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제 2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연결부재에 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을 방충망과 절첩식 도어 프레임과 함께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도어 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절첩식 도어의 교환·수리 및 창문을 통하여 물품을 운반할 필요가 있을 때에 고정 프레임, 이동 프레임, 방충망 및 절첩식 도어 프레임 일체를,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도어 틀의 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쉽게 재 고정시킬 수 있다.
더불어, 좌우측의 수직 프레임 뒤쪽에 형성되는 지지부는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견고한 시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범 방충용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확대한 시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 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 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 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범 방충용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확대한 시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는 수평 프레임(10, 10a), 수직 프레임(20, 20a), 방충망(30), 30a), 이동 프레임(40, 40a), 연결부재(50, 50a, 50b, 50d), 고정부재(60, 60a) 및 절첩식 도어 프레임(70, 70a)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부의 수평프레임(10)이 양쪽 수직 프레임(20, 20a)의 상부와 연결부재(50, 50a)로 고정되고, 하부의 수평 프레임(10a)은 양쪽 수직 프레임(20, 20a)의 하부와 연결부재(50b, 50c)로 고정되면서, 상부의 수평 프레임(10, 10a)과 수직 프레임(20, 20a)이 고정되는 상부의 양쪽 모서리 부위에서 고정부재(60, 60a)가 연결부재(50, 50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에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50, 50a)와 고정부재(60, 60a)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부의 수평 프레임(10)은 가이드 레일(100)이 형성되어 이동 프레임(40)이 매달리는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하부의 수평 프레임(10a)은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40)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20, 20a)은 실외에 위치하는 쪽으로 돌출되어 이동 프레임(40)을 지지하는 지지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절첩식 도어를 인출시키며 닫혀지는 이동 프레임(40)의 뒤쪽에서 이동 프레임(40)이 바깥쪽으로 밀리는 함에 의하여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동 프레임(40)의 상부에는 수평 프레임(10)의 가이드 레일(100)에 안내되는 롤러(400)가 형성되고, 하부는 공지된 구조로 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10a)의 가이드 홈(도시되지 아니함)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고정 프레임(40a)은 공지된 구조와 같이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10a)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절첩식 도어 프레임(70, 70a)은 공지된 구조와 같이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서 힌지로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어 절접식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 프레임(40)과 절첩식 도어 프레임(70) 사이에는 방충망(30)이 형성되고, 고정 프레임(40a)와 절첩식 도어 프레임(70) 사이에는 방충망(30a)이 형성된다.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 20a) 및 이동 프레임(40)은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샤시의 형태로서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연결부재(50)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서 제조되는 것으로,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고정편(500, 501)이 형성되어, 다른 연결부재(50a, 50b, 50c)와 함께 수평 프레임(10, 10a)과 수직 프레임(20, 20a)이 이루는 사방의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여 절첩식 도어의 틀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연결부재(50)는 'ㄱ'자 형상을 하고 있고,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40)의 롤러(400)가 수평 프레임(10)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공간(502)을 일측 하단부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공간(502)에는 수평 프레임(10)에서 빠져나오는 롤러(400)를 안내하는 고정부재(60)가 수평으로 슬라이딩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연결부재(50a)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40a)이 힌지와 함께 빠져나올 수 있는 공간(502a)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부재(60)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거나 금속재를 압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수평 프레임(10)에서 빠져나오는 롤러(400)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600)이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연결부재(50)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연결부재(50)와 고정부재(60)가 접촉하는 내부면과 상부면에서 적어도 어느 한편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수단은 연결부재(50)의 내부면(503)에 형성되거나 상부면(504)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의도하는 바에 따라서 내부면(503)과 상부면(504)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으로 연결부재(50)의 내부면(503)에는 삽입홈(505)이 형성되고, 상부면(504)에는 걸림돌기(506)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60)의 내부면(601)에는 상기 삽입홈(505)에 삽입되는 삽입돌기(604)가 형성되면서, 걸림돌기(506)에 걸려지게 되는 걸림돌기(605)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60)의 외부면(602)에는 나사(80)의 머리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나사 머리부보다 큰 직경으로 되는 제 1 나사구멍(606)이 형성되고, 내부면(601)에는 상기 제 1 나사구멍(606)과 동일한 수평축상의 위치에서 나사(80)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제 2 나사구멍(60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 10a)과 수직 프레임(20, 20a)이 양쪽 단부가 직각을 이루도록 절단되어 결합되면서 사방의 모서리부에서 상부의 수평 프레임(10)와 수직 프레임(20, 20a)은 고정부재(60, 60a)가 개재되는 상태에서 연결부재(50, 50a)의 고정편(500, 501)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의 수평 프레임(10a)과 수직 프레임(20, 20a)은 별도로 연결부재(50b, 50c)에 의하여 결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부재(60)는 삽입돌기(604)가 연결부재(50)의 삽입홈(505)에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고정부재(60)의 걸림돌기(605)는 연결부재(50) 걸림돌기(506)에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50)에 1차적으로 부착되는 고정부재(60)는 제 1 나사구멍(606)과 제 2 나사구멍(607)을 통하여 연결부재(50,50a)에 체결되는 나사(80)에 의하여 연결부재(50)에 완전히 고정된다.
고정부재(60)는 연결부재(50)에 고정되면서, 가이드 레일(600)이 수평 프레임(10)의 가이드 레일(100)과 동일한 수평 위치에서 연장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절첩식 도어를 닫으면 수평 프레임(10)의 가이드 레일(100)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40)의 롤러(400)가 수평 프레임(10)의 가이드 레일(100)의 단부에서 이탈되면서 고정부재(60)의 가이드 레일(600)에 안내되어 수직 프레임(20)의 내측면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절첩식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는 상태가 되도록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40)은 고정부재(6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600)에 의하여 수직 프레임(20)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20)에 접촉하게 되는 이동 프레임(40)은 수직 프레임(20)의 지지부(200)와 연결부재(50)의 지지력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밀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에 연결부재(50)와 고정부재(60)가 설치되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a)에 연결부재(50a)와 고정부재(60a)가 설치되는 구조와 작용도 동일하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수평 프레임(10, 10a) 및 수직 프레임(20, 20a)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틀로부터, 방충망(30, 30a)과 이동 프레임(40, 40a) 및 절첩식 도어 프레임(70, 70a)으로 이루어지는 절접식 도어의 일체를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고정부재(60, 60a)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나사구멍(606)으로 드라이버(도시되지 아니함)를 넣어서 제2나사구멍(607)을 통하여 고정부재(60, 60a)를 연결부재(50, 50a)에 고정시키고 있는 나사(80, 80a)를 풀어내면, 연결부(50, 50a)로부터 고정부재(60, 60a)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고정부재(60, 60a)가 분리되면, 고정부재(60)가 분리되면서 연결부재(50)의 전면에 형성되는 공간(502)을 이용하여 롤러(400)와 함께 이동 프레임(40)을 수평 프레임(10, 10a)과 수직 프레임(20, 20a)으로 형성되는 도어 틀의 전면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고정부재(60a)가 분리되면서 연결부재(50a)의 전면에 형성되는 공간(502a)으로는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40a)을 수평 프레임(10, 10a)과 수직 프레임(20, 20a)으로 형성되는 도어 틀의 전면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프레임(40)과 고정 프레임(40a)과 함께 방충망(30, 30a)과 절첩식 도어 프레임(70, 70a)으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도어의 일체를 도어 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방충망(30, 30a)과 이동 프레임(40), 고정 프레임(40a) 및 절첩식 도어 프레임(70, 70a)으로 되는 절첩식 도어의 일체는 다시 연결부재(50, 50a)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공간(502, 502a)을 이용하여 이동 프레임(40)과 고정 프레임(40a)을 결합시키면, 방충망(30, 30a)과 절첩식 도어 프레임(70, 70a)을 절접 가능한 상태로 다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고정부재(60, 60a)를 다시 나사(80, 80a)로 연결부재(50, 50a)에 고정시키면, 이동 프레임(40, 40a)이 원활하게 절첩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이 본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 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a : 수평 프레임 20, 20a : 수직 프레임
30, 30a : 방충망 40 : 이동 프레임
40a : 고정 프레임 50, 50a, 50b, 50c : 연결부재
60, 60a : 고정부재 70, 70a : 절첩식 도어 프레임
80, 80a : 나사 100 : 가이드 레일
101 : 가이드 홈 200, 200a : 지지부
400 : 롤러 500, 501 : 고정편
502, 502a : 공간 503 : 내부면
504 : 상부면 505 : 삽입홈
506 : 걸림돌기 600, 600a: 가이드 레일
601 : 내부면 602 : 외부면
603 : 걸림돌기 604 : 삽입돌기
606 : 제 1 나사구멍 607 : 제 2 나사구멍

Claims (5)

  1.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적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 10a)과 수직 프레임(20, 20a)의 모서리 부위에 'ㄱ' 자 형태의 연결부재(50, 50a, 50b, 50c)가 결합되어 도어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10, 10a)의 한쪽에는 고정 프레임(40a)이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편에는 이동 프레임(40))의 롤러(400)가 가이드 레일(100)에 안내되어 왕복이동하여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접식 도어 프레임(70,70a)이 절첩되며 개폐되는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0, 50a)는 고정부재(60, 60a)가 각각 결합되도록 일측 하단부분에 공간(502, 502a)을 형성하면서,
    상기 공간(502)에는 수평 프레임(10)에서 빠져나오는 롤러(400)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600)을 구비하는 고정부재(60)가, 수평으로 슬라이딩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부재(60)가 분리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이동프레임(40)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공간(502a)에는 고정부재(60a)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고정부재(60a)가 분리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고정프레임(40a)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50, 50a)와 고정부재(60, 60a)는 내부면과 상부면이 접촉하면서, 상기 내부면과 상부면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연결부재(50, 50a)와 고정부재(60, 60a)가 접촉하는 면에서 어느 한 쪽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면에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며,
    고정수단은 고정부재(60, 60a)가 연결부재(50, 50a)에 나사(80, 80a)로 고정되고,
    고정부재가 외부면에 나사의 머리부가 통과할 수 있는 제 1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상기 제 1 나사구멍과 동일한 수평축상의 위치에서 나사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제 2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연결부재에 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11294A 2016-01-29 2016-01-29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KR10182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294A KR101823363B1 (ko) 2016-01-29 2016-01-29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294A KR101823363B1 (ko) 2016-01-29 2016-01-29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662A KR20170090662A (ko) 2017-08-08
KR101823363B1 true KR101823363B1 (ko) 2018-01-31

Family

ID=5965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294A KR101823363B1 (ko) 2016-01-29 2016-01-29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3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611B1 (ko) * 2020-04-10 2020-09-16 유홍 슬라이딩 창짝 구조체
KR20200134823A (ko) 2019-05-23 2020-12-02 (주)다우솔루션 접이식문 축고정장치
KR20220146278A (ko) * 2021-04-24 2022-11-01 (주)다우솔루션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KR102668923B1 (ko) 2022-07-18 2024-05-27 (주)다우솔루션 모서리결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516B1 (ko) 2018-02-12 2020-02-14 장난 좌우 구분 없이 설치 가능한 양방향 방충망 도어
KR102388674B1 (ko) * 2020-08-12 2022-04-20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조립이 가능한 접이식 방충망
KR20220095858A (ko) 2020-12-30 2022-07-07 이상현 방충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066Y1 (ko) * 2007-06-22 2008-01-21 이순길 출입문용 방범창문
JP2012062666A (ja) 2010-09-15 2012-03-29 Lixil Corp 障子
KR101337996B1 (ko) 2012-12-07 2013-12-09 주식회사 다산월드 탈부착 기능을 갖는 방충창용 모서리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066Y1 (ko) * 2007-06-22 2008-01-21 이순길 출입문용 방범창문
JP2012062666A (ja) 2010-09-15 2012-03-29 Lixil Corp 障子
KR101337996B1 (ko) 2012-12-07 2013-12-09 주식회사 다산월드 탈부착 기능을 갖는 방충창용 모서리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823A (ko) 2019-05-23 2020-12-02 (주)다우솔루션 접이식문 축고정장치
KR102156611B1 (ko) * 2020-04-10 2020-09-16 유홍 슬라이딩 창짝 구조체
KR20220146278A (ko) * 2021-04-24 2022-11-01 (주)다우솔루션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KR102625257B1 (ko) 2021-04-24 2024-01-16 (주)다우솔루션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KR102668923B1 (ko) 2022-07-18 2024-05-27 (주)다우솔루션 모서리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662A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363B1 (ko)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US20180002958A1 (en) Pivot Hinge Assembly For Glass Door
US20210345809A1 (en) Electric curtain
US6276091B1 (en) Sliding glass door assembly having glass doors which are lockable together to slide as a unit
KR101533442B1 (ko) 내부 개방형 여닫이 창호용 방충망장치
KR101844446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ITBO20050568A1 (it) Infisso motorizzato ad anta
ITTO20070780A1 (it) Sistema di sicurezza anti-scasso per serramenti
KR20130136664A (ko) 폴딩도어용 롤러
KR101705600B1 (ko)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수납형 도어
KR101012061B1 (ko) 도어의 위치에 따라 도어 지지봉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이동장치
KR101877329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869359B1 (ko) 폴딩도어의 프레임조립체
KR20170106850A (ko) 폴딩도어 구조
KR101676433B1 (ko)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슬라이딩 자동문
KR20180007863A (ko) 폴딩도어의 롤러유닛 구조
KR200492078Y1 (ko) 롤 방충망의 핸들바 잠금 및 해제장치
KR101833403B1 (ko)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
GB2543742A (en) Secondary glazing unit
JP2008163587A (ja) 切欠閉鎖部材及び切欠閉鎖部材を備えた建具
KR20150009490A (ko) 행거방식 3연동 미닫이문
JP2007056506A (ja) 引込戸
KR101479703B1 (ko)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KR101870333B1 (ko) 풀다운 창호의 방충망 장치
KR102077516B1 (ko) 좌우 구분 없이 설치 가능한 양방향 방충망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