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403B1 -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403B1
KR101833403B1 KR1020160084119A KR20160084119A KR101833403B1 KR 101833403 B1 KR101833403 B1 KR 101833403B1 KR 1020160084119 A KR1020160084119 A KR 1020160084119A KR 20160084119 A KR20160084119 A KR 20160084119A KR 101833403 B1 KR101833403 B1 KR 101833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hinge
door
hinge pin
emergency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500A (ko
Inventor
박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선진철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선진철도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선진철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84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40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54Horizontally-sliding wings disappearing in pockets in the wall; Pocke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출입문, 및 상기 출입문이 닫혔을 때에 상기 출입문의 좌측 또는 우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스크린을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서 상기 고정 스크린을 비상문으로 교체하는 방법을 공개한다.

Description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Emergency door of Platform screen door system and emergency door replacement method}
본 발명은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상문을 교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랫폼에서 선로쪽을 바라볼 때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천장(100)과 플랫폼(200)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 고정스크린(130, 150), 및 출입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출입문(140)은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에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고정스크린(130, 150)은 출입문(14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에 사이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스크린(130, 150) 중 한 개의 고정스크린은 비상문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나머지 한 개의 고정스크린은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에 사이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고정스크린(130, 150) 중 비상문의 역할을 하는 고정스크린은, 비상시 고정스크린(130)의 선로쪽 면에 설치되어 있는 패닉바(또는 패닉 디바이스 어셈블리)를 밀면 승강장 쪽으로 고정스크린(비상문)(130)이 열리도록 되어 있다.
두 개의 고정스크린(130, 150) 중 한 개의 고정스크린만 비상문의 역할을 하는 경우, 나머지 한 개의 고정스크린은 비상문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않기에 낭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비상시에 플랫폼쪽으로 탈출하기 위한 비상문의 개수가 부족하며, 따라서 상기 고정스크린(130, 150) 중 고정되어 있는 나머지 고정스크린(150)을 비상문의 역할을 하도록 교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비상문의 역할을 하지 않는 고정스크린을 비상문으로 교체하는 것이 쉽지 않아 상기 고정스크린을 비상문으로 교체하기 위한 최적의 교체방법이 필요하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상문의 역할을 하지 않는 고정스크린을 비상문으로 교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교체방법에 따른 비상문을 제공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출입문(140), 및 상기 출입문이 닫혔을 때에 상기 출입문의 좌측 또는 우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스크린(130, 150)을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서 상기 고정 스크린을 비상문(1)으로 교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스크린(150)을 상기 상부 프레임(110) 및 상기 하부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를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제1위치에 설치하고, 하부 피봇힌지 핀(pin)(11)을 상기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에 결합하고,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를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제2위치에 설치하는 설치단계, 미리 준비된 비상문(1)의 하부 너클(3)을 상기 하부 피봇힌지 핀(11)의 상단부에 끼움으로써 상기 비상문(1)을 배치하는 배치단계, 및 상부 피봇힌지 핀(21)을, 상기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에 준비된 결합홀(22)을 아래쪽으로부터 통과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110)에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피봇힌지 핀(11)은 상기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에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피봇힌지 핀(11)은 상기 비상문(1)의 하부 너클(3) 내에서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상문(1)은, 상부바(4), 하부바(5), 회전부 수직바(6), 고정부 수직바(7),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바(4)에 고정된 보강 브라켓(8)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강 브라켓(8)의 일단부는 상기 상부 피봇힌지 핀(21)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상부 피봇힌지 핀(21)을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홀(8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피봇힌지 핀(21)을, 상기 보강 브라켓(8)의 결합홀(81)을 통과시킨 후 상기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에 준비된 결합홀(22)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피봇힌지 핀(21)의 하단부에는 상기 보강 브라켓(8)의 결합홀(81)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8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 수직바(6)와 상기 상부바(4)는 L형(L-shaped) 브라켓(9)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L형 브라켓(9)의 수평연장부, 상기 상부바(4), 및 상기 보강 브라켓(8)은 한 개 이상의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단계는, 잠금장치 고정 플레이트(50)를 상기 하부 프레임(120)에 제3위치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출입문(140), 및 상기 출입문이 닫혔을 때에 상기 출입문의 좌측 또는 우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스크린(130, 150)을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서 상기 고정 스크린을 대체하여 교체되는 비상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부바(4), 하부바(5), 회전부 수직바(6), 고정부 수직바(7),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바에 고정된 보강 브라켓(8)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바. 상기 하부바, 상기 회전부 수직바, 및 상기 고정부 수직바는 복수 개의 연결 브라켓들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 브라켓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 수직바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일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홀(81)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에 상부 피봇힌지 핀(21)을 결합시킬 때에, 상기 보강 브라켓의 결합홀은 상기 상부 피봇힌지 핀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바에 형성된 하부 너클(3)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너클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하부 피봇힌지 핀(11)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 수직바(6)와 상기 상부바(4)는 L형(L-shaped) 브라켓(9)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L형 브라켓(9)의 수평연장부, 상기 상부바(4), 및 상기 보강 브라켓(8)은 한 개 이상의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문의 역할을 하지 않는 고정스크린을 비상문으로 교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스크린을 대체하여 교체되는 비상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랫폼에서 선로쪽을 바라볼 때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스크린이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스크린의 위치에 비상문을 설치하는 과정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 및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로에서 플랫폼을 향해 바라보았을 때의 비상문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에서 선로를 향해 바라보았을 때의 비상문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을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교체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스크린(150)이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스크린(150)의 위치에 비상문을 설치하는 과정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2a 및 도 2b는 플랫폼에서 선로쪽을 바라본 도면일 수 있다.
고정스크린(150)을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한 후, 도2b와 같이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를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제1위치에 설치하고, 하부 피봇힌지 핀(pin)(11)을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를 상부 프레임(110)의 제2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2위치는 제1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120)의 제3위치에는 잠금장치 고정 플레이트(5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 및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를 나타낸 도면이며,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에는 결합홀(22) 및 복수 개의 홀(2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홀(22)에는 상부 피봇힌지 핀(21)이 통과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3b는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를 나타낸 도면이며,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에는 결합홀(12) 및 복수 개의 홀(1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홀(12)에는 하부 피봇힌지 핀(11)이 통과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2b와 같이 비상문을 고정플레이트(150)의 자리에 설치하기 위한 기본 과정이 완료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비상문(1)을 결합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로에서 플랫폼을 향해 바라보았을 때의 비상문(1)을 도시한 것이다.
비상문(1)에는 패닉 디바이스 어셈블리(2)가 설치되어 있으며, 비상문(1)의 우측 하단부에는 하부너클(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선로쪽에서 패닉 디바이스 어셈블리(2)를 밀면 잠금장치 고정 플레이트(50)의 잠금이 해지되어 비상문(1)은 플랫폼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2b와 같이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에 하부 피봇힌지 핀(11)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비상문(1)의 하부 너클(3)을 하부 피봇힌지 핀(11)의 상단부에 끼움으로써 비상문(1)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하부 피봇힌지 핀(11)은 하부 너클(3) 내에서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피봇힌지 핀(21)을,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의 결합홀(22)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통과시켜 상부 프레임(11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에서 선로를 향해 바라보았을 때의 비상문(1)을 도시한 것이다.
비상문(1)은 상부바(4), 하부바(5), 회전부 수직바(6), 고정부 수직바(7),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바(4)에 고정된 보강 브라켓(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바(4), 하부바(5), 회전부 수직바(6), 및 고정부 수직바(7)로 둘러싸인 부분은 강화유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을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부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제일 가까운 순서대로 상부 피봇힌지 프레임(20), 보강 브라켓(8), 상부바(4), L형(L-shaped) 브라켓(9)의 수평연장부는 한 개 이상의 볼트에 의해 서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피봇힌지 프레임(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23)에 맞추어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개 이상의 볼트는 육각볼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보강 브라켓(8)의 일단부는 상부 피봇힌지 핀(20)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부에는 상부 피봇힌지 핀(21)을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산(85)이 형성된 결합홀(81)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 및 보강브라켓(8) 간의 고정결합은, 상부 피봇힌지 핀(21)을 보강 브라켓(8)의 결합홀(81)을 통과시킨 후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에 준비된 결합홀(22)에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피봇힌지 핀(21)의 하단부에는 보강 브라켓(8)의 결합홀(81)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8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바(4)와 회전부 수직바(6)는 L형 브라켓(9)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교체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S10)에서, 고정 스크린을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단계(S20)에서,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제1위치에 설치하고, 하부 피봇힌지 핀을 상기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에 결합할 수 있다.
단계(S21)에서,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제2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단계(S20) 및 단계(S21)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서로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단계(S30)에서, 비상문의 하부 너클을 상기 하부 피봇힌지 핀의 상단부에 끼움으로써 상기 비상문을 배치할 수 있다.
단계(S40)에서, 상부 피봇힌지 핀을, 보강 브라켓의 결합홀 및 상기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의 결합홀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다.
단계(S50)에서, L형 브라켓의 수평연장부, 상부바, 상기 보강 브라켓을 한 개 이상의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단계(S60)에서, L형 브라켓의 수직연장부를 회전부 수직바에 고정결합할 수 있다.
단계(S40) 내지 단계(S60)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8)

  1.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출입문(140), 및 상기 출입문이 닫혔을 때에 상기 출입문의 좌측 또는 우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스크린(130, 150)을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서 상기 고정 스크린을 비상문(1)으로 교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비상문(1)은, 상부바(4), 하부바(5), 회전부 수직바(6), 및 고정부 수직바(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교체하는 방법은,
    상기 고정 스크린(130,150)을 상기 상부 프레임(110) 및 상기 하부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를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제1위치에 설치하고, 하부 피봇힌지 핀(11)을 상기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에 결합하고,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를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제2위치에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비상문(1)의 상기 하부바(5)에 형성된 하부 너클(3)을 상기 하부 피봇힌지 핀(11)의 상단부에 끼움으로써 상기 비상문(1)을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부 피봇힌지 핀(21)을, 보강 브라켓(8)에 형성된 결합홀(81) 및 상기 상부 피봇힌지 플레이트(20)에 형성된 결합홀(22)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110)에 결합하는 결합단계;
    L형 브라켓(9)의 수평연장부를, 상기 상부바(4) 및 상기 보강 브라켓(8)에 한 개 이상의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L형 브라켓(9)의 수직연장부를, 상기 회전부 수직바(6)에 고정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브라켓(8)은 상기 상부바(4)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바(4)는, 상기 보강 브라켓(8)에 상기 한 개 이상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고정부 수직바(7) 쪽으로 연장되는 중앙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의 상측면은 상기 일단부이 상측면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교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피봇힌지 핀(11)은 상기 하부 피봇힌지 플레이트(10)에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피봇힌지 핀(11)은 상기 비상문(1)의 하부 너클(3) 내에서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교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8)의 일단부는 상기 상부 피봇힌지 핀(21)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상부 피봇힌지 핀(21)을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홀(8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피봇힌지 핀(21)의 하단부에는 상기 보강 브라켓(8)의 결합홀(81)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8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교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1)이 상기 상부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피봇힌지 핀(2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가상의 연장선이 상기 회전부 수직바(6)의 수평단면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위치에, 상기 상부 피봇힌지 핀(21)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교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잠금장치 고정 플레이트(50)를 상기 하부 프레임(120)에 제3위치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교체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84119A 2016-07-04 2016-07-04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 KR101833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19A KR101833403B1 (ko) 2016-07-04 2016-07-04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19A KR101833403B1 (ko) 2016-07-04 2016-07-04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00A KR20180004500A (ko) 2018-01-12
KR101833403B1 true KR101833403B1 (ko) 2018-04-13

Family

ID=6100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119A KR101833403B1 (ko) 2016-07-04 2016-07-04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459B1 (ko) * 2019-06-03 2019-11-20 신판주 스크린도어의 프레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164Y1 (ko) * 2002-03-13 2002-06-22 정용원 방화문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164Y1 (ko) * 2002-03-13 2002-06-22 정용원 방화문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00A (ko)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53547A1 (en) Tapered bolt receiver for a door lock
KR101823363B1 (ko)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US7891152B2 (en) Sliding door arrangement
DE102011002148A1 (de)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n Einbaukühlschrank an einer Seitenwand eines Möbelkorpus
CN101956498A (zh) 用于滑动门的锁
US20150013233A1 (en) Automotive glass channel bracket and method
KR101833403B1 (ko)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
EP3321458B1 (en) A hinge arrangement, in particular a hidden hinge arrangement
CN208564258U (zh) 一种带有可调铰链的门
KR101638115B1 (ko)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A2612464C (en) Synchronized actuation system for sliding doors
KR101897988B1 (ko) 모듈 타입 유니버셜 도어
KR101753677B1 (ko) 문틀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비상문
CN208564259U (zh) 一种多功能可调节铰链
CN103517609B (zh) 机柜门框用立柱及使用该立柱的机柜门框
CN100343465C (zh) 一种门的锁紧装置
JP5110595B2 (ja) 建具
US20060010774A1 (en) Pocket door mounting system
CN205778293U (zh) 用于门窗型材的l型连接固定件
JP2008163587A (ja) 切欠閉鎖部材及び切欠閉鎖部材を備えた建具
CN218316556U (zh) 一种车门避险装置警报器
AU2017204668B2 (en) An offsetable retainer
CN220726104U (zh) 一种外开窗开闭装置
WO1997042383A3 (fr) Gache destinee a une serrure notamment d'ascenseur
KR101994497B1 (ko) 창호부재 변형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