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164Y1 - 방화문 프레임 - Google Patents

방화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164Y1
KR200279164Y1 KR2020020007392U KR20020007392U KR200279164Y1 KR 200279164 Y1 KR200279164 Y1 KR 200279164Y1 KR 2020020007392 U KR2020020007392 U KR 2020020007392U KR 20020007392 U KR20020007392 U KR 20020007392U KR 200279164 Y1 KR200279164 Y1 KR 200279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astening
fitting
fire door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원
이명현
Original Assignee
정용원
이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원, 이명현 filed Critical 정용원
Priority to KR2020020007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164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면이 "" 형태인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서로 직사각형의 외형이 될수 있도록 결합하여 그 둘레에 철판을 둘러 하나의 방화문을 제작하기 위한 방화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철제이며 장형인 단면이 "" 형태인 수직.수평프레임과 그들을 손쉽게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끼움체결구조,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힌지체결보강판을 부착한 형태로 체결되는 힌지구로 구성되어 방화문 제작을 손쉽게 하며 그 체결의 견고성을 살린 방화문 프레임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방화문 프레임은 방화문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그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된후 보다 견고한 결합을 하기에 내구성이 강해진다.

Description

방화문 프레임{The frame of a door}
본 고안은 단면이 "" 형태인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서로 직사각형의 외형이 될수 있도록 결합하여 그 둘레에 철판을 둘러 하나의 방화문을 제작하기 위한 방화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철제이며 장형인 단면이 "" 형태인 수직.수평프레임과 그들을 손쉽게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끼움체결구조,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힌지체결보강판을 부착한 형태로 체결되는 힌지구로 구성되어 방화문 제작을 손쉽게 하며 그 체결의 견고성을 살린 방화문 프레임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이란 아파트나 일반 다세대 주택의 대문이 될수 있는 그 출구에 설치한 것으로, 그 프레임의 둘레에 철판을 둘러 용접시켜서 제작하는 출입문이다.
따라서 이 출입문은 견고하여 외부인의 출입을 근절시킬수 있을 뿐만아니라, 화재의 발생시에도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방화문의 경우 그 문을 제작함에 있어서 문제점이 많이 발생되고 있기에 그들을 아래에 기재한다.
첫째, 문틀프레임을 제작할 때 아주 많은 제작시간이 걸린다.
즉, 도시된 도 2에서 보이는 본 고안의 문틀프레임과 같이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각각 2개씩 결합되어 하나의 문틀프레임이 되는데, 그 결합을 종래에는 용접을 통해 달성해 왔다.
이는 작업자에게는 아주 까다로운 작업에 해당한다.
이유는 수직.수평프레임간을 직각이 바로 맞는 상태로 결합해야 하며, 용접하기 위한 용접봉을 잡고 2개의 프레임을 용접시키는 작업이 그리 손쉽지는 않았다.
또한 프레임이 직각이 바로 맞지 않는다면, 그 외부에 절곡하고 용접되는 철판을 붙이기 힘들고, 붙여도 삐틀어질 우려가 있기에 프레임을 다시 짜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일단한번 용접된 프레임은 분해하기도 쉽지 않다.
둘째, 문틀프레임의 구성인 수평프레임의 일측단부에는 상하로 각각 힌지구가 체결되어 벽면에 부착된 문틀의 힌지와 유기적인 결합을 하게 되는데, 종래의 그 체결방식은 도시된 도 1에서 처럼 불합리한점이 노출되고 있다.
즉, 도시된 듯이 힌지구가 문틀프레임에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할때, 힌지구와 수평프레임의 사이에 수지류로 제작되는 보강판을 삽입하고 있다.
그런데 본 고안과 같은 방화문을 제작함에 있어서, 그 제작공정 상 절곡되고 용접된 철판을 풀림처리하기 위해 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풀림처리는 절곡되고 용접된 철판이 자기의 성질을 되찾을 수 있게 하기 위해 가하는 공정인데, 이 과정중에 수지류의 보강판은 누러붙어 버려 본래의 구실을 다하기 힘들다.
또한 이러한 보강판은 아주 불필요한 구성이다.
즉, 보강판이라면 그 수평프레임에 견고히 고정되어 문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토오크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켜야 할 것인데, 수평프레임과 분리된 형태이기에 그 역활을 다하기 힘들다.
본 고안은 철제이며 장형인 단면이 "" 형태인 수직.수평프레임과 그들을 손쉽게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끼움체결구조,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힌지체결보강판을 부착한 형태로 체결되는 힌지구로 구성되어 방화문 제작을 손쉽게 하며 그 체결의 견고성을 살린 방화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방화문 프레임에 체결되는 힌지의 체결방식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방화문 프레임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은 끼움체결구조의 모습을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끼움체결구조가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힌지구가 프레임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도 5의 A-A선 힌지보강판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힌지가 수평프레임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은 단면이 "" 형태인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서로 직사각형의 외형이 될수 있도록 결합하여 그 둘레에 철판을 둘러 하나의 방화문을 제작하기 위한 방화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 진다.
단면이 ""자형이며 장형인 철재 수직.수평프레임(10,50);
이들 좌우끝단에서 끼움 형식으로 결합시키는 끼움체결구조(60);
상기 상하로 구성되는 수평프레임(10)의 일측에 각각 겹쳐 체결시켜, 힌지체결을 위한 다수의 펀칭공(31,34)을 구성시킨 보강판(30)과;
그 보강판(30)과 수평프레임(10)간의 결합은 수평프레임(10)에 형성된 체결공(11)에 보강판(30)을 펀칭(체결펀칭공;34 )하여 밀어 넣고, 그 체결공(34)의 내주면을 감싸며 절곡하는(일종의 코킹가공; caulking) 절곡가압부(39)로 단단히 체결하며;
이 보강판(30)과 수평프레임(10)을 관통하되 그 내주면에 텝핑가공된 힌지체결공(31)에 볼트(5)결합하는 힌지구(20)로 구성되어 조립을 용이하게 한 방화문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끼움체결구조(60)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건(소)들간의 결합에 의해 달성된다.
수직.수평프레임(50,10)중 양측 끝단에는 절곡되고 펀칭되어 걸이부(62), 끼움돌기(63) 및 흔들림방지공(64)이 구성된 "" 형태의 끼움부(61)와;
이에 대응하는 프레임에 펀칭하여 제1,2끼움간(72,72'), 끼움홈(73) 및 쌍의돌기(74)가 양측단에 구성된 결합부(71)가;
걸이부(62)는 제 1,2끼움간(72,72')과, 끼움돌기(63)는 끼움홈(73)과, 흔들림방지공(64)는 쌍의 돌기(74)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용접이 필요없는 체결구조(60)를 달성한다.
또한 상기 보강판(30)의 평면에는 펀칭가공처리되어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된다.
즉, 다수의 체결펀칭공(34)과 다수의 힌지체결공(31)이 모두 그 내주면을 세워 단턱부(35,32)가 구성되어 수평프레임(10)의 체결공(11)에 끼어들어감에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고,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처럼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50)이 각각 2개씩 결합하여 하나의 방화문 프레임을 형성할 때, 그 결합을 위해 양측끝단에 끼움체결구조(60)를 보유하고 있다.
이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도 3,4에 도시되어 있는데, 수직이나 수평프레임(10)중 어느한쪽을 선택하여 끼움부(61)를 형성시켜 놓게 되는데, 이는 금형에 의한 펀칭성형을 통해 달성한다.
그 끼움부(61)의 형태는 "" 처럼 성형되어 대응하는 수직.수평프레임(50,10)의 끝단에 구성된 결합부(71)에 끼어 들어 갈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끼움부(61)는 도시된 듯이 걸이부(62), 끼움돌기(63) 및 흔들림방지공(64)이라 칭하는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프레임의 일부구성인데, 대응하는 프레임에 구성된 결합부(71)와 절곡과 끼움구조에의해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결합부(71)의 구성요소인 제 1,2끼움간(72,72'), 끼움홈(73) 및 쌍의 돌기(74)와의 결합을 의미한다.
그 결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도 3과 도 3(a)에 분리된 모습과 끼워진 모습을 통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화살촉형으로 형성된 걸이부(62)는 제 1끼움간(72)을 관통하고, 제 2끼움간(72')에 끼워져 밀려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며, 끼움부(62)의 상부측단에 돌출된 끼움돌기(63)는 대응하는 프레임의 측단을 찢어 형성한 끼움홈(73)에 끼워져 그들간의 결합을 단속한다.
또한 끼움부(61)의 흔들림방지공(64)에 밀려들어온 쌍의 돌기(74)도 역시 흔들림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그들간의 결합을 더욱 확실하게 한다.
여기서 동일구성 이지만 그 위치가 변경된 또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 4(a),(b)에 그려져 있는데, 그들의 차이는 제 2끼움간(72')에 끼워지는 화살촉형의 걸이부(62)가 끼워지는 깊이에 차이를 두고 실시한 형태들이다.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이며, 확실한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실시예들이다.
따라서 종래에 프레임간의 결합을 위해 실행되어온 용접의 과정이 전혀 불필요하게 하기에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온다.
상기 끼움체결구조(60)와 함께 본 고안의 방화문 프레임을 이루는 구성중 중요한 기술적요지가 될 수 있는 부분은 문틀프레임을 이루는 상부와 하부의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힌지구(20)의 체결구조이다.
그 힌지구(20)는 도시된 도 5처럼 그 저면에 보강판(30)을 덧댄 상태로 볼트(5)결합하게 되는데, 그 보강판(30)을 수평프레임에 체결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시된 도 6에는 이러한 보강판(30)을 A-A선 단면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 5,6,7에서처럼 보강판(30)은 그 상면에 다수개의 체결펀칭공(34)과 힌지체결공(31)이 성형되는데, 그 성형의 방식은 그 구멍의 내주면을 세워 단턱부(35,32)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수평프레임(10)에 성형된 체결공(11)에 끼어들어 갈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도시된 도 6처럼 밑으로 길게 단턱부(35,32)가 형성되어 그 단턱부(35,32)가 수평프레임의 체결공(11) 속을 관통하여 밀려 들어간다.
그리고 그 다수개의 체결공(11)중 일부의 체결공 내주면을 감싸 절곡결합시키는 일종의 코킹가공(caulking)을 한 절곡가압부(39)로 단단히 체결하게 된다.
물론 도시된 도 6에서 처럼 코킹가공이 되지 않는 힌지체결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시키는 텝핑( 33;tapping)가공이 되어 있기에 여기에 볼트(5)를 이용하여 힌지구가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보강판(30) 처럼 불에 녹을 우려가 전혀 없고, 확실한 보강의기능수행을 할 수 있기에 바람직한 고안이다.
여기서 도시된 도 5를 다시살피면, 도면의 최하단에 일점쇄선을 이용하여 별도의 보강판이 도시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이 도시된 보강판(30a)은 필요시에만 사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힌지부(20)에 의해 작용되는 토오크에 효과적으로 적을 할 수 있도록 보강해 놓은 구성이다.
본 고안의 방화문 프레임은 방화문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그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된후 보다 견고한 결합을 하기에 내구성이 강해진다.

Claims (4)

  1. 단면이 "" 형태인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서로 직사각형의 외형이 될수 있도록 결합하여 그 둘레에 철판을 둘러 하나의 방화문을 제작하기 위한 방화문 프레임에있어서,
    단면이 ""자형이며 장형인 철재 수직.수평프레임(10,50);
    이들 좌우끝단에서 끼움 형식으로 결합시키는 끼움체결구조(60);
    상기 상하로 구성되는 수평프레임(10)의 일측에 각각 겹쳐 체결시켜, 힌지체결을 위한 다수의 펀칭공(31,34)을 구성시킨 보강판(30)과;
    그 보강판(30)과 수평프레임(10)간의 결합은 수평프레임(10)에 형성된 체결공(11)에 보강판(30)을 펀칭(체결펀칭공;34 )하여 밀어 넣고, 그 체결공(34)의 내주면을 감싸며 절곡하는(일종의 코킹가공; caulking) 절곡가압부(39)로 단단히 체결하며;
    이 보강판(30)과 수평프레임(10)을 관통하되 그 내주면에 텝핑가공된 힌지체결공(31)에 볼트(5)결합하는 힌지구(20)로 구성되어 조립을 용이하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방화문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끼움체결구조(60)는,
    수직.수평프레임(50,10)중 양측 끝단에는 절곡되고 펀칭되어 걸이부(62), 끼움돌기(63) 및 흔들림방지공(64)이 구성된 "" 형태의 끼움부(61)와;
    이에 대응하는 프레임에 펀칭하여 제1,2끼움간(72,72'), 끼움홈(73) 및 쌍의 돌기(74)가 양측단에 구성된 결합부(71)가;
    걸이부(62)는 제 1,2끼움간(72,72')과, 끼움돌기(63)는 끼움홈(73)과, 흔들림방지공(64)는 쌍의 돌기(74)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용접이 필요없는 체결구조(60)임에 특징이 있는 방화문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보강판(30)의 평면에는,
    다수의 체결펀칭공(34)과 다수의 힌지체결공(31)이 모두 그 내주면을 세워 단턱부(35,32)가 구성되어 수평프레임(10)의 체결공(11)에 끼어들어감에 특징이 있는 방화문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힌지구(20)가 수평프레임(10)에 결합될때, 그 저면에도 별도의 보강판(30a)을 덧대어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방화문 프레임.
KR2020020007392U 2002-03-13 2002-03-13 방화문 프레임 KR200279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392U KR200279164Y1 (ko) 2002-03-13 2002-03-13 방화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392U KR200279164Y1 (ko) 2002-03-13 2002-03-13 방화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164Y1 true KR200279164Y1 (ko) 2002-06-22

Family

ID=7311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392U KR200279164Y1 (ko) 2002-03-13 2002-03-13 방화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1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282B1 (ko) * 2015-11-30 2016-08-18 조준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1833403B1 (ko) * 2016-07-04 2018-04-13 주식회사 한국선진철도시스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
KR200490133Y1 (ko) * 2019-05-02 2019-09-30 (주)동방파스텍 방화문용 내부프레임
KR20230168760A (ko) 2022-06-08 2023-12-15 아르네코리아(주) 쇼케이스용 알루미늄 전면 프레임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282B1 (ko) * 2015-11-30 2016-08-18 조준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1833403B1 (ko) * 2016-07-04 2018-04-13 주식회사 한국선진철도시스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
KR200490133Y1 (ko) * 2019-05-02 2019-09-30 (주)동방파스텍 방화문용 내부프레임
KR20230168760A (ko) 2022-06-08 2023-12-15 아르네코리아(주) 쇼케이스용 알루미늄 전면 프레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8503B2 (ja) 扉枠構造体、及び扉枠構造体の取付方法
JPH03115671A (ja) 車両用ストライカ
KR200279164Y1 (ko) 방화문 프레임
CN111065784A (zh) 组装式铝模具面板
KR101582284B1 (ko) 방화문용 문틀
KR200433225Y1 (ko) 방화문의 프레임 고정구조
KR200492945Y1 (ko) 책상 프레임
JP4084698B2 (ja) 球技用ゴール
JP4165644B2 (ja) 錠箱の構造
KR100541572B1 (ko) 지지판을 이용한 철문과 힌지의 연결구조 및 그 지지판의제조방법
KR100955302B1 (ko) 거푸집의 체결구
KR20170056871A (ko) 강도가 보강된 방화문
JP4013792B2 (ja) 壁パネルの連結装置
JP2727788B2 (ja) Pc梁型枠
KR200312119Y1 (ko) 양개 방화문의 구조
KR100524011B1 (ko)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54388Y1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KR100626877B1 (ko) 금고용 힌지구조물
JP3923236B2 (ja) 建物用外壁材
JP4873538B2 (ja) 引戸錠用ストライク
KR20070048008A (ko) 방화문용 문틀프레임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장치
JPS5930803Y2 (ja) オ−ブン
JP2503362Y2 (ja) シャッタ―のボックス構造
KR100733379B1 (ko) 문짝 구조
KR101850905B1 (ko) 격자형 창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