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119Y1 - 양개 방화문의 구조 - Google Patents

양개 방화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119Y1
KR200312119Y1 KR20-2003-0001456U KR20030001456U KR200312119Y1 KR 200312119 Y1 KR200312119 Y1 KR 200312119Y1 KR 20030001456 U KR20030001456 U KR 20030001456U KR 200312119 Y1 KR200312119 Y1 KR 200312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bar
doo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강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to KR20-2003-0001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개선된 구조를 갖는 양개 방화문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양개 방화문은 하부면 소정의 위치에 수직 관통하는 제 1 삽입장공 및 제 2 삽입장공이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마주보는 하부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용접고정되면서 모서리부분에는 상부힌지 및 하부힌지가 용접고정되는 우측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용접고정되면서 중앙부분에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수직하게 제 1 장착홈이 연장 형성된 좌측프레임을 갖는 문틀; 다단으로 절곡되어 상부에는 제 1 삽입장공에 끼워져 용접고정되는 제 1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는 하부프레임에 용접고정됨과 아울러 전면 양측으로 제 2 장착홈 및 제 3 장착홈을 형성하는 제 1 바아와, 제 1 바아를 감쌀 수 있도록 다단을 절곡되면서 상부에는 제 2 삽입장공에 끼워져 용접고정되는 제 2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프레임에 용접고정되는 제 2 바아를 갖는 중간바아; 및 일단 상부 및 하부가 상부힌지 및 하부힌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 3 장착홈에 밀착되며 타단 소정의 위치에는 렛치볼트가 돌출된 도어록이 장착된 우측도어와, 일단이 제 1 바아에 끼워지고 타단은 제 1 장착홈에 끼워지는 좌측도어를 갖는 도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양개 방화문의 구조{structure of fire door}
본 고안은 양개 방화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측도어 및 좌측도어가 교차되는 중앙부분에 수직한 중간바아를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산택적으로 중간바아를 분리하여 넓게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양개 방화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아연도금 강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앞판과 뒷판을 만들고 서로 마주보는 앞판의 뒷면과 뒷판의 전면에 서로 대응하는 보강재를 각각 용접시킨 후 보강재의 체결을 통해서 앞판과 뒷판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때, 앞판과 뒷판 사이에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우레판수지가 내장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화문은 일측 상하 모서리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개방되는 편개형 방화문과, 양측 상하 모서리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개방되는 양개형 방화문으로 분류되며, 최근 건축물에서는 출입문은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양개형 방화문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양개형 도어는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용접고정되는 좌측 및 우측프레임에 힌지결합되며, 우측 프레임에는 지면에서부터 대략 1.2m 높이에 렛치볼트가 돌출된 도어 록이 장착되며, 대응하는 좌측도어에는 도어 록의 렛치볼트가 수납되는 렛치홈 및 좌측도어를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배치된다.
그런데, 전술한 양개형 방화문는 일반가정에서 좌측도어를 주로 고정한 상태하에서 우측도어를 선회하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우측도어와 교차하는 좌측도어의 끝단이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변형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우측도어 및 좌측도어가 교차되는 중앙부분에 수직한 중간바아를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산택적으로 중간바아를 분리하여 넓게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양개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개 방화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a는 도 1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b는 2a의 상부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선 B-B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양개 방화문 110 : 문틀
112 : 상부프레임 114 : 하부프레임
116 : 좌측프레임 118 : 우측프레임
122a : 제 1 삽입장공 122b : 제 2 삽입장공
130 : 중간바아 132 : 제 1 바아
136 : 제 2 바아 144a : 제 1 삽입돌기
144b : 제 2 삽입돌기 150 : 도어부
152 : 우측도어 154 : 좌측도어
158 : 제 1 이탈방지턱 160 : 제 2 이탈방지턱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부면 소정의 위치에 수직 관통하는 제 1 삽입장공 및 제 2 삽입장공이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마주보는 하부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용접고정되면서 모서리부분에는 상부힌지 및 하부힌지가 용접고정되는 우측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용접고정되면서 중앙부분에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수직하게 제 1 장착홈이 연장 형성된 좌측프레임을 갖는 문틀;
다단으로 절곡되어 상부에는 제 1 삽입장공에 끼워져 용접고정되는 제 1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는 하부프레임에 용접고정됨과 아울러 전면 양측으로 제 2 장착홈 및 제 3 장착홈을 형성하는 제 1 바아와, 제 1 바아를 감쌀 수 있도록 다단을 절곡되면서 상부에는 제 2 삽입장공에 끼워져 용접고정되는 제 2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프레임에 용접고정되는 제 2 바아를 갖는 중간바아; 및
일단 상부 및 하부가 상부힌지 및 하부힌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 3 장착홈에 밀착되며 타단 소정의 위치에는 렛치볼트가 돌출된 도어록이 장착된 우측도어와, 일단이 제 1 바아에 끼워지고 타단은 제 1 장착홈에 끼워지는 좌측도어를 갖는 도어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우측도어 및 좌측도어가 교차되는 중앙부분에 수직한 중간바아를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중간바아를 분리하여 넓게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개 방화문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개 방화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a는 도 1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b는 2a의 상부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선 B-B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양개 방화문(100)은 문틀(110), 문틀(110)에 수직하게 끼워지는 중간바아(130), 문틀(110)에 장착되는 도어부()를 구비한다.
먼저, 문틀(110)은 상부프레임(112), 하부프레임(114), 상부프레임(112) 및 하부프레임(114)의 양측에 용접고정되는 좌측프레임(116) 및 우측프레임(118)을 구비한다. 이때, 상부프레임(112), 하부프레임(114) 및 우측프레임(118)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부힌지(120a) 및 하부힌지(120b)가 각각 용접고정되며, 상부프레임(112)의 하부면 소정의 위치에는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 1 삽입장공(122a) 및 제 2 삽입장공(122b)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삽입장공(122a) 및 제 2 삽입장공(122b)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좌측프레임(116)의 중앙부분에는 좌측프레임(116)을 따라서 좌측프레임(116)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장되는 수직한 제 1 장착홈(12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문틀(110)에는 중간바아(130)가 장착된다.
중간바아(130)는 제 1 바아(132) 및 제 2 바아(136)를 구비한다. 제 1 바아(132)는 상부프레임(112)의 하부면에서부터 하부프레임(114)의 상부면 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플레이트(134a), 제 1 플레이트(134a)의 일측 연장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2 플레이트(134b), 제 2 플레이트(134b)의 끝단에서 제 1 플레이트(134a)의 대향하는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3 플레이트(134c), 제 3 플레이트(134c)의 끝단에서 제 2 플레이트(134b)의 대향하는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4 플레이트(134d), 제 4 플레이트(134d)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제 3 플레이트(134c)와 마주보는 제 5 플레이트(134e), 제 5 플레이트(134e)의 끝단에서 제 4 플레이트(134d)의 대향하는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6 플레이트(134f), 제 6 플레이트(134f)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제 1 플레이트(134a)와 마주보면서 끝단은 제 1 플레이트(134a)의 끝단을 지나 연장되는 제 7 플레이트(134g) 및 제 7 플레이트(134g)의 끝단에서 제 6 플레이트(134f)에 대향하는 측으로 연장되는제 8 플레이트(134h)를 구비한다. 이때,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제 2 플레이트(134b)와 제 3 플레이트(134c)는 외부에 제 2 장착홈(138)을 형성하며, 제 4 플레이트(134d) 및 제 5 플레이트(134e)는 제 3 장착홈(140)을 형성하면서 제 5 플레이트(134e)의 소정 위치에는 렛치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제 7 플레이트(134g)의 상부면 상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 1 삽입장공(122a)에 끼워지는 제 1 삽입돌기(144a)가 형성된다.
한편, 제 2 바아(136)는 제 8 플레이트(134h)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상부프레임(112)의 하부면에서부터 하부프레임(114)의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제 9 플레이트(142a), 제 9 플레이트(142a)의 연장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면서 내측면이 제 8 플레이트(134h)의 일측면과 밀착되면서 제 1 플레이트(134a)의 외부측으로 연장되는 제 10 플레이트(142b) 및 제 10 플레이트(142b)의 끝단에서 제 1 플레이트(134a)의 중앙부분까지 소정의 각도(θ)로 연장되는 제 11 플레이트(142c)를 구비한다. 이때, 제 11 플레이트(142c)의 상부면 상에는 제 2 삽입돌기(122b)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 1 삽입돌기(144a)에 대응하는 제 2 삽입돌기(144b)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1 플레이트(142c)는 제 10 플레이트(142b)를 기준으로 86˚의 경사를 가지며 연장된다. 이와 같이 중간바아(130)가 장착된 문틀(110)에는 도어부(150)가 배치된다.
도어부(150)는 우측도어(152) 및 좌측도어(154)를 구비한다. 우측도어(152)의 일단 상부 하부는 문틀(110)에 형성된 상부힌지(120a) 및 하부힌지(120b)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은 선택적으로 제 3 장착홈(140)에 밀착된다. 이렇게 제3 장착홈(140)에 밀착되는 우측도어(152)의 타단 소정의 위치에는 렛치볼트(도시되지 않음)가 돌출된 도어 록(156)이 장착된다. 이때, 렛치볼트는 선택적으로 렛치홈에 끼워진다. 한편, 좌측도어(154)는 일단의 전면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제 1 이탈방지돌기(158)가 형성되며, 타단 배면측에는 마찬가지로 외부로 돌출되는 제 2 이탈방지돌기(160)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이탈방지돌기(158)는 제 2 장착홈(138)에 걸쳐짐과 동시에 죄측도어(154)의 일단 배면 모서리부분은 경사진 제 11 플레이트(142c)에 의해서 밀착되며, 그리고 제 2 이탈방지돌기(160)는 제 1 장착홈(124)에 장착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양개 방화문(100)의 결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부프레임(112)에 형성된 제 1 삽입장공(122a) 및 제 2 삽입장공(122b)에 중간바아(130)에 형성된 제 1 삽입돌기(144a) 및 제 2 삽입돌기(144b)가 삽입결합되어 용접되며 중간바아(130)의 하부는 하부프레임(114)에 마찬가지로 용접고정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상부힌지(120a) 및 하부힌지(120b)에 우측도어(152)를 선회가능하게 장착한다. 한편, 좌측도어(154)는 제 2 이탈방지턱(160)을 좌측프레임(116)에 형성된 제 1 장착홈(124)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 1 이탈방지턱(158)을 중간바아(130) 측으로 가압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제 1 이탈방지턱(158)은 제 2 장착홈(138)에 밀착되며, 좌측도어(154)의 일단 배면 모서리는 제 11 플레이트(142c)에 밀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개 방화문(100)은 우측도어(152) 및 좌측도어(154)를 구비하는 도어부(150)가 문틀(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간바아(130)에 의해서 분할됨으로써, 방화문(100)의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면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한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하부면 소정의 위치에 수직 관통하는 제 1 삽입장공 및 제 2 삽입장공이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마주보는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용접고정되면서 모서리부분에는 상부힌지 및 하부힌지가 용접고정되는 우측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용접고정되면서 중앙부분에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수직하게 제 1 장착홈이 연장 형성된 좌측프레임을 갖는 문틀;
    다단으로 절곡되어 상부에는 상기 제 1 삽입장공에 끼워져 용접고정되는 제 1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용접고정됨과 아울러 전면 양측으로 제 2 장착홈 및 제 3 장착홈을 형성하는 제 1 바아와, 상기 제 1 바아를 감쌀 수 있도록 다단을 절곡되면서 상부에는 상기 제 2 삽입장공에 끼워져 용접고정되는 제 2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용접고정되는 제 2 바아를 갖는 중간바아; 및
    일단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상부힌지 및 상기 하부힌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장착홈에 밀착되며 타단 소정의 위치에는 렛치볼트가 돌출된 도어록이 장착된 우측도어와, 일단이 상기 제 1 바아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제 1 장착홈에 끼워지는 좌측도어를 갖는 도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 방화문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아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면에서부터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면 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측 연장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3 플레이트,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4 플레이트,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제 5 플레이트, 상기 제 5 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6 플레이트, 상기 제 6 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마주보면서 끝단은 사기 제 1 플레이트의 끝단을 지나 연장되는 제 7 플레이트 및 상기 제 7 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기 제 6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 8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3 플레이트는 외부에 제 2 장착홈을 형성되고, 상기 제 4 플레이트 및 상기 제 5 플레이트에는 제 3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우측도어의 타단이 밀착되며, 상기 제 5 플레이트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렛치볼트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렛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7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삽입장공에 끼워지는 제 1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 방화문의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아는 상기 제 8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면에서부터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제 9 플레이트, 상기 제 9 플레이트의 연장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면서 내측면이 상기 제 8 플레이트의 일측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외부측으로 연장되는 제 10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0 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중앙부분까지 소정의 각도(θ)로 연장되는 제 11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1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는 상기 제 2 삽입돌기에 끼워지는 제 2 삽입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 방화문의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도어는 일단의 전면측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장착홈에 걸쳐지는 제 1 이탈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도어의 타단 배면측에는 마찬가지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장착홈에 끼워지는 제 2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 방화문의 구조.
KR20-2003-0001456U 2003-01-17 2003-01-17 양개 방화문의 구조 KR200312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456U KR200312119Y1 (ko) 2003-01-17 2003-01-17 양개 방화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456U KR200312119Y1 (ko) 2003-01-17 2003-01-17 양개 방화문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119Y1 true KR200312119Y1 (ko) 2003-05-09

Family

ID=4940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456U KR200312119Y1 (ko) 2003-01-17 2003-01-17 양개 방화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1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21A (ko) 2021-04-06 2022-10-13 김중길 양개형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21A (ko) 2021-04-06 2022-10-13 김중길 양개형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5397Y1 (ko) 냉장고의 도어힌지 구조
KR200312119Y1 (ko) 양개 방화문의 구조
KR100582846B1 (ko) 조립식 납골함단
EP1375805B1 (en) Acces door for sectional gates, with interchangeable sections
KR200340264Y1 (ko) 도어 프레임 조립구조
KR200279164Y1 (ko) 방화문 프레임
KR200394727Y1 (ko) 폐 합성수지 폼을 이용한 방화문
KR200312117Y1 (ko)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KR200183369Y1 (ko) 폴딩도어의 먼지유입 방지구조
JPH0423193Y2 (ko)
KR200157042Y1 (ko) 방화 문용 문틀
KR200185716Y1 (ko) 냉장고의 상,하부 힌지구조 및 도어의 결합구조
JP2005139684A (ja) 錠箱の構造
KR0129573Y1 (ko) 조립식 사물함
KR200321390Y1 (ko) 현관도어의 조립식 프레임.
JP3529496B2 (ja) 壁パネルとドア枠の取付構造
KR200183394Y1 (ko) 끼움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브라켓트의 상호 체결구조
KR100553441B1 (ko) 사물보관함용 경첩
KR100782170B1 (ko) 맨홀 덮개의 소음방지장치
JP3654121B2 (ja) 折り戸のヒンジ部の構造
KR200259862Y1 (ko) 조립식 액자
KR200176179Y1 (ko) 사물함 경첩
JP3126105U (ja) 壁開口部の開口枠
KR100462579B1 (ko) 창호 프레임구조
JP4094235B2 (ja) 引戸用ストライク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