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117Y1 -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 Google Patents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117Y1
KR200312117Y1 KR20-2003-0001454U KR20030001454U KR200312117Y1 KR 200312117 Y1 KR200312117 Y1 KR 200312117Y1 KR 20030001454 U KR20030001454 U KR 20030001454U KR 200312117 Y1 KR200312117 Y1 KR 200312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e
window
settl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강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to KR20-2003-0001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편개도어 및 양개도어에 내부 및 외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인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시창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은 앞판재 및 뒷판재로 이루어진 우측도어 또는 좌측도어 중 어느 하나에 수납홈을 갖는 수납부; 및 수납홈의 내주면을 감싸면서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앞판재 및 뒷판재 측으로 노출되는 제 1 몸체 및 제 1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 1 안치턱을 구비하는 제 1 지지부재와, 제 1 몸체의 타단을 감싸는 제 2 몸체 및 제 2 몸체의 일단에서 제 1 안치턱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안치턱을 구비하는 제 2 지지부재와, 제 1 안치턱 및 제 2 안치턱 사이에 배치되는 투시창과, 제 1 몸체의 일단을 감싸는 제 3 몸체를 구비하는 제 3 지지부재를 갖는 투시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Fire door having glass}
본 고안은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편개도어 및 양개도어에 내부 및 외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인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시창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아연도금 강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앞판과 뒷판을 만들고 서로 마주보는 앞판의 뒷면과 뒷판의 전면에 서로 대응하는 보강재를 각각 용접시킨 후 보강재의 체결을 통해서 앞판과 뒷판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때, 앞판과 뒷판 사이에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우레판수지가 내장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화문은 일측 상하 모서리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개방되는 편개형 도어와, 양측 상하 모서리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개방되는 양개형 도어로 분류되며, 최근 건축물에서는 출입문은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양개형 도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편개형 또는 양개형 도어에는 앞판과 뒷판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한정되어 있어 근래에는 방화문에 투시창을 형성하여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들은 투시창을 설치하기 위해서 방화문의 앞판과 뒷판을 변형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여 방화문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외형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편개도어 및 양개도어에 내부 및 외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을형성함으로써, 외부인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시창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방화문 110 : 수납부
112 : 수납홈 120 : 투시부
122 : 제 1 지지부재 124 : 제 1 몸체
126 : 제 1 블레이드 128 : 제 2 블레이드
136 : 제 1 안치턱 140 : 제 2 지지부재
142 : 제 2 몸체 146 : 제 2 안치턱
150 : 투시창 152 : 고무패킹
160 : 제 3 지지부재 162 : 제 3 몸체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서로 마주보는 앞판재와 뒷판재 상기 앞판재 및 상기 뒷판재 사이에 도포되는 우레탄과 상기 앞판재와 상기 뒷판재의 주변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진 우측도어 및 좌측도어를 구비하며, 상부힌지 및 하부힌지에 의해서 상기 우측도어 및 상기 좌측도어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프레임을 갖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우측도어 또는 상기 좌측도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앞판재에서부터 상기 뒷판재까지 관통하는 수납홈을 갖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홈의 내주면을 감싸면서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앞판재 및 상기 뒷판재 측으로 노출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 1 안치턱을 구비하는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몸체의 타단을 감싸는 제 2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제 1 안치턱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안치턱을 구비하는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안치턱 및 상기 제 2 안치턱 사이에 배치되는 투시창과, 상기 제 1 몸체의 일단을 감싸는 제 3 몸체를 구비하는 제 3 지지부재를 갖는 투시부로 이루어진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편개도어 및 양개도어에 내부 및 외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인을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시창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100)은 출입구를 감싸는 도어 프레임(10), 도어 프레임(10)에 장착된 상부힌지(12a, 12b) 및 하부힌지(14a, 14b)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측도어(16) 및 좌측도어(18)를 구비한다. 이때, 우측도어(16) 및 좌측도어(18)는 서로 마주보는 앞판재(20), 뒷판재(22)를 구비하며, 앞판재(20) 및 뒷판재(22) 사이에는 접착제로서 우레탄(24)이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고 앞판재(20) 및 뒷판재(22)의 주변은 마감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마감된다. 한편, 도어 록(26)은 지면으로부터 약 1.2m 높이에서 우측도어(16)에 설치되며, 좌측도어(18)에는 도어 록(26)의 렛치볼트(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렛치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때, 우측도어(16) 또는 좌측도어(18)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앞판재(20)에서부터 뒷판재(22)를 관통하면서 수직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수납홈(112)이 형성된 수납부(110)를 구비하고, 수납부(110)에는 투시부(120)가 배치된다.
투시부(120)는 제 1 지지부재(122), 제 2 지지부재(140), 투시창(150) 및 제3 지지부재(160)를 구비한다.
먼저, 제 1 지지부재(122)는 수납홈(112)의 내주면을 감싸는 제 1 몸체(124) 및 제 1 몸체(124)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안치턱(136)을 구비한다. 제 1 몸체(124)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다. 이러한 제 1 몸체(124)의 양단에는 제 1 몸체(124)의 방사상 외부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블레이드(126) 및 제 2 블레이드(128)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제 1 블레이드(126)의 양단에는 제 1 걸림돌기(130a) 및 제 2 걸림돌기(130b)가 제 1 블레이드(126)를 따라서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제 2 블레이드(128)의 양단에는 제 1 걸림돌기(130a) 및 제 2 걸림돌기(130b)에 대응하는 제 3 걸림돌기(132a) 및 제 4 걸림돌기(132b)가 제 2 블레이드(128)를 따라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블레이드(126) 및 제 2 블레이드(128)는 다수의 나사(134)에 의해서 앞판재(20) 및 뒷판재(22)에 체결된다. 한편, 제 1 안치턱(136)은 제 1 몸체(124)의 내주면 중앙부분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안치턱(136)의 연장단부에는 투시창(150)의 일단이 밀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지지부재(122)에는 제 2 지지부재(140), 투시창(150) 및 제 3 지지부재(160)가 장착된다.
제 2 지지부재(140)는 제 2 블레이드(128)를 감싸는 제 2 몸체(142) 및 제 2 몸체(142)에서 제 1 걸림턱(136)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안치턱(146)을 구비한다. 제 2 몸체(142)는 제 1 몸체(124)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 2 블레이드(128)의 전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2 몸체(142)의 내주면 양측에는 제 3 걸림돌기(132a) 및 제 4 걸림돌기(132b)가 체결되는 제 1 걸림홈(144a) 및 제 2 걸림홈(144b)이 제 2 몸체(142)를 따라서 형성된다. 한편, 제 2 안치턱(146)은 제 2 몸체(142)에 형성된 제 1 걸림홈(144a)의 일측에서부터 제 1 안치턱(136) 측으로 연장되고 끝단은 제 1 안치턱(136)과 마주보도록 돌출된다. 이러한 제 2 안치턱(146)과 제 1 안치턱(136) 사이에는 투시창(150)이 배치된다.
투시창(150)은 방열 및 방음성이 우수하고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유리를 채택하면서 제 1 안치턱(136) 및 제 2 안치턱(146)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투시창(150)의 외부면 상에는 제 1 안치턱(136) 및 제 2 안치턱(146)과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투시창(150)의 주변을 감싸는 고무패킹(152)이 끼워진다.
한편, 제 3 지지부재(160)는 제 1 블레이드(126)를 감싸는 제 3 몸체(162)를 구비한다. 제 3 몸체(162)는 제 2 몸체(14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 1 블레이드(126)의 전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3 몸체(162)의 내주면 양측에는 제 1 걸림돌기(130a) 및 제 2 걸림돌기(130b)에 체결되는 제 3 걸림홈(164a) 및 제 4 걸림홈(164b)이 제 3 몸체(162)를 따라서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100)의 장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방화문(100)의 우측도어(16) 또는 좌측도어(18) 중 어느 하나에 소정의 크기와 폭을 갖는 수납홈(112)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2에서는 상, 하로 수직하게 연장된 수납홈(112)이 도시되어 있으나,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수납홈(112)이 형성되면, 수납홈(112)의 내주면 상에 제 1 지지부재(122)를 끼운 상태 하에서 제 1 블레이드(126) 및 제 2 블레이드(128)를 앞판재(20) 및 뒷판재(22)에 밀착시킨 후 다수의 나사(134)를 이용하여 제 1 지지부재(122)를 수납홈(112)에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재(122)가 수납홈(112)에 고정되면, 우선 고무패킹(152)을 끼운 상태에서 투시창(150)의 일측을 제 1 지지부재(122)의 제 1 안치턱(136) 연장부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투시창(150)의 일측이 제 1 안치턱(136)의 밀착되면, 작업자는 제 2 지지부재(140)를 제 1 지지부재(122)에 체결시킨다. 이때, 제 2 지지부재(140)의 제 2 몸체(142)는 제 2 블레이드(128)를 감싸면서 체결된다. 즉 제 2 몸체(142)에 형성된 제 1 걸림홈(144a) 및 제 2 걸림홈(144b)에는 제 2 블레이드(128)에 형성된 제 3 걸림돌기(132a) 및 제 4 걸림돌기(132b)가 수용되어 제 2 몸체(142)는 제 2 블레이드(128)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 2 몸체(142)가 제 2 블레이드(128)에 체결되면, 제 2 안치턱(146)의 연장부는 투시창(150)의 타측면을 밀착하면서 투시창(150) 제 1 지지부재(122) 및 제 2 지지부재(140)에 한정한다.
이와 같이 제 1 지지부재(122) 및 제 2 지지부재(140)에 의해서 투시창(150)이 고정되면, 제 1 지지부재(122)의 제 1 블레이드(126)에 제 3 지지부재(160)를 체결시킨다. 이때, 제 3 지지부재(160)의 제 3 몸체(162)를 제 2 지지부재(140)의 제 2 몸체(14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체결시켜 제 1 블레이드(126)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우측도어(16) 및 죄측도어(18)가 형성된 양개형방화문(100)에 투시부(120)가 형성된 것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개형 방화문(100)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투시부(120)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100)은 투시창(150)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재(122), 제 2 지지부재(140) 및 제 3 지지부재(160)의 결합이 용이하여 투시창(150)의 교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투시창(150), 제 1 지지부재(122), 제 2 지지부재(140) 및 제 3 지지부재(160)가 끼워지는 수납홈(112)의 모양을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어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납홈(112)을 형성하기 위해서 앞판재(20) 및 뒷판재(22)에 변형을 주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방화문(100)의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서로 마주보는 앞판재와 뒷판재 상기 앞판재 및 상기 뒷판재 사이에 도포되는 우레탄과 상기 앞판재와 상기 뒷판재의 주변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진 우측도어 및 좌측도어를 구비하며, 상부힌지 및 하부힌지에 의해서 상기 우측도어 및 상기 좌측도어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프레임을 갖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우측도어 또는 상기 좌측도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앞판재에서부터 상기 뒷판재까지 관통하는 수납홈을 갖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홈의 내주면을 감싸면서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앞판재 및 상기 뒷판재 측으로 노출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 1 안치턱을 구비하는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몸체의 타단을 감싸는 제 2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제 1 안치턱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안치턱을 구비하는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안치턱 및 상기 제 2 안치턱 사이에 배치되는 투시창과, 상기 제 1 몸체의 일단을 감싸는 제 3 몸체를 구비하는 제 3 지지부재를 갖는 투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몸체의 방사상 외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앞판재 및 상기 뒷판재에 밀착되는 제 1 블레이드 및 제 2 블레이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다수의 나사에 의해서 상기 앞판재 및 상기 뒷판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블레이드의 양단에는 제 1 걸림돌기 및 제 2 걸림돌기가 상기제 1 블레이드를 따라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블레이드의 양단에는 제 3 걸림돌기 및 제 4 걸림돌기가 상기 제 2 블레이드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치턱은 상기 제 1 몸체의 내주면 중앙부분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장부에는 상기 투시창의 일측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2 블레이드의 전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제 3 걸림돌기 및 상기 제 4 걸림돌기가 체결되는 제 1 걸림홈 및 제 2 걸림홈이 상기 제 2 몸체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치턱은 상기 제 1 걸림홈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제 1 안치턱 측으로 연장되고 끝단은 상기 제 1 안치턱과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상기 투시창의 타측면을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몸체는 상기 제 1 블레이드의 전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3 몸체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제 1 걸림돌기 및 상기 제 2 걸림돌기에 체결되는 제 3 걸림홈 및 제 4 걸림홈이 상기 제 3 몸체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KR20-2003-0001454U 2003-01-17 2003-01-17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KR200312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454U KR200312117Y1 (ko) 2003-01-17 2003-01-17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454U KR200312117Y1 (ko) 2003-01-17 2003-01-17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117Y1 true KR200312117Y1 (ko) 2003-05-09

Family

ID=4940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454U KR200312117Y1 (ko) 2003-01-17 2003-01-17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1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927B1 (ko) 2015-06-12 2016-03-31 정재형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KR102473241B1 (ko) * 2022-05-01 2022-12-01 김성배 탈부착 가능한 방화 유리틀이 구비된 방화문
KR102595315B1 (ko) * 2022-10-31 2023-10-26 (주)동광명품도어 간편 조립 끼움식 구조의 투시창 방화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927B1 (ko) 2015-06-12 2016-03-31 정재형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KR102473241B1 (ko) * 2022-05-01 2022-12-01 김성배 탈부착 가능한 방화 유리틀이 구비된 방화문
KR102595315B1 (ko) * 2022-10-31 2023-10-26 (주)동광명품도어 간편 조립 끼움식 구조의 투시창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218B1 (ko) 도어용 잼 어셈블리
KR100849864B1 (ko) 문틀구조 및 문틀구조 시공방법
US8556329B2 (en) Door panel
KR102050635B1 (ko) 다중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WO2014183601A1 (zh) 镶玻门窗扇及其装配方法
KR200312117Y1 (ko)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KR101134180B1 (ko) 피벗힌지 결합을 위한 보강재 및 용접이 필요 없는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0312118Y1 (ko)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JP4880710B2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フックの取付け構造
KR100639583B1 (ko)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
CN211647860U (zh) 一种防撬门结构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101373309B1 (ko) 여닫이문 경첩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출입문
JP6914805B2 (ja) 建具
KR20170056871A (ko) 강도가 보강된 방화문
JP7294104B2 (ja) 建設機械のドア
KR200266150Y1 (ko) 방화문
KR200312119Y1 (ko) 양개 방화문의 구조
JP2818923B2 (ja) 収納ケースにおける扉の取付装置
KR200272205Y1 (ko) 여닫이식 유리문용 상, 하부 고정판 마감구조
JP6444722B2 (ja) 扉体
JP4099280B2 (ja) 建物開口部材とその施工方法
RU34955U1 (ru) Дверной блок
KR200354023Y1 (ko) 방화문의 장식 구조
RO121709B1 (ro) Uşă metalică, pentru locuinţ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