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583B1 -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583B1
KR100639583B1 KR1020060011603A KR20060011603A KR100639583B1 KR 100639583 B1 KR100639583 B1 KR 100639583B1 KR 1020060011603 A KR1020060011603 A KR 1020060011603A KR 20060011603 A KR20060011603 A KR 20060011603A KR 100639583 B1 KR100639583 B1 KR 100639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cover
opening
do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훈
Original Assignee
윤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훈 filed Critical 윤대훈
Priority to KR1020060011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583B1/ko
Priority to PCT/KR2007/000617 priority patent/WO2007091812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내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전방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개폐도어(21)가 장착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설비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금속판(22)의 둘레부를 절곡하여 제1절곡부(24)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22)의 내측을 제단하여 상기 도어(2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26)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에는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지지바아(30)가 고정되거나 상기 개구부(26)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둘레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향 절곡된 도어지지부(4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아(30) 또는 도어지지부(40)에 의해 상기 도어(21)의 배면이 걸려서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작시 작업 공수와 작업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작 원가와 인건비 등을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금속판, 절곡, 제1절곡부, 제2절곡부, 개구부

Description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Cover structure for construction equipment ca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건축설비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버구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버구조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도어지지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함체 20. 커버
24. 제1절곡부 26. 개구부
28. 제2절곡부 40. 도어지지부
42. 제1지지턱 44. 제2지지턱
50. 보강바아
본 발명은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공수와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제작 원가와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축물 시공시 소화전, 계량기, 양수기와 같은 각종 건축설비를 벽체에 매설한다. 이러한 건축설비를 벽체에 매설하기 위하여 건축설비 케이스가 시중에 제공되고 있다. 이 건축설비 케이스는 금속판을 육면체 형상으로 용접하여 제작되며 내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와, 이 함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도어가 회동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부에 건축설비를 수용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됨으로써, 각종 건축설비를 벽체에 안전하게 매설되도록 보호한다. 그리고, 필요시 커버에 장착된 도어를 개방하여 건축설비 점검 작업과 같은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건축설비 케이스의 전방에 결합되는 커버의 경우, 복수개의 금속바아를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용접하고, 사각틀의 전방에 다른 금속판을 별도로 용접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작업 공수가 많으면서도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 원가와 인건비가 상승하는 요인이 되고, 나아가,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시 작업 공수와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제작 원가와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켜 여러 모로 유리한 새로운 구성의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전방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개폐도어(21)가 장착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설비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금속판(22)의 둘레부를 절곡하여 제1절곡부(24)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22)의 내측을 제단하여 상기 도어(2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26)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에는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지지바아(30)가 고정되거나 상기 개구부(26)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둘레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향 절곡된 도어지지부(4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아(30) 또는 도어지지부(40)에 의해 상기 도어(21)의 배면이 걸려서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절곡부(24)의 단부에는 상기 금속판 (22)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2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절곡부(28) 중에서 적어도 좌우측 또는 상하측 제2절곡부(28)의 단부에는 이웃한 제2절곡부(28)의 단부가 겹쳐지지 않도록 절단부(28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아(30)는 상기 커버(20)의 배면에 스폿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아(30)는 중간의 연결부(32)와, 이 연결부(32)의 일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커버(20)의 배면에 스폿용접되는 스폿용접부(34)와, 상기 연결부(32)의 타단에서 상기 커버(2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21)의 배면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턱부(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26)의 상하측 둘레부의 양단에 상하 방향 외측으로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절취선(26a)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26a)의 안쪽 부분을 단면 기역자 형으로 절곡하여 도어지지부(40)를 형성하며, 상기 도 어지지부(40)는 커버(20)의 개구부(26) 상하측에서 내측으로 직각 절곡된 제1지지턱(42)과, 이 제1지지턱(42)의 끝단에서 금속판(22)의 마주하도록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제2지지턱(44)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 외측 배면에는 금속재의 보강바아(50)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8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커버(20)를 제조하는 건축물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금속판(22) 둘레부를 절곡하여 상기 금속판(22)의 둘레부에 제1절곡부(24)를 형성하는 제1절곡부 형성단계와, 상기 금속판(22)의 표면을 제단하여 도어(2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26)를 형성하는 개구부 형성단계와,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지지바아(30)를 고정하거나 상기 개구부(26)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둘레부의 양단에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도어지지부(40)를 형성하는 도어지지수단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9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절곡부(24)의 단부에 상기 금속판(22) 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제2절곡부(28)를 절곡 형성하는 제2절곡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0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절곡부(28) 중에서 적어도 좌우측 또는 상하측 제2절곡부(28)의 단부에 이웃한 제2절곡부(28)의 단부가 겹쳐지지 않도록 절단부(28a)를 형성하는 절단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1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아(30)는 중간의 연결부(32)와, 이 연결부(32)의 일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커버(20)의 배면에 스폿용접되는 스폿용접부(34)와, 상기 연결부(32)의 타단에서 상기 커버(2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21)의 배면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턱부(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2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 외측 배면에 금속재의 보강바아(50)를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건축설비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커버구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버구조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도어지지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커버(20)이다.
상기 커버(20)는 사각형 금속판(22)의 둘레부를 직각 방향으로 절곡하여 제1절곡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사각형 금속판(22)의 일측면을 사각 형상으로 제단하여 도어(2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26)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에는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지지바아(30)가 고정된다. 그리고, 커버(20)의 개구부(26) 중간 부분에도 수직 방향으로 중간지지바아(31)가 설치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지지바아(30)와 중간지지바아(31)의 하측 양단에 힌지축(7)을 매개로 도어(21)의 하측 양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부호 8은 힌지축(7)을 지지하는 힌지브라켓이고, 부호 9는 도어(21)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록커이다. 이러한 록커(9)는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록커를 채용하는 것이므로, 록커(21)의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도 2에서는 커버(20)의 개구부(26) 중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중간지지바아(31)를 설치하여, 두 개의 개폐도어(21)의 일측단 양측부를 힌지축(7)을 매개로 각각 좌우측 지지바아(30)와 중간지지바아(31)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개폐도어(21)만을 설치할 때에는 중간지지바아(31)를 설치할 필요 없이 좌우측 지지바아(30)에 개폐도어(21)의 하측부 양측을 힌지축(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면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바아(31)에 개폐도어(21)의 일측부 양측을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여, 개폐도어(21)를 닫았을 때 도어지지부(40)에 의해 개폐도어(21)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경우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도어지지부(40)에 힌지축(7)을 매개로 개폐도어(21)의 일측단 양측부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고, 개폐도어(21)의 배면은 지지바아(31)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버(20)의 개구부(26) 상하측 둘레부에는 개구부(26)의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단면 기역자 형상의 도어지지부(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개구부(26)의 상하측 둘레부의 양단에 상하 방향 외측으로 서로 나란하도록 한 쌍의 절취선(26a)을 형성하고, 이러한 한 쌍의 절취선(26a) 안쪽 부분을 단면 기역자 형으로 절곡하여 도어지지부(40)를 형성한다. 이 도어지지부(40)는 커버(20)의 개구부(26) 상하측에서 내측으로 직각 절곡된 제1지지턱(42)과, 이 제1지지턱(42)의 끝단에서 금속판(22)의 마주하도록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제2지지턱(44)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1지지턱(42)은 도어(21)가 닫혔을 때 도어(21)의 상하단 둘레부가 마주하고, 제2지지턱(44)에는 도어(21)의 상하측 배면이 걸려져 지지된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제1절곡부(24) 끝단에는 금속판(22)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직각 절곡된 제2절곡부(28)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절곡부(24,28)에 의해 커버(20)의 네 둘레부에 단면 기역자 형상의 지지부가 구비되며, 이로 인해, 커버(20)가 쉽게 굽혀지지 않고 강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2절곡부(28)에 의해 커버(20)의 둘레부가 더 강도 높게 지지된다.
한편, 제1절곡부(24)는 커버(20)의 배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지만, 경우에 따라, 각도가 더 크도록 절곡될 수 있다. 즉, 설치되는 장소의 벽체 부분이 직각을 이루지 않고 경사진 경우에는 제1절곡부(24)의 절곡 각도도 직각보다 더 크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절곡부(24)의 절곡 각도는 커버(20)의 배면에 대해 97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0) 네 둘레부의 제2절곡부(28) 중에서 상하측 제2절곡부(28)의 양단부에는 기역자 형상으로 절단된 절단부(28a)가 형성되어, 이웃한 제2절곡부(28), 즉, 좌우측 제2절곡부(28)의 양단부가 상하측 제2절곡부(28)의 절단부(28a)에 딱 맞게 결합되므로, 서로 이웃한 제2절곡부(28)의 단부가 겹쳐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바아(30)는 커버(20)의 배면에 스폿용접된다. 즉, 지지바아(30)는 중간의 연결부(32)와, 이 연결부(32)의 일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스폿용접부(34)와, 상기 연결부(32)의 타단에서 스폿용접부(34)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직각 지지턱부(36)로 구성되어, 스폿용접부(34)가 커버(20)의 배면에 스폿용접된다. 또한, 지지턱부(36)는 도어(21)가 닫혔을 때, 도어(21)의 양측 배면을 지지하여 도어(21)가 과도하게 안쪽으로 밀려서 닫히는 것을 방지한다. 부호 36a는 상기 도어지지부(40)의 제2지지턱(44)과 겹쳐지지 않도록 절단된 절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20)는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쉽게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커서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커버(20)를 보강하기 위하여, 커버(20)의 배면에 별도로 금속재의 보강바아(50)를 대준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의 개구부(26) 외측 내벽에 보강바아(50)를 스폿용접하여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커버(20)를 보강한다. 이때, 보강바아(50)는 단면 디귿자의 채널부(52) 좌우측 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좌우 접합부(54)가 구비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보강바아(50)의 좌우 접합부(54)가 커버(20)의 배면에 스폿용접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20)의 개구부(26)에 도어(21)를 두 개 이상 설치할 경우, 커버(20)의 개구부(26) 중간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금속재의 중간지지바아(31)를 용접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지지바아(31)는 단면 디귿자의 채널부(31a) 좌우측 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용접접합부(31b)가 구비된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중간지지바아(31)가 커버(20)의 전면보다 튀어나오지 않도록 용접접합부(31b)의 상하단부를 절단한 다음, 절단된 단부를 커버(20)의 개구 부(26)에 구비된 상하측 도어지지부(40)에 용접한다. 즉, 중간지지바아(31)의 상하단부는 커버(20) 둘레부의 제1절곡부(24)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절곡부(28)에 중간지지바아(31)의 절단된 단부를 용접함으로써, 중간지지바아(31)를 커버(20)의 개구부(26) 중간에 설치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절곡부 형성단계에서는 사각 형상의 금속판(22) 둘레부를 직각 방향으로 절곡하여 사각 금속판(22)의 네 둘레부에 제1절곡부(24)를 형성한다. 이때, 강도를 고려하여 제1절곡부(24)를 다시 한번 금속판(22)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제1절곡부(24)의 끝단에 제2절곡부(28)를 더 형성한다.
또한, 절단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상하측 및 좌우측 제2절곡부(28) 중에서 적어도 상하측 제2절곡부(28)의 끝단부를 절단함으로써, 커버(20)의 배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 형태의 절단부(28a)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절단부(28a)에 좌우측 제2절곡부(28)의 상하단부가 맞게 결합되므로, 이웃한 제2절곡부(28)의 양단부가 서로 겹치지 않고 절첩될 수 있다. 다음, 개구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금속판(22)의 일면을 사각 형태로 절단하여, 금속판(22)에 사각 형태의 개구부(26)를 형성한다.
이어서, 금속판(22)의 개구부(26)에 도어지지수단을 형성한다. 이 도어지지수단은 도어지지부(40) 또는 지지바아(30)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6)의 상하측 둘레부 양단에 서 로 나란한 한 쌍의 외향 절취선(26a)을 형성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선(26a)의 안쪽 부분을 단면 기역자 형으로 절곡하여 도어지지부(40)를 형성한다. 이 도어지지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턱(42,4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6)의 좌우측 둘레부 외측 내벽에 한 쌍의 좌우측 지지바아(30)를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지지바아(30)는 커버(20)의 배면에 스폿용접됨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바아(30)는 중간의 연결부(32) 양단부에서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란하게 직각 절곡된 스폿용접부(34)와 지지턱부(36)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스폿용접부(34)가 커버(20)의 개구부(26) 외측 내벽에 스폿용접되어 고정된다. 이처럼 지지바아(30)를 고정한 다음, 상기 지지바아(30)의 하측에 힌지축(7)을 매개로 도어(21)의 하측 양단을 회동 개폐되도록 결합시킨다.
한편, 보강바아 용접단계에서는 커버(20)의 개구부(26) 외측 배면에 금속재의 보강바아(50)를 용접한다. 이렇게 용접된 보강바아(50)에 의해 커버(20)의 배면이 지지되어 보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설비 케이스의 전방에 결합되는 상 기 커버(20)는 금속판(22)의 둘레부를 절곡한 제1절곡부(24)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22)의 표면을 제단하여 도어(2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26)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복수개의 금속바아를 서로 용접하고 별도로 금속판을 부착하여 제작한 종래와 비교하여, 제작시 작업 공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제작 원가와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절곡부(24)에는 커버 제작용 금속판(22)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28)가 더 구비되어, 커버(20)가 휘어져 형태 변형이 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므로, 제품의 강도와 같은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절곡부(28) 중에서 적어도 상하측 제2절곡부(28)의 단부에는 절단부(28a)가 형성되어, 이웃한 좌우측 제2절곡부(28)의 단부가 겹쳐지지 않도록 절곡되기 때문에, 제작이 보다 용이하면서도 품질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에 설치되는 지지바아(30)는 커버(20)의 배면에 스폿용접되어, 작업이 보다 신속해지면서도 용접에 의한 용접 부위의 물성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0)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커버(20)의 배면에 별도로 금속재의 보강바아(50)가 용접되기 때문에, 비교적 큰 사이즈의 제품이라도 쉽게 휘어지는 것과 같은 형태 변형이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내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전방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개폐도어(21)가 장착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설비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금속판(22)의 둘레부를 절곡하여 제1절곡부(24)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22)의 내측을 제단하여 상기 도어(2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26)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에는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지지바아(30)가 고정되거나 상기 개구부(26)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둘레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향 절곡된 도어지지부(40)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도어(21)의 일측단부 양측은 상기 개구부(26)에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구비된 지지바아(30) 또는 도어지지부(40)에 힌지축(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아(30) 또는 도어지지부(40) 중에서 상기 개폐도어(21)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지지바아(30) 또는 도어지지부(40)에 록커(21)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아(30) 또는 도어지지부(40)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21)의 배면이 걸려서 지지되고 상기 록커(21)에 의해 개폐도어(21)가 록킹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24)의 단부에는 상기 금속판(22)의 배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2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부(28) 중에서 적어도 좌우측 또는 상하측 제2절곡부(28)의 단부에는 이웃한 제2절곡부(28)의 단부가 겹쳐지지 않도록 절단부 (28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부(28) 내측의 금속판(22) 배면에 상기 지지바아(30)가 스폿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30)는 중간의 연결부(32)와, 이 연결부(32)의 일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커버(20)의 배면에 스폿용접되는 스폿용접부(34)와, 상기 연결부(32)의 타단에서 상기 커버(2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21)의 배면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턱부(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6)의 상하측 둘레부의 양단에 상하 방향 외측으로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절취선(26a)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26a)의 안쪽 부분을 단면 기역자 형으로 절곡하여 도어지지부(40)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지지부(40)는 커버(20)의 개구부(26) 상하측에서 내측으로 직각 절곡된 제1지지턱(42)과, 이 제1지지턱(42)의 끝단에서 금속판(22)의 마주하도록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제2지지턱(44)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 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 외측 배면에는 금속재의 보강바아(50)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8. 내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커버(20)를 제조하는 건축물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금속판(22) 둘레부를 절곡하여 상기 금속판(22)의 둘레부에 제1절곡부(24)를 형성하는 제1절곡부 형성단계와, 상기 금속판(22)의 일면을 제단하여 도어(2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26)를 형성하는 개구부 형성단계와,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지지바아(30)를 고정하거나 상기 개구부(26)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둘레부의 양단에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도어지지부(40)를 형성하는 도어지지수단 형성단계와, 상기 개폐도어(21)의 일측단부 양측을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에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구비된 지지바아(30) 또는 도어지지부(40)에 힌지축(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개폐도어 조립단계와, 상기 지지바아(30) 또는 도어지지부(40) 중에서 상기 개폐도어(21)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지지바아(30) 또는 도어지지부(40)에 록커(21)를 장착하는 록커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24)의 단부에 상기 금속판(22)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제2절곡부(28)를 절곡 형성하는 제2절곡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부(28) 중에서 적어도 좌우측 또는 상하측 제2절곡부(28)의 단부에 이웃한 제2절곡부(28)의 단부가 겹쳐지지 않도록 절단부(28a)를 형성하는 절단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30)는 중간의 연결부(32)와, 이 연결부(32)의 일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스폿용접부(34)와, 상기 연결부(32)의 타단에서 상기 커버(2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21)의 배면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턱부(36)로 구성되어, 상기 제2절곡부(28) 내측의 금속판(22) 배면에 상기 지지바아(30)의 스폿용접부(34)가 스폿 용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6)의 상하측 둘레부 또는 좌우측 둘레부의 양단에 개구부(26)의 외측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절취선(26a)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26a)의 안쪽 부분을 단면 기역자 형으로 절곡하여 도어지지 부(40)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지지부(40)는 커버(20)의 개구부(26)에서 내측으로 직각 절곡된 제1지지턱(42)과, 이 제1지지턱(42)의 끝단에서 상기 금속판(22)의 배면과 마주하도록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제2지지턱(44)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개구부(26) 외측 배면에 금속재의 보강바아(50)를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제조방법.
KR1020060011603A 2006-02-07 2006-02-07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 KR10063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603A KR100639583B1 (ko) 2006-02-07 2006-02-07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
PCT/KR2007/000617 WO2007091812A2 (en) 2006-02-07 2007-02-06 Cover structure for construction equipment ca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603A KR100639583B1 (ko) 2006-02-07 2006-02-07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583B1 true KR100639583B1 (ko) 2006-10-31

Family

ID=3762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603A KR100639583B1 (ko) 2006-02-07 2006-02-07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9583B1 (ko)
WO (1) WO2007091812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2701A1 (de) * 2007-02-02 2008-08-07 Effizien-Zen Gmbh Revis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200484791Y1 (ko) * 2016-10-14 2017-10-25 (주)태영기공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KR102497317B1 (ko) * 2021-08-25 2023-02-07 (주)금성이엔씨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1971B2 (ja) 2018-05-22 2022-07-19 株式会社横井製作所 消火栓格納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3215A (ja) * 1990-11-16 1992-06-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ネルカバー
KR19990003044A (ko) * 1997-06-24 1999-01-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평탄화방법
KR100350611B1 (ko) * 1999-09-22 2002-08-28 김인태 조립식 함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2701A1 (de) * 2007-02-02 2008-08-07 Effizien-Zen Gmbh Revis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200484791Y1 (ko) * 2016-10-14 2017-10-25 (주)태영기공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KR102497317B1 (ko) * 2021-08-25 2023-02-07 (주)금성이엔씨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1812A2 (en) 2007-08-16
WO2007091812A3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583B1 (ko)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
JP2009519385A (ja) フレキシブルカーテンを備えた高速ドア
EP2107654B1 (fr) Assemblage d&#39;un coffret électrique
JP5174744B2 (ja) 開口部装置
KR200452571Y1 (ko) 조립식 분전함
JP3677250B2 (ja) フレーム枠及び被覆エレメントを備えた配電盤キャビネット
JP2008166601A (ja) 電気機器収納箱
JP4759501B2 (ja) 建具
JP6630192B2 (ja) 高荷重用ヒンジ装置とこれを具えた枠構造
JP6831078B2 (ja) 開閉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66150Y1 (ko) 방화문
ES2230769T3 (es) Puerta, en especial puerta cortafuego.
JP6503284B2 (ja) 建具
JP5393265B2 (ja) サッシ
JP2014185821A (ja) ケーシング
KR200312117Y1 (ko)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JP6489806B2 (ja)
JP2024030387A (ja) 止水装置
ES2312196T3 (es) Mampara de ducha.
JP6005345B2 (ja) 大きな外力を考慮した両開き扉
JP2013227797A (ja) サッシ枠の交換方法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2002276249A (ja) 開口部装置およびその改装方法
KR200367889Y1 (ko) 도어 프레임의 결로방지장치
JP5394205B2 (ja) リフォーム用開口部装置の施工方法、及びその取り付け構造
JPH10140948A (ja) シャッターケース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