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791Y1 -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 Google Patents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791Y1
KR200484791Y1 KR2020160005928U KR20160005928U KR200484791Y1 KR 200484791 Y1 KR200484791 Y1 KR 200484791Y1 KR 2020160005928 U KR2020160005928 U KR 2020160005928U KR 20160005928 U KR20160005928 U KR 20160005928U KR 200484791 Y1 KR200484791 Y1 KR 200484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pe duct
frame
fire hydr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승만
Original Assignee
(주)태영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영기공 filed Critical (주)태영기공
Priority to KR2020160005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덕트 커버에 피스로 소화전함과 커버 프레임을 체결해도 피스의 머리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소화전함체의 문을 여닫을 때 피스의 머리에 소화전함체 문이 닿지 않아 외상을 입지 않고, 파이프 덕트 커버에 대한 소화전함체 및 커버 프레임의 조립이 용이하며, 건축구조물에 설치된 후 진동 등의 외적 요인에도 피스에 의한 조립상태가 온전하게 유지되는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소방호스 출납구에 파이프 덕트 커버의 내측 플랜지 체결용 안장을 가진 소화전함체와 건축구축물의 벽에 부착되는 브래킷에 고정하는 외측 플랜지와 소화전함체의 안장에 고정되는 내측 플랜지가 일체화된 파이프 덕트 커버와 상기 내측 플랜지의 종부에 고정되는 소화전문용 문틀의 문설주 대용의 커버 프레임으로 이뤄지며, 파이프 덕트 커버의 내측 플랜지에서 횡부는 소화전함체의 안장에 밀착시켜 천공 피스로 체결하고, 커버 프레임은 파이프 덕트 커버의 내측 플랜지측 내면에 밀착시킨 후 종부에 피스로 고정하도록 된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Pipe duct cover-cover frame combination type hydant box}
본 고안은 파이프 덕트 커버와 커버 프레임 및 소화전함의 조립성 향상과 설치 후 소화전함의 조립상태 안정화에 역점을 둔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의 벽에 설치되는 소화전함은 단순형과 복합형이 있다. 단순형 소화전함은 문자 그대로 소방호스 또는 소방호스와 소화기만 수납하도록 제작된 것이고, 복합형 소화전함이란 소화전함 외에 양수기함, 방수기구함, 배전함 등을 하나의 틀에 수용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과 비견되는 선행기술 몇 가지를 소개한다.
등록특허 제10-1641918호는 소방호스 출납구가 형성된 내함의 출납구측 테두리를 에워싸듯이 외함을 씌우고, 내함의 출입구측에 위치한 외함의 플랜지에 천공된 클립공에는 원터치형 클립의 선단을 끼우고 상기 클립의 후단은 테두리측 개방단(출납구)의 턱 내면에 걸리게 하는 한편 외함의 내면에 형성된 후크를 내함의 테두리상에 천공된 후크공을 통해 진입한 상태에서 테두리의 안쪽에서 브래킷을 밀어넣어 거기에 형성된 후크 홀더에 탄력적으로 억지끼움되게 하는 방식으로 조립한 소화전함인 데, 이 선행기술은 파이프 덕트에 소화전함을 수용하여 고정할만한 요소가 결여되었다.
이런 유형의 소화전함은 저층 건축구조물용으로는 적합할 뿐, 소방차의 사다리를 최대한 전개하더라도 소화가 불가능한 초고층 건축구조물이나 소방차의 접근이 곤란한 건축구조물용으로는 부적합하다.
소화전함 외에 양수기함이라든가 방수기구함, 배전함 등을 한 곳에 집합시켜 소방설비의 시공과 관리, 사용 편의를 도모할 수 없는 것도 아쉬운 부분이다.
등록특허 제10-1065440호는 단일 몸체의 내부가 상부 설비실과 소화전실 및 양수기실로 구획되어 있고, 각 실의 출납구에는 개별적으로 여닫는 한지식 문이 설치되어 있어 고층 건축구조물용으로 적합한 소화전인데, 소화전함 일체형이기 때문에 치명적 하자가 발견되더라도 교체가 불가능하다.
특히 주목할 것은 등록실용신안 제20-183607호의 소화전함이다. 이 선행기술은 합성수지제 소화전용 완충성 지지구의 외면에 형성된 까움홈에 내통의 출납구측 내측단에 형성된 절곡턱을 끼우고, 문틀의 출납구측에 주어진 플랜지와 그 내면에 맞닿은 지지구의 설치판을 보울트-너트로 체결한 것으로, 체결 시 너트가 겉돌지 않아 조립성이 향상되고, 경시적으로 진동 등으로 인해 지지구가 이완되지 않는다는 데, 커버 프레임을 이용하여 파이프 덕트에 소화전함을 조합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으로 전용(轉用)할 수도 없다.
또, 보울트의 머리가 문틀의 플랜지 밖으로 노출되어 문을 여닫을 때마다 충격을 받기 때문에 보울트에 닿는 문 부분이 일그러질 개연성이 있는 가하면, 여닫히는 문과의 충돌로 인하여 체결상태가 느슨해질 우려도 있고, 합성수지제 지지구의 비용과 그 사출용 금형비도 부담스럽다.
등록특허 제10-1065440호 등록특허 제10-1641918호 등록실용신안 제20-183607호
본 고안은 파이프 덕트 커버에 피스로 소화전함과 커버 프레임을 체결해도 피스의 머리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소화전함체의 문을 여닫을 때 피스의 머리에 소화전함체 문이 닿지 않아 외상을 입지 않고, 파이프 덕트 커버에 대한 소화전함체 및 커버 프레임의 조립이 용이하며, 건축구조물에 설치된 후 진동 등의 외적 요인에도 피스에 의한 조립상태가 온전하게 유지되는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과제는, 소방호스 출납구에 파이프 덕트 커버의 내측 플랜지 체결용 안장을 가진 소화전함체와, 건축구축물의 벽에 부착되는 브래킷에 고정하는 외측 플랜지와 소화전함체의 안장에 고정되는 내측 플랜지가 일체화된 파이프 덕트 커버와, 상기 내측 플랜지의 종부에 고정되는 소화전문용 문틀의 문설주 대용의 커버 프레임으로 이뤄지며, 파이프 덕트 커버의 내측 플랜지에서 횡부는 소화전함체의 안장에 밀착시켜 천공 피스로 체결하고, 커버 프레임은 파이프 덕트 커버의 내측 플랜지측 내면에 밀착시킨 후 종부에 피스로 고정하도록 된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으로 구현할 수 있다.
파이프 덕트 커버의 내측 플랜지측 횡부를 소화전함체의 인장에 밀착시켜 체결한 천공 피스와 파이프 덕트 커버의 내측 프레임측 종부에 커버 프레임의 외벽을 밀착시켜 체결한 천공 피스는 가각 머리가 커버 프레임 속에 숨어 커버 프레임 밖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소화전함 문용 문틀의 문설주 대용의 커버 프레임에서 소화전함용 문이 여닫힐 때 천공 피스의 머리와 일절 접촉하지 않으므로 소화전함용 문이 외상을 입을 우려가 없다.
또, 소화전함에 대한 파이프 덕트 커버의 선체결, 파이프 덕트 커버에 대한 커버 프레임의 후체결 순으로 진행되는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은 미리 체결공을 뚫지 않고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도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게다가 소화전문이 여닫힐 때의 충격, 건축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도 천공 피스에 의한 체결상태가 견고해 파이프 덕트 커버와 커버 프레임 및 파이프 덕트 커버와 소화전함의 조립상태가 시종 일관되게 안정된다.
도 1은 파이프 덕트 커버와 커버 프레임, 소화전함체의 분해도
도 2는 파이프 덕트 커버와 소화전함체의 조립부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커버 프레임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소화전함체 외에 다른 용도의 함이 추가된 경우를 포함한 소화전의 예시도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은 소화전함체(10)와 파이프 덕트 커버(20) 및 커버 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소화전함체(10)는 소방호스를 인출하거나 정돈시켜 수납하는 출납구(11)에서 문틀이 배제되고, 출납구(11)의 가장자리에 소폭의 안장(12)이 형성되어 있다. 안장(12)은 파이프 덕트 커버(20)의 내측 플랜지의 횡부를 맞대고 피스로 체결할 부분이다.
파이프 덕트 커버(20)에서 기판(21)의 내측단에는 소화전함체(10)의 안장(11)과 커버 프레임(30)의 외측면을 밀착시켜 체결하는 내측 플랜지(22)가 그리고 기판(21)의 외측단에는 건축구조물의 벽에 부착된 브래킷에 고정하는 외측 플랜지(23)가 일체화된 것이다.
도면에서, 내측 플랜지(22)는 기역자상이며, 외측 플랜지(23)는 역기역자상이다. 내측 플랜지(22)는 안장(12)에 밀착시킬 횡부(22a)와 커버 프레임(30)의 외측면이 밀착 고정되는 종부(22b)로 되어 있다.
소화전함용 문틀의 문설주 대용이기도 한 커버 프레임(30)의 외벽(32)은 내측 플랜지(22)의 종부(22b) 내면에 밀착시켜 고정할 부분이고, 기판(31)의 내측에서 기역자상으로 절곡된 부분의 내측단에 위치하는 턱(33)은 소화전함 에 문을 닫았을 때 문의 이면쪽 가장자리(힌지측과 자유단. 이하 같음)를 받쳐주는 문틀의 문설주 대용이며, 기판(31)과 턱(33)을 잇는 종부(33)에는 피스공(34)이 천공되어 있다.
피스공(34)은 커버 프레임(30)의 외벽(32)을 파이프 덕트 커버(20)의 종부(22b)에 체결할 피스와 피스 체결용 공구를 삽입하기 쉽게 미리 뚫는다. 안장(12)과 종부(22b)에는 피스 체결공을 천공하지 않는다.
도 2에서, 소화전함체(10)의 안장(12)에 파이프 덕트 커버(20)의 횡부(22a) 이면을 밀착시키고, 횡부(22a) 쪽에서 선단에 천공날이 형성된 천공 피스(41)를 박아 고정한다. 주지하다시피, 천공 피스는 일루미늄 같은 경금속은 쉽게 파고들어가면서 리드부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은 구멍을 내고, 뒤이어 리드부가 그 구멍에 암나사를 삭성하면서 공차 없이 긴밀하게 체결된다. 천공 피스(41)에 의하여 소화전함체(10)와 파이프 덕트 커버(20)는 아주 긴밀하고 튼튼하게 체결된다.
도 3에서, 파이프 덕트 커버(20)의 종부(22b) 안쪽에 커버 프레임(30)의 외벽(32)을 밀착시키고, 드라이버의 끝에 천공 피스(42)의 머리를 꽂아 피스공(34)으로 들이밀어 넣고 가압하면서 틀면 천공 피스(42)가 외벽(32)과 종부(22b)를 차례로 뚫고 들어가 체결된다. 이 경우에도 천공 피스(42)는 구멍에 암나사를 삭성하면서 공차 없이 긴밀하게 체결되어 커버 프레임(30)과 파이프 덕트 커버(20)의 고정상태를 공고히 한다.
이와 같이 파이프 덕트 커버(20)에 커버 프레임(30)이 조립되고 나면 천공 피스(41)(42)는, 특히 그 머리는 커버 프레임(30) 속에 숨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소화전함체(10)의 출납구 일측에 통상의 힌지식으로 설치된 문(50)을 닫으면 그 양측단이 문설주에 해당하는 커버 프레임(30)의 턱(33)에 가닿으면 닫힌 상태로 지속되지만 천공 피스(41)(42)의 머리에는 전혀 닿지 않는다. 그래서 문(50)을 여닫을 때 문의 자유단쪽 내면, 외측면이 피스의 머리에 긁혀 손상되거나 찌그러지는 등의 불이익이 사라진다.
천공 피스(41)에 의한 소화전함체(10)와 파이프 덕트 커버(20)와의 조립, 천공 피스(42)에 의한 파이프 덕트 커버(20)와 커버 프레임(30)의 조립은 체결부에 체결공을 미리 뚫지 않고 천공과 동시에 체결로 마무리되므로 조립이 아주 용이하다.
또, 천공 피스(41)(42)와 이들에 의해 천공된 후 리드부에 의해 체결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암나사 사이에는 나사공의 경우와는 달리 빈틈 없이 체결되므로 건축구조물의 진동, 소화전함체용 문을 여닫을 때의 충격에도 끄떡 하지 않고 버티는 강한 체결력, 즉 조합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상은 소화전함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와 같이, 소화전함(A)과 동일한 폭을 가진 양수기함(B), 수도계량기함(C) 등 용도가 다른 1종 이상의 함을 파이프 덕트 커버(20) 상에 수용할 수 있게 설계 제작하는 경우에도 원용 가능하다.
도면 부호 (61)은 자동닫힘형 힌지(62)는 힌지(61)의 힌지축에 대응하는 힌지핀을 표시한다.
소화전함체에 추가 수용되는 다른 용도의 함을 합친 총높이는 건축구조물의 층높이 이하여야 하고, 커버 프레임은 소화전함체와 추가되는 다른 용도의 함의 높이가 더해진 길이(높이)일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향후 소화전함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에 적합한 인증제품만 조립식 파이프 덕트 소화전함에 설치하도록 개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소화전함 관련 국민안전처 고시에 부합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의 결과물이다.
10: 소화전함체
11: 출납구
12: 안장
20: 파이프 덕트 커버
21,31: 기판
22: 내측 플랜지
22a: 횡부
22b: 종부
23: 외측 플랜지
30: 커버 프레임
32: 외벽
33: 턱
34 : 피스공

Claims (3)

  1. 출납구에 파이프 덕트 커버의 내측 플랜지에 형성된 횡부 고정용 안장이 형성된 소화전함체와, 기판의 내측에는 소화전함체와 커버 프레임 부착용 내측 플랜지가 그리고 외측에는 건축구조물의 브래킷에 고정되는 외측플랜지가 형성된 파이프 덕트 커버와, 기판의 내측에는 소화전함체용 문의폐문 상태 유지용 턱이 그리고 기판의 외측에는 파이프 덕트 커버의 종부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외벽 및 기판과 턱을 잇는 종부를 가진 커버 프레임으로 이뤄진 파이프 덕트 커버-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의 종부에 피스공을 천공하고, 소화전함체의 안장에 파이프 덕트 커버의 횡부 이면을 밀착시키고, 횡부 쪽에서 선단에 천공날이 형성된 천공피스를 박아 고정하며, 파이프 덕트 커버의 종부 안쪽에 커버 프레임의 외벽을 밀착시키고, 피스공으로 넣은 천공 피스로 외벽과 종부를 체결하여 커버 프레임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덕트 커버-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5928U 2016-10-14 2016-10-14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KR200484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928U KR200484791Y1 (ko) 2016-10-14 2016-10-14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928U KR200484791Y1 (ko) 2016-10-14 2016-10-14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791Y1 true KR200484791Y1 (ko) 2017-10-25

Family

ID=6040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928U KR200484791Y1 (ko) 2016-10-14 2016-10-14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79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49U (ko) 2021-01-25 2021-02-24 (주)현지산업개발 소화전함 도어 패널 조립구조체
KR20210000448U (ko) 2019-08-16 2021-02-24 (주)현지산업개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102413962B1 (ko) 2021-11-19 2022-06-28 (주)현지산업 설비수납함의 도어패널 유닛
KR102437260B1 (ko) 2021-08-25 2022-08-30 (주)금성이엔씨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102497317B1 (ko) 2021-08-25 2023-02-07 (주)금성이엔씨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7313A (ja) * 1998-03-06 1999-09-21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金属板材の接合構造
KR200183607Y1 (ko) 1997-08-02 2000-06-01 이동팔 소화전 내외함 함체 결합 지지구
KR100639583B1 (ko) * 2006-02-07 2006-10-31 윤대훈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
KR20080002961U (ko) * 2007-01-26 2008-07-30 김상도 경량칸막이용 배선박스 브래킷
KR101065440B1 (ko) 2009-07-24 2011-09-19 황준철 소화 설비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41918B1 (ko) 2016-03-04 2016-07-22 장승원 내외함 장착 조립성과 결합성이 개선된 소화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607Y1 (ko) 1997-08-02 2000-06-01 이동팔 소화전 내외함 함체 결합 지지구
JPH11257313A (ja) * 1998-03-06 1999-09-21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金属板材の接合構造
KR100639583B1 (ko) * 2006-02-07 2006-10-31 윤대훈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
KR20080002961U (ko) * 2007-01-26 2008-07-30 김상도 경량칸막이용 배선박스 브래킷
KR101065440B1 (ko) 2009-07-24 2011-09-19 황준철 소화 설비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41918B1 (ko) 2016-03-04 2016-07-22 장승원 내외함 장착 조립성과 결합성이 개선된 소화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48U (ko) 2019-08-16 2021-02-24 (주)현지산업개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200494371Y1 (ko) * 2019-08-16 2021-09-30 (주)현지산업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20210000449U (ko) 2021-01-25 2021-02-24 (주)현지산업개발 소화전함 도어 패널 조립구조체
KR102437260B1 (ko) 2021-08-25 2022-08-30 (주)금성이엔씨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102497317B1 (ko) 2021-08-25 2023-02-07 (주)금성이엔씨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102413962B1 (ko) 2021-11-19 2022-06-28 (주)현지산업 설비수납함의 도어패널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791Y1 (ko)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JP2011042327A (ja) プルハンドル用装飾キャップの取付け構造
JP2007014830A (ja) 組立式ドラフトチャンバー
RU201013491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и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расположенных позади стены,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MX2009001722A (es) Ensamble de anclaje de barra de sujecion.
JP2007321808A (ja) ヘッダー用保温部材、およびヘッダー用保温部材の取付方法
JP5813368B2 (ja) 配線ボックス
JP2008231774A (ja) 複合サッシ
JP2007298200A (ja) 給湯器用配管カバーの設置構造およびその方法
KR20100002350A (ko)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용 홀더
JP2015102729A5 (ko)
CN207445413U (zh) 一种用于连接消火栓箱箱门与箱体的连接件及消火栓箱
JP2017044275A (ja) 埋設式ガス栓の取付構造
CN210767369U (zh) 一种模块化隔墙
KR200399658Y1 (ko) 케이블 고정용 브라켓 구조
EP3404181A1 (en) Door hinge system for an oven door of a cooking oven
JP2012132620A (ja) 貯湯式給湯装置
JP6006845B2 (ja) 配線ボックス
CN205532170U (zh) 一种方便拆卸的防盗窗
JP2007144106A (ja) ユニットバスルーム
JP6756672B2 (ja) ピボットヒンジ、及び、建具
JP4919492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のガス栓取付け工法
JP2007040060A (ja) パネル仕切装置
KR100663700B1 (ko) 가구용 잠금장치
JP2009121021A (ja) 水廻り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