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448U -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448U
KR20210000448U KR2020210000008U KR20210000008U KR20210000448U KR 20210000448 U KR20210000448 U KR 20210000448U KR 2020210000008 U KR2020210000008 U KR 2020210000008U KR 20210000008 U KR20210000008 U KR 20210000008U KR 20210000448 U KR20210000448 U KR 202100004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uct
building structure
frame
cover panel
pan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371Y1 (ko
Inventor
이준영
정순길
Original Assignee
(주)현지산업개발
(주)현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지산업개발, (주)현지산업 filed Critical (주)현지산업개발
Priority to KR2020210000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7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4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04F19/086Covers with magnetic fix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1Acces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에 따르면, 건축구조물의 벽체에 매입되도록 형성된 파이프 덕트에 수납된 설비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커버 패널 조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파이프 덕트의 입구 테두리에 사각 틀 형태로 들어맞게 설치되도록 보호 피막이 형성된 금속 패널을 절단 및 절곡 가공한 1쌍의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이 각각 서로 마주보게 연결되도록 클린칭(Clinching) 가공을 통해 기계적으로 체결된 복수의 클린칭 접합부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내측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 틀 형태를 이루는 패널 프레임과, 그 패널 프레임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도장 공정을 위한 전처리 및 후처리 공정 등이 완전히 배제된 건식 가공 공정에 의한 제조 프로세스가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 동시에 용접 공정에서 용접열에 의한 용접부위의 국소적 왜곡 변형이나 균열 또는 파손 및 도장 피막의 박리 등과 같은 불량 원인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립 정밀도와 생산성 및 경제성과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Pipe duct cover panel assembly for building structure}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 공정과 용접 공정이 배제된 건식 가공 공정을 통하여 조립 정밀도와 생산성 및 경제성과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량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 등과 같은 다층 구조의 건축구조물에는 각층이 상하로 연통되는 통모양의 관로를 형성하도록 벽체에 매입된 상태로 시공되는 파이프 덕트(Pipe Duct)가 시설된다. 이와 같은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에는 각 층으로 배관되는 지관이 연결되도록 예를 들어 급수배관이나 배수배관, 오수배관 및 소화용배관 등의 건축 설비용 파이프군과 같은 입상관이 수납된다.
통상적인 대형 복합 건축구조물에 시공되는 파이프 덕트에는 소방호스 또는 소화기가 구비되는 소화전함이나 양수기함, 방수기구함 및 배전함 등과 같은 설비함체가 수납되어 은폐되도록 전면(前面) 개구에 건축구조물의 벽체와 나란하게 커버 패널 조립체가 설치되며, 그 커버 패널 조립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패널을 개방하여 외부에서의 조작 사용이나 점검 및 유지보수 활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통상적인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는 원자재인 금속 판재를 일정한 설계 규격과 칫수로 절단 및 절곡 등에 의해 가공 성형한 세로 프레임부재와 가로 프레임부재가 결합되어 사각 틀 형태로 제작된 패널 프레임에 도어 패널이 개폐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모듈화된 조립 구조체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는 건축구조물의 내장 공사시 파이프 덕트 입구에 설치된 문틀 형태의 프레임 전면(前面)에 들어맞게 전설치되도록 시공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경우, 도 1에 개략적으로 예시해 보인 제조 공정도를 참조하면, 원자재인 금속 판재를 설계 기준에 기초하여 절단 및 절곡 등에 의해 가공하여 세로 프레임부재와 가로 프레임부재 및 개폐 도어를 각각 성형하고(S-11), 성형 가공이 완료된 세로 프레임부재와 가로 프레임부재 및 개폐 도어를 각각 건축구조물의 벽체 색상 등과의 조화를 위한 외관미와 내식성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분체 도장이나 방청 도장 등과 같은 도장 공정을 거쳐 표면에 보호 피막을 형성한다(S-12). 이와 같이 도장공정에 의해 표면에 보호 피막이 형성된 세로 프레임부재와 가로 프레임부재를 서로 마주보도록 용접 공정에 의해 일체적인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결합한다(S-13). 이때, 용접이 어려운 부위 등에는 볼트 및 너트 또는 스크류 등을 추가적으로 체결한다. 이에 따라 사각 틀 형태의 패널 프레임을 제작하고(S-14), 그 패널 프레임의 일측에 개폐 가능한 도어 패널을 결합하여(S-15), 모듈화된 조립 구조체로 제작하게 된다(S-16).
따라서, 종래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는 조립공정 이전의 도장공정에서의 준비 및 후처리 공정 등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과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종래의 통상적인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는 도장 공정을 거친 세로 프레임부재와 가로 프레임부재를 용접 공정에 의해 접합하여 사각 틀 형태로 조립하게 됨에 따라 용접열에 의한 용접부위의 국소적 왜곡 변형이나 균열 또는 파손 및 도장 피막의 박리 등과 같은 품질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는 용접에 의한 접합이 어려운 부위 등에는 조립 정밀도의 확보와 유지 등을 위하여 볼트 및 너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하게 됨에 따라 조립 정밀도와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조립용 소요부품의 증가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단점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상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본 출원인이 본 고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고안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75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19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22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54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02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6680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441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791호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이 지니고 있는 단점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장 공정과 용접 공정이 배제된 건식공정을 통하여 조립 정밀도와 생산성 및 경제성과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는, 건축구조물의 벽체에 매입되도록 형성된 파이프 덕트에 수납된 설비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커버 패널 조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덕트의 입구 테두리에 사각 틀 형태로 들어맞게 설치되도록 1쌍의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이 각각 서로 마주보게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내측 중앙에 윈도우가 형성된 사각 틀 형태를 이루는 패널 프레임과, 상기 패널 프레임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윈도우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은 각각 표면에 보호 피막이 형성된 금속 패널을 절단 및 절곡 가공하여 일측이 오픈된 각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은 클린칭(Clinching) 가공을 통해 기계적으로 체결된 복수의 클린칭 접합부에 의해 일체적인 조립 구조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은 힌지 브래킷(130)에 의해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 브래킷은,판상 몸체의 양단이 절곡된 1쌍의 날개부에 각각 결합공과 축공이 구비된 브래킷과, 코일 스프링이 관통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외경이 확장 형성된 스토퍼를 가지고 상기 축공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샤프트부 및 그 샤프트부의 일측단부가 꺽여지게 형성된 핸들를 구비한 힌지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판상 몸체가 상기 도어 패널의 코너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힌지축의 샤프트부의 끝단부가 상기 도어 패널에 구비된 축공에 결합되어 회동축으로 기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의 자유단측 및 그와 대응되는 상기 세로 프레임의 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단위 영구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도어 패널의 착탈에 의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열전사 프린트 또는 분체 도장이나 방청 도장 등에 의해 미리 보호 피막이 형성된 금속 패널을 원자재로 이용하여 세로 프레임부재와 가로 프레임부재 및 도어 패널을 성형 가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도장 공정을 위한 전처리 및 후처리 공정 등이 완전히 배제된 건식 가공 공정에 의한 제조 프로세스가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에 따르면, 세로 프레임부재와 가로 프레임부재가 클린칭(Clinching)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클린칭(Clinching) 접합부에 의해 기계적으로 체결된 조립체로 제작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용접 공정에서 발생하는 용접열에 의한 용접부위의 국소적 왜곡 변형이나 균열 또는 파손 및 도장 피막의 박리 등과 같은 불량 원인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립 정밀도 등의 품질향상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 및 너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의 배제를 통해 제조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일실시예가 건축구조물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예시해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일실시예가 건축구조물 벽체에 실제 시공된 상태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나타내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패널 프레임 및 요부를 절제하여 발췌 확대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타원 내부에 요부로 발췌하여 확대 도시해 보인 클린칭(clinching) 접합부의 형성을 위한 클린칭 가공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모식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도어 패널 결합구조를 나타내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도어 패널 지지용 힌지 브래킷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도어 패널 개폐구조를 나타내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개략적 제조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내용과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일예가 건축구조물 벽체에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를 예시해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일실시예가 건축구조물 벽체에 실제 시공된 상태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나타내 보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패널 프레임 요부를 절제하여 발췌 확대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100)는 1쌍의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이 각각 서로 마주보게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내측 중앙에 개구부(110a)가 형성된 사각 틀 형태를 이루는 패널 프레임(110), 그 패널 프레임(110)의 일면에 개폐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패널(1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100)는 건축구조물의 벽체(10)에 매입되도록 형성된 파이프 덕트(미도시)에 수납되는 사각 박스체로 이루어진 설비함(101)의 전면 개구부를 막도록 건축구조물의 벽체(10)와 나란한 상태로 시공 설치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 및 도어 패널(121)은 예를 들어 열전사 프린트 또는 분체 도장이나 방청 도장 등에 의해 표면에 보호 피막이 형성된 금속 패널을 원자재로 이용하여 절단 및 절곡 가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은 일측이 오픈된 각 파이프 형태의 섀시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패널(121)은 사각 판재의 테두리에 절곡 성형된 플랜지 및 보강 프레임(미도시)을 구비한 사각 패널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100)는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도장 공정을 위한 전처리 및 후처리 공정 등이 완전히 배제된 건식 가공 공정을 통해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패널 프레임(110)은 상기 파이프 덕트의 입구 테두리 전면(前面)에 사각 틀 형태로 들어맞게 설치되도록 1쌍의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이 각각 서로 마주보게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내측 중앙이 개구된 윈도우(W)가 형성된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은 도 3의 타원 내부에 발췌하여 확대 도시해 보인 바와 같이 각각의 측벽이 서로 대면하여 밀착된 상태에서 클린칭(Clinching) 가공을 통해 기계적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클린칭 접합부(110c)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도 5는 상기 클린칭 접합부(110c)를 형성하기 위한 클린칭(clinching) 가공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모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100)는 상기 세로 프레임(111)의 측벽과 가로 프레임(112)의 측벽을 서로 대면하여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공 캐비티가 형성된 다이(D)에 놓이도록 세팅하여 캐비티 방향으로 펀치(P)를 가압해 동시에 소성변형시킨다. 이로써, 상기 세로 프레임(111)의 측벽과 가로 프레임(112)의 측벽에 각각 소성변형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11a) 및 함몰부(112a)가 상보적으로 기계적인 체결이 이루어지는 클린칭(Clinching) 접합부(110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은 상기 클린칭(Clinching) 접합부(110c)의 기계적인 체결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합된 조립 구조체를 이루게 된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클린칭(Clinching) 접합부(110c)는 상기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의 규격에 따라 그 형성 부위와 개소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100)는 볼트 및 너트 또는 스크류 체결을 위한 결합공의 사전 가공(Pre-drilling) 공정 등이 삭제될 수 있다.
요컨대,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100)는 용접 공정 자체는 물론 볼트 및 너트 또는 스크류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용 소모재 없이 상기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의 금속 판재 소성가공을 통해 기계적으로 체결되는 조립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100)는 기존의 용접 공정을 이용한 접합시에 발생하는 용접열에 의한 용접부위의 국소적 왜곡 변형이나 균열 또는 파손 및 도장 피막의 박리 등과 같은 불량 원인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손상없이 육안만으로도 접합 품질의 확인이 가능하여 조립 정밀도 등의 품질향상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100)는 파이프 덕트의 규격이나 수납되는 설비함체의 모델 등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예시적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가로 프레임(112)의 사이에 별도의 중간 프레임(113)이 하나 이상 더 설치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121)은 상기 가로 프레임(112)과 중간 프레임(113)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윈도우(W)의 규격에 맞도록 제작되어 각각의 윈도우(W)에 수납된 설비함(101)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 패널(121)은 도 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개폐 방향에 따라 일측 고정단의 모서리부에 회동축(힌지축)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된 힌지 브래킷(130)을 구비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도어 패널 결합구조를 나타내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도어 패널 지지용 힌지 브래킷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브래킷(130)은 판상 몸체(131a) 의 양단이 절곡된 1쌍의 날개부(131b)에 각각 결합공(h)과 축공(도면부호 없음)이 구비된 브래킷(131)과, 코일 스프링(133)이 관통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외경이 확장 형성된 스토퍼(132S)를 가지고 상기 축공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샤프트부(132a) 및 그 샤프트부(132a)의 일측단부가 꺽여지게 형성된 핸들부(132b)를 구비한 힌지축(132)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축(132)은 샤프트부(132a)에 코일 스프링(S)이 삽입되어 스토퍼(132S)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132b)를 어느 하나의 날개부(131b)의 축공(도면부호 없음)에 삽입하여 상기 샤프트부(132a)가 직립되도록 회전시키며 코일 스프링(133)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부(132a)가 이탈 방지된 상태로 인출 후진시켜 직립되게 정렬한 다음 다른 하나의 날개부(131b)의 축공(도면부호 없음)에 삽입하여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힌지 브래킷(130)은 상측 날개부(131b)의 결합공(h)에 스크류 또는 볼트(B) 등을 체결하여 상기 판상 몸체(131a)가 상기 도어 패널(121)의 고정단을 이루게 되는 코너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 브래킷(130)의 힌지축(132)은 샤프트부(132a)의 끝단부가 상기 도어 패널(120) 및 상기 가로 프레임(112) 또는 중간 프레임(113) 각각 구비된 축공(미도시)에 결합되어 회동축으로 기능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도어 패널(121)의 고정단을 이루는 하부 코너에 구비된 축공(121h)에는 상기 패널 프레임(110)의 가로 프레임(112) 또는 중간 프레임(113)에 구비된 힌지핀(H)이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121)은 상기 힌지 브래킷(130)과 힌지핀(H)에 고정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자유단의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힌지 브래킷(130)은 상기 도어 패널(121)의 개폐 방향에 따라 좌우 및 상하가 바뀐 대칭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도어 패널(121)의 고정단을 이루는 상부 코너 및 하부 코너에 각각 상기 힌지 브래킷(130)을 모두 설치하거나 선택적으로 설치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도어 패널 개폐구조를 나타내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세로 프레임(111)의 플랜지(111a)에는 상기 도어 패널(121)의 자유단이 밀착되는 부위에 복수의 단위 영구자석(M)이 부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도어 패널(121)의 개폐 동작시 자유단이 영구자석(M)의 자력에 의한 착탈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도어 패널(121)의 개폐 동작을 보다 단순 용이하고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는, 예를 들어 열전사 프린트 또는 분체 도장이나 방청 도장 등에 의해 표면에 보호 피막이 형성된 금속 패널을 원자재로 이용하여 절단 및 절곡 등의 가공 공정을 통하여 세로 프레임부재(111)와 가로 프레임부재(112) 및 도어 패널(113)을 성형한다(S-111 단계).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부재(111)와 가로 프레임부재(112) 및 도어 패널(113)의 원자재로 표면에 보호 피막이 형성된 금속 판재를 사용하는 이유는,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벽체 색상 등과의 조화를 위한 외관미와 내식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 선택되는 것인 동시에, 제조 프로세스에서 도장 공정을 위한 전처리 및 후처리 공정 등을 완전히 배제하여 건식 가공 공정에 의한 제조 프로세스를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단계로, 상기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을 도 4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린칭(Clinching) 가공을 통해 기계적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클린칭 접합부(110c)를 형성하여 일체적으로 결합한다(S-112 단계). 이로써, 상기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이 일체적인 조립 구조체 이루어지는 사각 틀 형태의 패널 프레임(110)으로 제작 완료한다(S-113 단계).
다음 단계로, 상기 도어 패널(113)에 도 5 및 도 6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은 힌지 브래킷(13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 프레임(110)에 도어 패널(113)을 개폐 가능한 상태로 설치한다(S-114 단계). 이로써, 본 고안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100)의 제조가 완성된다(S-115 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커버 패널 조립체
110 : 패널 프레임
111 : 세로 프레임
112 : 가로 프레임
113 : 클린칭(Clunching) 접합부
121 : 도어 패널
130 : 힌지 브래킷
131 : 브래킷
132 : 힌지축
133 : 코일 스프링

Claims (3)

  1. 건축구조물의 벽체에 매입되도록 형성된 파이프 덕트에 수납된 설비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커버 패널 조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덕트의 입구 테두리에 사각 틀 형태로 들어맞게 설치되도록 1쌍의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이 각각 서로 마주보게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내측 중앙에 윈도우(W)가 형성된 사각 틀 형태를 이루는 패널 프레임(110)과;
    상기 패널 프레임(11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윈도우(W)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패널(120);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은 각각 표면에 보호 피막이 형성된 금속 패널을 절단 및 절곡 가공하여 일측이 오픈된 각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로 프레임(111)의 측벽과 상기 가로 프레임(112)의 측벽은 클린칭(Clinching) 가공에 의해 기계적으로 체결된 복수의 클린칭 접합부(110c)에 의해 일체적인 조립 구조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120)은 힌지 브래킷(130)에 의해 상기 가로 프레임(112)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 브래킷(130)은,
    판상 몸체(131a)의 양단이 절곡된 1쌍의 날개부(131b)에 각각 결합공(h)과 축공이 구비된 브래킷(131)과, 코일 스프링(S)이 관통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외경이 확장 형성된 스토퍼(132S)를 가지고 상기 축공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샤프트부(132a) 및 그 샤프트부(132a)의 일측단부가 꺽여지게 형성된 핸들부(132b)를 구비한 힌지축(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판상 몸체(131a)가 상기 도어 패널(1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힌지축(132)의 샤프트부(132a)의 끝단부가 상기 도어 패널(120)에 구비된 축공에 결합되어 회동축으로 기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120)의 자유단측 및 그와 대응되는 상기 세로 프레임(111)의 플랜지(111a)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단위 영구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도어 패널(120)의 착탈에 의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2020210000008U 2019-08-16 2021-01-04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200494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008U KR200494371Y1 (ko) 2019-08-16 2021-01-04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298 2019-08-16
KR2020210000008U KR200494371Y1 (ko) 2019-08-16 2021-01-04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298 Division 2019-08-16 2019-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48U true KR20210000448U (ko) 2021-02-24
KR200494371Y1 KR200494371Y1 (ko) 2021-09-30

Family

ID=7471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008U KR200494371Y1 (ko) 2019-08-16 2021-01-04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260B1 (ko) * 2021-08-25 2022-08-30 (주)금성이엔씨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102497317B1 (ko) * 2021-08-25 2023-02-07 (주)금성이엔씨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200496823Y1 (ko) * 2022-12-19 2023-05-08 (주)동방파스텍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804B1 (ko) 1998-04-16 2000-09-15 변기수 소화전틀 제조방법
KR20040013802A (ko) * 2002-08-08 2004-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중첩판재의 결합방법 및 그 장치
KR100860205B1 (ko) 2007-07-19 2008-09-24 정영호 시공이 용이한 소화전
KR101065440B1 (ko) 2009-07-24 2011-09-19 황준철 소화 설비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92238B1 (ko) 2011-07-29 2011-12-12 대우건철(주) 소화전의 외부 커버 프레임 제조방법
KR20150001972A (ko) * 2013-06-28 2015-01-07 (주) 대산이엔지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KR101641918B1 (ko) 2016-03-04 2016-07-22 장승원 내외함 장착 조립성과 결합성이 개선된 소화전
KR200484791Y1 (ko) 2016-10-14 2017-10-25 (주)태영기공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KR101897592B1 (ko) 2017-09-06 2018-10-31 엄상용 건식 배관덕트 함체
KR20190044416A (ko) 2017-10-20 2019-04-30 엄상용 덕트용 건식 함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804B1 (ko) 1998-04-16 2000-09-15 변기수 소화전틀 제조방법
KR20040013802A (ko) * 2002-08-08 2004-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중첩판재의 결합방법 및 그 장치
KR100860205B1 (ko) 2007-07-19 2008-09-24 정영호 시공이 용이한 소화전
KR101065440B1 (ko) 2009-07-24 2011-09-19 황준철 소화 설비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92238B1 (ko) 2011-07-29 2011-12-12 대우건철(주) 소화전의 외부 커버 프레임 제조방법
KR20150001972A (ko) * 2013-06-28 2015-01-07 (주) 대산이엔지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KR101641918B1 (ko) 2016-03-04 2016-07-22 장승원 내외함 장착 조립성과 결합성이 개선된 소화전
KR200484791Y1 (ko) 2016-10-14 2017-10-25 (주)태영기공 파이프 덕트 커버 - 커버 프레임 조합형 소화전함
KR101897592B1 (ko) 2017-09-06 2018-10-31 엄상용 건식 배관덕트 함체
KR20190044416A (ko) 2017-10-20 2019-04-30 엄상용 덕트용 건식 함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260B1 (ko) * 2021-08-25 2022-08-30 (주)금성이엔씨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102497317B1 (ko) * 2021-08-25 2023-02-07 (주)금성이엔씨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200496823Y1 (ko) * 2022-12-19 2023-05-08 (주)동방파스텍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371Y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371Y1 (ko)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101897592B1 (ko) 건식 배관덕트 함체
US5012616A (en) Storm door of tubular frame construction
KR101707047B1 (ko) 방화문
KR102437260B1 (ko)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20210000449U (ko) 소화전함 도어 패널 조립구조체
KR101707048B1 (ko) 방화문의 제조 방법
US8146304B1 (en) Grille assembly for doors and method for making
US8141833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grilles to doors
CN212054311U (zh) 一种可完全开启的暗门结构
CN209687196U (zh) 一种自由拆分的门框
KR102413962B1 (ko) 설비수납함의 도어패널 유닛
KR102497317B1 (ko)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CN216418152U (zh) 一种消防箱门体结构
CN214740747U (zh) 一种组合件插接式门框
CN219509077U (zh) 一种大尺寸装饰线条的连接结构
KR20190044416A (ko) 덕트용 건식 함체
CN110757096A (zh) 一种免灌浆金属装甲门制作工艺及其安装流程
CN211058458U (zh) 一种隐藏式门板拉手的紧固结构件
CN217054830U (zh) 一种装配式可180度开启的暗门
CN211447400U (zh) 风铃幕墙
CN207286525U (zh) 新型无焊接消火栓箱以及储物箱
JP7403692B2 (ja) 改装建具及び改装建具の施工方法
CN212295317U (zh) C型钢包边集成墙面板
CN209761298U (zh) 一种易清洗的铝合金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