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416A - 덕트용 건식 함체 - Google Patents

덕트용 건식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416A
KR20190044416A KR1020170136833A KR20170136833A KR20190044416A KR 20190044416 A KR20190044416 A KR 20190044416A KR 1020170136833 A KR1020170136833 A KR 1020170136833A KR 20170136833 A KR20170136833 A KR 20170136833A KR 20190044416 A KR20190044416 A KR 20190044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using
panel
enclosur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용
Original Assignee
엄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상용 filed Critical 엄상용
Priority to KR102017013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416A/ko
Publication of KR2019004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에 내부에 내설되는 급/배수 배관, 전기 배관 등의 배관설비 및 양수시설, 소방시설 등의 설비를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들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관 덕트 함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테두리가 소정의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체용 판넬이 절첩 및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함체용 판넬은, 함체의 양 측면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넬과; 상기 함체의 상하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결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한 장의 판재를 절첩하여 배관덕트용 함체를 구성하므로, 시공오차가 발생될 우려성이 없어, 부품의 조립 오차에 의해 발생되는 하자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덕트용 건식 함체 {HOUSING ASSEMBLY FOR PIPING}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에 내부에 내설되는 급/배수 배관, 전기 배관 등의 배관설비 및 양수시설, 소방시설 등의 설비를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들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관 덕트 함체에 관한 것이다.
집합건물과 같이 현대 일반화된 건축물에는 건축물의 노출 배관을 수납하기 위한 조립 함체가 복도 등의 공용공간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아파트와 같은 공공주택 등의 다층 건물 축조시 양수설비, 소화전설비, 또는 전기설비 등과 같은 배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납합 조립체는 현재 배관을 용도, 종류, 내구연한 등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입상 배관 시공의 효율성 향상과 배관 유지 보수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식 함체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6-0001029호와 같이, 배관의 하자발생 빈도와 용도별 유니트(오폐수, 급수, 급탕, 난방 유니트를 제작하여 필요개소에 따라 단위 유니트를 조립하여 파이프 덕트를 구성하는 기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37620호와 같이, 아파트 세대문과 엘리베이터실 사이에 시공하여 양수설비, 소화전설비, 전기설비 등을 내설시키기 위한 파이프 덕트 캐비넷에 관한 기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04645호와 같이, 전면 개폐문을 힌지로 자유롭게 개폐취급 되도록 구성된 아파트 출입문 옆 수관 및 소화전함 등을 막아주는 패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함체는 덮개판의 결합이 용접이나 볼트 체결 방식을 취하고 있어 조립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위한 해체시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3007-0028199호에서는 배관시설을 내설시키는 덕트 캐비넷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바닥 및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사이를 절곡 막대 형태 또는 각관 형태 등으로 이루어진 가로부재와 세로부 재로 연결하여 골조를 세우고, 상기 세로부재와 세로부재 사이에 덮개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탄지편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탄지편의 구성에 따라, 함체 구성 부품의 조립이 다소 용이해지는 장점은 있으나, 결합강도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결국 다수 부재를 종래와 다른 결합 형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에 그치는 것으로, 해당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6-0001029호 (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37620호 (00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04645호 (00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3007-00281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배관덕트 함체를 구성함에 있어, 각 구성 부품의 결합시 조립 오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하자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배관덕트용 함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관덕트 함체를 구성함에 있어, 용접 등에 의한 각 구성 부품의 결합 공정을 최소화하여, 시공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배관덕트용 함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규격화된 구성 판재를 사용하여 함체를 구성하여, 함체 제작에 따른 소요 판재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배관덕트용 함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테두리가 소정의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체용 판넬이 절첩 및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함체용 판넬은, 함체의 양 측면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넬과; 상기 함체의 상하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결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함체용 판넬은, 금속재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넬은, 상기 함체의 측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면판과; 상기 외측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절첩 후 상기 함체의 전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측전면판과; 상기 측전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함체의 내측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내측면판과; 상기 측전면판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상부측면 테두리 일부를 형성하는 상측면판; 그리고 상기 측전면판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하부측면 테두리 일부를 형성하는 하측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판 외측에는, 상기 외측면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판 외측에는, 상기 내측면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내측지지판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면판 외측에는 상기 상측면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상측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면판 외측에는 상기 하측면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측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하측지지판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넬은, 상기 함체의 상부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연결전면판과; 상기 연결전면판 좌우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판넬의 좌우측면을 형성하는 내측절첩판과; 상기 연결전면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상하부 외측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연결외측판; 그리고 상기 연결전면판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상하부 내측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연결내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외측판 외측에는, 상기 연결외측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외측판으로부터 연장된 연결외측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내측판 외측에는, 상기 연결내측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내측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내측지지판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전면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재와의 경계부와, 상기 연결전면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재와의 경계부는, 경계부의 모서리가 판넬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는 정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판과 외측면판 사이의 경계부; 상기 상측면판과 상측지지판 사이의 경계부; 상기 하측면판과 하측지지판 사이의 경계부; 상기 내측면판과 내측지지판 사이의 경계부; 상기 연결측면판과 연결외측지지판 사이의 경계부; 그리고 상기 연결측면판과 연결내측지지판 사이의 경계부는, 경계부의 모서리가 판넬의 후방을 향하도록 하는 역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판과 내측절첩판은, 서로 면접하도록 접합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측면판과 내측절첩판은, 용접에 의해 면접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판과 내측절첩판은, 볼트 너트 결합에 의해 면접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함체용 판넬 상의 측면판넬 및 연결판넬의 배치 형태는, 함체 가로방향의 길이에 함체 측면 폭 깊이의 두 배 길이를 더한 값과 함체 세로방향의 길이의 차이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함체 가로방향의 길이에 함체 측면폭 깊이의 두 배 길이를 더한 값이 함체 세로방향의 길이 이상인 경우, 상기 함체용 판넬은, 상기 한 쌍의 측면판넬이 내측지지판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측면판넬 사이에 한 쌍의 연결판넬이 상기 연결내측지지판이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내측면판 외측 한 변과 상기 내측절첩판 외측 한 변이 접하도록 배치된 한 장의 판재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함체 가로방향의 길이에 함체 측면폭 깊이의 두 배 길이를 더한 값이 함체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상기 함체용 판넬은, 상기 한 쌍의 측면판넬이 내측지지판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측면판넬 사이에 한 쌍의 연결판넬이 상기 연결내측지지판이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내측절첩판의 두 변이 각각 상기 상측면판 및 내측면판과 접하고, 상기 연결내측판 측면이 상기 내측면판 외측에 접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내측지지판의 측면이 상기 내측지지판 외측에 접하도록 배치된 한장의 판재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함체용 판넬은, (A) 중심부가 회전중심(P)으로 고정되어, 상부 및 하부의 절개부분이 절삭 가공되는 단계와; (B) 상기 측면판넬과 상기 연결판넬의 경계면 일부를 절개하는 단계와; (C) 상기 회전중심 좌우측의 측면판넬 영역의 정방향 및 역방향 절곡부를 절곡 가공하는 단계와; (D) 상기 내측지지판의 외곽선을 절개하여 상기 측면판넬을 분리하는 단계와; (E) 대향하는 연결내측지지판 사이를 제외한 연결내측판 및 연결내측지지판 외측부를 절개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F) 상기 연결내측지지판 단부면에 펀칭가공선(CL)을 형성하는 단계와; (G) 상기 회전중심에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연결판넬 영역의 정방향 및 역방향 절곡부를 절곡 가공하는 단계; 그리고 (H) 상기 펀칭가공선을 절개하여 연결판넬을 분리하는 단계를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B) 단계의 절개면은, 상기 함체용 판넬의 배열형태에 따라 상기 내측면판과 상기 내측절첩판의 외측 단부면의 경계면일 수도 있고, 상기 측면판넬과 상기 내측절첩판 및 연결내측판의 경계면일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덕트 함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한 장의 판재를 절첩하여 배관덕트 함체를 구성하므로, 시공오차가 발생될 우려성이 없어, 부품의 조립 오차에 의해 발생되는 하자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접 등과 같은 각 구성 부품의 결합 공정 없이 배관덕트 함체를 생산/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덕트용 함체에 소요되는 부재량이 감소되고, 시공성이 향상되어, 함체의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덕트용 건식 함체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된 덕트용 건식 함체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덕트용 건식 함체를 조립하기 위한 함체용 판넬 을 구성하는 측면판넬 및 연결판넬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함체용 판넬 상에 측면판넬 및 연결판넬이 배열된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함체용 판넬 상에 측면판넬 및 연결판넬이 배열된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함체용 판넬의 생산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건식 함체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된 덕트용 건식 함체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덕트용 건식 함체를 조립하기 위한 함체용 판넬 을 구성하는 측면판넬 및 연결판넬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함체용 판넬 상에 측면판넬 및 연결판넬이 배열된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함체용 판넬 상에 측면판넬 및 연결판넬이 배열된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덕트용 건식 함체(300, 이하 '함체'라 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함체용 판넬이 절첩되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함체(300)는 측면판넬(100) 및 연결판넬(200) 각각 2장이 절첩/결합되어 구성되므로, 부재 간 결합오차가 발생되지 않고, 부재별 결합을 위한 공정이 최소화되어 시공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함체용 판넬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판넬(100)과 한쌍의 연결판넬(2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측면판넬(100)은 측면지지판(110), 외측면판(120), 측전면판(130), 내측면판(140), 내측지지판(160), 상측면판(131), 상측 지지판(133), 하측면판(135) 및 하측 지지판과(1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넬(200)은 연결전면판(170), 연결내측판(175), 연결내측지지판(177), 연결외측판(171), 연결외측지지판(173) 및 내측절첩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함체용 판넬에 있어,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절첩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절첩(이하 '정방 절첩'이라 함)되는 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절첩부가 배면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절첩(이하 '역방 절첩'이라 함)되는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상기 함체용 판넬의 각 구성부분을 상세히 살피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함체용 판넬은, 절첩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함체(300)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함체(300)가 좌우 및 상하 대칭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함체용 판넬 역시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 대칭형으로 측면판넬(100) 및 연결판넬(200)이 배치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넬(100)은 측면지지판(110), 외측면판(120), 측전면판(130), 내측면판(140), 내측지지판(160), 상측면판(131), 상측 지지판(133), 하측면판(135) 및 하측 지지판(1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지지판(100)은 함체(300)의 측면 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함체 (300) 형성 시 벽체에 고정된 브래킷에 상기 함체(300)를 고정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판(100)에는 상기 측면지지판(100)에 연장되어 상기 측면지지판(110)과 역방 절첩되는 외측면판(120)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면판(120)에는 상기 외측면판(120)으로부터 정방절첩되어 연장되는 측전면판(130)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전면판(130)은 형성되는 함체(300)의 측면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측전면판(130) 내측에는 상기 측전면판(130)으로부터 정방절첩되어 연장되는 내측면판(140)이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측전면판(130) 상하부에는 각각 상기 측전면판(130)으로부터 정방절첩되는 상측면판(131) 및 하측면판(135)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면판(131) 및 하측면판(135)에는 각각 상기 상측면판(131) 및 하측면판(135)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역방절첩되는 상측지지판(133) 및 하측지지판(137)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측지지판(133) 및 하측지지판(137)은 상기 함체(300)의 상하부 외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함체(300) 형성시 벽체에 고정된 브래킷에 상기 함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정방절첩 및 역방절첩은 기본적으로 90°의 직각 절첩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 다소 다른 각으로 절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판넬(200)은 연결전면판(170), 연결내측판(175), 연결내측지지판(177), 연결외측판(171), 연결외측지지판(173) 및 내측절첩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전면판(170)은 상기 내측절첩판(150)으로부터 정방절첩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함체(300)의 상/하부 전면 노출부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연결전면판(170)의 상방으로는 연결외측판(171)이 상기 연결전면판(170)으로부터 정방 절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외측판(171)에는 상부 지지판(173)이 상기 연결외측판(171)으로부터 역방 절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외측지지판(173)은 상기 함체(300)의 중앙 상부의 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함체(300) 형성 시 벽체에 고정된 브래킷에 상기 함체(30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전면판(170) 하부에는 상기 연결전면판(170)으로부터 정방절곡되어 연결내측판(175)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내측판(175) 하방에는 연결내측지지판(177)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내측지지판(177)은 상기 함체(300) 내측공간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내측판(175) 단부가 건축 구조물 내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측면판넬(100)과 연결판넬(200)은 함체를 구성하기 위하여 절첩된 형태에서, 상기 내측면판(140) 상단 및 하단에 내측절첩판(15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내측면판(140)과 내측절첩판(150)의 결합은 용접에 의한 결합일 수도 있고, 양 부재를 관통하는 리벳, 볼트/너트 등의 다양한 결합수단을 이용한 결합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체용 판넬은 각 부재가 절첩되어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300)를 형성하는 것으로, 각 부재의 형태와 크기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전술한 외측면판(120), 내측면판(140) 및 내측절첩판(150)은 각각 함체(300)의 깊이방향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서로 같은 폭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상측면판(131), 하측면판(135), 연결외측판(171), 연결내측판(175) 역시 상기 함체(300)의 상하부 외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외측면판(120), 내측면판(140) 및 내측절첩판(150)의 폭과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측면판넬(100) 및 연결판넬(200)은 한 장의 판재로부터 가공 생산된다.
이때, 상기 측면판넬(100) 및 연결판넬(200)의 배치 형태에 따라, 판재의 소비량과 가공과정이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한장의 강판 상에 상기 측면판넬(100) 및 연결판넬(200)을 배열한 형태를 도 4 및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형태는 강판의 장변/단변의 길이 비(세장비)가 큰 경우에 적합한 형태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형태는 강판이 정방형에 가까운 형태인 경우 적합한 경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 비교는 완성될 함체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달라지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함체의 가로길이(x)/세로길이(y)/깊이(z)의 상대적인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즉, 측면판넬 및 연결판넬의 배열 형태 별로, 함체의 가로길이(x)/세로길이(y)/깊이(z)의 차이값에 따른 강판 가공 후에 버려지는 강판 량에 대한 손실율을 분석한 결과, 함체 가로방향의 길이(x)에 함체 깊이(z)의 두 배 길이를 더한 값이 함체 세로방향의 길이(y) 이상(x+2z≥y)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형태가 강판의 손실량이 최소화되고, 함체 가로방향의 길이(x)에 함체 깊이(z)의 두 배 길이를 더한 값이 함체 세로방향의 길이(y) 미만(x+2z<y)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형태가 강판의 손실량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함체 가로방향의 길이(x)에 함체 깊이(z)의 두 배 길이를 더한 값과 함체 세로방향의 길이(y)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측면판넬 및 연결판넬의 배열 형태를 달리 설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덕트용 건식 함체의 생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함체용 판넬의 생산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함체용 판넬은, 자동화된 공작기계(CNC 등)에 의해 생산되도록 하여, 생산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함체용 판넬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생산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방형의 금속 판재를 자동화 가공을 위해, 자동화 기기에 회전중심(P)을 고정한 채 거치된다.
이후, 상기 금속판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의 절개부분이 절삭 가공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함체용 판넬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를 따르는 경우, 해당 구성의 외곽 형태에 따라 절삭 가공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절첩판(150)과 내측면판(140)의 경계위치를 절개 가공한다. 이때, 상기 경계면은 4개가 형성되므로, 상기 절개선(C)은 4곳이 형성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선(C)을 포함하여, 좌/우측 측면판넬 영역의 정방향 및 역방향 절곡부를 절곡 가공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측면판넬(100)을 중심부(P)로부터 절단하여 분리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을 연결내측판(175) 및 연결내측지지판(177)의 외곽형태에 따라 절삭한 후, 상/하부 연결내측지지판(175) 사이에 펀칭가공선(CL)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펀칭가공선(CL)이라 함은 가공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펀칭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부재가 절개되지는 않으나, 향후 작업자들에 의해 수작업 등으로 손쉽게 절개될 수 있도록 가공된 것을 말한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넬(200) 상의 정방절곡선(cd) 및 역방절곡선(ccd)을 절첩 가공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가공선(CL)을 절개하여 연결판넬(200)을 완성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절곡된 측면판넬(100) 및 연결판넬(200)을 상기 내측면판(140)과 내측절첩판(150)을 결함하여 함체를 완성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니만, 도 5에 도시된 배열형태의 함체용 판넬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가공 방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배열형태의 경우, 최초 상기 측면판넬과 상기 연결판넬의 경계면 절개시, 상기 절개면이 상기 측면판넬과 상기 내측절첩판 및 연결내측판의 경계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에 내부에 내설되는 급/배수 배관, 전기 배관 등의 배관설비 및 양수시설, 소방시설 등의 설비를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들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관 덕트 함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장의 판재를 절첩하여 배관덕트용 함체를 구성하므로, 시공오차가 발생될 우려성이 없어, 부품의 조립 오차에 의해 발생되는 하자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측면판넬 110 : 측면지지판
120 : 외측면판 130 : 측전면판
131 : 상측면판 133 : 상측 지지판
135 : 하측면판 137 : 하측 지지판
140 : 내측면판 150 : 내측절첩판
160 : 내측지지판 170 : 연결전면판
171 : 연결외측판 173 : 연결외측지지판
175 : 연결내측판 177 : 연결내측지지판
200 : 연결판넬 300 : 함체

Claims (11)

  1. 테두리가 소정의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체용 판넬이 절첩 및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함체용 판넬은,
    함체의 양 측면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넬과;
    상기 함체의 상하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결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배관덕트 함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용 판넬은,
    금속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건식 함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넬은,
    상기 함체의 측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면판과;
    상기 외측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절첩 후 상기 함체의 전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측전면판과;
    상기 측전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함체의 내측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내측면판과;
    상기 측전면판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상부측면 테두리 일부를 형성하는 상측면판; 그리고
    상기 측전면판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하부측면 테두리 일부를 형성하는 하측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건식 함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판 외측에는, 상기 외측면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판 외측에는, 상기 내측면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내측지지판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면판 외측에는 상기 상측면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상측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면판 외측에는 상기 하측면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측면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하측지지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건식 함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넬은,
    상기 함체의 상부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연결전면판과;
    상기 연결전면판 좌우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판넬의 좌우측면을 형성하는 내측절첩판과;
    상기 연결전면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상하부 외측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연결외측판; 그리고
    상기 연결전면판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상하부 내측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연결내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건식 함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외측판 외측에는, 상기 연결외측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외측판으로부터 연장된 연결외측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내측판 외측에는, 상기 연결내측판 단부를 설치대상 구조물에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내측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내측지지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건식 함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전면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재와의 경계부와, 상기 연결전면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재와의 경계부는, 경계부의 모서리가 판넬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는 정방향으로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건식 함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판과 외측면판 사이의 경계부;
    상기 상측면판과 상측지지판 사이의 경계부;
    상기 하측면판과 하측지지판 사이의 경계부;
    상기 내측면판과 내측지지판 사이의 경계부;
    상기 연결측면판과 연결외측지지판 사이의 경계부; 그리고
    상기 연결측면판과 연결내측지지판 사이의 경계부는,
    경계부의 모서리가 판넬의 후방을 향하도록 하는 역방향으로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건식 함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판과 내측절첩판은,
    서로 면접하도록 접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건식 함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판과 내측절첩판은,
    용접에 의해 면접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건식 함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판과 내측절첩판은,
    볼트 너트 또는 리벳 결합에 의해 면접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건식 함체.
KR1020170136833A 2017-10-20 2017-10-20 덕트용 건식 함체 KR20190044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833A KR20190044416A (ko) 2017-10-20 2017-10-20 덕트용 건식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833A KR20190044416A (ko) 2017-10-20 2017-10-20 덕트용 건식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416A true KR20190044416A (ko) 2019-04-30

Family

ID=6628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833A KR20190044416A (ko) 2017-10-20 2017-10-20 덕트용 건식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4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48U (ko) 2019-08-16 2021-02-24 (주)현지산업개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29U (ko) 1994-06-27 1996-01-17 자동차용 연료주입관의 변환 밸브장치
KR19990037620A (ko) 1998-12-29 1999-05-25 박흥식 파이프덕트 캐비넷
KR200204645Y1 (ko) 2000-05-17 2000-12-01 문상구 아파트의 파이프 덕트 스틸 판넬
KR20070028199A (ko) 2005-09-07 2007-03-12 송미영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29U (ko) 1994-06-27 1996-01-17 자동차용 연료주입관의 변환 밸브장치
KR19990037620A (ko) 1998-12-29 1999-05-25 박흥식 파이프덕트 캐비넷
KR200204645Y1 (ko) 2000-05-17 2000-12-01 문상구 아파트의 파이프 덕트 스틸 판넬
KR20070028199A (ko) 2005-09-07 2007-03-12 송미영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48U (ko) 2019-08-16 2021-02-24 (주)현지산업개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592B1 (ko) 건식 배관덕트 함체
KR200494371Y1 (ko)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20160056662A (ko)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
KR102437260B1 (ko)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20190044416A (ko) 덕트용 건식 함체
CN205348471U (zh) 一种成品隔断墙
JP6016834B2 (ja) 筐体
KR20220050724A (ko) 건축구조물용 함체 프레임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JP3164750U (ja) ユニットハウス用空調機一体型パネル
JP2017115520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カーテンウォール設置構造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の施工方法
KR101136574B1 (ko) 신축 및 리모델링이 용이한 코너비드형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 코너부 마무리 구조
KR20240013714A (ko) 결합식 함체 프레임
KR101734087B1 (ko) 비정형 조립식 트러스 지붕 구조물 시스템
KR20230155948A (ko) 결합식 함체 프레임
JP5723755B2 (ja) クリーンルームの天井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497317B1 (ko)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JP2005290841A (ja) 壁裏床下接続金物
JP6812412B2 (ja) 壁システム
CN216360767U (zh) 一种坐便器安装结构
CN211313503U (zh) 用水组合式房间和预制构造体
CN214497856U (zh) 一种单侧主次梁连接组件
JP6988424B2 (ja) ダクト施工方法
JP2021110096A (ja) 壁構造
CN206290832U (zh) 双肢柱风管定位机构以及净化厂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