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199A -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199A
KR20070028199A KR1020050113911A KR20050113911A KR20070028199A KR 20070028199 A KR20070028199 A KR 20070028199A KR 1020050113911 A KR1020050113911 A KR 1020050113911A KR 20050113911 A KR20050113911 A KR 20050113911A KR 20070028199 A KR20070028199 A KR 20070028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fixing
building
assembly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호
정대진
이병대
송미영
Original Assignee
송미영
정대진
문성호
이병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미영, 정대진, 문성호, 이병대 filed Critical 송미영
Publication of KR2007002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건축물의 노출 배관을 덮어 수납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바닥 및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사이를 절곡 막대 형태 또는 각관 형태 등으로 이루어진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로 연결하여 골조를 세우고, 상기 세로부재와 세로부재 사이에 덮개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탄지편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 유지보수, 그리고 해체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수납함 조립체는 조립될 수납함의 형태에 맞게 건물 바닥에서 천장까지 이어진 복수의 세로부재; 상호 인접한 상기 세로부재의 간격에 상응하는 폭을 갖고 상기 세로부재의 전면에 위치하는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의 내면의 양측에 치우쳐 위치한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솟은 후 절곡되어 다시 상기 덮개판의 내면을 향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단부는 상기 세로부재의 내면에 밀착되는 탄지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관, 수납함, 조립체, 고정부재, 덮개판, 탄지편, 지지부, 걸레받이

Description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HOUSING ASSEMBLY FOR PIP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수납함 조립체의 정면도,
도 2a는 수납함 조립체에서 고정부재와 가로 부재 및 세로부재 각각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b는 고정부재와 가로 부재 및 세로부재의 결합평면도,
도 3a는 덮개판과 세로부재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덮개판과 세로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탄지편의 사시도,
도 4b는 탄지편의 형태에 따른 압축상태와 펼침 상태의 직선길이 변화를 비교한 측면도,
도 5a는 벽체와 덮개판 사이에 위치한 미관향상커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덮개판의 하부를 받쳐주는 지지부재 및 상단에 위치한 미관향상커버에 대한 단면도,
도 5c는 걸래받이부재와 미관향상커버의 결합상태와 관련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조립체
10: 고정부재 11: 고정판
11a: 통공 13: 체결판
13A,13B: 체결분체 15a,15b: 체결공
20A: 가로부재 20B: 세로부재
21,23: 브라켓 21a,23a: 체결공
30: 덮개판
40: 탄지편 41: 고정부
43: 탄성부 45: 지지부
50A,50B,50C,50D: 미관향상커버 51a,53a,55a,57a: 삽입부
60: 걸레받이부재 70: 소화전함
본 발명은 다층 건축물의 노출 배관을 덮어 수납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바닥 및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사이를 절곡 막대 형태 또는 각관 형태 등으로 이루어진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로 연결하여 골조를 세우고, 상기 세로부재와 세로부재 사이에 덮개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탄지편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 유지보수, 그리고 해체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공주택 등의 다층 건물 축조시 양수설비, 소화전설비, 또는 전기설비 등과 같은 배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납합 조립체는 현재 배관을 용도, 종류, 내구연한 등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입상 배관 시공의 효율성 향상과 배관 유지 보수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관 수납함 조립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배관의 하자발생 빈도와 용도별 유니트(오폐수, 급수, 급탕, 난방 유니트를 제작하여 필요개소에 따라 단위 유니트를 조립하여 파이프 덕트를 구성하는 것과 관련된 실용신안공고 제1996-0001029호(1996.02.05) 『조립식 파이프 덕트의 구조』,
아파트 세대문과 엘리베이터실 사이에 시공하여 양수설비, 소화전설비, 전기설비 등을 내설시키기 위한 파이프 덕트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 특허공개 제1999-0037620호(1999.05.25) 『파이프덕트 캐비넷』, 그리고
전면 개폐문을 힌지로 자유롭게 개폐취급 되도록 구성된 아파트 출입문 옆 수관 및 소화전함 등을 막아주는 패널과 관련된 실용신안등록 제0204645호(2000.09.18) 『아파트의 파이프 덕트 스틸 판넬』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배관 수납함 조립체들은 모두 덮개판의 결합이 용접이나 볼트 체결 방식을 취하고 있어 조립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위한 해체시 작업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각종 배관 수납함 조립체가 갖는 조립 및 유지 보수를 위한 해체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건물 바닥 및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사이를 막대 형태 또는 각관 형태 등으로 이루어진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로 연결하여 골조를 세우고, 상기 세로부재와 세로부재 사이에 덮개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탄지편을 이용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배관 수납함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탄지편의 특정 단부 구조로 인하여 조립시 상기 탄지편이 탄성부가 상기 세로부재 측면에 의하여 가압된 후 펼쳐져 상기 세로부재의 후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탄성부의 펼침 동작시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하면서도 그 단부가 세로부재 후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덮개판이 들썩이지 않고 확고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수납함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바닥과 맞닿는 벽체 부분을 따라 배열되는 걸레받이부재를 도입함과 아울러, 덮개판과 덮개판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미관향상 커버를 도입한 수납함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수납함 조립체는 조립될 수납함의 형태에 맞게 건물 바닥에서 천장까지 이어진 복수의 세로부재; 상호 인접한 상기 세로부재의 간격에 상응하는 폭을 갖고 상기 세로부재의 전면에 위치하는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의 내면의 양측에 치우쳐 위치한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솟은 후 절곡되어 다시 상기 덮개판의 내면을 향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단부는 상기 세로부재의 내면에 밀착되는 탄지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배관(P) 수납함 조립체(H)를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3b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건물 바닥(F)을 하부로 하고, 그 반대쪽 천장(C)을 상부로 정하며,
덮개판(30)의 노출면 쪽을 전면 또는 외면으로 정하고, 상기 덮개판(30)에 탄지편(40)이 부착된 면 쪽을 후면 또는 내면으로 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 조립체(H)는 도 1, 도 2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건물 바닥 및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 상기 인접 고정부재(10)를 상호 연결하는 가로부재(20A) 및 세로부재(20B), 상기 세로부재와 세로부재 사이를 덮는 덮개판(30), 그리고 상기 덮개판이 상기 세로부재(20B)에 고정되도록 하는 탄지편(40)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상기 가로부재(20A)는 단면이 사각형, 특히 직사각형인 각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부재(20A)는 단면이 한글의 ‘ㄱ’자 형상인 각형 막대 형태인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부재가 도입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상기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의 고정 배열을 위한 상기 고정부재(10)는 고정수단, 특히 통공(11a)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1b)를 통하여 조립될 수납함의 형태에 맞게 건물 바닥(F) 및 천장(C)에 부착되는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0)에 수직 돌설되어 있고 체결공(15a)(1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각도로 꺾인 체결분체(13A)(13B)들로 이루어진 체결판(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분체(13A)(13B)는 수납함의 꺾인 부분의 각도에 맞게, 통상적으로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 중 상기 고정편(11)에서 먼 단부 쪽에 치우친 체결공(15b)(15c)은 상기 세로부재(20B)의 체결공(23a)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두 개 형성되어 있 고,
상기 세로부재(20B)는 상기 체결판(13) 분체(13A)(13B)가 이루는 각도에 상응하게 절곡되어 있어 두 분체 모두와 접촉하는 형태이다.
또 상기 고정판(11) 쪽에 인접한 체결공(15a)은 상기 가로부재(20A)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하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부재(20A)의 양단부에는 각각 체결공(21a)(23a)을 갖는 판상의 연결브라켓(21)(23)이 구비되어 있어
속이 비어 있고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각관인 상기 가로부재가 직접 체결수단(25)을 이루는 볼트(25a)와 너트(25b)에 의하여 상기 체결분체(13A)(13B)에 확고하게 결합 고정될 경우 찌그러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가로부재(20A)는 상기 세로부재(20B) 전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배열되거나, 반대로 상기 세로부재가 상기 가로부재 전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또 상기 고정부재(10)의 체결공(15a)(15b)(15c)의 수 및 형성 위치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1,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또는 전후로 인접한 상기 세로부재(20B)에는 세로부재 사이의 간격에 상응한 폭을 갖는 덮개판(30)이 탄지편을 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덮개판(30)은 목재, 합성수지, 금속소재, 세라믹소재, 또는 복합재료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높이는 건물 바닥과 천장의 높이와 같거나, 그 높이를 균등 또는 불균등하게 분할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b에서, 상기 덮개판(30)을 좌우에 둔 상태에서 수납함 조립체(H)의 전면 중앙부분에는 배관(P)과 연결된 소화전함(70)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a,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수납함 조립체(H)에서 핵심을 이루는 탄지편(40)을 상기 덮개판(30)에 고정되어 조립체(H)에 장착된 상태를 상정하여 기술하면, 상기 탄지편은
상기 덮개판(30)의 내면 양측에 치우쳐 위치하고 고정수단, 예를 들어 나사못(41a)에 의하여 부착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솟아 절곡되어 다시 상기 덮개판(30)의 내면을 향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탄지편은 상기 탄성부(43)의 절곡부(43a)를 기점으로 압축되고 회복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된 상기 절곡부(43a)의 형태는 한번 절곡된 것이나, 필요에 따라 2번 이상 절곡되고나 부드럽게 만곡진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30)과 상기 세로부재(20B)의 조립상태에서 상기 탄성부(43)의 단부는 상기 세로부재(20B)의 내면, 특히 면적이 넓은 면에 밀착된다.
특히 상기 탄지편(40)의 탄성부(43) 단부에는 상기 고정부(41)를 향하여 절곡되어 있는 지지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45)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각각 비교 도시한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A)에 도시된 탄지편(40)에서 지지부(45)가 구비된 탄지편(40)의 경우 절곡부(43a)에서 상기 지지부(45) 단부까지의 직선길이는 상기 탄성부(43)가 최대로 압축된 경우보다 펼쳐진 경우에 직선길이의 변화가 거의 없는 정도이나, 보다 정밀하게는 길이 ‘ℓ1’만큼 더 길어지고,
(B)에 도시된 탄지편(140)의 경우 절곡부(143a)에서 상기 탄성부(143) 단부까지의 직선길이는 탄성부가 최대로 압축된 경우보다 펼쳐진 경우에 길이 ‘ℓ2’만큼 더 짧아진다.
이로 인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30)의 결합과정을 가정하였을 때, 상기 도 4b (B)형태의 탄지편(140)은 상기 세로부재(20B)의 측면(20b)과 접촉하여 상기 탄성부(143)가 압축된 상태로 있다가
상기 덮개판(30)을 더 후방으로 밀면 상기 탄성부(143) 단부가 상기 세로부재의 측면(20b)에서 벗어나 펼쳐져 상기 세로부재의 후면(20b)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절곡부(143a)에서 상기 탄성부(143) 단부까지의 직선길이는 짧아지게 되고,
상기 탄성부(143)의 펼쳐짐을 보장하기 위하여 절곡부(143a)에서 상기 탄성부(143) 단부까지의 최대 직선 거리를 이루는 상태는
상기 덮개판(30)의 후면이 상기 세로부재(20B)의 전면(20a)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세로부재의 측면(20b)과 후면(20d)이 만나는 모서리(20c)에서
압축되어 있는 상기 탄성부(143)가 상기 모서리(20c)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여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상기 덮개판(30)이 상기 세로부재(20B)의 전면(20a)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지편(140)의 탄성부(143) 단부와 상기 세로부재의 후면(20d)은 일정 간격 떨어져 있게 되고
따라서 상기 덮개판(30)은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흔들리게 되므로 수납함 조립체의 견고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탄지편(140)의 고정부(141)와 상기 덮개판(30) 사이에 스프링이나 압축된 후 복귀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의 부재 등을 도입하는 경우,
최초 덮개판(30)을 조립을 위하여 후진시키는 경우 상기 세로부재(20B)의 전면(20a) 및 측면(20b)에 의하여 눌려 상기 탄지편의 탄성부(143)가 가압될 뿐 아니라,
상기 스프링이나 탄성 합성수지 소재의 부재 또한 가압되고,
상기 탄지편(140)의 탄성부(143) 단부가 상기 세로부재의 모서리(20c)를 지나면서 상기 탄성부(143)가 펼쳐짐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이나 탄성 합성수지 소재의 부재 역시 팽창하게 되므로 상기 탄 성부(143)의 단부는 상기 세로부재의 후면(20d)과 밀착 접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앞서 도 4b의 (A)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지편(40)의 탄성부(43) 단부에 구비된 지지부(45)만으로도 상기 탄성부(43)의 수축시 보다 상기 탄성부(43)의 펼침시 길이가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더 길어지게 되므로
압축되어 있던 상기 탄성부(43)의 펼침 동작 보장 뿐 아니라
상기 덮개판(30)이 상기 세로부재 전면(20a)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45) 단부와 상기 세로부재의 후면(20d) 밀착이 가능해 지므로
보다 간단하게 탄지편의 탄성부 압축상태와 펼침상태의 길이 차이로 인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덮개판(30)과 인접 덮개판, 또는 상기 덮개판(30)과 인접 벽체(W), 또는 상기 덮개판(30)과 상기 가로부재(20A) 사이에는 미관향상 커버(50A)(50B)(50C)(50D)가 배열되어 있어 상기 덮개판의 이음부를 가릴 수 있고, 상기 커버는 특히 삽입부와 노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미관향상커버의 결합상태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3a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부에서 상호 직교하는 형태로 배열된 상기 덮개판(30)과 인접 덮개판 사이에 배열된 커버(50A)는 그 단면이
Figure 112005068641655-PAT00001
6) 상단부에서 상승하는 형태로 이어진 접촉부(56b)에서 꺾여 하부로 하강하는 진입부 (56a)를 갖는 형태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30)과 인접 벽체(W)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50B)는 그 단면이
Figure 112005068641655-PAT00002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과 상기 벽체의 틈새에 위치하는 삽입부(53a)와 노출부(53b)를 갖는다.
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C)과 상기 덮개판(30) 상단부에 위치한 커버(50C)는 그 단면이
Figure 112005068641655-PAT00003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각 천장 하면과 덮개판 상면과 접촉하는 삽입부(55a)(55a')와 노출부(55b)를 가지며, 후면부(55c)와 상기 하부 삽입부(55a')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는 장착부재(56)를 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장착부재(56)는 상기 세로부재(20B)에 중간 고정부(56A)의 고정공(56c)에 박히는 볼트(56c')를 통하여 고정되며(대안적으로 상기 가로부재(20A) 또는 고정부재(10)에 고정 가능),
상기 고정부(56A)의 상하 양측에는 탄지절곡부(56B)(56B')가 이어져 있는데, 상기 탄지절곡부 중 상부의 절곡부(56B)를 살펴보면 상기 고정부(56) 상단부에서 상승하는 형태로 이어진 접촉부(56b)에서 꺾여 하부로 하강하는 진입부(56a)를 갖는 형태이다.
상기 장착부재(56)를 상기 세로부재(20B)에 장착한 후, 상기 미관향상커버(50C)를 밀어 넣으면,
상기 장착부재(56)의 상부 탄지절곡부(56B)의 진입부(56a)는 상기 커버(50C) 의 후면부(55c) 하단과 접촉하여 하강하고, 상기 하부 탄지절곡부(56B')의 진입부는 상기 커버의 하부 삽입부(55a') 후단과 접촉하여 상승하여,
결국 상기 상하 탄지절곡부(56B)(56B')는 오므라들고 절곡된 최정점을 지난 다음 각 탄지절곡부(56B)(56B')의 접촉부(56b)를 지나면서 차츰 탄지절곡부가 벌어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커버(50C)의 후면부(55c) 하단은 상기 장착부재(56)의 고정부(56A) 직상부와 접촉하고, 상기 커버의 하부 삽입부(55a') 상면은 상기 장착부재(56)의 하부 탄지절곡부(56B')의 절곡부 하면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커버(50C)의 장착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나아가 도 5c에 도시된 조립체(H) 하단 커버(50D)는 역시 삽입부(57a)와 노출부(57b)를 가져 그 단면이
Figure 112005068641655-PAT00004
형상을 갖는데, 역시 삽입부(57a)와 노출부(57b)를 갖는다.
또 도 1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부재(20A)의 노출면, 특히 건물 바닥 위치의 노출면에는 걸레받이부재(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걸레받이부재(60)는 상기 세로부재(20B)가 상기 가로부재(20A)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걸레받이부재는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끼움부(63a)와,
상기 끼움부에서 절곡 연결되어 전면에 노출된 본체부(61)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부(61)의 하부에는 꺾임부(63b)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61) 자체에는 통상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접착커버(6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30)의 높이는 조립될 수납함의 높이를 균등 또는 불균등하게 분할한 치수를 가지며,
이때 각 덮개판(30) 하면이 상기 가로부재(20A) 또는 상기 세로부재(20B)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부재에 의하여 받쳐지는 형태로 하여 조립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도시된 지지부재(30A)는
상기 세로부재(20B)에 볼트(31b)에 의하여 박혀 배열되도록 하는 고정공(31a)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31)과,
상기 고정편(31) 하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상기 덮개판(30) 하면을 실질적으로 받치는 형성된 지지편(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편(31)에서 상기 고정공(31a)은 요입부(31A)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요입부(31A) 부분의 두께는 도 2a 및 도 5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의 체결판(13)의 체결분체(13A)(13B)에 각각 고정된 상기 가로부재(20A)와 상기 세로부재(20B)의 두께 차이에 해당하여,
상기 조립체(H)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가로부재 전면과 상부에서 접촉하는 상기 덮개판(30)의 하부가 상기 지지부재(30A)의 고정편(31) 전면과 접촉함으로써,
결국 상기 덮개판(30)이 수직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가로부재가 상기 세로부재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의 고정편에 형성된 요입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가로부재의 두께와 같아야 한다.
또 상기 지지부재(30A)에서 상기 지지편(33)은 단부의 중앙이 일정 깊이로 절개된 후 각각 상부와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 삽입편(35a)(35b)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삽입편의 각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덮개판의 하면과 상면에 삽입편이 박히게 되어(이를 위하여 상기 덮개판은 연질 소재이거나, 덮개판 자체에 미리 상기 삽입편을 위한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하 덮개판의 확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상부에 위치한 덮개판과 하부에 위치한 덮개판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에 위치한 덮개판의 평행 유지는 별도의 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는 건물 바닥 및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사이를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로 연결하여 골조를 세우고, 상기 세로부재와 세로부재 사이에 덮개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탄지편을 이용하므로 조립, 유지 보수, 그리고 해체가 쉽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탄지편의 단부에서 상기 덮개판과 수평을 이루는 가상의 평면에서 전면으로 벗어난 형태로 절곡된 지지부 구조로 인하여 조립시 상기 탄지편이 탄성부가 상기 세로부재 측면에 의하여 가압된 후 펼쳐져 상기 세로부재의 후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탄성부의 펼침 동작시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하면서도 그 단부가 세로부재 후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덮개판이 들썩이지 않고 확고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은 바닥과 맞닿는 벽체 부분을 따라 배열되는 걸레받이부재를 도입함과 아울러, 덮개판과 덮개판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미관향상 커버를 도입하여 외관 향상을 도모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배관 수납함 조립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조립될 수납함의 형태에 맞게 건물 바닥에서 천장까지 이어진 복수의 세로부재;
    상호 인접한 상기 세로부재의 간격에 상응하는 폭을 갖고 상기 세로부재의 전면에 위치하는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의 내면의 양측에 치우쳐 위치한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솟은 후 절곡되어 다시 상기 덮개판의 내면을 향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단부는 상기 세로부재의 내면에 밀착되는 탄지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편의 탄성부 단부에는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절곡된 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는 건물 바닥 및 천장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가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높이는 조립될 수납함의 높이를 분할한 치수를 가지며,
    각 덮개판 하부는 상기 가로부재 또는 상기 세로부재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부재에 의하여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과 인접 덮개판, 또는 상기 덮개판과 인접 벽체, 또는 상기 덮개판과 상기 가로부재 사이에는 미관향상 커버가 배열되어 있되,
    상기 커버는 삽입부와 노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의 하단 노출면에는 걸레받이부재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는 단면이 한글의 ‘ㄱ’자 형상인 각형 막대 형태이며,
    상기 가로부재는 단면이 사각형인 각관 형태이고,
    상기 가로부재는 상기 세로부재 전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KR1020050113911A 2005-09-07 2005-11-28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KR200700281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2999 2005-09-07
KR1020050082999 2005-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199A true KR20070028199A (ko) 2007-03-12

Family

ID=3810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911A KR20070028199A (ko) 2005-09-07 2005-11-28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819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416A (ko) 2017-10-20 2019-04-30 엄상용 덕트용 건식 함체
CN110439071A (zh) * 2019-08-29 2019-11-12 广东博意建筑设计院有限公司 一种新型卫生间给排水走管封包方法和给排水走管封包结构
KR20220050724A (ko) 2020-10-16 2022-04-25 엄상용 건축구조물용 함체 프레임
KR20240012994A (ko) 2022-07-21 2024-01-30 엄상용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KR20240013297A (ko) 2022-07-22 2024-01-30 엄상용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생산 시스템
KR20240012908A (ko) 2022-07-21 2024-01-30 엄상용 건축구조물용 함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416A (ko) 2017-10-20 2019-04-30 엄상용 덕트용 건식 함체
CN110439071A (zh) * 2019-08-29 2019-11-12 广东博意建筑设计院有限公司 一种新型卫生间给排水走管封包方法和给排水走管封包结构
KR20220050724A (ko) 2020-10-16 2022-04-25 엄상용 건축구조물용 함체 프레임
KR20240012994A (ko) 2022-07-21 2024-01-30 엄상용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KR20240012908A (ko) 2022-07-21 2024-01-30 엄상용 건축구조물용 함체
KR20240013297A (ko) 2022-07-22 2024-01-30 엄상용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생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CN109154156B (zh) 装饰用组装式墙体及其施工方法
KR20070028199A (ko)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CA2597186C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9990012351U (ko) 건축물외장판재의설치구조
KR101323638B1 (ko) 조적식 외부벽돌벽
CZ399098A3 (cs) Montážní systém pro desky k opláštění fasád budov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KR101314873B1 (ko) 건축물의 천장 마감부재
KR100900344B1 (ko) 가설 방음벽 조립체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US20070111593A1 (en) Terminal box
KR200219015Y1 (ko) 평면연결용 브래킷 및 코너연결용 브래킷으로 벽파넬을 연결하여 만든 조립식 욕실용 벽
KR102598100B1 (ko) 단차진 천장 마감을 위한 고정클립을 이용한 단차 형성 천장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63247Y1 (ko)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CN218149458U (zh) 一种绿色建筑及装配式地砖系统
JPH0941684A (ja) 浴室ユニット
RU2735005C9 (ru) Система наружной облицовки стены здания плиткой и профи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литки
KR102633899B1 (ko) 내구성 및 조립성이 개선된 고정클립을 이용한 건축물 벽체의 내외장 루버형 구조체
KR101081041B1 (ko) Pvc를 이용한 주택 라운드 우물천장 설치구조
JPS624143Y2 (ko)
KR200225503Y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200309941Y1 (ko) 건축용 패널의 조인트 커버
KR200242341Y1 (ko) 함석지붕의 용마루 마감재
KR20230135953A (ko) 루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