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994A -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994A
KR20240012994A KR1020220090652A KR20220090652A KR20240012994A KR 20240012994 A KR20240012994 A KR 20240012994A KR 1020220090652 A KR1020220090652 A KR 1020220090652A KR 20220090652 A KR20220090652 A KR 20220090652A KR 20240012994 A KR20240012994 A KR 20240012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der
plate
mold
folding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용
Original Assignee
엄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상용 filed Critical 엄상용
Priority to KR1020220090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994A/ko
Publication of KR20240012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05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1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for panels, e.g.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에 내부에 내설되는 급/배수 배관, 전기 배관 등의 배관설비 및 양수시설, 소방시설 등의 설비를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들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함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a) 한 장의 판재에서 중앙부를 펀칭하여 제거하고, 외곽부를 절삭하는 단계와; (b) 상부 절첩판 및 하부 절첩판과 측면테두리 내측지지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절개라인를 커팅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측면테두리 내측지지판과 측면테두리 내측판의 경계선 및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측면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d) 측면테두리 전면판과 측면테두리 외측판의 경계선 및 측면테두리 외측판과 측면테두리 외측지지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e) 상부테두리 전면판과 상부 절첩판의 경계선 및 하부테두리 전면판과 하부 절첩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제3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f)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절첩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절첩라인을 절첩하여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절첩판을 면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일측의 측면테두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장의 판재로 펀징, 절단, 절곡 및 절첩 공정을 자동화된 설비를 통해 수행하여, 함체 프레임을 자동화된 생산과정을 통해 제작하여, 생산속도 및 제작오차가 최소화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HOUSING ASSEMBLY FOR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내부에 내설되는 급/배수 배관, 전기 배관 등의 배관설비 및 양수시설, 소방시설 등의 설비를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들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합건물과 같이 현대 일반화된 건축물에는 건축물의 노출 배관을 수납하기 위한 조립 함체가 복도 등의 공용공간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아파트와 같은 공공주택 등의 다층 건물 축조시 양수설비, 소화전설비, 또는 전기설비 등과 같은 배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납합 조립체는 현재 배관을 용도, 종류, 내구연한 등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입상 배관 시공의 효율성 향상과 배관 유지 보수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함체 프레임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6-0001029호와 같이, 배관의 하자발생 빈도와 용도별 유니트(오폐수, 급수, 급탕, 난방 유니트를 제작하여 필요개소에 따라 단위 유니트를 조립하여 파이프 덕트를 구성하는 기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37620호와 같이, 아파트 세대문과 엘리베이터실 사이에 시공하여 양수설비, 소화전설비, 전기설비 등을 내설시키기 위한 파이프 덕트 캐비넷에 관한 기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04645호와 같이, 전면 개폐문을 힌지로 자유롭게 개폐취급 되도록 구성된 아파트 출입문 옆 수관 및 소화전함 등을 막아주는 패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함체 프레임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들이 용접이나 볼트 체결 방식을 취하고 있어, 제작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 원가가 증가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부재들 간의 단차가 발생하여 제품 불량률이 증가하는 등, 조립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위한 해체시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28199호에서는 배관시설을 내설시키는 덕트 캐비넷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바닥 및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사이를 절곡 막대 형태 또는 각관 형태 등으로 이루어진 가로부재와 세로부 재로 연결하여 골조를 세우고, 상기 세로부재와 세로부재 사이에 덮개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탄지편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탄지편의 구성에 따라, 함체 프레임 구성 부품의 조립이 다소 용이해지는 장점은 있으나, 결합강도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결국 다수 부재를 종래와 다른 결합 형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에 그치는 것으로, 해당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7592호로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제조되는 함체 프레임을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에는 판재의 절곡 작업시에 판재의 중앙부를 지지하여야 하는데, 다양한 함체 프레임 형태 중 다수는 중앙에 횡방향 부재가 배치되어 중앙 지지부를 확보하지 못하여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절곡 단계에 따라 부재의 높이 변화가 커 절곡 설비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전체 공정이 펀칭-절곡-펀칭-절곡의 순서로 펀칭 과정이 두 번이나 포함되어 제작 공정이 다소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00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6-0001029호 (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37620호 (00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04645호 (00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28199호 (00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75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한장의 판재로 펀징, 절단, 절곡 및 절첩 공정을 자동화된 설비를 통해 수행하여, 함체 프레임을 자동화된 생산과정을 통해 제작하여, 생산속도 및 제작오차가 최소화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 공정을 최적 설계하여, 생산효율이 향상된 건축 구조물용 함체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반복되는 절곡 과정에서 부재의 높이 변화를 최소화하여, 소형화된 기계에서도 생산이 가능한 함체 프레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측면테두리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테두리 외측판과; 상기 측면테두리 외측판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측면테두리 외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측면테두리 외측지지판과; 측면테두리 외측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측면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측면테두리 전면판과; 상기 측면테두리 전면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측면테두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에 접하도록 절첩되는 상부 절첩판과;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에 접하는 하부 절첩판과;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 중간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에 접하는 중간 절첩판과; 상기 상부 절첩판과 상기 중간 절첩판 및 상기 중간 절첩판과 상기 하부절첩판 사이에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측면테두리 내측지지판; 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좌우측 상부 절첩판 사이에 형성되어, 절첩 후 상기 함체 프레임의 상부테두리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상부테두리 전면판과; 상기 상부테두리 전면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부테두리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부테두리 외측판과; 상기 상부테두리 외측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상부테두리 외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상부테두리 외측지지판과; 상기 상부테두리 전면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부테두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상부테두리 내측판과; 상기 상부테두리 내측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상부테두리 내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상부테두리 내측지지판과; 좌우측 하부 절첩판 사이에 형성되어, 절첩 후 상기 함체 프레임의 하부테두리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하부테두리 전면판과; 상기 하부테두리 전면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하부테두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하부테두리 내측판과; 상기 하부테두리 내측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하부테두리 내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하부테두리 내측지지판과; 상기 하부테두리 전면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하부테두리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하부테두리 외측판과; 상기 하부테두리 외측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하부테두리 외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하부테두리 외측지지판; 좌우측 중간 절첩판 사이에 형성되어, 절첩 후 상기 함체 프레임의 중간테두리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중간테두리 전면판과; 상기 중간테두리 전면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중간테두리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중간테두리 상측판과; 상기 중간테두리 상측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중간테두리 상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중간테두리 상측지지판과; 상기 중간테두리 상측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중간테두리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중간테두리 하측판과; 상기 중간테두리 하측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중간테두리 하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중간테두리 하측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함체 프레임과; 상기 상부 테두리 내측판 및 중간 테두리 상측판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 테두리 전면판과 중간 테두리 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테두리 내측판 및 중간 테두리 하측판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중간 테두리 전면판과 하부 테두리 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하부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를 제조함에 있어, (a) 한 장의 판재에서 중앙부를 펀칭하여 제거하고, 외곽부를 절삭하는 단계와; (b) 상부 절첩판 및 하부 절첩판과 측면테두리 내측지지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절개라인를 커팅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측면테두리 내측지지판과 측면테두리 내측판의 경계선 및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측면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d) 측면테두리 전면판과 측면테두리 외측판의 경계선 및 측면테두리 외측판과 측면테두리 외측지지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e) 상부테두리 전면판과 상부 절첩판의 경계선 및 하부테두리 전면판과 하부 절첩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제3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f)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절첩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절첩라인을 절첩하여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절첩판을 면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일측의 측면테두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g) 상기 단계 (c) 내지 (f)를 반복하여 타측의 측면테두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h) 상부테두리 외측판과 상부 테두리 외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상부테두리 외측판과 상부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상부테두리 상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i) 상부테두리 내측판과 상부 테두리 내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상부테두리 내측판과 상부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상부테두리 하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j) 중간테두리 상측판과 중간테두리 상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중간테두리 상측판과 중간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중간테두리 상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k) 중간테두리 하측판과 중간 테두리 하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중간테두리 하측판과 중간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중간테두리 하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l) 하부테두리 내측판과 하부 테두리 내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하부테두리 내측판과 하부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하부테두리 상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m) 하부테두리 외측판과 하부 테두리 외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하부테두리 외측판과 하부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하부테두리 하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n) 상기 중간테두리 전면판과 하부테두리 전면판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하부 도어를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o) 상기 중간테두리 전면판과 상부테두리 전면판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상부 도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이때, 상기 제(c)단계의 제1절곡부 및 상기 제(d)단계의 제2절곡부는, 각각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단일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c)단계의 제1절곡부 및 상기 제(d)단계의 제2절곡부는, 상기 상부 몰드 하단면과 중간 몰드 상단면 사이에 '' 형태의 제1 2단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몰드 하단면과 하부 몰드 상단면 사이에 '' 형태의 제2 2단절곡면이 형성되되, 상기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는, 몰드 단면부가 경사 방향으로 회전된 '' 및 '' 형태로 형성된 종방향 2단 절곡기에 의해 순차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e)단계의 제3절곡부는, 1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단일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f)단계는, (f1) 상기 상부 절첩판, 중간 절첩판 및 하부 절첩판에 대하여, 측면테두리 내측판이 예각을 이루도록 포밍기를 이용하여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을 밴딩하는 단계와; (f2) 예각으로 밴딩된 절첩라인을 절첩기를 통해 밀착 고정하여,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절첩판을 면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h)단계의 상부테두리 상측 절곡부, 상기 제(i)단계의 상부테두리 하측 절곡부, 상기 제(j)단계의 중간테두리 상측 절곡부, 상기 제(k)단계의 중간테두리 하측 절곡부, 상기 제(l)단계의 하부테두리 상측 절곡부 및 상기 제(m)단계의 하부테두리 하측 절곡부는, 각각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단일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h)단계 및 상기 제(i)단계와, 상기 제(j)단계 및 상기 제(k)단계 그리고 상기 제(l)단계 및 상기 제(m)단계는, 각각 상기 상부 몰드 하단면과 중간 몰드 상단면 사이에 '' 형태의 제1 2단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몰드 하단면과 하부 몰드 상단면 사이에 '' 형태의 제2 2단절곡면이 형성되되, 상기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는, 몰드 단면부가 경사 방향으로 회전된 '' 및 '' 형태로 형성된 종방향 2단 절곡기에 의해 순차적으로 성형될 수도 았다.
또한, 상기 하부 도어는, 일측이 상기 하부 테두리 상측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고, 직경이 확장 형성된 확장면이 상기 하부 테두리 상측판 상면에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하부 도어 하측판에 형성된 핀결합공을 관통하는 제2중력핀과; 상기 중간 테두리 하측판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하부 도어 상측판에 형성된 핀결합공을 관통하도록 타측 단부가 연장 형성된 상기 제1중력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도어는, 일측이 상기 상부 테두리 내측판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상부 도어 상측판에 형성된 핀결합공을 관통하는 탄성핀과; 일측이 상기 상부 도어 하측판에 형성된 핀결합공을 관통하고, 직경이 확장 형성된 확장면이 상기 중간 테두리 상측판 상면에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중간 테두리 상측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1중력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첩기는, 양측으로 경사진 경사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지지면에 단차진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중앙부분의 이격공간을 중심으로 외측몰드와 내측몰드로 구분되며, 상기 경사지지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외측몰드와 내측몰드 사이의 이격공간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하방몰드와; 상기 작업 대상물과 하방몰드를 하방으로 가압시키는 프레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몰드 상면에는 상기 테두리 전면판이 위치하고, 상기 내측몰드 상면에는 상부, 중간 또는 하부 테두리 전면판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외측몰드와 내측몰드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하방몰드의 비 가압시, 상기 외측몰드와 내측몰드가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몰드와 내측몰드 하부의 경사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턱에 대응하는 형태의 단턱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측몰드의 이격공간 측 수직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하부몰드 하강시, 상기 테두리 내측 지지판이 삽입되는 내측지지판 삽입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몰드 상면 중, 상기 함체 프레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펀칭영역이 안착되는 부분에는, 함체의 부재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오차보상 돌출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한장의 판재로 펀징, 절단, 절곡 및 절첩 공정을 자동화된 설비를 통해 수행하여, 함체 프레임을 자동화된 생산과정을 통해 제작하여, 생산속도 및 제작오차가 최소화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 공정을 최적 설계하여, 생산효율이 향상된 건축 구조물용 함체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고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반복되는 절곡 과정에서 부재의 높이 변화를 최소화하여, 소형화된 기계에서도 생산이 가능한 건축구조물용 함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절곡 공정 회수를 줄여 전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절곡 과정에서 부재의 높이 변화를 최소화하여 몰드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자동화 설비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몰드의 형태를 응력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절곡 작업시 부재가 파손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접 등과 같은 각 구성 부품의 결합 공정 없이 함체 프레임을 생산/시공할 수 있으므로, 함체 프레임에 소요되는 부재량이 감소되고, 시공오차가 발생될 우려성이 없어 부품의 조립 오차에 의해 발생되는 하자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동화 생산공정을 통해 대량생산 및 생산 비용 절감에 큰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최소한의 장비 구성으로 최대한의 생산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의 도어를 별도의 도구 없이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도어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함체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함체 프레임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함체 프레임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도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7a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도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7b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도어의 다른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도어를 체결하기 위한 클립밴드형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공정에 따른 단면 형태 변화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공정에 따른 형태 변화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의 구성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2단 절곡기에 사용되는 2단 절곡몰드의 단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절첩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절첩기에 사용되는 하부몰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함체 프레임의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함체 프레임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도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a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도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7b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도어의 다른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를 구성하는 도어를 체결하기 위한 클립밴드형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공정에 따른 단면 형태 변화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공정에 따른 형태 변화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의 구성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2단 절곡기에 사용되는 2단 절곡몰드의 단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절첩기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절첩기에 사용되는 하부몰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함체 프레임(100)과 도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함체 프레임(100)은 강판이 절첩되어 건축 구조물 벽체에 매립되어, 벽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는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한편,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상기 함체 프레임(100)은 좌측 측면테두리(이하 '좌측테두리'라 한다, 10)와, 우측 측면테두리(이하 '우측테두리'라 한다, 20)와, 상부테두리(30)와, 하부테두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들은 소정의 폭을 갖고 시공면, 예를 들어 건축구조물 내측의 벽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함체 프레임(100)은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함체 프레임(100)을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면 등에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판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은 콘크리트 벽체 등에 고정된 브래킷에 함체 프레임(100)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앵커 등의 고정수단이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함체 프레임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측테두리(10)는, 테두리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판(12)과, 상기 외측판(12)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전면판(13)과, 상기 전면판(13)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테두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판(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구성 부분은 함체 프레임의 좌측에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우측테두리(20)는 함체 프레임(100)의 종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테두리(10)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우측테두리(10)는, 테두리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판(22)과, 상기 외측판(22)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전면판(23)과, 상기 전면판(23)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테두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판(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구성 부분은 함체 프레임의 우측에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테두리(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좌측테두리 전면판(13)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좌측테두리(10)의 상단 외측면을 형성하는 좌측테두리 상측판(16)과, 상기 좌측테두리 전면판(1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좌측테두리(10)의 하단 외측면을 형성하는 좌측테두리 하측판(18)이 배치되게 된다. 우측테두리(20)의 상단 및 하단에도 동일한 형태로 상측판 및 하측판이 배치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두리(30)는 함체 프레임의 상부테두리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전면판(33)과, 상기 전면판(33)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부테두리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판(32)과, 상기 전면판(3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부테두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판(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구성 부분은, 함체 프레임의 상단에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측테두리(40)는 함체 프레임의 횡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테두리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테두리(40)는 함체 프레임의 하부테두리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전면판(43)과, 상기 전면판(43)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하부테두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판(42)과, 상기 전면판(4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하부테두리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판(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구성 부분은, 함체 프레임의 하단에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여기에서, 함체 프레임의 외부에서는 보이지 아니하나, 상기 상부테두리 전면판(33)과 접하는 영역의 좌측테두리 내측판(14)에는, 함체 프레임의 내부 수용공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좌면테두리 내측판(14)에 접하는 좌측 상부 절첩판(36)이 구비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우측테두리 내측판(24)에는, 우측 상부 절첩판(37)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테두리 전면판(3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상부 절첩판(36) 및 우측 상부 절첩판(37)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테두리 전면판(43)과 접하는 영역의 좌측테두리 내측판(14)에는, 함체 프레임의 내부 수용공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좌측테두리 내측판(14)에 접하는 좌측 하부 절첩판(46)이 구비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우측테두리 내측판(24)에는, 우측 하부 절첩판(47)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테두리 전면판(43)은 상기 좌측 하부 절첩판(46) 및 우측 하부 절첩판(47)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함체 프레임(100)은 상기 상부테두리(30)와 하부테두리(40) 사이에 함체 프레임 내부의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중간테두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테두리(50)는 전술한 상부테두리(30) 및 하부테두리(4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테두리(50)는, 함체 프레임의 중간테두리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전면판(53)과, 상기 전면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중간테두리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상측판(52)과, 상기 전면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중간테두리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하측판(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구성 부분은,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테두리(30) 및 하부테두리(40)와 동일하게, 상기 중간테두리 전면판(53)과 접하는 영역의 좌측테두리 내측판(14)에는, 함체 프레임의 내부 수용공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좌측테두리 내측판에 접하는 좌측 중간 절첩판(56)이 구비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우측테두리 내측판(24)에는, 우측 하부 절첩판(57)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테두리 전면판(53)은 상기 좌측 중간 절첩판(56) 및 우측 중간 절첩판(57)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테두리(50)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함체 프레임은, 배관설비 및 양수시설, 소방시설 등의 설비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함체 프레임은, 콘크리트 벽면상의 고정을 위하여, 측면테두리 외측판(12, 2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측면테두리 외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측면테두리 외측지지판(11, 21) 및 측면테두리 내측판(14, 24)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측면테두리 내측지지판(15, 25)이 좌측 및 우측 테두리에 각각 구성된다.
또한, 측면테두리 상측판(16)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측면테두리 상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측면테두리 상측지지판(17)과, 측면테두리 하측판(18)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측면테두리 하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측면테두리 하측지지판(19)이 좌측 및 우측 테두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함체 프레임은 횡방향 테두리를 건축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판이 구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함체 프레임은, 상부테두리(3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부테두리 외측판(3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부테두리 외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상부테두리 외측지지판(31)과; 상부테두리 내측판(34)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부테두리 내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상부테두리 내측지지판(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테두리(4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부테두리 내측판(44)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하부테두리 내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하부테두리 내측지지판(45)과, 하부테두리 외측판(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하부테두리 외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하부테두리 외측지지판(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간테두리(5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중간테두리 상측지지판(51) 및 하측지지판(5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중간테두리(50)가 1단으로 형성된 함체 프레임(100)의 전개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함체 프레임(100)에 형성된 수납공간에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수납공간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200A, 200B)가 구비되는데, 기본적으로 상기 함체 프레임(100)의 수납공간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시건을 위한 시건 손잡이, 표시 기구나 버튼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절개부(210A, 210B)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A, 200B)는 판재가 상기 수납공간의 크기 및 형태에 맞춰 절곡된 장방형으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도어 전면판, 도어 측면판(240A, 240B), 도어 상측판(220A, 220B) 및 도어 하측판(230A, 23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 전면판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절개부(210A, 201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상측판(220A, 220B) 및 도어 하측판(230A, 230B) 일측에는 상기 도어(200A, 200B)를 상기 함체 프레임(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핀결합공(250A, 250B)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와 상기 함체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살피기로 한다.
건축구조물용 함체는,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는 구조물로, 함체 프레임(100)은 누수나 이물질에 의한 부식, 결합부 결합력 저하 등에 취약한 반면, 강한 외력이 전달되지 않는 한, 형태 변형의 우려성은 적고, 반면에 도어(200)의 경우, 잦은 개폐 회동에 따라 도어의 형태 변형이 문제가 된다. 특히 최근에는 택배 배송물건 등을 함체 내부 여유 공간에 전달하는 등, 도어(200)의 개폐빈도가 원래 취지에 비하여 급격히 증가됨에 따라, 도어(200)의 변형에 따른 하자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0)가 손상되는 경우, 상기 함체 프레임(100) 자체를 벽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므로(설치 방식에 따라 불가능한 경우도 있음), 상기 함체 프레임(100)이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200)를 분리하여, 새로운 도어(200)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인 경첩 형태의 힌치를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버 등의 작업도구를 함체 프레임 내측으로 위치시켜 작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도어의 분리 및 체결 공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도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도어 결합 구조를 제시하고 있는 바, 이하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탄성핀(320)에 의해 일측 핀결합공(250A)이 지지되고, 중력핀(340)에 의해 타측 핀결합공(250A)이 지지되는 도어(20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추가적인 도어(200B)의 경우, 상하 양측 핀결합공(250B)이 모두 중력핀(34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핀(320)은 일측은 절곡된 파지부(323)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면이 확장된 확장부(321)가 형성된 핀으로, 상기 함체 프레임(100)에 고정된 브래킷(310A)을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310A) 상측으로 상기 파지부(323)가 위치하고, 하방으로 상부테두리 내측판(34) 상면에 상기 확장부(321)가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확장부(321) 하부의 상기 탄성핀(320) 하단부가 상기 상부테두리 내측판(34)을 관통하여 상기 핀결합공(250A)을 관통함에 의해 상기 도어(200A)의 상부 핀결합공(250A)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래킷(310A)과 상기 확장부(321) 사이에는 상기 확장부(321)를 상기 브래킷(310A)에 대하여 상기 상부테두리 내측판(34) 측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30)가 구비될수 있다.
한편, 중력핀(340)은 상기 중간 부분에 확장면(341)이 형성된 핀으로 설치 위치에 따라 핀의 길이나 확장면(341) 위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력핀(340)은 상기 탄성핀(320)에 의해 지지되는 핀결합공을 제와한 도어의 나머지 핀결합공(들)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A)의 하부측 핀결합공(250A)은 중력핀(340)의 상단부가 관통하여 지지하고, 상기 중력핀(340)의 확장면(341)은 중간 테두리 상측판(52)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확장면(341) 하부의 중력핀(340) 하부는 상기 중간 테두리 상측판(52) 및 중간 테두리 하측판(54)을 관통하여, 하부측 도어(200B)의 상측 핀결합공(250B)을 관통하여 지지한다.
한편, 상기 하부측 도어(200B)의 하측 핀결합공(250B))은 또 다른 중력핀(340)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중력핀(340)의 확장면(341)은 하부 테두리 내측판(44)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확장면(341) 상부의 중력핀(340) 상단부가 상기 도어(200B)의 하측 핀결합공(250B)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확장면(341) 하부의 중력핀(340) 하단부는 상기 하부 테두리 내측판(44)을 관통한다.
물론, 상기 상부 테두리 내측판(34), 하부 테두리 내측판(44), 중간테두리 상측판(52) 및 중간 테두리 하측판(54)에는 각각 상기 중력핀(340) 또는 탄성핀(320)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다.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어의 분리 과정을 살피면,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파지부(323)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200A)의 상측 핀결합공(250A)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도어(200A)를 비틀어 상방으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도어(200A)와 함체 프레임 (100) 사이의 유격 안에서 상기 도어(200A)가 분리되기 위해서는 상기 중력핀(340)이 상기 도어(200A)의 핀결합공(250A)을 관통하여 연장된 연장길이가 비교적 짧아야 한다.
이후, 수납공간 내부로 드러난 상기 중력핀(340)을 뽑아 제거하면, 하부 도어(200B)의 상측 핀결합공(250B)의 결합이 해제되고, 같은 방식으로 도어(200B)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순차적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어(200)를 교체/수리 한 후, 결합과정은 분리과정을 역순으로 수행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도구 없이도 도어(200A, 200B)의 분리/결합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7b에는 상기 탄성핀(320)이 도어(200A)의 배면에 설치되는 실시예가 되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본적인 결합원리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나, 브래킷(310B)이 도어의 배면에 고정되고, 확장부(321)가 상기 도어 상측판(220A) 하면에 지지되고, 탄성부재(330)는 상기 확장부(321)를 상기 도어 상측판(220A) 하면으로 밀착시킨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도어(200)를 분리하는 경우, 탄성핀(320)의 파지부(323)가 개방된 도어(200)에 위치하므로, 상기 파지부(323)를 파지하여 하방으로 내리는 과정이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용이하다.
다만, 이 경우, 상기 탄성핀(320)이 상기 도어(200A)에 고정된 브래킷(310B)을 관통하므로, 상기 브래킷(310B)의 통공 위치가 상기 도어의 회동 중심에 정확히 위치하여햐 하는 제작상의 정밀함을 요구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는 클립밴드형 브래킷(350) 및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을 통해 함체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밴드형 브래킷(350)은 내측지지판(351), 절첩지지판(352), 브래킷 지지판(355), 제1돌출브래킷(357) 및 제2돌출브래킷(359)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함체 프레임의 내측판(24)과 절첩판(37)을 절첩상태를 고정시키는 역할과 탄성핀(360)을 지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지지판(351)과 절첩지지판(352)은 'U'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절첩 가동된 내측판(14, 24)과 절첩판(36, 37)이 배치되도록 끼워진다.
이때, 상기 좌우측 구분은 상기 도어의 개방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지지판(351)과 절첩지지판(352)의 이격거리는 상기 내측판(14, 24)과 절첩판(36, 37)의 두께의 합 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지지판(351) 및 절첩지지판(352)의 삽입에 의해 상기 내측판(14, 24)과 절첩판(36, 37)이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측지지판(351) 및 절첩지지판(352)에는 절첩고정공(353)이 형성되고, 상기 절첩고정공(35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너트에 의해 상기 클립밴드형 브래킷(350)의 안정적인 고정과 함께, 상기 내측지지판(351)과 절첩지지판(352)의 절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 지지판(355)은 상기 절첩지지판(352)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이 관통할 돌출 브래킷(357, 359)이 형성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 지지판(355)의 상단부에는 상기 절첩지지판(352) 측으로 연장되는 제1돌출 브래킷(357)이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브래킷(357)은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의 브래킷(310A)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이 관통하여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의 상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돌출브래킷(357) 하방에는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이 관통되어, 상기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돌출브래킷(359)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을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 하단부가 상부테두리 내측판(34)을 이탈하면,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져, 재 결합시 정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이 분리되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돌출브래킷(359)은 상기 상부테두리 내측판(34))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 하단부가 상부테두리 내측판(34)을 이탈하여, 도어(200)가 분리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이 상기 제1돌출브래킷(357) 및 제2돌출브래킷(359)에 각각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수직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절곡된 파지부(36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면이 확장된 확장부(362)가 형성된 핀으로, 상기 제1돌출 브래킷(357) 및 제2돌출 브래킷(359)을 관통하여, 상기 제1돌출 브래킷(357) 상측으로 상기 파지부(323)가 위치하고, 상기 제2돌출 브래킷(359) 상면에 상기 확장부(362)가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때, 탄성부재(330)가 상기 확장부(362) 상면과 상기 제1 돌출 브래킷(357)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확장부(362)를 상기 제2 돌출 브래킷(359) 상면에 밀착시킨다.
한편,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의 파지부(363) 하부에는 상기 파지부(363)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돌기(36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 관통공(356)은 원형부와 상기 원형부에서 상기 브래킷 지지판(355) 반대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림돌기(365)와 상기 제1수직 관통공(356)의 확장부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해지는 반면, 상기 절림돌기(365)와 상기 제1수직 관통공(356)의 확장부 방향이 틀어지면,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의 상/하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 해체시, 상기 파지부(363)를 회전시켜, 상기 절림돌기(365)와 상기 제1수직 관통공(356)의 확장부 방향을 일치시킨 이후에,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 하단에 의한 도어 상부의 결속을 해제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363)를 회전시켜,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이 방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별도로 파지부(363)를 가압하지 않고, 도어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의 교체, 수리 등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파지부(363)를 다시 회전시켜, 상기 절림돌기(365)와 상기 제1수직 관통공(356)의 확장부 방향을 일치시키면,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의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교정하는 과정없이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어 상부의 결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 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공정에 따른 단면 형태 변화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공정에 따른 형태 변화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 순서를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작 모재(판재) 상의 절곡 위차가 공정 순서에 따라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의한 건축 구조물용 함체의 제작 순서는 다양한 순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작 순서에 따라 공정상의 시공성에 차이가 발생되는 바, 이하에서는 바랍직한 제작 용이성을 갖는 대표적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살피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함체 프레임의 제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상기 함체 프레임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측면테두리 내측판(14, 24)과 절첩판(36, 37, 46, 47, 56, 57)의 경계선 및 측면테두리 내측판(14, 24)과 측면테두리 전면판(13, 23)의 경계선은 제1 절곡부(C1), 측면테두리 전면판(13, 23)과 측면테두리 외측판(12, 22)의 경계선 및 측면테두리 외측판(12, 22)과 외측지지판(11, 21)의 경계선은 제2 절곡부(D1), 상부테두리 전면판(33)과 상부 절첩판(36, 37)의 경계선 및 하부테두리 전면판(43)과 하부 절첩판(46, 47)의 경계선은 제3 절곡부(G1)를 각각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경계선 중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절첩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절첩(이하 '정방 절첩'이라 함)되는 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절첩부가 배면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절첩(이하 '역방 절첩'이라 함)되는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함체 프레임은, 자동화된 공작기계(CNC 등)에 의해 생산되도록 하여 생산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함체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생산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장의 판재에서 절첩 후 함체 프레임의 내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중앙부(A)를 펀칭하여 제거하고, 외곽부(B)를 절삭하여 판재를 재단하게 된다(S110).
그리고 상기 상부 절첩판(36, 37), 중간 절첩판(56, 57) 및 하부 절첩판(46, 47)과 측면테두리 내측지지판(14, 24)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절개라인(H)의 커팅 공정(S12)이 수행되는데, 상기 커팅공정은 제110단계의 펀칭과 및 절삭 공정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재단된 판재에서, 상기 제1 절곡부(C1)(S130), 제2 절곡부(D1)(S140) 및 제 3 절곡부(G1)(S150)를 순차적으로 절곡한 후, 측면테두리 내측판(14, 24)과 절첩판(36, 37, 46, 47, 56, 57)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절첩라인(F1)을 절첩하여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절첩판을 면접시킴으로써 일측의 측면테두리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절곡부(C1) 및 제2절곡부(D1)는 두 개의 절곡선을 한번에 절곡하는 2단절곡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를 위해 해당 공정에서는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곡부(C1) 및 제2 절곡부(D1)의 각각 두개의 절곡선 및 제 3 절곡부(G1)의 하나의 절곡선은 직각방향의 절곡을 말한다.
한편, 상기 제160단계 및 제170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절곡부(C1) 내지 제3절곡부(D1)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절곡부(C1) 중 하나의 절곡선인 절첩라인(F1)을 직각으로부터 더욱 밀착시켜 예각으로 접는 해밍과정이 수행된다(S160).
이 과정에서, 상기 내측지지판(25 또는 15)이 해밍되어, 바닥면과 수평에 가깝게 전개된다.
이후, 절첩기를 통해, 절첩라인(F1)을 중심으로, 절첩판(36, 46 또는 37, 47)과 테두리 내측판(14 또는 24)을 완전히 밀착시킨다(S170).
이어서, 상기 제130단계 내지 제170단계를 타측 면에 대하여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타측의 측면테두리를 형성하게 된다(S200).
상기와 같이 측면테두리(10, 20)가 절곡 공정에 의해 형성되면, 이어서 상부테두리(30), 하부테두리(40) 및 중간테두리(50)(필요시)를 형성하기 위한 횡방향 절곡부(E11~E16)를 절곡 공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형성한다(S300).
이때, 상기 제300단계의 절곡 공정 역시, 두 개의 절곡선을 한번에 절곡하는 2단 절곡에 의해 수행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에 대하여는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절곡부(C1), 제2 절곡부(C2) 및 횡방향 절곡부(E11~E16)의 절곡 과정은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30 단계의 제1 절곡부(C1)는, 2단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400)를 사용하여 단일 프레스 공정에 의해 '' 형태로 절곡하고, 상기 제140 단계의 제2 절곡부(D1)는, 2단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400)를 사용하여 단일 프레스 공정에 의해 '' 형태로 절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단일 프레스 공정으로 절곡함으로써, 종래 2회의 절곡 공정을 1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몰드(4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몰드(410), 중간 몰드(420) 및 하부 몰드(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몰드 하단면(411)과 중간 몰드 상단면(421) 사이에 제1 2단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몰드 하단면(422)과 하부 몰드 상단면(431) 사이에 제2 2단절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2단절곡면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 형태로 형성되고, 제2 2단절곡면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2단절곡을 위한 성형몰드(400)의 형태를 직각 방향이 아닌 경사 방향으로 절곡면을 형성하여 응력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절곡 작업시 부재가 파손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단 절곡면을 상기와 같이 경사 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함으로써, 성형 후 절곡된 부재가 성형몰드의 45°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작업 공간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곡을 위한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의 상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설비의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2단 절곡 몰드의 절곡 경사면이 경사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프레스의 하강시 최대한 양측 판재가 인입될 수 있는 거리가 확보되어, 부재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2단절곡을 위한 성형몰드의 형태를 직각 방향이 아닌 경사 방향으로 절곡면을 형성하여 응력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절곡 작업시 부재가 파손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상기 성형몰드와는 반대로, 성형몰드가 제1 2단절곡면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 형태로 형성되고, 제2 2단절곡면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1 절곡부(C1)가 제2 2단절곡면에서 절곡되고, 이어서 제2 절곡부(D1)가 제1 2단절곡면에서 절곡되게 된다. 이때 제2 절곡라인(D1)이 제2 2단절곡면에서 절곡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판재의 상하면을 뒤집어서 절곡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00단계의 횡방향 절곡부(E11~E16)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2단 절곡 몰드를 이용하여, 성형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또 다른 공정 순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제120단계 이후에, 측면부의 제3절곡라인(G1)을 가공하는 제150단계를 먼저 수행하고, 순차적으로 제130단계의 제1절곡라인(C1) 및 제140단계의 제2절곡라인(D1)을 가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시공 순서를 제1실시예라 하고, 측면부의 제3절곡라인(G1)을 먼저 가공하는 것을 제2실시예라 하면, 이들 공정 순서에 따른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측면부 형성과정은 도 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의 수는 양 실시예가 동일하나, 가공 공정 중간의 부재 형태를 살피면, 제1실시예의 경우, 제2실시예에 비하여, 직각방향(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재높이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제2실시에의 제150단계 및 제130단계의 공정에서 부재의 하방 수직방향의 돌출길이가 매우 긴것을 확이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가공 공정에서 부재를 로봇암을 이용하여 이동시키거나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절곡 공정을 위하여, 부재를 몰드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몰드의 승하강 높이가 높아져야 하므로, 공작기계 자체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도 11에는 전술한 해밍공정(S160) 및 절첩공정(S170)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단일도어의 함체프렘이 실제 가공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공정순서는 도 10에 도시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상이한 실시예인 바, 이를 참고하여 살핀다.
즉,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측면부의 제1절곡라인 및 제3절곡라인을 가공하고, 해밍공정 및 절첩공정을 수행한 후, 횡방향 절곡부를 가공한 이후에, 제2절곡라인을 가공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곡라인 및 제3절곡라인이 형성된 상태의 부재가 도 11 (a)에 도시되어 있다.
이후 포밍기를 통해, 절첩라인(F1)을 예각으로 밀착시켜 해밍된 형태의 판재가 도 11(b)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절첩기를 통해 절첩판(36, 46 또는 37, 47)과 테두리 내측판(14 또는 24)이 완전히 밀착된 형태가 도 11(c)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측지지판(25 또는 15)이 해밍되어, 바닥면과 수평에 가깝게 전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d)에는 횡방향 절곡부가 절첩되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e)에는 제2절첩부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함체 프레임의 제작이 완료되면, 개별적으로 제작된 도어를 중력핀 및 탄성핀을 이용하여 함체 프레임에 체결하여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작을 완료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체프레임이 완성되면, 상기 함체 프레임 내측 또는 도어 내측에 탄성부재가 끼워진 탄성핀이 삽입된 브래킷을 체결하여, 탄성핀을 고정시킨다.
물론, 이 경우 상기 클립밴드형 탄성핀(360)이 체결된 클립밴드형 브래킷(350)을 함체 프레임(100)에 체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함체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도어(200)가 다수개인 경우, 하부의 도어(200B)부터 중력핀(340)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최상단의 도어(200A)는 하부의 핀결합공(250A)을 중력핀(340)에 끼운 후, 탄성핀(320)을 브래킷(310A) 외측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결합 위치에 정위치 시키고, 상기 탄성핀(320)을 놓아 도어(200)의 결합을 완료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 각 공정을 순서는 제조설비의 구성과 연관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를 제조하는 제조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의 구성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2단 절곡기에 사용되는 2단 절곡몰드의 단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절첩기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절첩기에 사용되는 하부몰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조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피면,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는 1단절곡기, 2단절곡기, 포밍기(FMM) 및 절첩기(FLM)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2단 절곡기의 경우, 절곡부 길기가 서로 상이하고, 절첩된 입체적인 형태의 테두리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부재 세로방향의 측면부를 절곡하기 위한 종방향 2단 절곡기(LBM2)와 부재 횡방향을 절곡하기 위한 횡방향 2단 절곡기(TBM)로 구분된다.
구제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 제조 시스템은 종방향 2단 절곡기(LBM2), 종방향 1단 절곡기(LBM1), 포밍기(FMM), 절첩기(FLM), 횡방향 2단절곡기(TBM), 로봇암(R) 및 이송컨베이어(CV)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종방향 2단절곡기(LBM2)는 4대, 종방향 1단 절곡기(LBM1) 2대, 포밍기(FMM) 2대, 절첩기(FLM) 2대, 횡방향 2단절곡기(TBM) N개, 로봇암(R) 및 이송컨베이어(CV)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N은 제작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수치로, 구체적으로는, N은 함체의 횡방향 부재의 개수×2로, N=(수납공간의 개수+1)*2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설비는 공정별로 이송컨베이어(CV)를 따라 설치되는데, 이송컨베이어(CV) 일측으로 종방향 2단 절곡기(TBM) 2대, 종방향 1단 절곡기(LBM1) 1대, 포밍기(FMM) 1대, 절첩기(FLM) 1대, 횡방향 2단절곡기(TBM) N/2개가 설치되고, 이송컨베이어(CV) 타측으로 동일한 설비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생산공정을 각 단계별로 하나의 장비에서 수행되도록 하여, 공정 지연시간을 최소화하여 높은 생산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건축구조물용 함체 제조 시스템의 설비구성은, 설비 구성 비용 대비 생산속도를 감안하여 최적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이송컨베이이어(CV)의 이동 속도는 단위 작업시간이 가장 긴 단위 공정의 작업시간에 맞춰 지게 되고, 다른 단위 공정에서는 그 만큼 대기시간(공정 지연시간)이 발생되므로, 본 발명과 같이, 각 공정이 단계적으로 연속하여 실행되는 제조 시스템의 생산속도는 각 설비에서 이루어지는 단위 공정시간이 동일하게 구성될 때, 각 설비에서 지연시간이 발생되지 않아 최대가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종방향 2단 절곡기(LBM2), 종방향 1단 절곡기(LBM1), 포밍기(FMM), 절첩기(FLM) 및 횡방향 2단절곡기(TBM)의 작업시간을 대비하여 살피면, 절곡기의 경우, 작업 대상물을 수평방향으로 이동 후, 한번의 프레싱에 의해 수행되므로, 작업시간은 거의 동일하다.
절첩기는 작업 대상물을 수평/수직 방향으로 이송 후, 프레싱 작엄 후 작업대상물을 다시 수직/수평방향으로 이송할 뿐만 아니라, 프레싱 공정도 몰드의 상대적 운동에 의해 수행되는 바, 절곡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업시간이 길게 소요된다.
한편, 포밍기의 경우, 가압롤러가 단순히 가압회전하여 작업 대상물을 해밍할 뿐만 아니라, 가공의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이 비교적 짧게 소요된다.
이에 도 12에 도시된 설비 구성에서, 최대 단위공정 시간은 절첩공정에서 발생되고, 상기 절첩공정의 단위 공정 시간에 의해 함체의 생산속도가 결정된다. 이와 같은 설비 구성은 생산속도 향상에는 큰 효과가 있으나, 장비의 수가 매우 많아져, 장비 마련 비용이 높아지고, 설비가 설치될 공장 면적이 넓어져, 설비 투자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2단 절곡기에 2단 절곡 몰드를 적용하여, 설비의 구성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설비를 간소화시키면서도 함체의 생산속도는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2단 절곡 몰드가 채택된 종방향 2단 절곡기(LBM2) 1대, 종방향 1단 절곡기(LBM1) 1대, 포밍기(FMM) 1대, 절첩기(FLM) 1대 및 2단 절곡 몰드가 채택된 횡방향 2단 절곡기(TBM) N/4 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종방향 2단 절곡기(TBM)는 2단 절곡 몰드가 채택되었으므로, 작업 대상물을 상부몰드(410)와 중간몰드(420) 사이에서 제1 절곡부(C1)를 가공하고, 하부몰드(430)와 중간몰드(420) 사이에서 제2 절곡부(D1)를 가공한다.
이후, 작업 대상물을 회전시켜, 타측의 제1 절곡부(C1) 및 제2 절곡부(D1)를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한다.
즉, 상기 종방향 2단 절곡기(LBM2)는 함체 프레임(100)의 좌우측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를 모두 가공하게 되는데, 이때, 단위 공정 시간은 4번의 프레싱과 이들 사이에 부재를 이동/회전 시키는 시간으로 규정된다.
한편, 종방향 1단 절곡기(LBM1) 및 포밍기(FMM)는 하나의 단위 공정에서 작동되는데, 로봇암(R)이 작업 대상물을 종방향 1단 절곡기(LBM1)에 배치하여, 제 3 절곡부(G1)를 가공하고, 포밍기(FMM)로 이동시켜 절첩부에 대한 밴딩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로봇암(R)을 작업 대상물을 회전시켜 함체 프레임의 타측에 대하여도 제 3 절곡부(G1) 가공 및 포밍 공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 단위 공정 시간은 2번의 프레싱과 2번의 밴딩 및 이들 사이에 부재를 이동/회전 시키는 시간으로 규정되는데, 상기 횡방향 2단 절곡기(TBM)에 의해 단위 공정 시간과 거의 동일하게 소요된다.
한편, 절첩기는 2번의 절첩공정을 통해 함체 프레임 좌우측의 절첩부 절첩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단위공정시간은 2번의 절첩 프레싱과 작업 대상물의 수평/수직/회전 시간에 의해 규정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해당 단위공정시간은 횡방향 2단 절곡기에 의해 단위 공정 시간보다 짧게 형성되나, 그 차이가 크지 않게 형성된다.
그리고 횡방향 2단 절곡기(TBM)는 함체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4곳의 횡방향 절곡부(E11,E12, ....)를 순차적으로 절곡하고, 이때, 단위 고정 시간은 횡방향 2단 절곡기(TBM)에 의해 단위 공정 시간과 거의 동일하게 소요된다.
즉,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종방향 2단 절곡기(LBM2)의 경우 1/4, 다른 장비의 경우 1/2로 설비를 간소화시며, 설비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키면서도, 단일 작업시간이 짧은 절곡공정 4회와 단일 작업시간이 긴 절첩공정을 2회를 단위 공종으로 설계하여, 생산속도의 감소는 매우 작게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곡기에 대하여 살피면,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함체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절첩기(FLM)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이에 사용되는 하방몰드(5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기(FLM)는 받침대(510), 하방몰드(530), 상방몰드(550) 및 프레스(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510)는 상기 하방몰드(53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양측으로 경사진 경사지지면(520)과, 상기 경사지지면(520)에 하방몰드(5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5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방몰드(530)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중앙부분에 이격공간을 중심으로 외측몰드(531)와 내측몰드(533)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외측몰드(531)와 내측몰드(533) 하부는 상기 받침대(510)의 양쪽 경사지지면(520)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외측몰드(531)와 내측몰드(533) 사이의 이격공간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몰드(531)와 내측몰드(533)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하방몰드(530)에 대한 비 가압시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외측몰드(531)와 내측몰드(533) 사이를 이격되어 배치되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몰드(531)와 내측몰드(533) 하부의 경사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턱(521)에 대응하는 형태의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턱과 단턱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외측몰드 및 내측몰드가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프레스(540)는 하부에 상방몰드(550)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방몰드(550)를 통해 상기 하방몰드(530)를 하방으로 가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절첩기(FLM)의 절첩 과정을 살피면, 먼저, 상기 하방몰드(530) 상면에 함체 프레임(100)이 이송되어 배치되는데, 상기 외측몰드(531) 및 내측몰드(533) 사이의 이격공간에 상기 함체 프레임(100)의 절첩부(F1)가 위치하도록 안착된다.
이때, 상기 외측몰드(531) 상면에는 좌측 또는 우측 테두리 전면판(13, 23)이 위치하고, 상기 내측몰드(533) 상면에는 상부, 중간 또는 하부 테두리 전면판(33, 43, 53)이 위치하며, 상기 외측몰드(531)와 내측몰드(533) 이격공간에는 절곡된 테두리 내측판(12, 24) 및 절첩판(36, 56, 46, 37, 57, 47)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외측몰드(531)의 폭은 테두리 전면판(13, 23)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측몰드(533)의 폭은 테두리 전면판(33, 43, 53)의 폭보다 짧게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프레스(540)가 하강하여, 상기 하방몰드(530)를 가압하면, 상기 외측몰드(531)와 내측몰드(53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격공간은 줄어들어, 상기 테두리 내측판(12, 24)과 절첩판(36, 56, 46, 37, 57, 47)이 서로 절첩된다.
이때, 상기 이격공간 상에는 해밍된 테두리 내측 지지판(15, 25)이 위치하는데, 상기 이격공간이 줄어들면서 해밍된 상기 테두리 내측 지지판(15, 25)이 펴지거나 뭉개질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하방몰드(5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몰드(533)의 이격공간 수직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내측지지판 삽입홈(535)이 형성된다. 이에 절첩 공정시 상기 테두리 내측 지지판(15, 25)이 상기 내측지지판 삽입홈(535)에 삽입되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몰드(533) 상면에는 상부, 중간 또는 하부 테두리 전면판(33, 43, 53)이 위치하는데, 상기 내측몰드(533) 전길이에 걸쳐 부재가 모두 안착되는 것이 아니고,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부재가 펀칭되어 비어 있으므로, 해당부분에는 부재가 안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스(540)의 가압시, 외측몰드(531) 및 내측몰드(533) 전체에 하중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아, 절첩면 사이에 미세한 오차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 의한 내측몰드(533) 상면에는 기 설정된 두께(t)로 돌출된 오차보상 돌출면(537)이 형성된다.
즉, 작업대상인 함체 프레임(100)의 수납공간 펀칭 영역이 상기 오차보상 돌출면(537)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부재가 안착된 내측몰드(533)의 상부면과 오차보상 돌출면(537)의 높이가 같도록 상기 오차보상 돌출면(537)의 두께(t)는 작업대상 함체의 부재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설정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몰드(531) 및 내측몰드(533)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다수개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하방몰드(530)의 조립/분해/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대상 함체의 규격(판재두께 등)이 변화되는 경우, 하방몰드(53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에 내부에 내설되는 급/배수 배관, 전기 배관 등의 배관설비 및 양수시설, 소방시설 등의 설비를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들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함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장의 판재로 펀징, 절단, 절곡 및 절첩 공정을 자동화된 설비를 통해 수행하여, 함체 프레임을 자동화된 생산과정을 통해 제작하여, 생산속도 및 제작오차가 최소화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좌측테두리 11 : 좌측테두리 외측지지판
12 : 좌측테두리 외측판 13 : 좌측테두리 전면판
14 : 좌측테두리 내측판 15 : 좌측테두리 내측지지판
16 : 좌측테두리 상측판 17 : 좌측테두리 상측지지판
18 : 좌측테두리 하측판 19 : 좌측테두리 하측지지판
20 : 우측테두리 21 : 우측테두리 외측지지판
22 : 우측테두리 외측판 23 : 우측테두리 전면판
24 : 우측테두리 내측판 25 : 우측테두리 내측지지판
30 : 상부테두리 31 : 상부테두리 외측지지판
32 : 상부테두리 외측판 33 : 상부테두리 전면판
34 : 상부테두리 내측판 35 : 상부테두리 내측지지판
36 : 좌측 상부 절첩판 37 : 우측 상부 절첩판
40 : 하부테두리 41 : 하부테두리 외측지지판
42 : 하부테두리 외측판 43 : 하부테두리 전면판
44 : 하부테두리 내측판 45 : 하부테두리 내측지지판
46 : 좌측 하부 절첩판 47 : 좌측 하부 절첩판
50 : 중간테두리 51 : 중간테두리 상측지지판
52 : 중간테두리 상측판 53 : 중간테두리 전면판
54 : 중간테두리 하측판 55 : 증간테두리 하측지지판
56 : 좌측 중간 절첩판 57 : 좌측 중간 절첩판
100 : 함체 프레임 200 : 도어
200A : 상부도어 200B : 하부도어
210A, 210B : 절개부 220A 220B : 도어 상측판
230A, 230B : 도어 하측판 240A, 240B : 도어 측면판
250A, 250B :핀결합공 320 : 탄성핀
323 : 파지부 321 : 확장부
310A, 310B : 브래킷 340 : 중력핀
342 : 확장면 400 : 성형몰드
410 : 상부 몰드 411 : 상부 몰드 하단면
420 : 중간 몰드 421 : 중간 몰드 상단면
422 : 중간 몰드 하단면 430 : 하부 몰드
431 : 하부 몰드 상단면 510 : 받침대
520 : 경사지지면 530 :하방몰드
540 : 프레스 550 : 상방몰드
531 : 외측몰드 533 : 내측몰드
535 : 내측지지판 삽입홈 537 : 모차보상 돌출면
A1 : 중앙부 B1 : 외곽부
C1 : 제1 절곡부 D1 : 제2 절곡부
E11 ~ E16 : 횡방향 절곡부 F1 : 절첩부
G1 : 제3 절곡부 H : 절개부
LBM1 : 종방향 1단 절곡기 LBM2 : 종방향 2단 절곡기 :
TBM : 횡방향 2단 절곡기 FMM : 포밍기
FLM : 절첩기

Claims (13)

  1. 측면테두리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테두리 외측판과;
    상기 측면테두리 외측판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측면테두리 외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측면테두리 외측지지판과;
    측면테두리 외측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측면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측면테두리 전면판과;
    상기 측면테두리 전면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측면테두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에 접하도록 절첩되는 상부 절첩판과;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에 접하는 하부 절첩판과;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 중간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에 접하는 중간 절첩판과;
    상기 상부 절첩판과 상기 중간 절첩판 및 상기 중간 절첩판과 상기 하부절첩판 사이에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측면테두리 내측지지판; 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좌우측 상부 절첩판 사이에 형성되어, 절첩 후 상기 함체 프레임의 상부테두리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상부테두리 전면판과;
    상기 상부테두리 전면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부테두리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부테두리 외측판과;
    상기 상부테두리 외측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상부테두리 외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상부테두리 외측지지판과;
    상기 상부테두리 전면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상부테두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상부테두리 내측판과;
    상기 상부테두리 내측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상부테두리 내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상부테두리 내측지지판과;
    좌우측 하부 절첩판 사이에 형성되어, 절첩 후 상기 함체 프레임의 하부테두리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하부테두리 전면판과;
    상기 하부테두리 전면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하부테두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하부테두리 내측판과;
    상기 하부테두리 내측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하부테두리 내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하부테두리 내측지지판과;
    상기 하부테두리 전면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하부테두리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하부테두리 외측판과;
    상기 하부테두리 외측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하부테두리 외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하부테두리 외측지지판;
    좌우측 중간 절첩판 사이에 형성되어, 절첩 후 상기 함체 프레임의 중간테두리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중간테두리 전면판과;
    상기 중간테두리 전면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중간테두리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중간테두리 상측판과;
    상기 중간테두리 상측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중간테두리 상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중간테두리 상측지지판과;
    상기 중간테두리 상측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중간테두리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중간테두리 하측판과;
    상기 중간테두리 하측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첩 후 설치 시공면에 면접하여 상기 중간테두리 하측판을 설치 시공면상에 지지하는 중간테두리 하측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함체 프레임과;
    상기 상부 테두리 내측판 및 중간 테두리 상측판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 테두리 전면판과 중간 테두리 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테두리 내측판 및 중간 테두리 하측판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중간 테두리 전면판과 하부 테두리 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하부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를 제조함에 있어,
    (a) 한 장의 판재에서 중앙부를 펀칭하여 제거하고, 외곽부를 절삭하는 단계와;
    (b) 상부 절첩판 및 하부 절첩판과 측면테두리 내측지지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절개라인를 커팅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측면테두리 내측지지판과 측면테두리 내측판의 경계선 및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측면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d) 측면테두리 전면판과 측면테두리 외측판의 경계선 및 측면테두리 외측판과 측면테두리 외측지지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e) 상부테두리 전면판과 상부 절첩판의 경계선 및 하부테두리 전면판과 하부 절첩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제3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f)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절첩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절첩라인을 절첩하여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절첩판을 면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일측의 측면테두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g) 상기 단계 (c) 내지 (f)를 반복하여 타측의 측면테두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h) 상부테두리 외측판과 상부 테두리 외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상부테두리 외측판과 상부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상부테두리 상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i) 상부테두리 내측판과 상부 테두리 내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상부테두리 내측판과 상부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상부테두리 하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j) 중간테두리 상측판과 중간테두리 상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중간테두리 상측판과 중간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중간테두리 상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k) 중간테두리 하측판과 중간 테두리 하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중간테두리 하측판과 중간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중간테두리 하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l) 하부테두리 내측판과 하부 테두리 내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하부테두리 내측판과 하부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하부테두리 상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m) 하부테두리 외측판과 하부 테두리 외측 지지판의 경계선 및 하부테두리 외측판과 하부테두리 전면판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하부테두리 하측 절곡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n) 상기 중간테두리 전면판과 하부테두리 전면판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하부 도어를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o) 상기 중간테두리 전면판과 상부테두리 전면판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상부 도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c)단계의 제1절곡부 및 상기 제(d)단계의 제2절곡부는,
    각각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단일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c)단계의 제1절곡부 및 상기 제(d)단계의 제2절곡부는,
    상기 상부 몰드 하단면과 중간 몰드 상단면 사이에 '' 형태의 제1 2단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몰드 하단면과 하부 몰드 상단면 사이에 '' 형태의 제2 2단절곡면이 형성되되,
    상기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는, 몰드 단면부가 경사 방향으로 회전된 '' 및 '' 형태로 형성된 종방향 2단 절곡기에 의해 순차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e)단계의 제3절곡부는,
    1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단일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f)단계는,
    (f1) 상기 상부 절첩판, 중간 절첩판 및 하부 절첩판에 대하여, 측면테두리 내측판이 예각을 이루도록 포밍기를 이용하여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을 밴딩하는 단계와;
    (f2) 예각으로 밴딩된 절첩라인을 절첩기를 통해 밀착 고정하여, 상기 측면테두리 내측판과 절첩판을 면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h)단계의 상부테두리 상측 절곡부, 상기 제(i)단계의 상부테두리 하측 절곡부, 상기 제(j)단계의 중간테두리 상측 절곡부, 상기 제(k)단계의 중간테두리 하측 절곡부, 상기 제(l)단계의 하부테두리 상측 절곡부 및 상기 제(m)단계의 하부테두리 하측 절곡부는,
    각각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단일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h)단계 및 상기 제(i)단계와, 상기 제(j)단계 및 상기 제(k)단계 그리고 상기 제(l)단계 및 상기 제(m)단계는,
    각각 상기 상부 몰드 하단면과 중간 몰드 상단면 사이에 '' 형태의 제1 2단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몰드 하단면과 하부 몰드 상단면 사이에 '' 형태의 제2 2단절곡면이 형성되되,
    상기 2단 절곡면이 형성된 성형몰드는, 몰드 단면부가 경사 방향으로 회전된 '' 및 '' 형태로 형성된 종방향 2단 절곡기에 의해 순차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는,
    일측이 상기 하부 테두리 상측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고, 직경이 확장 형성된 확장면이 상기 하부 테두리 상측판 상면에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하부 도어 하측판에 형성된 핀결합공을 관통하는 제2중력핀과;
    상기 중간 테두리 하측판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하부 도어 상측판에 형성된 핀결합공을 관통하도록 타측 단부가 연장 형성된 상기 제1중력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는,
    일측이 상기 상부 테두리 내측판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상부 도어 상측판에 형성된 핀결합공을 관통하는 탄성핀과;
    일측이 상기 상부 도어 하측판에 형성된 핀결합공을 관통하고, 직경이 확장 형성된 확장면이 상기 중간 테두리 상측판 상면에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중간 테두리 상측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1중력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헌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기는,
    양측으로 경사진 경사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지지면에 단차진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중앙부분의 이격공간을 중심으로 외측몰드와 내측몰드로 구분되며, 상기 경사지지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외측몰드와 내측몰드 사이의 이격공간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하방몰드와;
    상기 작업 대상물과 하방몰드를 하방으로 가압시키는 프레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몰드 상면에는 상기 테두리 전면판이 위치하고,
    상기 내측몰드 상면에는 상부, 중간 또는 하부 테두리 전면판이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외측몰드와 내측몰드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하방몰드의 비 가압시, 상기 외측몰드와 내측몰드가 서로 이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몰드와 내측몰드 하부의 경사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턱에 대응하는 형태의 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KR1020220090652A 2022-07-21 2022-07-21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KR20240012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652A KR20240012994A (ko) 2022-07-21 2022-07-21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652A KR20240012994A (ko) 2022-07-21 2022-07-21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994A true KR20240012994A (ko) 2024-01-30

Family

ID=8971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652A KR20240012994A (ko) 2022-07-21 2022-07-21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99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29A (ko) 1994-06-30 1996-01-25 유현식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9990037620A (ko) 1998-12-29 1999-05-25 박흥식 파이프덕트 캐비넷
KR100204645B1 (ko) 1992-12-21 1999-06-15 미로슬라브하넥카 스포트라이트,프로젝터 및 확대 장치에 사용되는 조명 장치_
KR20070028199A (ko) 2005-09-07 2007-03-12 송미영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KR101897592B1 (ko) 2017-09-06 2018-10-31 엄상용 건식 배관덕트 함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645B1 (ko) 1992-12-21 1999-06-15 미로슬라브하넥카 스포트라이트,프로젝터 및 확대 장치에 사용되는 조명 장치_
KR960001029A (ko) 1994-06-30 1996-01-25 유현식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9990037620A (ko) 1998-12-29 1999-05-25 박흥식 파이프덕트 캐비넷
KR20070028199A (ko) 2005-09-07 2007-03-12 송미영 건물 배관 수납함 조립체
KR101897592B1 (ko) 2017-09-06 2018-10-31 엄상용 건식 배관덕트 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592B1 (ko) 건식 배관덕트 함체
CN114182985B (zh) 一种用于模块化组装合成建筑的可逆自锁互连系统
US20210140225A1 (en) Connection member for construction materials, connecting fitting therefor, connecting structure therefor, and connecting method therefor
CN109038397B (zh) 具有机电管线支架的装配式建筑结构及其安装方法
WO2006096899A3 (de) Rahmen für gebäude
KR101134180B1 (ko) 피벗힌지 결합을 위한 보강재 및 용접이 필요 없는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12994A (ko)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KR20240013297A (ko)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생산 시스템
KR20240012908A (ko) 건축구조물용 함체
JPH05172281A (ja) ダクトの組立方法及びそのダクトのはぜ継手構造
CN112575933A (zh) 一种超大异形曲面珐琅板造型单元式幕墙系统
US20220220793A1 (en) Connecting fitting construction materials and connecting method therefor
KR101099103B1 (ko) 적층식 외벽패널의 용이 설치 및 교체를 위한 고정체 구조
KR20170122326A (ko)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CN212054311U (zh) 一种可完全开启的暗门结构
US11746586B2 (en) Connect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terials, connecting structure therefor, and connecting method therefor
KR10189852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KR20190044416A (ko) 덕트용 건식 함체
JP7105822B2 (ja) 建材の連結具、そ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方法
KR20240013713A (ko) 결합식 함체 프레임
JP7105821B2 (ja) 建材の連結具、そ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方法
JPH1122315A (ja) ドア枠の構造
KR20240013714A (ko) 결합식 함체 프레임
KR101097368B1 (ko)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
JP7391587B2 (ja) 外壁パネル取り付け補助具及び外壁パネル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