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326A -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326A
KR20170122326A KR1020160050766A KR20160050766A KR20170122326A KR 20170122326 A KR20170122326 A KR 20170122326A KR 1020160050766 A KR1020160050766 A KR 1020160050766A KR 20160050766 A KR20160050766 A KR 20160050766A KR 20170122326 A KR20170122326 A KR 20170122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panel
fixing
fixed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263B1 (ko
Inventor
박중석
Original Assignee
정일석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석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일석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26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용 패널(특히, 외벽 패널)을 건축물 슬래브 전면에 고정시킴에 있어, 최근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화된 단열 구조(단열층 두께 확충) 개선지침(에너지관리공단의 지침)에 적합하면서 단열층 두께 확충에 대응하도록 길이가 연장된 고정구가 안정적으로 건축용 패널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를 별도 마련하여 건축용 패널을 시공하는 현장에서 즉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 간 결합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FASTENER OF BUILDING PANEL}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용 패널(특히, 외벽 패널)을 건축물 슬래브 전면에 고정시킴에 있어, 최근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화된 단열 구조(단열층 두께 확충) 개선지침(에너지관리공단의 지침)에 적합하면서 단열층 두께 확충에 대응하도록 길이가 연장된 고정구가 안정적으로 건축용 패널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를 별도 마련하여 건축용 패널을 시공하는 현장에서 즉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 간 결합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이나 화강암과 같은 건축용 석재 패널은 통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가공 제작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다수가 나란한 상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커튼월을 형성하도록 외벽 패널(외장벽)로 마감 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건축용 외벽 패널 예컨대, 석재 패널(30)을 건축물의 외벽으로 마감하여 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통상 앵커와 브래킷(42) 및 볼트(43)와 같은 다수의 고정구들을 이용하여 트러스(20)를 건축물 슬라브에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트러스(20)는 각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가 일정한 규격의 격자형 단위 모듈을 이루도록 철제틀로 제작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트러스(20)에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은 “ㄴ"형 앵커 또는 브래킷 및 볼트, 너트 등과 같은 다수의 체결부재(51 내지 59)를 이용하여 석재 패널(30)을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외벽체를 시공하며, 이와 같이 시공하는 것을 통상 오픈조인트(OPEN-JOINT)공법이라 한다. 오픈조인트공법이란, 외벽에서 판재와 판재 사이에 기존까지 사용되던 Sealant를 이용한 코오킹 처리를 하지 않고 줄 눈을 열어놓는 공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건축물 외벽 패널의 시공구조에 따르면, 앵커 또는 브래킷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다수의 고정과 관련된 체결부재(고정구)가 소요되므로, 시공준비시간과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건축물 외벽 패널의 시공구조에서 고정구 예컨대, “ㄴ"형 브래킷(파스너)이 건축물 외벽 패널의 하중 또는 외압(위에서 내리눌려지는 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꺾여서 건축물 외벽 패널의 시공된 배열 상태가 불규칙하게 변형되거나, 심한 경우 건축물 외벽 패널이 브래킷(파스너)에서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에너지관리공단에서 건설회사로 하달된 지침이 있는데, 이는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열 구조의 개선 예컨대, 단열층 두께 확충에 대한 항목이 있다. 즉, 단열재의 두께를 확충시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는데, 종래 상기와 같은 “ㄴ"형 앵커 또는 브래킷(파스너)을 이용하는 경우, 건축물의 슬리브 전면과 건축물 외벽 패널 사이에 확충된 단열재를 인입 설치하기 위해서는 브래킷(파스너)의 수평 방향 길이를 길게 연장시켜야 하므로, 건축물 외벽 패널의 하중 또는 외압에 의해 브래킷(파스너)이 하방으로 꺾여서 건축물 외벽 패널의 시공된 배열 상태가 불규칙하게 변형되거나, 건축물 외벽 패널이 브래킷(파스너)에서 탈리되는 문제점이 더욱 심화되므로, 이에 대한 구조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구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고정구의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 고정구는 통상 재질이 SUS(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 제조 원가는 더욱 상승하게 된다.
이 밖에도, 종래 건축패널 고정구조의 선행기술을 소개한 문헌은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문헌1 :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01005호(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조립장치 ; 출원일 : 2007년03월16일)
문헌2 :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4245호(건축외장채 설치용 고정구용 ; 출원일 : 2012년05월3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건축용 패널(특히, 외벽 패널)을 건축물 슬래브 전면에 고정시킴에 있어, 최근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화된 단열 구조(단열층 두께 확충) 개선지침(에너지관리공단의 지침)에 적합하면서 단열층 두께 확충에 대응하도록 길이가 연장된 고정구가 안정적으로 건축용 패널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를 별도 마련하여 건축용 패널을 시공하는 현장에서 즉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 간 결합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벽면(W)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12)와 수평지지부(11)로 이루어진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10)에 있어서, 단열체(T)의 두께 확장에 따라 길이가 확장된 절곡형 판체 또는 파이프로서, 판체 또는 파이프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슬라이드 지지 경로인 고정지지수단1(11a)과, 선단부에 패널(P)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재(1)의 결합부위(11b') 또는 패널(P) 자체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위(11b")를 갖는 수평지지부(11); 벽면고정부위(12a)의 양측 단으로부터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어 수평지지부(11)에 대한 확장된 지지 길이를 제공하는 측면지지부위(12b)와, 측면지지부위(12b)의 마주하는 면에 상기 수평지지부(11)의 고정지지수단1(11a)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부위와 결합된 상태에서 선형적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지지수단2(12c)를 갖는 수직지지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수직지지부(12)의 벽면고정부위(12a) 양측 단부에 측면지지부위(12b)를 절곡 연장(예 : 수평지지부(11)의 길이의 1/2 정도)시킴으로써, 단열체(T)의 두께 확충에 따라 길이가 길어지는 수평지지부(11)가 단열체(T)와 패널(P)의 하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중 스트레스에 대한 안정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지지부(12)에 대해 수평지지부(11)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 용이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축용 패널 고정구(10) 자체의 설치 및 패널(P) 시공에 따라 작업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지지부(12)에 대해 수평지지부(11)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어지되, 벽면(W)과 패널(P)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체(T)의 두께에 따라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단열체(T)에 대응하여 패널(P)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호환성 내지 적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지지부(11)의 양 측면이 "┏┓" 형상이 되도록 하향 절곡 또는 "┗┛" 형상이 되도록 상향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각형(직사각)의 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평면의 판체 형상으로 되었을 때보다 입체적으로 지지력을 보강하게 되므로, 패널(P)의 하중 또는 외부에서 눌리면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지지부(12)에 대해 슬라이드 결합되는 수직지지부(12)의 면접 부위를 관통하는 결합핀 또는 볼트 또는 리벳 고정되어서 고정력이 보강되도록 함으로써, 수평지지부(11)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관련하여 결합 유지력과 설치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건축물 패널의 고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건축물 패널의 다른 고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다른 결합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하중에 대한 지지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 보강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10)는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12)와 수평지지부(11)로 이루어진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10)에 있어서, 단열체(T)의 두께 확장에 따라 길이가 확장된 절곡형 판체 또는 파이프로서, 판체 또는 파이프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슬라이드 지지 경로인 고정지지수단1(11a)과, 선단부에 패널(P)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재(1)의 결합부위(11b') 또는 패널(P) 자체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위(11b")를 갖는 수평지지부(11); 벽면고정부위(12a)의 양측 단으로부터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어 수평지지부(11)에 대한 확장된 지지 길이를 제공하는 측면지지부위(12b)와, 측면지지부위(12b)의 마주하는 면에 상기 수평지지부(11)의 고정지지수단1(11a)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부위와 결합된 상태에서 선형적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지지수단2(12c)을 갖는 수직지지부(1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인 고정구(10)는 강철(Steel)과 같은 금속 또는 알루미늄합금 또는 마그네슘합금과 같은 비철금속합금 또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는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내열성 내구성을 갖는 건축용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강철로 이루어진 경우, 아연도금이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수평지지부(11)는 판체의 장축방향 양 측면이 "┏┓" 형상이 되도록 하향 절곡 또는 "┗┛" 형상이 되도록 상향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각형(직사각)의 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된 수평지지부(11)의 양 측면 부분이 지지보강부위가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평지지부(11)에 마련되는 고정지지수단1(11a)은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11)의 전방(패널(P)이 고정되는 방향의 단부) 상부면은 결합부위(11b')로 작용하여, 별도의 판체 형상으로 된 패널 고정부재(1)가 고정되고, 고정부재(1) 선단부에 패널(P)이 고정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고정부재(1)는 수평지지부(11)의 결합부위(11b') 하부면과 수평지지부(11)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고정지지수단1(11a) 사이로 슬라이드 되어 좌우 유동없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11)는 전방 상단 수평면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고정부위(11b")로 작용하여, 고정부위(11b") 선단부에 패널(P)이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도 6 참조)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수직지지부(12)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체로서, 벽면에 고정되는 수직면으로 된 벽면고정부위(12a)의 양측 단부가 마주하면서 절곡 연장되어 측면지지부위(12b)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부(12)의 벽면고정부위(12a)는 벽면(W)과 밀착되는 면으로서,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의 조임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12)의 벽면고정부위(12b)는 절곡 연장되는 양측 또는 일측의 길이가 상기 수평지지부(11)의 1/3 내지 1/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12)의 고정지지수단2(12c)는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지지부(12)의 고정지지수단2(12c)과 수평지지부(11)의 고정지지수단1(11a)은 상호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도록 되어, 자체적으로 고정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일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단열체(T)의 두께 확장에 따라 길이가 확장된 절곡형 판체 또는 파이프로서, 판체 또는 파이프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슬라이드 지지 경로인 고정지지수단1(11a)과, 선단부에 패널(P)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재(1)의 결합부위(11b') 또는 패널(P) 자체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위(11b")를 갖는 수평지지부(11); 벽면고정부위(12a)의 양측 단으로부터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어 수평지지부(11)에 대한 확장된 지지 길이를 제공하는 측면지지부위(12b)와, 측면지지부위(12b)의 마주하는 면에 상기 수평지지부(11)의 고정지지수단1(11a)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부위와 결합된 상태에서 선형적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지지수단2(12b)을 갖는 수직지지부(12);를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10)이다.
이러한 본 발명 중 상기 수평지지부(11)는 판체의 장축방향 양 측면이 "┏┓" 형상이 되도록 하향 절곡 또는 "┗┛" 형상이 되도록 상향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각형(직사각)의 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고정구(10)를 구성하는 수평지지부(11)의 양 측면이 "┏┓" 형상이 되도록 하향 절곡 또는 "┗┛" 형상이 되도록 상향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각형(직사각)의 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평면의 판체 형상으로 되었을 때보다 입체적으로 지지력을 보강하게 되므로, 패널(P)의 하중 또는 외부에서 눌리면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수직지지부(12)의 벽면고정부위(12b)는 절곡 연장되는 양측 또는 일측의 길이가 상기 수평지지부(11)의 1/3 내지 1/2 길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고정구(10)를 구성하는 수직지지부(12)의 벽면고정부위(12a) 양측 단부에 측면지지부위(12b)의 길이가 수평지지부(11)의 1/3 내지 1/2 길이로 이루어짐으로써, 단열체(T)의 두께 확충에 따라 길이가 길어지는 수평지지부(11)가 단열체(T)와 패널(P)의 하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중 스트레스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부(11)에 마련되는 고정지지수단1(11a)과 수직지지부(12)에 마련되는 고정지지수단2(12c)은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홈들로서, 상호 끼워져 슬라이드되는 구조이면 만족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수직지지부(12)에 대해 수평지지부(11)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 용이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축용 패널 고정구(10) 자체의 설치 및 패널(P) 시공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지지부(12)에 대해 수평지지부(11)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어지되, 벽면(W)과 패널(P)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체(T)의 두께에 따라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단열체(T)에 대응하여 패널(P)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호환성 내지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에 수직지지부(12)가 고정되고, 상기 수직지지부(12)의 마주하는 측면지지부위(12b)에 각각 마련된 고정지지수단2(12c)에 수평지지부(11)의 고정지지수단1(11a)이 슬라이드되어 결합되는데, 이때, 수평지지부(11)의 슬라이드 되는 정도는 단열체(T)의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지지부(11)의 선단부인 결합부위(11b')에 별도의 판체 형상으로 된 패널 고정부재(1)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재(1) 선단부에 패널(P)을 고정시켜 시공한다. 물론, 이때, 상기 고정부재(1)의 고정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패널(P)의 배열이 평평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는 수평지지부(11)의 결합부위(11b') 하부면과 수평지지부(11)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고정지지수단1(11a) 사이로 슬라이드 되어 좌우 유동없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에 수직지지부(12)가 고정되고, 상기 수직지지부(12)의 마주하는 측면지지부위(12b)에 각각 마련된 고정지지수단2(12c)에 수평지지부(11)의 고정지지수단1(11a)이 슬라이드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지지부(11)의 선단부인 고정부위(11b")에 직접 패널(P)을 고정시켜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부(12)의 고정지지수단2(12c)에 수평지지부(11)의 고정지지수단1(11a)이 슬라이드되어 끼워진 상태가 되므로,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려는 수평지지부(11)를 수직지지부(12)의 고정지지수단2(12c)가 양측에서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한다.
이때,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부(12)에 대해 슬라이드 결합되는 수직지지부(12)의 면접 부위를 관통하는 결합핀 또는 볼트 또는 리벳 고정되어서 고정력이 보강되도록 함으로써, 수평지지부(11)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관련하여 결합 유지력과 설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13)이 수직지지부(12)와 수평지지부(11)의 양 측면의 면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길이 조절용 장공들을 관통 횡단하여 결합력과 지지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핀(13)은 '┏┓'자 형상으로 절곡된 것으로 양단은 탄력적 구속력을 제공하여 상기와 같이 횡단한 상태에서 수직지지부(12)의 양측 외부면을 압박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12)와 수평지지부(11)의 양 측면의 면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길이 조절용 장공들은 길이 조절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나, 상기 결합핀(13)이 끼워지는 통로로 작용하기도 하며, 건물 벽면 부분에 패널(P)들이 모두 시공된 상태에서 어느 한 패널(P)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걸고리와 같이 도구를 패널(P)과 패널(P) 사이의 틈으로 집어넣고 잡아당기면, 해당 패널(P)만 인출이 가능하게 되며, 이후, 교체 패널(P)을 수평지지부(11)에 고정시킨 후 밀어넣고 패널(P) 간의 평평도를 맞추면 손쉽게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것이 가능한 것은 상기 수직지지부(12)의 고정지지수단2(12c)과 수평지지부(11)의 고정지지수단1(11a)가 상호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13)을 대신하여 나사(볼트 ; 14) 또는 리벳핀이 수직지지부(12)와 수평지지부(11)를 관통 횡단하여 결합력과 지지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부(12)에는 원형의 통공이 마련되고, 수평지지부(11)에는 이에 대응되는 길이 조절용 장공들이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고정구 11 : 수평지지부
11a : 고정지지수단1 11b' : 결합부위
11b" : 고정부위 12 : 수직지지부
12a : 벽면고정부위 12b : 측면지지부위
12c : 고정지지수단2 13 : 결합핀
14 : 나사 1 : 고정부재
W : 벽면 P : 패널
T : 단열체

Claims (7)

  1. 본 발명은 벽면(W)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12)와 수평지지부(11)로 이루어진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10)에 있어서,
    단열체(T)의 두께 확장에 따라 길이가 확장된 절곡형 판체 또는 파이프로서, 판체 또는 파이프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슬라이드 지지 경로인 고정지지수단1(11a)과, 선단부에 패널(P)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재(1)의 결합부위(11b') 또는 패널(P) 자체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위(11b")를 갖는 수평지지부(11);
    벽면고정부위(12a)의 양측 단으로부터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어 수평지지부(11)에 대한 확장된 지지 길이를 제공하는 측면지지부위(12b)와, 측면지지부위(12b)의 마주하는 면에 상기 수평지지부(11)의 고정지지수단1(11a)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부위와 결합된 상태에서 선형적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지지수단2(12b)을 갖는 수직지지부(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11)는 판체의 장축방향 양 측면이 "┏┓" 형상이 되도록 하향 절곡 또는 "┗┛" 형상이 되도록 상향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각형(직사각)의 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된 수평지지부(11)의 양 측면 부분이 지지보강부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11)의 전방 상부면에 별도의 판체 형상으로 된 패널 고정부재(1)가 고정되거나, 수평지지부(11)의 결합부위(11b') 하부면과 수평지지부(11)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고정지지수단1(11a) 사이로 상기 고정부재(1)가 슬라이드 되어 좌우 유동없이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11)는 전방 상단 수평면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고정부위(11b")로 작용하여, 고정부위(11b") 선단부에 패널(P)이 직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12)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체로서, 벽면에 고정되는 수직면으로 된 벽면고정부위(12a)의 양측 단부가 마주하면서 절곡 연장되어 측면지지부위(12b)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11)의 고정지지수단1(11a)과 수직지지부(12)의 고정지지수단2(12c)는 각각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하여 절곡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홈으로서, 상기 수직지지부(12)의 고정지지수단2(12c)과 수평지지부(11)의 고정지지수단1(11a)은 상호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12)에 대해 슬라이드 결합되는 수직지지부(12)의 면접 부위를 결합핀 또는 볼트 또는 리벳이 관통하여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KR1020160050766A 2016-04-26 2016-04-26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KR101872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766A KR101872263B1 (ko) 2016-04-26 2016-04-26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766A KR101872263B1 (ko) 2016-04-26 2016-04-26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326A true KR20170122326A (ko) 2017-11-06
KR101872263B1 KR101872263B1 (ko) 2018-08-03

Family

ID=6038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766A KR101872263B1 (ko) 2016-04-26 2016-04-26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2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762A (ko) *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비엘엠파트너스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2407533B1 (ko) * 2021-06-29 2022-06-10 이지용 교량 점검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232B1 (ko) * 2018-12-17 2021-01-07 주식회사 포스코 천장연결철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585A (ja) 2000-10-30 2002-05-14 Nippon Steel Corp 形鋼部材の接合構造
KR200294360Y1 (ko) 2002-08-22 2002-11-04 오태훈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200420004Y1 (ko) 2006-03-27 2006-06-27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762A (ko) *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비엘엠파트너스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2407533B1 (ko) * 2021-06-29 2022-06-10 이지용 교량 점검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263B1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263B1 (ko)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JP2020533507A (ja) 改良したカーテンウォール方立アンカーシステム
KR102045614B1 (ko)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RU18604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модуля навесных облицовочных панелей на фасад здания
KR20090081056A (ko)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JP4783346B2 (ja) 外装ルーバー取付構造及び外装ルーバー取付方法
GB2454006A (en) A support structure
KR20160004589A (ko) 마감패널 시공용 조립체
KR101685946B1 (ko)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AU2018256603A1 (en) Interlockable partitio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 same
JP6177759B2 (ja) 大判化外壁パネル
RU186046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модуля навесных облицовочных панелей
EP3545148A1 (en) Drywall profile
JP2017066752A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KR101367849B1 (ko) 처짐 방지용 천장패널
KR102474848B1 (ko) 건축물 외장금속패널 시공구조
JP6727090B2 (ja) Alc取付枠とその組立工法
JP6906344B2 (ja) 胴縁取付用金具
JP2020051182A (ja) 仮設建物の壁構造
US11773599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ounting a lightweight architectural masonry product to a building
JP4818741B2 (ja) 設備取付用下地及び界壁下地、並びに界壁パネル
JP5427059B2 (ja) コーナ用壁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DK179704B1 (en) Frame for a wall element
KR200373828Y1 (ko) 욕실용 천장패널 이음부 장식몰딩
KR101840389B1 (ko) 멀티 컨텍트 화스너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