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714A - 결합식 함체 프레임 - Google Patents

결합식 함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714A
KR20240013714A KR1020230096453A KR20230096453A KR20240013714A KR 20240013714 A KR20240013714 A KR 20240013714A KR 1020230096453 A KR1020230096453 A KR 1020230096453A KR 20230096453 A KR20230096453 A KR 20230096453A KR 20240013714 A KR20240013714 A KR 20240013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dge
bending
vertical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6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용
Original Assignee
엄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상용 filed Critical 엄상용
Publication of KR20240013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plate)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 후 각각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부재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 후 각각 상단 테두리, 하단 테두리 및 중간 테두리를 구성하는 상단부재, 하단부재 및 중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단 테두리 및 하단 테두리는, 상기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 사이에서 판재 사이의 끼움 및 맞물림을 통해, 판재의 기본 결합위치가 고정되므로, 발명에서는 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세로부재인 측면테두리와 가로부재인 상단테두리, 중간테두리 및 하단테두리를 정확한 수치에 따라 재단된 판재를 절곡하여 제작하고, 이들을 소정의 위치에 끼워지거나 맞물리도록 하여 시공오차가 발생될 우려성이 없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공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합식 함체 프레임 {SELF ASSEMBLY TYPE 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내부에 내설되는 급/배수 배관, 전기 배관 등의 배관설비 및 양수시설, 소방시설 등의 설비를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들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함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집합건물과 같이 현대 일반화된 건축물에는 건축물의 노출 배관을 수납하기 위한 조립 함체가 복도 등의 공용공간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아파트와 같은 공공주택 등의 다층 건물 축조시 양수설비, 소화전설비, 또는 전기설비 등과 같은 배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납함 조립체는 현재 배관을 용도, 종류, 내구연한 등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입상 배관 시공의 효율성 향상과 배관 유지 보수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함체 프레임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6-0001029호와 같이, 배관의 하자발생 빈도와 용도별 유니트(오폐수, 급수, 급탕, 난방 유니트를 제작하여 필요개소에 따라 단위 유니트를 조립하여 파이프 덕트를 구성하는 기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37620호와 같이, 아파트 세대문과 엘리베이터실 사이에 시공하여 양수설비, 소화전설비, 전기설비 등을 내설시키기 위한 파이프 덕트 캐비넷에 관한 기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04645호와 같이, 전면 개폐문을 힌지로 자유롭게 개폐취급 되도록 구성된 아파트 출입문 옆 수관 및 소화전함 등을 막아주는 패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함체 프레임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들이 용접이나 볼트 체결 방식을 취하고 있어, 제작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 원가가 증가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부재들 간의 단차가 발생하여 제품 불량률이 증가하는 등, 조립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위한 해체시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시공 자동화를 통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7592호에서는 이와 같은 제품의 시공 오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나,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에서는 펀칭된 자재가 폐기되어 자재 소모량이 커지는 단점도 있었다.
(00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6-0001029호 (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75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체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 각 구성 부품의 결합위치가 부재들간의 끼움 또는 맞물림에 의해 정합되도록하여 시공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함체 프레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배관덕트 함체 프레임를 구성함에 있어, 각 구성 부품의 결합시 조립 오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하자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함체 프레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함체 프레임을 제조함에 있어, 원자재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함체 프레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테두리가 소정의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함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함체 프레임은, 판(plate)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 후 각각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부재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 후 각각 상단 테두리, 하단 테두리 및 중간 테두리를 구성하는 상단부재, 하단부재 및 중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단 테두리 및 하단 테두리는, 상기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 사이에서 판재의 단부면이 지지되어 조립되고, 상기 중간 테두리는, 상기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 사이에서 판재와 판재의 관통을 이용한 삽입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조립되고: 한 쌍의 측면부재는 각각,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외측지지판과; 상기 외측지지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외측수직판과; 상기 외측수직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측면전면판과; 상기 측면전면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내측수직판과; 상기 내측수직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내측지지판과; 상기 측면전면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상측수직판과; 상기 상측수직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측지지판과; 상기 측면전면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하측수직판; 그리고 상기 하측수직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하측지지판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는 각각,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외부지지판과; 상기 외부지지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외부수직판과; 상기 외부수직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외부전면판과; 상기 외부전면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내부수직판; 그리고 상기 내부수직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내부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간부재는,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측지지판과; 상기 상측지지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상측수직판과; 상기 상측수직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중간전면판과; 상기 중간전면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하측수직판과; 상기 하측수직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하측지지판과; 상기 중간전면판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상기 좌측 테두리의 내측수직판과 면접하는 좌측 중간지지판; 그리고 상기 중간전면판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상기 우측 테두리의 내측수직판과 면접하는 우측 중간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의 외부전면판 좌우 단부에는, 수직 절곡되어, 상기 내측수직판과 면접하는 좌측 제1결합판과 우측 제1결합판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 수직판 및 상기 내측 지지판의 상하 단부에는, 상기 내측 지지판 단부로부터 상기 내측 수직판의 중간부까지 소정의 폭으로 절개되어, 상기 내측 수직판의 일부구간 및 상기 내측 지지판은 상기 측면전면판 보다 짧은 거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수직판 및 상기 내측 지지판의 절개폭은, 각각 상기 상단부재의 외부지지판 및 하단부재의 외부지지판 폭에 대응하는 길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재의 내부지지판 및 하단부재의 내부지지판의 좌우 양단부는 소정의 길이가 절개되어, 상기 내부수직판 보다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지지판의 단부는 절개길이는, 결합시 면접하는 상기 내측지지판(15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의 외부수직판 좌우 양 단부에는, 절첩돌기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첩돌기가 절곡되어 상기 내측수직판에 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수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절첩돌기는, 상기 외부지지지지판으로부터 절첩돌기의 내측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내측지지판 단부로부터 내측수직판의 절개 깊이와 동일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절첩돌기가 상기 내측수직판의 절개부에 안착시, 성기 측면전면판과 외부전면판 사이에 단차가 없는 정합 위치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의 내부수직판 좌우 양 단부에는, 절첩돌기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수직판에는 상기 절첩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절첩될기가 관통되는 삽입슬릿이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삽입슬롯을 관통 후 절곡되어, 상기 내측수직판에 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내측수직판의 밀착면은,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의 중간전면판 좌우 양단부에는, 절곡 후 상기 내측수직판에 면접하는 중간지지판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지지판 및 하측지지판의 우 양단부는, 소정의 길이가 절개되어, 상기 상측수직판 및 하측수직판 보다 짧게 형되되, 절개길이는 상기 내측지지판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측면부재와 중간부재의 결합시, 상기 상측지지판 및 하측지지판과 상기 내측지지판의 중첩없이 상기 상측수직판 및 하측수직판이 상기 내측수직판과 동일한 높이로 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측수직판 및 하측수직판의 좌우측 양 단부에는, 절첩돌기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수직판에는 상기 절첩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절첩될기들이 관통되는 삽입슬릿들이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삽입슬롯을 관통 후 절곡되어, 상기 내측수직판에 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내측수직판의 밀착면은,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결합식 함체 프레임의 결합 방식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의 외부전면판 좌우 단부에는, 수직 절곡되어, 상기 내측수직판과 면접하는 좌측 제1결합판과 우측 제1결합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측 제1결합판과 우측 제1결합판은 더이상 연장되어 부재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의 상기 내측 지지판의 상단부는, 상기 내측 수직판보다 상기 상단부재의 좌측 제1결합판 및 우측 제1졀합판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판이 제거된 상기 내측 수직판은 상기 상단부재의 좌우측 제1결합판과 면접하여, 일측 내면이 상기 내측수직판을 지지하고, 타측 내면이 상단부재의 상기 제1결합판을 지지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판형의 U자형 체결편에 의해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의 상기 내측 지지판의 하단부는, 상기 내측 수직판보다 상기 하단부재의 좌측 제1결합판 및 우측 제1졀합판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판이 제거된 상기 내측 수직판은 상기 하단부재의 좌우측 제1결합판과 면접하여, 일측 내면이 상기 내측수직판을 지지하고, 타측 내면이 하단부재의 상기 제1결합판을 지지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판형의 U자형 체결편에 의해 끼움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의 중간전면판 좌우 단부에는, 수직 절곡되는 좌측 제1중간지지판 및 우측 제1중간지지판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의 내측지지판 중간부는, 상기 중간부재의 좌우측 제1중간지지판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절개되어 제거되고; 상기 내측 지지판이 제거된 위치의 상기 내측 수직판의 양측 중간부가 상기 중간부재의 좌우측 제1중간지지판과 면접하여, 일측 내면이 상기 내측수직판을 지지하고, 타측 내면이 중간부재의 상기 제1중간지지판을 지지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판형의 U자형 체결편에 의해 끼움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수직판과 U자형 절첩부의 끼움결합위치는, 스폿용접, 리벳시공 또는 볼트/너트 체결 중 어느 하나을 통해 결합력이 보강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용 함체 프레임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세로부재인 측면테두리와 가로부재인 상단테두리, 중간테두리 및 하단테두리를 정확한 수치에 따라 재단된 판재를 절곡하여 제작하고, 이들을 소정의 위치에 끼워지거나 맞물리도록 하여 시공오차가 발생될 우려성이 없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공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자동화 생산공정을 통해 대량생산을 하면서도 펀칭된 부재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자재 소모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자재 원가가 급등하는 시장 환경에서도 단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함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재들의 전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부재들을 절곡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U자형 절곡부의 결합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내부에 내설되는 급/배수 배관, 전기 배관 등의 배관설비 및 양수시설, 소방시설 등의 설비를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들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함체에 있어 도어(D1, D2)를 제외한 함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결합식 함체 프레임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함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재들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부재들을 절곡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U자형 절곡부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결합식 함체 프레임(1000)은 테두리가 소정의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는 좌측 테두리(A), 우측 테두리(B), 상단 테두리(C), 하단 테두리(D) 및 중간 테두리(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함체 프레임(1000)은, 판(plate)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 후 각각 좌측 테두리(A) 및 우측 테두리(B)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부재(100)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 후 각각 상단 테두리(C), 하단 테두리(D) 및 중간 테두리(E)를 구성하는 상단부재(200), 하단부재(300) 및 중간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테두리와 상단테두리, 중간테두리 및 하단테두리를 정확한 수치에 따라 재단된 판재를 절곡하여 제작하고, 이들 절곡/절삭부 위치가 서로 맞물려 지지되어, 각 부재의 결합위치가 정합되도록하여 시공오차가 발생될 우려성이 없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공성이 현저히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100)는 각각,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외측지지판(110)과, 상기 외측지지판(1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외측수직판(120)과, 상기 외측수직판(12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측면전면판(130)과, 상기 측면전면판(13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내측수직판(140)과, 상기 내측수직판(14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내측지지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100)는 각각, 상기 측면전면판(13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상측수직판(160)과, 상기 상측수직판(16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측지지판(170)과, 상기 측면전면판(13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하측수직판(180)과, 상기 하측수직판(18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하측지지판(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100)는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고 각각 좌측 테두리(A)와 우측 테두리(B)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200)는,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외부지지판(210)과, 상기 외부지지판(2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외부수직판(220)과, 상기 외부수직판(22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외부전면판(230)과, 상기 외부전면판(23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내부수직판(240)과, 상기 내부수직판(24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내부지지판(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상단부재(200)는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고 상단 테두리(C)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재(300)는, 상기 상단부재(20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단부재(300) 역시 상단부재(200)와 동일하게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외부지지판(350)과, 상기 외부지지판(35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외부수직판(340)과, 상기 외부수직판(34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외부전면판(330)과, 상기 외부전면판(33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내부수직판(320)과, 상기 내부수직판(32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내부지지판(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하단부재(300)는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고 하단 테두리(D)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400)는,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측지지판(410)과, 상기 상측지지판(4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상측수직판(420)과, 상기 상측수직판(42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중간전면판(430)과, 상기 중간전면판(43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하측수직판(440)과, 상기 하측수직판(44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하측지지판(4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중간부재(400)는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고 중간 테두리(E)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좌측 테두리(A) 및 우측 테두리(B) 사이에서 결합되는 상단 테두리(C) 및 하단 테두리(D)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테두리(C), 하단 테두리(D) 및 중간 테두리(E)가 상기 좌측 테두리(A) 및 우측 테두리(B)와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부재(200)의 외부전면판(230)의 좌우 단부에는 수직 절곡되는 좌측 제1결합판(262)과 우측 제1결합판(272)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단부재(300)의 외부전면판(330)의 좌우 단부에도 수직 절곡되는 좌측 제1결합판(362)과 우측 제1결합판(37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400)의 중간전면판(430)의 좌우 단부에도 수직 절곡되는 좌측 제1중간지지판(462)과 우측 제1중간지지판(472)이 형성된다.
한편, 양측 측면부재(100)의 상기 내측 지지판(150)에는 상단부, 하단부 및 중간부는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제거되는데, 각각의 절개 길이는, 상기 상단부재(200)의 좌우측 제1결합판(262, 272), 상기 중간부재(400)의 좌우측 제1중간지지판(462, 472) 및 상기 하단부재(300)의 좌우측 제1결합판(362, 372) 폭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재(200)의 상기 좌측 제1결합판(262)과 우측 제1결합판(272)은 상기 내측 지지판(150)이 제거된 상기 내측 수직판(140)과 면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지지판(150)이 제거된 상기 내측수직판(140)과 상기 상단부재(200)의 좌우측 제1결합판(262, 272)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체결편(Y)에 의해 끼움 결합된다.
상기 U자형 체결편(Y)은 일측(J1) 내면이 상기 내측수직판(140)을 지지하고, 타측(J2) 내면이 상단부재(200)의 상기 제1결합판(262)을 지지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판재이다.
이때, 상기 U자형 체결편(Y)이 폭은 상기 제1결합판(262, 272)에 대응하는(또는 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단부재(300)도 마찬가지로, 하부의 상기 내측지지판(150)이 제거된 상기 내측수직판(140)은 상기 하단부재(300)의 좌우측 제1결합판(362, 272)과 면접하게 되고, 이들 결합면은 U자형 체결편(Y)에 의해 끼움결합된다.
이때, 상기 U자형 체결편(Y)은 일측 내면이 상기 내측수직판(140)을 지지하고, 타측 내면이 하단부재(300)의 상기 제1결합판(362, 372)을 지지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판재이며, 폭은 상기 하단부재(300)의 상기 제1결합판(362, 372)의 폭 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측 지지판(150)이 제거된 위치의 상기 내측 수직판(140)의 양측 중간부는 상기 중간부재(400)의 좌우측 제1중간지지판(462, 472)과 면접하는데, 이들 접합면 역시 U자형 체결편(Y)에 의해 끼움결합된다.
이때, 상기 U자형 체결편(Y)은 일측 내면이 상기 내측수직판(140)을 지지하고, 타측 내면이 중간부재(400)의 상기 제1중간지지판(462, 472)을 지지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판재이며, 폭은 상기 중단부재(300)의 상기 제1중간지지판(462, 472)의 폭 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U자형 체결편(Y)을 이용하여, 상기 측면부재와 상단부재, 하단부재 및 중간부재가 끼움결합에 의해 단차없이 정위치에 조립된 이후, U자형 체결편(J)의 끼움결합 위치에 스폿용접, 리벳시공, 볼트/너트 체결 등을 시공하여 결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2단 도어가 구비되는 함체프레임을 예돌 들어 서르명하였으나, 도어가 하나인 함체 및 3개 이상인 함체 프레임도 중간부재(400)의 가감으로 동일한 결합원리를 갖는 함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하나인 함체 프레임의 경우, 상기 중간부재(400)를 제외시켜 구현할 수 있고, 도어가 세개인 함체 프레임의 경우, 상기 중간부재(400)를 두개 구비시켜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부재의 기본 결합 방식에 있어, 판재와 판재의 끼움결합 또는 판재와 판재의 맞물림을 이용하여, 기본 결합을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으로 구현하여 발생되는 단차 등의 하자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에 내부에 내설되는 급/배수 배관, 전기 배관 등의 배관설비 및 양수시설, 소방시설 등의 설비를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들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함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세로부재인 측면테두리와 가로부재인 상단테두리, 중간테두리 및 하단테두리를 정확한 수치에 따라 재단된 판재를 절곡하여 제작하고, 이들을 소정의 위치에 끼워지거나 맞물리도록 하여 시공오차가 발생될 우려성이 없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공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00 : 측면부재 110 : 외측지지판
120 : 외측수직판 130 : 측면전면판
140 : 내측수직판 150 : 내측지지판
160 : 상측수직판 170 : 상측지지판
180 : 하측수직판 190 : 하측지지판
200 : 상단부재 210 : 외부지지판
220 : 외부수직판 230 : 외부전면판
240 : 내부수직판 250 : 내부지지판
262 : 좌측 제1결합판 272 : 우측 제1결합판
300 : 하단부재 310 : 내부지지판
320 : 내부수직판 330 : 외부전면판
340 : 외부수직판 350 : 외부지지판
362 : 좌측 제1결합판 372 : 우측 제1결합판
400 : 중간부재 410 : 상측지지판
420 : 상측수직판 430 : 중간전면판
440 : 하측수직판 450 : 하측지지판
462 : 좌측 제1중간지지판 472 : 우측 제1중간지지판
A : 좌측 톄두리 B : 우측 톄두리
C : 상단 톄두리 D : 하단 톄두리
E : 중간 테두리 D1, D2 : 도어
J : U자형 체결편

Claims (6)

  1. 테두리가 소정의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함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함체 프레임은,
    판(plate)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 후 각각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부재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 후 각각 상단 테두리, 하단 테두리 및 중간 테두리를 구성하는 상단부재, 하단부재, 중간부재; 그리고
    상기 상단부재, 하단부재, 중간부재를 각각 상기 측면부제에 끼움결합시키는 U자형 체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단 테두리 및 하단 테두리는,
    상기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 사이에서 판재의 단부면이 지지되어 조립되고,
    상기 중간 테두리는,
    상기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 사이에서 판재와 판재의 관통을 이용한 삽입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조립되고:
    한 쌍의 측면부재는 각각,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외측지지판과;
    상기 외측지지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외측수직판과;
    상기 외측수직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측면전면판과;
    상기 측면전면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내측수직판과;
    상기 내측수직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내측지지판과;
    상기 측면전면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상측수직판과;
    상기 상측수직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측지지판과;
    상기 측면전면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하측수직판; 그리고
    상기 하측수직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하측지지판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는 각각,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외부지지판과;
    상기 외부지지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외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외부수직판과;
    상기 외부수직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외부전면판과;
    상기 외부전면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내부수직판; 그리고
    상기 내부수직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내부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간부재는,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측지지판과;
    상기 상측지지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상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상측수직판과;
    상기 상측수직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전면 노출부를 형성하는 중간전면판과;
    상기 중간전면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수직면을 형성하는 하측수직판과;
    상기 하측수직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테두리의 하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하측지지판과;
    상기 중간전면판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상기 좌측 테두리의 내측수직판과 면접하는 좌측 중간지지판; 그리고
    상기 중간전면판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후 상기 우측 테두리의 내측수직판과 면접하는 우측 중간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의 외부전면판 좌우 단부에는,
    수직 절곡되어, 상기 내측수직판과 면접하는 좌측 제1결합판과 우측 제1결합판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함체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의 상기 내측 지지판의 상단부는,
    상기 내측 수직판보다 상기 상단부재의 좌측 제1결합판 및 우측 제1졀합판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판이 제거된 상기 내측 수직판은 상기 상단부재의 좌우측 제1결합판과 면접하여,
    일측 내면이 상기 내측수직판을 지지하고, 타측 내면이 상단부재의 상기 제1결합판을 지지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판형의 U자형 체결편에 의해 끼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함체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의 상기 내측 지지판의 하단부는,
    상기 내측 수직판보다 상기 하단부재의 좌측 제1결합판 및 우측 제1졀합판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판이 제거된 상기 내측 수직판은 상기 하단부재의 좌우측 제1결합판과 면접하여,
    일측 내면이 상기 내측수직판을 지지하고, 타측 내면이 하단부재의 상기 제1결합판을 지지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판형의 U자형 체결편에 의해 끼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함체 프레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의 중간전면판 좌우 단부에는,
    수직 절곡되는 좌측 제1중간지지판 및 우측 제1중간지지판이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함체 프레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의 내측지지판 중간부는,
    상기 중간부재의 좌우측 제1중간지지판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절개되어 제거되고;
    상기 내측 지지판이 제거된 위치의 상기 내측 수직판의 양측 중간부가 상기 중간부재의 좌우측 제1중간지지판과 면접하여,
    일측 내면이 상기 내측수직판을 지지하고, 타측 내면이 중간부재의 상기 제1중간지지판을 지지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판형의 U자형 체결편에 의해 끼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함체 프레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수직판과 U자형 절첩부의 끼움결합위치는,
    스폿용접, 리벳시공 또는 볼트/너트 체결 중 어느 하나을 통해 결합력이 보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함체 프레임.
KR1020230096453A 2022-07-22 2023-07-24 결합식 함체 프레임 KR202400137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91109 2022-07-22
KR1020220091109 2022-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714A true KR20240013714A (ko) 2024-01-30

Family

ID=8971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453A KR20240013714A (ko) 2022-07-22 2023-07-24 결합식 함체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371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29A (ko) 1994-06-30 1996-01-25 유현식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897592B1 (ko) 2017-09-06 2018-10-31 엄상용 건식 배관덕트 함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29A (ko) 1994-06-30 1996-01-25 유현식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897592B1 (ko) 2017-09-06 2018-10-31 엄상용 건식 배관덕트 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573130A3 (ru) Стен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JP2007205159A (ja) 耐爆発カーテンウォールを特に提供するためのパネル
JP2015124545A (ja) 改装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JP6481070B2 (ja) 改装サッシ
KR20200079859A (ko) 방화문 장치
KR102437260B1 (ko)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20240013714A (ko) 결합식 함체 프레임
KR20240013712A (ko) 결합식 함체 프레임
KR20240013711A (ko) 결합식 함체 프레임
KR20240013713A (ko) 결합식 함체 프레임
CN100368639C (zh) 将建筑标准组件固定在一起的机构及相应方法
KR20230155948A (ko) 결합식 함체 프레임
KR20060054723A (ko) 도어의 방음장치
CN210316209U (zh) 一种集成房屋的下梁型材及其安装结构
JP6946028B2 (ja) 建物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KR101265140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조립용 패널 프레임
KR20190044416A (ko) 덕트용 건식 함체
JP2010159602A (ja) バスユニット設置用の床構造及び建物
KR102564498B1 (ko) 건축구조물용 함체 프레임의 제조방법
JP2015124544A (ja) 改装サッシ
JP4264376B2 (ja) 壁裏床下接続金物
KR101849442B1 (ko) 결로 방지용 도어 프레임
KR102105413B1 (ko) 방화문의 도어 프레임 조립구조
CN214740737U (zh) 一种提高坚固性的组件式门套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