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368B1 -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 - Google Patents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368B1
KR101097368B1 KR1020110022995A KR20110022995A KR101097368B1 KR 101097368 B1 KR101097368 B1 KR 101097368B1 KR 1020110022995 A KR1020110022995 A KR 1020110022995A KR 20110022995 A KR20110022995 A KR 20110022995A KR 101097368 B1 KR101097368 B1 KR 101097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ire door
door
fire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수
Original Assignee
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수 filed Critical 정성수
Priority to KR102011002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7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frames for openings, e.g. for windows, doors, hand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중간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에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금속판을 개재한 후 상기 중간 금형을 가압하여 경사돌기가 형성된 수평면과 수직면 및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와,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를 거쳐 형성된 금속판을 중간 금형과 중간 보조금형 사이에 개재한 후 상부 금형을 가압하여 수평면과 수직면은 직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면과 경사면은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와,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를 거쳐 형성된 금속판을 상부 보조금형의 상부에 안착한 후, 절곡펀치를 가압하여 금속판의 일측을 직각으로 절곡한 다음, 절곡면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위치 조절한 후, 절곡펀치를 가압하여 마감 절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방화문 문틀을 형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와, 하부 금형과 마감 금형 사이에 금속판을 개재한 후 하부 금형을 가압하여 직각면과 수용홈 및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 2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와, 상기 제 2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를 거쳐 형성되는 금속판을 상부 보조금형의 상부에 안착한 후, 절곡펀치를 가압하여 금속판의 일측을 직각으로 절곡한 다음, 절곡면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위치 조절한 후, 절곡펀치를 가압한 다음, 마감 절곡면을 형성하여 제 2 방화문 문틀을 형성하는 제 2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와, 제 2 방화문 문틀의 수용홈에 제 1 방화문 문틀의 경사돌기를 삽입하면서 제 1 방화문 문틀과 제 2 방화문 문틀을 결합하는 방화문 문틀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문 문틀을 내부 문틀과 외부 문틀로 분리구성하여 문틀의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작업자가 손쉽게 내부 문틀과 외부 문틀을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Preparation of the door frame and door frame manufactured by it}
본 발명은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 문틀을 내부 문틀과 외부 문틀로 분리구성하여 문틀의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온도차에 따른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 구조물에는 방화벽, 방화셔터, 혹은 방화문 등이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불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불이 전달되는 시간을 늘려주어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벌여주고 있다.
이러한 방화시설 중 특히 방화문은 철판이나 철재 골조 등에 의해 제작되어 철판에 의해 제작된 문틀에 끼워져 내부와 외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고, 방화문이 장착되는 방화문 문틀은 좌우 및 상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복도 혹은 벽체의 개구부에 시공된다.
그리고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방화문용 문틀을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방화문용 문틀을 구성하는 프레임(100)은 좌측철판(110)이 "ㄹ"자 형상으로, 우측철판(120)이 "⊃" 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각각 상편(140,150)이 맞대어 융착되는데 이 과정에서 좌·우측 철판을 각각 별도로 준비해야하는 과정과 이들을 다시 별도의 절곡장치를 이용하여 절곡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융착과정에서 철판에 고열이 가해짐으로써 휘어지거나 혹은 뒤틀리는 문제가 있으며, 융착 후에는 융착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불량하게 되고 따라 융착 부위를 반드시 다듬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나의 철판을 연속으로 절곡하여 용접 부위와 같이 이음매가 없는 프레임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이 또한 절곡 위치를 작업자의 경험치에 의존함으로서, 정밀한 제품을 얻기 어렵고 절곡 후에도 직진도가 떨어져 제품으로써 활용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화문 문틀을 내부 문틀과 외부 문틀로 분리구성하여 문틀의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작업자가 손쉽게 내부 문틀과 외부 문틀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방화문 문틀의 교체시 내부 문틀과 외부 문틀을 분리한 후 교체에 해당되는 문틀을 교체하면서도 결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곡장치를 이용하여 방화문 문틀을 제조하기 위해, 상부면에 중간지지편이 형성된 중간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에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금속판을 개재한 후 상기 중간 금형을 가압하여 경사돌기가 형성된 수평면과 수직면 및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와,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를 거쳐 형성된 금속판을 중간 금형과 중간 보조금형 사이에 개재한 후 상부 금형을 가압하여 수평면과 수직면은 직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면과 경사면은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와,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를 거쳐 형성된 금속판을 상부 보조금형의 상부에 안착한 후, 절곡펀치를 가압하여 금속판의 일측을 직각으로 절곡한 다음, 절곡면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위치 조절한 후, 절곡펀치를 가압하여 마감 절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방화문 문틀을 형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와, 하부 금형과 마감 금형 사이에 금속판을 개재한 후 하부 금형을 가압하여 직각면과 수용홈 및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 2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와, 상기 제 2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를 거쳐 형성되는 금속판을 상부 보조금형의 상부에 안착한 후, 절곡펀치를 가압하여 금속판의 일측을 직각으로 절곡한 다음, 절곡면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위치 조절한 후, 절곡펀치를 가압한 다음, 마감 절곡면을 형성하여 제 2 방화문 문틀을 형성하는 제 2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와, 제 2 방화문 문틀의 수용홈에 제 1 방화문 문틀의 경사돌기를 삽입하면서 제 1 방화문 문틀과 제 2 방화문 문틀을 결합하는 방화문 문틀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와 제 2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의 다음으로 형상이 완료된 제 1 방화문 문틀과 제 2 방화문 문틀의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문 문틀을 내부 문틀과 외부 문틀로 분리구성하여 문틀의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작업자가 손쉽게 내부 문틀과 외부 문틀을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화문 문틀의 교체시 내부 문틀과 외부 문틀을 분리한 후 교체에 해당되는 문틀을 교체하면서도 결로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화문과 문틀을 나타낸 부분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문틀을 형성하는 절곡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문틀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문틀을 구성하는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문틀을 형성하는 절곡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문틀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문틀을 구성하는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원발명의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S100)은 중간 금형(240)과 하부 금형(260) 사이에 금속판(20)을 개재한 후 절곡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10)와,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10)를 거쳐 형성된 금속판(20)을 상부면에 중간지지편(241)이 형성된 중간 금형(240)과 중간 보조금형(250)에 개재한 후 절곡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S120)와,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S120)를 거쳐 형성되는 금속판(20)을 절곡펀치(210)를 통해 절곡하여 제 1 방화문 문틀(M1)을 형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S130)와, 하부 금형(260)과 마감 금형(270) 사이에 금속판(30)을 개재한 후 절곡하는 제 2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40)와, 상기 제 2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40)를 거쳐 형성되는 금속판(30)을 절곡펀치(210)를 통해 절곡하여 제 2 방화문 문틀(M2)을 형성하는 제 2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S150)와,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M1)과 제 2 방화문 문틀(M2)을 결합하여 방화문 문틀을 형성하는 방화문 문틀 조립단계(S1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화문 문틀을 형성하는 절곡장치(200)는 금속판(P)을 가압 절곡하는 절곡펀치(210)와, 상기 절곡펀치(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부 보조금형(230)이 장착되는 상부 금형(220)과, 상기 상부 금형(2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일 측면에 중간 보조금형(250)이 장착되어 상기 상부 금형(220)과 함께 금속판(P)을 절곡하는 중간 금형(240)과, 상기 중간 금형(24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간 금형(240)과 함께 금속판(P)을 절곡하는 하부 금형(260)과, 상기 하부 금형(26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금형(260)과 함께 금속판(P)을 절곡하는 마감 금형(27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장치(2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10)는 절곡장치(200)를 구성하는 중간 금형(240)과 하부 금형(260) 사이에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금속판(20)을 개재한 후 상기 중간 금형(240)을 가압하여 금속판(20)을 절곡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중간 금형(240)이 가압 되면, 상기 중간 금형(240)과 하부 금형(260)의 사이에 개재된 금속판(20)은 절곡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경사돌기(22)가 형성된 수평면(21)과 수직면(23) 및 경사면(24)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10)를 거쳐 형성된 금속판(20)을 절곡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S120)는 상기 금속판(20)의 수평면(21)을 중간 금형(240)의 중간 지지편(241)에 개재하면서 상기 수직면(23)과 경사면(24)은 중간 금형(240)과 중간 보조금형(250)의 사이에 개재한 후 상기 상부 금형(220)을 가압하여 금속판(20)을 절곡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상부 금형(220)이 가압 되면, 상기 중간 보조금형(250)이 장착된 중간 금형(240)과 상부 금형(220)의 사이에 개재된 금속판(20)은 수평면(21)과 수직면(23)은 직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직면(23)과 경사면(24)은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중간 지지편(241)에는 상기 상부 금형(220)의 가압시 금속판(20)을 수용하면서 형상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돌기(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돌기(22)는 중간 지지편(241)에 개재되는 형성된 경사홈(24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S120)를 거쳐 형성되는 금속판(20)을 절곡하여 제 1 방화문 문틀(M1)을 형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S130)는 상기 금속판(20)을 상부 보조금형(230)의 상부에 안착한 후 절곡펀치(210)를 여러 번 작동하여 제 1 방화문 문틀(M1)을 절곡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수평면(21)과 수직면(23)이 직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직면(23)과 경사면(24)이 밀착고정되는 금속판(20)을 상부 보조금형(230)에 안착한 후, 상기 절곡펀치(210)를 가압하여 상기 금속판(20)의 일측을 직각으로 절곡한 다음, 상기 절곡면(25)이 형성되는 금속판(20)을 위치 조절한 후, 상기 절곡펀치(210)를 가압한 다음, 마감 절곡면(26)을 형성하여 제 1 방화문 문틀(M1)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40)는 절곡장치(200)를 구성하는 하부 금형(260)과 마감 금형(270) 사이에 금속판(30)을 개재한 후 상기 하부 금형(260)을 가압하여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금속판(30)을 절곡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하부 금형(260)과 마감 금형(270)의 사이에 금속판(30)을 개재한 후 상기 하부 금형(260)을 가압하여 상기 금속판(30)에 직각면(31)과 수용홈(32) 및 연결부(3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 2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40)를 거쳐 형성되는 금속판(30)을 절곡하여 제 2 방화문 문틀(M2)을 형성하는 제 2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S150)는 상부 보조금형(230)의 상부에 금속판(30)을 안착한 후 여러 번의 절곡펀치(210)의 작동을 통해 제 2 방화문 문틀(M2)을 절곡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직각면(31)과 수용홈(32) 및 연결부(33)가 형성되는 금속판(30)을 상부 보조금형(230)의 상부에 안착한 후, 상기 절곡펀치(210)를 가압하여 금속판(30)의 일측을 직각으로 절곡한 다음, 상기 절곡면(34)이 형성되는 금속판(3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상부 보조금형(230)에 안착된 금속판(30)을 절곡펀치(210)를 가압하여 마감 절곡면(35)을 형성함으로써 제 2 방화문 문틀(M2)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M1)과 제 2 방화문 문틀(M2)을 결합하는 방화문 문틀 조립단계(S160)는 제 2 방화문 문틀(M2)의 수용홈(32)에 제 1 방화문 문틀(M1)의 경사돌기(22)를 끼움 삽입한 후 제 1 방화문 문틀(M1)과 제 2 방화문 문틀(M2)을 고정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M1)과 제 2 방화문 문틀(M2)의 만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M1)과 제 2 방화문 문틀(M2)의 고정을 위해 용접이나 볼팅 결합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S130)와 제 2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S150)의 다음 단계로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M1)과 제 2 방화문 문틀(M2)을 절단하는 절단단계(S170)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절곡장치(200)를 통해 절곡이 완료된 제 1 방화문 문틀(M1)과 제 2 방화문 문틀(M2)을 환경과 목적에 따라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방화문 문틀을 제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방화문 문틀을 구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M1)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금속판(20)을 상기 중간 금형(240)과 하부 금형(260) 사이에 개재한 후 상기 중간 금형(240)을 가압하여 금속판(20)을 절곡한다.
즉, 상기 중간 금형(50)과 하부 금형(60) 사이에 금속판(P)을 삽입한 후 상기 중간 금형(50)을 가압하여 경사돌기(22)가 형성된 수평면(21)과 수직면(23) 및 경사면(24)이 형성되는 금속판(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20)의 수평면(21)을 중간 금형(240)의 중간 지지편(241)에 개재하고 상기 수직면(23)과 경사면(24)을 중간 금형(240)과 중간 보조금형(250) 사이에 개재한 후 상부 금형(220)을 가압하여 절곡한다.
즉, 상기 경사돌기(22)가 형성된 수평면(21)과 수직면(23) 및 경사면(24)이 형성되는 금속판(20)을 가압하여 상기 수평면(21)과 수직면(23)을 직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면(23)과 경사면(24)을 밀착되도록 금속판(20)을 절곡한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판(20)을 상부 보조금형(230)의 상부에 안착한 후, 절곡펀치(210)를 가압하여 금속판(20)의 일측을 직각으로 절곡한 다음, 절곡면(25)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위치 조절한 후 절곡펀치(210)를 가압하여 마감 절곡면(26)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방화문 문틀(M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M1)과 결합되는 제 2 방화문 문틀(M2)을 제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부 금형(260)과 마감 금형(270) 사이에 금속판(30)을 개재한 후 상기 하부 금형(260)을 가압하여 상기 금속판(30)에 직각면(31)과 수용홈(32) 및 연결부(3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30)을 상부 보조금형(230)의 상부에 안착한 후, 절곡펀치(210)를 가압하여 금속판(30)의 일측을 직각으로 절곡한 다음, 절곡면(34)이 형성되는 금속판(30)을 위치 조절한 후, 절곡펀치(210)를 가압하여 마감 절곡면(35)을 형성함으로써 제 2 방화문 문틀(M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완성된 제 1 방화문 문틀(M1)과 제 2 방화문 문틀(M2)을 결합하면 방화문 문틀(10)의 조립한 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조립된 방화문 문틀(10)을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 방화문 문틀(M2)의 수용홈(32)에 제 1 방화문 문틀(M1)의 경사돌기(22)를 끼움 삽입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0 :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
S110 : 제 1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
S120 : 제 1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
S130 : 제 1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
S140 : 제 2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
S150 : 제 2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
S160 : 방화문 문틀 조립단계.

Claims (4)

  1. 삭제
  2. 절곡장치(200)를 이용하여 방화문 문틀을 제조하기 위해,
    상부면에 중간지지편(241)이 형성된 중간 금형(240)과 하부 금형(260) 사이에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금속판(20)을 개재한 후 상기 중간 금형(240)을 가압하여 경사돌기(22)가 형성된 수평면(21)과 수직면(23) 및 경사면(24)을 형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10)와,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10)를 거쳐 형성된 금속판(20)을 중간 금형(240)과 중간 보조금형(250) 사이에 개재한 후 상부 금형(220)을 가압하여 수평면(21)과 수직면(23)은 직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면(23)과 경사면(24)은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S120)와,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S120)를 거쳐 형성된 금속판(20)을 상부 보조금형(230)의 상부에 안착한 후, 절곡펀치(210)를 가압하여 금속판(20)의 일측을 직각으로 절곡한 다음, 절곡면(25)이 형성되는 금속판(20)을 위치 조절한 후, 절곡펀치(210)를 가압하여 마감 절곡면(26)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방화문 문틀(M1)을 형성하는 제 1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S130)와,
    하부 금형(260)과 마감 금형(270) 사이에 금속판(30)을 개재한 후 하부 금형(260)을 가압하여 직각면(31)과 수용홈(32) 및 연결부(33)를 형성하는 제 2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40)와,
    상기 제 2 방화문 문틀 절곡단계(S140)를 거쳐 형성되는 금속판(30)을 상부 보조금형(230)의 상부에 안착한 후, 절곡펀치(210)를 가압하여 금속판(30)의 일측을 직각으로 절곡한 다음, 절곡면(34)이 형성되는 금속판(30)을 위치 조절한 후, 절곡펀치(210)를 가압한 다음, 마감 절곡면(35)을 형성하여 제 2 방화문 문틀(M2)을 형성하는 제 2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S150)와,
    제 2 방화문 문틀(M2)의 수용홈(32)에 제 1 방화문 문틀(M1)의 경사돌기(22)를 삽입하면서 제 1 방화문 문틀(M1)과 제 2 방화문 문틀(M2)을 결합하는 방화문 문틀 조립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화문 문틀 완성단계(S130)와 제 2 방화문 문틀 형성단계(S150)의 다음으로 형상이 완료된 제 1 방화문 문틀(M1)과 제 2 방화문 문틀(M2)의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단계(S1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편(241)에는 개재되는 금속판(20)의 경사돌기(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경사홈(2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 내지 3항 중 선택된 방화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문틀.
KR1020110022995A 2011-03-15 2011-03-15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 KR101097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995A KR101097368B1 (ko) 2011-03-15 2011-03-15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995A KR101097368B1 (ko) 2011-03-15 2011-03-15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368B1 true KR101097368B1 (ko) 2011-12-23

Family

ID=4550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995A KR101097368B1 (ko) 2011-03-15 2011-03-15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3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394B1 (ko) 2004-06-17 2006-11-15 김정임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및 그 제조방법
KR100651074B1 (ko) 2005-09-29 2006-12-01 김정임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394B1 (ko) 2004-06-17 2006-11-15 김정임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및 그 제조방법
KR100651074B1 (ko) 2005-09-29 2006-12-01 김정임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888B1 (ko) 방화문 문틀용 절곡금형
KR200442625Y1 (ko)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CN104632032A (zh) 使用不同框架材料的复合窗/门装置的装配式结构
KR100651074B1 (ko)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및 그 제조방법
KR100624375B1 (ko) 방화문 문틀프레임 제작용 금형
CN101103172A (zh) 用来装备板件、特别是玻璃板以固定板件的连接件和装备有连接件的板件
KR101097368B1 (ko) 방화문 문틀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방화문 문틀
KR101209804B1 (ko) 2중 밀폐구조를 갖는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의 제조방법
KR101760269B1 (ko) 강성이 우수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WO2002096579A3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profiles metalliques
KR101760268B1 (ko)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100128856A (ko)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KR101231148B1 (ko) 지붕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지붕 연결구
KR20100008129U (ko) 금속판재 절곡용 금형틀
CN209308592U (zh) 一种插接式铝合金断桥隔热窗扇
KR100821635B1 (ko)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KR20120021598A (ko) 지붕 연결구 절곡장치용 금형
KR20070048008A (ko) 방화문용 문틀프레임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장치
CN108952463A (zh) 一种插接式铝合金断桥隔热窗扇及其加工工艺
KR102307212B1 (ko) 건축용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576777B1 (ko) 안경테의 제조방법
KR100883964B1 (ko) 발코니형 받침대의 조립장치 및 그 받침대
KR20240012994A (ko)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제조 방법
KR20240013297A (ko) 건축구조물용 함체의 생산 시스템
KR102124009B1 (ko) 다양한 높이에 사용 가능한 가변형 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