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268B1 -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 Google Patents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268B1
KR101760268B1 KR1020150092962A KR20150092962A KR101760268B1 KR 101760268 B1 KR101760268 B1 KR 101760268B1 KR 1020150092962 A KR1020150092962 A KR 1020150092962A KR 20150092962 A KR20150092962 A KR 20150092962A KR 101760268 B1 KR101760268 B1 KR 10176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t insulating
insulating frame
vertica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961A (ko
Inventor
임식규
Original Assignee
임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식규 filed Critical 임식규
Priority to KR1020150092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2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재의 외장마감재와 PVC 보강재를 일체화 함은 물론 1개의 PVC 보강재를 이용하여 다용도의 단열프레임을 조립 제작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게시된 창호용 단열프레임은 보강프레임 및 외장프레임이 완전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없어 구조적인 강성이 저하되고, 열전도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아존 단열재를 성형하는 시간과 인력이 과도하게 소요됨은 물론 생산성이 저하되며, 보강프레임의 용도가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PVC 보강재에 형성된 제1 가압돌기가 측방으로 밀리면서 발생하는 가압력으로 외장마감재의 수직 결합부를 가압 지지하면서 상기 PVC 보강재와 외장마감재가 상호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1개의 PVC 보강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서 중간 단열프레임이나 하부 단열프레임과 같은 다용도의 단열프레임을 조립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Insulating frame for many purposes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재의 외장마감재와 PVC 보강재를 일체화 함은 물론 1개의 PVC 보강재를 이용하여 다용도의 단열프레임을 조립 제작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다.
근자에는 한 장의 유리를 갖는 창호는 단열 및 방음 성능이 좋지 못하므로 어느 정도의 단열이나 방음이 요구되는 관공서나 학교, 병원, 상가 등의 현관에 시공되는 창호에는 대부분 페어글라스와 같은 이중유리를 사용한다.
상기 이중유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은 도어나 창, 실내의 내부 칸막이 등을 시공할 때 통상 사각체의 틀로 짜여지고, 이 사각체의 내부 영역에는 상기 이중유리가 설치되거나 또는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용 프레임은 상기 이중유리를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실내 및 실외에 접하게 되는데, 상기 창호용 프레임은 일체형의 금속재 판재로 구성됨으로써 열전도가 잘되어 실, 내외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이와 같은 결로현상으로 인해 스틸 보강프레임이 쉽게 녹이 슬고 녹물이 흘러내리며, 외부로 손실되는 열이 많아 단열성이 저하되고 있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되어 특허결정된 「특허등록 제1144649호, 명칭/ 창호용 단열프레임」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창호용 단열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아존 단열재가 열전도 현상을 차단하여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를 없애 결로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의 열손실을 줄어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약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의 보강프레임과 이 보강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외장프레임이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고 외장프레임이 유동함으로써 완전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없어 구조적인 강성이 저하되는 일부의 개선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실내외 간의 열전도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아존 단열재를 성형함에 있어 액체상태의 고강도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아존을 아존 충전실에 주입한 후 경화하는 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작업공정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일부의 개선점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 단열프레임은 용도에 따라 이중유리가 상하에 설치되는 중간 단열프레임 및 상기 이중유리가 상부에만 설치되는 하부 단열프레임 등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중간 단열프레임 및 하부 단열프레임은 각각 다른 구조를 갖는 2종류의 보강프레임을 사용하여 제작해야만 함으로써 보강프레임의 용도가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PVC 보강재에 형성된 제1 가압돌기가 측방으로 밀리면서 발생하는 가압력으로 외장마감재의 수직 결합부를 가압 지지하면서 상기 PVC 보강재와 외장마감재가 상호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PVC 보강재의 양 측면부 위치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달리하여 외장마감재를 조립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1개의 PVC 보강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서 중간 단열프레임이나 하부 단열프레임과 같은 다용도의 단열프레임을 조립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PVC 보강재에 돌출 형성된 제1 가압돌기가 외장마감재에 형성된 수직 결합부를 가압 지지하여 상기 PVC 보강재의 측면부에 외장마감재가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단열프레임의 제작이 가능하고, 상기 PVC 보강재와 외장마감재는 상호 유동없는 일체성을 유지하여 단열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조적 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함은 물론 단열프레임의 규격이 일정하며, 제품의 품질 및 균일성을 대폭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도성이 없는 PVC 보강재의 외부를 외장마감재가 감싸게 설치됨으로써 실내외 간의 열전도를 차단함으로써 단열성능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종래에 시행하던 아존 단열재의 성형 설치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 및 작업공정을 감축하여 단열프레임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의 PVC 보강재를 중간 단열프레임 및 하부 단열프레임의 보강재로 겸용함으로써 매우 간편하게 다용도의 단열프레임을 조립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종류의 PVC 보강재를 제조함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함은 물론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중간 단열프레임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PVC 보강재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가압돌기에 의한 외장마감재의 가압 지지상태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유리 중량지지대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가 다른 외장마감재가 각각 적용된 규격이 다른 하부 단열프레임의 정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PVC 보강재(100), 한 쌍의 외장마감재(20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PVC 보강재(100)는 열전도성이 없는 것으로, 실내외 간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대폭 향상하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PVC 보강재(100)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상, 하면부(101)(102)의 외측 선단에 측면부(103)가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사각체의 형상을 이루고, 상기 양 측면부(103)와 내측으로 이격되게 한 쌍의 세로 격벽(104)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03) 및 세로 격벽(104)에 일체로 연결된 한 쌍의 가로 격벽(105)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세로 격벽(104)의 사이에는 상하에 각각 한 쌍의 강화유리 삽입부(106)가 함몰 형성되어 상기 PVC 보강재(100)를 이중유리가 상하에 설치되는 중간 단열프레임(H)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로 격벽(104)의 상하 선단에는 각각 제1 가압돌기(107)가 상호 마주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돌기(107)와 상, 하면부(101)(102)의 사이에는 각각 상기 제1 가압돌기(107)가 밀리면서 가압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밀림공간(108)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PVC 보강재(100)의 양 측면부(103) 및 상, 하면부(101)(102)에는 한 쌍의 외장마감재(200)가 좌우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 하면부(101)(102)를 감싸면서 마주하는 외장마감재(200)의 선단에는 수직 결합부(201)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직 결합부(201)는 제1 가압돌기(107)의 선단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제1 가압돌기(107)는 도 3과 같이 상기 외장마감재(200)에 형성된 수직 결합부(201)를 가압 지지함으로써 상기 PVC 보강재(100)의 측면부(103)에 외장마감재(200)가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PVC 보강재(100)와 외장마감재(200)를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일체화 조립하여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PVC 보강재(100)와 외장마감재(200)는 상호 유동없는 일체성을 유지하여 창호용 단열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고, 제품의 품질 및 균일성을 대폭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압돌기(107)가 제1 밀림공간(108)으로 밀리면서 가압력을 발생할 때 텐션을 발휘하면서 가압력을 대폭 증대하기 위한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제1 가압돌기(107)와 세로 격벽(104)이 만나는 지점과 상기 세로 격벽(104) 및 제1 밀림공간(108)의 바닥면이 만나는 지점에는 텐션 작동홈(109)이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가압돌기(107)는 더욱 원활하게 제1 밀림공간(108)으로 밀리면서 텐션력을 발휘하여 상기 수직 결합부(201)를 더욱 강력하게 가압 지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로 격벽(105)의 내면 중앙에 각각 한 쌍의 지지대 고정돌기(110)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 고정돌기(110)의 사이에는 유리 중량지지대(300)가 끼움 설치됨으로써 상기 이중유리의 중량을 충분하게 견디면서 상기 PVC 보강재(100)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한다.
상기 제1 가압돌기(107)는 뾰족한 산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장마감재(200)를 PVC 보강재(100)에 슬라이딩으로 끼움 조립할 때 상기 제1 가압돌기(107)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뾰족한 첨단부가 상기 수직 결합부(201)에 걸리면서 부분적으로 절단됨으로써 더욱 원활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강화유리가 상하에 설치되는 중간 단열프레임(H)과 강화유리가 상부에만 설치되는 하부 단열프레임(H1)을 조립 제작할 때 하나의 PVC 보강재(100)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양 측면부(103)의 상하에는 도 2와 같이 하부 단열프레임(H1)을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외장마감재(200a)를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마감재 결합요홈(111)이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PVC 보강재(100)를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양 측면부(103)가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상하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전자의 외장마감재(20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하부 단열프레임(H1)을 제작하기 위한 다른 규격을 갖는 한 쌍의 외장마감재(200a)를 사용한다.
즉 상기 외장마감재(200a)가 상, 하면부(101)(102) 및 양 측면부(103)를 좌우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되 상기 양 측면부(103)를 이격된 상태로 감싸면서 상호 마주하는 외장마감재(200)의 선단에 절곡 형성된 수직 결합부(201a)를 각각 상기 외장마감재 결합요홈(111)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부에만 강화유리를 끼움 설치할 수 있는 강화유리 삽입부(112)가 상측 수직 결합부(201a)의 사이에 형성된 하부 단열프레임(H1)을 간편하게 조립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외장마감재 결합요홈(111)에 수직 결합부(201a)가 끼움 결합되는 외장마감재(200a)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각기 다른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부 단열프레임(H1)을 더욱 다양한 규격으로 간편하게 조립 제작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마감재 결합요홈(111)의 바닥면에는 각각 결합부 지지돌기(113)가 추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지지돌기(113)의 선단에는 외장마감재(200a)의 수직 결합부(201a)가 밀착되는 제2 가압돌기(114)가 상호 마주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압돌기(114)와 양 측면부(103)의 사이에는 각각 제2 밀림공간(115)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압돌기(114)는 상기 외장마감재(200a)에 형성된 수직 결합부(201a)를 가압 지지함으로써 상기 PVC 보강재(100)의 상, 하면부(101)(102)에 외장마감재(200)가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의 PVC 보강재(100)를 중간 단열프레임(H) 및 하부 단열프레임(H1)을 제작하기 위한 보강재로 겸용함으로써 매우 간편하게 다용도의 단열프레임을 조립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 지지돌기(113)와 상기 제2 가압돌기(114)가 만나는 지점에는 텐션 작동홈(116)이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가압돌기(114)는 더욱 원활하게 제2 밀림공간(115)으로 밀리면서 텐션력을 발휘하여 상기 수직 결합부(201a)를 더욱 강력하게 가압 지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세로 격벽(104)의 내면 중앙에 각각 한 쌍의 지지대 고정돌기(117)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 고정돌기(117)의 사이에는 유리 중량지지대(300)가 끼움 설치됨으로써 상기 이중유리의 중량을 충분하게 견디면서 상기 PVC 보강재(100)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H: 중간 단열프레임 H1: 하부 단열프레임
100: PVC 보강재 101: 상면부
102: 하면부 103: 측면부
104: 세로 격벽 105: 가로 격벽
106, 112: 강화유리 삽입부 107: 제1 가압돌기
108: 제1 밀림공간 109, 116: 텐션 작동홈
110, 117: 지지대 고정돌기 111: 마감재 결합요홈
113: 결합부 지지돌기 114: 제2 가압돌기
115: 제2 밀림공간 200, 200a: 외장마감재
201, 201a: 수직 결합부 300: 유리 중량지지대

Claims (7)

  1. 상, 하면부(101)(102)의 외측 선단에 연결된 양 측면부(103)와 각각 이격되게 세로 격벽(104)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03) 및 세로 격벽(104)에 일체로 연결된 한 쌍의 가로 격벽(105)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세로 격벽(104)의 사이 상하에는 각각 상, 하부가 개방된 한 쌍의 강화유리 삽입부(10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세로 격벽(104)의 상하 선단에 각각 제1 가압돌기(107)가 상호 마주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돌기(107)와 상, 하면부(101)(102)의 사이에는 각각 제1 밀림공간(108)이 함몰 형성된 PVC 보강재(100)와;
    상기 PVC 보강재(100)의 양 측면부(103) 및 상, 하면부(101)(102)를 좌우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되고, 상기 상, 하면부(101)(102)를 감싸면서 마주하는 선단에 절곡 형성된 수직 결합부(201)가 상기 제1 가압돌기(107)의 선단에 밀착되는 한 쌍의 외장마감재(20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양 측면부(103)의 상하에는 마감재 결합요홈(11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PVC 보강재(100)의 양 측면부(103)가 상하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장마감재(200)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규격을 갖는 한 쌍의 외장마감재(200a)가 상, 하면부(101)(102) 및 양 측면부(103)를 좌우로 각각 구분하여 감싼 상태에서 상기 양 측면부(103)를 이격된 상태로 감싸면서 마주하는 외장마감재(200)의 선단에 절곡 형성된 수직 결합부(201a)를 각각 상기 마감재 결합요홈(111)에 끼움 결합하여 하부 단열프레임(H1)을 조립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돌기(107)와 세로 격벽(104)이 만나는 지점 및 상기 세로 격벽(104) 및 제1 밀림공간(108)의 바닥면이 만나는 지점에는 텐션 작동홈(109)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격벽(105)의 내면 중앙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대 고정돌기(110)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 고정돌기(110)의 사이에는 유리 중량지지대(300)가 끼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결합요홈(111)에 수직 결합부(201a)가 끼움 결합되는 외장마감재(200a)는 각기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단열프레임(H1)을 다양한 규격으로 조립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결합요홈(111)의 바닥면에 각각 결합부 지지돌기(1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지지돌기(113)의 선단에는 외장마감재(200a)의 수직 결합부(201a)가 밀착되는 제2 가압돌기(114)가 상호 마주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압돌기(114)와 양 측면부(103)의 사이에는 각각 제2 밀림공간(115)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지지돌기(113)와 상기 제2 가압돌기(114)가 만나는 지점에는 텐션 작동홈(116)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세로 격벽(104)의 내면 중앙에 각각 한 쌍의 지지대 고정돌기(117)가 이격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 고정돌기(117)의 사이에는 유리 중량지지대(300)가 끼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0150092962A 2015-06-30 2015-06-30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76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962A KR101760268B1 (ko) 2015-06-30 2015-06-30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962A KR101760268B1 (ko) 2015-06-30 2015-06-30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61A KR20170002961A (ko) 2017-01-09
KR101760268B1 true KR101760268B1 (ko) 2017-07-31

Family

ID=5781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962A KR101760268B1 (ko) 2015-06-30 2015-06-30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0947B (zh) * 2018-01-15 2020-06-23 深圳市泰然荣昌装饰工程有限公司 高抗风压塑钢窗体结构
KR102078730B1 (ko) * 2019-06-05 2020-04-02 임종필 유리홈의 폭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39Y1 (ko) 2014-02-21 2014-05-29 변상득 창호용 가로 단열프레임
KR101496293B1 (ko) 2013-11-06 2015-02-26 임식규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293B1 (ko) 2013-11-06 2015-02-26 임식규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0472839Y1 (ko) 2014-02-21 2014-05-29 변상득 창호용 가로 단열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61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088B1 (ko) 금속 단열창호
US7845135B2 (en) Window frame
KR101507484B1 (ko) 분리가 용이한 고 기밀성 단열 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546824B1 (ko)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878820B1 (ko) 단열용 커튼 월
KR20170141433A (ko) 탈부착이 용이한 단열커튼월
KR101760268B1 (ko)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270213B1 (ko) 단열성능을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692286B1 (ko)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KR101760269B1 (ko) 강성이 우수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170004000U (ko)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177263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3248B1 (ko) 단열용 커튼 월
KR200474465Y1 (ko)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169160B1 (ko) 단열 커튼월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CN104832053B (zh) 凹槽隔热型材与凸起金属型材组合隔热型材
KR101595219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0486437Y1 (ko) 복합창호
KR101496293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930473B1 (ko)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KR101467446B1 (ko) 단열 창호
KR101708286B1 (ko) 원가절감형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546821B1 (ko) 구조 강도가 우수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