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293B1 -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 Google Patents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293B1
KR101496293B1 KR20130134242A KR20130134242A KR101496293B1 KR 101496293 B1 KR101496293 B1 KR 101496293B1 KR 20130134242 A KR20130134242 A KR 20130134242A KR 20130134242 A KR20130134242 A KR 20130134242A KR 101496293 B1 KR101496293 B1 KR 101496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frame
reinforcing plate
extruded materi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식규
Original Assignee
임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식규 filed Critical 임식규
Priority to KR20130134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55Extr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다중의 단열공층을 확보하여 단열성을 향상함은 물론 금속재의 외장프레임과 PVC 압출재가 유동없는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구조적인 강성을 높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열전도성이 없는 PVC 압출재의 내부에 형성된 다중의 단열공층이 단열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함과 동시에 실내외 간의 열전도 현상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PVC 압출재에 형성된 듀얼 걸림편 또는 싱글 걸림편에 상기 외장프레임에 형성된 엇갈림 고정부가 걸림 고정되면서 상기 PVC 압출재와 외장프레임이 상호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Insulating frame for windows and doors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y and solidity}
본 발명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다중의 단열공층을 확보하여 단열성을 향상함은 물론 금속재의 외장프레임과 PVC 압출재가 유동없는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구조적인 강성을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다.
근자에는 한 장의 유리를 갖는 창호는 단열 및 방음 성능이 좋지 못하므로 어느 정도의 단열이나 방음이 요구되는 관공서나 학교, 병원, 상가 등의 현관에 시공되는 창호에는 대부분 페어글라스와 같은 이중유리를 사용한다.
상기 이중유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은 도어나 창, 실내의 내부 칸막이 등을 시공할 때 통상 사각체의 틀로 짜여지고, 이 사각체의 내부 영역에는 상기 이중유리가 설치되거나 또는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용 프레임은 상기 이중유리를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실내 및 실외에 접하게 되는데, 상기 창호용 프레임은 일체형의 금속재 판재로 구성됨으로써 열전도가 잘되어 실, 내외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이와 같은 결로현상으로 인해 스틸 보강프레임이 쉽게 녹이 슬고 녹물이 흘러내리며, 외부로 손실되는 열이 많아 단열성이 저하되고 있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되어 특허결정된 「특허등록 제1144649호, 명칭/ 창호용 단열프레임」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창호용 단열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아존 단열재가 열전도 현상을 차단하여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를 없애 결로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의 열손실을 줄어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약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1∼2개의 단열공층이 형성되어 단열성이 미약할 수 밖에 없고, 내부의 보강프레임과 이 보강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외장프레임이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고 외장프레임이 유동하면서 완전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없어 구조적인 강성이 저하되는 일부의 개선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실내외 간의 열전도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아존 단열재를 성형함에 있어 액체상태의 고강도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아존을 아존 충전실에 주입한 후 경화하는 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작업공정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일부의 개선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이 내포하고 있는 일부의 개선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열전도성이 없는 PVC 압출재의 내부에 형성된 다중의 단열공층이 단열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함과 동시에 실내외 간의 열전도 현상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VC 압출재에 형성된 듀얼 걸림편 또는 싱글 걸림편에 상기 외장프레임에 형성된 엇갈림 고정부가 걸림 고정되면서 상기 PVC 압출재와 외장프레임이 상호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VC 압출재를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외장프레임의 내부에 끼움 조립하는 과정에서 외장프레임의 내면에 함몰 형성된 접착제 수용홈에 채워진 접착제가 PVC 압출재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PVC 압출재의 양 측면부의 전, 후단에 연결된 전, 후면부와 각각 이격되게 마주하는 한 쌍의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의 사이 양측에 한 쌍의 세로 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세로 격벽의 외면에는 각각 듀얼 걸림편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양 측면부의 중앙에는 개방된 단절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PVC 압출재의 외면을 한 쌍의 외장프레임으로 감싸게 설치하되 상기 외장프레임 간의 마주하는 선단에는 프레임 접합부를 절곡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접합부의 선단에는 상기 듀얼 걸림편의 양측에 걸림 고정되는 엇갈림 고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접합부의 사이에 실링재를 충진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전도성이 없는 PVC 압출재의 외부를 외장프레임이 감싸게 설치됨으로써 실내외 간의 열전도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PVC 압출재의 내부에 다중의 단열공층이 형성됨으로써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종래에 시행하던 아존 단열재의 성형 설치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 및 작업공정을 감축하여 단열프레임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외장프레임에 형성된 엇갈림 고정부가 상기 PVC 압출재에 형성된 걸림편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호 유동없는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하여 단열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조강도를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외장프레임의 내면에 함몰 형성된 접착제 수용홈에 접착제가 저장됨으로써 상기 PVC 압출재를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외장프레임의 내부에 끼움 조립하는 과정에 접착제가 외부로 누출됨을 방지하여 상기 PVC 압출재 및 외장프레임은 상호 더욱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의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듀얼 걸림편 및 엇갈림 고정부의 결합상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PVC 압출재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틸 보강판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싱글 걸림편 및 엇갈림 고정부의 결합상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PVC 압출재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싱글 걸림편 및 엇갈림 고정부의 결합상태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PVC 압출재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리 중량지지대 및 스틸 보강판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열프레임(100)의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PVC 압출재(110), 한 쌍의 외장프레임(120), 실링재(13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PVC 압출재(110)는 열전도성이 없는 것으로, 실내외 간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대폭 향상하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PVC 압출재(110)는 도 1과 같이 양 측면부(111)의 전, 후단에 각각 실내 및 실외 측에 위치하는 전면부(112) 및 후면부(113)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 후면부(112)(113)와 각각 이격되게 한 쌍의 단차부(114)가 마주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단차부(114)는 양 측면부(111)의 내면에 각각 상호 단차를 이루는 제1 수평면(114a) 및 제2 수평면(114b)의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면(114a) 및 제2 수평면(114b)의 타측은 수직면(114c)을 매개로 상호 일체화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단차부(114)의 사이에는 한 쌍의 세로 격벽(115)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세로 격벽(115)의 외면에는 각각 듀얼 걸림편(11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양 측면부(111)의 중앙에는 개방된 단절부(11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부(112) 및 단차부(114)의 사이와, 상기 후면부(113)와 단차부(114)의 사이와, 상기 세로 격벽(115)의 사이에는 각각 다수의 단열공층(118)(118a)(118b)이 형성됨으로써 실내외 간의 열전도를 차단함은 물론 나아가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PVC 압출재(110)의 외면에는 한 쌍의 외장프레임(120)이 전후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외장프레임(120)은 상호 마주하는 양측 선단에 각각 프레임 접합부(121)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접합부(121)의 선단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듀얼 걸림편(116)의 양측에 각각 걸림 고정되는 엇갈림 고정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엇갈림 고정부(123)는 상기 프레임 접합부(121)의 선단을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가위로 부분 절단하여 절단된 부위의 양측이 각각 상호 엇갈리게 부분적으로 돌출되면서 V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듀얼 걸림편(116)의 전후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면(116a)에 걸리면서 상기 외장프레임(120)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PVC 압출재(110)와 외장프레임(120)은 상호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구조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듀얼 걸림편(116) 중에서 일측의 듀얼 걸림편(116)은 양측에 각각 상기 엇갈림 고정부(123)를 추가로 걸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싱글 걸림편(119)이 형성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함은 물론 나아가 상기 듀얼 걸림편(116) 및 싱글 걸림편(119)의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재 충진부(119a)에는 실리콘 등의 실링재가 충진된 후 양생됨으로써 상기 엇갈림 고정부(123)는 더욱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PVC 압출재(110)와 외장프레임(120)의 일체화된 구조적 강도를 배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외장프레임(120)은 마주하는 프레임 접합부(121)의 사이에 실리콘을 코킹하거나 고무가스켓을 삽입하는 등의 실링재(130)가 충진됨으로써 상기 외장프레임(120) 상호 간의 틈새를 막아주어 더욱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실내외 간의 열전도를 차단한다.
본 발명은 상기 PVC 압출재(110)를 외장프레임(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조립시 상호 간의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외장프레임(120)의 내면에 도포하는 접착제가 상기 PVC 압출재(110)에 의해 밀리면서 외부로 누설됨을 방지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외장프레임(120)의 내면에는 다수의 접착제 수용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수용홈(124)에는 접착제가 수용됨으로써 PVC 압출재(110)와 외장프레임(120)의 조립과정에서 접착제가 닦여 나감을 방지하면서도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접착제 수용홈(124) 내의 접착제가 흘러 나와 상기 PVC 압출재(110) 및 외장프레임(120)을 강력하게 일체로 접착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PVC 압출재(110)는 소재의 특성상 강도가 저하됨을 고려하여 일측 측면부(111)의 내면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제1 수평면(114a)과 이격된 보강판 지지돌기(14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 지지돌기(141)와 대향된 타측 측면부(111)의 내면에는 한 쌍의 보강판 지지돌기(142)(142a)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평면(114a)과 보강판 지지돌기(141)의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보강판 지지돌기(142)(142a)의 사이에는 스틸 보강판(140)의 양측이 각각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설치되는 기술이 접목됨으로써 상기 PVC 압출재(110)의 가로 방향 강성을 증대하여 휨 발생이나 눌림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대향된 한 쌍의 보강판 지지돌기(141)(142)의 선단 및 상기 보강판 지지돌기(141)(14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평면(114a), 즉 3개의 지점에는 각각 스틸 보강판(140)을 가압 밀착하면서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144)가 추가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틸 보강판(140)은 유동 없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PVC 압출재(110)의 소재적인 특성에 따른 부족한 구조강도를 충분하게 보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프레임(100a)은 도 5와 같은 다른 제2 실시 예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의 단열프레임(100a)은,
양 측면부(111)의 전, 후단에 연결된 전, 후면부(112)(113)와 각각 이격되게 한 쌍의 단차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114)의 사이에는 한 쌍의 세로 격벽(115)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세로 격벽(115)의 외면에는 듀얼 걸림편(11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양 측면부(111)의 중앙에는 개방된 단절부(117)가 형성된 PVC 압출재(110)와;
상기 PVC 압출재(110)의 외면을 전후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되되, 상기 일측의 측면부(111)는 부분적으로 감싸게 설치되고, 타측의 측면부(111)를 감싸면서 마주하는 선단에는 프레임 접합부(12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접합부(121)의 선단에 상기 듀얼 걸림편(116)의 양측에 걸림 고정되는 엇갈림 고정부(123)가 형성된 한 쌍의 외장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 접합부(121)의 사이에 충진된 실링재(13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열프레임(100a)이 전자의 제1 실시 예의 단열프레임(100)과 상이한 점은 상기 외장프레임(120)이 상기 PVC 압출재(110)의 일측 측면부(111)를 부분적으로 감싸게 설치되는 점이 상이하고,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 접합부(121) 및 엇갈림 고정부(123)가 외장프레임(120)의 일측 측면부(111)에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엇갈림 고정부(123)가 걸림 고정되는 듀얼 걸림편(116) 및 상기 프레임 접합부(121)의 사이에 충진되는 실링재(130)도 일측에만 설치된 점이 상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프레임(200)은 도 6 내지 도 8과 같은 제3 실시 예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3 실시 예의 단열프레임(200)은,
상, 하면부(211)(212)의 외측 선단에 연결된 양 측면부(213)와 각각 이격되게 한 쌍의 단차부(214)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214)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로 격벽(215)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로 격벽(215)의 외면 양측에는 싱글 걸림편(21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 하면부(211)(212)의 중앙에는 개방된 단절부(217)가 형성된 PVC 압출재(210)와;
상기 PVC 압출재(210)의 외면을 좌우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되되, 상기 상면부(211)는 부분적으로 감싸게 설치되고, 상기 하면부(212)를 감싸면서 마주하는 선단에는 수직 절곡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절곡부(221)의 선단에 상기 싱글 걸림편(216)에 걸림 고정되는 엇갈림 고정부(223)가 형성된 한 쌍의 외장프레임(22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 측면부(213)와 단차부(214)의 사이와, 상기 가로 격벽(215)의 사이에는 각각 단열공층(218)(218a)(218b)이 형성됨으로써 실내외 간의 열전도를 차단함은 물론 나아가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PVC 압출재(210)는 상기 양 측면부(213)와 만나는 상면부(211)의 선단에 도 6과 같이 각각 산형의 걸림턱(219)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211)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한 쌍의 외장프레임(220)은 압축롤러에 의한 롤링작업을 통해 상기 걸림턱(219)을 받침으로 하여 하향으로 눌림 고정함으로써 상기 외장프레임(220)은 걸림턱(219)에 걸림상태를 유지하면서 좌우로 벌어짐을 방지한다.
상기 PVC 압출재(210)의 단차부(214)는 도 8과 같이 상기 상, 하면부(211)(212)의 내면에 각각 상호 단차를 이루는 제1 수직면(214a) 및 제2 수직면(214b)의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직면(214a) 및 제2 수직면(214b)의 타측은 상호 수평면(214c)을 매개로 일체화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PVC 압출재(210)는 소재의 특성상 발생할 우려가 큰 변형을 방지하고, 유리의 중량을 견딜 수 있는 보강력을 제공하면서 올바른 형태를 유지하는 구조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하면부(212)의 내면에는 제1 수직면(214a)과 대응하는 보강판 지지돌기(241)가 이격 상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 지지돌기(241)와 대향된 상면부(211)의 내면에는 한 쌍의 보강판 지지돌기(242)(242a)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직면(214a)과 보강판 지지돌기(241)의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보강판 지지돌기(242)(242a)의 사이에는 스틸 보강판(240)의 상하 양측이 각각 끼움 설치됨으로써 상기 PVC 압출재(210)의 부족한 구조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장프레임(220)의 내면에는 다수의 접착제 수용홈(224)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수용홈(224)에는 접착제가 수용됨으로써 PVC 압출재(210)와 외장프레임(220)의 조립과정에서 접착제가 닦여 나감을 방지하면서도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접착제 수용홈(224) 내의 접착제가 흘러 나와 상기 PVC 압출재(210) 및 외장프레임(220)을 강력하게 일체로 접착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단열프레임(300)은 도 9 내지 도 12와 같은 제4 실시 예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4 실시 예의 단열프레임(300)은,
상, 하면부(311)(312)의 외측 선단에 연결된 양 측면부(313)와 각각 이격되게 한 쌍의 세로 격벽(314)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 격벽(314)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로 격벽(315)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로 격벽(315)의 외면 양측에는 싱글 걸림편(31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 하면부(311)(312)의 중앙에는 개방된 유리 삽입부(317)가 형성된 PVC 압출재(310)와;
상기 PVC 압출재(310)의 외면을 좌우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되고, 상기 상, 하면부(311)(312)를 감싸면서 마주하는 선단에는 수직 절곡부(321)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절곡부(321)의 선단에 상기 싱글 걸림편(316)에 걸림 고정되는 엇갈림 고정부(323)가 형성된 한 쌍의 외장프레임(32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 측면부(313)와 세로 격벽(314)의 사이와, 상기 가로 격벽(315)의 사이에는 각각 단열공층(318)(318a)(318b)이 형성됨으로써 실내외 간의 열전도를 차단함은 물론 나아가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4 실시 예에 따른 PVC 압출재(310)의 싱글 걸림편(316)은 선단부에 각각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외향으로 벌어지는 산형의 압착 가이드돌기(316a)가 형성됨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압착 가이드돌기(316a)는 상기 유리 삽입부(317)를 통해 상기 싱글 걸림편(316)의 사이에 이중유리(1)를 끼워 넣는 과정에서 상기 이중유리(1)의 원활한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이와 동시에 상기 수직 절곡부(321)를 압착하면서 걸림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외장프레임(320)이 상하로 벌어지거나 들뜨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상기 PVC 압출재(310)와 외장프레임(320)이 상호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단열프레임(300)의 전체적인 구조강도를 개선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 절곡부(321)와 이중유리(1)의 사이에는 상기 압착 가이드돌기(316a)의 구성에 따라 자연적으로 비접촉 공간(32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싱글 걸림편(316)의 사이에 끼워지는 이중유리(1)가 금속재인 외장프레임(320)의 수직 절곡부(321)에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파손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비접촉 공간(325)에 실링재의 코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온도변화에 따른 이중유리(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로 격벽(315)의 내면 중앙에는 도 11 내지 도 12와 같이 유리 중량지지대(330)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이중유리(1)의 중량을 충분하게 견디면서 상기 PVC 압출재(310)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을 향상한다.
아울러 상기 유리 중량지지대(330)의 양측에는 상기 가로 격벽(315)의 내면에 각각 보강판 지지돌기(341)(341a)가 이격 상태를 유지하면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리 중량지지대(330)와 보강판 지지돌기(341)(341a)의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각각 스틸 보강판(340)의 상하 양측이 끼움 설치됨으로써 상기 PVC 압출재(310)의 구조강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 중량지지대(330)의 양면 중앙과, 상기 보강판 지지돌기(341)(341a)의 마주하는 내면에는 각각 스틸 보강판(340)을 가압 밀착하면서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35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틸 보강판(340)은 유동 없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0, 100a, 200, 300: 단열프레임
110, 210, 310: PVC 압출재 111, 213, 313: 측면부
112: 전면부 113: 후면부
114, 214: 단차부 115, 314: 세로 격벽
116: 듀얼 걸림편 117, 217: 단절부
118, 118a, 118b, 218, 218a, 218b, 318, 318a, 318b: 단열공층
119, 216, 316: 싱글 걸림편 120, 220, 320: 외장프레임
121: 프레임 접합부 123, 223, 323: 엇갈림 고정부 124, 224: 접착제 수용홈 130: 실링재
140, 240, 340: 스틸 보강판
141, 142, 142a, 241, 242, 242a, 341, 341a: 보강판 지지돌기
144, 350: 유동방지돌기 211, 311: 상면부
212, 312: 하면부 221, 321: 수직 절곡부
317: 유리 삽입부 330: 유리 중량지지대

Claims (21)

  1. 양 측면부(111)의 전, 후단에 연결된 전, 후면부(112)(113)와 각각 이격되게 한 쌍의 단차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114)의 사이에는 한 쌍의 세로 격벽(115)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세로 격벽(115)의 외면에는 각각 듀얼 걸림편(11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양 측면부(111)의 중앙에는 개방된 단절부(117)가 형성된 PVC 압출재(110)와;
    상기 PVC 압출재(110)의 외면을 전후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되고, 마주하는 양측 선단에는 프레임 접합부(12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접합부(121)의 선단에 상기 듀얼 걸림편(116)의 양측에 걸림 고정되는 엇갈림 고정부(123)가 형성된 한 쌍의 외장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 접합부(121)의 사이에 충진된 실링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단열프레임(100)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단차부(114)는 양 측면부(111)의 내면에 각각 제1 수평면(114a) 및 제2 수평면(114b)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면(114a) 및 제2 수평면(114b)의 타측은 수직면(114c)을 매개로 일체화 연결되며;
    상기 일측 측면부(111)의 내면에는 제1 수평면(114a)과 이격된 보강판 지지돌기(14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 지지돌기(141)와 대향된 타측 측면부(111)의 내면에는 한 쌍의 보강판 지지돌기(142)(142a)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평면(114a)과 보강판 지지돌기(141)의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보강판 지지돌기(142)(142a)의 사이에는 스틸 보강판(140)의 양측이 각각 끼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20130134242A 2013-11-06 2013-11-06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496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4242A KR101496293B1 (ko) 2013-11-06 2013-11-06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4242A KR101496293B1 (ko) 2013-11-06 2013-11-06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111A Division KR101583453B1 (ko) 2014-05-26 2014-05-26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0140063113A Division KR101595219B1 (ko) 2014-05-26 2014-05-26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0140121843A Division KR101610079B1 (ko) 2014-09-15 2014-09-15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293B1 true KR101496293B1 (ko) 2015-02-26

Family

ID=5259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4242A KR101496293B1 (ko) 2013-11-06 2013-11-06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2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269B1 (ko) * 2015-06-30 2017-07-21 임식규 강성이 우수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760268B1 (ko) 2015-06-30 2017-07-31 임식규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314A (ja) * 1999-12-21 2001-06-26 Fujisash Co 断熱アルミサッシ構成材
KR20010054694A (ko) * 1999-12-07 2001-07-02 박용기 샤시프레임 시공방법
KR101144649B1 (ko) * 2011-01-24 2012-05-11 임식규 창호용 단열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94A (ko) * 1999-12-07 2001-07-02 박용기 샤시프레임 시공방법
JP2001173314A (ja) * 1999-12-21 2001-06-26 Fujisash Co 断熱アルミサッシ構成材
KR101144649B1 (ko) * 2011-01-24 2012-05-11 임식규 창호용 단열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269B1 (ko) * 2015-06-30 2017-07-21 임식규 강성이 우수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760268B1 (ko) 2015-06-30 2017-07-31 임식규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628B1 (ko) 단열성,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단열창호
KR101546824B1 (ko)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514022B1 (ko) 단열성이 개선된 창호용 프레임의 제조방법
US20080196342A1 (en) Thermal composite window
KR101654816B1 (ko) 다중 단열 및 배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506016B1 (ko) 단열성이 개선된 창호용 프레임
JP2000335945A (ja) 一体型マルチガラス窓ユニットとサッシの組み立て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507484B1 (ko) 분리가 용이한 고 기밀성 단열 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32728A (ko) 인터스페이스 구성 요소를 가진 단열 유닛을 위한 스페이서 프레임을 위한 스페이서 프로파일과 단열 유닛
US20200157877A1 (en) Door system with dual sealing elements
KR101496293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709700B1 (ko) 단열 및 조립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짝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4000U (ko)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US20180223589A1 (en) Insulating door and frame
KR101364129B1 (ko) 가이드프레임과 실내측 창문틀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595219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CN104832053B (zh) 凹槽隔热型材与凸起金属型材组合隔热型材
KR102057242B1 (ko) 복층 창호 및 그의 유리 추가 시공방법
KR101760269B1 (ko) 강성이 우수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855998B1 (ko) 창문과 창틀에 단열구조를 구비한 시스템 창호
KR101546818B1 (ko)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760268B1 (ko)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610079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073060B1 (ko) 프레임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