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824B1 -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 Google Patents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824B1
KR101546824B1 KR1020150051757A KR20150051757A KR101546824B1 KR 101546824 B1 KR101546824 B1 KR 101546824B1 KR 1020150051757 A KR1020150051757 A KR 1020150051757A KR 20150051757 A KR20150051757 A KR 20150051757A KR 101546824 B1 KR101546824 B1 KR 101546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ed material
frame
vertical
pvc extruded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2819A (ko
Inventor
임식규
Original Assignee
임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식규 filed Critical 임식규
Priority to KR1020150051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8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with thin strips, e.g. defining a hollow space between the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다중의 단열공층을 확보하여 단열성을 향상함은 물론 금속재의 외장프레임과 PVC 압출재가 유동없는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구조적인 강성을 높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열전도성이 없는 PVC 압출재의 내부에 형성된 다중의 단열공층이 단열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함과 동시에 실내외 간의 열전도 현상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PVC 압출재에 형성된 가압밀착부가 프레임 접합부의 내면에 가압밀착되면서 상기 PVC 압출재의 외면 전영역이 외장프레임의 내면과 밀착상태의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Insulating frame for windows and doors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y and solidity}
본 발명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다중의 단열공층을 확보하여 단열성을 향상함은 물론 금속재의 외장프레임과 PVC 압출재가 유동없는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구조적인 강성을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다.
근자에는 한 장의 유리를 갖는 창호는 단열 및 방음 성능이 좋지 못하므로 어느 정도의 단열이나 방음이 요구되는 관공서나 학교, 병원, 상가 등의 현관에 시공되는 창호에는 대부분 페어글라스와 같은 이중유리를 사용한다.
상기 이중유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은 도어나 창, 실내의 내부 칸막이 등을 시공할 때 통상 사각체의 틀로 짜여지고, 이 사각체의 내부 영역에는 상기 이중유리가 설치되거나 또는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용 프레임은 상기 이중유리를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실내 및 실외에 접하게 되는데, 상기 창호용 프레임은 일체형의 금속재 판재로 구성됨으로써 열전도가 잘되어 실, 내외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이와 같은 결로현상으로 인해 스틸 보강프레임이 쉽게 녹이 슬고 녹물이 흘러내리며, 외부로 손실되는 열이 많아 단열성이 저하되고 있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되어 특허결정된 「특허등록 제1144649호, 명칭/ 창호용 단열프레임」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창호용 단열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아존 단열재가 열전도 현상을 차단하여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를 없애 결로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의 열손실을 줄어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약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1∼2개의 단열공층이 형성되어 단열성이 미약할 수 밖에 없고, 내부의 보강프레임과 이 보강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외장프레임이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고 외장프레임이 유동하면서 완전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없어 구조적인 강성이 저하되는 일부의 개선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실내외 간의 열전도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아존 단열재를 성형함에 있어 액체상태의 고강도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아존을 아존 충전실에 주입한 후 경화하는 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작업공정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일부의 개선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이 내포하고 있는 일부의 개선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열전도성이 없는 PVC 압출재의 내부에 형성된 다중의 단열공층이 단열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함과 동시에 실내외 간의 열전도 현상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VC 압출재에 형성된 가압밀착부가 프레임 접합부의 내면에 가압밀착되면서 상기 PVC 압출재의 외면 전영역이 외장프레임의 내면과 밀착상태의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VC 압출재를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외장프레임의 내부에 끼움 조립하는 과정에서 외장프레임의 내면에 함몰 형성된 접착제 수용홈에 채워진 접착제가 PVC 압출재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PVC 압출재의 상, 하면부의 외측 선단에 연결된 양 측면부와 각각 이격되게 한 쌍의 세로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세로 격벽의 사이에 한 쌍의 가로 격벽을 이격되게 형성하며, 상기 상, 하면부의 중앙에 유리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면부의 마주하는 선단에 각각 가압밀착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PVC 압출재의 외면을 한 쌍의 외장프레임을 이용하여 좌우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하고, 마주하는 양측 선단에는 수직부를 절곡 형성하며, 상기 수직부는 가압밀착부를 부분적으로 감싸게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전도성이 없는 PVC 압출재의 외부를 외장프레임이 감싸게 설치됨으로써 실내외 간의 열전도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PVC 압출재의 내부에 다중의 단열공층이 형성됨으로써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종래에 시행하던 아존 단열재의 성형 설치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 및 작업공정을 감축하여 단열프레임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VC 압출재에 형성된 가압밀착부에 의해 PVC 압출재의 외면 전체영역이 외장프레임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상호 유동없는 일체성을 유지하여 단열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조적 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PVC 압출재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압밀착부 및 결속돌기의 결합상태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PVC 압출재의 종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200)의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 하면부(211)(212)의 외측 선단에 연결된 양 측면부(213)와 각각 이격되게 한 쌍의 세로 격벽(214)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 격벽(214)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로 격벽(215)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 하면부(211)(212)의 중앙에는 개방된 유리 삽입부(216)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면부(211)(212)의 마주하는 선단에 각각 가압밀착부(217)가 형성된 PVC 압출재(210)와;
상기 PVC 압출재(210)의 외면을 좌우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되고, 마주하는 양측 선단에는 수직부(22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221)는 가압밀착부(217)를 부분적으로 감싸게 설치된 한 쌍의 외장프레임(22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PVC 압출재(210)는 열전도성이 없는 것으로, 실내외 간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대폭 향상하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PVC 압출재(210)의 가압밀착부(217)는 도 2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되, 선단에 뾰족한 첨단부(217-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첨단부(217-1)는 수직부(221)에 가압밀착시 양 측면부(213)는 가로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외장프레임(220)의 내면에 더욱 밀착되어 상기 PVC 압출재(210)와 외장프레임(220)은 상호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함은 물론 상기 외장프레임(220)의 내부에 상기 PVC 압출재(21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으면서 끼움 조립하는 과정에는 마찰면을 줄여주여 조립의 원활성을 제공함은 물론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PVC의 특성상 첨단부(217-1)가 눌리면서 밀착력을 더욱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로 격벽(215)의 사이에는 유리 처짐방지대(230)가 추가로 연결됨으로써 강화유리의 하중을 충분하게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양 측면부(213) 및 세로 격벽(214)의 사이와, 상기 유리 처짐방지대(230)와 세로 격벽(214)의 사이에는 각각 단열공층(218)(218a)(218b)(218c)이 형성됨으로써 실내외 간의 열전도를 차단함은 물론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외장프레임(220)의 내면에는 다수의 접착제 수용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수용홈(240)에는 접착제가 수용됨으로써 PVC 압출재(210)와 외장프레임(220)의 조립과정에서 접착제가 닦여 나감을 방지하면서도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접착제 수용홈(240) 내의 접착제가 흘러 나와 상기 PVC 압출재(210) 및 외장프레임(220)을 강력하게 일체로 접착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부(221)는 도 3과 같이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다수의 결속돌기(223)가 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돌기(223)는 가압밀착부(217)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PVC 압출재(210) 및 외장프레임(220)은 상호 더욱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양 측면부(213)와 가로 격벽(215)의 사이에는 각각 ㄷ형상의 스틸 보강재(250)가 추가로 삽입 설치됨으로써 상기 PVC 압출재(210)의 취약한 강성을 보강하여 휨 발생이나 눌림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프레임(200a)은 도 4 내지 도 5와 같은 제2 실시 예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의 창호용 단열프레임(200a)은, 상, 하면부(211)(212)의 외측 선단에 연결된 양 측면부(213)와 각각 이격되게 한 쌍의 세로 격벽(214)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 격벽(214)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로 격벽(215)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211)의 중앙에는 개방된 유리 삽입부(216)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211)의 마주하는 선단에 각각 가압밀착부(217)가 형성된 PVC 압출재(210)와;
상기 PVC 압출재(210)의 외면을 좌우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되되, 상기 하면부(212)는 부분적으로 감싸게 설치되고, 상기 상면부(211)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마주하는 선단에는 수직부(22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221)는 가압밀착부(217)를 부분적으로 감싸게 설치된 한 쌍의 외장프레임(22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200a)이 전자의 제1 실시 예의 창호용 단열프레임(200)과 상이한 점은 상기 PVC 압출재(210)의 경우 상면부(211)의 중앙에만 유리 삽입부(216)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상면부(211)의 마주하는 선단에만 가압밀착부(217)가 형성되며, 상기 외장프레임(220)의 경우에는 PVC 압출재(210)의 하면부(212)를 부분적으로 감싸게 설치된 점이 다소 상이하다고 할 수 있을 뿐 다른 기술 구성요소들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200, 200a: 창호용 단열프레임
210: PVC 압출재 211: 상면부
212: 하면부 213: 측면부
215: 가로 격벽 214: 세로 격벽
216: 유리 삽입부 217: 가압밀착부
217-1: 첨단부 218, 218a, 218b, 218c: 단열공층
220: 외장프레임 221: 수직부
223: 결속돌기 240: 접착제 수용홈

Claims (7)

  1. 상, 하면부(211)(212)의 외측 선단에 연결된 양 측면부(213)와 각각 이격되게 한 쌍의 세로 격벽(214)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 격벽(214)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로 격벽(215)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 하면부(211)(212)의 중앙에는 개방된 유리 삽입부(216)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면부(211)(212)의 마주하는 선단에 각각 가압밀착부(217)가 형성된 PVC 압출재(210)와;
    상기 PVC 압출재(210)의 외면을 좌우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되고, 마주하는 양측 선단에는 수직부(22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221)는 가압밀착부(217)를 부분적으로 감싸게 설치된 한 쌍의 외장프레임(220)로 이루어진 창호용 단열프레임(20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가압밀착부(217)는 경사지게 형성되되, 선단에 뾰족한 첨단부(217-1)가 형성되고, 상기 첨단부(217-1)는 수직부(221)에 가압밀착시 양 측면부(213)는 가로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외장프레임(220)의 내면에 더욱 밀착되어 상기 PVC 압출재(210)와 외장프레임(220)은 상호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2. 상, 하면부(211)(212)의 외측 선단에 연결된 양 측면부(213)와 각각 이격되게 한 쌍의 세로 격벽(214)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 격벽(214)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로 격벽(215)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211)의 중앙에는 개방된 유리 삽입부(216)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211)의 마주하는 선단에 각각 가압밀착부(217)가 형성된 PVC 압출재(210)와;
    상기 PVC 압출재(210)의 외면을 좌우로 각각 구분하여 감싸게 설치되되, 상기 하면부(212)는 부분적으로 감싸게 설치되고, 상기 상면부(211)를 감싸면서 마주하는 선단에는 수직부(22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221)는 가압밀착부(217)를 부분적으로 감싸게 설치된 한 쌍의 외장프레임(22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가압밀착부(217)는 경사지게 형성되되, 선단에 뾰족한 첨단부(217-1)가 형성되고, 상기 첨단부(217-1)는 수직부(221)에 가압밀착시 양 측면부(213)는 가로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외장프레임(220)의 내면에 더욱 밀착되어 상기 PVC 압출재(210)와 외장프레임(220)은 상호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가로 격벽(215)의 사이에는 유리 처짐방지대(230)가 추가로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외장프레임(220)의 내면에는 다수의 접착제 수용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수용홈(240)에는 접착제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양 측면부(213)와 가로 격벽(214)의 사이에는 각각 한 쌍의 스틸 보강재(250)가 추가로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6. 제 3항에 있어서,
    양 측면부(213) 및 세로 격벽(214)의 사이와, 상기 유리 처짐방지대(230)와 세로 격벽(214)의 사이에는 각각 단열공층(218)(218a)(218b)(218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수직부(221)는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다수의 결속돌기(223)가 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돌기(223)는 가압밀착부(217)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0150051757A 2015-04-13 2015-04-13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546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57A KR101546824B1 (ko) 2015-04-13 2015-04-13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57A KR101546824B1 (ko) 2015-04-13 2015-04-13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250A Division KR101546818B1 (ko) 2013-11-06 2013-11-06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819A KR20150052819A (ko) 2015-05-14
KR101546824B1 true KR101546824B1 (ko) 2015-08-24

Family

ID=5338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757A KR101546824B1 (ko) 2015-04-13 2015-04-13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8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59B1 (ko) * 2017-07-05 2018-07-13 강성환 가변형 창호 시스템
KR101924856B1 (ko) * 2017-06-28 2018-12-04 주영준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286B1 (ko) * 2015-06-09 2017-01-03 김순석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KR20170004000U (ko) 2016-05-18 2017-11-28 (주)유엔아이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423346B1 (ko) * 2019-09-30 2022-07-21 김희일 경량 단열 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61B1 (ko) 2006-07-19 2007-10-23 비멕 주식회사 단열 창호
KR101144649B1 (ko) 2011-01-24 2012-05-11 임식규 창호용 단열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61B1 (ko) 2006-07-19 2007-10-23 비멕 주식회사 단열 창호
KR101144649B1 (ko) 2011-01-24 2012-05-11 임식규 창호용 단열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856B1 (ko) * 2017-06-28 2018-12-04 주영준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
KR101877759B1 (ko) * 2017-07-05 2018-07-13 강성환 가변형 창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819A (ko)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824B1 (ko)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EP2878752B1 (en) Prefabricated structure of composite window/door apparatus using different frame materials
KR101506016B1 (ko) 단열성이 개선된 창호용 프레임
EP2278108B1 (en) Insulated frame member
US20080196342A1 (en) Thermal composite window
JP2000335945A (ja) 一体型マルチガラス窓ユニットとサッシの組み立て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91800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485125B1 (ko) 복합창 시스템
KR102190913B1 (ko) 기밀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170004000U (ko)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223620B1 (ko) 단열복합의 이중 커튼 월 창
CN104832053B (zh) 凹槽隔热型材与凸起金属型材组合隔热型材
KR101496293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595219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364129B1 (ko) 가이드프레임과 실내측 창문틀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760269B1 (ko) 강성이 우수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760268B1 (ko)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057242B1 (ko) 복층 창호 및 그의 유리 추가 시공방법
KR200486437Y1 (ko) 복합창호
KR101546818B1 (ko)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0451683Y1 (ko)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KR20150020656A (ko) 도어용 프레임 결합장치
KR101610079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CN211370030U (zh) 高节能保温门窗用铝塑结合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