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683Y1 -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 Google Patents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683Y1
KR200451683Y1 KR2020100008550U KR20100008550U KR200451683Y1 KR 200451683 Y1 KR200451683 Y1 KR 200451683Y1 KR 2020100008550 U KR2020100008550 U KR 2020100008550U KR 20100008550 U KR20100008550 U KR 20100008550U KR 200451683 Y1 KR200451683 Y1 KR 200451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of panel
coupled
upper frame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점묵
조장은
Original Assignee
태진건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진건조(주) filed Critical 태진건조(주)
Priority to KR2020100008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6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8Connecting; Fastening for double roof covering or overroof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3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snap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8Connecting; Fastening by forcing together the marginal portions of adjacent slab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부 프레임과 함께 결합하며 지붕 패널을 고정하는 하부 프레임을 제 1 및 제 2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하고 단열시킴으로써, 고정 프레임의 하부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지붕 패널을 고정 프레임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지붕 패널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스토퍼 블록을 삽입함으로써, 지붕 패널과 고정 프레임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마찰 및 마모 현상을 방지하며, 상부 프레임과 단열 기능을 유지하며 상하 2열 배치되는 지붕 패널을 용이하게 가압 고정할 수 있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Frame for Fixing Roof Panel}
본 고안은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프레임과 함께 결합하며 지붕 패널을 고정하는 하부 프레임을 제 1 및 제 2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하고 단열시킴으로써, 고정 프레임의 하부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지붕 패널을 고정 프레임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지붕 패널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스토퍼 블록을 삽입함으로써, 지붕 패널과 고정 프레임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마찰 및 마모 현상을 방지하며, 상부 프레임과 단열 기능을 유지하며 상하 2열 배치되는 지붕 패널을 용이하게 가압 고정할 수 있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지붕을 가지는 구조물은 최근 재래시장에서 많이 시도하는 방법으로 양측 상가 간의 천정에 구조물에 의하여 천정을 씌우는 것으로 재래시장 이외에도 지하철이나 건물의 출구 또는 임시 가건물 등 각종 시설물에도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지붕을 형성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붕을 갖는 구조물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을 갖는 구조물은 다수개의 기둥(10)을 이용하여 일련의 골조를 형성하고, 지붕의 형상에 따라 고정 프레임(30)을 장착한 후 고정 프레임(30) 사이에 지붕 패널(20)을 삽입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지붕 패널(20)은 유리 또는 합성 수지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고정 프레임(30)에 지붕 패널(20)을 삽입 결합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고정 프레임(30)에 지붕 패널(20)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30)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되고, 지붕 패널(20)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볼트 등을 이용하여 지붕 패널(20)과 밀착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지붕 패널(20) 고정 방식은 작업자가 지붕 구조물에 올라가서 다수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프레임(30)을 고정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지붕을 갖는 구조물은 겨울철과 같이 날씨가 추운 경우 지붕 패널(30)의 하부 공간과 외부 공간과의 온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재래 시장과 같이 지붕 패널(30)의 하부 공간에 사람이 많이 모이거나 열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온도 차이는 더욱 크게 발생하며, 구조물의 측면에 천막과 같은 임시 바람막이 또는 벽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온도 차이는 일반 건물의 실내외 온도 차이만큼 발생하기도 한다. 이때, 지붕 패널(20)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30)은 상부면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될 뿐만 아니라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겨울철과 같은 추운 날씨에는 고정 프레임(30)의 하부면에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고정 프레임은 고정 프레임(30)의 하부면을 따라 이슬이 맺히면서 하부 공간으로 물방울이 떨어지게 되므로, 이곳을 통행하는 사람들에게 커다란 불편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젖은 물기에 의해 미관 또한 크게 저해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 프레임과 함께 결합하며 지붕 패널을 고정하는 하부 프레임을 제 1 및 제 2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하고 단열시킴으로써, 고정 프레임의 하부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붕 패널을 고정 프레임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지붕 패널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스토퍼 블록을 삽입함으로써, 지붕 패널과 고정 프레임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마찰 및 마모 현상을 방지하여 소음 방지 및 내구성이 향상된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프레임과 단열 기능을 유지하며 상하 2열 배치되는 지붕 패널을 용이하게 가압 고정할 수 있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지붕 패널이 삽입 결합되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에는 단열바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열바의 양측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가이드 홈 및 제 2 가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에는 상기 단열바의 제 1 가이드 홈 및 제 2 가이드 홈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 돌기 및 제 2 가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이 결합함에 따라 양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단부와 함께 상기 지붕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제 2 프레임의 중앙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부 하단면에는 상기 제 1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레임의 외측면 및 상기 삽입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분리 이탈이 방지되는 방향으로 서로 맞물림되는 래칫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붕 패널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의 스토퍼 블록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단부와 상기 제 2 프레임의 양단부에는 상기 지붕 패널을 밀착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 패킹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은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부면에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칭되게 위치하도록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 3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양단부가 상기 제 2 프레임의 양단부와 함께 또 다른 지붕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4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 및 상기 제 2 프레임과 제 4 프레임 사이에 지붕 패널이 각각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과 함께 결합하며 지붕 패널을 고정하는 하부 프레임을 제 1 및 제 2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하고 단열시킴으로써, 고정 프레임의 하부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붕 패널을 고정 프레임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지붕 패널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스토퍼 블록을 삽입함으로써, 지붕 패널과 고정 프레임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마찰 및 마모 현상을 방지하여 소음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과 단열 기능을 유지하며 상하 2열 배치되는 지붕 패널을 용이하게 가압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붕을 갖는 구조물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과 지붕 패널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의 지붕 패널 결합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과 지붕 패널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과 지붕 패널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의 지붕 패널 결합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일반적인 지붕을 갖는 구조물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00,200)에 지붕 패널(20)이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지붕을 형성하는데, 이때, 지붕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으로 분리 형성되며, 분리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에 지붕 패널(20)의 끝단이 삽입되고, 지붕 패널(20)의 끝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지붕 패널(20)을 가압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200)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으로 분리 형성되며,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 사이에는 별도의 단열바(300)가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은 그 강도 구조상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이 구조적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 사이에는 별도의 단열바(300)가 삽입 결합된다. 이때, 단열바(300)는 단열 재질로 형성되어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 사이에 발생하는 열전도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아울러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 하부 프레임(200)과 유사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 사이에 밀착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단열바(300)는 고강도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용한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은 지붕 패널(20)을 기준으로 상부 외부 공간에 노출되는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내부 공간에 노출되는 하부 프레임(200)의 제 2 프레임(220)이 단열 구조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부 프레임(100)과 제 2 프레임(220)의 열전도 현상이 차단되어 제 2 프레임(220)의 하부면에 결로 현상이 방지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고정 프레임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지붕 패널(20)을 고정하며 상호 접촉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겨울철과 같은 추운 날씨에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차가워져서 지붕 패널(20)의 하부 공간에 노출되는 하부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200)을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으로 분리 형성하고 서로 단열되도록 함으로써, 지붕 패널을 기준으로 상부 외부 공간에 노출되는 상부 프레임(100)이 차가워지더라도 하부 내부 공간에 노출되는 하부 프레임(200)의 제 2 프레임(220)은 상대적으로 덜 차가워지므로 제 2 프레임(220)의 하부면에서 발생하는 결로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때, 종래 기술과 같이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이 일체로 형성된다면, 제 1 프레임(210)이 상부 프레임(100)과 열전도되기 때문에 이는 다시 제 2 프레임(220)에도 전달되므로 제 2 프레임(220)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 2 프레임(220)은 상대적으로 따듯한 지붕 패널 하부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부 프레임(100)과 단열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달리 하부 프레임(200)에 결로 발생이 방지되어 더욱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은 중심 부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며,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이 상호 결합함에 따라 폭 방향 양단부가 각각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에 삽입된 지붕 패널(20)을 가압 고정한다. 상부 프레임(100)은 폭 방향 양단부에 별도의 패킹 고정부(120)가 형성되며, 패킹 고정부(120)에 탄성 재질의 가압 패킹(500)이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 패킹(500)은 하부 프레임(200)의 양단부에도 결합되어 지붕 패널(20)을 상하 방향으로 밀착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 프레임(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으로 분리 형성되는데, 제 1 프레임(210)은 상부 프레임(100)과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제 2 프레임(220)은 제 1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100)이 결합함에 따라 양단부가 상부 프레임(100)의 양단부와 함께 지붕 패널(20)을 상하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2 프레임(220)의 양단부에도 별도의 패킹 고정부(2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킹 고정부(223)에 가압 패킹(50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100)과 제 1 프레임(210)이 결합하면, 상부 프레임(100)의 양단부에 결합된 가압 패킹(500)과 제 2 프레임(220)의 양단부에 결합된 가압 패킹(500)이 지붕 패널(20)을 밀착 가압하며 지붕 패널(20)에 대한 가압 고정력을 강화시킨다.
이때, 제 1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100)의 결합 방식을 살펴보면, 먼저 제 1 프레임(210)은 제 2 프레임(220)과 단열바(300)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제 2 프레임(220)의 중앙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100)의 중앙부 하단면에는 제 1 프레임(21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100)은 제 1 프레임(210)이 상부 프레임(100)의 삽입구(11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데, 이때, 제 1 프레임(210)의 외측면과 삽입구(110)의 내측면에는 서로 맞물림되는 래칫 돌기(S1,S2)가 형성된다. 래칫 돌기(S1,S2)는 제 1 프레임(210)이 삽입구(110)로 삽입되는 것은 가능하게 하고 제 1 프레임(210)이 삽입구(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방지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1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10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래칫 돌기(S1,S2)에 의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볼트 체결 없이도 용이하게 지붕 패널 고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과 제 1 프레임(210)이 래칫 돌기(S1,S2)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방식으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이 상호 결합되는데, 이때, 하부 프레임(200)의 제 2 프레임(220)은 제 1 프레임(210)에 단열바(300)를 통해 연결 결합되므로, 제 1 프레임(210)이 상부 프레임(100)의 삽입구(110)에 삽입 결합되면 제 2 프레임(220) 또한 상부 프레임(100)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지붕 패널(20)을 가압 고정하게 된다.
이때, 단열바(300)의 양측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가이드 홈(310) 및 제 2 가이드 홈(320)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프레임(210,220)에는 단열바(300)의 제 1 가이드 홈(310) 및 제 2 가이드 홈(320)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 돌기(211) 및 제 2 가이드 돌기(221)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은 제 1 가이드 돌기(211) 및 제 2 가이드 돌기(221)가 각각 단열바(300)의 제 1 가이드 홈(310) 및 제 2 가이드 홈(32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단열바(300)에 의한 제 1 및 제 2 프레임(210,220)의 결합은 단열바(300)가 별도로 제작되어 제 1 및 제 2 프레임(210,220) 사이에 결합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 것으로, 이와 달리 제 1 및 제 2 프레임(210,220) 사이 공간에 액상의 합성 수지를 충전하고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단열바(300)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 1 및 제 2 프레임(210,220)의 제 1 가이드 돌기(211)와 제 2 가이드 돌기(221)에 의해 단열바(300)의 분리 이탈이 방지되며 더욱 단단한 결합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 사이에는 상부 프레임(100)과 제 2 프레임(220) 사이로 삽입되는 지붕 패널(2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토퍼 블록(400)이 삽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토퍼 블록(40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지붕 패널(20)이 상부 프레임(100)과 제 2 프레임(220)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지붕 패널(20)의 끝단과 제 1 프레임(210) 또는 상부 프레임(100)의 삽입구(110) 측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지붕 패널(20)이 그 사이로 삽입되고, 지붕 패널(20)이 삽입된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의 삽입구(110)와 하부 프레임(200)의 제 1 프레임(210)이 결합하도록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지붕 패널(20)에 대한 결합 고정 작업이 완료되는데, 이 경우 지붕 패널(20)을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지붕 패널(20)이 제 1 프레임(210) 또는 상부 프레임(100)의 삽입구(110) 등과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은 지붕 패널(20)의 삽입 과정에서 지붕 패널(20)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 블록(400)이 장착되며, 이러한 스토퍼 블록(400)은 충격 흡수를 위해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스토퍼 블록(400)에 의해 지붕 패널(20)이 제 1 프레임(210) 또는 삽입구(110)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이후 지붕 패널(20)과 고정 프레임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방지되고 아울러 마모 또한 방지되어 고정 프레임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블록(400)의 삽입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블록(400)에 슬롯홈(410)이 형성되고 제 1 프레임(210) 및 제 2 프레임(220)에는 각각 슬롯홈(410)에 삽입될 수 있는 슬롯 돌기(212,222)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붕 패널(20)의 결합 고정 과정에서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과 지붕 패널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패널(20)을 이중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프레임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구성에 더하여 제 3 프레임(230) 및 제 4 프레임(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3 프레임(230)은 제 2 프레임(220)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프레임(210)과 대칭되게 위치하도록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 4 프레임(600)은 제 3 프레임(230)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양단부가 제 2 프레임(220)의 양단부와 함께 다른 하나의 지붕 패널(20)을 상하 방향으로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 2 프레임(220)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별도의 지붕 패널(20)을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제 3 프레임(230)은 제 1 프레임(210)과 상응하는 구성이고, 제 4 프레임(600)은 상부 프레임(100)과 상응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제 3 프레임(230)은 제 1 프레임(210)과 달리 제 2 프레임(2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 2 프레임(220)이 전술한 단열바(300)에 의해 상부 프레임(100) 및 제 1 프레임(210)과 단열되므로 제 3 프레임(230)이 제 2 프레임(220)과 단열되지 않더라도 제 3 프레임(230)에는 결로 현상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구조이다.
이때, 제 2 프레임(220)의 양단부 하단면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패킹 고정부(223')가 형성되어 가압 패킹(500)이 결합되고, 제 4 프레임(600)의 양단부에도 패킹 고정부(620)이 형성되어 가압 패킹(500)이 결합된다. 또한, 제 4 프레임(600)의 중앙부 상단면에는 제 3 프레임(2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삽입구(610)가 형성되고, 제 3 프레임(230)의 외측면 및 삽입구(610)의 내측면에는 상호 분리 이탈이 방지되는 방향의 래칫 돌기(S1,S2)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 3 프레임(230)과 제 2 프레임(220)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스토퍼 블록(400)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슬롯 돌기(222',232)와 슬롯홈(410)을 통해 체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과 제 2 프레임(220)의 양단부 가압을 통해 하나의 지붕 패널(20)을 가압 고정함과 동시에 제 2 프레임(220)과 제 4 프레임(600)의 양단부 가압을 통해 또 하나의 지붕 패널(20)을 가압 고정할 수 있어 상하 2열 배치되는 지붕 패널(20)을 동시에 가압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부 프레임 200: 하부 프레임
210: 제 1 프레임 220: 제 2 프레임
230: 제 3 프레임 300: 단열바
400: 스토퍼 블록 500: 가압 패킹
600: 제 4 프레임

Claims (7)

  1. 상호 결합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지붕 패널이 삽입 결합되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에는 단열바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바의 양측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가이드 홈 및 제 2 가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에는 상기 단열바의 제 1 가이드 홈 및 제 2 가이드 홈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 돌기 및 제 2 가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이 결합함에 따라 양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단부와 함께 상기 지붕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제 2 프레임의 중앙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부 하단면에는 상기 제 1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레임의 외측면 및 상기 삽입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분리 이탈이 방지되는 방향으로 서로 맞물림되는 래칫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붕 패널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의 스토퍼 블록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단부와 상기 제 2 프레임의 양단부에는 상기 지붕 패널을 밀착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 패킹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부면에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칭되게 위치하도록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 3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양단부가 상기 제 2 프레임의 양단부와 함께 또 다른 지붕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4 프레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 및 상기 제 2 프레임과 제 4 프레임 사이에 지붕 패널이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KR2020100008550U 2010-08-17 2010-08-17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KR200451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50U KR200451683Y1 (ko) 2010-08-17 2010-08-17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50U KR200451683Y1 (ko) 2010-08-17 2010-08-17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683Y1 true KR200451683Y1 (ko) 2011-01-04

Family

ID=4424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550U KR200451683Y1 (ko) 2010-08-17 2010-08-17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6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541B1 (ko) 2012-03-23 2013-07-19 오지영 지붕 구조물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1300235B1 (ko) * 2012-09-18 2013-08-26 (주)동신캐노피 아케이드 지붕패널 고정 프레임
KR20180111295A (ko) * 2017-03-31 2018-10-11 임진택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203B1 (ko) 2004-02-10 2006-04-18 안태인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20100040828A (ko) * 2010-04-01 2010-04-21 이동신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203B1 (ko) 2004-02-10 2006-04-18 안태인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20100040828A (ko) * 2010-04-01 2010-04-21 이동신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541B1 (ko) 2012-03-23 2013-07-19 오지영 지붕 구조물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1300235B1 (ko) * 2012-09-18 2013-08-26 (주)동신캐노피 아케이드 지붕패널 고정 프레임
KR20180111295A (ko) * 2017-03-31 2018-10-11 임진택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KR101973383B1 (ko) * 2017-03-31 2019-04-29 임진택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083B1 (ko) 단열 및 차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US7665264B1 (en) Metal-faced building panels having angled projections in longitudinal edge recesses for mating with locking ramps on flanges of concealed I-shaped connector
KR101596271B1 (ko) 단열성이 보강된 커튼월
KR101765525B1 (ko) 커튼월의 다중 단열결합구조
KR101884826B1 (ko) 고강도 커튼월결합구조
KR101842241B1 (ko) 단열 창문틀
KR101206423B1 (ko) 복합단열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392472B1 (ko) 커튼월의 이중 결합구조
KR101442749B1 (ko) 태양광 패널 구조체
KR200451683Y1 (ko)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20170141433A (ko) 탈부착이 용이한 단열커튼월
KR101546824B1 (ko)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859718B1 (ko) 복합 단열구조를 갖는 커튼월
KR20190032680A (ko) 단열 커튼월
KR20160001838U (ko) 커튼월 결합구조
KR20160002973U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039573B1 (ko) 커튼월용 섀시 구조물
KR101952907B1 (ko) Grp를 이용한 개방형 커튼 월 구조
KR101947016B1 (ko) 커튼 월
KR101459719B1 (ko) 데크 및 클립베이스를 이용한 패널지붕 구조체
KR200486437Y1 (ko) 복합창호
CN206957454U (zh) 一种方便的预埋式门窗副框
KR101595219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