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295A -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 Google Patents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295A
KR20180111295A KR1020170042049A KR20170042049A KR20180111295A KR 20180111295 A KR20180111295 A KR 20180111295A KR 1020170042049 A KR1020170042049 A KR 1020170042049A KR 20170042049 A KR20170042049 A KR 20170042049A KR 20180111295 A KR20180111295 A KR 20180111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shield
frames
pan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383B1 (ko
Inventor
임진택
Original Assignee
임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택 filed Critical 임진택
Priority to KR102017004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38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93Details of framework supporting structure, e.g. posts 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04B2001/3247N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52Cove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으로, 중공을 갖는 빔(beam)으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고정되는 커넥터에 의해 다른 빔과 함께 다각구조의 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상기 골조를 이루는 상기 프레임들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골조의 사이를 차폐하는 판재형의 쉴드; 및 상기 쉴드를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빔(beam)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들이 커넥터에 의해 다른 빔과 함께 연결되면서 다각구조의 골조를 용이하게 형성하고, 이에 설치되는 쉴드를 통해 다각구조의 골조 사이를 용이하게 차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PREFABRICATED WALL FOR DOME HOUSE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오데식 돔 하우스나 기타 구조물에 사용되는 벽체를 조립방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이 첨단화되면서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건축 재료, 건축 기술, 시공법이나 설계기술 등도 첨단화되면서 건축물을 시공하는 다양한 시공 방법이나 구조 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하나인 지오데식 돔(geodesic dome)이다.
지오데식 돔은 독일 엔지니어인 Walther Bauersfeld가 설계한 구형 돔을 미국 디자이너인 Backiminster Fuller가 돔의 건설 방법과 제반 이론들을 세부적으로 정리한 후 '지오데식 돔'이라는 용어로 불리고 있다.
이러한, 지오데식 돔은 정이십면체에서 출발하게 되는데, 정이십면체의 외면을 이루고 있는 크기가 같은 20개의 삼각형을 분할한다. 이때, 각 삼각형은 홀수 또는 짝수로 분할하게 되는데, 분할로 생성된 새로운 교차점을 구에 맞게 배치하면 지오데식 돔의 꼭지점이 되고, 모든 면이 거의 동일한 정삼각형의 구에 근접한 형태를 이루는 다면체가 되면서 지오데식 돔이 완성된다.
이러한, 지오데식 돔을 지붕으로 활용한 건축물이 바로 지오데식 돔 하우스(geodesic dome-shaped house)인데, 지오데식 돔 하우스를 구성하는 외벽의 소재에 따라서 내부의 모든 공간에 자연광의 채광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 스포츠 시설이나 대형 공연장 또는 전시장, 창고 등과 같은 대형 건출물뿐만 아니라 가정용 소형 주택 또는 농작물 재배용 비닐하우스 대체용 등으로 그 활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지오데식 돔 하우스를 짓기 위해서는 골격이 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허브 커넥터와, 다수개의 연결된 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덮는 패널이 필요로 하게 되는데, 그 중 허브 커넥터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이에 설치되는 패널에 의해 지오데식 돔 하우스와 같은 건축물이 완성된다.
이러한, 건축물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539324호(2015.07.20)의 "이중 지오데식 돔구조 건축물"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건축물은 다수 개의 길이부재를 지오데식 돔구조 형식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틀 구조체와, 상기 틀 구조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삼각 면부재를 연결하여 지오데식 돔구조 형식으로 외벽체를
형성하는 면 구조체와, 상기 틀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내벽, 및 상기 틀 구조체, 면구조체, 내벽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장볼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건축물의 부재들은 공장에서 제작될 수 있고, 현장에서는 장볼트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단시간 내에 어려움 없이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으며, 틀 구조체와 면 구조체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는 틀 구조체와 면 구조체를 이격시켜 이중 외피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외기와 직접 접하는 면 구조체에서 발생한 열이 틀 구조체를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물은 스페이서를 통해 외벽체를 이루는 면 구조체와 내벽체를 이루는 내벽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이루어야 단열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모두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 및 설치가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건축물은 삼각 면부재들의 연결에 의해 구성되는 면 구조체를 연결하여 돔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면 구조체가 돔 형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서로 맞닿는 삼각 면부재들이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 결과 삼각 면부재들 사이는 빈 틈이 발생하기 때문에 빗물이 충분히 스며들 수 있어 내부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바람 역시 충분히 스며들 수 있어 내부로 스며든 찬 공기나 더운 공기에 의해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때, 종래의 건축물은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을 이루는 삼각 면부재 사이에 ㄷ자형 체결구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어느 정도는 전술한 문제점인 누수나 단열효과의 저하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단순히 삼각 면부재들 사이에 ㄷ자형 체결구를 설치한다 하여 삼각 면부재들 사이의 미세한 빈틈을 완벽히 차단할 수 없어 전술한 문제점이 또다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건축물은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쉽게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접촉이 나타나는 부근에는 온도차가 심화되면서 이슬맺힘 현상이나 전술한 누수 등에 의한 습기 등이 발생됨에 따라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인체에 해로운 곰팜이 등의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각 부재들의 부식 등이 가속화되어 건물의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건축물은 전술한 부재들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각 부재들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조립식으로, 애초에 미리 정해진 돔 구조의 형태로만 설치되도록 제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돔 구조 이외의 형태로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건축물은 설치시 각 부재들의 연결상태(위치, 배치, 각도 등)나 설치되는 장소의 지형 등에 따라 각 부재들 사이의 연결상태에 소정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정해진 형태로 제조된 각 부재들이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소정의 허용오차를 제시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나 수단을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각 부재들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설치가 매우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보 제10-1539324호(2015.07.20)의 "이중 지오데식 돔구조 건축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들의 연결에 의해 다각구조로 형성되는 골조 사이를 용이하게 차폐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전술한 골조 사이를 차폐하는 별도의 차폐부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차폐부재를 이루는 구성들을 일체적으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제작된 차폐부재를 전술한 골조의 외측에 장착시킬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복수를 이루어 인접하는 차폐부재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프레임과 차폐부재 사이의 빈틈을 밀폐시킬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프레임과 차폐부재 사이의 빈틈을 밀폐하는 밀폐부재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프레임에 장착된 차폐부재의 유동에 따라 발생되는 빈틈을 차폐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프레임과 차폐부재가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차폐부재의 구성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핀부재를 수용홈에 수용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수용홈을 밀폐하는 실링부재가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차폐부재를 이루는 구성들의 이음새 부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이음새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프레임에 차폐부재가 장착되기 전, 프레임의 정해진 일부분에 차폐부재가 안착되도록 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프레임에 장착된 차폐부재가 회동되는 각도에 대응하여 프레임과 차폐부재가 서로 면 접촉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폐부재들을 센터링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프레임에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내재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차폐부재를 이루는 구성들을 결합하기 전, 구성들을 정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는 중공을 갖는 빔(beam)으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고정되는 커넥터에 의해 다른 빔과 함께 다각구조의 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상기 골조를 이루는 상기 프레임들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골조의 사이를 차폐하는 판재형의 쉴드; 및 상기 쉴드를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쉴드는 판넬; 상기 판넬의 각 변마다 제각기 끼워져셔 상기 판넬의 테두리를 감싸는 다수개의 판넬테; 및 상기 판넬테들이 서로 인접하면서 이루는 모서리의 양측을 클램핑하여 상기 판넬테들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판넬테는 상기 판넬의 테두리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길이를 갖게 형성되고, 상기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들 중 하나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기 패스너는 상기 판넬테 중 하나의 단부에 일단이 관통상태로 걸리고, 인접한 상기 판넬테의 단부에 일단이 관통상태로 걸림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판넬테를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집게형태의 고정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쉴드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쉴드를 상기 프레임에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쉴드를 가압하는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커넥터를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쉴드의 상기 판넬테 및 인접하는 다른 상기 쉴드의 상기 판넬테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테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마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판넬테와 상기 마감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테와 상기 마감판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넬테는 상기 패킹이 맞닿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패킹과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는 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은 상기 판넬테와 마주하는 일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판넬테의 표면을 차폐하여 수밀하는 차단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판넬테는 상기 프레임과 맞닿는 일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 선 접촉하는 접촉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넬테는 상기 고정핀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테는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는 상태로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링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걸리는 제1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판넬테는 상기 판넬과의 이음새 부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상기 이음새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링부재의 일부분이 걸리는 제2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판넬테와 맞닿는 외측면의 센터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판넬테가 안착되는 기준을 제공하는 센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판넬테와 맞닿는 일부분이 상기 접촉돌기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판넬테의 회동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판넬테의 일부분과 면 접촉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마감판은 상기 판넬테와 맞닿는 외측면의 센터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판넬테들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판넬테들을 센터링시키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빔의 외측에 상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된 배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배선로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와 리벳팅(Riveting) 되는 부분의 두께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는 상기 판넬테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판넬의 테두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판넬을 설정된 정위치로 유도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에 의하면, 빔(beam)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들이 커넥터에 의해 다른 빔과 함께 연결되면서 다각구조의 골조를 형성하므로, 벽체의 전체적인 형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
그리고, 쉴드를 통해 전술한 다각구조의 골조 사이를 제각기 차폐하므로, 골조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쉴드는 판넬, 판넬테 및 패스너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
이때, 판넬테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길이를 갖게 형성되므로, 판넬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판넬테는 프레임이 이루는 폭보다 작은 폭을 이루므로, 프레임의 상부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또, 패스너는 집게형태의 고정핀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판넬테 중 하나에 관통상태로 걸리고, 이에 인접하는 판넬테 중 하나에 타단이 관통상태로 걸리므로, 한 쌍의 판넬테를 용이하게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패스너는 판넬테들이 인접하면서 형성되는 모서리마다 설치되므로, 다수의 판넬테들이 서로 일체적으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 및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전술한 쉴드를 프레임의 외측에 일체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
이때, 고정부재는 쉴드의 일부분을 가압하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쉴드를 프레임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체결부재는 고정부재와 커넥터를 일체적으로 고정하여 고정부재가 쉴드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므로, 프레임에 고정된 쉴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감판을 통해 쉴드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쉴드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므로, 골조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때, 패킹을 통해 마감판과 쉴드 사이의 빈틈을 밀폐시키므로, 골조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더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판넬테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패킹과 맞닿는 접촉면적을 확대시키므로, 패킹을 통한 밀폐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돌기를 통해 쉴드의 유동에 따라 발생되는 빈틈을 차폐하므로, 골조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돌기를 통해 프레임과 쉴드가 맞닿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므로, 골조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냉기나 열기가 내부로 전달되거나, 골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냉기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전달량을 용이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접촉돌기를 통해 냉기나 열기의 전달량을 감소시켜 단열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수용홈을 통해 판넬테의 내측으로 고정핀을 수용하므로, 고정핀이 판넬테 외측으로 돌출되어 다른 판넬테와 부딪히거나 걸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턱을 통해 수용홈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걸림상태로 고정하므로, 실링부재가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2걸림턱을 통해 판넬과 판넬테의 이음새를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걸림상태로 고정하므로, 실링부재가 이음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돌기를 통해 쉴드의 판넬테가 프레임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기준을 제공하므로,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경사부를 통해 전술한 접촉돌기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쉴드의 일부분이 프레임에 면접촉하므로, 프레임과 쉴드가 맞닿는 부분에 발생되는 응력의 집중을 분산시켜 프레임이나 쉴드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브를 통해 프레임의 외측에 안착된 쉴드과 이에 인접하는 쉴드를 센터링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
그리고, 프레임은 통로부를 제공하므로, 프레임의 내측으로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지나가는 통로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커버를 통해 전술한 통로부를 차폐하므로, 통로부를 지나는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프레임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보강부를 통해 커넥터와 리벳팅(Riveting) 결합되는 일부분의 두께를 확장시키므로, 리벳팅(Riveting)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재를 통해 판넬테와 결합하는 판넬의 끝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판넬테에 결합되는 판넬을 정위치로 유도하므로,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의 전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지지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 부분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쉴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쉴드의 전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C' 부분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1)는 프레임(10), 쉴드(20) 및 고정수단(30)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을 갖는 빔(beam)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단부에 커넥터(100)가 설치되어 다른 빔(beam)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함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구조의 골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100)를 설명한 후, 프레임(10)과 커넥터(100)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0)는 돔 하우스 또는 구조물의 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10)들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프레임(10)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커넥터 디스크(200), 결합부(300) 및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커넥터 디스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211)이 형성된 중심플레이트(210) 및 중심플레이트(2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후술하는 결합부(300)가 결합되는 도우넛(doughnut) 형태의 걸림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커넥터 디스크(200)의 둘레방향 일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돔 하우스 또는 건축물의 프레임이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결합프레임(310) 및 결합프레임(3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커넥터 디스크(200)의 걸림부재(230) 일부를 에워싼 상태로 걸림부재(230)와 결합되는 결합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결합부(300)는 커넥터 디스크(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커넥터 디스크(200)의 원주방향 일부에 결합될 수 있고, 커넥터 디스크(200)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각도조절되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디스크(200)가 돔 하우스 또는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프레임(P)에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기초프레임(P)과 체결되는 'ㄱ'자 형태의 지지브라켓(410)과, 지지브라켓(410)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중심플레이트(210)와 연결되는 회동편(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지지부(400)를 매개로 기초프레임(P)과 연결되는 커넥터 디스크(200)의 중심플레이트(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심플레이트(210)가 원판의 형태로 형성되면, 기초프레임(P)에 간섭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심플레이트(210)는 반원판의 형태로 제작되어 지지부(4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중심플레이트(2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걸림부재(230) 또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후술하는 고정부재(51) 또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전술한 커넥터(100)에 프레임(10)이 설치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커넥터(100)의 구성 중, 결합부(300)를 이루는 결합프레임(310)에 형성된 공간(S)에 프레임(10)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때, 결합프레임(310)의 결합공(311)을 관통하는 볼트나 나사 등이 프레임을 관통하는 상태로 리벳팅(Riveting) 결합됨에 따라 서로 접합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은 전술한 구성을 갖는 커넥터(100)를 단부에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100)를 통해 다수의 프레임(10)들을 서로 연결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구조, 사각구조 또는 다각구조의 형태를 이루는 골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다각구조의 골조형태를 삼각구조로 형성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전체적으로 평평한 울타리(미도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프레임(10)은 보강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11)는 프레임(10)의 강성을 보강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프레임(10)의 두께를 보강하는 돌기형태를 이룬다. 자세하게는, 보강부(11)는 프레임(10)의 일부분, 즉 전술한 커넥터(100)의 결합프레임(10)과 리벳팅(Riveting) 결합되는 부분의 두께를 확장한다. 이에 따라, 보강부(11)는 결합프레임(10)과 리벳팅(Riveting) 결합되는 프레임(10)의 일부분 강성을 부분적으로 보강함으로,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팅(Riveting)될 경우, 별도로 마련되는 체결나사와 프레임(10)임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두께를 형성하기 때문에 압력에 의해 프레임(10)이 파손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프레임(10)은 센터돌기(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돌기(13)는 쉴드(30)가 안착되는 기준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30)가 안착되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센터돌기(13)는 돌기형태로 구성되고, 프레임(10)이 이루는 폭의 센터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안착되는 쉴드(30), 즉 후술하는 판넬테(33)가 안착되는 기준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센터돌기(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판넬테(33)가 제각기 프레임(10)이 이루는 폭의 절반에 안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 한편, 프레임(10)은 통로부(15) 및 커버(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로부(15)는 프레임(10)의 내부로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외측으로 개방된 공간을 제공한다. 자세하게는, 통로부(15)는 빔, 즉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통로부(15)는 별도로 마련되는 전선이나 케이블 등을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커버(17)는 통로부(15)를 차폐하는 구성요소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부(15)가 형성된 프레임(10)의 외측면을 차폐하도록 프레임(10)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커버(17)는 통로부(15)의 개방된 부분이 이루는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프레임(1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된다. 이때, 커버(17)는 끼움 결합방식, 나사 체결방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프레임(10)과 일체를 이룰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커버(17)는 전술한 통로부(15)를 차폐하여 통로부(15)에 구비된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통로부(1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프레임(10)은 경사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9)는 프레임(10)과 접촉함에 따라 판넬테(33)에 가해지는 응력집중 현상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와 맞닿는 프레임(10)의 일부분에 마련된다. 참고로, 프레임(10)은 판넬테(33)와 맞닿는 일부분이 모서리 형태를 이룰 경우, 모서리 부분에 판넬테(33)의 일부분이 선 접촉하면서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부(19)를 마련한다. 이러한, 경사부(19)는 프레임(10)의 일부분, 즉 판넬테(33)와 맞닿는 일부분이 전술한 접촉돌기(33b)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판넬테(33)의 회동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경사부(19)는 판넬테(33)의 일부분과 면 접촉되므로, 판넬테(33)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켜 판넬테(33)의 한 지점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경사부(19)는 판넬테(33)의 한 지점에 가해질 수 있는 응력을 고르게 분산시키므로, 이로 인해 발생되는 판넬테(33)의 파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쉴드(30)는 전술한 프레임(10)들이 이루는 다각구조의 골조 사이를 차폐하는 구성요소로, 판넬(31), 판넬테(33) 및 패스너(35)를 포함한다.
판넬(31)은 골조의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는 구성요소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재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판넬(31)은 전술한 골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사전에 제작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한 삼각구조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룬다. 예컨대, 판넬(31)은 목판, 유리판, 석고보드 등으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유리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판넬(31)은 전술한 형태로 형성되는 골조 사이를 빈틈없이 용이하게 차폐시킬 수 있다.
판넬테(33)는 판넬(31)을 전술한 골조의 외측으로 안전하게 장착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31)이 이루는 각 변마다 제각기 마련된다. 이러한, 판넬테(33)는 인접하는 다른 판넬테(33)와 서로 알맞게 접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경사지게 절단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통상적인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판넬테(33)는 판넬(31)의 테두리에 알맞게 접하면서 테두리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판넬테(3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판넬테(33)는 개방된 일측이 이루는 폭이 판넬(31)이 이루는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를 이루며, 판넬(31)이 이루는 각 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예컨대, 판넬테(33)는 'ㄷ' 형태의 찬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넬테(33)는 판넬(31)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판넬(31)이 이루는 각 변마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판넬테(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안착되는 외측면의 폭이 프레임(10)이 이루는 폭보다 작은 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프레임(10)의 외측면에 판넬테(33)가 용이하게 안착되기 위함이며,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의 외측면에 한 쌍을 이루는 판넬테(33)가 제각기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판넬테(33)는 접촉돌기(33b), 요철부(33a) 및 수용홈(33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돌기(33b)는 프레임(10)과 판넬테(33)가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판넬테(33) 사이에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접촉돌기(33b)는 프레임(10)의 외측면과 맞닿는 판넬테(33)의 외측면으로부터 프레임(10)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반원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접촉돌기(33b)는 프레임(10)의 외측면에 맞닿아 선 접촉하는 상태를 이루면서 프레임(10)의 외측면과 판넬테(33)의 외측면 사이를 이격시켜 서로 면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접촉돌기(33b)는 프레임(10)과 판넬테(33)가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충분히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10)과 판넬테(33) 사이의 열전도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접촉돌기(33b)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나 냉기 등이 판넬테(33)를 통해 프레임(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반대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나 냉기 등이 프레임(10)을 통해 판넬테(33)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결로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요철부(33a)는 판넬테(33)와 후술하는 패킹(39)과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39)과 맞닿는 판넬테(33)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부(3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면서 판넬테(33)의 전체적인 면적을 확장시킨다. 이에 따라, 요철부(33a)는 패킹(39)과 맞닿는 접촉면적이 확대되면서 판넬테(33)에 밀착되는 패킹(39)으로 인한 밀폐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수용홈(33c)은 후술하는 패스너(35)의 구성인 결합핀을 수용하는 구성요소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의 단부 일측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홈(33c)은 판넬테(33)의 개방된 일부분의 타측면에 마련되어 판넬테(33)의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홈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수용홈(33c)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이때 결합핀이 판넬테(33)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걸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판넬테(33)는 제1걸림턱(33d) 및 제2걸림턱(33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걸림턱(33d)은 판넬테(33)에 형성된 수용홈(33c)을 실링하는 실링부재(45)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33c)의 일부분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홈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제1걸림턱(33d)은 수용홈(33c)의 내부로 주입되거나 삽입되는 실링부재(45)의 일부분을 걸림상태로 고정하기 때문에 실링부재(45)가 수용홈(33c)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실링부재(45)는 제1걸림턱(33d)에 의해 수용홈(33c)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므로, 수용홈(33c)을 용이하게 밀폐시키는 것은 물론 수용홈(33c)에 수용된 고정핀이 수용홈(33c)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2걸림턱(33e)은 판넬(31)의 테두리에 결합된 판넬테(33)와의 이음새 부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45)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의 개방된 끝단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후크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제2걸림턱(33e)은 판넬(31)과 판넬테(33)의 이음새 부분에 실링되는 실링부재(45)의 일부분을 걸림상태로 고정하기 때문에 실링부재(45)가 이음새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실링부재(45)는 제2걸림턱(33e)에 의해 판넬(31)과 판넬테(33)의 이음새 부분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므로, 이음새 부분을 용이하게 밀폐시키는 것은 물론, 실링부재(45)의 접착력이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판넬테(33)는 마찰저감부(33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저감부(33f)는 판넬(31)의 테두리에 판넬테(33)가 결합되면서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31)이 맞닿는 판넬테(33)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돌기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마찰저감부(33f)는 판넬(31)의 외측면과 판넬테(33)의 내측면이 맞닿는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서로 면 접촉할 경우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판넬테(33)는 판넬(31)의 테두리에 결합될 경우, 마찰저감부(33f)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판넬(31)의 테두리에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패스너(35)는 판넬(31)에 결합된 판넬테(33)들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구성요소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들이 서로 인접하면서 이루는 모서리마다 제각기 설치된다. 이러한, 패스너(3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 중 하나의 끝단 일부분에 일단이 관통상태로 걸리고, 인접한 판넬테(33)의 끝단 일부분에 타단이 관통상태로 걸리는 집게형태의 고정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스너(35)는 모서리를 이루는 한 쌍의 판넬테(33)를 클램핑하여 일체적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패스너(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들 마다 제각기 설치되므로, 판넬(31)의 각 변마다 결합된 판넬테(33)들 전부를 일체적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쉴드(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들을 통해 전술한 다각구조의 골조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쉴드(30)는 완충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40)는 판넬테(33)와 결합되는 판넬(31)을 설정된 정위치로 유도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와 판넬(31)의 사이에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완충부재(40)는 판넬테(33)의 내측 끝단에 구비된다. 예컨대, 완충부재(40)는 고무, 우레탄 폼, 모헤어, 로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40)는 판넬테(33)와 판넬(31)이 결합될 경우, 판넬(31)의 테두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판넬(31)의 테두리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부재(40)는 판넬(31)을 지지하여 설정된 정위치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정위치란 판넬(31)과 판넬테(33)가 결합될 경우, 판넬(31)이 판넬테(33)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삽입되어 머무는 알맞은 위치를 뜻하며, 이를 통해 판넬(31)은 쉴드(30)를 형성하는 판넬테(33)들의 사이, 즉 중앙에 알맞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수단(50)은 프레임(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구조의 골조 외측에 쉴드(30)를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구성요소로, 고정부재(51) 및 체결부재(53)를 포함한다.
고정부재(51)는 쉴드(30)를 가압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형태를 이룬다. 예컨대, 고정부재(51)는 평평한 판형으로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부재(51)가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다수를 이루는 쉴드(30)의 단부를 동시에 가압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때, 고정부재(51)는 전술한 커넥터 디스크(200)와 동심원상에 배치된 상태로 쉴드(30)의 외측면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30)들의 외측면, 즉 판넬테(33)들에 용이하게 안착된다. 이때, 고정부재(51)는 쉴드(30)들에 안착된 상태로 후술하는 체결부재(53)에 의해 쉴드(30)들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체결부재(53)는 고정부재(51)를 커넥터(100)와 고정하면서 쉴드(30)를 가압하고,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나 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53)는 전술한 고정부재(51)를 관통한 상태로 일단이 커넥터 디스크(200)의 체결공(211)에 체결된다. 자세하게는. 체결부재(53)는 체결공(211)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체결공(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체결부재(53)는 고정부재(51)와 연결된 상태를 이루므로, 고정부재(51) 역시 체결공(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하강한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53)는 고정부재(51)를 커넥터 디스크(200)에 점차적으로 고정시키고, 이와 동시에 고정부재(51)는 쉴드(30)를 가압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체결부재(53)는 고정부재(51)가 쉴드(30)를 가압하는 상태로 커넥터 디스크(200)에 체결됨에 따라 고정부재(51)가 쉴드(30)를 가압하는 가압상태를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53)는 전술한 바와 달리, 우선적으로 커넥터 디스크(200)의 체결공(211)에 체결되되, 커넥터 디스크(200)의 하부로부터 체결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일단이 고정부재(51)가 안착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체결되고, 이때 노출된 일단은 도 3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51)를 관통하여 별도로 마련되는 너트에 체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수단(50)은 다각구조를 이루는 골조의 외측에 안착된 쉴드(3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는 마감판(37) 및 패킹(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판(37)은 전술한 쉴드(30)와 인접하는 다른 쉴드(3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1)을 차폐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바 형상을 이루고, 판넬테(33)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이러한, 마감판(3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30), 즉 판넬테(33)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자세하게는 센터를 중심으로 일측이 판넬테(33) 중 하나의 외측면에 안착되고, 타측이 인접하는 다른 판넬테(33)의 외측면에 안착된 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마감판(37)은 판넬테(33) 중 하나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판넬테(33)의 외측면에 용이하게 안착되면서 전술한 이격공간(S1)을 용이하게 차폐할 수 있다. 즉, 마감판(37)은 이격공간(S1)을 차폐하므로, 프레임(10)들에 의해 형성되는 골조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감판(37)은 전술한 고정부재(51)에 의해 쉴드(30)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마감판(3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와 고정부재(51) 사이에 배치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의 외측면에 안착된다. 즉, 마감판(37)은 전술한 고정부재(51)가 쉴드(30)를 고정시키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1)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마감판(37)은 리브(37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37a)는 프레임(10)에 안착되는 판넬테(33)들을 센터링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와 맞닿는 마감판(37)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리브(37a)는 마감판(37)이 이루는 폭의 센터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리브(37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마감판(37)이 쉴드(30), 즉 판넬테(33)의 외측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판넬테(33)들 사이의 이격공간(S1)을 가로지르는 삽입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프레임(10)에 안착된 판넬테(33)들을 용이하게 센터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리브(37a)는 마감판(37)의 센터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마감판(37)에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마감판(37)의 강성이 보강되는 효과도 있다.
패킹(39)은 전술한 판넬테(33)와 마감판(37) 사이의 빈틈을 밀폐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와 마감판(37) 사이에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패킹(39)은 판넬테(33)와 마주하는 마감판(37)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예컨대, 패킹(39)은 고무, 우레탄 폼 등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킹(39)은 판넬테(33)와 마감판(37)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빈틈을 메워 용이하게 밀폐시키므로, 이물질 등의 유입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때, 패킹(39)은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에 형성되는 요철부(33a)와 접촉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판넬테(33)와 마감판(37) 사이의 빈틈을 더욱더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한편, 패킹(39)은 차단돌기(3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돌기(39a)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킹(39)을 통해 마감판(37)과 판넬테(33) 사이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판넬테(33)가 접촉돌기(33b)를 기준으로 유동될 경우, 패킹(39)과 판넬테(33) 사이에 발생되는 빈틈을 차폐하여 수밀하는 구성요소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39)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차단돌기(39a)는 판넬테(33)가 평평한 상태를 이룰 경우,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로 밀착되되, 판넬테(33)가 접촉돌기(33b)를 기준으로 유동된 상태를 이룰 경우,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차단돌기(39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테(33)의 유동에 의해 빈틈이 발생되더라도, 판넬테(33)의 표면을 차폐하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들이 이루는 골조의 외측에 다수의 쉴드를 제각기 안착시킨 후, 고정수단을 통해 쉴드들을 고정시키는 용이한 조립식 방법을 수행한다. 이러한, 벽체는 제작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전체적으로 돔 형상이나 판 형태의 울타리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1 :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10 : 프레임 11 : 보강부
13 : 센터돌기 15 : 통로부
17 : 커버 19 : 경사부
30 : 쉴드 31 : 판넬
33 : 판넬테 33a :요철부
33b : 접촉돌기 33c : 수용홈
33d : 제1걸림턱 33e : 제2걸림턱
33f : 마찰저감부 37 : 마감판
37a : 리브 39 : 패킹
39a : 차단돌기 40 : 완충부재
45 : 실링부재 50 : 고정수단
51 : 고정부재 53 : 체결부재
100 : 커넥터 200 : 커넥터 디스크
300 : 결합부 400 : 지지부

Claims (10)

  1. 중공을 갖는 빔(beam)으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고정되는 커넥터에 의해 다른 빔과 함께 다각구조의 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상기 골조를 이루는 상기 프레임들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골조의 사이를 차폐하는 판재형의 쉴드; 및
    상기 쉴드를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는,
    판넬;
    상기 판넬의 각 변마다 제각기 끼워져셔 상기 판넬의 테두리를 감싸는 다수개의 판넬테; 및
    상기 판넬테들이 서로 인접하면서 이루는 모서리의 양측을 클램핑하여 상기 판넬테들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판넬테 중 하나의 단부에 일단이 관통상태로 걸리고, 인접한 상기 판넬테의 단부에 일단이 관통상태로 걸림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판넬테를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집게형태의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쉴드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쉴드를 상기 프레임에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쉴드를 가압하는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커넥터를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의 상기 판넬테 및 인접하는 다른 상기 쉴드의 상기 판넬테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테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마감판;을 더 포함하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테와 상기 마감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테와 상기 마감판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테는,
    상기 프레임과 맞닿는 일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 선 접촉하는 접촉돌기;를 더 포함하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판넬테와 맞닿는 일부분이 상기 접촉돌기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판넬테의 회동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판넬테의 일부분과 면 접촉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와 리벳팅(Riveting) 되는 부분의 두께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는,
    상기 판넬테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판넬의 테두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판넬을 설정된 정위치로 유도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KR1020170042049A 2017-03-31 2017-03-31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KR101973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049A KR101973383B1 (ko) 2017-03-31 2017-03-31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049A KR101973383B1 (ko) 2017-03-31 2017-03-31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295A true KR20180111295A (ko) 2018-10-11
KR101973383B1 KR101973383B1 (ko) 2019-04-29

Family

ID=6386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049A KR101973383B1 (ko) 2017-03-31 2017-03-31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3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8901A (zh) * 2019-04-07 2019-06-11 福建未来智创环保科技有限公司 组装式圆顶移动房
CN114182868A (zh) * 2021-12-21 2022-03-15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钢结构框架系统及其施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544A (ja) * 2002-12-17 2004-07-15 Hirayama Engineering:Kk トラス構造を利用した軽量強化連結パイプ
KR20060008263A (ko) * 2005-12-28 2006-01-26 주식회사 미앤지산업 패널 시스템
KR200451683Y1 (ko) * 2010-08-17 2011-01-04 태진건조(주)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KR101158823B1 (ko) * 2011-11-25 2012-06-27 주식회사 돔코리아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KR101237900B1 (ko) * 2012-11-01 2013-02-27 이상수 지오데식 돔 하우스 시공용 허브 커넥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오데식 돔 하우스
KR101466494B1 (ko) * 2013-06-25 2014-12-02 곽창환 지오데식 돔
KR101539324B1 (ko) 2014-01-06 2015-07-27 주식회사 슈퍼하우스 이중 지오데식 돔구조 건축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544A (ja) * 2002-12-17 2004-07-15 Hirayama Engineering:Kk トラス構造を利用した軽量強化連結パイプ
KR20060008263A (ko) * 2005-12-28 2006-01-26 주식회사 미앤지산업 패널 시스템
KR200451683Y1 (ko) * 2010-08-17 2011-01-04 태진건조(주)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KR101158823B1 (ko) * 2011-11-25 2012-06-27 주식회사 돔코리아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KR101237900B1 (ko) * 2012-11-01 2013-02-27 이상수 지오데식 돔 하우스 시공용 허브 커넥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오데식 돔 하우스
KR101466494B1 (ko) * 2013-06-25 2014-12-02 곽창환 지오데식 돔
KR101539324B1 (ko) 2014-01-06 2015-07-27 주식회사 슈퍼하우스 이중 지오데식 돔구조 건축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8901A (zh) * 2019-04-07 2019-06-11 福建未来智创环保科技有限公司 组装式圆顶移动房
CN114182868A (zh) * 2021-12-21 2022-03-15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钢结构框架系统及其施工方法
CN114182868B (zh) * 2021-12-21 2023-09-19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钢结构框架系统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383B1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193B1 (ko) 리모델링이 용이한 커튼월 시스템
KR101973383B1 (ko)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KR101746389B1 (ko) 결합핀으로 덮개부재를 고정하는 단열 커튼월 시스템
US9328513B2 (en) Skyligh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581354B1 (en) Glass curtain wall system
KR20200102211A (ko) 칸막이 연결구조
EP0392033A1 (en) Continuous facing framework for buildings
KR101506881B1 (ko)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KR20180067881A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JP2000104362A (ja) 建築物の外壁における断熱パネルの取り付け具及び外壁構造
JP6915849B2 (ja) 建築物と建築方法
JP7192006B2 (ja) 開口部建材
JPH0670329B2 (ja) エアサイクルシステム用三角形パネルを用いたドームハウスの建築方法
JP7467007B2 (ja) ブース及びブースの構築方法
KR20100116391A (ko) 단열이 가능한 조립식텐트
JP7267888B2 (ja) 枠体の取付構造及び壁面ユニット
JP2021134488A (ja) 改装サッシ
JP2002004540A (ja) 内装下地パネルおよび内装下地材への断熱材の固定方法
JP3027336B2 (ja) 組子付窓
KR200355610Y1 (ko) 가스켓을 사용하여 기밀을 유지하면서도 연결부분이 돌출되지 않아 겉으로는 보이지 않는 덕트 이음구조
JP2021134489A (ja) 改装サッシおよびその改装方法
JPH11241418A (ja) 気密化木造軸組構造
KR101541401B1 (ko) 행사장 구조물용 블럭
JP3001370B2 (ja) 分割方立の連結装置
JP2024045920A (ja) 仮設部屋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