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881B1 -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 Google Patents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881B1
KR101506881B1 KR1020130142814A KR20130142814A KR101506881B1 KR 101506881 B1 KR101506881 B1 KR 101506881B1 KR 1020130142814 A KR1020130142814 A KR 1020130142814A KR 20130142814 A KR20130142814 A KR 20130142814A KR 101506881 B1 KR101506881 B1 KR 101506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rame
chassis
chassis assembl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정원
Original Assignee
제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정원 filed Critical 제정원
Priority to KR102013014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2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the panes mounted flush with the surrounding frame or with the surrounding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용 프레임부를 통한 새시 어셈블리로의 열전도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하여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외벽용 프레임부와 새시 어셈블리와의 체결 작업이 쉽고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물 외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부 및 매립부로부터 외향 돌출되는 구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새시 어셈블리; 서로 인접된 어느 두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들 사이에 각각 고정되는 윈도우 어셈블리; 서로 인접된 다른 두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들 사이에 고정되며, 외표면을 형성하는 박판의 프레임체 및 상기 프레임체에 의해 감싸여지면서 블록 구조로 형성되는 단열 재질의 단열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벽용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의 프레임체와 상기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 사이의 틈새 내에 구비되면서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의 둘레 벽면에 결합 고정되며, 높이 방향으로는 상기 새시 어셈블리를 이루는 매립부와의 스크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단열 재질의 결합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window structure}
본 발명은 창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의 새시 어셈블리를 통한 열전도를 차단하여 고효율의 단열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구조물은 건물 벽면의 개방 부위에 매립 설치되는 새시 어셈블리 및 상기 새시 어셈블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윈도우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물이다.
특히, 최근에는 미관이나 전망을 고려하여 건물의 외벽을 창호 구조물로 형성하는 건물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건물 외벽용 창호 구조물은 첨부된 도 1과 같이 각 층마다 복수의 새시 어셈블리(10)가 일정한 높이 간격을 가지면서 건물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각 새시 어셈블리(10) 사이에는 윈도우 어셈블리(20)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실내외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어느 한 층의 새시 어셈블리(10)와 이에 인접한 다른 한 층의 새시 어셈블리(10) 사이에는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 대신 별도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외벽용 프레임부(30)가 추가로 설치되고 있다.
이때,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의 끝단은 상기 어느 한 층의 새시 어셈블리(10)의 외벽에 밀착된 상태로 스크류(1)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며, 이후 상기 새시 어셈블리(10)와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 사이의 틈새(51)에 실런트(52)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틈새(51)를 통한 외기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외벽용 창호 구조물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의 끝단이 새시 어셈블리(1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됨을 고려할 때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를 통해 외기가 상기 새시 어셈블리(10)로 전도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한 단열 성능의 저하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의 끝단을 스크류(60)로써 상기 새시 어셈블리(1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크류(60) 체결 부위가 틈새(51)의 가장 하측 위치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스크류(60)의 체결 위치나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의 위치를 스크류 체결공(30a)이 형성된 부위에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극히 어려웠으며, 이로 인한 스크류(60) 체결 작업 역시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된 종래의 외벽용 창호 구조물의 경우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와 새시 어셈블리(10) 사이의 틈새(51)는 실런트(52)로 마감됨을 고려할 때 상기 틈새(51)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실런트(52)의 도포량이 많아짐과 더불어 도포 불량이 야기될 우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틈새(51) 사이에는 별도의 백업부재(53)가 추가로 개재됨으로써 상기 실린트(52)의 도포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백업부재(53)는 단순히 외벽용 프레임부(30)와 새시 어셈블리(10) 사이의 틈새(51) 내에 안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실런트(52)의 도포 압력에 따라 상기 틈새(51)의 내측 부위로 밀려나는 등의 기울어짐에 따른 우려가 존재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벽용 프레임부를 통한 새시 어셈블리로의 열전도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하여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외벽용 프레임부와 새시 어셈블리와의 체결 작업이 쉽고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은 건물의 외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부 및 상기 매립부로부터 외향 돌출되는 구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설치 영역을 제공하는 새시 어셈블리; 상기 각 새시 어셈블리의 각 설치 영역 중 어느 한 설치 영역 내에 위치되면서 서로 인접된 어느 두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들 사이에 각각 고정되는 윈도우 어셈블리; 상기 각 새시 어셈블리의 각 설치 영역 중 다른 한 설치 영역 내에 위치되면서 서로 인접된 다른 두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들 사이에 고정되며, 외표면을 형성하는 박판의 프레임체 및 상기 프레임체에 의해 감싸여지면서 블록 구조로 형성되는 단열 재질의 단열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벽용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의 프레임체와 상기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 사이의 틈새 내에 구비되면서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의 둘레 벽면에 결합 고정되며, 높이 방향으로는 상기 새시 어셈블리를 이루는 매립부와의 스크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단열 재질의 결합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새시 어셈블리를 이루는 매립부의 표면에는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는 단열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돌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를 이루는 단열블록은 상기 새시 어셈블리에 안착되는 블록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를 이루는 프레임체는 상기 단열블록의 외표면을 감싸면서도 상기 새시 어셈블리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블록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의 프레임체와 상기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 사이의 틈새 내에 부분적으로 개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블록의 외측 벽면 중 구획부와 대향되는 측의 벽면에는 스크류 체결 부위로 제공되면서 여타 부위에 비해 요입된 요입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은 외벽용 프레임부과 새시 어셈블리 사이의 틈새 사이에 결합블록을 추가로 제공하며, 특히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와 스크류로써 체결 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새시 어셈블리와도 스크류로써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새시 어셈블리와 외벽용 프레임부 간의 조립이 쉽고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결합블록의 추가적 제공에 의해 상기 틈새 내부에 개재되는 백업부재의 위치가 특정 부위에 정확히 안착되면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실런트의 도포가 안정적이면서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외벽용 창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중 결합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의 새시 어셈블리와 외벽용 프레임부 간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며,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은 크게 새시 어셈블리(100)와, 윈도우 어셈블리(200)와, 외벽용 프레임부(300)와, 결합블록(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0)와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는 서로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단열 구조로의 안정적이고도 쉬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는 창호 구조물의 골격을 형성하면서 후술될 윈도우 어셈블리(200) 혹은, 외벽용 프레임부(300)가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설치 영역을 제공하는 구조물로써, 복수로 제공되면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게 구성되는 틀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새시 어셈블리(100)는 매립부(110) 및 구획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매립부(110)는 건물의 외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부위이고, 상기 구획부(120)는 상기 매립부(110)로부터 외향 돌출되면서 후술될 각 윈도우 어셈블리(200)나 각 외벽용 프레임부(300)를 서로 구획하는 부위이다.
특히, 상기 구획부(120)는 상기 매립부(110)와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구획부(120)가 상기 매립부(110)와는 별개로 형성되면서 상기 매립부(110)의 표면에 결합 고정됨으로써 상기 매립부(110)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을 그 예로 한다. 이때 상기 매립부(110)의 표면에는 결합돌부(13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120)는 단열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돌부(130)를 감쌈과 더불어 그 하측 끝단이 상기 매립부(110)의 외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단열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정적인 강도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매립부(110)와 구획부(120)의 서로 밀착되는 부위에는 체결공(111,121)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11,121)을 통해 후술될 결합블록(400)의 관통공(410)과 스크류(60)로써 체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0)는 새시 어셈블리(100)에 의해 제공되는 적어도 어느 한 설치 영역 내에 설치되면서 실내외를 투시 가능한 창문으로 구획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윈도우 어셈블리(200)는 상기 각 새시 어셈블리(100) 중 서로 인접된 어느 두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120)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중첩되는 복수의 창호(210)와, 상기 각 창호(210) 간을 이격시키는 이격부재(220) 및 상기 각 창호(210) 간의 사이 틈새를 밀봉하는 밀봉부재(230)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0)가 건물의 외벽에 구비되는 부위임을 고려하여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창호(210)가 셋으로 이루어진 삼중창 구조임을 그 예로 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0)는 단일창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중창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이격부재(220)는 상기 각 창호(210)의 끝단 테두리를 따라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밀봉부재(230)는 상기 이격부재(220)의 설치 부위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창호(210)들 사이로 외기가 유입되거나 혹은,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한 윈도우 어셈블리(200)의 테두리 부위는 각 새시 어셈블리(100)의 구획부(120)들 사이에 얹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각 윈도우 어셈블리(200)의 둘레 부위와 상기 구획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501)에는 백업부재(240)를 개재된다.
이때, 상기 백업부재(240)는 상기 틈새(501)에 충전되는 실런트(250)가 상기 틈새(501) 내로 과도하게 충전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상기 실런트는 상기 틈새(501)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하여 빗물의 유입 및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0)와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0)는 새시 어셈블리(100)에 의해 제공되는 적어도 어느 한 설치 영역 내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외벽용 프레임부(300)는 상기 각 새시 어셈블리(100) 중 서로 인접된 어느 두 새시 어셈블리(100)의 구획부(120)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블록 구조의 단열 재질로 이루어진 단열블록(310)과, 상기 단열블록(31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체(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블록(310)은 상기 두 새시 어셈블리(100)를 이루는 구획부(120)들 사이의 매립부(110) 표면에 얹히도록 블록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체(320)는 외벽용 프레임부(300)의 외표면을 형성하면서 박판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단열블록(310)의 외표면 중 상기 매립부(110) 표면에 얹히는 면을 제외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프레임체(320)의 각 부위 중 상기 단열블록(310)의 둘레면을 감싸는 부위는 상기 단열블록(310)의 둘레면 전체를 감싸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블록(310)의 하단 일부는 감싸지 않는 구조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즉, 프레임체(320)와 새시 어셈블리(100)와의 직접적인 접촉 부위는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체(320)가 외기에 의해 발산하게 되는 열기 혹은, 냉기가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로는 전도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블록은(400)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0) 및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를 기구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조물이다.
즉, 종래에는 외벽용 프레임부(300)와 새시 어셈블리(100)를 스크류(60)만 이용하여 서로 체결 고정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스크류 체결 작업의 어려움이 컸으며,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블록(400)의 추가적인 제공을 통해 상기 스크류 체결 작업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블록(400)은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0)의 프레임체(320) 및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를 이루는 구획부(120) 사이의 틈새(502) 내에 구비되며, 단열 재질의 블록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0)의 둘레 벽면에 결합 고정됨과 더불어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상기 틈새의 깊이 방향)으로는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를 이루는 매립부(110)와의 스크류 체결을 위한 관통공(410)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결합블록(400)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0)의 프레임체(320)와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의 구획부(120) 사이의 틈새(502) 내에 부분적으로 개재되도록 함을 제시한다. 즉, 상기 틈새(502) 내의 전 부위에 단일체의 결합블록(400)을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틈새(502) 중 일부에만 부분적으로 결합블럭(400)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블록(400)의 외측 벽면(구획부와 대향되는 벽면)에는 스크류(60)의 체결 부위로 제공되면서 여타 부위에 비해 요입된 요입단(420)이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 결합블록(400)의 요입단(420)에 의한 형상에 의해 외벽용 프레임부(300)의 둘레 벽면에 결합되는 스크류(60)의 머리 부위가 외부로 돌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0)의 프레임체(320)와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의 구획부(120) 사이의 틈새(502) 내에는 백업부재(3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틈새(502)의 내부 공간 중 상기 백업부재(340)의 설치 부위로부터 외측편 공간에는 실런트(350)가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블록(400)의 삽입 부위에 대한 외부 노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백업부재(340)는 상기 실런트(350)의 도포시 상기 실런트(350)의 분사 압력에 의해 틈새(502) 내부로 밀려 들어갈 수 있지만, 상기 틈새(502) 내에 존재하는 상기 결합블록(400)에 의해 특정 깊이 이상으로의 요입됨은 방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실런트(350)의 도포량 역시 항상 일정할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새시 어셈블리(100)를 해당 건물의 창문 배치 구조에 따라 설치한다.
상기 각 새시 어셈블리(100)를 이루는 매립부(110)는 건물의 외벽면에 매립 설치하며, 상기 매립부(110)에 형성된 결합돌부(130)는 실외로 노출되면서 돌출되도록 배치한다.
이와 함께, 상기 결합돌부(130)에는 구획부(120)를 각각 결합하여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각 새시 어셈블리(100)의 구획부(120)들 사이에 윈도우 어셈블리(20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0)의 둘레 부위는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의 구획부(120)들 사이의 매립부(110) 외면에 안착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구획부(120)와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0) 사이의 틈새(501) 내에 백업부재(240)를 개재함과 더불어 상기 틈새(501) 내의 각 부위 중 백업부재(240)의 설치 부위로부터 외측편 공간에는 실런트(250)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0)가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외벽용 프레임부(300) 및 결합블록(400)을 각각 준비한 후 서로 결합한다.
이는,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0)의 둘레벽면에 상기 결합블럭(400)의 내측 벽면(요입단이 형성된 측의 벽면과는 반대측 벽면)을 밀착시킨 후 스크류(60)를 이용하여 서로 간을 체결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에 관하여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블록(400)이 결합된 외벽용 프레임부(300)를 첨부된 도 7과 같이 새시 어셈블리(100)의 각 구획부(120) 사이에 안착시키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결합블록(400)의 관통공(410)을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의 매립부(110) 및 구획부(120)에 형성된 각 체결공(111,121)과 일치시킨 후 첨부된 도 8과 같이 스크류(60)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블록(400)과 상기 구획부(120) 및 상기 매립부(110)를 서로 체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결합블록(400)은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0)의 둘레면과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의 구획부(120) 사이의 틈새(502)에 위치됨을 고려할 때 전술된 바와 같은 스크류 체결 작업시 작업자는 틈새(502) 깊숙한 위치에서의 스크류 체결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틈새(502)의 입구측에서 스크류 체결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스크류 체결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된 새시 어셈블리(100)와 외벽용 프레임부(300)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첨부된 도 9와 같이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와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0) 사이의 틈새(502) 내에 백업부재(340)를 개재함과 더불어 상기 틈새(502) 내의 각 부위 중 백업부재(340)의 설치 부위로부터 외측편 공간에는 실런트(350)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300)가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에 고정되도록 하며, 이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틈새(502) 내에는 결합블럭(400)이 위치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백업부재(340)는 상기 결합블럭(400)에 의해 틈새(502) 내로의 과도한 삽입됨이 방지되며, 특히 상기 실런트(350)의 도포시 상기 실런트(350)의 분사 압력에 의해 백업부재(340)가 틈새(502) 내부로 밀려 들어감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실런트(350)의 도포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된 각 과정에 의해 창호 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구조물은 외기로 노출된 상태의 윈도우 어셈블리(200)의 창호(210)와 새시 어셈블리(100)의 구획부(120) 및 외벽용 프레임부(300)의 프레임체(320)는 상기 외기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제공받지만, 상기 창호(210)는 삼중창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창호(210)를 통한 실내로의 외기온이 전도됨은 방지되고, 상기 구획부(120)는 단열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구획부(120)를 통한 실내로의 외기온이 전도됨도 방지되며, 상기 프레임체(320)는 단열블록(310)과 결합블록(400)의 구조에 의해 새시 어셈블리(100)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체(320)를 통한 실내로의 외기온이 전도됨도 방지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구조물은 조립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고효율의 단열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창호 구조물을 이루는 결합블록(400)은 새시 어셈블리(100)와 외벽용 프레임부(300) 사이의 틈새(502) 내에만 제공되어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필요에 따라 윈도우 어셈블리(200)와 새시 어셈블리(100) 사이의 틈새(501) 내에도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0)의 둘레면이 상기 새시 어셈블리(60))를 이루는 구획부(12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렇듯, 본 발명의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은 다양한 구조로의 변경 역시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100. 새시 어셈블리 110. 매립부
111,121. 체결공 120. 구획부
130. 결합돌부 200. 윈도우 어셈블리
210. 창호 220. 이격부재
230. 밀봉부재 240. 백업부재
250. 실런트 300. 외벽용 프레임부
310. 단열블록 320. 프레임체
340. 백업부재 350. 실런트
400. 결합블록 410. 관통공
420. 요입단 501,502. 틈새

Claims (5)

  1. 건물의 외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부 및 상기 매립부로부터 외향 돌출되는 구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설치 영역을 제공하는 새시 어셈블리;
    상기 각 새시 어셈블리의 각 설치 영역 중 어느 한 설치 영역 내에 위치되면서 서로 인접된 어느 두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들 사이에 각각 고정되는 윈도우 어셈블리;
    상기 각 새시 어셈블리의 각 설치 영역 중 다른 한 설치 영역 내에 위치되면서 서로 인접된 다른 두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들 사이에 고정되며, 외표면을 형성하는 박판의 프레임체 및 상기 프레임체에 의해 감싸여지면서 블록 구조로 형성되는 단열 재질의 단열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벽용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의 프레임체와 상기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 사이의 틈새 내에 구비되면서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의 둘레 벽면에 결합 고정되며, 높이 방향으로는 상기 새시 어셈블리를 이루는 매립부와의 스크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단열 재질의 결합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 어셈블리를 이루는 매립부의 표면에는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는 단열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돌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를 이루는 단열블록은 상기 새시 어셈블리에 안착되는 블록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를 이루는 프레임체는 상기 단열블록의 외표면을 감싸면서도 상기 새시 어셈블리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외벽용 프레임부의 프레임체와 상기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부 사이의 틈새 내에 부분적으로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의 외측 벽면 중 구획부와 대향되는 측의 벽면에는 스크류 체결 부위로 제공되면서 여타 부위에 비해 요입된 요입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KR1020130142814A 2013-11-22 2013-11-22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KR101506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814A KR101506881B1 (ko) 2013-11-22 2013-11-22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814A KR101506881B1 (ko) 2013-11-22 2013-11-22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881B1 true KR101506881B1 (ko) 2015-03-30

Family

ID=5302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814A KR101506881B1 (ko) 2013-11-22 2013-11-22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83B1 (ko) * 2015-04-10 2016-10-05 김영권 결합구조가 개선된 커튼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511A (ja) 1999-09-02 2001-03-21 Shin Etsu Polymer Co Ltd 建築物等のパネル取付構造
KR100764145B1 (ko) 2007-01-23 2007-10-08 해안 주식회사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
KR20100009281A (ko) * 2008-07-18 2010-01-27 롯데건설 주식회사 이중개폐 시스템창호의 시공구조
KR101108921B1 (ko) 2011-09-21 2012-01-31 (주)성일공업 열차단재를 이용한 차열 및 단열 커튼월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511A (ja) 1999-09-02 2001-03-21 Shin Etsu Polymer Co Ltd 建築物等のパネル取付構造
KR100764145B1 (ko) 2007-01-23 2007-10-08 해안 주식회사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
KR20100009281A (ko) * 2008-07-18 2010-01-27 롯데건설 주식회사 이중개폐 시스템창호의 시공구조
KR101108921B1 (ko) 2011-09-21 2012-01-31 (주)성일공업 열차단재를 이용한 차열 및 단열 커튼월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83B1 (ko) * 2015-04-10 2016-10-05 김영권 결합구조가 개선된 커튼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772B2 (en) Cabinet frame enclosures, frame members and corresponding methods
KR101534320B1 (ko) 건축물용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외단열 시공방법
KR101592152B1 (ko) 구조보강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개보수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101506881B1 (ko) 고효율 단열형 외벽용 창호 구조물
KR101725781B1 (ko)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돔 하우스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973383B1 (ko)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KR101763158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750692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2042501B1 (ko) 고정구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015433B1 (ko) 커튼월
JP5161161B2 (ja) 改装サッシユニット及び改装サッシユニットの取付方法
JP2015004242A (ja) 開口部建材
JP2020051182A (ja) 仮設建物の壁構造
WO2023276027A1 (ja) 支持部材、支持構造及び外壁構造
KR20120076981A (ko) 건축물의 일체형 벽체
JP2002201864A (ja) 外張断熱工法における窓枠の取付方法及び外額縁
KR20100116391A (ko) 단열이 가능한 조립식텐트
JP2023056417A (ja) 改装建具
JPH11125066A (ja) 改装用サッシ構造および改装工法
JP2013119706A (ja) 断熱構造および断熱構造の施工方法
JP2023056415A (ja) 改装建具
JP2023097838A (ja) 改装建具
JP2023056413A (ja) 改装建具
JPH057855U (ja) 衛生設備室の壁パネル兼用組み込み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