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823B1 -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 Google Patents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823B1
KR101158823B1 KR1020110124273A KR20110124273A KR101158823B1 KR 101158823 B1 KR101158823 B1 KR 101158823B1 KR 1020110124273 A KR1020110124273 A KR 1020110124273A KR 20110124273 A KR20110124273 A KR 20110124273A KR 101158823 B1 KR101158823 B1 KR 101158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groov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12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2001/0053Build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layout grid
    • E04B2001/0061Buildings with substantially curved horizontal cross-section, e.g. circ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04B2001/3247N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52Cove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결합구를 사용하여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돔형태의 골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있어서, 고정홈바닥면부와 상기 고정홈바닥면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고정홈외벽부와 상기 고정홈외벽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고정홈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홈내벽부를 갖는 한 쌍의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바닥면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고정홈외벽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고정홈부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홈부를 연결하는 고정홈연결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고정홈연결부를 통해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내고정판과 상기 내고정판에 나란하도록 상기 가압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외고정판을 각각 가지고, 상기 가압판이 상기 지지판에 접촉하고 상기 내고정판과 상기 외고정판이 상기 고정홈부에 억지로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차폐재를 고정하는 작업과 고정된 차폐재를 교체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차폐재의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Framework Frame and Jointing Device for Dome Structure}
본 발명은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돔형태의 골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골조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옥외 식물재배장, 야외 휴식공간 등과 같이 내부공간이 반구상이 되어도 무방한 구조물의 경우 구조자체로 자립성이 있고 소요 재료가 다른 입방체형 구조물보다 적게 소요되며 외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돔(Dome) 형태로 구축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돔형태의 구조물을 돔구조물이라고 한다.
돔구조물 중에는 채광, 조망 등의 부가기능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이를 위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창셀(203)을 갖는 돔구조물이 안출되어 있다.
창셀(203)을 갖는 돔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먼저 각각 직선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골조프레임(201)을 다수의 결합구(202)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창셀(203)을 갖는 돔형태의 골조를 형성한다.
다음에 각 창셀(203)에 대응하는 형태로 차폐재(204)를 제작한다. 여기서 차폐재(204)는 비닐, 필름과 같은 연성(軟性)재질의 시트(sheet)재는 물론 유리, 합성수지와 같은 경성(硬性)재질의 판재가 될 수 있다.
다음에 창셀(203)이 폐쇄되도록 차폐재(204)를 골조프레임(201)에 고정한다. 여기서 차폐재(204)는 창셀(203)이 항상 폐쇄상태로 유지되도록 골조프레임(201)에 고정하는 방법과 별도의 개폐장치를 사용하여 창셀(203)을 개방할 수 있도록 골조프레임(201)에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창셀(203)이 항상 폐쇄상태로 유지되도록 차폐재(204)를 골조프레임(201)에 고정하는 경우 차폐재(204)의 모든 변은 골조프레임(201)에 고정된다.
창셀(20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차폐재(204)를 골조프레임(201)에 고정하는 경우 차폐재(204)의 한 변은 골조프레임(201)에 고정되고, 차폐재(204)의 나머지 변들은 별도의 창프레임에 고정된다.
도15는 종래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6은 종래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과 결합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치(H)빔형태의 연결프레임(110)과, 연결프레임(110)에 결합된 누름부재(130)를 갖고 있다.
연결프레임(110)에는 볼트체결기둥(110a)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체결기둥(110a)에는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볼트홈(11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프레임(110)은 볼트체결기둥(110a)의 양측에 받침경사면(110c)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130)에는 한 쌍의 누름경사면(1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누름부재(130)는 볼트홈(110b)에 설치되는 고정볼트(174)를 통해 각 누름경사면(130a)이 받침경사면(110c)에 가압접촉되도록 연결프레임(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종래의 돔구조물용 결합구는, 대략 원형의 바닥판(171)과, 바닥판(171)에 나란하게 배치된 천정판(173)과, 천정판(173)의 상면에 결합된 보호판(172)을 갖고 있다.
바닥판(171)은 연결프레임(110)에 직접 결합된다.
천정판(173)은 연결프레임(110)에 직접 결합된다.
보호판(172)은 다수의 고정바(176)의 도움을 받아 천정판(173)에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과 결합구는 200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648호(고안의 명칭 : 돔커버의 조립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따르면, 누름판(151)으로 차폐재(204)를 가압한 상태에서 고정볼트(174)를 사용하여 누름판(151)을 연결프레임(110)에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차폐재(204)를 고정하는 작업과 고정된 차폐재(204)를 교체하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차폐재(204)의 한 변이 누름경사면(130a)과 받침경사면(110c)에서 절곡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차폐재(204)가 비닐 등과 같은 연성(軟性)재질로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볼트, 보호판(172) 및 고정바(176)를 사용하여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을 결합구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을 결합구에 결합하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차폐재를 고정하는 작업과 고정된 차폐재를 교체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차폐재의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결합구를 사용하여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돔형태의 골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있어서, 고정홈바닥면부와 상기 고정홈바닥면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고정홈외벽부와 상기 고정홈외벽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고정홈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홈내벽부를 갖는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바닥면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고정홈외벽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고정홈바닥면부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탑재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탑재판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홈부와 상기 탑재판을 연결하는 고정홈연결부와 상기 탑재판의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고정홈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개폐부재결합판을 가지고, 상기 고정홈연결부를 통해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내고정판과 상기 내고정판에 나란하도록 상기 가압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외고정판을 가지고, 상기 가압판이 상기 지지판에 접촉하고 상기 내고정판과 상기 외고정판이 상기 고정홈부에 억지로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면에는 이탈방지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을 가지고, 상기 받침판의 저면이 상기 탑재판에 접촉하는 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결합판에 결합되는 개폐회동부재와; 저면에 이탈방지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누름판을 가지고, 상기 이탈방지홈에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진입할 때까지 상기 누름판이 상기 탑재판에 접근하는 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회동부재에 결합된 누름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돔구조물의 내부에 현수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연결부는 하방향을 향해 개구된 티(T)자 단면의 걸이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폐재의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외벽부는 내표면에 외벽부미늘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내벽부는 외표면에 내벽부미늘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고정판은 내표면에 내고정판미늘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고정판은 외표면에 외고정판미늘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내고정판미늘홈에 상기 내벽부미늘돌기가 진입하고 상기 외고정판미늘홈에 상기 외벽부미늘돌기가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을 결합구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바닥면부와 나란한 개구영역을 갖도록 상기 고정홈내벽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호단면의 연결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고정홈바닥면부와 상기 고정홈바닥면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고정홈외벽부와 상기 고정홈외벽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고정홈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홈내벽부를 갖는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바닥면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고정홈외벽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고정홈외벽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원호단면의 연결관부를 구비한 연결프레임을 돔형태로 상호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돔구조물용 결합구에 있어서, 바닥판과; 각각 상기 연결관부에 삽입할 때 외표면이 상기 연결관부의 내표면에 지지될 수 있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된 다수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을 상기 바닥판을 향해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천정판을 포함하도록 돔구조물용 결합구를 형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프레임에 고정홈부를 형성하는 한편 고정프레임을 고정홈부에 삽입시키는 동작에 의해 차폐재가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차폐재를 고정하는 작업과 고정된 차폐재를 교체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차폐재의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도1은 창셀을 갖는 일반적인 돔구조물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결합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연결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고정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보강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개폐회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누름회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고정프레임을 연결프레임에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회동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결합구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결합구의 분해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결합구에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을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3은 종래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14는 종래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과 결합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결합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연결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고정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보강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개폐회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누름회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202)에 결합되는 직선상의 연결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10)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0)과, 고정프레임(30)에 설치된 차단바(61)와, 연결프레임(10)에 설치된 보강프레임(62)과, 연결프레임(10)에 결합된 개폐회동부재(40)와, 개폐회동부재(40)에 결합된 누름회동부재(50)를 갖고 있다.
연결프레임(10)은 고정홈부(20)와, 고정홈부(20)로부터 절곡 형성된 지지판(11)과, 후술하는 고정홈바닥면부(21)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탑재판(13)과, 고정홈부(20)와 탑재판(13)을 연결하는 고정홈연결부(12)와, 고정홈연결부(12)로부터 연장 형성된 개폐부재결합판(14)을 갖고 있다.
고정홈부(20)는 고정홈바닥면부(21)와, 고정홈바닥면부(21)로부터 절곡 형성된 고정홈외벽부(22)와, 고정홈외벽부(22)와 나란하도록 고정홈바닥면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홈내벽부(23)를 갖고 있다.
고정홈외벽부(22)는 내표면에 외벽부미늘돌기(22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내벽부(23)는 외표면에 내벽부미늘돌기(23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내"((내벽부, 내고정판, 내표면 등)는 고정홈연결부(12)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외"(외벽부, 외고정판, 외표면 등)는 고정홈연결부(12)에 상대적으로 먼 쪽을 의미한다.
지지판(11)은 고정홈바닥면부(21)에 나란하도록 고정홈외벽부(22)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지지판(11)은 상면에 압착언덕부(11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압착언덕부(11a)는 차폐재가 유리와 같은 경성(硬性)재질인 경우 생략된다.
고정홈연결부(12)는 고정홈바닥면부(21)와 나란한 개구영역을 갖도록 고정홈내벽부(23)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관부(12a)와, 하방향을 향해 개구된 티(T)자 단면의 걸이홈부(12b)와, 연결관부(12a)로부터 고정홈부(2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배수홈부(12c)를 갖고 있다.
연결관부(12a)는 고정홈바닥면부(21)와 나란한 개구영역을 갖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정홈연결부(12)에 의해 지지판(11)과 탑재판(13)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연결프레임(1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를 압출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개폐부재결합판(14)은 탑재판(13)의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관부(12a)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결합판(14)에는 개폐부재회동축홈(14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고정프레임(30)은 가압판(31)과, 가압판(31)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내고정판(32)과, 가압판(31)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외고정판(33) 및 고정프레임바디부(34)를 갖고 있다.
가압판(31)에는 압착요홈(31a)과 차단바홈(31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압착요홈(31a)는 차폐재가 유리와 같은 경성(硬性)재질인 경우 생략된다.
내고정판(32)은 내표면에 내고정판미늘홈(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외고정판(33)은 내고정판(32)에 나란하도록 가압판(31)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외고정판미늘홈(33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고정프레임바디부(34)는 가압판(31)과 협조하여 관형태를 이루도록 가압판(31)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정프레임(30)은 가압판(31)이 지지판(11)에 접촉하고 내고정판미늘홈(32a)에 내벽부미늘돌기(23a)가 진입하고 외고정판미늘홈(33a)에 외벽부미늘돌기(22a)가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고정프레임(3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를 압출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차단바(61)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차단바홈(31b)에 설치된다.
보강프레임(62)은 연결관부(12a)의 내부에 설치된다. 보강프레임(62)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을 압출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프레임(62)은 연결프레임(10)보다 짧은 길이구간을 갖도록 제작되고, 연결프레임(10)이 결합구에 고정될 때에는 연결프레임(1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개폐회동부재(40)는 연결관부(12a)에 대응하는 곡면형태의 내표면을 갖도록 형성된 지지곡면부(41)와, 지지곡면부(41)로부터 연장 형성된 받침판(42) 및 누름부재결합판(43)과, 누름부재결합판(43)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개폐부재회동암(44)과, 개폐부재회동암(44)의 종단에 형성된 개폐부재회동축(45)을 갖고 있다.
받침판(42)은 상면에 이탈방지돌기(42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결합판(43)에는 누름부재회동축홈(53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개폐회동부재(40)는 개폐부재회동축홈(14a)에 개폐부재회동축(45)이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개폐회동부재(40)는 받침판(42)의 저면이 탑재판(13)에 접촉하는 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누름회동부재(50)는 저면에 이탈방지홈(5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누름판(51)과, 누름판(5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누름부재회동암(52)과, 누름부재회동암(52)의 종단에 형성된 누름부재회동축(53)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누름회동부재(50)는 누름부재회동축홈(53a)에 누름부재회동축(53)이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누름회동부재(50)는 이탈방지홈(51a)에 이탈방지돌기(42a)가 진입할 때까지 누름판(51)이 탑재판(13)에 접근하는 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은 창셀(203)이 개방될 수 있도록 차폐재를 고정하는 경우에 사용하며, 그 고정방법과 창셀(203)의 개방동작을 도8과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차폐재를 고정하는 방법을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변이 차단바(61)를 넘어가도록 차폐재(204)를 지지판(11)에 올려놓는다. 여기서 차폐재(204)가 연성(軟性)재질인 경우에는 차폐재(204)는 고정홈부(20)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음에 외벽부미늘돌기(22a)가 외고정판미늘홈(33a)에 물리고 내벽부미늘돌기(23a)가 내고정판미늘홈(32a)에 물리도록 내고정판(32)과 외고정판(33)을 고정홈부(20)의 내부로 억지로 진입시킨다.
다음에 누름회동부재(50)를 통한 차폐재의 고정방법을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누름판(51)이 받침판(4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누름회동부재(50)를 회동시킨다.
다음에 이탈방지돌기(42a)를 넘어가도록 차폐재(204)를 받침판(42)에 올려놓는다.
다음에 이탈방지홈(51a)에 이탈방지돌기(42a)가 진입할 때까지 누름회동부재(50)를 회동시킨다.
한편 받침판(42)과 누름판(51) 사이에 차폐재(204)가 고정된 상태에서 받침판(42)이 탑재판(1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창셀(203)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을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결합구를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결합구의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결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바닥판(71)과, 바닥판(71)의 상면에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된 6개의 지지관(72)과, 바닥판(7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천정판(73)을 갖고 있다.
바닥판(71)은 중앙영역에 바닥판볼트공(71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관(7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의 연결관부(12a)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지지리브(72a)가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리브(72a)의 형성높이는 지지관(72)을 연결관부(12a)에 삽입할 때 지지리브(72a)의 상단이 연결관부(12a)의 내표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천정판(73)은 중앙영역에 천정판볼트공(7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천정판(73)은 헤드가 천정판(73)의 상면에 접촉하고 다리부가 천정판볼트공(73a)과 바닥판볼트공(71a)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볼트(74)와 바닥판(71)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고정볼트(74)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75)를 통해 바닥판(7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천정판(73)은 지지관(72)을 바닥판(71)을 향해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10)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부(12a)에 지지관(72)을 삽입하는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프레임(10)에 고정홈부(20)를 형성하는 한편 고정프레임(30)을 고정홈부(20)에 억지로 삽입시키는 동작에 의해 차폐재(204)가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차폐재를 고정하는 작업과 고정된 차폐재를 교체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차폐재의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홈외벽부(22)에 외벽부미늘돌기(22a)를 형성하고, 고정홈내벽부(23)에 내벽부미늘돌기(23a)를 형성하고 내고정판(32)에 내고정판미늘홈(32a)을 형성하고 외고정판(33)에 외고정판미늘홈(33a)을 형성함으로써, 차폐재의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방향을 향해 개구된 티(T)자 단면의 걸이홈부(12b)를 포함하도록 고정홈연결부(12)를 구성함으로써, 돔구조물의 내부에 현수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호단면의 연결관부(12a)를 포함하도록 고정홈연결부(12)를 구성하는 한편 결합구에 연결관부(12a)에 삽입되는 지지관(72)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을 결합구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110 : 연결프레임 11 : 지지판
12 : 고정홈연결부 13 : 탑재판
14 : 개폐부재결합판 20 : 고정홈부
21 : 고정홈바닥면부 22 : 고정홈외벽부
23 : 고정홈내벽부 30 : 고정프레임
31 : 가압판 32 : 내고정판
33 : 외고정판 40 : 개폐회동부재
42 : 받침판 43 : 누름부재결합판
45 : 개폐부재회동축 50 : 누름회동부재
51 : 누름판 53 : 누름부재회동축
71, 171 : 바닥판 72 : 지지관
73, 173 : 천정판 130 : 누름부재
201 : 골조프레임 202 : 결합구
203 : 창셀 204 : 차폐재

Claims (7)

  1. 삭제
  2.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결합구를 사용하여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돔형태의 골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에 있어서,
    고정홈바닥면부와 상기 고정홈바닥면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고정홈외벽부와 상기 고정홈외벽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고정홈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홈내벽부를 갖는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바닥면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고정홈외벽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고정홈바닥면부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탑재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탑재판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홈부와 상기 탑재판을 연결하는 고정홈연결부와 상기 탑재판의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고정홈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개폐부재결합판을 가지고, 상기 고정홈연결부를 통해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내고정판과 상기 내고정판에 나란하도록 상기 가압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외고정판을 가지고, 상기 가압판이 상기 지지판에 접촉하고 상기 내고정판과 상기 외고정판이 상기 고정홈부에 억지로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면에는 이탈방지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을 가지고, 상기 받침판의 저면이 상기 탑재판에 접촉하는 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결합판에 결합되는 개폐회동부재와;
    저면에 이탈방지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누름판을 가지고, 상기 이탈방지홈에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진입할 때까지 상기 누름판이 상기 탑재판에 접근하는 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회동부재에 결합된 누름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외벽부는 내표면에 외벽부미늘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내벽부는 외표면에 내벽부미늘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고정판은 내표면에 내고정판미늘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고정판은 외표면에 외고정판미늘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내고정판미늘홈에 상기 내벽부미늘돌기가 진입하고 상기 외고정판미늘홈에 상기 외벽부미늘돌기가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연결부는 하방향을 향해 개구된 티(T)자 단면의 걸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연결부는 상기 고정홈바닥면부와 나란한 개구영역을 갖도록 상기 고정홈내벽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호단면의 연결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7. 삭제
KR1020110124273A 2011-11-25 2011-11-25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KR101158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273A KR101158823B1 (ko) 2011-11-25 2011-11-25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273A KR101158823B1 (ko) 2011-11-25 2011-11-25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562A Division KR20130058582A (ko) 2012-03-09 2012-03-09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및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823B1 true KR101158823B1 (ko) 2012-06-27

Family

ID=4668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273A KR101158823B1 (ko) 2011-11-25 2011-11-25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8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893A (ko) * 2016-07-01 2018-01-10 김국경 지오데식 돔 구조물용 프레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어셈블리 유닛
KR101816749B1 (ko) 2016-12-06 2018-02-21 임진택 돔 하우스 시공용 허브 커넥터
KR20180111295A (ko) * 2017-03-31 2018-10-11 임진택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KR20200078998A (ko) * 2018-12-24 2020-07-02 구재봉 수로형 돔 구조물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로형 돔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949Y1 (ko) * 2005-04-02 2005-06-28 서건용 케노피 지붕 구조물에 설치되는 차양판 마감용 골재 조립체
KR20100040828A (ko) * 2010-04-01 2010-04-21 이동신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949Y1 (ko) * 2005-04-02 2005-06-28 서건용 케노피 지붕 구조물에 설치되는 차양판 마감용 골재 조립체
KR20100040828A (ko) * 2010-04-01 2010-04-21 이동신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893A (ko) * 2016-07-01 2018-01-10 김국경 지오데식 돔 구조물용 프레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어셈블리 유닛
KR101816749B1 (ko) 2016-12-06 2018-02-21 임진택 돔 하우스 시공용 허브 커넥터
KR20180111295A (ko) * 2017-03-31 2018-10-11 임진택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KR101973383B1 (ko) * 2017-03-31 2019-04-29 임진택 돔 하우스 시공방식용 조립식 벽체
KR20200078998A (ko) * 2018-12-24 2020-07-02 구재봉 수로형 돔 구조물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로형 돔 구조물
KR102215809B1 (ko) * 2018-12-24 2021-02-16 다우시스템 주식회사 수로형 돔 구조물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로형 돔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823B1 (ko)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KR101544153B1 (ko) 건축물의 외벽 고정 시스템
KR101002768B1 (ko) 돔 건축물
JP200905775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9138478A (ja) Rc柱の補強方法
JP6611879B2 (ja) ユニットハウスの壁面構造
KR102169160B1 (ko) 단열 커튼월
CN106224342A (zh) 一种分体嵌套式锥度螺栓紧固件
CN105091477A (zh) 一种冰箱翅片蒸发器固定件及含有其的冰箱
KR101975700B1 (ko) 가변형 마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개보수창
KR101921633B1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KR100921322B1 (ko) 조립블록을 이용한 돔하우스
KR20130058582A (ko)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및 결합구
JPH1172193A (ja) 配管カバー
KR101874579B1 (ko) 커튼월의 연결구조
JP2011017231A (ja) 床用伸縮継手装置および床用伸縮継手製造方法
KR200321389Y1 (ko) 지붕막 고정구조
KR101198360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2172315B1 (ko) 단열 커튼월
KR101856810B1 (ko) 터널 내부 라이닝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체결박스, 그 체결박스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및 터널 내부 라이닝 시공방법
WO2017122424A1 (ja) ユニットハウス用の壁面パネルおよび壁面構造、ならびに壁面パネル用の連結具
KR102245636B1 (ko) 스프링 타입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JP2011202403A (ja) サッシ
KR20210051985A (ko) 2단 비닐온실 하우스용 세로프레임
KR101992630B1 (ko) 비닐 손상 방지가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