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088B1 - 금속 단열창호 - Google Patents

금속 단열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088B1
KR101471088B1 KR1020140075432A KR20140075432A KR101471088B1 KR 101471088 B1 KR101471088 B1 KR 101471088B1 KR 1020140075432 A KR1020140075432 A KR 1020140075432A KR 20140075432 A KR20140075432 A KR 20140075432A KR 101471088 B1 KR101471088 B1 KR 10147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frame
engaging
coupl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규정
현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매이크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매이크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Priority to KR102014007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4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74Metal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간편하여 별도의 체결용 부자재나 작업량의 필요 없이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창호 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폭의 유리부재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금속 단열창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속 단열창호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내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 본체의 개방된 상하 단부에 하부 및 상부로 각각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양단에 각각 상하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일측에 구비되는 유리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 단열창호{Adiabatic Metal Windows}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간편하여 별도의 체결용 부자재나 작업량의 필요 없이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창호 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폭의 유리부재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금속 단열창호에 대한 것이다.
창호는 사용재료에 따라 크게 목제 창호와 금속제 창호로 나눌 수 있으며, 금속제 창호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불연성 재료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철골조, 철근콘크리트조 등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금속제 창호는 초기에 매우 무거운 강철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압출 성형에 의해 프레임을 자유로운 형상으로 제작 및 결합할 수 있는 알루미늄 창호가 사용되기도 한다(특허 제10-140294호 등).
그러나 알루미늄은 강도가 낮고 염화물과의 화학 반응에 의하여 부식이 쉬운 단점이 있어, 알루미늄에 비하여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스테인리스나 스틸은 주로 롤 포밍에 의해 절곡하여 성형하므로 자유로운 형상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들의 형상을 단순하게 제작하고 상호 볼트에 의하여 결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어, 볼트 등 부자재 및 작업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창호는 프레임 폭이 일정하여 프레임에 설치되는 유리부재 또한 일정 크기의 폭을 가진 것을 적용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단열 또는 방음 성능이나 거주자의 요구에 따라 2중창, 3중창 등으로 유리부재의 폭을 변화시켜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간편하여, 별도의 체결부재나 이로 인한 작업량의 증가 없이 강도가 높고 내식성이 우수한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창호 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금속 단열창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2중창, 3중창 등 유리부재의 폭이 변화하더라도 다양한 폭의 유리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금속 단열창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내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 본체의 개방된 상하 단부에 하부 및 상부로 각각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양단에 각각 상하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일측에 구비되는 유리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는 본체부가 분할되어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는 결합부재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는 본체부 단부에서 본체부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 내측 단부에 확대 형성된 결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판 형상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양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공간부에 결합되는 확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부재 또는 제2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절개부의 일지점에 결합부재의 확대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확장용 결합 공간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은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는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재는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 2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결합홈에 제1, 2프레임의 절곡부를 삽입하여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간편하며 상호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강도가 높고 내식성이 우수한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창호 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2프레임과 연결부재를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 등 별도의 체결부재가 불필요하므로 이로 인한 부자재 및 작업량 증가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둘째, 제1, 2연결부재를 연결하는 결합부재의 폭을 달리하거나, 제1, 2연결부재 내측에 구비된 결합 공간부 또는 확장용 결합 공간부에 결합부재의 확대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유리부재의 폭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폭의 유리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셋째, 연결부재의 열교환 차단으로 단열 성능이 향상되며, 연결부재의 본체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열 성능 향상 및 제작 단가 절감이 가능하다.
넷째, 연결부재의 결합홈 내측에 복수의 돌기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2프레임과 더욱 견고한 조립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연결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다른 실시예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연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또 다른 실시예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양측에 유리부재가 결합된 금속 단열창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연결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 단열창호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내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 본체(11)의 개방된 상하 단부에 하부 및 상부로 각각 절곡된 절곡부(12)가 형성된 제1프레임(10a) 및 제2프레임(10b);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의 사이에 구비되는 본체부(21) 및 상기 본체부(21) 양단에 각각 상하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절곡부(1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221)이 형성된 결합부(22)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20); 및 상기 연결부재(20) 일측에 구비되는 유리부재(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속 단열창호는 각종 구조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이나 문에 적용된다.
상기 제1, 2프레임(10a, 10b)은 사이에 연결부재(20)가 위치되도록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2프레임(10a, 10b)은 각각 단면이 ㄷ자 형상인 본체(11)와 본체(11)의 개방된 상하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호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절곡부(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절곡부(12)가 형성된 제1, 2프레임(10a, 10b) 일측면은 대면하는 절곡부(12) 사이의 공간을 따라 연결부재(20)의 결합부(22)가 삽입된다.
제1, 2프레임(10a, 10b)은 내부에 본체(11)와 절곡부(12)에 의하여 둘러싸인 소정의 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제1, 2프레임(10a, 10b) 사이에 구비되는 본체부(21)와 본체부(21)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제1, 2프레임(10a, 10b)과 결합하는 결합부(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0)의 일측에는 유리부재(40)가 설치되어 개구부를 차단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창호를 통한 열교환을 차단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결합부(22)는 본체부(21)의 양단에서 각각 상하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된 결합부(22)에는 제1, 2프레임(10a, 10b)의 절곡부(1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221)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연결부재(20)는 양단 상하에 각각 총 4개의 결합홈(221)이 형성되며, 연결부재(20)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221)에 제1, 2프레임(10a, 10b)의 절곡부(12)가 삽입됨으로써 연결부재(20)가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을 상호 연결한다.
상기 결합홈(221)의 내측에는 복수의 돌기부(2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돌기부(222)는 결합홈(221) 내측으로 삽입된 절곡부(12)를 가압함으로써, 결합홈(221) 내측에 절곡부(12)가 견고하게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조가 간단한 제1, 2프레임(10a, 10b)을 연결부재(20)에 끼워 넣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2프레임(10a, 10b)과 연결부재(20)를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 등 별도의 체결부재가 불필요하다.
상기 연결부재(2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커버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0)는 연결부재(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제1, 2프레임(10a, 10b)과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커버부재(50)는 연결부재(20)에 끼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0)는 도 1에서와 같이 연결부재(20)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도 10에서와 같이 연결부재(2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프레임(10a) 및 제2프레임(10b)은 강도가 높은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내식성이 우수하여 물이나 공기 등 외기에 노출되어도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일반 스틸을 이용할 경우에는 방청처리를 충분히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 또는 후술할 결합부재(30)는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비용이 저렴한 폴리아미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다른 실시예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는 본체부(21)가 분할되어 제1연결부재(20a)와 제2연결부재(20b)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20a)와 제2연결부재(20b)는 결합부재(30)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재(30)의 폭만 달리하면 동일한 규격과 구성을 지닌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를 다양한 크기의 창 폭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4의 (a) 및 도 6의 (a)와 같이 2중창으로 구성된 유리부재(40)에 본 발명을 적용하거나, 도 4의 (b) 및 도 6의 (b)와 같이 3중창으로 구성된 유리부재(40)에 결합부재(30)의 길이를 조절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20)의 측면에 커버부재(50)가 결합하는 경우에는 결합부재(30)와 커버부재(50)의 크기만 조절하면 된다.
도 4의 (a) 및 도 6의 (a)의 실시예에서 제1, 2연결부재(20a, 20b)는 서로 접하여 배치되었고, 도 4의 (b) 및 도 6의 (b)의 실시예에서 제1, 2연결부재(20a, 20b)는 늘어난 결합부재(30)의 폭 만큼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었다.
상기 제1, 2연결부재(20a, 20b)와 결합부재(30)의 실시예가 각각 도 5의 (a)와 (b)에 도시된다.
제1연결부재(20a)와 제2연결부재(20b)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본체부(21) 단부에서 본체부(21)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부(212) 및 상기 절개부(212) 내측 단부에 확대 형성된 결합 공간부(21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30)는 도 5의 (b)에서와 같이 절개부(212)에 삽입되는 판 형상의 연장부(31) 및 상기 연장부(31) 양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공간부(213)에 결합되는 확대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30)의 연장부(31)와 확대부(32)가 각각 제1, 2연결부재(20a, 20b)의 절개부(212)와 결합 공간부(213)를 따라 삽입되어 결합부재(30)와 제1, 2연결부재(20a, 20b)가 상호 결합한다.
이후 상기 결합부재(30)의 확대부(32)가 제1, 2연결부재(20a, 20b)의 결합 공간부(213)에 걸리기 때문에 결합부재(30)와 제1, 2연결부재(20a, 20b)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확대부(32)와 결합 공간부(213)는 상호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대부(32)와 결합 공간부(213)는 대면하는 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돌부와 홈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연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의 또 다른 실시예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재(20a) 또는 제2연결부재(20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절개부(212)의 일지점에 결합부재(30)의 확대부(32)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확장용 결합 공간부(214)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재(30)의 폭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동일한 규격과 구성을 지닌 본 발명 금속 단열창호를 다양한 크기의 창 폭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a) 및 도 9의 (a)와 같이 2중창으로 구성된 유리부재(40)의 경우, 결합부재(30)의 확대부(32)를 제1, 2연결부재(20a, 20b)의 결합 공간부(213)에 삽입하여 좁은 크기의 창폭에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 및 도 9의 (b)와 같이 3중창으로 구성된 유리부재(40)의 경우, 결합부재(30)의 일측 확대부(32)를 제1연결부재(20a) 또는 제2연결부재(20b)의 확장용 결합 공간부(214)에 삽입하여 넓은 크기의 창폭에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연결부재(20)의 측면에 커버부재(50)가 결합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50)의 크기도 함께 조절하여야 한다.
도 10은 양측에 유리부재가 결합된 금속 단열창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금속 단열창호는 연결부재(20) 일측에 유리부재(40)가 구비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도 10에서와 같이 연결부재(20) 양측에 유리부재(4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0a: 제1프레임 10b: 제2프레임
11: 본체 12: 절곡부
20: 연결부재 20a: 제1연결부재
20b: 제2연결부재 21: 본체부
212: 절개부 213: 결합 공간부
214: 확장용 결합 공간부 22: 결합부
221: 결합홈 222: 돌기부
30: 결합부재 31: 연장부
32: 확대부 40: 유리부재
50: 커버부재

Claims (10)

  1.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내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 본체(11)의 개방된 상하 단부에 하부 및 상부로 각각 절곡된 절곡부(12)가 형성된 제1프레임(10a) 및 제2프레임(10b);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의 사이에 구비되는 본체부(21) 및 상기 본체부(21) 양단에 각각 상하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절곡부(1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221)이 형성된 결합부(22)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20); 및
    상기 연결부재(20) 일측에 구비되는 유리부재(40); 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20)는 본체부(21)가 분할되어 제1연결부재(20a)와 제2연결부재(20b)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20a)와 제2연결부재(20b)는 결합부재(30)로 상호 연결되되,
    상기 제1연결부재(20a)와 제2연결부재(20b)는 본체부(21) 단부에서 본체부(21)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부(212) 및 상기 절개부(212) 내측 단부에 확대 형성된 결합 공간부(213)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절개부(212)에 삽입되는 판 형상의 연장부(31) 및 상기 연장부(31) 양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공간부(213)에 결합되는 확대부(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
  2. 제1항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20a) 또는 제2연결부재(20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절개부(212)의 일지점에 결합부재(30)의 확대부(32)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확장용 결합 공간부(214)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
  3. 제1항에서,
    상기 제1프레임(10a) 및 제2프레임(10b)은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
  4.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20)는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
  5. 제1항에서,
    상기 결합부재(30)는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
  6.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2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커버부재(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
  7. 제1항에서,
    상기 결합홈(221)의 내측에는 복수의 돌기부(22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단열창호.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75432A 2014-06-20 2014-06-20 금속 단열창호 KR101471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432A KR101471088B1 (ko) 2014-06-20 2014-06-20 금속 단열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432A KR101471088B1 (ko) 2014-06-20 2014-06-20 금속 단열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088B1 true KR101471088B1 (ko) 2014-12-08

Family

ID=5267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432A KR101471088B1 (ko) 2014-06-20 2014-06-20 금속 단열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088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647B1 (ko) 2015-01-19 2015-11-16 박종석 창호 프레임용 단열부재
KR20160071834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826418B1 (ko) 2016-04-21 2018-03-22 윤정림 창호 제작용 몰드바아
KR20180061867A (ko) 2016-11-30 2018-06-08 김태수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KR101887580B1 (ko) * 2017-04-26 2018-08-14 (주)미래메탈 범용의 조립성으로 개선된 창호 시스템
KR101891334B1 (ko) * 2017-08-25 2018-08-23 김현종 하이브리드형 창호용 단열 프레임
KR101924856B1 (ko) * 2017-06-28 2018-12-04 주영준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
KR20190045587A (ko) * 2017-10-24 2019-05-03 김희일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봇에 대응하는 단열 프레임 구조
CN110029755A (zh) * 2019-04-26 2019-07-19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一种组合型框架系统
KR20190124506A (ko) * 2018-04-26 2019-11-05 (주)거광기업 플랫폼 창호
KR20200143848A (ko) * 2019-06-17 2020-12-28 박태엽 창호용 프레임
KR102210488B1 (ko) * 2020-08-19 2021-02-01 나이스레이저(주)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KR20210152096A (ko) 2020-06-05 2021-12-15 (주)윈가람 창호용 단열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속제 창호
KR102481245B1 (ko) 2022-06-09 2022-12-27 노재오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522087B1 (ko) 2022-06-09 2023-04-14 노재오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프레임용 덮개부재
KR20230159053A (ko) 2022-05-13 2023-11-21 선우디에스 주식회사 창호용 방풍 시공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147Y1 (ko) * 2007-01-05 2008-01-28 주식회사동양강철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KR20080004028U (ko) * 2008-03-13 2008-09-19 (주) 콘즈 이중 단열 윈도우 프레임
KR100916698B1 (ko) * 2009-02-26 2009-09-11 이흥주 연질 개스킷이 일체화된 마감부재를 갖는 샷시조립체
KR20130001975U (ko) * 2011-09-19 2013-03-27 윤영수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147Y1 (ko) * 2007-01-05 2008-01-28 주식회사동양강철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KR20080004028U (ko) * 2008-03-13 2008-09-19 (주) 콘즈 이중 단열 윈도우 프레임
KR100916698B1 (ko) * 2009-02-26 2009-09-11 이흥주 연질 개스킷이 일체화된 마감부재를 갖는 샷시조립체
KR20130001975U (ko) * 2011-09-19 2013-03-27 윤영수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834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707070B1 (ko) * 2014-12-12 2017-02-27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569647B1 (ko) 2015-01-19 2015-11-16 박종석 창호 프레임용 단열부재
KR101826418B1 (ko) 2016-04-21 2018-03-22 윤정림 창호 제작용 몰드바아
KR20180061867A (ko) 2016-11-30 2018-06-08 김태수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KR101887580B1 (ko) * 2017-04-26 2018-08-14 (주)미래메탈 범용의 조립성으로 개선된 창호 시스템
KR101924856B1 (ko) * 2017-06-28 2018-12-04 주영준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
KR101891334B1 (ko) * 2017-08-25 2018-08-23 김현종 하이브리드형 창호용 단열 프레임
KR20190045587A (ko) * 2017-10-24 2019-05-03 김희일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봇에 대응하는 단열 프레임 구조
KR101997098B1 (ko) 2017-10-24 2019-07-05 김희일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봇에 대응하는 단열 프레임 구조
KR102114078B1 (ko) * 2018-04-26 2020-05-22 (주)거광기업 플랫폼 창호
KR20190124506A (ko) * 2018-04-26 2019-11-05 (주)거광기업 플랫폼 창호
CN110029755A (zh) * 2019-04-26 2019-07-19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一种组合型框架系统
KR20200143848A (ko) * 2019-06-17 2020-12-28 박태엽 창호용 프레임
KR102200996B1 (ko) 2019-06-17 2021-01-11 박태엽 창호용 프레임
KR20210152096A (ko) 2020-06-05 2021-12-15 (주)윈가람 창호용 단열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속제 창호
KR102210488B1 (ko) * 2020-08-19 2021-02-01 나이스레이저(주)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KR20230159053A (ko) 2022-05-13 2023-11-21 선우디에스 주식회사 창호용 방풍 시공구조
KR102481245B1 (ko) 2022-06-09 2022-12-27 노재오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522087B1 (ko) 2022-06-09 2023-04-14 노재오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프레임용 덮개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088B1 (ko) 금속 단열창호
TWI627344B (zh) Door frame structure and door frame structure mounting method
US7845135B2 (en) Window frame
US20020046539A1 (en) Low thermal conductivity frame member, especially for windows, doors, facades and the like
KR200473063Y1 (ko) 창호용 세로 단열프레임
KR20170004000U (ko)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150034879A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200474465Y1 (ko)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0472839Y1 (ko) 창호용 가로 단열프레임
KR101657419B1 (ko) 다목적 단열프레임
KR101765548B1 (ko) 절곡조립식 단열창틀 및 단열창호 구조
US9382748B2 (en) Intermediate member for extending the depth of a window or door and window or door constructed with same
JP2015063800A (ja) 連窓
KR102071319B1 (ko)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이중프레임 구조를 갖는 커튼월
KR200474464Y1 (ko)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150139404A (ko) 스테인레스 문틀 구조체
KR101760268B1 (ko)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136420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1930473B1 (ko)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JP4552195B2 (ja) ガラス間仕切装置のコーナージョイント部材及びコーナージョイント構造
KR200474463Y1 (ko) 창호용 기둥 프레임
KR101708286B1 (ko) 원가절감형 창호용 단열프레임
CN210178188U (zh) 窗连结构造
KR102615289B1 (ko) 방화창
JP6009374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